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5939A - 작업용 차량의 도어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작업용 차량의 도어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5939A
KR20160145939A KR1020150082324A KR20150082324A KR20160145939A KR 20160145939 A KR20160145939 A KR 20160145939A KR 1020150082324 A KR1020150082324 A KR 1020150082324A KR 20150082324 A KR20150082324 A KR 20150082324A KR 20160145939 A KR20160145939 A KR 20160145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ase
locking
base plate
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2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4637B1 (ko
Inventor
박기성
Original Assignee
박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성 filed Critical 박기성
Priority to KR1020150082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637B1/ko
Publication of KR20160145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5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05B83/42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for large commercial vehicles, e.g. trucks, construction vehicles or vehicles for mass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2Operative connections between handles, sill buttons or lock knobs and the lock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용 차량의 도어에 장착되어 도어의 잠금 및 해제를 위한 록킹장치에 있어서, 작업용 차량의 도어 전면으로 선택되는 영역에 위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결합되는 베이스(20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전단 내측으로 구비되는 록킹부(300)와, 일단은 상기 베이스의 일측으로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하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의 타측으로 결합되어 상기 록킹부의 해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손잡이부(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작업용 차량의 도어 록킹장치를 제공하여 생산 코스트의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도어와 록킹장치간의 결합 작업을 단순화하도록 구성하므로서 록킹장치의 도어 장착 작업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음은 물론, 손잡이부를 잡아당김과 동시에 록킹장치의 록킹부 해제에 따른 연동성을 제공 및 고장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작업용 차량의 도어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작업용 차량의 도어 록킹장치{Door locking device works vehicles}
본 발명은 농업용 또는 건설용 등에 적용되는 중장비 차량의 도어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록킹장치의 베이스 부분이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베이스 전면으로 구비되는 손잡이를 잡아당기게 될 때 상기 손잡이의 선단부측이 베이스의 선단측 부분과 연동 되며 도어의 록킹 상태가 해제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베이스와 손잡이 및 베이스 선단측에 구비되는 록킹부의 전체적 구성이 단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되, 록킹 및 해제의 오작동이 발생 되지 않도록 하는 중장비 차량의 도어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작업용 차량에는, 건설 현장이나 토목 현장 또는 생산 현장 등과 같은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산업용 차량과, 농업 현장 등에서 사용되는 농업용 차량, 임업용 또는 어업용 차량 등이 있다.
건설 현장이나 토목 현장 등에 활용되는 작업용 차량에는 굴착기와 로더 등이 있고, 생산 현장에서 사용되는 작업용 차량으로는 지게차 또는 크레인 등이 있으며, 농업용 차량으로 이앙기 또는 트랙터 등이 있다.
이러한 차량들 도어를 록킹하는 잠금 장치들은 작업에 따른 운행 중, 강한 진동 및 작업 중에도 견고하게 잠금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하게 된다.
상기한 록킹 장치들의 경우 부속품들이 많고, 조립 후 도어의 내측 패널과 외측 패널간을 관통하며 록킹 장치를 결합할 때 록킹 장치의 베이스 부분과 손잡이 부분을 분리한 후 베이스 부분과 도어 패널간을 먼저 결합한 상태에서 베이스와 손잡이를 결합하는 작업을 필요로 하게 되는바, 결합 과정이 번잡한 문제가 있다.
또한 록킹 장치들 중에서는 베이스를 두 부분으로 분할하여 조립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와 같이 베이스를 두 부분으로 분할하는 경우에 손잡이를 이용하여 도어를 여닫는 과정에서 손잡이의 일측단의 힌지부위와 접하는 베이스 부분이 탈거되는 현상이 발생 되어 도어의 록킹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발생 된다.
