KR20230081307A - 아로니아성분이 추가된 김의 신규 조미가공 방법 - Google Patents

아로니아성분이 추가된 김의 신규 조미가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1307A
KR20230081307A KR1020210169239A KR20210169239A KR20230081307A KR 20230081307 A KR20230081307 A KR 20230081307A KR 1020210169239 A KR1020210169239 A KR 1020210169239A KR 20210169239 A KR20210169239 A KR 20210169239A KR 20230081307 A KR20230081307 A KR 20230081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soning
seaweed
aronia
laver
sol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9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삼문
Original Assignee
김삼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삼문 filed Critical 김삼문
Priority to KR1020210169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1307A/ko
Publication of KR20230081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13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1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emulsifi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 고유의 영양과 풍미에 기호성이 좋은 불고기, 치즈, 오징어구이, 김치, 카레등에 추가로 아로니아 성분을 함유 풍미특성의 향미성분을 접합시켜 성인병과 건강질환뿐 아니라 유,소아 및 일반인들의 새로운 개념의 퓨전식품으로서 제품 다양화 및 김 소비확대와 건강관리에 효과를 지닐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아로니아성분이 추가된 김의 신규 조미가공 방법{New Seasoning Method of Dried Laver with Additional Aronia Ingredients}
본 발명은 일반 건조김에 아로니아 성분을 포함 다양한 조미소재를 용이하게 부여할 수 있는 신규 조미가공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 재래김이나 돌김을 마쇄하고 수세 탈수한 후 조미액과 아로니아성분을 일부 침지하고 초제 탈수하거나 또는 조미액을 분사 및 건조하여 균일한 조체외관을 유지하면서 아로니아 성분이 추가된 조미상태가 양호한 배소용 조미김을 가공하는 방법과 초제 건조된 수분함량 5%의 건조 김을 1차로 190∼280℃에서 5∼10초간 초벌구이하여 김 조체 표면을 아로니아 성분을 추가 배소하여 수분 제거, 섬유, 당분 단 백질 등의 가열응고에 의한 조체 고정과 조미성분(아로니아포함 흡수를 위한 조체상태의 조정 과정을 거친후 신속하게 조체 표면에 일정량의 식물성 유지나 당액과 혼합한 조미성분(아로니아 포함)을 엷게 도포한 후, 염을 가하고 2차로 300∼400℃에서 5∼10초간 굽고 방습포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미소재로는 천연 허브나 고추 추출물 또는 식물성 정유 성분, 당류, 또는 고농도로 농축한 수용성 엑기스류의 분말 파우더(아로니아 성분 포함)이 나 미세피막 가공한 향신료가 활용될 수 있으며 조미처리된 김(아로니아 성분추가 김)은 다시 배소가공을 거쳐 조미소재의 풍미와 함께 김 고유의 배소향이 동시에 발현되는 식미기호성 발현 및 건강질환과 성인병(암, 당뇨, 심장질한)이 양호한 아로니아 성분추가 조미김을 얻는다.
본 발명은 김 고유의 영양과 풍미에 기호성이 좋은 불고기, 치즈, 오징어구이, 김치, 카레등에 추가로 아로니아 성분을 함유 풍미특성의 향미성 분을 접합시켜 성인병과 건강질환뿐 아니라 유,소아 및 일반인들의 새로운 개념의 퓨전식품으로서 제품 다양화 및 김 소비확대와 건강관리에 효과를 지닐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 건조김에 다양한 조미소재와 아로니아 추가성분을 용이하게 부여할 수 있는 새로운 아로니아 조미가공 기술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김의 대부분은 서해중부 이남으로부터 남해안 일대에서 12월부터 익년 4월초순까지 95% 이상이 인공양식에 의해 생산되며 매년 연간 생산량이 생김기준 감소되는 추세 규모로서 식용의 역사가 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전통식품의 하나이지만 김의 가공(특히 조미김) 및 이용방법은 아직까지도 전통적인 가공공정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현재 유통되고있는 김 관련 제품은 단순 건제품인 건조김과 맛김&기타 부수제물(자반등)이 전부라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이러한 김제품만으로는 경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날로 고급화, 다양화, 개성화, 간편화를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구매욕구 충족에 의한 새로운 소비수요 창출을 기대할 수가 없어 관련산업의 채산성이 점차 악화되는 문제점과 신규제품개발이 있어 보다 새로운 소비수요 창출을 기대할 수 있는 내수용 고부가가치 자동화 생산가공과 상품화(해외시장개척)등의 기술개발이 긴요한 실정이다. 