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5442A - 파킹 브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파킹 브레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5442A
KR20160145442A KR1020150082157A KR20150082157A KR20160145442A KR 20160145442 A KR20160145442 A KR 20160145442A KR 1020150082157 A KR1020150082157 A KR 1020150082157A KR 20150082157 A KR20150082157 A KR 20150082157A KR 20160145442 A KR20160145442 A KR 20160145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lever
parking
locking bracket
auxiliary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2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6392B1 (ko
Inventor
채민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2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6392B1/ko
Publication of KR20160145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5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5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with locking and release means, e.g. providing parking brake applic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25/00Other details or appurtenances of control mechanisms, e.g. supporting intermediate members elast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작동시 정방향 회전하고 역방향으로 탄성회전력을 받는 파킹레버; 파킹레버와 접하고 파킹레버의 회전방향 및 파킹레버와의 분리 방향으로 소정구간 이동가능하며 파킹레버의 정방향 회전은 허용하되 역방향 회전을 저지하는 록킹브라켓; 및 록킹브라켓에 접하고, 파킹레버의 탄성회전력에 따라 록킹브라켓이 파킹레버의 역회전방향으로 이동할 시 탄성변형 되었다가 파킹레버의 탄성회전력이 제거되는 경우 록킹브라켓이 파킹레버와 분리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파킹 브레이크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파킹 브레이크 장치{APPARATUS FOR PARKING BREAKE}
본 발명은 파킹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간결한 구성을 통해 파킹 브레이크 레버의 록킹 및 릴리즈 수행이 가능한 파킹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의 파킹 레버는 변속기 레버 부근에 위치되어 운전자가 레버를 상방으로 잡아 당김으로써 파킹 브레이크와 연결된 와이어가 당겨짐에 따라 브레이크의 록킹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포함하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 파킹 레버 구조는 운전자가 직접 손으로 잡아당겨야 하였기 때문에 힘이 부족한 노약자나 여성 운전자의 경우 완전히 브레이크가 잡힐 때 까지 잡아 당기는 것이 어려웠으며 이에 따라 완전하게 록킹이 걸리지 않은 채로 주차를 수행하여 비탈길이나 기타 노면 상태에 따라 차량이 스스로 움직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왔었다.
이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브레이크 레버의 측부에 발로 밟아 파킹 브레이크가 잡히도록 하는 풋 파킹 브레이크 레버(이하 파킹 레버로 칭함)가 마련되었으며, 종래의 KR20-1998-013336U 주차용 풋 브레이크는 작동홈을 지닌 본체와, 회동핀을 중심으로 작동홈내에서 일정한 각도로 회동하면서 주차 케이블을 당기는 것으로, 상단에는 래칫이 형성된 브레이크 페달과, 가압 스프링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에 형성된 래칫과 항상 맞물리는 고정 돌출부를 구비한 가압레버와, 릴리스 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릴리스 노브의 조작력에 의해 회동하면서 가압레버를 하방으로 눌러 주차상태를 해제하는 릴리스 레버와, 핀에 의해 릴리스 레버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와, 브레이크 페달의 상부에 부착되어 릴리스 노브를 당김에 따라 롤러와 미끄럼 접촉하는 고무를 포함하는 구성을 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의하더라도 파킹 레버를 해제하기 위하여는 별도로 마련된 릴리즈 노브를 당겨야 하였으므로 릴리즈 노브 및 릴리즈 노브와 릴리즈 케이블 및 기타 장치들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많은 부품이 사용 되어온 바 있으며, 운전자가 직접 레버를 잡아 당겨 해제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왔던 것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특허문헌1)KR20-1998-013336U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별도의 릴리즈 레버 없이도 풋 파킹 브레이크 레버의 록킹과 릴리즈를 수행하도록 하되 이를 구성하는 구성품을 단순화한 파킹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파킹 브레이크 장치는 작동시 정방향 회전하고 역방향으로 탄성회전력을 받는 파킹레버; 파킹레버와 접하고 파킹레버의 회전방향 및 파킹레버와의 분리 방향으로 소정구간 이동가능하며 파킹레버의 정방향 회전은 허용하되 역방향 회전을 저지하는 록킹브라켓; 및 록킹브라켓에 접하고, 파킹레버의 탄성회전력에 따라 록킹브라켓이 파킹레버의 역회전방향으로 이동할 시 탄성변형 되었다가 파킹레버의 탄성회전력이 제거되는 경우 록킹브라켓이 파킹레버와 분리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한다.
