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8756A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8756A
KR20160148756A KR1020150084956A KR20150084956A KR20160148756A KR 20160148756 A KR20160148756 A KR 20160148756A KR 1020150084956 A KR1020150084956 A KR 1020150084956A KR 20150084956 A KR20150084956 A KR 20150084956A KR 20160148756 A KR20160148756 A KR 20160148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temperature
mode
vehicle
windowp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4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5490B1 (ko
Inventor
김정균
김성현
김주훈
이동원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4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490B1/ko
Publication of KR20160148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8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the detection of humidity or fro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2001/00814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실내의 냉방 중, 공기의 토출모드가 창유리측 방향으로 전환될 시에, 창유리부분으로의 "냉풍 토출"로 인한 차실외측부분의 "창유리 김서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실내의 토출공기온도를 제어하는 템프 도어(Temp. Door)와, 차실내의 공기토출모드를 제어하는 모드도어(Mode Door)들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차실내의 냉방조건에서 창유리부분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모드가 선택될 시에, 창유리부분으로 토출되는 공기온도에 따라 템프 도어를 제어하여 창유리부분으로 토출되는 공기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실내의 냉방 중, 공기의 토출모드가 창유리측 방향으로 전환될 시에, 창유리부분으로의 "냉풍 토출"로 인한 차실외측부분의 "창유리 김서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차실내를 냉,난방하는 공조장치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케이스(10)를 구비하며, 공조케이스(10)에는 토출 공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템프 도어(Temp. Door)(12)와, 공기의 토출방향을 제어하는 모드도어(Mode Door)(20)들이 설치된다.
템프 도어(12)는, 냉풍통로(12a)와 온풍통로(12b)의 분기점에 설치되며, 냉풍통로(12a)와 온풍통로(12b) 사이에서 회전운동하면서 상기 냉풍통로(12a)와 온풍통로(12b)의 개도량을 조절한다. 따라서, 차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한다.
모드도어(20)들은, 디프 도어(Def. Door)(22)와 벤트 도어(Vent Door)(24)와 플로어 도어(Floor Door)(26)들을 포함한다.
디프 도어(22)는, 디프 모드(Def. Mode) 또는 믹스 모드(Mix Mode)시에 디프 벤트(Def. Vent)(22a)의 개도량을 조절하여 창유리 방향으로 토출되는 냉,온풍량을 조절한다.
벤트 도어(24)는, 벤트 모드(Vent Mode) 또는 바이 레벨 모드(Bi-Level Mode)시에 페이스 벤트(Face Vent)(24a)의 개도량을 조절하여 탑승객의 얼굴 방향으로 토출되는 냉,온풍량을 조절한다.
플로어 도어(26)는, 플로어 모드(Floor Mode) 또는 바이 레벨 모드(Bi-Level Mode)시에 플로어 벤트(Floor Vent)(26a)의 개도량을 조절하여 탑승객의 다리와 실내의 바닥면으로 토출되는 냉,온풍량을 조절한다.
참고로, "벤트 모드"는 증발기(30)와 히터(32)를 통과한 공기를 탑승객의 얼굴방향으로 토출하는 모드이고, "바이 레벨 모드"는 증발기(30)와 히터(32)를 통과한 공기를 탑승객의 얼굴방향과 차실내의 바닥면으로 토출하는 모드이며, "믹스 모드"는 증발기(30)와 히터(32)를 통과한 공기를 창유리와 차실내의 바닥면으로 토출하는 모드이다.
그리고 "디프 모드"는 증발기(30)와 히터(32)를 통과한 공기를 창유리 방향으로 토출하는 모드이며, "플로어 모드"는 증발기(30)와 히터(32)를 통과한 공기를 차실내의 바닥면으로 토출하는 모드이다.
통상적으로, 냉방모드 시에는, "벤트 모드" 또는 "바이 레벨 모드"가 선택된다. 이는, 냉방모드 시에는, 저온의 냉풍이 탑승객의 얼굴부분으로 공급되어야만 차실내의 탑승객이 쾌적함을 느끼기 때문이다.
