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5197B1 - 차량용 선바이저 피봇 마운팅 기구 - Google Patents

차량용 선바이저 피봇 마운팅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5197B1
KR101745197B1 KR1020150173880A KR20150173880A KR101745197B1 KR 101745197 B1 KR101745197 B1 KR 101745197B1 KR 1020150173880 A KR1020150173880 A KR 1020150173880A KR 20150173880 A KR20150173880 A KR 20150173880A KR 101745197 B1 KR101745197 B1 KR 101745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mounting member
pivot
roof panel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3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한
김지아
김재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3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51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13Sun viso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13Sun viso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 B60J3/0217Brackets for mounting the sun visor support arm to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선바이저 피봇 마운팅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선바이저의 피봇암을 루프 패널에 마운팅함에 있어서 마운팅 부재와 피봇 커버의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고, 조립공수가 축소될 수 있는 선바이저 피봇 마운팅 기구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루프 패널의 헤드라이닝 면에 고정되고 선바이저 피봇암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운팅 부재; 상기 마운팅 부재를 덮을 수 있도록 조립되는 피봇 커버; 및 상기 피봇 커버와 마운팅 부재를 루프 패널에 일체로 체결하도록 상기 마운팅 부재를 관통하여 루프 패널의 체결홀에 결합되는 체결핀을 포함하고, 상기 피봇 커버는 마운팅 부재에 조립될 때 체결핀과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핀을 루프 패널에 대해 체결 상태가 되도록 작동시키는 작동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피봇 마운팅 기구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선바이저 피봇 마운팅 기구{Device for fixing sun visor pivot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선바이저 피봇 마운팅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바이저의 피봇암을 루프 패널에 마운팅함에 있어서 마운팅 부재와 피봇 커버의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고, 조립공수가 축소될 수 있는 선바이저 피봇 마운팅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에는 직사광선을 차단하여 주행안전성 및 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선바이저(sun visor)가 설치되고 있다.
일례로, 선바이저는 운전석 또는 조수석에 인접한 루프 패널 상에 선바이저 본체를 피봇암을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윈드쉴드 글라스나 도어 글라스를 통해 유입되는 직사광선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선바이저 본체에 피봇암이 결합되고, 피봇암의 단부가 실내측 면이 헤드라이닝으로 마감되어 있는 루프 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장착된다.
이때, 피봇암의 단부가 마운팅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마운팅 부재는 루프 패널에 고정 장착되는바, 선바이저 본체가 피봇암과 일체로 회전될 때 마운팅 부재는 피봇암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품이 되면서 피봇암의 회전중심에 위치되는 부품이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선바이저 피봇 마운팅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로, 미설명 부호 10은 선바이저 전체를 나타내고, 미설명 부호 11은 선바이저 본체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피봇암(12)의 단부가 루프 패널(1)(실내측 면에 헤드라이닝이 부착되어 있음)에 마운팅 부재(13)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선바이저 본체(11) 및 피봇암(12)이 마운팅 부재(13)에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피봇암(12)의 단부가 마운팅 부재(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마운팅 부재(13)는 루프 패널(1)의 헤드라이닝 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루프 패널에 스크류(screw)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또한, 스크류 등이 외관상 노출되지 않도록 마운팅 부재(13)에는 별도의 피봇 커버(14)가 조립되는데, 통상 피봇 커버(12)가 마운팅 부재(13)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 및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은 스크류 체결 부위가 노출되도록 피봇 커버(14)가 마운팅 부재(13)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1과 같은 종래의 구조에서는 마운팅 부재(13)를 루프 패널(1)에 고정하기 위해 스크류 체결 작업이 필요한데, 피봇 커버(14)가 피봇암(12)에 선 결합된 상태이므로, 스크류 체결시 마운팅 부재(13)의 스크류 체결 부위가 피봇 커버(14)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피봇 커버를 한쪽으로 돌려 공구 진입 공간을 확보한 뒤 스크류를 체결하고, 이후 피봇 커버(14)를 마운팅 부재(13)에 끼우게 된다.
그러나, 피봇 커버(14)가 피봇암(12)에 선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공구 진입 공간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고, 그로 인해 조립성 측면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선바이저를 탈거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도 마운팅 부재(13)를 루프 패널(1)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스크류를 해체하는 과정에서 피봇 커버(14)를 분리한 뒤 돌려 공구 진입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쉽지 않다.