록킹브라켓은 파킹레버의 회전방향으로 설정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록킹브라켓이 이동 가능하도록 파킹레버 역회전방향 측 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슬롯에는 외부 지지체에 고정되는 핀이 삽입될 수 있다.
파킹레버의 일단부에는 회전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노치가 형성되고, 록킹브라켓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슬롯과 이격된 위치에 상기 노치와 접하도록 치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록킹브라켓이 파킹레버와 분리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보조돌기 및 상기 보조돌기와 접하면서 치합돌기가 노치에 치합도록 가압하는 보조탄성체가 더 마련될 수 있다.
파킹레버의 회전이 정방향에서 역방향으로 전환될 시 치합돌기가 노치에 치합된 상태로 록킹브라켓이 슬롯을 따라 파킹레버 역회전방향 측으로 이동하며, 이동이 완료된 이후에도 치합상태를 유지하여 파킹레버의 역방향 회전을 저지함으로써 파킹레버의 록킹을 수행할 수 있다.
보조탄성체는 보조돌기보다 파킹레버 역회전방향 측에서 보조돌기와 접하다가 파킹레버의 록킹시 보조돌기가 파킹레버 역회전방향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보조돌기보다 파킹레버 정회전방향 측에 위치될 수 있다.
보조돌기의 파킹레버 정회전방향 측 면은 보조돌기의 돌출방향으로 갈수록 파킹레버 역회전방향 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파킹레버의 록킹 이후 파킹레버가 정회전할 때 탄성체는 록킹브라켓을 파킹레버 정회전방향 측으로 이동시키고, 록킹브라켓은 이동시 보조돌기와 보조탄성체의 접촉에 의해 보조돌기의 경사로를 따라 가이드 되어 파킹레버와의 분리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록킹브라켓이 파킹레버와 분리될 경우 파킹레버는 역방향으로 탄성 회전하여 작동전 원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파킹레버에는 파킹레버와 함께 회전하며 파킹레버의 복귀 회전시 록킹브라켓의 파킹레버 정회전방향 측 단부와 접하는 릴리즈 암이 더 마련되고, 릴리즈 암은 록킹브라켓과 접할 시 록킹브라켓을 파킹레버 측으로 가압하여 록킹브라켓을 록킹 전 상태로 원복시킬 수 있다.
릴리즈 암에 의한 록킹브라켓의 원복시 록킹브라켓은 탄성체에 의해 파킹레버 정회전방향 측으로 이동하며, 보조돌기는 다시 보조 탄성체보다 파킹레버 정회전방향 측으로 이동하여 보조 탄성체와 접할 수 있다.