또한 김의 소비는 2010년대 까지만 해도 한국, 일본,중국,동남아, 할램(동아시아이) 등 전통적인 해조류 식용국에 국한되어왔던 경향이 있었으며 대부분의 비식용국에서는 김의 식품화가 특별한 사실로 인식되어온 경향이 있었으나 최근 들어 인적, 물적 국제교류와 수출 시장성 증가로 급격한 증가와 인종, 국가간의 문화에 대한 상호인식의 증진에 힘입어 김의 소비도 미반(米飯)을 주식으로 하는 지역(중국,일본, 동남아, 할램:무슬림)을 중심으로 점차 확대 국제화 되어가는 경향을 띄어감에 따라 김의 가공방법(영세가공탈피와 스마트공장구현) 또한 이러한 국제적 상품화 추세에 적절히 부응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관점에서 김도 국제적 식미기호에 맞출 수만 있는 신규 개발 공법으로 보편적 가공식품(특수부류추가)화도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 가장 보편적인 김가공품(아로나성분 추가김) 형태인 조미김은 건조김에 식물성 유지를 바른 후 배소하고 식염으로 2차 조미(조미과정중 아로니아성분추가)하므로서 배소김 특유의 고소한 향미를 갖는 관능적 특성 뿐 아니라 비타민 A, E 등 각종 지용성 유효성분의 소화 흡수율 제고, 양질의 단백질과 무기질 및 타우린과 아로니아의 건강기능 등 각종 영양과 건강유지성분의 급원식품으로서 긍정적 측면이 있으나 저장유통 중 지질의 산패에 의한 향미 열화 및 과산화물의 생성, 단순 획일적인 제품의 품질특성, 각종 성분추가의 기능의 상실에 기인한 새로운 소비수요 창출 지난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므로서 내수 및 국제적 상품으로서의 성장 발전에 한계(특히 해외 이송시 장기보관 문제)를 들어내었다고 할 수 있다. 기존의 대표적인 김의 조미방법은 국내의 경우 건조김 표면에 식물성 식용유를 드럼방식으로 도포한 후 일정 온도에서 배소하고 식염을 가하여 염미(鹽味)를 맞추는 방식이 가장 보편적이나 이는 조미 배소공정 에서의 김조체의 위축현상 방지 및 조미공정 편의성 등의 장점이 인정된 반면 유지의 산패에 의한 저장 유통중의 품질 불안정, 과다한 식염사용 및 조체표면의 유지 잔존에 따른 취급 불편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본의 경우 간장과 당류 및 아미노산을 비롯한 다양한 조미료 소재를 활용한 조미김의 제조방법이 보편적이나 저장 유통중 흡습 및 간장 중심의 향미가 강하여 국제적으로 보편적인 소비나 새로운 수요 창출에 상당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장단점을 내포하고 있는 김을 원료로 하여 고부가가치 상품화를 위한 다양한 기술개발 노력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부분 조미 및 튀김식품의 제조, 초제방법의 개량, 멸치 등 타 식품소재와 김의 혼합초제에 의한 새로운 김제품 제조 등에 관한 연구들이 부분적으로 알려지고 있는 가운데 본 발명(아로니아 성분을 추가 김)과 기술적 유사성을 같는 공정기술들도 부분적으로 고안되고 있으나 품질안정화(신규 공법과정에 아로니아를 추가시키는 공법) 등의 다양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김의 풍미부여 공정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 있는 내용과 비교하였을 때 대표적인 유사공정으로 평가되는 불고기 향미 김 등의 새로운 풍미 맛김의 제조방법 등이 고안 된 바 있으나 공정기술(아로니아 추가)내용의 구체성이 결여되어 있으며 산업기술로서 현실적 적용성과 합리성이 결여된 것으로서 새로운 풍미부여 목표만을 추구하는 건강상의 아이디어 수준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 2배의 칼슘을 첨가한 김, 카레맛김, 명란젓맛김,셀러드 맛김(김응식,1999년 3월 한국특허 출원:출원번호 10- 1999- 0010641, 공개번호: 특 1999- 0046539)" 의 경우 혼합식용유에 각종 향을 천연물과 함께 또는 별도로 10- 20% 수준이 되도록 혼합한 다음 일반 조미배소김의 공정과 유사하게 식용유를 도포하고 배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으나 향미소재를 식용유에 혼합한 것 외의 공정 특이성이 없고 다량의 유지사용 문제점과 함께 가향처리후 고온 배소에 따른 저분자 향성분의 소실이 크고 저장중 지속적으로 향의 손실이 진행되는 등 제품 품질에 대한 공정 기술 적용효과가 불안정하여 현실적 적용 가능성이 의문시 된다.또한 추가 출원한 " 김치맛 향김, 불고기맛 향김(김웅식,1999년 4월 한국특허 출원: 출원번호 10- 1999- 0012698, 공개번호 특 1999- 0064560) " 의 경우에 있어서도 김을 초제한 다음 다시 세척하고 1차 배소처리를 거친 다음 다시 냉풍 및 열풍건조하고 여기에 불고기 또는 김치향과 및 천연성분을 일정비율로 식용유에 혼합한 것을 김의 조체 표면에 도포하여 일반 조미배소김 공정에 따라 배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나 초제후 세척 공정과 1차 배소 처리후 다시 건조하는 공정이 비현실적이고 불합리한 특성이 있고 제시된 공정에 의해 맛김을 제조할 경우 제품의 향미특성이 저분자 향성분의 과다 소실 등으로 불안정한 문제점 등이 있어 현실적 산업적용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과 같은 단편적인 기존의 연구개발 외에 다양한 조미성분을 쉽게 활용할 수 있는 김의 조미공정 기술에 관한 연구 결과는 찾아볼 수 없는 실정이다.
아로니아 성분이 추가된 조미배소김을 제조함에 있어서 다양한 지용성 또는 수용성 조미성분을 쉽게 첨가하여 김의 조체가 위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소 가공하여 바람직한 항미성분이 아로니아의 향취를 지닌 김의 조체에 안정적으로 함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김의 조미가공 공정개발(자동화 공정&아로니아 특수성분추가)이 주목적이며 이를 위해서는 조미가공에 적합한 김의 초제 등 전처리 방법과 조미성분의 처리 가공 방법을 포함한다.