또한,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된 피봇 커버(14)를 마운팅 부재(13)로부터 빼내어 분리하는 것도 쉽지 않아 탈거의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관상 노출되는 일부의 커버 부분(13a)을 마운팅 부재(13)에 일체로 형성하고, 스크류 체결 부위를 포함하여 나머지 부분을 별물의 커버(14)를 끼워 고정하는 방식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또한 별도 공구를 사용해야 하는 스크류 체결 작업이 필요하고, 별물의 커버(14)가 마운팅 부재(13)에 여전히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되므로 탈거의 어려움이 있다.
또한, 도 2의 (b)와 같은 구조에서는 별물 커버(14)와 일체형 커버 부분(13a) 간의 갭(gap)이 과다하여 외관상 좋지 못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의 구조 모두 스크류(15)를 체결하는 작업과 커버(14)를 결합하는 작업이 단계적으로 필요하므로 작업공수가 많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별도 공구를 사용해야 하는 스크류나 볼트 등 체결 작업이 삭제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는 선바이저 피봇 마운팅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조립성 향상 및 외관 향상이 가능하고, 탈거 작업이 용이해지는 선바이저 피봇 마운팅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루프 패널의 헤드라이닝 면에 고정되고 선바이저 피봇암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운팅 부재; 상기 마운팅 부재를 덮을 수 있도록 조립되는 피봇 커버; 및 상기 피봇 커버와 마운팅 부재를 루프 패널에 일체로 체결하도록 상기 마운팅 부재를 관통하여 루프 패널의 체결홀에 결합되는 체결핀을 포함하고, 상기 피봇 커버는 마운팅 부재에 조립될 때 체결핀과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핀을 루프 패널에 대해 체결 상태가 되도록 작동시키는 작동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피봇 마운팅 기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핀은, 상기 피봇 커버가 마운팅 부재에 조립될 때 상기 작동수단에 결합되는 헤드부; 상기 마운팅 부재를 관통하여 루프 패널의 체결홀에 관통 삽입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눕혀지도록 회전된 상태에서 루프 패널의 상면에 밀착 고정되어 체결핀의 체결 상태가 되도록 하는 걸림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에 길이방향을 따르는 핀장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핀이 핀장착홀 내측에 몸체부와 결합된 좌우 양 측단의 돌기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상하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루프 패널의 체결홀은 일 방향으로 긴 홀 형상으로 형성되어, 체결핀이 몸체부를 중심으로 회전된 상태에 따라 눕혀진 상태의 걸림핀이 체결홀로부터 빠지거나 루프 패널의 상면에 걸릴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봇 커버의 작동수단은 헤드부를 통해 체결핀 전체를 아래로 당겨주어, 눕혀진 상태의 걸림핀을 루프 패널의 상면에 밀착 고정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수단은 피봇 커버가 마운팅 부재에 결합될 때 체결핀의 헤드부가 내측으로 넣어지도록 피봇 커버 내측면에 형성된 작동홈부이고, 상기 작동홈부는 체결핀의 헤드부가 내측으로 넣어질 때 체결핀이 아래로 당겨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핀의 몸체부가 타원형의 횡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피봇 커버의 작동홈부는 체결핀의 헤드부가 내측으로 넣어지면서 상기 몸체부와 접촉하여 체결핀이 몸체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몸체부 측면을 밀어주는 내측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봇 커버의 내측면에 상측으로 길게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된 기둥 형상의 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마운팅 부재에는 상기 피봇 커버의 힌지부가 삽입되어 끼워지는 끼움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부가 타원형의 횡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마운팅 부재의 끼움홈부 내측면의 양측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부의 내측 공간 중 걸림돌기를 기준으로 그 바깥쪽 부위는 홈 폭이 상대적으로 크게 되어 있고, 상기 끼움홈부의 내측 공간 중 걸림돌기를 기준으로 그 안쪽 부위는 내측면에 힌지부의 측면이 접촉한 상태에서 힌지부의 회전이 구속되도록 홈 폭이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부가 끼움홈부의 내측 공간으로 넣어질 때 피봇 커버가 상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힌지부의 상단부에는 측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물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물림부의 하면이 마운팅 부재에서의 대응부위인 끼움홈부 상부면에 접한 상태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결합되며, 상기 물림부의 하면과 끼움홈부의 상부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선바이저 피봇 마운팅 기구에 의하면, 볼트 및 너트 또는 스크류를 사용하는 대신, 아래로 당겨질 때 루프 패널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로 걸려 있게 되는 걸림핀을 갖는 체결핀을 사용하고, 피봇 커버와 마운팅 부재의 조립시 피봇 커버의 작동홈부가 체결핀을 아래로 당겨주는 동시에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체결핀의 걸림핀이 루프 패널의 상면에 압착된 상태로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체결핀에 의해 마운팅 부재와 피봇 커버가 루프 패널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바, 이를 통해 별도 공구를 사용하여 체결해야 하는 볼트 및 너트 체결 작업 또는 스크류 체결 작업이 삭제될 수 있으며, 공구 없이 피봇 커버를 마운팅 부재 및 체결핀에 끼우고 회전시키고 밀어주는 간단한 방법으로 조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피봇 커버가 마운팅 부재와 결합될 때 단순 회전식이 아닌 상향 이동될 수 있는 힌지 구조가 적용됨으로써 주변 헤드라이닝부와의 간섭 없이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국, 조립 작업이 용이해지고, 조립성 향상이 가능해진다.