특허등록 제 10-1482169 호 (2015.01.14 공고)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여 작업용 차량의 도어에 도어 록킹 장치를 비교적 용이하게 결합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고, 또한 손잡이를 이용하여 록킹 장치를 해제하는 과정에서 손잡이와 베이스 부분간의 이탈 현상이 완벽하게 방지되도록 하여 록킹 및 해제의 완벽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용 차량 도어 록킹장치에 수반되는 여러 부속품들을 간소화 하도록 구성하여, 제품의 생산 코스트를 절감시키도록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작업용 차량의 도어에 장착되어 도어의 잠금 및 해제를 위한 록킹장치에 있어서,
작업용 차량의 도어 전면으로 선택되는 영역에 위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결합되는 베이스(20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전단 내측으로 구비되는 록킹부(300)와,
일단은 상기 베이스의 일측으로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하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의 타측으로 결합되어 상기 록킹부의 해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손잡이부(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작업용 차량의 도어 록킹장치를 제공하여 생산 코스트의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도어와 록킹장치간의 결합 작업을 단순화하도록 구성하므로서 록킹장치의 도어 장착 작업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음은 물론, 손잡이부를 잡아당김과 동시에 록킹장치의 록킹부 해제에 따른 연동성을 제공 및 고장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작업용 차량 도어 록킹장치와 도어 내부에 구비되는 도어잠금모듈간의 분리 상태를 도시한 개괄적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서의 작업용 차량 도어 록킹장치를 분해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채택되는 록킹부의 분해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업용 차량 도어 록킹장치를 개괄적으로 단면처리하여 도시한 개괄적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업용 차량 도어 록킹장치에서, 도 4에서와 같이 키뭉치를 이용하여 도어 잠금 상태를 해제한 후 손잡이부를 잡아당겨 도어잠금모듈의 열림편을 푸싱하기 위한 푸시핀이 돌출되는 상태를 개괄적으로 도시한 개괄적 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의 푸시핀의 작동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으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하는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작업용 차량의 도어에 장착되는 록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기본적 구성은 베이스플레이트(100)와 베이스(200) 및 록킹부(300)와 손잡이부(400)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들의 결합에 의한 본 발명의 록킹장치는 먼저 외부에서 결합이 완료된 후에 도어에 장착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기존의 도어 록킹장치에서와 같이 도어의 전면 및 배면에서 각각 결합 작업을 하는 번거로움에서 탈피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는 장방형태를 이루며 외곽을 따라 테두리부(110)를 갖되 상기 테두리부(110) 내측은 상하 개구되는 형태를 갖어 전체적으로 링 형태를 이루게 되고, 베이스플레이트(100) 전후단의 내측으로는 각각 제1요홈(120)과 제2요홈(120)이 대향 형성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테두리부(110)의 상면 주연부를 따라 수직상으로 돌출리브(111)가 형성되고, 상기 제2요홈(120)이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후단측 테두리부(110) 상면 주연부로는 단락되는 요철 형태의 단락돌출리브(1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테두리부(110)에서 측면측 테두리부(100)의 양내측 주연부 상단측으로 각각 수직상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리브(113)가 대향되며 형성된다.
상기한 돌출리브(111) 및 단락돌출리브(112)와 결합리브(113)는 베이스(200)의 저면과 용이하게 결합 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1요홈(120)은 도면에서 보듯이 록킹부(300)가 내합 위치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와 대응되는 제2요홈(130)에는 후술하는 손잡이부(400)의 일단측이 위치되어, 손잡이부(400)를 전방측으로 잡아당길 때 일정각도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부와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베이스플레이트(100)는 도어의 전면 선택영역에 접하여지되, 도어와의 결합 관계는 구성되지 않으며, 후술하게 되는 베이스(200)와 결합되어진 후 본 발명을 이루는 록킹장치의 전체적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도어와 결합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 중 하나인 베이스(200)는 도 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기존과 같이 상호 분리되는 구조에 의한 문제점을 해소하였다.
