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3790A - 프린터 - Google Patents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3790A
KR20160143790A KR1020167031284A KR20167031284A KR20160143790A KR 20160143790 A KR20160143790 A KR 20160143790A KR 1020167031284 A KR1020167031284 A KR 1020167031284A KR 20167031284 A KR20167031284 A KR 20167031284A KR 20160143790 A KR20160143790 A KR 20160143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protruding
closing cover
printing medium
lab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1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5555B1 (ko
Inventor
오사무 야마나카
타케히코 요코자와
Original Assignee
사토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토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사토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43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3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5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5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02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04Roller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45Guides for prin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2Guards, shields or dust excluders
    • B41J29/13Case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5Tape printers; Label printers

Landscapes

  • Handling Of Sheets (AREA)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 Handling Of Continuous Sheets Of Paper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Labeling Device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프린터(1)의 용지 수용부(6)를 개폐하는 개폐 커버(3)의 개방단의 이면 측에 장착된 이너 커버(3b)에는 플라텐 롤러(1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 두께가 점차 좁아지는 돌출 헤드부(3c)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돌출 헤드부(3c)에서, 라벨 연속체의 피드시에 점착제층이 대향하는 제1 면(S1)에는 플라텐 롤러(10)의 외주 일부에 마주하도록 제1 면(S1)으로부터 장출되는 장출부(3e)가 형성되어 있고, 그 장출부(3e)의 표면에는 제1 리브부 R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1 리브부 R1은 백 피드 시에 라벨 연속체를 플라텐 롤러(10)의 외주로부터 박리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프린터{PRINTER}
본 발명은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문자, 기호, 도형 또는 바코드 등과 같은 원하는 정보를 라벨 연속체에 인자(印字)하는 라벨 프린터(Label Printer)에 관한 것이다.
라벨 프린터는, 예를 들면 롤형으로 권취된 라벨 연속체의 일단을 서멀 헤드와 플라텐(platen) 롤러 사이에 끼운 상태로 플라텐 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라벨 연속체를 반송할 때 라벨에 원하는 정보를 인자하는 라벨 인자용 프린터이다.
이 라벨 프린터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 제2008-62597호 공보에 기재가 있고, 라벨 연속체의 수용부를 개폐하는 개폐 커버의 개방 단부에 플라텐 롤러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하고 라벨 프린터 내부에서 개폐 커버의 폐지(閉止)시의 플라텐 롤러의 대향 위치에 서멀 헤드를 설치한 라벨 프린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라벨 연속체에는 대지(台紙)가 없고 일면에 점착제층을 가지는 연속 형태의 라벨(대지가 없는 라벨)이 있다. 이 대지가 없는 라벨을 사용하는 경우, 대지가 없는 라벨의 점착제층이 노출되므로, 그 점착제층이 접촉하는 부분에 비점착 소재를 사용하거나 비점착 처리를 행함으로써 대지가 없는 라벨이 용이하게 붙지 않게 하고 있다.
그러나, 대지가 없는 라벨을 인자 반송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반송하는 백 피드에서는, 대지가 없는 라벨이 서멀 헤드 위치로부터 플라텐 롤러의 외주에 약간 붙은 상태로 인자 반송 방향의 상류 측에 반송되어 플라텐 롤러와 커버의 간극에 말려 들어가는 결과, 대지가 없는 라벨이 커버의 단부에 붙어 잼(jam)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서멀 헤드와 플라텐 롤러 사이에 대지가 없는 라벨을 장시간에 건너 협지시키면 이와 같은 부착 잼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배경으로부터 이루어진 것으로서, 프린터에서 일면에 점착제층을 가지는 인자 매체의 백 피드시에 반송 롤러의 인자 반송 방향의 상류 측의 내벽면에 인자 매체가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의 프린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한쪽 면에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인자(印字) 매체를 수용하는 인자 매체 수용부, 상기 인자 매체 수용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축지지되는 개폐 커버, 상기 개폐 커버의 개방 단부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인자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롤러,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반송 롤러에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인자 매체에 인자를 행하는 인자 헤드, 상기 개폐 커버의 개방 단부에는, 상기 반송 롤러로부터 이간(離間)되는 방향을 향해 두께가 좁아지는 돌출 헤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 헤드부는, 상기 개폐 커버의 폐지(閉止)시에 상기 인자 매체 수용부로부터 상기 반송 롤러를 향해 반송되는 상기 인자 매체의 점착제층에 대향하는 제1 면, 상기 개폐 커버의 폐지시에 상기 인자 매체 수용부에 대향하는 제2 면, 및 상기 돌출 헤드부의 선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접속하는 접속부, 상기 제1 면에서 상기 반송 롤러 측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반송 롤러에 마주하도록 상기 제1 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장출(張出)된 장출부, 상기 장출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의 프린터에는, 상기 돌출 헤드부의 상기 제1 면에, 상기 제1 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2 돌출부를 설치하고, 상기 제2 돌출부를 상기 반송 롤러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시켜 상기 제1 돌출부와 연속으로 접하게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의 프린터에는,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반송 