또한, 스크류를 체결하는 과정과, 피봇 커버를 조립해야 하는 과정이 분리되어 순차적인 작업을 해야 하는 종래의 구조에 비해, 간단히 피봇 커버의 조립이 이루어질 때 체결핀에 의해 부품의 체결 및 고정이 가능해지는 구조를 가지므로 조립공수의 축소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선바이저 피봇 마운팅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선바이저 피봇 마운팅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바이저 피봇 마운팅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봇 마운팅 기구에서 마운팅 부재와 피봇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봇 마운팅 기구에서 체결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봇 마운팅 기구에서 체결핀의 헤드부가 피봇 커버의 작동홈부 내측으로 수용될 때 체결핀이 회전 및 걸리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봇 마운팅 기구에서 체결핀이 아래로 당겨지면서 체결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봇 마운팅 기구에서 마운팅 부재와 피봇 커버 간의 힌지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봇 마운팅 기구에서 마운팅 부재의 상향 이동을 위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봇 마운팅 기구에서 마운팅 부재의 상향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바이저 피봇 마운팅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로, 마운팅 부재(110)에 피봇암(140)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실내측 면이 헤드라이닝으로 마감되어 있는 루프 패널(1)에 상기 마운팅 부재(110)가 고정되도록 결합된다.
도 3은 피봇 커버(120)가 조립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상태에서 피봇 커버(120)가 마운팅 부재(110)에 완전히 조립된 상태가 될 때 마운팅 부재(110)와 피봇 커버(120)가 루프 패널(1)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마운팅 부재(110)는 루프 패널(1)에 결합된 상태에서 피봇암(140) 및 선바이저 본체(도시하지 않음)를 루프 패널(1)에 대해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품이며, 피봇암(140)의 회전중심에 위치되는 부품이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피봇 커버(120)는 마운팅 부재(110)를 덮을 수 있는 형상으로 제작되고, 일측에는 피봇암(140)이 끼워질 수 있는 개구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121)에 피봇암(140)이 끼워진 상태로 피봇 커버(120)가 마운팅 부재(110)에 완전히 결합되고 나면, 마운팅 부재(110)의 일측에 외관 부분을 이루도록 형성된 커버부(111) 역시 상기 개구부(121) 내측으로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111)는 마운팅 부재(110)의 표면에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데, 커버부(111)가 피봇 커버(120)의 개구부(121)에 끼워진 상태일 때, 피봇 커버(120)의 외측면과 커버부(111)의 표면은 대략 같은 높이로 매칭되어 동일 면상에 놓이게 되면서 어느 한쪽이 다른 쪽에 비해 돌출되지 않는 하나의 외관 면을 이루게 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봇 마운팅 기구에서 마운팅 부재(110)와 피봇 커버(120)를 도시한 사시도로, (a)는 피봇 커버(120)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b)는 피봇 커버(12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봇 마운팅 기구에서 체결핀(13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봇 마운팅 기구는 마운팅 부재(110)와 피봇 커버(120)를 루프 패널(1)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핀(130)을 포함하고, 루프 패널(1)에는 체결핀(130)이 관통 삽입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는 체결홀(2)이 형성된다.