상기 베이스(200)는 선단측으로 일측이 개구되어 손잡이부(400)의 선단이 내입되는 록킹모듈내합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록킹모듈내합부(210)와 대향되는 베이스(200)의 후단측으로 손잡이부(400)의 후단이 결합되어 힌지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내합부(220)가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베이스(200)의 하단 주연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테두리부(110)의 돌출리브(111) 내측으로 하단부가 끼워지며 상기 단락돌출리브(112) 및 결합리브(113)에 의해 강제끼움방식으로 결합된다.
상기한 록킹모듈내합부(210)는 도 2, 도 4 내지 도 6 에서 보는 것과 같이 사각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베이스(200)의 선단측 상방으로 일체로 돌출 형성되도록 하고 하방은 개구되는 형태를 이루되 록킹모듈내합부(210)의 내측방향은 개구되도록 하여 손잡이부(400)의 선단측이 내입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록킹모듈내합부(210) 내부에는 록킹부(300)가 수용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록킹모듈내합부(210)와 대향되는 베이스(200)의 후단측으로는 전술한 힌지내합부(220)가 구비되는데 힌지내합부(220) 중앙으로는 손잡이부(400)의 후단측 힌지부(410가 내입되면서 결합되기 위한 힌지안내홈(221)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안내홈(221)의 양측방은 개구되고 하방측은 라운드형태를 갖는 가이드부(222)가 형성되어 손잡이부(400)의 후단측의 회동을 가이드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한 록킹부(300)는 베이스(200)의 선단측 록킹모듈내합부(210) 내부에 수납되어져 도어의 온/오프를 위한 잠금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키모듈(310) 및 손잡이부(400)의 작동에 의해 도어를 오픈 시키기 위한 도어오픈모듈(3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키모듈(310)은 도 2, 도 3 및 도 5 에서 보는 것과 같이 작업용 차량의 키이(key)를 꽂아 도어를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것이다.
상기 키모듈(310)의 구성 및 작동관계를 설명하기전에 먼저 도어오픈모듈(320)을 설명한다.
도어오픈모듈(320)은 키모듈(310)에 키이(key)를 꽂아 돌려 도어오픈모듈(320)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한 상태에서, 손잡이부(400)를 전방향으로 잡아당겨질 수 있도록 하여, 도어를 오픈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도어오픈모듈(320)은 도 3 에서 보는 것과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제1요홈(120) 상면측에 고정되는 것으로, 고정플레이트(321)와 상기 고정플레이트(321)에서 손잡이부(400)를 잡아당길 때 연동되어 회동되는 회동부(32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플레이트(321)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기 제1요홈(120)의 중앙과 동일한 위치상에 푸시핀공(322)이 천공되고 푸시핀공(322)의 후방 위치 양측으로 수직가이드(323)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회동부(324)는 상기 수직가이드(323) 사이에 끼워지며 수직가이드(323)를 기점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것으로 중앙에 키모듈(310)의 키뭉치(311)가 끼워지기 위한 키뭉치삽입공(325)이 형성되고 선단으로 누름편(326)이 일체로 연장 형성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푸시핀공(322)으로는 손잡이부(400)를 잡아당길 때 이와 연동하여 회동되는 회동부(324)의 누름편(326)에 의해 누름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되 외주면으로 스프링(328)이 탄지되며 탄성을 부여받는 푸시핀고정봉(327)을 구비하되, 상기 푸시핀고정봉(327)의 내부에는 푸시핀(329)을 내합 고정하여, 상기 손잡이부(400)의 잡아당김 동작에 따라 연동하여 상기 푸시핀고정봉(327)의 전진에 따라 연동 되는 상기 푸시핀(329)의 전진에 의해 이와 접하게 되는 도어잠금모듈(330)의 열림편(331)을 눌러주어 걸쇠(332)를 해제함으로서, 도어를 오픈 가능한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키모듈(310)은 도 2, 도 3 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기 고정플레이트(321)의 중앙부분 양측으로 수직상 일체로 형성되는 수직가이드(323) 사이에 게재되어 차량의 키이(key)를 돌릴 때 손잡이부(400)의 잡아당김 작동이 가능하도록 해제하거나 또는 잠그게 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키모듈(310)은 원통형체를 이루는 키뭉치(311)와 상기 키뭉치(311)의 회전과 연동 되도록 결합 되는 편심회전편(3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편심회전편(312)의 중앙에서 일측으로 편심되는 위치에 사각형태의 연동삽입홈(313)이 천공되고, 상기 연동삽입홈(313)에 삽입되기 위한 결합돌기(314)가 상기 키뭉치(311) 하단 중앙부분에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키모듈(310)에 의해, 키뭉치(311)에 차량 키이(key)를 꽂아 돌리지 않는 상태에서는 편심회전편(312)이 손잡이부(40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되고, 키뭉치(311)에 차량 키이(key)를 꽂아 돌리게 되면 키뭉치(311)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연동되는 편심회전편(312)이 회전되어 손잡이부(400)를 잡고 있던 상태가 해제되어, 손잡이부(400)를 전방향측으로 잡아당기도록 하므로서, 도어의 록킹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구성인 손잡이부(400)는 도 1 및 도 4 내지 도 5 에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다.
