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4615B1 - 적재가 용이한 접이식 수동리프트 - Google Patents

적재가 용이한 접이식 수동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4615B1
KR100994615B1 KR1020100068327A KR20100068327A KR100994615B1 KR 100994615 B1 KR100994615 B1 KR 100994615B1 KR 1020100068327 A KR1020100068327 A KR 1020100068327A KR 20100068327 A KR20100068327 A KR 20100068327A KR 100994615 B1 KR100994615 B1 KR 100994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fork body
vertical frame
loading box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8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태현
이두현
Original Assignee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68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46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4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4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63Fork-lift trucks adapted to be carried by transport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2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ongitudinally mov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재가 용이한 접이식 수동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써, 수직프레임의 높이가 차량의 적재함의 폭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되고, 포크몸체로부터 인출되는 인출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가 본 수동리프트를 혼자서 간편하게 트럭 등의 차량의 적재함에 한번에 실어 멀리 있는 작업장소까지 보다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상기 수동리프트를 트럭 등의 차량의 적재함에 실은 후 재차 상기 수직프레임을 밀어 방향을 회전시킬 필요가 없음은 물론 상기 수동리프트를 트럭 등의 차량의 적재함에 실는 과정 중에 상기 수직프레임은 물론 포크부가 적재함으로부터 미끄러져 바닥으로 떨어져 파손되거나 사용자가 부상을 입을 우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적재가 용이한 접이식 수동리프트{FOLDABLE A LIFT}
본 발명은 수직프레임의 높이가 차량의 적재함의 폭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되고, 포크몸체로부터 인출되는 인출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가 본 수동리프트를 혼자서 간편하게 트럭 등의 차량의 적재함에 한번에 실어 멀리 있는 작업장소까지 보다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상기 수동리프트를 트럭 등의 차량의 적재함에 실은 후 재차 상기 수직프레임을 밀어 방향을 회전시킬 필요가 없음은 물론 상기 수동리프트를 트럭 등의 차량의 적재함에 실는 과정 중에 상기 수직프레임은 물론 포크부가 적재함으로부터 미끄러져 바닥으로 떨어져 파손되거나 사용자가 부상을 입을 우려가 없는 적재가 용이한 접이식 수동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크리프트(Forklift)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한 한쌍의 포크(Fork)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적재시킨 상태에서 임의의 높이로 리프트시켜 운송할 수 있도록 한 장치를 의미한다.
포크리프트는 엔진 및 모터를 이용하여 이동 및 포크를 승강시키는 자동포크리프트와, 사용자가 수동으로 이동 및 포크를 승강시키는 수동 포크리프트로 크게 구분된다.
자동 포크리프트의 경우 작업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으나, 장거리 운행이 곤란하여 멀리있는 작업현장으로 이동하여 작업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나, 수동 포크리프트의 경우 작업성이 좋지 못하는 반면에 자동 포크리프트에 비하여 무게 및 부피가 작아 트럭 등의 적재함에 실어 옮길 수 있는 등 이동성이 좋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보다 간편하게 트럭 등의 적재함에 실어 옮길 수 있도록 접철식 수동리프트가 일본 특개 제2004-010260호, 일본 특개 제2004-315145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제10-095493호로 제안된 바 있다.
일본 특개 제2004-010260호 등으로 제안된 수동리프트의 경우 수동리프트를 접어 트럭 등의 적재함에 용이하게 실을 수는 있으나, 수동리프트의 무게, 트럭의 높이 및 적재함의 폭 등의 제한으로 사용자 혼자서 제안된 수동리프트를 적재함에 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수동리프트를 트럭 등의 적재함에 실어 올리는 방법은 1) 수동리프트를 들어올린 상태로 적재함에 실는 방법, 2) 수동리프트를 접은 상태에서 수직프레임의 상부가 적재함에 닿도록 기울인 상태에서 수직프레임의 하부를 들어 밀어올리는 방법이 있다.