이때, 체결홀(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방향으로 긴 타원 형상 내지 슬롯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핀(130)은 헤드부(131), 몸체부(132), 그리고 몸체부(132)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걸림핀(13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핀(134)은 체결핀(130)을 위, 아래 또는 옆으로 흔들거나 이동시킬 때 혹은 몸체부(132)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킬 때 자중에 의해 몸체부(132)에서 쉽게 상하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데, 몸체부(132)에는 내측으로 걸림핀(134)이 설치되는 공간인 핀장착홀(133)이 형성되어 있다.
몸체부(132)의 단면 형상은 일 방향으로 긴 타원 형상을 가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핀장착홀(133)은 걸림핀(134)의 길이를 고려하여 몸체부(132)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또한, 걸림핀(134)의 좌우 양 측단에 돌기(134a)가 돌출 형성되어, 좌우 양 측단의 돌기(134a)가 몸체부(132)의 핀장착홀(133) 내측에 형성된 홈에 회전될 수 있게 끼워진 뒤 빠지지 않도록 한다.
이에 돌기(134a)가 힌지 역할을 하면서 걸림핀(134)이 돌기(134a)를 중심으로 몸체부(132)에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는 구조가 된다.
이때, 체결핀(130)을 회전시키거나 위, 아래 또는 옆으로 흔들 때 세워져 있던 걸림핀(134)이 자중에 의해 유동 및 회전되어 눕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체결핀(130)의 몸체부(132)에서 걸림핀(134) 자체가 쉽게 회전될 수 있는 결합 구조가 되도록 한다.
상기 체결핀(130)의 몸체부(132)가 루프 패널(1)의 체결홀(2)을 관통하도록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핀(134)이 눕혀져 있는 상태인 동시에 걸림핀(134)의 길이방향과 루프 패널(1)의 체결홀(2)의 길이방향이 서로 직각방향으로 놓이거나 교차하도록 엇갈려 있게 되면, 걸림핀(134)이 체결홀(2)에서 걸리어 빠지지 않게 된다.
또한, 걸림핀(134)이 눕혀져 루프 패널(1)의 체결홀(2)로부터 빠져나오지 못하는 걸림 상황이면 체결핀(130) 전체가 루프 패널(1)의 체결홀(2)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
상기와 같이 체결핀(130)이 루프 패널(1)에 걸리어 체결홀(2)로부터 빠져나오지 못하는 걸림 상태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체결핀(130), 마운팅 부재(110), 그리고 피봇 커버(120)가 루프 패널(1)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게 된다.
물론, 루프 패널(1)의 체결홀(2)이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을 때, 걸림핀(134)이 눕혀져 있더라도 걸림핀(134)의 길이방향이 체결홀(2)의 길이방향과 대략 일치되도록 체결핀(130)을 몸체부(132)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켜 주면, 체결홀(2)로부터 걸림핀(134)이 빠지면서 체결핀(130)이 루프 패널(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즉, 걸림핀(134)이 눕혀져 있더라도 걸림핀이 체결홀(2)의 긴 방향으로 눕혀지도록 체결핀(130)이 회전된다면, 체결홀(2)로부터 체결핀(130)이 빠져서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체결핀(130)의 걸림핀(134)이 완전히 수평으로 눕혀있지 않더라도, 걸림핀(134)이 체결홀(2)에서 루프 패널(1)에 걸리고 난 상태로 체결핀(130)을 아래로 당겨주게 되면, 걸림핀(134)이 루프 패널(1)에 걸린 상태로 회전되어 완전 눕힘 상태가 되는 동시에 루프 패널(1)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가 되어 체결핀(130)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체결핀(130)은 마운팅 부재(110)의 핀홀(도 9에서 도면부호 112임)을 통과한 상태로 헤드부(131)가 마운팅 부재(11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마운팅 부재와 결합되는데, 체결핀(130)이 루프 패널(1)의 체결홀(2)에 끼워진 상태에서 피봇 커버(120)가 마운팅 부재(110)에 결합될 때, 상기 마운팅 부재(110)가 헤드부(131)를 통해 체결핀(130)을 아래로 당겨 주어 걸림핀(134)을 루프 패널(1)의 상면에 밀착시켜주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작동 상태를 구현하기 위해, 피봇 커버(120)의 조립시에 체결핀(130)을 루프 패널(1)에 대해 체결 상태가 되도록 작동시키는 작동수단이 필요한데, 상기 작동수단으로서, 피봇 커버(120)의 내측면에는 피봇 커버가 마운팅 부재(110)에 결합될 때 체결핀(130)의 헤드부(131)가 내측으로 수용되도록 형성된 작동홈부(141)가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봇 마운팅 기구에서 체결핀(130)의 헤드부(131)가 피봇 커버(120)의 작동홈부(141) 내측으로 수용될 때 체결핀(130)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봇 커버(120)가 마운팅 부재(110)에 결합되기 전에는 체결핀(130)의 헤드부(131)가 피봇 커버(120)의 작동홈부(141)에 끼워지지 않고 밖에 있는 상태이고, 이때 체결핀(130)은 루프 패널(1)의 체결홀(2)에 삽입된 상태이지만 고정되어 있는 상태는 아니다.