아로니아 성분 함유 풍미맛김은 아로니아 김 고유의 영양과 아로니아 풍미 및 이미지에 전통적으로 소비기호성이 높은 바베큐, 치즈, 오징어, 김치,카레, 땅콩 등과 같은 이질적이면서 다양한 아로니아 성분의 풍미특성을 갖는 아로니아 향미소재을 적절히 접합한 것으로 전통식품으로서의 맛김 이라는 한정된 품질 및 소비수요 개념을 초월한 Fusion 식품적인 가공기술의 발달 및 이로 인한 제품다양화와 소비확대 및 건강식품(특히 암, 당뇨,성인질환)과 유, 소아의 식사반찬대용식(도시락,피크닉용)으로서 확대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추가로 아로니아 김 제품은 식, 청장년층의 술안주 등의 용도에 따라 소비층이 다양할 뿐만 아니라 김의 다각적인 새로운 이용 방법으로 김의 소비수요를 고려한 새로운 품질특성을 부여하므로서 높은 소비기호성과 국제적식품(중국,일본,동아시아등의 입증)으로서의 수출가능성과 건강식, 어린이용 대체식으로 효과를 높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조미 초제 방식에 의한 조미 건조김(아로니아 추가)의 처리 가공 공정
일반 건조김에 아로니아성분을 포함 다양한 조미소재를 용이하게 부여할 수 있는 신규 조미가공 기술에 관한 것이다.
아로니아 성분추가 조미김의 새로운 조미방법을 공정에 따라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제 1 공정 : 원료김의 초제 및 건조공정(도 1 참조)
(1) 원료생김
원료생김은 1월부터 3월 사이에 수확한 참김 또는 돌김으로 선도 양호한 당일 수확품 또는 수확직후 간이세척 및 탈수 하고 - 20℃ 이하에서 급속 동결한 참김, 돌김 또는 혼합김을 원료로 사용한다. 원료인 생김이 지나치게 어린 조체일 경우 조체의 물리적 강도가 낮고 저장성분 함량이 충실하지 못하여 초제 및 건조후의 제품 수율이 낮을 뿐 아니라 조미 가열 공정에서 조체와 조미성들의 가열변성에 의한 식미 균형을 상실하기 쉬우며, 3월 이후의 해수온이 10℃를 초과할 때 수확된 원료김은 조체가 노쇄하여 식감이 거칠거나 세포막이 부분적으로 용해되어 수세 및 초제 공정에 적합지 않은 문제점이 있어 피하여야 한다.
(2) 수세(水洗) 및 수절(水切)
생김 중량의 100 배량 이상의 맑은 담수로 교반하면서 충분히 수세하여 김조체의 표면에 부착한 오니(汚泥) 등 이물질을 충분히 수세 제거해야 한다. 이때 기존의 김세척 장비를 이용하되 세척수를 2회 이상 교환하여야 하며 세철수질은 음용수 수질기준에 적합한 맑은 물로서 특히 탄산칼슘이나 철분 등의 무기질 함량이 낮은 연수가 바람직 하다. 수세가 끝난 김은 기존의 원심식 연속 탈수장치, 또는 다공성 용기를 이용한 자연 탈수 방식으로 조체 표면 수분을 제거하여 함수량 70- 80%의 김을 얻는다.
(3) 세절(細切), 수세( 水洗) 및 탈수(脫水)
오니(汚泥) 를 충분히 제거한 원료 생김은 Die hole Φ 3mm 전후의 마쇄기(Ch opper)를 사용하여 2- 3회 충분히 마쇄한 후 다시 김중량의 20- 50배량의 담수로 2- 3회 충분히 수세하여 김마쇄혼합물을 얻는다. 이때 조체의 마쇄는 건조김의 초제상태 및 식감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균일한 마쇄가 이루어 지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이때 조미액 침지 공정 제품의 경우 함수량 80% 수준까지 원심탈수 등의 방법으로 탈수하여 다음 조미액 침지공정의 처리효과를 높힌다.
(4) 조미액 침지
수용성 조미액을 함유한 10℃ 이하의 조미액에 탈수가 끝난 마쇄김을 5- 30분간 침지하여 조미 성분이 김의 조체에 침투되도록 한다.이때 초제후 조미방식을 택하는 제품은 본 공정을 생략한다.
(5) 초제, 탈수 및 조미
마쇄 및 수세처리한 김은 기존 김발을 이용하여 마쇄 생김 1kg 당 물(초제후 조미제품) 또는 조미액(조미초제 제품)을 30~40L 비율로 혼합한 다음 김발당 마쇄김 혼합물 1~1.5L비율로 주가( 注加) 하여 김발에서 물이 빠진 상태에서의 표면의 초제상태가 육안으로 빈 공간이 관찰되지 않도록 초제하고 일반 상법에 따라 원심 또는 가압방식으로 탈수한다. 이때 조미액 침지제품의 경우 탈수된 조미액은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초제후 조미제품의 경우 초제 탈수된 상태에서 일정 농도의 조미액을 표면 분사하는 방식으로 가하여 조미성분이 김조체에 침투되고 건조중에 조미된 상태로 자연스럽게 건조되어 표면위축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6) 건조(乾燥),절단(切斷) 및 결속(結束)
초제, 탈수, 조미된 김은 열풍건조기로 40 - 80℃에서 함수량 5 - 10% 수준까지 연속건조한다음 규격에 맞도록 절단하고 방습 포장지로 밀봉 포장하며 필요할 경우 산소차단제, 흡습제 등을 김과 함께 포장하므로서 저장중 품질 안정을 기한다.