롤러와 상기 접속부 사이에서 종단(終端)하고, 상기 제1 면에서 상기 제2 돌출부의 연장 선상이며 상기 접속부 측에, 상기 제1 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3 돌출부를 상기 제2 돌출부와는 이간된 상태로 설치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의 프린터에는, 상기 접속부의 표면에 그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4 돌출부를 설치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5 태양의 프린터에는, 상기 제2 면에 그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5 돌출부를 설치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6 태양의 프린터는, 상기 개폐 커버의 상기 돌출 헤드부는, 상기 반송 롤러를 보지(保持)하는 보지부를 일체로 구비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7 태양의 프린터에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개폐 커버의 폐지시의 상기 제1 면의 맞은편에 상기 인자 매체의 반송로를 형성하는 반송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상기 반송 부재의 표면에서 상기 제1 돌출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반송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6 돌출부를 설치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8 태양의 프린터에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개폐 커버의 폐지시의 상기 제1 면의 맞은편에 상기 인자 매체의 반송로를 형성하는 반송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인자 매체 수용부 내에 상기 인자 매체의 폭 방향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부재의 한쪽을 상기 인자 매체의 폭 방향으로 이동시킨 경우, 그 이동을 다른 쪽의 가이드 부재에 전달하는 기어 부재를, 상기 반송 부재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의하면, 프린터에서 일면에 점착제층을 가지는 인자 매체의 백 피드시에 제1 돌출부에 의해 인자 매체를 반송 롤러로부터 박리할 수 있으므로, 반송 롤러의 피드 방향의 상류 측의 내벽면에 인자 매체가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의하면, 인자 반송시에 동작 상황에 따라 인자 매체가 제1 면에 접근했다 하더라도, 그 점착제층의 접촉 개소를 저감할 수 있고, 그 점착제층이 제1 면에 접촉된 경우에 생기는 접촉 저항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그 접촉에 기인한 인자 불규칙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인자 매체의 인자 반송시 및 백 피드시에 인자 매체의 점착제층이 제1 면에 붙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으므로, 그 붙음에 기인한 잼의 발생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의하면, 인자 반송시에 동작 상황에 따라 인자 매체가 제1 면에 접근했다 하더라도, 그 점착제층의 접촉 개소를 제1 돌출부, 제2 돌출부 및 제3 돌출부로 한정할 수가 있어 그 점착제층이 제1 면에 접촉된 경우 생기는 접촉 저항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그 접촉에 기인한 인자 혼란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인자 매체의 인자 반송시 및 백 피드시에 인자 매체의 점착제층이 제1 면에 붙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으므로, 그 붙음에 기인한 잼의 발생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돌출부와 제3 돌출부를 이간(離間)하는 것에 의해, 인자 매체의 백 피드시에 인자 매체의 점착제층이 제2 돌출부 및 제3 돌출부에 접촉하는 면적도 저감할 수 있으므로, 백 피드시에서의 인자 매체의 반송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의하면, 인자 매체의 점착제층이 접속부 측에서 접촉하는 개소를 제4 돌출부로 한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인자 반송시에 인자 매체의 점착제층이 접속부에 접촉하는 경우에 생기는 접촉 저항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그 접촉에 기인한 인자 혼란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인자 매체의 인자 반송시에 인자 매체의 점착제층이 접속부에 붙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으므로, 그 붙음에 기인한 잼의 발생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5 태양에 의하면, 인자 매체 수용부 내에서 인자 매체가 굴렀을 경우에 인자 매체의 외주가 제2 면 측에서 접하는 개소를 저감할 수 있으므로, 인자 매체가 회전할 때의 마찰 저항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6 태양에 의하면, 반송 롤러를 보지하는 부재를 별도로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프린터를 소형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7 태양에 의하면, 제1 돌출부와 제6 돌출부의 접촉에 의해 인자 매체에 형성되는 돌출부 자취의 위치를 동일하게 할 수 있으므로, 제1 돌출부와 제6 돌출부의 대향 위치를 어긋나게 한 경우와 비교하여 인자 매체에 남겨지는 돌출부 자취의 라인 수를 적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태양에 의하면, 기어 부재를 하우징의 바닥면에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프린터를 소형할 수 있게 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프린터의 통상 발행 상태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프린터의 박리 발행 상태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개폐 커버의 개방 상태에서의 도 1a 및 도 1b의 프린터 및 라벨 연속체의 외관을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a의 통상 발행시의 프린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3b는 도 1b의 박리 발행시의 프린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4는 개폐 커버를 기어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개폐 커버의 돌출 헤드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개폐 커버의 측면도이다.
도 7은 개폐 커버를 용지 수용부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개폐 커버의 주요부 및 반송판의 사시도이다.
도 9는 개폐 커버의 폐지시에 개폐 커버의 돌출 헤드부의 제1 면에 대향하는 반송판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개폐 커버 및 반송판을 하방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개폐 커버, 반송판 및 용지 가이드 기구(機構)를 하방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인자 공정 중의 도 1a 및 도 1b의 프린터를 측면으로부터 본 개략 구성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프린터의 주요부 확대 개략 구성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이어지는 인자 공정 중의 프린터를 측면으로부터 본 개략 구성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이어지는 인자 공정 중의 프린터를 측면으로부터 본 개략 구성도이다.
도 16은 백 피드 공정 중의 프린터를 측면으로부터 본 개략 구성도이다.