(b)는 체결핀(130)의 헤드부(131) 일부가 작동홈부(141) 내측으로 수용되고, 체결핀(130)의 몸체부(132)가 작동홈부(141)의 내측단에 접촉된 상태로 체결핀(130)이 약간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체결핀(130)이 회전되면서 걸림핀(134)이 눕혀지는 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c)는 이후 체결핀(130)의 헤드부(131)가 작동홈부(141) 내측으로 더 넣어져 완전히 수용되고, 체결핀(130)의 몸체부(132)가 작동홈부(141)의 내측단에 접촉된 상태로 체결핀(130)이 더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다.
(a)와 같이 헤드부(131)가 작동홈부(141)에 넣어지기 전과, (c)와 같이 헤드부(131)가 작동홈부(141)에 완전히 넣어진 상태를 비교하였을 때, (c) 상태의 체결핀(130)은 (a) 상태에 비해 대략 90°정도 회전된 상태가 된다.
또한, 피봇 커버(120)가 마운팅 부재(110)에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 (c)의 상태와 같이 걸림핀(134)이 눕혀진 상태로 피봇 커버(120)의 작동홈부(141)에 의해 헤드부(131)가 당겨져 체결핀(130) 전체가 아래로 이동한 상태가 된다.
이때, 걸림핀(134)은 루프 패널(1)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로 걸려 있게 되고, 걸림핀(134)이 루프 패널(1)의 상면을 압착하도록 체결핀(130)이 피봇 커버(120) 및 작동홈부(141)에 의해 아래로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마운팅 부재(110)와 피봇 커버(120)가 체결핀(130)에 의해 체결되어 루프 패널(1)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면상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체결핀(130)이 마운팅 부재(110)와 피봇 커버(120)를 루프 패널(1)에 일체로 체결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과 더불어, 마운팅 부재(110)의 다른 부분이 루프 패널(1)의 홀 등에 끼워져 걸려 있도록 하는 것 또한 실시 가능하다.
상기 체결핀(130)에서 몸체부(132)는 타원형의 횡 단면 형상을 가지는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바, 이는 작동홈부(141)의 내측단에 처음 접촉하고 난 뒤 헤드부(131)가 작동홈부(141)에 더 넣어질 때 몸체부(132)가 작동홈부(141)의 내측단에 걸리면서 자체적으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예를 들면, 도 6의 (b) 및 (c)의 상태가 되도록 함).
이때, 작동홈부(141)의 내측단이 몸체부(132)의 측면을 밀어주면서 체결핀(130)을 몸체부(132)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는데, 몸체부(132)의 횡 단면상에서 볼 때 길이가 긴 측면 전체에 작동홈부(141)의 내측단이 밀착될 때까지 체결핀(130)을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체결핀(130)의 헤드부(131)가 피봇 커버(120)의 작동홈부(141)에 완전히 넣어졌을 때, 걸림핀(134)이 눕혀진 상태로 루프 패널(1)에 걸리어 체결핀(130)이 체결홀(2)로부터 빠지지 않아야 하는바, 몸체부(132)가 작동홈부(141)의 내측단에 접촉된 후 체결핀(130)이 회전되면, 걸림핀(134)이 루프 패널(1)의 체결홀(2) 길이방향에 대해 대략 직각방향(도 6의 (c) 참조)으로 놓이거나 교차하도록 엇갈린 방향으로 놓이게 된다.
또한, 체결핀(130)의 걸림핀(134)이 루프 패널(1)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로 체결핀(130)이 고정되어 있어야 하는바, 피봇 커버(120)가 조금씩 회전하여 체결핀(130)의 헤드부(131)가 작동홈부(141) 내측으로 넣어짐과 동시에 작동홈부(141)에 의해 아래로 밀리면서 체결핀(130) 전체가 아래로 당겨지는 형태가 된다.
