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7839A -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7839A
KR20160147839A KR1020167031973A KR20167031973A KR20160147839A KR 20160147839 A KR20160147839 A KR 20160147839A KR 1020167031973 A KR1020167031973 A KR 1020167031973A KR 20167031973 A KR20167031973 A KR 20167031973A KR 20160147839 A KR20160147839 A KR 20160147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weight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according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1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1360B1 (ko
Inventor
준이치 사와노보리
춘푸 천
마사오 가나리
Original Assignee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filed Critical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Publication of KR20160147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7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3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30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 C08F220/301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and one oxygen in the alcohol moie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08F222/1006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 C08F222/106Esters of polycondensation macromers
    • C08F222/1065Esters of polycondensation macromers of alcohol terminated (poly)urethanes, e.g. urethane(meth)acr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08L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08L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L75/16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having terminal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5/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an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09J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09J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J159/00 - C09J187/00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6Lenses, e.g. microlenses or Fresnel len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7C7-(meth)acrylate, e.g. heptyl (meth)acrylate or benzyl (meth)acrylate
    • C08F2222/108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2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onding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wafers, chips or semicondu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수지 조성물 및 특히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발연 실리카와 같은 무기 첨가제를 첨가함으로써 접착제 조성물의 틱소트로피 거동을 달성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무기 첨가제의 첨가는 발연 실리카가 고체 입자이므로 상당한 입자 문제를 야기하고, 접착제 조성물의 광학 성능에 영향을 준다. 본 발명에 따르면, 틱소트로피 거동을 갖는 무입자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a) 15000 초과의 분자량을 갖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30 내지 90 중량%, b) 벤젠 고리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2 내지 40 중량%, 및 c) 광개시제 0,2 내지 10 중량%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A LIGHT-CURABLE RESIN COMPOSITION}
본 출원은 수지 조성물, 특히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이것이 터치 패널 조립물용 액체 광학용 투명 첩착제와 같이 광학 조립 적용물에서 상응하는 광학 특성을 갖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액체 광학용 투명 접착제 (LOCA: liquid optically-clear adhesive) 는 커버 렌즈, 플라스틱 또는 기타 광학 재료를 주요 센서 장치에 또는 서로 결합시키기 위해 터치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된 액체-기반 결합 기술이다. 접착제는 장치의 광학적 특성을 개선할 뿐 아니라 다른 속성 예컨대 내구성을 향상시키는데 사용된다.
코팅 동안의 생산성을 위하여 접착제의 낮은 점도가 바람직한 반면, 높은 점도는 더 양호한 적층 결과에 필요하다.
WO 2012/036980 A2 는 틱소트로피 (thixotropic) 거동을 갖는 접착제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틱소트로피는 전단 박화 특성이다. 정적 조건 하에서 걸쭉한 (점성) 특정 겔 및 유체는 흔들리거나, 진탕되거나, 다르게는 응력이 가해질 때 시간에 걸쳐 흐를 것이다 (묽고, 덜 점성이 됨). 이는 이후 보다 점성인 상태로 돌아가는데 고정 시간이 걸린다. 상기 언급된 문헌에 따르면, 접착제 조성물의 틱소트로피 거동은 발연 실리카와 같은 무기 첨가제를 첨가함으로써 달성된다. 그러나, 무기 첨가제의 첨가는 발연 실리카가 고체 입자이기 때문에 상당한 입자 문제를 야기하고, 접착제 조성물의 광학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출원의 목적은 틱소트로피 거동을 갖는 무입자 액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하기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의해 해결된다:
a) 15000 초과의 분자량을 갖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30 내지 90 중량%,
b) 벤젠 고리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2 내지 40 중량%, 및
c) 광개시제 0,2 내지 10 중량%,
여기서 중량에 의한 백분율은 본 발명의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총 중량을 나타냄.
놀랍게도, 상기 언급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발연 실리카와 같은 틱소트로피 개시제의 첨가 없이 틱소트로피 거동을 나타냄이 밝혀졌다. 상기 틱소트로피 작용제의 사용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임의의 입자 문제가 없고 매우 양호한 광학 성능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의 양호한 광학 특성으로 인해, 터치 패널 조립물을 위한 액체 광학용 투명 접착제와 같은 광학 조립 적용물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나타낸다.
