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9047A - 드럼통 캐리어 - Google Patents

드럼통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9047A
KR20160149047A KR1020150086028A KR20150086028A KR20160149047A KR 20160149047 A KR20160149047 A KR 20160149047A KR 1020150086028 A KR1020150086028 A KR 1020150086028A KR 20150086028 A KR20150086028 A KR 20150086028A KR 20160149047 A KR20160149047 A KR 20160149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plate
drum
vertical
coupl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6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학현
이석기
Original Assignee
이학현
이석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학현, 이석기 filed Critical 이학현
Priority to KR1020150086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9047A/ko
Publication of KR20160149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90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parallel up-and-down movement of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3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endless chains or belt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2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드럼통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접이식 리프트의 구성 및 2중 3중의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을 통해 도로교통법에 저촉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보다 많은 량의 드럼통을 적재하여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고, 부족한 인력 문제를 개선하면서 드럼통의 하역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 및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드럼통의 운반과 하역에 따른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으면서 드럼 캐리어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드럼통의 하역 작업과 운반시 안전을 최우선으로 실시할 수 있는 드럼통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드럼통 캐리어{DRUM CARRIER APPARATUS}
본 발명은 드럼통의 하역(荷役)과 운반에 사용하기 위한 드럼통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성을 구비한 접이식 리프트의 구성 및 적재대가 결합되어 함께 구비되는 새로운 구성을 가지며 드럼통의 하역 작업과 운반시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기 위한 드럼통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럼통은 유류나 약품 등의 액체를 담아 보관하거나 운송하는데 사용하는 용기로서, 산업현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드럼통은 내용물이 담긴 상태에 차량을 통한 운반을 수행하기도 하나, 빈 드럼통을 사용처로 공급하기 위해 차량 운반하기도 한다.
특히, 빈 드럼통은 수입에 어려움이 있어 국내에서 자체 생산 및 소비하는 품목으로서, 물류를 통해 사용처로 운반 공급하게 되는데, 안전 운반이 요구된다고 한다.
이와 같은, 드럼통은 일정의 크기 및 부피를 갖는 것으로서, 거리가 있는 사용처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차량을 이용하여 운반할 수밖에 없는데, 종래에는 하역 작업을 통해 차량의 화물칸에 드럼통을 적재하고 밧줄이나 로프를 이용하여 화물칸으로부터 이탈이나 낙하되지 않도록 드럼통을 고정한 상태에 차량을 운행하여 운반하고 있다.
하지만, 차량을 이용한 운반 중에 차량의 움직임이나 진동에 의해 밧줄이나 로프가 느슨해지거나 풀려 화물칸에 적재된 드럼통이 밖으로 떨어져 나가는 등 위험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드럼통의 하역 작업은 대부분이 작업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진행되는데, 상하차 등의 하역시 드럼통에 스크래치가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드럼통의 하역 작업에 따른 드럼통의 취급에 작업자들의 어려움이 커서 인력이 부족한 상태에 있으며, 빗길이나 눈길에는 그 어려움이 더욱 배가된다고 한다.
즉, 드럼통의 취급 및 운반을 위한 하역 작업에서부터 능률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안전사고가 발생되기도 한다.