두가지 방법 중 첫번째 방법은 수동리프트가 강철 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사용자 혼자서 적재함에 들어올리기 곤란한 문제가 있고, 두번째 방법은 수직프레임의 길이가 적재함의 폭보다 길어 적재함에 실은 후 재차 수직프레임을 밀어 방향을 회전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수직프레임의 길이가 적재함의 폭과 동일하거나 작은 경우 적재함의 높이 때문에 수직프레임을 적재함으로 기울일 경우 적재함에 닿는 부분이 높기 때문에 밀어올릴 때 수직프레임이 적재함으로부터 미끄러져 바닥으로 떨어져 수동리프트가 파손되거나 사용자가 부상을 입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수직프레임의 높이가 차량의 적재함의 폭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되고, 포크몸체로부터 인출되는 인출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가 본 수동리프트를 혼자서 간편하게 트럭 등의 차량의 적재함에 한번에 실어 멀리 있는 작업장소까지 보다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상기 수동리프트를 트럭 등의 차량의 적재함에 실은 후 재차 상기 수직프레임을 밀어 방향을 회전시킬 필요가 없음은 물론 상기 수동리프트를 트럭 등의 차량의 적재함에 실는 과정 중에 상기 수직프레임은 물론 포크부가 적재함으로부터 미끄러져 바닥으로 떨어져 파손되거나 사용자가 부상을 입을 우려가 없는 적재가 용이한 접이식 수동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바퀴가 구비되는 하부프레임과; 하단부가 상기 하부프레임에 축고정되고, 높이가 차량의 적재함 폭과 동일하거나 차량의 적재함의 폭보다 작은 장방형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포크부와; 상기 포크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포크부는 상기 수직프레임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승강대와; 상부가 상기 승강대의 양측부에 각각 고정되는 포크지지대와; 상기 포크지지대의 하단부에 후단부가 축고정되는 포크몸체와; 상기 포크몸체로부터 전측으로 인출되고, 선단부에 하향경사지는 경사판부가 구비되는 인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포크지지대의 하단부의 일측부 및 타측부에 각각 전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일측 연장판 및 타측 연장판이 구비되고, 상기 일측 연장판 및 타측 연장판 사이에 축이 설치되고, 상기 포크몸체의 일측부 및 타측부에는 상기 축이 삽입되는 길이방향의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출부재가 상기 포크몸체로부터 인출된 상태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인출부재가 상기 포크몸체에 인입된 상태로 상기 인출부재를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수직프레임의 높이가 차량의 적재함의 폭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되고, 포크몸체로부터 인출되는 인출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가 본 수동리프트를 혼자서 간편하게 트럭 등의 차량의 적재함에 한번에 실어 멀리 있는 작업장소까지 보다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상기 수동리프트를 트럭 등의 차량의 적재함에 실은 후 재차 상기 수직프레임을 밀어 방향을 회전시킬 필요가 없음은 물론 상기 수동리프트를 트럭 등의 차량의 적재함에 실는 과정 중에 상기 수직프레임은 물론 포크부가 적재함으로부터 미끄러져 바닥으로 떨어져 파손되거나 사용자가 부상을 입을 우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수동리프트를 트럭 등의 차량의 적재함에 실는 과정 중에 상기 포크몸체가 상기 포크몸체의 일측부 및 타측부에 형성된 가이드슬릿을 따라 전후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폭이 좁은 트럭 등의 차량의 적재함에도 상기 수동리프트를 보다 용이하게 적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인출부재가 상기 포크몸체로부터 인출된 상태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이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인출부재가 상기 포크몸체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트럭 등의 차량의 적재함에 상기 수동리프트를 보다 용이하게 실을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수동리프트를 트럭 등의 차량의 적재함에 실는 과정 중에 상기 수직프레임은 물론 상기 포크부가 적재함으로부터 미끄러져 바닥으로 떨어져 파손되거나 사용자가 부상을 입을 우려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인출부재를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인출부재가 상기 포크몸체내에 인입된 상태로 보다 용이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적재가 용이한 접이식 수동리프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포크몸체내로 인출부재가 인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포크몸체의 내부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포크몸체내에서 인출부재가 인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포크몸체의 내부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 내지 도 12는 본 수동리프트를 트럭 등 차량의 적재함에 실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적재가 용이한 접이식 수동리프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적재가 용이한 접이식 수동리프트(이하 '수동리프트'라 한다.)