(메트)아크릴레이트의 벤젠 고리는 수소 이외에 하나 이상의 치환기(들)/기(들) 을 포함할 수 있다.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는 당업자에 익히 공지되어 있는데, 이는 예를 들어 디이소시아네이트, 바람직하게는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와 히드록시아크릴레이트의 반응에 의해 수득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디이소시아네이트, 바람직하게는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와 히드록시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올의 반응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바람직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는 예를 들어 UVA-002 및 UVA-004 (Osaka Organic Chemical Co., Ltd. 사제) 이다. 기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는데, 단 이의 분자량은 15000 초과이다.
바람직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의 특성은 하기와 같다:
Figure pct00001
벤젠 고리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벤질 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노닐페녹시폴리에틸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비스페놀 A 디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톡시화 비스페놀 A 디메타크릴레이트, 벤질 메타크릴레이트, 1-페닐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페닐에틸 메타크릴레이트, 3-페닐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3-페닐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및 2-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이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서의 벤질 아크릴레이트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특히, 벤젠 고리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하기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본 발명의 조성물은 벤젠 고리를 갖는 하나 이상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함유해야 하는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추가 단량체 예컨대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트리실로데칸 디메탄올 디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추가 단량체는 생성된 경화 조성물의 특성을 미세 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광개시제를 포함한다. 광개시제는 반응을 개시하고 조성물 경화시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여기서 상이한 유형의 광개시제는 상이한 문제 및 이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일부 광개시제는 경화 조성물의 탈색을 야기하는 한편, 다른 것들은 특히 착색 시스템에 특히 매우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페닐글리옥실레이트, α-히드록시케톤, α-아미노케톤, 벤질디메틸케탈, 모노아실포스핀옥사이드, 비스아실포스핀옥사이드, 벤조페논, 옥심에스테르, 티타노센 및 이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광개시제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하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분자량이 15000 초과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40 내지 80 중량%,
b) 벤젠 고리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5 내지 30 중량%,
c) 광개시제 0,5 내지 6 중량%.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하기를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a) 분자량이 15000 초과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45 내지 80 중량%,
b) 벤젠 고리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5 내지 28 중량%,
c) 광개시제 0,5 내지 6 중량%.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하기를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a) 분자량이 15000 초과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0 내지 80 중량%,
b) 벤젠 고리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5 내지 25 중량%,
c) 광개시제 0,5 내지 6 중량%.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0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0 중량% 의 기타 성분 예컨대 소포제, 자외선 광 흡수제, 광안정화제, 실란 커플링제, 항산화제 또는 이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성분과 관련하여, 소포제 (소포제 또는 항발포제) 는 실리콘 및 중합체를 기반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항산화제는 바람직하게는 페놀계, 아민계, 황-기반 항산화제 및 다관능성 항산화제 또는 이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자외선 광 흡수제는 바람직하게는 벤조트리아졸 유형 자외선 광 흡수제, 특히 2-(5-t-부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이다.
본 발명의 추가 양상은 광학 조립물의 결합부를 위한 상기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양상은 터치 패널 센서 조립물을 위한 상기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양상은 커버 렌즈 결합을 위한 상기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양상은 LCD 모듈에 대한 커버 렌즈의 직접 결합을 위한 상기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추가 양상은 베이스 기판 상에 터치 스크린을 고정시키기 위한 액정 디스플레이 상의 상기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고, 여기서 베이스 기판은 바람직하게는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발광 다이오드 (LED) 디스플레이,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및 캐소드 선 튜브 디스플레이로부터 선택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실시예:
하기 표 1 은 빛으로부터 떨어져 균질 혼합물을 수득하기 위해 모든 성분을 혼합함으로써 제조된 4 개의 조성물을 보여준다.
제 1 실시예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모든 본질적 성분, 즉 분자량이 15000 초과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UVA-002 는 20000 의 분자량을 가짐) 30 내지 90 중량% (67,7 중량%), 벤젠 고리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벤질 아크릴레이트) 2 내지 40 중량% (15,0 중량%) 및 광개시제 (TPO 및 Irgacure 184 의 조합) 0,2 내지 10 중량% (총 3,5 중량%) 를 포함한다.
표는 또한 모든 본질적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3 개의 비교 조성물을 포함한다.