한편, 디프 도어(22)는, "플로어 모드" 시에도 디프 벤트(22a)를 소정량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공조장치가 "플로어 모드"로 제어되더라도 창유리부분으로 공기가 토출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며, 이로써, 창유리부분의 제습성능을 강화하여 차실내측 창유리의 김서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공조장치는, 냉방모드 시에, "벤트 모드" 또는 "바이 레벨 모드"로 제어되던 모드도어(20)들이, 창유리부분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모드로 갑자기 전환될 경우, 예를 들면, "디프 모드", "믹스 모드", "플로어 모드"로 전환될 경우, 창유리부분으로도 저온의 냉풍이 송풍되기 시작하는데, 이러한 경우, 냉풍이 송풍되는 창유리부분의 온도가 갑작스럽게 하강하면서 이에 대응되는 차실외측 창유리부분에 "김서림 현상"이 발생된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점 때문에 운전자의 시계확보에 지장을 준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 결과, 주행 중 안전운전에 많은 지장을 받는다는 결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차실내의 냉방 중, 공기의 토출모드가 창유리측 방향으로 전환될 시에, 창유리부분으로의 "냉풍 토출"로 인한 차실외측부분의 "창유리 김서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창유리부분으로의 "냉풍 토출"로 인한 차실외측부분의 "창유리 김서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공기토출모드"에 관계없이 차실외측부분의 "창유리 김서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공기토출모드"에 관계없이 운전자에게 보다 유리한 시계(視界)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실내의 토출공기온도를 제어하는 템프 도어(Temp. Door)와, 차실내의 공기토출모드를 제어하는 모드도어(Mode Door)들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차실내의 냉방조건에서 창유리부분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모드가 선택될 시에, 창유리부분으로 토출되는 공기온도에 따라 상기 템프 도어를 제어하여 창유리부분으로 토출되는 공기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차실내의 냉방조건에서 창유리부분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모드가 선택될 시에, 창유리부분으로 토출되는 공기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 이하일 경우, 창유리부분으로 토출되는 공기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상기 템프 도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차실내의 냉방조건에서 창유리부분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모드가 선택될 시에, 창유리부분으로의 토출공기온도가 기준온도 이하이면, 상기 템프 도어를 미리 설정된 개도각 만큼 냉풍통로를 닫는 방향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창유리부분의 토출공기온도가 기준온도를 초과하거나, 또는 차실내가 냉방조건에서 해제되거나, 또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되거나, 또는 공기토출모드가 창유리부분 이외의 토출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템프 도어를 원래의 상태로 복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차실내의 냉방 중, 공기의 토출모드가 창유리측 방향으로 전환될 시에, 창유리부분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높여주는 구조이므로, 창유리부분으로 토출되는 저온의 "냉풍"으로 인한 차실외측부분의 "창유리 김서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창유리부분으로의 "냉풍 토출"로 인한 차실외측부분의 "창유리 김서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차실외측 창유리부분에서의 김서림 발생으로 인한 운전자의 시계확보 어려움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안전운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차량용 공조장치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10)를 구비하며, 공조케이스(10)에는 템프 도어(12)와 모드도어(20)들이 설치된다.
템프 도어(12)는, 냉풍통로(12a)와 온풍통로(12b) 사이에서 회전운동하면서 상기 냉풍통로(12a)와 온풍통로(12b)의 개도량을 조절한다. 따라서, 차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한다.
모드도어(20)들은, 디프 도어(22)와 벤트 도어(24)와 플로어 도어(26)들을 포함한다.
디프 도어(22)는, 디프 모드 또는 믹스 모드 시에 디프 벤트(22a)의 개도량을 조절하여 창유리 방향으로 토출되는 냉,온풍량을 조절한다.
벤트 도어(24)는, 벤트 모드 또는 바이 레벨 모드 시에 페이스 벤트(24a)의 개도량을 조절하여 탑승객의 얼굴 방향으로 토출되는 냉,온풍량을 조절한다.
플로어 도어(26)는, 플로어 모드 또는 바이 레벨 모드 시에 플로어 벤트(26a)의 개도량을 조절하여 탑승객의 다리와 실내의 바닥면으로 토출되는 냉,온풍량을 조절한다.
통상적으로, 디프 도어(22)는, "플로어 모드" 시에도 디프 벤트(22a)를 소정량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공조장치가 "플로어 모드"로 제어되더라도 창유리부분으로 공기가 토출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창유리부분의 제습성능을 강화하여 차실내측 창유리의 김서림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공기의 토출모드 상태를 감지하는 공기토출모드 감지수단(40)을 구비한다.