덧붙여, 차량의 화물칸에는 도로교통법에 저촉되지 않는 높이로 드럼통을 적재하게 되는데, 많은 량을 적재하지 못하므로 차량을 추가적으로 확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물류비의 지출이 과다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드럼통의 취급 및 운반에 사용하기 위한 드럼통 캐리어가 개발 및 제안되고 있으나, 대부분이 핸드카 형태를 갖는 드럼통 캐리어를 많이 제안하고 있는 실정에 있으며, 드럼통의 안전한 하역 작업과 더불어 안전한 운반까지 고려한 구성은 쉽게 찾아볼 수가 없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32027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안전성을 구비한 접이식 리프트의 구성 및 적재대가 결합되어 함께 구비되는 새로운 구성을 가지며 드럼통의 하역 작업과 운반시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기 위한 드럼통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화물칸에 장착하거나 공장 등에 비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 드럼통의 운반에 따른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안전성과 내구성 및 사용 편의성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한 드럼통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2중 3중의 다중 안전장치를 구비할 수 있도록 하고, 드럼통의 하역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며, 드럼통의 운반과 하역에 따른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한 드럼통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드럼통의 하역과 운반시 스크래치 발생 및 훼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도로교통법에 저촉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보다 많은 량의 드럼통을 적재하여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며, 부족한 인력 문제를 개선함과 더불어 물류비의 과다지출을 막을 수 있도록 한 드럼통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드럼통 캐리어는, 일정 거리를 유지한 채로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수직지지대(10); 상기 각 수직지지대(10)의 내측에 결합된 수직레일(20); 상기 각 수직레일(20)을 타고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하이동블록(30); 상기 각 상하이동블록(30)에 선단부 양측면이 각각 힌지 결합되어 회동(回動; pivot) 가능하게 배치되며, 수직상태로 접거나 수평상태로 펼칠 수 있도록 한 승강작업판(40); 상기 승강작업판(40)의 반대쪽에 위치하여 한쌍의 수직지지대(10)에 결합되고, 다층 다열의 구분된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져 다층 다열의 드럼통 적재공간을 형성시킨 적재대(50); 상기 적재대(50)의 하측에 위치하여 좌우 폭방향으로 수평 배치 및 모터(100)의 동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도록 결합되는 승강유도용 회전구동축(60); 상기 승강유도용 회전구동축(60)의 양단에 체결되는 구동축용 스프로킷(70); 상기 각 수직지지대(10)의 측부 상단과 하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스프로킷(82) 및 하부 스프로킷(84); 상기 각 수직지지대(10) 측에 위치하되, 일단이 상하이동블록(30)의 일측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부 스프로킷(82)과 구동축용 스프로킷(70) 및 하부 스프로킷(84)을 경유하여 상하이동블록(30)의 타측면에 연결되는 승강유도체인(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상하이동블록(30)의 측면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승강작업판(40)의 선단부 측면에 결합되며, 완충작용을 통해 상기 승강작업판(40)을 접고 펼칠 때 용이함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면서 승강작업판(40)의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한 완충기(shock absorber)(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상하이동블록(30)의 측면 상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승강작업판(40)의 후단부 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승강작업판(40)을 수평으로 펼쳤을 때 승강작업판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여줄 수 있도록 한 사이드 지지로프(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승강작업판(40)을 수직상태로 접어 배치 및 차량 이동시 승강작업판(40)의 하부를 떠받쳐 지지함은 물론 승강작업판의 하중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승강유도체인(90)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샤프트(130);를 포함하되, 상기 잠금샤프트(130)는, 상기 적재대(50)의 하측 후단부에 고정 결합되고 전후 길이방향으로 수평 배치되며, 선단부 상면에 직선개구(132a)가 형성되고 상기 직선개구(132a)의 선단 및 후단에 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걸림개구(132b)를 갖는 잠금몸통(132); 상기 잠금몸통(132) 내에 삽입 배치되어 인입과 인출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승강작업판(40)을 수직상태로 접어 배치시 후방으로 인출하여 승강작업판(40)을 떠받쳐 지지하도록 한 지지대(134); 상기 지지대(134)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돌출 배치되며, 상기 지지대(134)의 인입 또는 인출을 조정함과 더불어 잠금을 수행하기 위한 위치조정 및 잠금용 손잡이(1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승강작업판(40)의 선단면에는 볼캐스터(140)를 체결하되, 상기 적재대(50)의 프레임 측에 접촉 지지되게 함으로써 수평상태의 승강작업판(40)을 승강 조정시 수직 이동의 용이함과 더불어 승강작업판(40)의 흔들림을 방지토록 하며; 상기 적재대(50)에는 합성수지재 레일(150)을 장착하여 적재대(50) 내에 드럼통을 이동 배치할 시 드럼통의 스크래치 및 훼손을 방지하면서 매끄러운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이식 리프트의 구성 및 2중 3중의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을 