즉, 손잡이부(400)에서 일측단은 힌지부(410)를 이루고, 타측단으로는 연장 돌출되는 들림쇠(420)를 형성한다.
상기 힌지부(410)는 록킹모듈내합부(210)의 일측에 구성되는 힌지내합부(220)의 힌지안내홈(221)에 삽입되고, 힌지핀(411)에 의해 힌지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힌지부(410)의 단부 형상은 라운딩 처리되어 힌지내합부(220)의 가이드부(222)에 의해 지지되며 힌지 회동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들림쇠(420)는 도어를 오픈하기전에 차량 키(key)를 키뭉치(311)에 꽂아 오픈 방향으로 돌리기 전에는 키모듈(310)의 편심회전편(312)에 의해 손잡이부(400)를 전면 방향으로 잡아당기더라도 걸려지게 되어 도어를 오픈할 수 없는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 들림쇠(420)를 이용하여 도어를 오픈하기 위해서는 키뭉치(311)가 회전하여, 들림쇠(420)를 간섭하고 있는 편심회전편(312)을 회동시켜 들림쇠(420)의 상하 운동이 자유롭도록 한 상태에서, 손잡이부(400)를 전면 방향으로 잡아 당기게 되면 힌지부(410)를 중심으로 손잡이부(400)는 회동되면서 들림쇠(420)가 상방향으로 회동되어지는데, 이때 들림쇠(420)는 도어오픈모듈(320)의 누름편(326)의 일측단 하단을 들어올리는 작용을 하게 되고 이와 연동되어 누름편(326) 타단은 수직가이드(323)를 중심으로 하방향으로 회동되며 스프링(328)에 의해 탄지되고 있는 푸시핀고정봉(327)를 누르며 푸시핀(329)이 돌출되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의 작용에 의해 푸시핀(329)은 도어잠금모듈(330)의 열림편(331)을 밀게 되고 이어서 열림편(331)과 연동되는 걸쇠(332)의 잠금상태를 해제하여 도어의 오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첨부하는 도면에서 도면부호 B는 볼트를 지칭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도어 록킹장치인 베이스플레이트(100)와 베이스(200) 및 록킹부(300)와 손잡이부(400)를 모두 결합한 상태에서 볼트(B) 또한 결합이 완료된 상태를 이루게 되어 볼트(B)의 머리부분은 베이스(200) 및 도어오픈모듈(320)의 고정플레이트(321)등에 형성되는 다수의 결합공을 통해 걸려지고 볼트(B)의 나사부만 돌출되는 상태에서, 도어 판넬측으로 구비되는 구멍(미도시)을 통하여 장입된 후 도어의 내측에서 너트 등을 이용하여 체결 되도록 하므로서, 도어 록킹장치와 차량 도어간의 체결 작업을 매우 손쉽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인 도어 록킹장치를 이용할 경우, 도어 록킹장치와 도어간 결합 작업이 매우 손쉽고 용이함은 물론이거니와, 손잡이부(400)를 잡아당겼을 때 이와 연동되는 각 구성들의 상호 유기적 결합관계에 의해 작동의 원할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오작동의 발생이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베이스(200)를 일체로 형성하여 베이스(200)가 상호 분리되어 결합 되어 있는 기존의 문제점인 상호 단락 현상을 완벽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베이스플레이트 110; 테두리부
111; 돌출리브 112; 단락돌출리브
113; 결합리부 120; 제1요홈
130; 제2요홈 200; 베이스
210; 록킹모듈내합부 220; 힌지내합부
221; 힌지안내홈 222; 가이드부
300; 록킹부 310; 키모듈
311; 키뭉치 312; 편심회전편
313; 연동삽입홈 314; 결합돌기
320; 도어오픈모듈 321; 고정플레이트
322; 푸시핀공 323; 수직가이드
324; 회동부 325; 키뭉치삽입공
326; 누름편 327; 푸시핀고정봉
328; 스프링 329; 푸시핀
330; 도어잠금모듈 331; 열림편
332; 걸쇠

Claims (11)

  1. 작업용 차량의 도어에 장착되어 도어의 잠금 및 해제를 위한 록킹장치에 있어서,
    작업용 차량의 도어 전면으로 선택되는 영역에 위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결합되는 베이스(20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전단 내측으로 구비되는 록킹부(300)와,
    일단은 상기 베이스의 일측으로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하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의 타측으로 결합되어 상기 록킹부의 해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손잡이부(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차량의 도어 록킹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는 장방형태를 이루며 외곽을 따라 테두리부(110)를 갖되 상기 테두리부(110) 내측은 상하 개구되며 전체적으로 링 형태를 이루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 전후단 내측으로는 각각 제1요홈(120)과 제2요홈(120)이 대향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110)의 