표 2 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만이 1,7 의 상당히 향상된 틱소트로피 비율을 나타낸다. 선행기술에 따른 조성물은 모두 1,0 의 틱소트로피 비율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UC203: 5000~8000 의 MW 를 갖는 이소프렌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Kuraray Co. Ltd. 사제
*UT5141: 6000~10000 의 MW 를 갖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Nipon Gosei Co., Ltd. 사제
*UVA002: 20000 의 MW 를 갖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Osaka Organic Chemical Ind., Ltd. 사제
*BYK-008: BYK 사제
*Irganox 1520L, TINUVIN PS, TPO 및 Irgacure: 모두 BASF 사제
점도 및 틱소트로피 비율 (점도의 비율 @ 1 Sec-1 및 10 Sec-1 전단률) 의 경우, HAAKE 유량계를 ASTM D 1084 에 따라 사용했다.
각각 ASTM E 903 및 ASTM D1003 에 따라 UV-Vis 분광계를 사용하여 투과율 및 Y.I (b*) 를 측정했다.
ASTM D 1003 에 따라 헤이즈 검출기에 의해 헤이즈를 측정했다.

Claims (15)

  1. 하기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a) 15000 초과의 분자량을 갖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30 내지 90 중량%,
    b) 벤젠 고리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2 내지 40 중량%, 및
    c) 광개시제 0,2 내지 10 중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인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벤젠 고리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가 벤질 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노닐페녹시폴리에틸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비스페놀 A 디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톡시화 비스페놀 A 디메타크릴레이트, 벤질 메타크릴레이트, 1-페닐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페닐에틸 메타크릴레이트, 3-페닐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3-페닐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및 2-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이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벤젠 고리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가 하기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개시제가 페닐글리옥실레이트, α-히드록시케톤, α-아미노케톤, 벤질디메틸케탈, 모노아실포스핀옥사이드, 비스아실포스핀옥사이드, 벤조페논, 옥심 에스테르, 티타노센 및 이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a) 15000 초과의 분자량을 갖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40 내지 80 중량%,
    b) 벤젠 고리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5 내지 30 중량%,
    c) 광개시제 0,5 내지 6 중량%.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4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이하의 소포제, 자외선 광 흡수제, 광 안정화제, 실란 커플링제, 항산화제 또는 이의 혼합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소포제가 실리콘 및 중합체를 기반으로 하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9. 제 7 항에 있어서, 항산화제가 페놀계, 아민계, 황-기반 항산화제 및 다관능성 항산화제 또는 이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10. 제 7 항에 있어서, 자외선 광 흡수제가 벤조트리아졸 유형 자외선 광 흡수제, 특히 2-(5-t-부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인 광경화성 수지.
  11. 광학 조립물의 결합부를 위한,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용도.
  12. 터치 패널 센서 조립물을 위한,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용도.
  13. 커버 렌즈 결합을 위한,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용도.
  14. LCD 모듈에 대한 커버 렌즈의 직접 결합을 위한,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용도.
  15. 베이스 기판이 바람직하게는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발광 다이오드 (LED) 디스플레이,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및 캐소드 선 튜브 디스플레이로부터 선택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는, 베이스 기판에 터치 스크린을 고정하기 위한 액정 디스플레이 상의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용도.