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전후측부에 각각 이동바퀴(110, 120)가 축결합된 상태로 구비되는 하부프레임(10)과; 하단부가 상기 하부프레임(10)의 후측부에 축고정되고, 높이(도 6의 h)가 트럭 등의 차량(도 6 내지 도 12의 90)의 적재함(도 6 내지 도 12의 910)의 좌우폭(도 6의 w)과 동일하거나 트럭 등의 차량(90)의 적재함(910)의 좌우폭(w)보다 작은 장방형의 수직프레임(30)과; 상기 수직프레임(30)을 따라 상하이동(도 1의 Z축 참조.)하는 포크부(50)와; 상기 포크부(50)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프레임(10)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수직프레임(30)방향으로 상하회전이동하여 접혀질 수 있고,
특히, 상기 하부프레임(10)은 고정부(11)에 의해 상기 하부프레임(10)방향으로 상하회전이동하여 접혀진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도 9 및 도 10 참조.)
상기 고정부(11)는 상기 하부프레임(10)의 하단부 일측부 및 타측부에 전후방향(도 1의 Y축 참조.)으로 각각 수평구비되고, 전측부에 고정공(111)이 형성되는 고정판(110)과;
상기 수직프레임(30)의 하단부 전방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10)의 후측부 상부면에 각각 좌우방향(도 1의 X축 참조.)으로 수평구비되고 내부에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미도시)가 구비되는 몸체(131)와, 상기 몸체(131)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판(110)의 고정공(111)에 삽입되는 고정핀(133)으로 구성되는 고정부재(1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10), 수직프레임(30), 포크부(50), 승강부재(70) 및 고정부(11)는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포크몸체(530)내로 인출부재(540)가 인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포크몸체(530)의 내부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포크몸체(530)내에서 인출부재(540)가 인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포크몸체(530)의 내부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단, 상기 포크부(50)는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승강대(510), 포크지지대(520), 포크몸체(530) 및 인출부재(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강대(510)는 상기 승강부재(70)에 의해 상기 수직프레임(30)을 따라 상하이동(도 1, 도 2 및 도 4의 Z축 참조.)한다.
상기 승강대(510)의 상측 내부에는 고정축(511)이 좌우방향(도 1의 X축 참조.)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축(511)의 양단부는 상기 승강대(510)의 양측부에 각각 축고정될 수 있다.
상기 포크지지대(520)의 상부는 상기 승강대(510)의 상측 내부에 좌우방향(도 1의 X축 참조.)으로 수평구비되는 상기 고정축(511)의 양측부에 각각 축고정될 수 있다.
상기 포크몸체(530)의 후단부는 상기 포크지지대(520)의 하단부에 축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인출부재(540)는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포크몸체(530)로부터 전측방향(도 3 내지 도 5의 Y축 참조.)으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인출부재(540)의 선단부에는 상측에서 하측방향(도 3 내지 도 5의 Z축 참조.)으로 갈수록 상기 포크몸체(530)의 전방방향(도 3 내지 도 5의 Y축 참조.)으로 하향경사지는 경사판부(542)가 구비된다.
상기 경사판부(542)로 인해 상기 포크몸체(530)의 상부면으로 운반하고자 하는 무게가 무거운 대상물이 보다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포크지지대(520)의 일측부 및 타측부에 각각 일측 연장판(525a) 및 타측 연장판(525b)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연장판(525a) 및 타측 연장판(525b)의 하단부는 상기 포크지지대(520)의 전측방향(도 1 및 도 2의 Y축 참조.)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연장판(525a) 및 타측 연장판(525b) 사이에는 좌우방향(도 1의 X축 참조.)으로 축(527)이 수평설치될 수 있다.