공기토출모드 감지수단(40)은, 공기토출모드 선택스위치(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된다.
공기토출모드 선택스위치는, 공조장치의 공기토출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로서,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의 공기토출모드를 감지한다. 따라서, 현재의 공기토출모드 상태를 감지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차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토출공기온도 감지수단(50)을 포함한다.
토출공기온도 감지수단(50)은, 창유리측의 디프 벤트(22a)에 설치되는 온도센서(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된다.
이러한 토출공기온도 감지수단(50)의 온도센서는, 차실내로 토출되는 공기, 특히, 창유리측부분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한 다음, 감지된 온도 데이터를 후술하는 제어부(60)에 입력시킨다.
경우에 따라, 토출공기온도 감지수단(50)은, 냉풍통로(12a)에 대한 템프 도어(12)의 개도각을 감지하는 도어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토출공기온도 감지수단(50)의 도어센서는, 냉풍통로(12a)에 대한 템프 도어(12)의 개도각을 감지함으로써, 냉풍통로(12a)의 개도량을 감지하고, 냉풍통로(12a)의 개도량을 감지함으로써, 냉풍통로(12a)를 통해 차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간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게 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제어부(60)를 구비한다.
제어부(6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차실내가 "냉방모드"로 제어중인 상태에서, 공기토출모드 감지수단(40)으로부터 입력된 공기토출모드가 창유리부분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모드이면, 예를 들어, "디프 모드", "믹스 모드", "플로어 모드" 중 어느 하나이면, 토출공기온도 감지수단(50)에서 입력된 토출공기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 이하인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15℃" 이하인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토출공기온도가 "기준온도" 이하이면, 즉, "15℃" 이하이면, 제어부(60)는, 현재 창유리부분으로 냉풍이 토출되는데, 이때, 창유리부분으로 토출되는 냉풍의 온도가 너무 낮아서, 이에 대응되는 차실외측 창유리부분에 "김서림"이 발생될 우려가 매우 많은 것으로 인식한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이 들면, 제어부(60)는, 차실외측 창유리부분의 "김서림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창유리측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이러한 판단에 따라 제어부(60)는, "김서림 방지모드"로 진입하고, "김서림 방지모드"로 진입한 제어부(60)는, 냉풍통로(12a)를 닫는 방향으로 템프 도어(12)를 제어한다.
특히, 템프 도어(12)를 미리 설정된 개도각 만큼, 냉풍통로(12a)를 닫는 방향으로 제어한다.
따라서, 냉풍통로(12a)는 닫쳐지고 온풍통로(12b)는 개방되게 한다. 이로써, 창유리부분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높여준다.
그 결과, 창유리부분으로의 "냉풍 토출"로 인한 차실외측 창유리부분의 "김서림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한다.
이에 따라, 차실외측 창유리부분에서의 김서림 발생으로 인한 운전자의 시계확보 어려움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써, 안전운전에 도움을 준다.
한편, 토출공기온도 감지수단(50)이, 템프 도어(12)의 개도각을 감지하는 도어센서일 경우에는, 토출공기온도 감지수단(50)에서 "토출공기온도 데이터"를 대신하여 템프 도어(12)의 "개도각 데이터"가 출력된다.
따라서, 토출공기온도 감지수단(50)의 감지 데이터를 가지고, 차실내의 "토출공기온도"를 인식해야 하는 제어부(60)는, 토출공기온도 감지수단(50)에서 입력된 템프 도어(12)의 "개도각 데이터"를 "토출공기온도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다.
그 일례로서, 제어부(60)는, "템프 도어 개도각"별 "토출공기온도"가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부(60)는, 토출공기온도 감지수단(50)에서 템프 도어(12)의 "개도각 데이터"가 입력되면, 입력된 템프 도어(12)의 "개도각"에 대응되는 "토출공기온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토출공기온도"를 현재의 "차실내 토출공기온도"로 인식한다.
경우에 따라, 제어부(60)는, 템프 도어(12)의 도어센서로부터 냉풍통로(12a)에 대한 템프 도어(12)의 개도각이 입력되면, 입력된 냉풍통로(12a)에 대한 템프 도어(12)의 개도각이 미리 설정된 "기준개도각" 이상일 시에, 예를 들면, "6/8"이상일 시에, 냉풍통로(12a)의 개도량이 많아서 창유리부분으로 토출되는 공기가 매우 낮은 것으로 인식하고, 이러한 인식에 따라 창유리부분으로 토출되는 공기온도가 "기준온도"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여 템프 도어(12)를 제어한다.