도 17은 발명자가 검토한 백 피드 공정 중의 프린터를 측면으로부터 본 주요부 확대 개략 구성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프린터의 주요부 확대 개략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2014년 8월 18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특원2014-165847호)에 관련되어 있으며, 이 출원의 내용이 이 명세서에 참조에 의해 원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례로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원칙으로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형태 중의 용어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피드란 라벨 연속체(인자 매체)를 인자를 위해 반송하는 동작을 말하고, 피드 방향(인자 반송 방향)이란 라벨 연속체를 인자를 위해 반송하는 방향, 구체적으로는 라벨 연속체를 용지 공급부로부터 서멀 헤드로 보내는 방향을 말한다. 백 피드란 라벨 연속체의 원하는 라벨에 원하는 정보를 인자한 후 라벨 연속체를 피드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보내 후속의 다른 라벨을 인자 개시 위치로 되돌리는 동작을 말하며, 백 피드 방향이란 라벨 연속체를 백 피드를 위해 반송하는 방향, 구체적으로는 라벨 연속체를 서멀 헤드 측으로부터 용지 공급부 측으로 보내는 방향을 말한다. 박리 발행이란 라벨 연속체로서 복수개의 라벨이 장척(長尺) 밴드형의 대지(台紙)에 소정 간격으로 임시로 부착된 연속 형태의 라벨(대지가 있는 라벨)을 사용한 경우에, 라벨을 1매마다 대지로부터 떼어 프린터로부터 발행하는 방식을 말하고, 통상 발행이란 라벨을 대지로부터 떼지 않고 프린터로부터 발행하는 방식을 말한다. 대지가 있는 라벨에서 라벨을 대지로부터 떼지 않고 발행하는 경우에도 물론이고, 라벨 연속체로서 대지가 없고 한쪽 면의 점착제층이 노출된 채 반송되는 연속 형태의 라벨 또는 대지가 없고 점착제층도 없는 연속 형태의 시트(연속 시트) 등과 같이 대지가 없는 라벨을 사용하는 경우도 통상 발행이 적용된다.
도 1a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프린터의 통상 발행 상태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프린터의 박리 발행 상태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개폐 커버 개방 상태에서의 도 1a 및 도 1b의 프린터 및 라벨 연속체의 외관을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1)는,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편평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휴대형의 라벨 프린터이며, 본체 케이스(2), 개폐 커버(3), 박리 유닛(4), 프론트 커버(하우징의 일례)(5)를 구비하고, 한대로 통상 발행과 박리 발행의 전환이 가능한 겸용형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프린터(1)는 발행구 측을 위로 향한 상태(가로 설치)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프린터(1)의 바닥면에 설치된 벨트 훅(미도시)을 작업자의 벨트에 걸거나 숄더-벨트(미도시)를 장착하여 작업자의 어깨에 걸거나 함으로써 발행구 측을 옆으로 향한 상태(세로 설치)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체 케이스(2)는 프린터(1)의 외형의 일부를 형성하는 하우징이며, 그 내부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지 수용부(인자 매체 수용부의 일례)(6)가 설치되어 있다. 용지 수용부(6)는 롤형 라벨 연속체 P를 수용하는 영역이며, 그 내부에는 용지 가이드 기구(7)의 한 쌍의 가이드판(가이드 부재의 일례)(7a)이 설치되어 있다. 용지 가이드 기구(7)는 라벨 연속체 P를 그 폭에 맞추어 지지하고 가이드하는 기구이다. 그리고, 본체 케이스(2)의 한쪽 측면에는 도 1a~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터리 커버(8)가 개폐 가능한 상태로 축지지되어 있다.
라벨 연속체 P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대지가 없고, 일면에 점착제층을 가지고, 다른 면에 박리제층을 가지는 연속 형태의 라벨(대지가 없는 라벨)이며, 롤형으로 권취된 상태로 용지 수용부(6) 내에 수용된다. 이 라벨 연속체 P의 점착제 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마다 라벨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검출 마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또, 라벨 연속체 P의 표면(점착제층이 형성된 면의 이면(裏面), 인자면)에는, 미리 결정된 온도 영역에 도달하면 특정한 색(흑이나 적 등)에 발색하는 감열 발색층이 형성되어 있다.
개폐 커버(3)는 용지 수용부(6)의 개폐 커버이며, 개폐 커버(3)의 길이 방향 일단부(개방 단부: 본체 케이스(2)의 길이 방향 중앙 측)가 본체 케이스(2)에 대해서 이간 및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개폐 커버(3)의 길이 방향 타단부가 본체 케이스(2)의 길이 방향 일단부의 개폐 지지축에 의해 축지지되어 있다. 또, 개폐 커버(3)는 그 길이 방향 타단부의 개폐 지지축에 배치된 토션 스프링에 의해 개방 방향(개폐 커버(3)의 개방 단부가 본체 케이스(2)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개폐 커버(3)의 개방 단부에는, 플라텐 롤러(반송 롤러의 일례)(10)가 정역(正逆) 방향으로 회동(回動) 가능한 상태로 축지지되어 있다. 이 플라텐 롤러(10)는 라벨 연속체 P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이며, 라벨 연속체 P의 폭 방향(짧은 방향)을 따라 연장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플라텐 롤러(10)는 라벨 연속체 P의 점착제가 붙지 않게, 예를 들면 실리콘을 함유시킨 수지나 실리콘 고무와 같은 비점착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플라텐 롤러(10)의 플라텐 축(10a)의 일단부에는, 기어(10b)가 접속되어 있다. 이 기어(10b)는 개폐 커버(3)의 폐지시에 본체 케이스(2) 내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기어 등에 계합(係合)되어, 그 기어 등을 통하여 롤러 구동용 스테핑 모터(미도시) 등에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개폐 커버(3)의 개방 단부 측에서 플라텐 롤러(10)의 근방에는 박리 핀(11)이 플라텐 롤러(10)를 따라 설치되어 있다. 이 박리 핀(11)은, 라벨 연속체로서 대지가 있는 라벨을 사용하는 경우에 라벨을 대지로부터 박리하는 박리 부재이며, 그 길이 방향 양 단부 측은 개폐 커버(3)에 축지지되어 있다.