상기 포크몸체(530)의 일측부 및 타측부에는 상기 축(527)이 삽입되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슬릿(53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슬릿(535)은 상기 포크몸체(530)를 따라 길이방향 즉, 전후방향(도 1의 Y축 참조.)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될 수 있다.
본 수동리프트를 사용자가 트럭 등의 차량(90)의 적재함(910)에 실는 과정 중에 상기 포크몸체(530)가 상기 포크몸체(530)의 일측부 및 타측부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슬릿(535)을 따라 전후이동(도 11 및 도 12 참조.)할 수 있기 때문에 좌우폭(w)이 좁은 트럭 등의 차량(90)의 적재함(910)에도 상기 수동리프트를 보다 용이하게 적재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인출부재(540)가 상기 포크몸체(530)로부터 인출된 상태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55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포크몸체(530)의 전측부 내부 중심부에는 전후방향(도 3의 Y축 참조.)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수평판(533)이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판(533)의 전측부는 상기 수평판(533)의 하부방향(도 3의 Z축 참조.)으로 일정길이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인출부재(540)의 후측부는 상기 인출부재(540)의 하부방향(도 3의 Z축 참조.)으로 일정길이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550)의 전측부는 상기 수평판(533)의 전측부에 연결고정되고, 상기 스프링(550)의 후측부는 상기 인출부재(540)의 후측부에 연결고정될 수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술할 고정부재(560)에 의해 상기 인출부재(540)는 상기 포크몸체(530)내에 인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스프링(550)은 팽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560)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면, 팽창된 상태의 상기 스프링(550)은 수축되고, 이때 상기 인출부재(540)는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550)의 수축력에 의해 상기 포크몸체(530)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인출부재(540)가 상기 포크몸체(530)로부터 인출된 상태로 탄성지지하는 상기 스프링(550)이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인출부재(540)가 상기 포크몸체(530)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트럭 등의 차량(90)의 적재함(910)에 상기 수동리프트를 보다 용이하게 실을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수동리프트를 트럭 등의 차량(90)의 적재함(910)에 실는 과정 중에 상기 수직프레임(30)은 물론 상기 포크부(50)가 적재함(910)으로부터 미끄러져 바닥으로 떨어져 파손되거나 사용자가 부상을 입을 우려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인출부재(540)가 상기 포크몸체(530)에 인입된 상태로 상기 인출부재(540)를 위치고정시키는 상기 고정부재(5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560)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수평판(533)에 수직으로 나사결합되어 상기 포크몸체(530)내에 인입된 상태인 상기 인출부재(540)의 하부면과 접하여 상기 인출부재(540)의 상부면을 상기 포크몸체(530)의 상측 내주면에 밀착시키는 고정볼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인출부재(540)를 위치고정시키는 상기 고정부재(560)에 의해 상기 인출부재(540)가 상기 포크몸체(530)내에 인입된 상태로 보다 용이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6 내지 도 12는 본 수동리프트를 트럭 등의 차량(90)의 적재함(910에 실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수동리프트를 트럭 등의 차량(90)의 적재함(910)에 실는 고정을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1) 사용자는 상기 승강부재(70)를 사용하여 상기 포크부(50)를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트럭 등의 차량(90)의 적재함(910)보다 높은 위치로 상승시킨다.
2) 이상태에서 사용자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포크몸체(530)와 상기 승강대(510)가 평행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포크몸체(530)를 상기 승강대(510) 방향으로 회전이동시켜 상기 포크몸체(530)를 접을 수 있다.