특히, 템프 도어(12)를 미리 설정된 개도각 만큼, 냉풍통로(12a)를 닫는 방향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면, 냉풍통로(12a)에 대한 템프 도어(12)의 개도각이 "5/8"이하로 낮아지도록 제어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60)는, "김서림 방지모드"의 진입 중에, 토출공기온도 감지수단(50)에서 입력된 차실내의 "토출공기온도"가 "기준온도"를 초과하면, "김서림 방지모드"로부터 해제되면서 템프 도어(12)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또한, 제어부(60)는, "김서림 방지모드"의 진입 중에, 차실내가 "냉방모드"에서 해제될 경우에도, "김서림 방지모드"로부터 해제되면서 템프 도어(12)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또한, 제어부(60)는, "김서림 방지모드"의 진입 중에, 공기토출모드가 창유리부분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모드 이외의 다른 모드, 예를 들면, "벤트 모드", "바이 레벨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될 경우에도, "김서림 방지모드"로부터 해제되면서 템프 도어(12)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 밖에도, 제어부(60)는, "김서림 방지모드"의 진입 중에,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될 경우에도, "김서림 방지모드"로부터 해제되면서 템프 도어(12)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의 작동예를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공조장치가 온(ON)된 상태에서(S101), 차실내가 "냉방모드"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103).
판단 결과, "냉방모드"이면, 제어부(60)는, "공기토출모드"가 창유리부분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모드로 선택되었는지를 다시 판단한다(S105). 예를 들면, "디프 모드" 또는 "믹스 모드" 또는 "플로어 모드"로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디프 모드", "믹스 모드", "플로어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었으면, 제어부(60)는, 차실내의 "토출공기온도"가 "기준온도" 이하인지를 다시 판단한다(S107). 예를 들면, "15℃" 이하인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토출공기온도"가 "기준온도" 이하이면, 즉, "15℃" 이하이면, 제어부(60)는, 현재 창유리부분으로 토출되는 냉풍의 온도가 너무 낮아서, 이에 대응되는 차실외측 창유리부분에 "김서림"이 발생될 우려가 매우 많은 것으로 인식한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에 따라 차실외측 창유리부분의 "김서림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창유리측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이러한 판단이 들면, 제어부(60)는, "김서림 방지모드"로 진입하고(S109), "김서림 방지모드"로 진입한 제어부(60)는, 템프 도어(12)를 제어하여 창유리부분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킨다(S111)(도 2참조).
그러면, 창유리부분으로 토출되는 저온의 "냉풍"으로 인한 차실외측 창유리부분의 "김서림 발생"은 원천적으로 방지된다.
이로써, 차실외측 창유리부분에서의 김서림 발생으로 인한 운전자의 시계확보 어려움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김서림 방지모드"의 진입 후에, 제어부(60)는, 차실내의 "토출공기온도"가 "기준온도"를 초과하는지, 또는 차실내가 "냉방모드"에서 해제되는지, 또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되는지, 또는 공기토출모드가 창유리부분 이외의 토출모드로 전환되는지를 다시 판단한다(S113).
판단 결과, 차실내의 "토출공기온도"가 "기준온도"를 초과하거나, 또는 차실내가 "냉방모드"에서 해제되거나, 또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되거나, 또는 공기토출모드가 창유리부분 이외의 토출모드로 전환되면, 제어부(60)는, "김서림 방지모드"로부터 해제된다(S115).