이에 눕혀진 걸림핀(134)이 루프 패널(1)의 상면을 압착하게 되고, 결국 완전히 체결된 상태에서 체결핀(130)이 마운팅 부재(110)와 피봇 커버(120)를 루프 패널(1)에 일체로 결합하는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피봇 커버(120)의 작동홈부(141) 내측으로 헤드부(131)가 넣어지면서 작동홈부(141)의 내측단에 접촉한 몸체부(132)가 회전되고, 이때 체결핀(130) 전체가 회전과 동시에 아래로 당겨지는 상태를 보여준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수평으로 눕혀진 걸림핀(134)이 루프 패널(1)의 체결홀(2)에서 체결홀(2)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놓이면서 루프 패널(1)의 상면에 밀착되는 상태를 볼 수 있다.
한편, 선바이저가 장착되는 루프 패널(1)의 실내측 면에는 내장재인 헤드라이닝이 장착되고, 피봇암(140)의 단부 및 마운팅 부재(110)가 결합되는 부위의 주변은 헤드라이닝 표면의 높이가 달라질 수 있는 곡면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피봇 커버(120)가 단방향으로 회전하여 마운팅 부재(110)에 결합되도록 할 경우 헤드라이닝과의 간섭이 발생하여 조립이 불가할 수 있다.
이에 피봇 커버(120)가 마운팅 부재(110)에 결합될 때 회전과 더불어 상향 이동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운팅 부재(110)와 피봇 커버(120) 간의 힌지 결합 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봇 커버(120)의 내측면에는 상측으로 길게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된 기둥 형상의 힌지부(142)가 일체로 형성되고, 마운팅 부재(110)에는 상기 피봇 커버(120)의 힌지부(142)가 삽입되어 끼워지는 끼움홈부(113)가 형성된다.
상기 힌지부(142) 또한 대략 타원형의 횡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마운팅 부재(110)의 끼움홈부(113) 내측면의 양측에는 걸림돌기(114)가 형성된다.
상기 끼움홈부(113)의 내측 공간 중 걸림돌기(114)를 기준으로 그 바깥쪽 부위는 홈 폭이 상대적으로 크게 되어 있고, 걸림돌기(114)를 기준으로 그 안쪽 부위는 홈 폭이 힌지부(142)의 단면상 단방향 폭과 거의 일치하거나 조금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힌지부(142)가 끼움홈부(113)의 내측 공간 중 상기 바깥쪽 부위에 위치할 때에는 힌지부(142)가 회전되면서 피봇 커버(120)가 마운팅 부재(110)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반면, 힌지부(142)가 끼움홈부(113)의 내측 공간 중 상기 안쪽 부위에 완전히 넣어져 끼워지고 난 상태에서는 타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힌지부(142)의 측면이 끼움홈부(113)의 내측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힌지부(142)의 회전이 구속된다.
또한, 피봇 커버(120)의 힌지부(142)가 마운팅 부재(110)의 끼움홈부(113)에 처음 끼워질 때 힌지부(142)가 걸림돌기(114)에 걸리게 되나, 좀더 큰 힘으로 힌지부(142)를 밀어넣게 되면, 힌지부(142)의 측면이 걸림돌기(114)를 타고 넘어가면서 힌지부(142)가 끼움홈부(113)의 내측 공간 안쪽 부위로 넣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힌지부(142)가 끼움홈부(113)의 내측 공간 안쪽으로 넣어질 때 피봇 커버(120)가 상향으로 이동하도록 힌지부(142)의 상단부에는 측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물림부(143)가 형성된다.
이때,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림부(143)의 하면이 마운팅 부재(110)에서의 대응부위인 끼움홈부(113)의 상부면(115)에 접한 상태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결합된다.
이때, 상호 물려 있는 물림부(143)의 하면과 끼움홈부(113)의 상부면(115)이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물림부(143)의 하면이 끼움홈부(113)의 상부면(115)을 타고 오르면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봇 커버(120) 전체가 조립시 상향 이동될 수 있게 되어 있다.