개폐 커버(3)의 개방 단부 측에서 라벨 연속체 P가 대향하는 면에는 센서(12)가 설치되어 있다. 센서(12)는, 예를 들면 라벨 연속체 P의 라벨 위치(상기 위치 검출 마크)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센서(12)는, 예를 들면 반사형 광센서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발광부(12a), 수광부(12b)를 가지고 있다.
박리 유닛(4)은, 박리 발행시에 라벨 연속체 P로 사용하는 대지가 있는 라벨의 대지로부터 라벨을 떼어 대지와 라벨과의 반송 경로를 분류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그 길이 방향 선단 측의 닙(nip) 롤러(4a)를 프린터(1) 내부의 통상 발행 위치와 프린터(1) 외부의 박리 발행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닙 롤러(4a)는 박리 발행시에 플라텐 롤러(10)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닙 롤러(4a)와 플라텐 롤러(10) 사이에 삽입된 대지를 닙 롤러(4a)와 플라텐 롤러(10) 사이에 끼워넣어 반송하는 부재이다. 닙 롤러(4a)는 플라텐 롤러(10)의 회전에 추종하여 종동(從動)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프론트 커버(5)는 본체 케이스(2)의 표면에서 개폐 커버(3)의 맞은편 및 본체 케이스(2)의 양 측면 근방 부분을 덮도록 본체 케이스(2)에 고정된 프린터(1)의 하우징이다. 이 프론트 커버(5)에는 표시부(15), 조작 버튼(16a, 16b), 전원 버튼(17), 커버 오픈 버튼(18), 한 쌍의 해제 레버부(19, 19), 커터(20)가 구비되어 있다.
표시부(15)는 조작 명령이나 메시지 등을 표시하는 화면이며,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조작 버튼(16a, 16b)은 프린터(1)의 동작이나 설정을 조작하는 버튼이며, 전원 버튼(17)은 프린터(1)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버튼이다. 커버 오픈 버튼(18)은 개폐 커버(3)를 열기 위한 버튼이다. 해제 레버부(19, 19)는 박리 유닛(4)을 통상 발행 위치에 보지(保持)하는 부재이며, 이들을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박리 유닛(4)의 보지 상태를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커터(20)는 통상 발행 후의 라벨 연속체 P를 절단하는 부재이며, 프론트 커버(5)에서 개폐 커버(3)의 맞은편의 선단부에 프린터(1)의 짧은 방향(플라텐 롤러(10)의 축 방향)의 단부로부터 단부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개폐 커버(3)와 프론트 커버(5)의 사이에 발행구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프린터(1)의 내부 구조에 대하여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도 1a의 통상 발행시의 프린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3b는 도 1b의 박리 발행시의 프린터의 개략 구성도이다.
본체 케이스(2)의 내부에서 용지 수용부(6) 및 플라텐 롤러(10)의 맞은편에는, 헤드 브래킷(27), 서멀 헤드(인자 헤드의 일례)(28), 코일 스프링(29), 박리 유닛(4), 반송판(반송 부재의 일례)(30), 배터리 수용부(미도시)가 인접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헤드 브래킷(27)은 서멀 헤드(28)를 보지함과 함께 폐지 상태의 개폐 커버(3)을 보지하는 부재이며, 개폐 커버(3)의 폐지시에 플라텐 롤러(10)의 맞은편에 요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 헤드 브래킷(27)에 형성된 홈 내에 플라텐 롤러(10)의 플라텐 축(10a)이 끼워넣어져, 개폐 커버(3)는 헤드 브래킷(27)에 보지되도록 되어 있다. 헤드 브래킷(27)에는 압압부(押壓部)(27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압압부(27a)는 커버 오픈 버튼(18)에 대향하는 위치(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고, 커버 오픈 버튼(18)을 누르면 압압부(27a)도 가압되어 요동하고, 헤드 브래킷(27)에 의한 개폐 커버(3)의 보지 상태가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개폐 커버(3)의 보지 상태가 해제되면, 개폐 커버(3)는 그 길이 방향 타단부 측의 개폐 지지축(3a)에 배치된 토션 스프링(31)의 가압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열리게 되어 있다.
서멀 헤드(28)는, 예를 들면 문자, 기호, 도형 또는 바코드 등과 같은 정보를 라벨 연속체 P에 인자하는 인자 수단이며, 개폐 커버(3)의 폐지시에 플라텐 롤러(10)에 대향하도록 서멀 헤드(28)의 인자면을 통지 루트를 향한 상태로 회로 기판(32)을 통하여 헤드 브래킷(27)에 실장되어 있다. 서멀 헤드(28)의 인자면에는, 통전에 의해 발열하는 복수의 발열 저항체(발열 소자)가 라벨 연속체 P의 폭 방향(짧은 방향)을 따라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회로 기판(32)은 서멀 헤드(28)에 인자 신호를 전송하는 배선 기판이다.