통해 도로교통법에 저촉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보다 많은 량의 드럼통을 적재하여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고, 부족한 인력 문제를 개선하면서 드럼통의 하역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 및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드럼통의 운반과 하역에 따른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고 드럼 캐리어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드럼통의 하역 작업과 운반시 안전을 최우선으로 할 수 있고, 안전성과 내구성 및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차량의 화물칸에 장착하여 사용하거나 공장 등에 비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드럼통의 하역과 운반시 스크래치 및 제품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통 캐리어를 나타낸 일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통 캐리어를 나타낸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통 캐리어를 나타낸 개략적 정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통 캐리어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제작품 사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통 캐리어를 차량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통 캐리어는 빈 드럼통을 대량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용이한 하역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로서, 특히 차량의 화물칸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새로운 개념의 드럼통 운반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캐리어는 도 1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 거리를 유지한 채로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수직지지대(10)와, 상기 각 수직지지대(10)의 내측에 결합된 수직레일(20)과, 상기 각 수직레일(20)을 타고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하이동블록(30)과, 상기 각 상하이동블록(30)에 선단부 양측면이 각각 힌지 결합되어 회동(回動; pivot) 가능하게 배치되며 수직상태로 접거나 수평상태로 펼칠 수 있도록 한 승강작업판(40)과, 상기 승강작업판(40)의 반대쪽에 위치하여 한쌍의 수직지지대(10)에 결합되고 다층 다열의 구분된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져 다층 다열의 드럼통 적재공간을 형성시킨 적재대(50)와, 상기 적재대(50)의 하측에 위치하여 좌우 폭방향으로 수평 배치 및 모터(100)의 동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도록 결합되는 승강유도용 회전구동축(60)과, 상기 승강유도용 회전구동축(60)의 양단에 체결되는 구동축용 스프로킷(70)과, 상기 각 수직지지대(10)의 측부 상단과 하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스프로킷(82) 및 하부 스프로킷(84)과, 상기 각 수직지지대(10) 측에 위치하되, 일단이 상하이동블록(30)의 일측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부 스프로킷(82)과 구동축용 스프로킷(70) 및 하부 스프로킷(84)을 경유하여 상하이동블록(30)의 타측면에 연결되는 승강유도체인(90)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지지대(10)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통 캐리어를 화물차량에 설치시 화물칸의 후방 바깥쪽에 위치 및 하단이 지면에 닿지 않도록 설치하며, 공장 등에 비치시에는 하단이 지면에 닿도록 설치하여 드럼통 캐리어를 지탱하는 지지체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지지대(10)는 기본적으로 승강작업판(40)을 안정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지지 구조체가 된다.
상기 수직레일(20)은 상기 수직지지대(10)의 길이에 대응하게 설치되며, 상기 승강작업판(40)에 대해 수직지지대(10)의 하부에서 상부까지 승강을 유도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수직레일(20)은 상하방향으로의 직선 이동을 유도하는 LM(Linear Motion) 레일이 된다.
상기 상하이동블록(30)은 상기 수직레일(20) 측에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되는 일정 길이를 갖는 장방형의 블록체로서, 상기 승강작업판(40)의 승강을 유도하는 매개체가 된다.
즉, 상기 상하이동블록(30)은 상하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되는 LM(Linear Motion) 블록이 된다.
상기 승강작업판(40)은 힌지를 기준으로 적재대(50) 측을 향하여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서, 수직으로 접은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고, 수평으로 펼친 상태에서도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승강작업판(40)은 수직으로 접은 상태를 통해 적재대(50)의 입출구 부분을 커버하는 커버부재로서 기능하게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을 통한 드럼통의 운반시 안전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작업판(40)은 수평으로 펼친 상태를 통해 적재대(50)로 드럼통(1)을 적재하거나 또는 그 반대의 작업을 수행하는 등 하역시 드럼통과 함께 작업자를 실어나르는 승강용 리프트로서 기능하게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하차 등 드럼통(1)의 용이한 하역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적재대(50)는 프레임을 이용하여 다층 다열로 드럼통 적재공간을 다수 형성시킨 것으로서, 빈 드럼통(1)의 하역작업시 용이함을 발휘 및 보다 많은 량의 드럼통을 저장할 수 있도록 드럼통(1)을 눕힌 상태로 저장할 수 있는 구조로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적재대(50)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통 캐리어를 차량의 화물칸에 설치시 화물칸에 위치되는 부분이며, 상기 적재대(50)는 내부에 저장 및 적재되는 드럼통(1)이 쉽게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적재대(50)는 