결국,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봇 커버(120)가 도면상 대각선 방향으로 상향 이동되면서 마운팅 부재(110)와 결합될 수 있고, 이로써 헤드라이닝과의 간섭을 회피한 채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서는, 볼트 및 너트 또는 스크류를 사용하는 대신, 아래로 당겨질 때 루프 패널(1)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로 걸려 있게 되는 걸림핀(134)을 갖는 체결핀(130)을 사용하고, 피봇 커버(120)와 마운팅 부재(110)의 조립시 피봇 커버의 작동홈부(141)가 체결핀(130)을 아래로 당겨주는 동시에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체결핀(130)의 걸림핀(134)이 루프 패널(1)의 상면에 압착된 상태로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체결핀(130)에 의해 마운팅 부재(110)와 피봇 커버(120)가 루프 패널(1)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통해 별도 공구를 사용하여 체결해야 하는 볼트 및 너트 체결 작업 또는 스크류 체결 작업이 삭제될 수 있고, 공구 없이 피봇 커버(120)를 마운팅 부재(110) 및 체결핀(130)에 끼우고 회전시키고 밀어주는 간단한 방법으로 조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피봇 커버(120)가 마운팅 부재(110)와 결합될 때 단순 회전식이 아닌 상향 이동될 수 있는 힌지 구조가 적용됨으로써 주변 헤드라이닝부와의 간섭 없이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국, 조립 작업이 용이해지고, 조립성 향상이 가능해진다.
또한, 스크류를 체결하는 과정과, 피봇 커버를 조립해야 하는 과정이 분리되어 순차적인 작업을 해야 하는 종래의 구조에 비해, 간단히 피봇 커버(120)의 조립이 이루어질 때 체결핀(130)에 의해 부품의 체결 및 고정이 가능해지는 구조를 가지므로 조립공수의 축소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 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 : 루프 패널 2 : 체결홀
110 : 마운팅 부재 111 : 커버부
112 : 핀홀 113 : 끼움홈
114 : 걸림돌기 115 : 상부면
120 : 피봇 커버 121 : 개구부
130 : 체결핀 131 : 헤드부
132 : 몸체부 133 : 핀장착홀
134 : 걸림핀 134a : 돌기
140 : 피봇암 141 : 작동홈부
142 : 힌지부 143 : 물림부

Claims (10)

  1. 루프 패널의 헤드라이닝 면에 고정되고 선바이저 피봇암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운팅 부재;
    상기 마운팅 부재를 덮을 수 있도록 조립되는 피봇 커버; 및
    상기 피봇 커버와 마운팅 부재를 루프 패널에 일체로 체결하도록 상기 마운팅 부재를 관통하여 루프 패널의 체결홀에 결합되는 체결핀을 포함하고,
    상기 피봇 커버는 마운팅 부재에 조립될 때 체결핀과 결합된 상태에서 피봇커버와 마운팅 부재를 루프패널에 대해 체결 상태가 되도록 작동시키는 작동수단을 가지며,
    상기 체결핀은,
    상기 피봇 커버가 마운팅 부재에 조립될 때 상기 작동수단에 결합되는 헤드부;
    상기 마운팅 부재를 관통하여 루프 패널의 체결홀에 관통 삽입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눕혀지도록 회전된 상태에서 루프 패널의 상면에 밀착 고정되어 체결핀의 체결 상태가 되도록 하는 걸림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피봇 마운팅 기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 길이방향을 따르는 핀장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핀이 핀장착홀 내측에 몸체부와 결합된 좌우 양 측단의 돌기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상하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피봇 마운팅 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루프 패널의 체결홀은 일 방향으로 긴 홀 형상으로 형성되어, 체결핀이 몸체부를 중심으로 회전된 상태에 따라 눕혀진 상태의 걸림핀이 체결홀로부터 빠지거나 루프 패널의 상면에 걸릴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피봇 마운팅 기구.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피봇 커버의 작동수단은 헤드부를 통해 체결핀 전체를 아래로 당겨주어, 눕혀진 상태의 걸림핀을 루프 패널의 상면에 밀착 고정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피봇 마운팅 기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피봇 커버가 마운팅 부재에 결합될 때 체결핀의 헤드부가 내측으로 넣어지도록 피봇 커버 내측면에 형성된 작동홈부이고,
    상기 작동홈부는 체결핀의 헤드부가 내측으로 넣어질 때 체결핀이 아래로 당겨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피봇 마운팅 기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체결핀의 몸체부가 타원형의 횡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피봇 커버의 작동홈부는 체결핀의 헤드부가 내측으로 넣어지면서 상기 몸체부와 접촉하여 체결핀이 몸체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몸체부 측면을 밀어주는 내측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피봇 마운팅 기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봇 커버의 내측면에 상측으로 길게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된 기둥 형상의 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마운팅 부재에는 상기 피봇 커버의 힌지부가 삽입되어 끼워지는 끼움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피봇 마운팅 기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가 타원형의 횡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마운팅 부재의 끼움홈부 내측면의 양측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부의 내측 공간 중 걸림돌기를 기준으로 그 바깥쪽 부위는 홈 폭이 상대적으로 크게 되어 있고,
    상기 끼움홈부의 내측 공간 중 걸림돌기를 기준으로 그 안쪽 부위는 내측면에 힌지부의 측면이 접촉한 상태에서 힌지부의 회전이 구속되도록 홈 폭이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피봇 마운팅 기구.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가 끼움홈부의 내측 공간으로 넣어질 때 피봇 커버가 상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힌지부의 상단부에는 측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물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물림부의 하면이 마운팅 부재에서의 대응부위인 끼움홈부 상부면에 접한 상태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결합되며, 상기 물림부의 하면과 끼움홈부의 상부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피봇 마운팅 기구.