코일 스프링(29)은 개폐 커버(3)의 폐지시에 헤드 브래킷(27) 및 서멀 헤드(28)를 플라텐 롤러(10) 측으로 가압하는 부재이며, 헤드 브래킷(27)의 배면 측(회로 기판(32)의 실장면(實裝面)의 이면 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코일 스프링(29)의 가압력에 의해 헤드 브래킷(27)이 플라텐 롤러(10) 측으로 가압되므로, 헤드 브래킷(27)의 홈 내에 끼워진 플라텐 축(10a)도 가압되어 헤드 브래킷(27)에 의한 개폐 커버(3)의 보지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반송판(30)은 용지 수용부(6) 내로부터 송출된 시트형 라벨 연속체 P(도 2 참조)를 플라텐 롤러(10)를 향해 반송하기 위한 통지 루트를 형성하는 부재이다(반송판(30)에 대해서는 후술함). 배터리 수용부는 프린터(1) 구동용 배터리를 수용하는 구성부이며, 상기한 배터리 커버(8)(도 2 참조)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배터리로서는 예를 들면 리튬 이온 전지가 사용된다.
다음에, 개폐 커버(3)의 구조에 대하여 도 4~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개폐 커버를 기어(10b)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개폐 커버의 돌출 헤드부의 확대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개폐 커버의 측면도, 도 7은 개폐 커버를 용지 수용부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개폐 커버(3)의 개방 단부의 이면 측에는, 내부 커버(3b)가 나사 N에 의해 장착 및 분리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이 내부 커버(3b)에는 개폐 커버(3)의 개방 단부의 플라텐 롤러(10)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을 향해 돌출하는 돌출 헤드부(3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 헤드부(3c)는, 그 두께가 플라텐 롤러(10)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을 향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 헤드부(3c)의 플라텐 롤러(10) 측에 플라텐 롤러(10)의 길이 방향의 양단 측에는 보지부(3d)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보지부(3d)는 플라텐 축(10a)의 외주 일부를 에워싸도록 절곡되어 있다. 이 보지부(3d)에 의해, 플라텐 축(10a)(즉, 플라텐 롤러(10))이 회전 가능한 상태로 보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플라텐 축(10a)(플라텐 롤러(10))을 보지하는 부재를 돌출 헤드부(3c)에 일체로 형성한 것에 의해, 플라텐 축(10a)(플라텐 롤러(10))을 보지하는 부재를 별도로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프린터(1)를 소형화할 수 있고, 또, 프린터(1)의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또, 돌출 헤드부(3c)는 제1 면 S1, 그 이면 측에 위치하는 제2 면 S2, 돌출 헤드부(3c)의 선단에 위치하는 제3 면(접속부의 일례) S3를 가지고 있다. 제1 면 S1은 시트형 라벨 연속체 P의 통지(通紙) 루트(피드시 및 백 피드시의 반송로)를 형성하는 내벽면이며, 개폐 커버(3)의 폐지시에 시트형 라벨 연속체 P의 점착제층이 대향하는 내벽면이다. 이 제1 면 S1에는 상기한 센서(12)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이 제1 면 S1에서 플라텐 롤러(10) 측의 단부에는 장출부(3e)가 돌출 헤드부(3c)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장출부(3e)는 플라텐 롤러(10)의 길이 방향의 단부로부터 단부에 걸쳐 플라텐 롤러(10)의 외주 일부에 마주하도록 제1 면 S1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장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2 면 S2는 개폐 커버(3)의 폐지시에 용지 수용부(6)(즉, 롤형 라벨 연속체 P의 외주)에 대향하는 내벽면이며, 예를 들면 롤형 라벨 연속체 P의 외주에 맞추어 만곡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3 면 S3는 제1 면 S1 및 제2 면 S2에 대해서 교차하도록 설치되고, 제1 면 S1과 제2 면 S2를 접속하는 내벽면이다. 이 제3 면 S3는, 예를 들면 대략 평탄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 제3 면 S3의 형상은 평탄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만곡형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돌출 헤드부(3c)의 표면(장출부(3e)의 표면, 제1 면 S1, 제2 면 S2 및 제3 면 S3)에는, 플라텐 롤러(1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리브 R이 플라텐 롤러(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있다. 각 리브 R은 제1 리브부(제1 돌출부의 일례) R1, 제2 리브부(제2 돌출부의 일례) R2, 제3 리브부(제3 돌출부의 일례) R3, 제4 리브부(제4 돌출부의 일례) R4 및 제5 리브부(제5 돌출부의 일례) R5를 가지고 있다.
리브 R의 제1 리브부 R1은, 개폐 커버(3) 측면에서 볼 때 장출부(3e)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리브부 R1은 제1 면 S1을 향해서 보면 플라텐 롤러(1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연장 방향에서 플라텐 롤러(10) 측의 단부는 선단을 향해 뾰족한 상태로 종단(終端) 하고 있는 한편, 제1 리브부 R1의 연장 방향에서 제1 면 S1 측은 제2 리브부 R2와 연속하여 접하고 있다.
제1 리브부 R1의 폭 방향(짧은 방향)의 양측에는 상기한 장출부(3e)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장출부(3e)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리브부 R1의 애스팩트비(aspect ratio)를 낮게 함과 함께 제1 리브부 R1의 다리부의 폭 방향 양측을 보지함으로써, 제1 리브부 R1의 기계적 강도를 높이는 보강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리브 R의 제2 리브부 R2는, 개폐 커버(3) 측면에서 볼 때 제1 면 S1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2 리브부 R2는 장출부(3e)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제2 리브부 R2도 제1 면 S1을 향해서 보면 플라텐 롤러(1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연장 방향의 단부는 플라텐 롤러(10)와 제3 면 S3 사이에서 종단하고 있다.