제 2 공정 : 김의 조미배소 공정( 도 2 참조)
(1) 원료김: 수분함량 5% 전후의 초제상태가 양호한 건조김을 원료로 한다.
(2) 1차 배소: 기존의 김 자동배소장치를 이용하여 190∼280℃에서 5∼10초간 배소하여 조체 표면 성분의 가열응고 및 균일한 조체 수분상태를 유지토록 하므로서 다음 1차 조미공정에서 조미성분의 조체 침투를 용이하게 하며 부분 살균 효과도 얻는다.
(3) 조미: 조미성분을 함유하는 식용유 또는 당액을 일정량씩 분사하거나 조미액을 신축성이 있는 스폰지 형 드럼위에 일정량씩 적하(滴下)하므로서 드럼을 조미성분으로 적신 후 신숙성이 있는 드럼사이를 예비배소한 김이 통과하므로서 조미성분이 김의 조체표면에 도포되도록 하는 방번으로 1차 조미를 행한다. 이때 조미액의 분사(噴射)나 드럼에 적하( 滴下) 하는 공정은 조미성분이 균일하게 김조체 표면에 도포될 수 있도록 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조미김은 사용되는 조미액성에 따라 표면이 소량의 식용유나 당류로 도포된 상태이다. 이때 50메쉬 전후의 조미식염을 고루 분사하거나 분산(分散) 적하(滴下)하는 방식으로 2차 조미를 행한다. 이때 사용되는 염은 MSG, 아미노산 등으로 가미된 맛소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입과정에서 아로니아 성분이 추가된 염을 도포한다. 기호에 따라 죽염, 기타 조미염류(상기과정 대신 이과정에서 아로니아성분을 도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조미염의 사용량은 식미기호에 따라 가감할 수있으며 당액을 기본으로 하는 조미액은 조미액중에 소정의 염미성분과 아로니아 분말 파우더 (혹은 3 ~ 6.5brix)을 적당량 용해하여 사용하므로 별도의 가염처리 공정은 불필요하다. 또한 아로니아 성분이 함유된 조미배소가 끝난 최종제품 표면이 조미성분에 의해 끈적거리는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당액을 기본으로 하는 조미액의 경우 수분을 잘 흡수하며 상온에서 경화특성이 있는 분말 파우더 간장이나 분말 또는 덱스트린 등을 소량 첨가(이 과정에서 아로니아성분 추가가능) 할 수 있으며 유지를 기본으로 하는 아로니아 조미액의 경우 소량의 당알콜의 지방산 에스터 분말을 조미식염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4) 2차 배소(焙燒): 1차 조미된 김은 김 자동 배소장치를 이용하여 300∼400℃에서 5∼10초간 배소하여 조미배소김으로서 적절한 향미와 색택 및 물성(Cr ispness)을 갖도록 배소조건을 조정한다.
( 5) 냉각( 冷却) 및 절단(切斷) 및 포장(包裝): 조미배소가 끝난 김은 RH 20% 이하의 건조하면서 제균(除菌)필터를 통과한 냉각 공기중에서 냉각하여 고온 조건에서의 향미성분의 안정을 기하고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방습포장 하되 이때 건조실리카겔 등 흡습제나 산소흡착제와 함께 포장하므로서 제품의 품질안정성을 증진할 수 있다.
제 3공정: 조미액의 처리 가공 공정(도 3a, 3b, 3c 참조)
(1) 지용성 조미액(아로니아 성분 추가)의 처리가공 공정( 도 3a 참조): 분자량이 비교적 작은 각종 지용성 향기성분(올레오레진 포함)의 일정량을 기존의 김 조미가공에 사용되어온 식물성 유지(면실유, 옥배유 등)에 일정 농도가 되도록 가하고 나서 교반하여 유지와 지용성 조미성분이 충분히 혼합되도록 한다음 맛성분을 중심으로 한 수용성 고분자 정미성분 농축물(분말 파우더 또는 미립자 상태)을 유지에 첨가하고 40℃ 이하로 약간 가온하면서 교반하여 정미성분이 균일한 상태로 유지속에 분산되도 록 하는 방법으로 조미액을 제조한다. 이때 사용하는 유지의 일부를 포화도가 높은 정제 라드(Lard)나 식물성 경화유와 혼합함으로써 조미가공후 유지의 품질안정에 의한 휘발성 향기성분의 안정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조미후 당류 또는 유화제와 병용하므로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2) 유화형 조미액의 처리가공 공정( 도 3b 참조) : 특정한 지용성 향기성분 일정량을 소량의 식물성 유지와 함께 혼합한 다음 점도와 당도가 낮은 당류 또는 당알콜과 간장, 식염, MSG, 글리신이나 알라닌 등의 아미노산 등 수용성 정미성분들의 혼합물과 혼합하고 소량의 유화제아 아로니아 3~6.5brix 혹은 파우더(분말 파우더)를 가하여 교반하면서 유화시켜 향기성분과 수용성 정미성분이 안정된 상태로 혼합된 유화형 조미액을 제조한다. 이때 유지와 총 수분의 비율은 9:1 - 7:3 중량비 범위가 되도록 조정한다.
