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961U -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961U
KR20170001961U KR2020160000012U KR20160000012U KR20170001961U KR 20170001961 U KR20170001961 U KR 20170001961U KR 2020160000012 U KR2020160000012 U KR 2020160000012U KR 20160000012 U KR20160000012 U KR 20160000012U KR 20170001961 U KR20170001961 U KR 201700019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plastic resin
aluminum
paper layer
cooking vessel
aluminum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0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훈정
Original Assignee
정훈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훈정 filed Critical 정훈정
Publication of KR201700019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96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7Cooking- or baking-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oven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5Vessels with non-stick features, e.g.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리과정에서 접착성분이 음식물에 배어들지 않도록 한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제1종이층과, 상기 제1종이층 내측면에 열가소성 수지로 코팅 또는 라미네이팅된 제1열가소성수지층을 포함하는 외주체; 상기 외주체의 하측과 접착되고 바닥면을 이루는 제2종이층과, 상기 제2종이층에 열가소성 수지로 코팅 또는 라미네이팅 된 제2 열가소성 수지층을 포함하는 바닥체; 그리고 상기 고주파 유도 가열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열가소성수지층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끼워지는 알루미늄용기체;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Cooking Utensils for Induction stove}
본 고안은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과정에서 접착성분이 음식물에 배어들지 않도록 한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덕션 레인지는, 전기레인지의 한 종류로서 피가열체 자체에 열을 유도시키는 간접가열 방식을 이용하며, 에너지 효율과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덕션 레인지는 조리용기 자체에서 열이 발생할 뿐 접촉 면이 달궈지지 않으므로 인덕션 레인지 자체의 열에 의한 화상의 위험이 적은 장점이 있다. 반면, 인덕션 레인지의 단점은 자성을 띠는 금속 용기만을 사용해야 하므로 뚝배기, 유리용기, 일회용 종이컵, 인스턴트 라면용기 등은 조리용기로 사용할 수 없다. 이에 인덕션 레인지에 사용할 수 있는 인덕션 레인지용 일회용 조리용기의 개발이 이루어진바 있으나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인덕션 레인지용 일회용 조리용기의 실시예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5784호에는 『컵라면, 컵우동, 즉석국 등의 일회용 종이컵용기를 인덕션렌지에서 끓여 조리할 수 있는 일회용 조리용기로 사용할 수 있도록 종이컵용기의 밑면종이판의 내부 바닥면에 인덕션렌지의 전자기유도에 의해 열을 발생하는 스테인리스 강판을 접착시켜 일체가 된 밑면판과 옆면지로 종이컵용기 본체를 형성한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렌지용 종이컵용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인덕션 렌지용 종이컵용기는, 밑면 종이판의 내부 바닥면에 스테인리스 강판을 접착시 본드와 같은 접착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조리과정에서 인체에 유해한 접착제 성분이 용기에 담긴 음식물에 배어드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대한민국특허 제 1489800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인덕션 조리용기로의 사용 및 재사용이 가능하면서도 조리과정에서 접착성분이 음식물에 전혀 배어들지 않아 음식물을 안심하고 조리하여 섭취할 수 있도록 한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제1종이층과, 상기 제1종이층 내측면에 열가소성 수지로 코팅 또는 라미네이팅된 제1열가소성수지층을 포함하는 외주체; 상기 외주체의 하측과 접착되고 바닥면을 이루는 제2종이층과, 상기 제2종이층에 열가소성 수지로 코팅 또는 라미네이팅 된 제2 열가소성 수지층을 포함하는 바닥체; 그리고 고주파 유도 가열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열가소성수지층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끼워지는 알루미늄용기체; 를 포함한다.
상기 알루미늄용기체는 상기 외주체와 바닥체의 전면에 밀착되며 결합된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용기체는 상기 외주체의 상단부에 둘레면 단부가 걸림되도록 둘레면을 따라 단턱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알루미늄용기체와 제1종이층은 열 접착성 수지를 통해 접합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는 인덕션 조리용기로의 사용 및 재사용이 반복적으로 가능하면서도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접착성분이 음식물에 전혀 배어들지 않아 음식물을 안심하고 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의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의 작용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의 다른 실시예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의 결합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의 작용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100)는 외주체(10)와 외주체(10)의 선단부에 접착된 바닥체(20)를 통해 구성된 종이용기에 밀착되며 끼움되는 알루미늄용기체(30)를 포함한다.
이때, 외주체(10)에 접착된 바닥체(20)는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바닥체(20)는 외주체(10)에 접착되어 구성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바닥체(20)가 생략될 경우 알루미늄용기체(30)의 배치 위치가 외주체(10)의 바닥면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외주체(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1종이층(12)과 제1종이층(12)의 내측면에 열가소성 수지로 코팅 또는 라미네이팅된 제1열가소성수지층(14)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제1종이층(12)은 매끈한 표면을 갖는 형태 예를 들어 종이컵과 같은 표면을 갖는 소재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엠보가 표면에 형성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소재를 채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1종이층(12)의 내측면에 코팅된 제1열가소성수지(14)는 제1종이층(12)으로 수분이 흡수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코팅 또는 라미네이팅 된다.