KR1020167031973A 2014-04-17 2014-04-17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21913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61501 WO2015159442A1 (en) 2014-04-17 2014-04-17 A light-curable resin compos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7839A true KR20160147839A (ko) 2016-12-23
KR102191360B1 KR102191360B1 (ko) 2020-12-15

Family

ID=50842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1973A KR102191360B1 (ko) 2014-04-17 2014-04-17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100236B2 (ko)
EP (1) EP3131972B1 (ko)
JP (1) JP2017511424A (ko)
KR (1) KR102191360B1 (ko)
CN (1) CN106459305B (ko)
ES (1) ES2778873T3 (ko)
PL (1) PL3131972T3 (ko)
TW (1) TWI700303B (ko)
WO (1) WO201515944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9473A1 (en) * 2018-09-28 2020-04-02 Henkel Ag & Co. Kgaa 3d printed par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post processing cleaner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25036B (zh) 2015-06-30 2021-04-21 日商富士軟片股份有限公司 光硬化性組成物、圖案形成方法及元件的製造方法
WO2019045071A1 (ja) * 2017-09-01 2019-03-07 株式会社スリーボンド 光硬化性組成物
CN107955482A (zh) * 2017-12-04 2018-04-24 马晓洁 一种石墨烯基抗菌、耐磨双组份涂料及其制备方法、应用和使用方法
JP2020144563A (ja) * 2019-03-06 2020-09-1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20220024582A (ko) 2019-06-21 2022-03-03 다우 실리콘즈 코포레이션 요변성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을 생성하는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3343A (ja) * 2007-06-11 2008-12-18 Toray Ind Inc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ター並びにディスプレイ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95939A0 (en) 1989-10-20 1991-07-18 Atochem Process for compensating the harmful effects of impurities of n-dichlorophosphoryltrichlorophosphazene and its polycondensation product
WO1996010594A1 (fr) * 1994-09-30 1996-04-11 Zeon Rize Co., Ltd. Composition de materiau pour joint etanche et procede de production d'un joint etanche a partir de cette composition
JP2002060442A (ja) * 2000-08-18 2002-02-26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その用途
JP2008127429A (ja) * 2006-11-17 2008-06-05 Denki Kagaku Kogyo Kk 光硬化性樹脂組成物
WO2009123236A1 (ja) * 2008-03-31 2009-10-08 日立化成ポリマー株式会社 ウレタン(メタ)アクリレート組成物及びシール材
JP5463120B2 (ja) * 2008-10-31 2014-04-09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
SG179299A1 (en) 2010-09-13 2012-04-27 Trimech Technology Pte Ltd A display panel substrate assembly,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forming a display panel substrate assembly
CN102382579A (zh) * 2011-06-21 2012-03-21 烟台德邦科技有限公司 具有高强度且触变性好的丙烯酸酯结构胶及其制备方法
WO2014028024A1 (en) * 2012-08-16 2014-02-2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ctinically curable adhesive composition and bonding method using same
CN103525355B (zh) * 2013-10-16 2015-02-18 烟台德邦科技有限公司 一种液晶电视边框用紫外光固化胶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3343A (ja) * 2007-06-11 2008-12-18 Toray Ind Inc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ター並びにディスプレ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9473A1 (en) * 2018-09-28 2020-04-02 Henkel Ag & Co. Kgaa 3d printed par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post processing clean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778873T3 (es) 2020-08-12
KR102191360B1 (ko) 2020-12-15
EP3131972A1 (en) 2017-02-22
US20170029671A1 (en) 2017-02-02
CN106459305B (zh) 2019-03-15
WO2015159442A1 (en) 2015-10-22
PL3131972T3 (pl) 2020-07-27
JP2017511424A (ja) 2017-04-20
TW201542603A (zh) 2015-11-16
EP3131972B1 (en) 2020-02-19
TWI700303B (zh) 2020-08-01
US10100236B2 (en) 2018-10-16
CN106459305A (zh)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0236B2 (en) Light curable resin composition
KR102269435B1 (ko) 광경화성 액체 광학 투명성 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422016B1 (ko)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 및 광학 라미네이트
JP6556743B2 (ja) 液晶シーリング用の硬化性樹脂組成物
WO2007116625A1 (ja) 硬化性樹脂組成物
TWI625340B (zh) Sclerosing composition
TWI625542B (zh) 用於光學用途的黏著劑組成物
TW201531543A (zh) 光學用紫外線硬化型黏著劑組成物、該硬化層及光學構件
JPWO2015181984A1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
KR20170086514A (ko) 광 경화성 수지 조성물
TW201726876A (zh) 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影像顯示裝置之製造方法
KR102049592B1 (ko)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및 광학 장치
KR20130063938A (ko) 광경화형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14025056A (ja) 光硬化型粘着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光学部材
KR20130086134A (ko) 조성물 및 접착제
WO2016013214A1 (ja) 液晶シール剤、および液晶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US20170190938A1 (en) Seal agent,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WO2018038226A1 (ja) 硬化性樹脂組成物、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15160927A (ja) 硬化性樹脂組成物
JP2013214056A (ja) 液晶滴下工法用シール剤、上下導通材料、及び、液晶表示素子
JP7295689B2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
JP5588197B2 (ja) タッチパネル用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タッチパネル
JP2016210916A (ja) (メタ)アクリル系粘着剤及びタッチパネル用層間充填材料
WO2018038222A1 (ja) 硬化性樹脂組成物、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17122158A (ja) 光硬化性透明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透明樹脂シート、光学部材、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用表示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