(3) 수용성 아로니아 추가 조미액의 처리가공공정(도 3c 참조): 점도와 당도가 낮은 솔비톨이나 물엿 용액에 덱스트린 또는 가용성 전분을 기질로 하여 향신료 엑기스를 분말 파우더화한 것과 간장을 일정량 가하고 가온 교반하여 당액과 수용성 조미성분이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한다. 이어서 그리신 등 정미성 아미노산, MSG, 식염, 아로니아 등의 포화 수용액을 적정량 가한 후 교반 혼합하여 수용성 아로니아(3~6.5brix) 추가 조미액을 조제한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하여 설명하고자 하나 이들 실시예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조미 초제 방식에 의한 조미 건조김의 가공
2020년 1월 해남산 참김을 신선한 상태에서 확보하여 생김 1kg 당 100L의 맑은 물로 30분간 3회 교반 수세한 다음 원심 탈수한 후 Die hole Φ 3mm 의 마쇄기(Chopper)를 사용하여 3회 마쇄한 후 다시 김중량의 50배량의 담수로 3회 수세하였다. 이어서 김 마쇄물 500g을 20L의 물에 고루 혼합한 것 1L를 기존 규격의 김발위에 주입하고 자연탈수 시켜 표면에 빈공간이 보이지 않도록 초제하고나서 쇠고기맛 성분의 수용성 조미액을 초제상태의 김 표면에 매당 10ml 비율로
분사하여 조미한 후 기존의 김 건조장치를 이용하여 40~80℃에서 4시간 건조하여 함수량 10% 수준의 조미건조 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조미 건조김을 이용한 아로니아 성분 추가 쇠고기맛 배소김의 가공
실시예 1에 의해 건조한 조미김을 원료로 하여 기존의 조미배소(아로니아 성분추가)김 가공공정에 따라 옥배유를 김 표면에 김 1매당 50~150mg 비율로 도포한 후 190~280℃에서 5- 10초간 배소한 다음 조미식염(아로니아 성분 추가)을 가하여 조미하는 방식으로 쇠고기 풍미가 우수한 조미배소김을 가공하였다.
(실시예 3): 지용성 조미액(아로니아 일부 추가)의 제조방법
신선한 옥배유 1kg에 유성 카레향 추출 농축액 40g을 가한 후 10분간 교반 혼합하여 지용성 향기성분이 유지와 충분히 혼합되도록 한 다음 카레 풍미의 수용성 농축분말 파우더 60g을 추가로 혼합후 일부 아로니아1~2g을 유지에 첨가하고 40℃로 가온하면서 서서히 교반하여 농축분말 파우더가 유지중에서 균일한 상태로 분산되도록 한후 실온까지 냉각한다. 이렇게 제조한 조미액은 제조후 10℃ 이하 냉장고에서 3개월간 품질이 안정하며 김의 배소 공정에서 균일한 혼합상태가 유지되도록 교반하여 사용한다.
(실시예 4): 유화형 조미액(아로니아 일부 추가)의 제조방법
지용성 카레향 농축액 40g을 신선한 옥배유 1L에 혼합하여 지용성 향미액을 제조한다. 이와는 별도로 솔비톨 50g, 글리신 2g, MSG 2g, 식염 5g, 아로니아 1~2g의 혼합물을 물 200ml에 용해하여 수용성 조미액을 조제한다. 이어서 수용성 조미액에 유화제로서 슈가 에스테르(Sugar와 팔미틱에시드의 에스테르) 5g을 가한 후 고속으로 교반하면서 미리 조제한 향미액을 서서히 가하여 안정된 유화물을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한 유화형 조미액은 분자량이 작은 지용성 향기성분과 분자량이 비교적 큰 수용성 정미성분을 모두 안정적으로 수용하는 특성이 있다.
(실시예 5): 수용성 조미액(아로니아 일부 추가)의 제조방법
솔비톨 70% 수용액 1L와 별도로 가용성 전분을 기질로 한 불고기 향 농축분말 파우더 5g과 아로니아 1~2g, 간장 40g,MSG 5g,식염 10g을 200ml의 물에 용해한 혼합 수용액을 교반 혼합하여 불고기의 향미특성이 강한 안정된 수용성 조미액을 만들 수 있다. 이렇게 제조한 조미액은 냉장 조건에서 3개월 이상 안정적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김의 1차 배소후 2차 조미액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6): 아로니아 김의 조미배소 방법
수분함량 5% 수준으로 건조된 김을 기존의 김 조미 배소장치를 이용하여 190~280℃ 조건에서 5~10초간 배소한 다음 신축성
이 있는 스폰지형 드럼위에 지용성 조미액을 분당 10ml속도로 적하(滴下)하여 드럼을 조미성분으로 적신 후 드럼사이
로 예비 배소한 김을 통과시켜 김의 조체표면에 조미성분이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하여 1차 조미를 행한다.
1차 조미된 김을 배소온도 300~400℃, 배소시간 5~10초 조건에서 2차 배소하여 조미성분이 고온 조건에서 김의 조체표면에 부분적으로 고착 안정화 되도록 한다.