여기서, 외주체(10)에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단부에 손잡이를 별도로 구성하여 파지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외주체(10)의 선단부에는 외주체(10)의 하측과 접착되고 바닥면을 이루는 바닥체(20)가 결합된다.
바닥체(20)는 제2종이층(22)과 제2종이층(22)에 열가소성 수지로 코팅 또는 라미네이팅 된 제2열가소성수지(24)로 구성된다.
따라서, 외주체(10)에 바닥체(20)가 결합되면, 내부에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종이용기가 제조된다.
이와 같이 외주체(10)와 바닥체(20)의 결합을 통해 종이용기가 구성되면, 알루미늄용기체(30)가 종이용기에 끼워지게 된다.
이때, 알루미늄용기체(30)가 종이용기에 결합될 때에는 알루미늄용기체(30)가 끼워진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제1종이층(12)의 내벽면에 열접착성 수지가 선택적으로 도포될 수 있다.
또한 바닥체(20)의 상면 즉 외주체(10)의 내측을 향하는 면에도 열접착성 수지가 도포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알루미늄용기체(30)는 외주체(10)의 내면과 밀착되도록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구성되거나 알루미늄용기체(30)의 내경보다 소정크기 작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알루미늄용기체(30)는 외주체(10)의 내측면을 모두 가리도록 구성되거나 일부만을 가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알루미늄용기체(30)의 높이는 음식물이 담겨지는 종류에 따라 그 길이가 달라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알루미늄용기체(30)에 물과 같은 음료가 수용될 경우 외주체(10)의 길이와 동일하게 구성하여 바닥체(20)와 밀착될 정도의 길이로 구성할 수 있으며, 반대로 알루미늄용기체(30)에 음료가 아닌 보온을 목적으로 장시간 방지하면서 섭취해야 하는 음식물일 경우 외주체(10)의 길이보다 짧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용기체(30)의 둘레면 단부에는 외주체(10)의 상단부에 걸림되도록 단턱(21)이나 커링(미부호)이 형성되어 있다. 단턱(32)이나 커링은 외주체(10)에 결합되는 알루미늄용기체(30)가 일정깊이 삽입된 후 더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조절하기 위한 용도 및 외주체(10)에 결합된 알루미늄용기체(30)를 외주체(10)에서 쉽게 꺼낼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알루미늄용기체(30)의 높이가 외주체(10)의 내벽면 중간 정도의 크기를 유지할 경우에도 단턱(21)이나 커링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외주체(10)에 담겨진 음식물이 가열되는 과정에서 외주체(10)의 열팽창계수보다 알루미늄용기체(30)의 열팽창계수가 더 크기 때문에 알루미늄용기체(30)의 단턱이나 커링부위가 외주체(10)의 내벽면에 걸림되면서 고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100)는 알루미늄용기체(30)를 종이용기에 삽입한 후 조리할 음식을 담는다.
이때, 조리할 음식의 종류에 따라 알루미늄용기체(30)의 길이를 선별한 후 종이용기에 끼운다.
종이용기에 알루미늄용기체(30)가 끼워진 후에는 인덕션 레인지(200)에 올려놓는다. 인덕션 레인지(200)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인덕션 레인지(200)는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여 금속물체를 가열시키는 방법인 유도가열(Induction Heating) 원리를 적용시킨 조리용 가열기구이다.
인덕션 레인지(200)는 히팅부인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교류자기장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자기장 범위에 피가열체인 조리용기가 있게 되면 투자율이 큰 조리용기 쪽으로 교류자기장이 집중하게 되며, 패러데이의 유도 법칙에 따라 조리용기에 와전류를 형성하게 되고 이 와전류와 조리용기의 저항 때문에 줄열이 발생하여 음식이 조리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이후, 인덕션 레인지의 컨트롤부(미부호)를 조작한다. 컨트롤부의 조작으로 교류자기장이 형성되면, 자기장 범위에 위치한 알루미늄용기체(30)에 교류자기장이 집중되면서 알루미늄용기체(30)를 가열하기 시작한다.