탄성체와 보조 탄성체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되며, 탄성체는 록킹브라켓의 파킹레버 역회전방향 측에서 록킹브라켓을 탄성지지하고, 보조 탄성체는 단부가 보조돌기와 접하여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록킹브라켓의 파킹레버 정회전방향 측 단부는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파킹 브레이크 장치에 따르면, 운전자가 파킹 레버를 밟는 것 만으로 파킹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어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파킹 레버의 록킹과 릴리즈를 수행하는 수단들이 간소화되어 생산성 향상과 비용절감 및 무게 감소의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킹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도.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킹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킹 브레이크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킹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도로서, 작동시 정방향 회전하고 역방향으로 탄성회전력을 받는 파킹레버(100); 파킹레버(100)와 접하고 파킹레버(100)의 회전방향 및 파킹레버(100)와의 분리 방향으로 소정구간 이동가능하며 파킹레버(100)의 정방향 회전은 허용하되 역방향 회전을 저지하는 록킹브라켓(200); 록킹브라켓(200)에 접하고, 파킹레버(100)의 탄성회전력에 따라 록킹브라켓(200)이 파킹레버(100)의 역회전방향으로 이동할 시 탄성변형 되었다가 파킹레버(100)의 탄성회전력이 제거되는 경우 록킹브라켓(200)이 파킹레버(100)와 분리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300a);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킹레버(100)는 풋 파킹 브레이크 레버로서 일단부에 회전중심이 있고 타단부가 외측으로 연장되어 운전자로 하여금 타단부를 밟을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운전자는 파킹 브레이크의 작동을 위해 타단부를 밟음으로써 파킹레버(100)를 정방향 회전 시키고, 파킹레버(100)에는 토션스프링과 같은 탄성체가 구비되어 운전자가 타단부에서 발을 떼는 순간부터 역방향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파킹레버(100)의 일단부에는 회전중심이 형성되되, 상기 회전중심은 차체와 연결된 고정 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파킹레버(100)를 회전 지지할 수 있다. 일단부의 회전방향, 더 상세하게는 회전중심의 둘레부를 따라 복수개의 노치(1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노치(110)는 기어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록킹브라켓(200)은 파킹레버(100)의 정회전방향 또는 역회전방향으로 설정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록킹브라켓(200)이 이동 가능하도록 파킹레버(100) 역회전방향 측 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롯(210)이 형성되며, 상기 슬롯(210)에는 외부 지지체에 고정되는 핀(211)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지지체는 파킹레버(100)의 회전중심이 결합된 상기 고정 브라켓이 될 수 있고 또는 별도로 차체와 연결되어 고정되는 지지체가 될 수 있다.
핀은 상기 외부 지지체에 고정결합되며, 록킹브라켓(200) 자체에 형성된 슬롯(210)을 따라 록킹브라켓(200)은 파킹레버(100) 정회전방향 측 또는 파킹레버(100) 역회전방향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파킹레버(100) 정회전방향이 상방을 향하고 파킹레버(100) 역회전방향이 하방을 향하도록 도시하였으나 이는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대적인 회전 방향으로써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더해, 상기 록킹브라켓(20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슬롯(210)과 이격된 위치에 상기 노치(110)와 접하도록 치합돌기(220)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치합돌기(220)는 록킹브라켓 중 파킹레버(100) 정회전방향 측 단부에 파킹레버(100)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노치(110)와 치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록킹브라켓(200)이 파킹레버(100)와 분리되는 방향, 즉 파킹레버(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보조돌기(23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보조돌기(230)와 접하면서 치합돌기(220)가 노치(110)에 치합도록 록킹브라켓(200)을 파킹레버(100) 측으로 가압하는 보조탄성체(300a)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보조탄성체(300a)는 보조돌기(230)보다 파킹레버(100) 역회전방향 측에서 보조돌기(230)를 가압하여 록킹브라켓(200)을 파킹레버(100) 측으로 가압할 수 있으며, 보조돌기(230)의 파킹레버(100) 정회전방향 측 면은 보조돌기(230)의 돌출방향으로 갈수록 파킹레버(100) 역회전방향 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체(300a)와 보조 탄성체(300b)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접합, 체결, 성형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탄성체(300a)는 록킹브라켓(200)의 파킹레버(100) 역회전방향 측에서 록킹브라켓(200)을 탄성지지하고, 보조 탄성체(300b)는 단부가 보조돌기(230)와 접하여 탄성지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300a)와 보조 탄성체(300b)는 서로 별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판스프링이 아니더라도 다양한 형태의 스프링 또는 탄성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판 스프링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탄성체(300a)가 록킹브라켓(200)의 파킹레버(100) 역회전방향 측 단부와 면접촉 하여 안정적인 탄성지지가 가능하며, 보조 탄성체(300b)는 끝단부가 상기 보조돌기(230)와 접하도록 이루어져 탄성력 제공 및 록킹브라켓(200)의 가이드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제 도 2 내지 도 6을 사용하여 상기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출원의 파킹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록킹브라켓(200)만 별도로 도시한 도면으로써, 도 2는 파킹레버(100)와 록킹브라켓(200)이 치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는 록킹브라켓(200)의 초기 상태로써 록킹브라켓(200)은 탄성체(300a)의 가압에 의해 파킹레버(100) 정회전방향 측으로 최대 상승되어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탄성체(300b)는 보조돌기(230)보다 파킹레버(100) 역회전방향 측에서 보조돌기(230)에 접촉되어 록킹브라켓(200)을 파킹레버(100) 측으로 가압하고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록킹브라켓(200)의 최대 상승과 최대 하강은 핀(211)이 슬롯(210)의 양끝단부에 접촉 하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으며 록킹브라켓(200)의 이동변위는 슬롯(210)의 길이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이후, 운전자가 파킹레버(100)의 타단부를 밟아 파킹레버(100)가 정회전하여 노치(110)와 치합돌기(220)가 서로 접하게 될 때, 치합돌기(220)는 도 3과 같이 노치(110)를 따라 파킹레버(100)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을 반복하며 접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보조 탄성체(300b)가 지속적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치합돌기(220)는 노치(110)에 치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치합돌기(220)가 슬롯(210) 보다 파킹레버(100) 정회전 방향 측에 이격되어 위치되기 때문에 록킹브라켓(200)은 핀(211)을 축으로 파킹레버(100) 측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반복회전하면서 파킹레버(100)의 정방향 회전을 허용할 수 있다.