RH 20% 이하의 냉각 공기중에서 급속히 냉각하여 조미성분이 김의 조체표면에 고착 안정화 되도록 한다음 6절 크기로 절단 하고 실리카겔을 내장한 상태로 방습포장하여 카레와 아로니아 풍미를 갖는 새로운 조미김 스낵을 제조할 수 있다.
(실험예 1): 원료김의 조미적성
원료김의 수분함량에 따른 조미 적성을 측정키 위하여 초제상태에 따라 제조한 원초김을 건조과정에서 수분함량을 10∼5% 수준으로 조절하여 건조한 다음 원료김으로 사용하였다. 원료김의 조미적성은 190∼280℃에서 5∼10초간
1차 배소한 다음 조미성분 함유 식용유를 도포한 후 300∼400℃에서 5∼10초간 2차로 배소한 다음 기호도로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과 같다.
원료김 수분함량에 따른 조미 적성
원료 수분함량 초체상태 1차 배소 1차조미후 기호도
참김 8.4 보통 6.2 6.9 6.5
우량 7.5 7.1 7.8
7.3 보통 7.8 8.0 7.9
우량 7.6 8.2 8.1
5.4 보통 8.0 8.1 8.1
우량 8.4 8.6 8.5
돌김 8.4 보통 6.4 6.6 6.7
우량 6.8 7.0 7.9
7.1 보통 7.8 7.0 7.8
우량 7.9 8.0 8.0
5.5 보통 8.1 8.2 8.2
우량 8.3 8.4 8.4
혼합김
(참김돌김 = 1:1)
8.5 보통 6.9 6.8 7.1
우량 7.0 7.0 7.9
7.4 보통 7.8 7.0 7.8
우량 7.9 8.0 8.0
5.5 보통 8.1 8.2 8.2
우량 8.3 8.4 8.4
1) 9점평점법(1점:나쁘다, 5점:보통이다, 9점:매우좋다 )원료김의 수분함량이 낮을수록, 초제상태가 균일할수록 아로니아 조미액 도포후 맛, 향, 기호도 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로니아 조미김의 원료는 맛이 우수하고 초제상태가 비교적 균일하고 조밀한 것이 적당하며 안정적 원료확보를 위해서는 산지에서 직접 제품에 적합한 원료김을 제조·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실험예 2): 지용성 조미액의 사용량 및 사용방법
옥배유에 지용성 바베큐, 치즈 및, 땅콩 농축향을 각각 2∼10%( w/w)까지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여 조미액을 제조 한 다음 1차 배소한 원료김에 균일하게 도포한 후 2차 배소하여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바베큐 치즈 땅콩향의 첨가수준에 따른 조미배소김의 기호도 검사 1)
향농도 품 목 옥배유중 지용성 향농축액의 농도 (w/w, %)
2 4 6 8 10
불고기 2.0 3.5 4.3 5.7 8.9
치즈 3.0 4.7 6.7 8.5 7.3
땅콩 7.8 9.0 8.4 8.6 8.7
1) 9점 평점법전체적으로 향의 첨가량이 높을 수록 향에 대한 기호도는 증가하나 각 특성에 대해 후각으로 느끼는 강도에 비해 미각으로 느끼는 강도가 다소 낮은 경향을 보였다.
(실험예 3): 수용성 조미성분의 사용량 및 사용방법
각 특성에 맞는 분말 파우더형의 조미성분을 식물성 유지에 일정량 용해시켜 사용하였다.즉, 옥배유에 수용성(분말 파우더상태)조미성분을 4%(w/w) 첨가하여 분산시킨 후 지용성 바비큐, 치즈 및 땅콩 향 농축액을 각각 옥배유의 4%(w/w) 수준이 되도록 추가로 첨가하고 잘 혼합하는 방법으로 조미액을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이 조미액을 1차배소한 원료김에 균일하게 도포한 다음 2차 배소후 관능검사를 통하여 기호도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3과 같다.
향의 첨가 형태에 따른 배소김의 기호도 검사
품목지용성 수용성 수용성지용성
바비큐6.1 4.5 8.3
땅콩5.0 4.7 8.7
치즈8.8 7.2 8.8
오징어8.8 5.7 8.8
1) 9점평점법바베큐, 땅콩 및 오징어 풍미의 경우 지용성 혹은 수용성 향미소재를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배소김의 향 또는 맛의 강도가 약하여 기호성이 현저히 떨어졌으나 치즈의 경우는 예외적으로 지용성 향미소재를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기호성이 ( 지용성 + 수용성〕복합형 향미소재로 조미한 배소김과 유사하게 높은 특성을 보였다.
(실험예 4): 수용성과 지용성 조미성분의 적정 배합비율
각 특성에 맞는 조미성분의 적정 배합 비율을 결정하고자 수용성 또는 지용성 향미소재의 첨가수준을 식물성 유지 중량의 10%로 고정하고 배합 비율별 조미액을 김 중량의 20% 수준이 되도록 도포한 후 기존의 맛김 배소기를 이용하여 160℃에서 30초간 배소한 조미 배소김의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는 표 4, 표 5, 표 6과 같다.