여기서, 본 고안의 가장 큰 기술적 특징은 알루미늄용기체(30)의 규격이 종래 공개된 조리용기보다 확장된 면적을 가지면서도 접착성 수지 등이 알루미늄용기체(30)의 내부로 노출되지 않아 유해물질들이 조리되는 음식물에 혼합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즉, 알루미늄용기체(30)의 가열을 통해 알루미늄용기체(30) 자체의 온도가 상승하더라도, 종이용기 내부에 도포된 접착성 수지에서 발생되는 유해물질들이 알루미늄용기체(30)의 내부로 침투되지 못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안심하고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음식물의 조리와 섭취가 모두 완료된 후에는 알루미늄용기체(30)만을 종이용기와 분리한 후 세척하고 재사용이 가능한 장점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100)는 일회용으로 사용하고 버려질 수 있는 조리용기를 반복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식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유해물질들로부터 완벽히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의 다른 실시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종이용기의 외주체(10)의 내면으로 복수개 또는 띠형으로 돌출된 스톱돌기(16)가 형성되고, 알루미늄용기체(30)가 종이용기의 하부에 끼워진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렇게 알루미늄용기체(30)가 바닥체(20)에 밀착된 후 그 상단부가 스톱돌기(16)에 의해 걸림되도록 구성하게 되면, 음식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알루미늄용기체(30)가 부력 및 열원에 의해 상승하게 되는 것을 스톱돌기(16)를 통해 제한하게 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배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알루미늄용기체(30)에는 종이용기의 바닥면으로 물이 유입되어 바닥체(20)가 열에 의해 타지 않도록 복수개의 통공(미도시)이 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지만 알루미늄용기체(30)가 음식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므로 필요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외주체
12: 제1종이층
14: 제1열가소성수지층
20: 바닥체
22: 제2종이층
24: 제2열가소성수지층
30: 알루미늄용기체
32: 단턱
100: 조리용기
200: 인덕션레인지

Claims (8)

  1. 제1종이층과, 상기 제1종이층 내측면에 열가소성 수지로 코팅 또는 라미네이팅된 제1열가소성수지층을 포함하는 외주체;
    상기 외주체의 하측과 접착되고 바닥면을 이루는 제2종이층과, 상기 제2종이층에 열가소성 수지로 코팅 또는 라미네이팅 된 제2열가소성수지층을 포함하는 바닥체; 그리고
    고주파 유도 가열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열가소성수지층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끼워지는 알루미늄용기체; 를 포함하는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용기체는 상기 외주체와 바닥체의 전면에 밀착되며 결합된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용기체는 상기 외주체의 상단부에 둘레면 단부가 걸림되도록 둘레면을 따라 단턱이 형성된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용기체와 제1종이층은 열 접착성 수지를 통해 접합된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체의 내면에는 알루미늄용기체의 상단부가 걸림되도록 스톱돌기가 형성된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용기체에는 복수개의 통공이 천공된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용기체의 상단부에는 커링이 구성된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8. 제1종이층과, 상기 제1종이층 내측면에 열가소성 수지로 코팅 또는 라미네이팅된 제1열가소성수지층을 포함하는 외주체;
    고주파 유도 가열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열가소성수지층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끼워지는 알루미늄용기체; 를 포함하는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KR2020160000012U 2015-11-26 2016-01-04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KR20170001961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722 2015-11-26
KR20150007722 2015-11-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961U true KR20170001961U (ko) 2017-06-05

Family

ID=59100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012U KR20170001961U (ko) 2015-11-26 2016-01-04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196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6591A (ko) * 2018-08-07 2020-02-17 주식회사 현성오토텍 물 흡수기능을 갖는 가열용 종이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800B1 (ko) 2013-07-25 2015-02-04 주식회사 캔 인덕션 렌인지용 일회용 조리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800B1 (ko) 2013-07-25 2015-02-04 주식회사 캔 인덕션 렌인지용 일회용 조리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6591A (ko) * 2018-08-07 2020-02-17 주식회사 현성오토텍 물 흡수기능을 갖는 가열용 종이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9800B1 (ko) 인덕션 렌인지용 일회용 조리용기
JP2018510006A (ja) 調理容器識別システムを装備した調理管理器具
CN103126516A (zh) 一种烹饪装置
KR20120030119A (ko) 조리구이판이 이동되는 조리용기
JP2015142703A (ja) Ih調理器用発熱シート及びih調理器用加熱調理セット
KR20160053860A (ko) 유도가열 조리가 가능한 종이용기
JP5155637B2 (ja) 誘導加熱容器
KR20170001961U (ko)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JP5138468B2 (ja) 誘導加熱発熱体及び誘導加熱容器
KR20160015556A (ko) 인덕션 조리기용 가열판
WO2008096667A1 (ja) 誘導加熱調理容器
JP2008110168A (ja) 誘導加熱調理容器
JP2014036811A (ja) 調理器具
JP4807151B2 (ja) 誘導加熱調理容器
JP3173592U (ja) 調理器具
KR102025857B1 (ko) 가열용 종이용기
KR101743950B1 (ko) 인덕션렌지와 전자렌지 겸용 일회용기
CN205560885U (zh) 一种烤涮一体灶
KR20190001848U (ko) 인덕션렌지용 다용도 구이판 세트
KR20030055129A (ko) 토기 요리용 전자 조리 장치 및 전자 조리기용 토기
KR101406492B1 (ko) 조리용기
JP5388793B2 (ja) 加熱調理用シート、加熱調理用容器及び加熱調理用セット
JP2009034336A (ja) 誘導加熱容器
JP2005174705A (ja) 加熱調理器
JP4453917B2 (ja) レトルト食品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