상면 주연부를 따라 수직상으로 돌출리브(111)가 형성되고, 상기 제2요홈(120)이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후단측 테두리부(110) 상면 주연부로는 단락되는 요철 형태의 단락돌출리브(112)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테두리부(110)에서 측면측 테두리부(100)의 양내측 주연부 상단측으로 각각 수직상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리브(113)가 대향되며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작업용 차량의 도어 록킹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00)는 선단측으로 일측이 개구되어 손잡이부(400)의 선단이 내입되는 록킹모듈내합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록킹모듈내합부(210)와 대향되는 베이스(200)의 후단측으로 손잡이부(400)의 후단이 결합되어 힌지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내합부(220)가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베이스(200)의 하단 주연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테두리부(110)의 돌출리브(111) 내측으로 하단부가 끼워지며 강제끼움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작업용 차량의 도어 록킹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모듈내합부(210)와 대향되는 베이스(200)의 후단측으로 구비되는 상기 힌지내합부(220) 중앙으로는 손잡이부(400)의 후단측 힌지부(410)가 내입되면서 결합되기 위한 힌지안내홈(221)을 형성하되, 양측방은 개구되고 하방측은 라운드형태를 갖는 가이드부(222)가 형성되어 손잡이부(400)의 후단측의 회동을 가이드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작업용 차량의 도어 록킹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300)는 베이스(200)의 선단측 록킹모듈내합부(210) 내부에 수납되어져 도어의 온/오프를 위한 잠금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키모듈(310) 및 손잡이부(400)의 작동에 의해 도어를 오픈 시키기 위한 도어오픈모듈(3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작업용 차량의 도어 록킹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오픈모듈(320)은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제1요홈(120) 상면측에 고정되는 것으로, 고정플레이트(321)와 상기 고정플레이트(321)에서 손잡이부(400)를 잡아당길 때 연동되어 회동되는 회동부(324)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작업용 차량의 도어 록킹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321)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기 제1요홈(120)의 중앙과 동일한 위치상에 푸시핀공(322)이 천공되고 푸시핀공(322)의 후방 위치 양측으로 수직가이드(323)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회동부(324)는 상기 고정플레이트(321)의 수직가이드(323)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수직가이드(323)를 기점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중앙에 키모듈(310)의 키뭉치(311)가 끼워지기 위한 키뭉치삽입공(325)이 형성되고 선단측으로 누름편(326)이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작업용 차량의 도어 록킹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핀공(322)으로 삽입되는 것으로, 손잡이부(400)를 잡아당길 때 이와 연동하여 회동되는 회동부(324)의 누름편(326)에 의해 누름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되 외주면으로 스프링(328)이 탄지되며 탄성을 부여받는 푸시핀고정봉(327)을 구비하되, 상기 푸시핀고정봉(327)의 내부에는 푸시핀(329)을 내합 고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작업용 차량의 도어 록킹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키모듈(310)은 원통형체를 이루는 키뭉치(311)와 상기 키뭉치(311)의 회전과 연동 되도록 결합 되는 편심회전편(31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작업용 차량의 도어 록킹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회전편(312)의 중앙에서 일측으로 편심되는 위치에 사각형태의 연동삽입홈(313)이 천공되고, 상기 연동삽입홈(313)에 삽입되기 위한 결합돌기(314)가 상기 키뭉치(311) 하단 중앙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작업용 차량의 도어 록킹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400) 일측단은 힌지부(410)를 이루고, 타측단으로는 연장 돌출되는 들림쇠(420)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작업용 차량의 도어 록킹장치.