3) 상기 포크몸체(530)를 상기 승강대(510) 방향으로 회전이동시켜 상기 포크몸체(530)를 접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고정부재(560)의 고정상태를 해제하여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포크몸체(530)내에서 상기 인출부재(540)가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4) 상기 포크몸체(530)로부터 상기 인출부재(540)가 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포크몸체(530)를 트럭 등의 차량(90)의 적재함(910)일측 방향으로 회전이동시켜 상기 인출부재(540)를 트럭 등의 차량(90)의 적재함(910)의 일측에 사선(/)방향으로 경사지게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특히 상기 하부프레임(10)의 후측부에 축결합된 상태로 구비되는 이동바퀴(120)가 정역회전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수동리프트를 트럭 등의 차량(90)의 적재함(910)에 실는 과정 중에 상기 하부프레임(1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상기 하부프레임(10)의 후측부에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하부프레임(10)의 후측부에 축결합된 상태로 구비되는 상기 이동바퀴(120)의 회전을 단속하는 공지된 브레이크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5) 사용자에 의해 상기 인출부재(540)가 트럭 등의 차량(90)의 적재함(910)일측에 안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프레임(10)과 상기 수직프레임(30)이 평행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하부프레임(10)을 상기 수직프레임(30)방향으로 회전이동시켜 상기 하부프레임(10)을 접을 수 있다.
6) 이 후 사용자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30)과 하부프레임(10)을 트럭 등의 차량(90)의 적재함(910)에 밀어올릴 수 있다.
7) 사용자는 상기 수직프레임(30)과 하부프레임(10)을 트럭 등의 차량(90)의 적재함(910)에 밀어올린 후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90)의 적재함(910)의 좌우폭(w)에 맞게 상기 수직프레임(30)과 하부프레임(10)을 차량(90)의 적재함(910) 타측방향으로 다시 한번 밀게 된다.
이때, 상기 포크몸체(530)는 상기 가이드슬릿(535)을 따라 전후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인출부재(540)는 상기 포크몸체(53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으며, 상기 포크몸체(530)의 내부로 인입된 상기 인출부재(540)는 상기 고정부재(560)에 의해 상기 포크몸체(530)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수직프레임(30)의 높이(h)가 트럭 등의 차량(90)의 적재함(910)의 좌우폭(w)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되고, 상기 포크몸체(530)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인출부재(540)가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가 본 수동리프트를 혼자서 간편하게 트럭 등의 차량(90)의 적재함에 한번에 실어 멀리 있는 작업장소까지 보다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상기 수동리프트를 트럭 등의 차량(90)의 적재함(910)에 실은 후 재차 상기 수직프레임(30)을 밀어 방향을 회전시킬 필요가 없음은 물론 상기 수동리프트를 트럭 등의 차량(90)의 적재함(910)에 실는 과정 중에 상기 수직프레임(30)은 물론 상기 포크부(50)가 상기 적재함(910)으로부터 미끄러져 바닥으로 떨어져 파손되거나 사용자가 부상을 입을 우려가 없는 이점이 있다.
10; 하부프레임, 30; 수직프레임,
50; 포크부, 70; 승강부재.

Claims (4)

  1. 이동바퀴(110, 120)가 구비되는 하부프레임(10)과; 하단부가 상기 하부프레임(10)에 축고정되고, 높이가 차량(90)의 적재함(910) 폭과 동일하거나 차량(90)의 적재함(910)의 폭보다 작은 장방형의 수직프레임(30)과; 상기 수직프레임(30)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포크부(50)와; 상기 포크부(50)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포크부(50)는 상기 수직프레임(30)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승강대(510)와; 상부가 상기 승강대(510)의 양측부에 각각 고정되는 포크지지대(520)와; 상기 포크지지대(520)의 하단부에 후단부가 축고정되는 포크몸체(530)와; 상기 포크몸체(530)로부터 전측으로 인출되고, 선단부에 하향경사지는 경사판부(542)가 구비되는 인출부재(5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포크지지대(520)의 하단부의 일측부 및 타측부에 각각 전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일측 연장판(525a) 및 타측 연장판(525b)이 구비되고, 상기 일측 연장판(525a) 및 타측 연장판(525b) 사이에 축(527)이 설치되고, 상기 포크몸체(530)의 일측부 및 타측부에는 상기 축(527)이 삽입되는 길이방향의 가이드슬릿(53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가 용이한 접이식 수동 리프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재(540)가 상기 포크몸체(530)로부터 인출된 상태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55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수동 리프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재(540)가 상기 포크몸체(530)에 인입된 상태로 상기 인출부재(540)를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부재(5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수동 리프트.