리브 R의 제3 리브부 R3는, 개폐 커버(3) 측면에서 볼 때 제1 면 S1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3 리브부 R3도 제1 면 S1을 향해서 보면 라벨 연속체 P의 반송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이 제3 리브부 R3는 제2 리브부 R2의 연장 선상에 형성되어 있지만, 제2 리브부 R2와는 연속하여 접하지 않고, 제2 리브부 R2로부터 이격된 제3 면 S3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2 리브부 R2와 제3 리브부 R3 사이에는 리브 R이 없는 영역이 있고, 개폐 커버(3)의 돌출 헤드부(3c)의 제1 면 S1에서 라벨 연속체 P의 반송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리브 R은 플라텐 롤러(10)와 제3 면 S3 사이에서 분단되어 있다.
리브 R의 제4 리브부 R4는, 개폐 커버(3) 측면에서 볼 때 돌출 헤드부(3c) 선단면의 제3 면 S3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4 리브부 R4도 제3 면 S3를 향해서 보면 라벨 연속체 P의 반송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그 연장 방향의 일단은 제1 면 S1의 제3 리브부 R3와 연속하여 접하고, 타단은 제2 면 S2의 제5 리브부 R5와 연속하여 접하고 있다. 이 제4 리브부 R4의 돌출 길이(돌출 높이)는, 제1 리브부 R1, 제2 리브부 R2, 제3 리브부 R3 및 제5 리브부 R5의 돌출 길이보다 길게(높게)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피드시의 시트형 라벨 연속체 P는 플라텐 롤러(10)와 제3 면 S3 사이에서 플라텐 롤러(10)와 제4 리브부 R4의 두 접점(2개소)에서 지지된 상태로 반송된다.
리브 R의 제5 리브부 R5는, 개폐 커버(3) 측면에서 볼 때 제2 면 S2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5 리브부 R5의 돌출 길이(돌출 높이)는 제1 리브부 R1, 제2 리브부 R2, 제3 리브부 R3의 돌출 길이(돌출 높이)보다 낮다. 제5 리브부 R5는 제2 면 S2를 향해서 볼 때 롤형 라벨 연속체 P의 회전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이 제5 리브부 R5를 설치함으로써, 롤형 라벨 연속체 P가 용지 수용부(6) 내에서 굴렀을 경우에, 롤형 라벨 연속체 P의 외주가 제2 면 S2 측에서 접촉하는 개소를 대략 제5 리브부 R5로 저감할 수 있으므로, 롤형 라벨 연속체 P가 회전할 때의 마찰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다음에, 프린터(1)의 반송판(30)의 구조에 대하여 도 8~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개폐 커버의 주요부 및 반송판의 사시도, 도 9는 개폐 커버의 폐지시에 개폐 커버의 돌출 헤드부의 제1 면에 대향하는 반송판의 사시도, 도 10은 개폐 커버 및 반송판을 하방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1은 개폐 커버, 반송판 및 용지 가이드 기구를 하방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에서는 반송판(30)과 돌출 헤드부(3c)의 대향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반송판(30)을 투과하여 나타내고 있다.
개폐 커버(3)의 폐지시에 개폐 커버(3)의 돌출 헤드부(3c)의 제1 면 S1의 맞은편에는, 반송판(30)이 장착 및 분리 가능한 상태로 나사 고정되어 있다. 이 반송판(30)에서, 돌출 헤드부(3c)의 제1 면 S1에 대향하는 면에는 플라텐 롤러(1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리브(제6 돌출부의 일례) Rb가 플라텐 롤러(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있다. 이 반송판(30)의 각 리브 Rb는, 반송판(30)의 맞은편의 돌출 헤드부(3c)의 제1 면 S1에 형성된 각 리브 R의 정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라벨 연속체 P에 대한 리브 R, Rb의 접촉 위치를 동일하게 할 수 있으므로, 리브 R, Rb의 접촉에 의해 라벨 연속체 P에 형성되는 리브 자취의 위치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리브 R과 리브 Rb와의 대향 위치를 어긋나게 한 경우와 비교하여, 라벨 연속체 P에 남겨지는 리브 자취의 라인 수를 적게 할 수 있다.
반송판(30)의 하변부(본체 케이스(2) 내의 바닥면 측)의 폭 방향(플라텐 롤러(10)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에는, 반송판(30)의 하변부로부터 본체 케이스(2) 내의 바닥면을 향해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지지편(30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편(30a)의 선단의 바닥면에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pinion gear, 기어 부재의 일례)(7b)가 본체 케이스(2) 내의 바닥면을 따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축지지되어 있다. 한편,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판(7a)의 각각의 바닥부에는, 서로의 방향을 향해 밴드형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랙(rack)부(7c)가 설치되어 있다. 이 한 쌍의 랙부(7c)는 그 각각의 긴 변에 형성된 복수의 요철(凹凸)을 상기한 피니언 기어(7b)의 요철에 계합시킨 상태로 피니언 기어(7b)를 협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한쪽의 가이드판(7a)을 롤형 라벨 연속체 P의 폭 방향의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다른 쪽의 가이드판(7a)이 피니언 기어(7b)와 랙부(7c)의 작용에 의해 상기 일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반송판(30)의 하부의 지지편(30a)에 피니언 기어(7b)를 설치함으로써, 본체 케이스(2)내의 바닥면에 피니언 기어(7b)를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프린터(1)를 소형화할 수 있다.