상기 수직지지대(10)와의 결합을 위해 연결 프레임이나 브래킷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적재대(50)에는 합성수지재 레일(150)을 장착하여 적재대(50) 내에 드럼통(1)을 이동시켜 저장하거나 하차할 시 드럼통의 스크래치 및 훼손을 방지함은 물론 매끄러운 이동을 가능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합성수지재 레일(150)은 유연하면서 내마모성이 있는 폴리에틸렌(PE) 소재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유도용 회전구동축(60)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통 캐리어를 차량에 설치시 화물칸의 후방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구비하여 화물칸과의 저촉됨 없이 회전 구동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모터(100)는 차량 화물칸의 바닥면에 고정 배치하되 차량의 배터리를 동력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축용 스프로킷(70)을 비롯하여 상기 상부 스프로킷(82) 및 하부 스프로킷(84)은 상기 수직지지대(10)와 적재대(50)에 결합시킨 브래킷 등을 이용하여 안정된 구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승강유도체인(90)은 상기 승강이동블록(30)을 움직여 상기 승강작업판(40)이 적정 위치에 있도록 승강 처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안정된 구동 및 원활한 동작을 위해 다수의 보조 스프로킷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하이동블록(30)의 측면에 일단을 결합하고 타단을 상기 승강작업판(40)의 선단부 측면에 결합하는 완충기(shock absorber)(110)를 포함시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완충기(110)를 통해서는 완충작용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승강작업판(40)을 접고 펼칠 때 용이함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면서 승강작업판(40)을 승강 처리시 흔들림을 방지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승강작업판(40)을 작업자가 접거나 펼칠 때 급작스런 움직임을 방지하여주므로 장치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하이동블록(30)의 측면 상부에 일단을 결합하고 타단을 상기 승강작업판(40)의 후단부 측면에 결합하는 사이드 지지로프(120)를 포함시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사이드 지지로프(120)를 통해서는 상기 승강작업판(40)을 수평으로 펼쳤을 때 승강작업판(40)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여줄 수 있으며, 상기 승강작업판(40)을 이용한 안정된 하역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승강작업판(40)을 수직상태로 접어 배치한 후 차량 이동시 승강작업판(40)의 하부를 떠받쳐 지지함은 물론 승강작업판(40)의 하중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승강유도체인(90)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잠금샤프트(130)를 포함시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잠금샤프트(130)는 상기 적재대(50)의 하측 후단부에 고정 결합되고 전후 길이방향으로 수평 배치되며 선단부 상면에 직선개구(132a)가 형성되고 상기 직선개구(132a)의 선단 및 후단에 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걸림개구(132b)를 갖는 잠금몸통(132)과, 상기 잠금몸통(132) 내에 삽입 배치되어 인입과 인출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승강작업판(40)을 수직상태로 접어 배치시 후방으로 인출하여 승강작업판(40)을 떠받쳐 지지하도록 한 지지대(134)와, 상기 지지대(134)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돌출 배치되며 상기 지지대(134)의 인입 또는 인출을 조정함과 더불어 잠금을 수행하기 위한 위치조정 및 잠금용 손잡이(136)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작업판(40)의 선단면에는 볼캐스터(140)를 체결하되, 상기 적재대(50)의 프레임 측에 접촉시켜 지지되게 함으로써 드럼통(1)의 하역을 위해 승강작업판(40)을 수평상태로 하여 승강 조정시 수직 이동의 용이함과 더불어 승강작업판(4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작업판(40)의 후단부에는 후단부 외곽 둘레를 커버 및 접철식 구조로 구비되며, 상기 승강작업판(40) 위에 있는 작업자 및 드럼통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폴딩 안전판(160)을 포함시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폴딩 안전판(160)은 후판(161)과 측판(162)으로 구성하되, 상기 후판(161)은 상기 승강작업판(40)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측판(162)은 상기 후판(161)의 양끝단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승강작업판(40)의 상면 외곽에는 후판잠금부(163)를 두어 상기 폴딩 안전판(160)을 세워 사용할 시 상기 후판(161)을 잠금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폴딩 안전판(160)은 접철식 구조를 통해 비사용시 접어서 비치할 수 있고, 하역 작업시 세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작업판(40)의 하면에는 안전잠금부(170)를 장착하여 차량 이동시 승강작업판(40)이 뒤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완충재(180)를 장착하여 승강작업판(40)을 수평상태로 하여 하역 작업시 지면과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지지대(1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터치리미트를 장착함으로써 상측방향과 하측방향에 대한 위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드럼통 캐리어에 있어서는 작업자가 승강작업판(40)을 접어 수직상태로 배치하거나 또는 수직상태의 승강작업판(40)을 펼쳐 수평상태로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드럼통(1)의 상차를 위해서는 승강작업판(40)을 펼쳐 수평상태로 사용하면 되며, 승강작업판(40)의 상면에 드럼통(1)을 실은 상태에 모터(100)를 작동시킴으로써 승강유도체인(90)을 구동하여 승강작업판(40)의 위치를 상승 조정하면서 드럼통(1)을 적재대(50)로 옮겨 저장 및 적재 처리하면 된다.