지용성 및 수용성 향미 소재의 배합비
배합비 1) 10:1 2) 8:2 3) 6:4 4) 4:6 5) 2:8 6) 0:10
4.71 5.25 7.21 8.24 7.21 4.51
7.43 6.73 6.21 6.43 4.21 1.24
기호도 5.42 6.23 6.54 8.95 6.11 3.12
1) 9점평점법
향미성분의 배합 비율별 치즈 풍미 맛김의 기호도
배합비 1) 10:1 2) 8:2 3) 6:4 4) 4:6 5) 2:8 6) 0:10
4.25 5.52 6.21 8.24 5.21 4.54
8.43 7.73 6.75 6.62 4.31 2.51
기호도 6.21 6.78 7.54 8.71 5.13 3.23
1) 9점평점법
향미성분의 배합 비율별 땅콩 풍미 맛김의 기호도
배합비 1) 10:1 2) 8:2 3) 6:4 4) 4:6 5) 2:8 6) 0:10
4.21 5.71 7.51 8.24 8.12 6.56
8.11 6.48 5.51 5.53 4.12 3.81
기호도 6.02 6.23 7.67 9.21 5.23 4.21
1) 9점평점법지용성과 수용성 향미성분을 배합 비율별로 혼합한 것을 옥배유에 10 중량% 되도록 혼합하여 복합 조미액을 제조한 후 김 중량의 20% 수준이 되도록 도포하고 기존의 맛김 배소기를 이용하여 160℃에서 30초간 배소한 조미 배소김의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지용성 향은 맛김의 향에 주로 영향을 주었고 수용성 조미소재는 맛에 영향을 주었으며 이때 지용성 향이 복합조미성분의 40% 이상 되었을 때(옥배유중의 농도비율 4% 이상) 안정된 제품 기호 특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Claims (1)

  1. 청구항 1.
    신선한 생김을 마쇄하고 초제한 후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조절된 건조김 또는 아로니아 조미건조김을 제조하는 단계와, 건조김에 아로니아 조미액의 침투가 용이하도록 1차 배소한 후 조미액을 건조김에 분사 또는 적하시켜 조미한 건조김의 조체표면에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하는 1차 조미 단계와, 조미액이 도포된 김에 2차 조미하는 단계 조미료를 가하여 2차 배소한 후 냉각공기를 공급하여 김의 조미상태를 안정화 시켜 절단한 후 방습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의 새로운 아로니아김 조미가공 방법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 건조김은 김 마쇄물과 물을 고루 혼합한 것을 김발위에 주입하고 자연탈수시켜 표면에 빈공간이 보이지 않은 양호한 초제상태의 김을 얻은 후 40~80℃에서 건조하여 함수량 5%의 건조김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의 새로운 조미 가공방법
    청구항 3.
    제 1항에 있어서, 김마쇄물을 수세하고 탈수한 다음 다시 아노니아 조미액에 10∼30분간 침지하여 조미성분을 김 조체에 침투시킨 후 탈수건조하여 안정된 조미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 아로니아 조미김의 제조방법
    청구항 4.
    제 1항에 있어서, 원료김을 초제하고 탈수한 김의 표면에 아로니아조미액을 분사하여 김 중량의 5~10% 수준이 되도록 분사하여 아로니아를 포함한 조미성분을 김의 조체에 침투시키고 상법에 따라 건조하므로서 균일한 조체 표면과 안정된 조미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 조미김의 제조방법
    청구항 5.
    제 1항에 있어서, 원료김의 1차 배소는 아로니아 조미김배소장치에서 190∼280℃에서 5∼10초간 1차 배소하여 조미액(아로니아 성분추가)의 도포가 안정되도록 함수량을 5% 수준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의 새로운 조미가공 방법.
    청구항 6.
    제 1항에 있어서, 조미김의 2차 배소는 300∼400℃에서 5∼10초간 배소한 후 조미료가 건조김의 조체표면에 안정적으로 고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의 새로운 조미가공 방법
    청구항 7.
    제 1항에 있어서, 2차 배소 및 조미한 아로니아 건조김을 상대습도 20% 이하의 냉각 공기중에서 급속 냉각하여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방습포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의 새로운 아노니아김 조미가공 방법
    청구항 8.
    아로니아 성분이 추가된 지용성조미액과 수용성조미액 및 유화제를 각각 1∼10% : 1∼10% : 0.1∼5% 비율로 혼합한 후 3000 rpm이상으로 교반하는 단계와, 미리 조제한 향미액을 서서히 첨가하여 안정화된 유화형 아로니아 조미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1차 또는 2차 조미액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의 새로운 조미가공 방법
    청구항 9.
    제 8항에 있어서, 아로니아 성분의 지용성 조미액은 향농축액인 지용성 향미성분을 신선한 옥배유 1~10% 가한 후 5분 내지 15분간 혼합하여 혼합유지를 제조하는 단계와, 전기의 혼합유지에 각종 아로니아를 비롯한 추가풍미의 수용성 농축분말 파우더 1∼10%를 첨가하여 35~45℃로 가온하면서 서서히 교반하여 아로니아가 포함된 농축분말 파우더가 유지중에서 균일한 상태로 분산되도록 하는 단계와, 전기의 아로니아 조미액을 실온으로 냉각한 후 10℃ 이하에서 1∼6개월간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1차 또는 2차 조미용 지용성 조미액(아로니아 성분 추가)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의 새로운 조미가공 방법
    청구항 10.