다음에, 프린터(1)의 인자 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도 12~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인자 공정 중의 도 1a 및 도 1b의 프린터를 측면으로부터 본 개략 구성도, 도 13은 도 12의 프린터의 주요부 확대 개략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12~도 18에서는 프린터(1)를 세로 설치로 사용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지 수용부(6)로부터 시트형으로 송출된 라벨 연속체 P를 개폐 커버(3)의 돌출 헤드부(3c)의 선단의 제4 리브부 R4를 통하여 서멀 헤드(28)와 플라텐 롤러(10) 사이에 끼워넣는다. 이 경우, 시트형 라벨 연속체 P의 점착제층은 노출 상태로 개폐 커버(3)의 제1 면 S1 및 플라텐 롤러(10)를 향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플라텐 롤러(10)를 회전시킴으로써 시트형 라벨 연속체 P를 피드 방향으로 반송한다. 이 때, 센서(12)에 의해 검출된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인자 타이밍을 도모하여 서멀 헤드(28)에 송신된 인자 신호에 기초하여 서멀 헤드(28)의 발열 저항체의 발열 주사에 의해 라벨 연속체 P의 서멀 라벨에 원하는 정보를 인자한다. 이 경우, 개폐 커버(3)의 돌출 헤드부(3c)의 선단이 돌출되어 있는 것에 의해, 용지 수용부(6)로부터 돌출 헤드부(3c)의 선단의 제4 리브부 R4를 경유하여 피드 방향 하류에 위치하는 서멀 헤드(28) 및 플라텐 롤러(10) 사이에 보내지는 시트형 라벨 연속체 P를 롤형 라벨 연속체 P의 직경의 대소에 관계없이 롤형 라벨 연속체 P로부터 양호하게 뗄 수 있다.
또,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지 수용부(6)로부터 시트형으로 송출된 라벨 연속체 P의 점착제층은 개폐 커버(3)의 돌출 헤드부(3c)의 선단(제3 면 S3)의 제4 리브부 R4에 접촉된 상태로 보내진다. 즉, 제4 리브부 R4를 설치함으로써, 라벨 연속체 P의 점착제층이 제3 면 S3 측에서 접촉하는 개소를 제4 리브부 R4로 한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피드시에 시트형 라벨 연속체 P의 점착제층이 제3 면 S3에 접촉하는 경우에 생기는 접촉 저항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그 접촉에 기인한 인자 혼란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 피드시에 시트형 라벨 연속체 P의 점착제층이 제3 면 S3에 붙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으므로, 그 붙음에 기인한 잼의 발생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시트형 라벨 연속체 P를 원활하게 반송할 수 있고, 라벨 연속체 P를 반송하기 위한 동력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프린터(1)의 배터리 소모를 저감할 수 있다.
또, 제4 리브부 R4의 돌출 길이(돌출 높이)를 개폐 커버(3)의 돌출 헤드부(3c)의 제1 면 S1의 제1 리브부 R1, 제2 리브부 R2 및 제3 리브부 R3의 돌출 길이보다 길게(높게) 한 것에 의해, 시트형 라벨 연속체 P는 제4 리브부 R4와 플라텐 롤러(10)의 두 접점(2부분)에서 지지된다. 그러므로, 통상 피드시에 시트형 라벨 연속체 P의 점착제층은 제1 면 S1 측에 접촉하지 않지만, 만일 동작 상황에 따라 시트형 라벨 연속체 P의 점착제층이 제1 면 S1에 접근했다 하더라도, 그 점착제층의 접촉 개소를 제1 리브부 R1, 제2 리브부 R2 및 제3 리브부 R3로 한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피드시에 시트형 라벨 연속체 P의 점착제층이 제1 면 S1에 붙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으므로, 그 붙음에 기인한 잼의 발생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시트형 라벨 연속체 P를 원활하게 반송할 수 있고, 라벨 연속체 P를 반송하기 위한 동력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프린터(1)의 배터리 소모를 저감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4는 도 12에 이어지는 인자 공정 중의 프린터를 측면으로부터 본 개략 구성도, 도 15는 도 14에 이어지는 인자 공정 중의 프린터를 측면으로부터 본 개략 구성도이다. 여기서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벨 연속체 P의 인자 후의 라벨 부분을 프린터(1)의 발행구로부터 외부로 배출한 후,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라벨 부분을 손가락으로 잡아서 커터(20)의 에지를 사용하여 떼어낸다.
이어서, 도 16은 백 피드 공정 중의 프린터를 측면으로부터 본 개략 구성도, 도 17은 발명자가 검토한 백 피드 공정 중의 프린터를 측면으로부터 본 주요부 확대 개략 구성도, 도 18은 도 16의 프린터의 주요부 확대 개략 구성도이다.
여기서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형 라벨 연속체 P를 백 피드함으로써 라벨 연속체 P의 후속의 라벨 부분을 인자 위치(서멀 헤드(28) 측)로 되돌린다.