그리고 "김서림 방지모드"에서 해제된 제어부(60)는, 템프 도어(12)를 원래의 상태로 복원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차실내의 냉방 중, 공기의 토출모드가 창유리측 방향으로 전환될 시에, 창유리부분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높여주는 구조이므로, 창유리부분으로 토출되는 저온의 "냉풍"으로 인한 차실외측부분의 "창유리 김서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창유리부분으로의 "냉풍 토출"로 인한 차실외측부분의 "창유리 김서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차실외측 창유리부분에서의 김서림 발생으로 인한 운전자의 시계확보 어려움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안전운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공조케이스(Case) 12: 템프 도어(Temp. Door)
12a: 냉풍통로 12b: 온풍통로
20: 모드도어(Mode Door) 22: 디프 도어(Def. Door)
22a: 디프 벤트(Def. Vent) 24: 벤트 도어(Vent Door)
24a: 페이스 벤트(Face Vent) 26: 플로어 도어(Floor Door)
26a: 플로어 벤트(Floor Vent) 30: 증발기
32: 히터(Heater) 40: 공기토출모드 감지수단
50: 토출공기온도 감지수단 60: 제어부

Claims (6)

  1. 차실내의 토출공기온도를 제어하는 템프 도어(Temp. Door)(12)와, 차실내의 공기토출모드를 제어하는 모드도어(Mode Door)(20)들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차실내의 냉방조건에서 창유리부분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모드가 선택될 시에, 창유리부분으로 토출되는 공기온도에 따라 상기 템프 도어(12)를 제어하여 창유리부분으로 토출되는 공기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60)는,
    차실내의 냉방조건에서 창유리부분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모드가 선택될 시에, 창유리부분으로 토출되는 공기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 이하일 경우, 창유리부분으로 토출되는 공기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상기 템프 도어(12)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60)는,
    창유리측의 디프 벤트(22a)부분에 설치되는 온도센서의 온도 데이터를 통해 창유리부분으로 토출되는 공기온도를 인식하여, 상기 온도센서에서 입력된 온도 데이터가 상기 기준온도 이하일 시에, 상기 템프 도어(12)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60)는,
    냉풍통로(12a)에 대한 상기 템프 도어(12)의 개도각을 통해 창유리부분으로 토출되는 공기온도를 인식하여, 상기 냉풍통로(12a)에 대한 템프 도어(12)의 개도각이 미리 설정된 기준개도각 이상일 시에 창유리부분으로 토출되는 공기온도가 상기 기준온도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템프 도어(12)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60)는,
    차실내의 냉방조건에서 창유리부분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모드가 선택될 시에, 창유리부분으로의 토출공기온도가 기준온도 이하이면, 상기 템프 도어(12)를 미리 설정된 개도각 만큼 냉풍통로(12a)를 닫는 방향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60)는,
    창유리부분의 토출공기온도가 기준온도를 초과하거나, 또는 차실내가 냉방조건에서 해제되거나, 또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되거나, 또는 공기토출모드가 창유리부분 이외의 토출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템프 도어(12)를 원래의 상태로 복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50084956A 2015-06-16 2015-06-16 차량용 공조장치 KR102295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956A KR102295490B1 (ko) 2015-06-16 2015-06-16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956A KR102295490B1 (ko) 2015-06-16 2015-06-16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756A true KR20160148756A (ko) 2016-12-27
KR102295490B1 KR102295490B1 (ko) 2021-09-01

Family

ID=57736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4956A KR102295490B1 (ko) 2015-06-16 2015-06-16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54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3146A (ko) * 2017-02-09 2018-08-2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180102775A (ko) * 2017-03-08 2018-09-1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200077737A (ko) * 2018-12-21 2020-07-0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906U (ja) * 1991-08-29 1993-03-09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エアコンデイシヨナ
KR20110091146A (ko) * 2010-02-05 2011-08-11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템프도어 제어방법
KR20140114585A (ko) * 2013-03-19 2014-09-29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906U (ja) * 1991-08-29 1993-03-09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エアコンデイシヨナ
KR20110091146A (ko) * 2010-02-05 2011-08-11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템프도어 제어방법
KR20140114585A (ko) * 2013-03-19 2014-09-29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3146A (ko) * 2017-02-09 2018-08-2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180102775A (ko) * 2017-03-08 2018-09-1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200077737A (ko) * 2018-12-21 2020-07-0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5490B1 (ko) 202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94978A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제어장치
KR20160148756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7579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63641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60004429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64968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28598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935773B1 (ko) 차량용 제어장치
KR20160013310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98663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64518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12943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30136219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61940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3724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65090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235037B1 (ko) 차량용 공조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427234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디포깅장치
KR101481696B1 (ko) 자동차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20080010545A (ko) 차량용 공조시스템 제어장치
KR20050112278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20160038982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22116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디포깅장치
KR10161987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40034635A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