  4. 삭제
KR1020100068327A 2010-07-15 2010-07-15 적재가 용이한 접이식 수동리프트 KR100994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327A KR100994615B1 (ko) 2010-07-15 2010-07-15 적재가 용이한 접이식 수동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327A KR100994615B1 (ko) 2010-07-15 2010-07-15 적재가 용이한 접이식 수동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4615B1 true KR100994615B1 (ko) 2010-11-15

Family

ID=43409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8327A KR100994615B1 (ko) 2010-07-15 2010-07-15 적재가 용이한 접이식 수동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461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531B1 (ko) * 2010-12-21 2013-0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적재물 반출입장치
CN105084246A (zh) * 2015-05-08 2015-11-25 福建安麟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遥控升降平台
CN105540486A (zh) * 2016-01-28 2016-05-04 苏州市职业大学 一种可手控升降折叠式货运车
GB2568820A (en) * 2017-11-06 2019-05-29 Anthony Jackson Mark Load handling apparatus
CN110683489A (zh) * 2019-12-11 2020-01-14 山东工力机械有限公司 车载货物装卸搬运装置
NL2025778B1 (en) * 2020-06-08 2022-01-28 Matador Exploitatie B V Collapsible lift and transport car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10556A (en) 1978-02-17 1979-08-30 Raadogebendo Buyuuroo Aiaaru K Fork lift truck
JP2004010260A (ja) * 2002-06-06 2004-01-15 Ysm Corporation:Kk 手動式ポータブル・フォークリフ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10556A (en) 1978-02-17 1979-08-30 Raadogebendo Buyuuroo Aiaaru K Fork lift truck
JP2004010260A (ja) * 2002-06-06 2004-01-15 Ysm Corporation:Kk 手動式ポータブル・フォークリフト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531B1 (ko) * 2010-12-21 2013-0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적재물 반출입장치
CN105084246A (zh) * 2015-05-08 2015-11-25 福建安麟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遥控升降平台
CN105540486A (zh) * 2016-01-28 2016-05-04 苏州市职业大学 一种可手控升降折叠式货运车
GB2568820A (en) * 2017-11-06 2019-05-29 Anthony Jackson Mark Load handling apparatus
GB2568820B (en) * 2017-11-06 2022-12-14 Anthony Jackson Mark Load handling apparatus
CN110683489A (zh) * 2019-12-11 2020-01-14 山东工力机械有限公司 车载货物装卸搬运装置
NL2025778B1 (en) * 2020-06-08 2022-01-28 Matador Exploitatie B V Collapsible lift and transport car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4615B1 (ko) 적재가 용이한 접이식 수동리프트
US9896264B2 (en) Freight rack
US9458000B2 (en) Pallet truck adapter
RU2346873C2 (ru) Грузовой стеллаж
US7338248B2 (en) Battery changing system for an industrial truck
US7500683B2 (en) Filing cabinet dolly
JP3213796U (ja) スロープ付荷役作業ステージ
KR101626934B1 (ko) 승강식 운반 대차
CN108438954B (zh) 一种无动力托盘推送装置及应用其装卸车的方法
KR20170060256A (ko) 셀프 승강 리프트
JP2014148310A (ja) 貨物用ラック
JP6664626B2 (ja) タイヤ運搬台車
WO2008038048A1 (en) Storing and tipping apparatus
CN110435520A (zh) 一种载物运输平台及车辆
KR101650889B1 (ko) 지게차 적재장치가 구비된 화물차
CN112079295A (zh) 可上车式电动堆高机
JP5554854B1 (ja) 折りたたみ荷物積み台
CN211810743U (zh) 一种适用大纸箱的托盘
KR20140110339A (ko) 지게차의 안전바 장치
JP2005145364A (ja) 荷役車両
EP3208175A1 (en) Pallet truck with retractable side-loading system
CN216889974U (zh) 一种随车自升降叉车
JP4364549B2 (ja) コンテナ運搬車両
CN219524581U (zh) 一种货架托盘
JPH0858461A (ja) 滑動荷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