수평상태의 승강작업판(40)을 승강 작동시켜 드럼통(1)을 적재대(50)에 적재 처리한 후에는 승강작업판(40)을 하측으로 이동 배치한 다음에 수직상태로 접고, 다시 승강 조정하여 적재대(50)를 커버하도록 한다.
이렇게 적재대(50)를 승강작업판(40)으로 커버토록 한 상태에 잠금샤프트(130)로 승강작업판(40)의 하부를 떠받쳐 지지하도록 하고, 안전잠금부(170)를 통해 승강작업판(40)이 뒤로 쳐지지 않도록 잠금한 다음에 차량을 운행하면 되며, 대량의 드럼통(1)을 안전하면서도 훼손없이 공급처로 운반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드럼통(1)의 하차를 위해서는 역시 승강작업판(40)을 펼쳐 수평상태로 사용하면 되며, 승강작업판(40)의 상면으로 적재대(50)에 있는 드럼통(1)을 옮긴 후 모터(100)를 작동시킴으로써 승강유도체인(90)을 구동하여 승강작업판(40)을 하강 조정하고, 지면으로 옮기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접이식 리프트의 구성 및 2중 3중의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을 통해 도로교통법에 저촉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보다 많은 량의 드럼통을 적재하여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고, 부족한 인력 문제를 개선하면서 드럼통의 하역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 및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드럼통의 운반과 하역에 따른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고 드럼 캐리어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수직지지대 20: 수직레일
30: 상하이동블록 40: 승강작업판
50: 적재대 60: 승강유도용 회전구동축
70: 구동축용 스프로킷 82: 상부 스프로킷
84: 하부 스프로킷 90: 승강유도체인
100: 모터 110: 완충기
120: 사이드 지지로프 130: 잠금샤프트
140: 볼캐스터 150: 합성수지재 레일
160: 폴딩 안전판 170: 안전잠금부
180: 완충재

Claims (5)

  1. 일정 거리를 유지한 채로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수직지지대(10);
    상기 각 수직지지대(10)의 내측에 결합된 수직레일(20);
    상기 각 수직레일(20)을 타고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하이동블록(30);
    상기 각 상하이동블록(30)에 선단부 양측면이 각각 힌지 결합되어 회동(回動; pivot) 가능하게 배치되며, 수직상태로 접거나 수평상태로 펼칠 수 있도록 한 승강작업판(40);
    상기 승강작업판(40)의 반대쪽에 위치하여 한쌍의 수직지지대(10)에 결합되고, 다층 다열의 구분된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져 다층 다열의 드럼통 적재공간을 형성시킨 적재대(50);
    상기 적재대(50)의 하측에 위치하여 좌우 폭방향으로 수평 배치 및 모터(100)의 동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도록 결합되는 승강유도용 회전구동축(60);
    상기 승강유도용 회전구동축(60)의 양단에 체결되는 구동축용 스프로킷(70);
    상기 각 수직지지대(10)의 측부 상단과 하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스프로킷(82) 및 하부 스프로킷(84);
    상기 각 수직지지대(10) 측에 위치하되, 일단이 상하이동블록(30)의 일측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부 스프로킷(82)과 구동축용 스프로킷(70) 및 하부 스프로킷(84)을 경유하여 상하이동블록(30)의 타측면에 연결되는 승강유도체인(9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통 캐리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블록(30)의 측면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승강작업판(40)의 선단부 측면에 결합되며, 완충작용을 통해 상기 승강작업판(40)을 접고 펼칠 때 용이함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면서 승강작업판(40)의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한 완충기(shock absorber)(1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통 캐리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블록(30)의 측면 상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승강작업판(40)의 후단부 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승강작업판(40)을 수평으로 펼쳤을 때 승강작업판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여줄 수 있도록 한 사이드 지지로프(1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통 캐리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작업판(40)을 수직상태로 접어 배치 및 차량 이동시 승강작업판(40)의 하부를 떠받쳐 지지함은 물론 승강작업판의 하중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승강유도체인(90)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샤프트(130); 를 포함하되,
    상기 잠금샤프트(130)는,
    상기 적재대(50)의 하측 후단부에 고정 결합되고 전후 길이방향으로 수평 배치되며, 선단부 상면에 직선개구(132a)가 형성되고 상기 직선개구(132a)의 선단 및 후단에 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걸림개구(132b)를 갖는 잠금몸통(132);
    상기 잠금몸통(132) 내에 삽입 배치되어 인입과 인출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승강작업판(40)을 수직상태로 접어 배치시 후방으로 인출하여 승강작업판(40)을 떠받쳐 지지하도록 한 지지대(134);
    상기 지지대(134)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돌출 배치되며, 상기 지지대(134)의 인입 또는 인출을 조정함과 더불어 잠금을 수행하기 위한 위치조정 및 잠금용 손잡이(13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통 캐리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작업판(40)의 선단면에는 볼캐스터(140)를 체결하되, 상기 적재대(50)의 프레임 측에 접촉 지지되게 함으로써 수평상태의 승강작업판(40)을 승강 조정시 수직 이동의 용이함과 더불어 승강작업판(40)의 흔들림을 방지토록 하며;
    상기 적재대(50)에는 합성수지재 레일(150)을 장착하여 적재대(50) 내에 드럼통을 이동 배치할 시 드럼통의 스크래치 및 훼손을 방지하면서 매끄러운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통 캐리어.