그러다가 운전자가 파킹레버(100)의 타단부에서 발을 떼는 순간 파킹레버(100)는 역방향으로 탄성 운동하게 되는데, 파킹레버(100)가 역방향 하중을 받아 회전 방향이 전환되는 순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합돌기(220)가 노치(110)에 치합된 상태로 록킹브라켓(200)이 슬롯(210)을 따라 파킹레버(100) 역회전방향 측으로 최대 이동하며, 이동이 완료된 이후에도 치합돌기(220)와 노치(110)는 치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노치(110)와 치합돌기(220)가 상호 치합된 상태로 록킹브라켓(200)이 슬롯(210)과 핀(211)의 걸림에 의해 더 이상 파킹레버(100) 역회전방향 측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파킹레버(100)의 역방향 회전은 저지되며 파킹레버(100)는 록킹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초기 상태에서 파킹레버(100)를 밟은 후 발을 떼면 파킹레버(100)는 발을 뗀 위치를 유지하게 되며 파킹레버(100)와 연결된 와이어가 당겨진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차량의 파킹 브레이크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록킹브라켓(200)이 슬롯(210)을 따라 파킹레버(100) 역회전방향 측으로 최대 이동할 때 보조돌기(230) 또한 보조 탄성체(300b)를 지나 파킹레버(100) 역회전방향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보조 탄성체(300b)가 보조돌기(230)보다 파킹레버(100) 정회전방향 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 탄성체(300b)는 보조돌기(230)보다 파킹레버(100) 정회전방향 측에서 상기 보조돌기(230)와 접하게 될 수 있다.
파킹레버(100)의 록킹 이후 운전자가 파킹 브레이크의 해제를 위해 다시 파킹레버(100)의 타단부를 밟아 파킹레버(100)가 정회전할 때 파킹레버(100)에 의한 파킹레버(100) 역회전방향 측 가압이 없어지게 되는 바, 탄성체(300a)는 록킹브라켓(200)을 파킹레버(100) 정회전방향 측으로 이동시키고, 록킹브라켓(200)은 이동시 보조돌기(230)와 보조탄성체(300a)의 접촉에 의해 보조돌기(230)의 경사로를 따라 가이드 되어 파킹레버(100)와의 분리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치합돌기(220)는 노치(110)에서 이탈하게 되며 상기 파킹레버(100)는 자유회전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운전자가 파킹레버(100)의 타단부에서 발을 떼면 록킹브라켓(200)이 파킹레버(100)와 분리된 상태에서 파킹레버(100)는 역방향으로 탄성 회전하며 파킹 브레이크 작동전 초기 원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킹레버(100)에는 파킹레버(100)와 함께 회전하며 파킹레버(100)의 복귀 회전시 록킹브라켓(200)의 파킹레버(100) 정회전방향 측 단부와 접하는 릴리즈 암(120)이 더 마련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리즈 암(120)은 록킹브라켓(200)과 접할 시 록킹브라켓(200)을 파킹레버(100) 측으로 가압하여 록킹브라켓(200)을 록킹 전 상태로 원복시킬 수 있다.