    제 8항에 있어서, 아로니아 성분 추가 수용성 조미액은 솔비톨 1∼20%, 물엿 1∼20%, 덱스트린 또는 가용성 전분 1∼20%, 향신료 엑기0.1∼10% 혼합하여 사스 분말 파우더 1∼10%, 간장 1∼20%, 글리신 1∼20 %, 아로니아 브릭 혹은 분말 파우더(1~2g) MSG 또는 식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용하거나, 전기의 물질에 정제수를 혼합하여 수용액으로 하여 1차 또는 2차 조미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의 새로운 조미가공 방법
    청구항 11.
    제 8항에 있어서, 유화형 조미액은 소량의 지용성 향기성분 1∼10%, 옥배유 90∼99%, 설탕이나 물엿 또는 에리스트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1∼20%, 키실리톨 또는 솔비톨 주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0.1∼20%, 간장 1∼20%, 식염 0.1∼ 10%, 아로니아 브릭(분말 파우더:파우더)1~2g, MSG, 글리신 또는 알라닌 중에서 선택된 어느하나를 0.1∼5% 유화시켜 향기성분과 수용성 정미성분을 안정된 상태로 혼합시켜 유지와 수분의 비율이 9 : 1 - 7 : 3의 비율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김의 조미가공 방법
    청구항 12.
    제 8항에 있어서, 미리 조제한 아로니아 성분 추가 향미액은 1∼10% 간장, 1∼20% 물엿, 1∼20% 솔비톨, 1∼5% MSG 및 0.1∼20% 자일리톨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김의 조미가공 방법
    청구항 13.
    제 8항에 있어서, 유화제는 설탕과 팔미틱산의 에스테르를 5g, 아로니아 성분 1~2g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김의 조미가공 방법
    청구항 14.
    제 9항에 있어서, 아로니아 성분의 지용성 조미액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안정화를 위하여 유지의 일부를 포화도가 높은 정제 라드(Lard)나 식물성 경화유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김의 조미가공 방법
    청구항 15.
    제 9항에 있어서, 지용성 향기성분은 바베큐, 치즈, 구운오징어, 땅콩, 피자, 소세지, 떡볶이향, 훈제풍미향, 아로니아향을 공통 또는 매운맛향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김의 조미가공 방법
    청구항 16.
    제 9항에 있어서, 아로니아 성분의 수용성분말 파우더는 바베규, 오징어, 땅콩 또는 치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김의 조미가공 방법
    청구항 17.
    제 1항에 있어서, 조미액은 제 8항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아로니아 성분의 조미액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김의 조미가공 방법
KR1020210169239A 2021-11-30 2021-11-30 아로니아성분이 추가된 김의 신규 조미가공 방법 KR202300813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239A KR20230081307A (ko) 2021-11-30 2021-11-30 아로니아성분이 추가된 김의 신규 조미가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239A KR20230081307A (ko) 2021-11-30 2021-11-30 아로니아성분이 추가된 김의 신규 조미가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307A true KR20230081307A (ko) 2023-06-07

Family

ID=86761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9239A KR20230081307A (ko) 2021-11-30 2021-11-30 아로니아성분이 추가된 김의 신규 조미가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130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8579B1 (ko) * 2023-08-03 2024-04-18 주식회사 세강식품 조미 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조미 김 제조방법
KR102658580B1 (ko) * 2023-08-03 2024-04-18 주식회사 세강식품 아로니아 분말을 함유한 조미 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조미 김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8579B1 (ko) * 2023-08-03 2024-04-18 주식회사 세강식품 조미 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조미 김 제조방법
KR102658580B1 (ko) * 2023-08-03 2024-04-18 주식회사 세강식품 아로니아 분말을 함유한 조미 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조미 김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81307A (ko) 아로니아성분이 추가된 김의 신규 조미가공 방법
KR100372754B1 (ko) 김의 새로운 조미가공 방법
KR20170085724A (ko) 매생이김 부각의 제조방법
KR20170136710A (ko) 간장초절임 깻잎장아찌의 제조방법
US3162535A (en) Preparation of directly consumable food ration wheat products
KR100594946B1 (ko) 보존기간이 향상된 케익떡의 제조방법
KR101759147B1 (ko) 수국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581214B1 (ko) 효소 떡과 그 제조방법
KR101812405B1 (ko) 반가공 냉장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2157292B1 (ko) 황태구이용 양념장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황태양념구이
KR101591232B1 (ko) 오리바베큐윙 제조방법
KR20210129836A (ko) 김의 새로운 정밀조미가공 방법
KR20180117001A (ko) 양념장이 혼합되는 곤드레 나물밥의 제조방법
KR20130057380A (ko) 기능성 미숫가루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35060B1 (ko) 대게 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79430B1 (ko) 담수산 식용패류된장 제조방법
KR101860124B1 (ko) 녹차 떡갈비의 제조방법 및 그 녹차 떡갈비
KR20070009904A (ko) 겉절이용 양념 조성물
KR20220138772A (ko) 다양한 식미기호에 적합한 고부가가치식품 조미김의 제조방법
KR100328013B1 (ko) 시트상 야채식품 및 그 제조방법
CN109393437B (zh) 一种香辣醇滑的牛蛙酱及其加工工艺
KR100769886B1 (ko) 황태조미무침
KR101926824B1 (ko) 품질이 향상된 단풍 떡 제조 방법
KR100492558B1 (ko) 녹차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37422A (ko) 파스닙 라면, 건면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