KR1020150086028A 2015-06-17 2015-06-17 드럼통 캐리어 KR201601490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028A KR20160149047A (ko) 2015-06-17 2015-06-17 드럼통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028A KR20160149047A (ko) 2015-06-17 2015-06-17 드럼통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047A true KR20160149047A (ko) 2016-12-27

Family

ID=57737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6028A KR20160149047A (ko) 2015-06-17 2015-06-17 드럼통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904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9872A1 (ko) * 2017-01-26 2018-08-02 오옥남 양봉 콘테이너
KR102278827B1 (ko) * 2021-03-15 2021-07-20 경성 디.에스 주식회사 드럼 스토리지 적재시스템
KR102348284B1 (ko) * 2021-07-01 2022-01-07 경성 디.에스 주식회사 경사이동 드럼 스토리지 적재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2027A (ko) 2012-05-25 2013-12-04 현대엔지니어링(주) 드럼회전부가 구비된 전동드럼리프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2027A (ko) 2012-05-25 2013-12-04 현대엔지니어링(주) 드럼회전부가 구비된 전동드럼리프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9872A1 (ko) * 2017-01-26 2018-08-02 오옥남 양봉 콘테이너
US11096379B2 (en) 2017-01-26 2021-08-24 Oknam OH Beekeeping container
KR102278827B1 (ko) * 2021-03-15 2021-07-20 경성 디.에스 주식회사 드럼 스토리지 적재시스템
KR102348284B1 (ko) * 2021-07-01 2022-01-07 경성 디.에스 주식회사 경사이동 드럼 스토리지 적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120202A (ja) 貨物用上段ラックおよび貨物用下段ラック
KR20160149047A (ko) 드럼통 캐리어
CN104875659A (zh) 用于卡车升降机安装的货物舱的闩锁/锁定系统
US20070031231A1 (en) Gas cylinder lift
KR101569874B1 (ko) 접이식지게차 및 지게차적재대가 구비된 화물차
JP2009107759A (ja) 移動式リフタ−における荷物段積装置
KR100994615B1 (ko) 적재가 용이한 접이식 수동리프트
EP3038951A1 (en) An item transfer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item transfer device
KR101147375B1 (ko) 화물 운반용 스케이트
JPH05294412A (ja) 回転ラック装置
JP2009173115A (ja) 荷受台昇降装置
CN111516764A (zh) 竖直自顶升的可分离防爆货箱与易燃易爆危险品运输系统
KR100961711B1 (ko) 팔레트 출하 시스템
JP5219175B1 (ja) 荷物運搬用台車の中の荷物を取り出すための装置
CN113602839B (zh) 一种可用于装车与卸车的水泥装卸设备
CN202642541U (zh) 自卸式集装箱
CN211593419U (zh) 一种卸货运输装置
JP7189833B2 (ja) 車両用荷室のスライド脱着構造
CN113929018A (zh) 一种可调节高度的电动搬运车
JP7217139B2 (ja) 荷物の搬送装置
JP4364549B2 (ja) コンテナ運搬車両
CN214494981U (zh) 一种可移动物流卸货机
JP2016022869A (ja) テールゲートリフタ装置
KR101605480B1 (ko)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CN212738307U (zh) 竖直自顶升的可分离防爆货箱与易燃易爆危险品运输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