상기 릴리즈 암(120)은 패널 또는 바(bar) 형태가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록킹브라켓(200)이 파킹레버(100)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릴리즈 암(120)이 록킹브라켓(200)을 파킹레버(100) 측으로 가압하여 보조돌기(230)를 다시 보조 탄성체(300b)보다 파킹레버(100) 정회전방향 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록킹브라켓(200)이 초기 형태로 복귀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릴리즈 암(120)이 록킹브라켓(200)과 접할 시 록킹브라켓(200)을 자연스럽게 파킹레버(100)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록킹브라켓(200)의 파킹레버(100) 정회전방향 측 단부는 곡선을 그리도록, 더욱 바람직하게는 반원 또는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원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릴리즈 암(120)과의 접촉시 슬라이딩 되면서 록킹브라켓(200)이 파킹레버(100) 측으로 회동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파킹 브레이크 장치에 따르면, 운전자가 파킹레버를 재차 밟는 것 만으로 파킹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어 파킹 편의성 향상 등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파킹레버의 록킹과 릴리즈를 수행하는 수단들이 록킹브라켓, 탄성체 등으로 간소화되어 생산성 향상과 비용절감 및 무게 감소의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파킹레버 110 : 노치
120 : 릴리즈 암 200 : 록킹브라켓
210 : 슬롯 211 : 핀
220 : 접촉돌기 230 : 보조돌기
300a : 탄성체 300b : 보조 탄성체

Claims (13)

  1. 작동시 정방향 회전하고 역방향으로 탄성회전력을 받는 파킹레버;
    파킹레버와 접하고 파킹레버의 회전방향 및 파킹레버와의 분리 방향으로 소정구간 이동가능하며 파킹레버의 정방향 회전은 허용하되 역방향 회전을 저지하는 록킹브라켓;
    록킹브라켓에 접하고, 파킹레버의 탄성회전력에 따라 록킹브라켓이 파킹레버의 역회전방향으로 이동할 시 탄성변형 되었다가 파킹레버의 탄성회전력이 제거되는 경우 록킹브라켓이 파킹레버와 분리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파킹 브레이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록킹브라켓은 파킹레버의 회전방향으로 설정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록킹브라켓이 이동 가능하도록 파킹레버 역회전방향 측 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슬롯에는 외부 지지체에 고정되는 핀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 브레이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파킹레버의 일단부에는 회전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노치가 형성되고, 록킹브라켓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슬롯과 이격된 위치에 상기 노치와 접하도록 치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 브레이크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록킹브라켓이 파킹레버와 분리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보조돌기 및 상기 보조돌기와 접하면서 치합돌기가 노치에 치합도록 가압하는 보조탄성체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 브레이크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파킹레버의 회전이 정방향에서 역방향으로 전환될 시 치합돌기가 노치에 치합된 상태로 록킹브라켓이 슬롯을 따라 파킹레버 역회전방향 측으로 이동하며, 이동이 완료된 이후에도 치합상태를 유지하여 파킹레버의 역방향 회전을 저지함으로써 파킹레버의 록킹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 브레이크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보조탄성체는 보조돌기보다 파킹레버 역회전방향 측에서 보조돌기와 접하다가 파킹레버의 록킹시 보조돌기가 파킹레버 역회전방향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보조돌기보다 파킹레버 정회전방향 측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 브레이크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보조돌기의 파킹레버 정회전방향 측 면은 보조돌기의 돌출방향으로 갈수록 파킹레버 역회전방향 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 브레이크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파킹레버의 록킹 이후 파킹레버가 정회전할 때 탄성체는 록킹브라켓을 파킹레버 정회전방향 측으로 이동시키고, 록킹브라켓은 이동시 보조돌기와 보조탄성체의 접촉에 의해 보조돌기의 경사로를 따라 가이드 되어 파킹레버와의 분리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 브레이크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록킹브라켓이 파킹레버와 분리될 경우 파킹레버는 역방향으로 탄성 회전하여 작동전 원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 브레이크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파킹레버에는 파킹레버와 함께 회전하며 파킹레버의 복귀 회전시 록킹브라켓의 파킹레버 정회전방향 측 단부와 접하는 릴리즈 암이 더 마련되고, 릴리즈 암은 록킹브라켓과 접할 시 록킹브라켓을 파킹레버 측으로 가압하여 록킹브라켓을 록킹 전 상태로 원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 브레이크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릴리즈 암에 의한 록킹브라켓의 원복시 록킹브라켓은 탄성체에 의해 파킹레버 정회전방향 측으로 이동하며, 보조돌기는 다시 보조 탄성체보다 파킹레버 정회전방향 측으로 이동하여 보조 탄성체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 브레이크 장치.