KR1020150173880A 2015-12-08 2015-12-08 차량용 선바이저 피봇 마운팅 기구 KR101745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880A KR101745197B1 (ko) 2015-12-08 2015-12-08 차량용 선바이저 피봇 마운팅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880A KR101745197B1 (ko) 2015-12-08 2015-12-08 차량용 선바이저 피봇 마운팅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5197B1 true KR101745197B1 (ko) 2017-06-20

Family

ID=59281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3880A KR101745197B1 (ko) 2015-12-08 2015-12-08 차량용 선바이저 피봇 마운팅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51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053A (ko) 2022-06-23 2024-01-02 (주)대한솔루션 자력을 이용하여 수납되는 자동차용 선바이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0819A (ja) * 1999-11-10 2001-05-22 Yazaki Corp 補器の車体取付用ブラケット
JP2002192946A (ja) * 2000-12-28 2002-07-10 Hayashi Gijutsu Kenkyusho:Kk アクセサリー取付方法およびアクセサリー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0819A (ja) * 1999-11-10 2001-05-22 Yazaki Corp 補器の車体取付用ブラケット
JP2002192946A (ja) * 2000-12-28 2002-07-10 Hayashi Gijutsu Kenkyusho:Kk アクセサリー取付方法およびアクセサリー取付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053A (ko) 2022-06-23 2024-01-02 (주)대한솔루션 자력을 이용하여 수납되는 자동차용 선바이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35148A (ko) 자동차 프론트 엔드 모듈용 후드래치 어셈블리
US9481231B2 (en) Automotive glass channel bracket and method
KR101208727B1 (ko) 호차구조
US20170327049A1 (en) Utility vehicle
KR101745197B1 (ko) 차량용 선바이저 피봇 마운팅 기구
US6659527B1 (en) Interior trim attach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a vehicle
FR2576959A1 (fr) Charniere degondable avec dispositif anti-echappement
JP6251140B2 (ja) 施錠装置
KR101007215B1 (ko) 링형 손잡이가 구비된 체결구
BR112020009768A2 (pt) conjunto de maçaneta de porta para um veículo motorizado
US20230158650A1 (en) Device for mounting interior parts of a vehicle
KR101774637B1 (ko) 작업용 차량의 도어 록킹장치
KR101583941B1 (ko) 어시스트 핸들의 리페어 커버
KR100435892B1 (ko) 차량 테일게이트의 글래스힌지
DE10105493B4 (de) Außentürgriff für ein Fahrzeug
KR20110096719A (ko)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 및 록버튼의 케이블 고정장치
JPH0626423Y2 (ja) 自動車の着脱式ルーフカバーの取付け構造
JP3188364U (ja) ウイング車両のルーフロック受け装置
JPH037210Y2 (ko)
KR100419073B1 (ko) 선바이저 장착장치
JPH0224469A (ja) 車両用ウインドガラスの開閉装置
JPH0137286Y2 (ko)
JPH0638764Y2 (ja) 自動車のルーフキャリア取付装置
EP0894663A2 (de) Befestigungsanordnung einer Beleuchtungseinrichtung an einem Fahrzeug
JPH024728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