KR1020150082324A 2015-06-11 2015-06-11 작업용 차량의 도어 록킹장치 KR101774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324A KR101774637B1 (ko) 2015-06-11 2015-06-11 작업용 차량의 도어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324A KR101774637B1 (ko) 2015-06-11 2015-06-11 작업용 차량의 도어 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5939A true KR20160145939A (ko) 2016-12-21
KR101774637B1 KR101774637B1 (ko) 2017-09-05

Family

ID=57734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2324A KR101774637B1 (ko) 2015-06-11 2015-06-11 작업용 차량의 도어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46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1996A (ko) 2019-05-15 2020-11-25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작업차량용 도어 개폐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169B1 (ko) 2013-09-17 2015-01-14 임국건 작업용 차량의 도어 잠금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20395B2 (ja) * 2005-09-20 2011-07-1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KR100840141B1 (ko) * 2007-02-01 2008-06-20 이병노 미닫이문의 잠금 해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169B1 (ko) 2013-09-17 2015-01-14 임국건 작업용 차량의 도어 잠금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1996A (ko) 2019-05-15 2020-11-25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작업차량용 도어 개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4637B1 (ko) 2017-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46585B (zh) 转向锁定装置
US20120212032A1 (en) Manually-Actuated Securing Mechanisms For Bottom Dump Trailers
KR101774637B1 (ko) 작업용 차량의 도어 록킹장치
US11634012B2 (en) Cab for work machine and work machine
JP2018017035A (ja) 車両開閉体操作装置
EP1997985B1 (en) Door with door opening device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CN102161327A (zh) 把手
JP4575291B2 (ja) 固定具
JP2008248631A (ja) 扉装置
KR102376294B1 (ko) 모티스 장치
EP2821567B1 (en) Cab for construction machine, and construction machine
JP2015199425A (ja) センタピラーレス車両のドアロック構造
JP6136300B2 (ja) フードロック装置
JP2011178279A (ja) 車両用ドアの遮蔽部材組付構造、及び遮蔽部材組付方法
KR101383289B1 (ko)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
JP6716095B2 (ja) 作業車両
JP2016130036A (ja) 作業車の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563983B1 (ko) 작업용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
WO2004018783A1 (ja) ブレード装置
JPH08326102A (ja) ケーブル作動アセンブリ
KR200483321Y1 (ko) 차량용 트렁크 래치
KR101745197B1 (ko) 차량용 선바이저 피봇 마운팅 기구
KR101251877B1 (ko)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록킹 장치
JP4953397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CN210622495U (zh) 连接销及门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