  12. 청구항 4에 있어서,
    탄성체와 보조 탄성체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되며, 탄성체는 록킹브라켓의 파킹레버 역회전방향 측에서 록킹브라켓을 탄성지지하고, 보조 탄성체는 단부가 보조돌기와 접하여 탄성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 브레이크 장치.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록킹브라켓의 파킹레버 정회전방향 측 단부는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특징으로 하는 파킹 브레이크 장치.
KR1020150082157A 2015-06-10 2015-06-10 파킹 브레이크 장치 KR102336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157A KR102336392B1 (ko) 2015-06-10 2015-06-10 파킹 브레이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157A KR102336392B1 (ko) 2015-06-10 2015-06-10 파킹 브레이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5442A true KR20160145442A (ko) 2016-12-20
KR102336392B1 KR102336392B1 (ko) 2021-12-07

Family

ID=57734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2157A KR102336392B1 (ko) 2015-06-10 2015-06-10 파킹 브레이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63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128A (ko) * 2017-01-31 2018-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킹레버의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3336U (ko) 1996-08-30 1998-06-05 양재신 주차용 풋 브레이크
KR19980019555U (ko) * 1996-10-04 1998-07-15 정몽규 페달식 주차브레이크
JPH10264787A (ja) * 1997-03-26 1998-10-06 Aisin Seiki Co Ltd 車両用足踏式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3336U (ko) 1996-08-30 1998-06-05 양재신 주차용 풋 브레이크
KR19980019555U (ko) * 1996-10-04 1998-07-15 정몽규 페달식 주차브레이크
JPH10264787A (ja) * 1997-03-26 1998-10-06 Aisin Seiki Co Ltd 車両用足踏式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128A (ko) * 2017-01-31 2018-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킹레버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6392B1 (ko) 202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6845B1 (ko) 주차 브레이크의 로킹 장치
US4311060A (en) Parking brake operating device
JP2013187094A (ja) 電動車両の充電ポート装置
JPH0130655Y2 (ko)
KR100461609B1 (ko) 브레이크 케이블 장력 조절 기구를 포함하는 주차 브레이크
KR20160145442A (ko) 파킹 브레이크 장치
KR100361275B1 (ko) 페달식 주차브레이크의 주차해제장치
US7584684B2 (en) Man-powered braking apparatus
KR102460146B1 (ko) 자동차의 길이 조정형 핸드브레이크 레버
JP2017016212A (ja) 自動車の操作ペダルのハンドコントロール装置
CN216886628U (zh) 一种可调平的驻车制动操纵杆
KR20070062765A (ko) 차량용 주차브레이크장치
JP7431967B2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及び車両
JP5541580B2 (ja) 車両のパーキングブレーキ操作装置
KR100380932B1 (ko) 원터치 방식의 제동페달 파킹브레이크장치
KR100990677B1 (ko) 전기적 제어를 통한 파킹브레이크
KR101035639B1 (ko) 차량용 파킹 브레이크 레버
JPH0725345U (ja) 手動ブレーキ維持装置
KR101959015B1 (ko) 차량용 파킹 시스템 및 그것의 파킹로드 조립체
KR20170078137A (ko)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101021927B1 (ko) 풋 파킹 브레이크 장치
KR101584007B1 (ko) 페달 조작 기구
KR100578761B1 (ko) 주차 브레이크 조작 장치
GB2373035A (en) Parking brake assembly for an automotive vehicle
KR101326483B1 (ko) 차량용 파킹레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