이 백 피드 공정에서, 도 1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 커버(3)의 돌출 헤드부(3c)의 제1 면 S1에서 플라텐 롤러(10) 측의 단부에 제1 리브부가 없으면, 서멀 헤드(28)의 위치로부터 플라텐 롤러(10)의 외주에 약간 부착한 상태로 돌출 헤드부(3c) 측에 보내진 시트형 라벨 연속체 P가, 플라텐 롤러(10)와 돌출 헤드부(3c)의 간극(파선 A로 나타낸 곳)에 말려 들어가 플라텐 롤러(10) 측의 돌출 헤드부(3c)의 단부에 붙어 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서멀 헤드(28)와 플라텐 롤러(10) 사이에 대지가 없는 라벨을 장시간에 걸쳐 협지(挾持)시키면 이와 같이 붙음 잼이 발생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멀 헤드(28)의 위치로부터 플라텐 롤러(10)의 외주에 약간 부착한 상태로 돌출 헤드부(3c) 측에 보내진 시트형 라벨 연속체 P를, 제1 리브부 R1에 의해 플라텐 롤러(10)의 외주로부터 박리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7의 파선 A로 나타낸 곳보다 백 피드 방향의 상류 측(피드 방향의 하류 측)에서, 시트형 라벨 연속체 P를 플라텐 롤러(10)의 외주로부터 박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시트형 라벨 연속체 P가 플라텐 롤러(10)와 돌출 헤드부(3c)의 간극에 말려들어가는 것도, 돌출 헤드부(3c)에서 플라텐 롤러(10) 측의 단부에 붙는 것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백 피드시에 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라벨 박리 기능의 관점에서 제1 리브부 R1의 높이 및 플라텐 롤러(10) 측의 선단 형상이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장출부(3e)를 설치하지 않고 제1 리브부 R1만을 설치하는 경우, 상기 라벨 박리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제1 리브부 R1의 높이가 높아지고 제1 리브부 R1의 애스팩트비가 높아지는 결과, 제1 리브부 R1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어 제1 리브부 R1이 변형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출부(3e)를 설치함으로써, 제1 리브부 R1의 높이를 장출부(3e)가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낮게 하는(애스팩트비를 낮게 함) 것이 가능하므로, 제1 리브부 R1 자체의 기계적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제1 리브부 R1의 다리부에서 폭 방향의 양측에 제1 리브부 R1를 협지하도록 장출부(3e)를 설치함으로써, 제1 리브부 R1의 기계적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즉, 장출부(3e)는 제1 리브부 R1의 보강 부재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에 의해, 제1 리브부 R1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백 피드 공정에서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형 라벨 연속체 P가 돌출 헤드부(3c)의 제1 면 S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휘지만, 제1 면 S1에 제1 리브부 R1, 제2 리브부 R2 및 제3 리브부 R3를 설치함으로써 시트형 라벨 연속체 P의 점착제층의 접촉 개소를 제1 리브부 R1, 제2 리브부 R2 및 제3 리브부 R3로 한정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백 피드 공정에서도 시트형 라벨 연속체 P의 점착제층이 제1 면 S1에 붙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으므로, 그 붙음에 기인한 잼의 발생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 백 피드시에도 시트형 라벨 연속체 P를 원활하게 반송할 수 있고, 라벨 연속체 P를 반송하기 위한 동력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프린터(1)의 배터리 소모를 저감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리브 R에서 제2 리브부 R2와 제3 리브부 R3를 분단한 것에 의해, 백 피드 공정에서 시트형 라벨 연속체 P의 점착제층이 제2 리브부 R2 및 제3 리브부 R3에 접촉하는 면적도 저감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백 피드 공정에서의 라벨 연속체 P의 반송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행해진 발명을 실시형태에 기초를 두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고 개시된 기술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는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의 설명에 기초하여 제한적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고, 어디까지나 특허 청구의 범위의 기재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의 기재 기술과 균등한 기술 및 특허 청구의 범위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모든 변경이 포함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통상 발행과 박리 발행의 양쪽에 사용 가능한 겸용형 프린터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상 발행에만 사용 가능한 프린터에 적용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인자 매체로서 대지가 없고 일면에 점착제층을 가지는 연속 형태의 라벨(대지가 없는 라벨)을 사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복수개의 라벨을 장척 밴드형의 대지에 임시로 부착한 라벨 연속체(대지가 있는 라벨), 점착제층을 가지고 있지 않은 연속 형태의 시트(연속 시트) 또는 종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멀 헤드에 의해 인자 가능한 필름 등을 인자 매체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대지가 있는 라벨, 연속 시트 또는 필름은 위치 검출 마크를 설치할 수 있다.

Claims (9)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한쪽 면에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인자(印字) 매체를 수용하는 인자 매체 수용부,
    상기 하우징에 개폐 가능한 개폐 커버,
    상기 개폐 커버의 개방 단부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인자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롤러,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반송 롤러에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인자 매체에 인자를 행하는 인자 헤드,
    상기 인자 매체 수용부로부터 상기 반송 롤러를 향해 반송되는 상기 인자 매체의 점착제층에 대향하는 제1 면,
    상기 제1 면에 설치되고, 상기 반송 롤러의 외주(外周) 일부와 마주하도록 장출(張出)된 상태로 형성된 장출부,
    상기 장출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1 돌출부
    를 구비하는 프린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에 상기 제1 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2 돌출부를 설치하고, 상기 제2 돌출부를 상기 반송 롤러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시켜 상기 제1 돌출부와 연속으로 접하게 하는, 프린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면에서 상기 제2 돌출부의 연장 선상이며 상기 제1 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3 돌출부를 상기 제2 돌출부와는 이격된 상태로 설치한, 프린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커버의 개방 단부에는, 상기 반송 롤러로부터 이간(離間)되는 방향을 향해 두께가 좁아지는 돌출 헤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 헤드부는, 상기 개폐 커버의 폐지(閉止)시에 상기 인자 매체 수용부로부터 상기 반송 롤러를 향해 반송되는 상기 인자 매체의 점착제층에 대향하는 제1 면, 상기 개폐 커버의 폐지시에 상기 인자 매체 수용부에 대향하는 제2 면, 및 상기 돌출 헤드부의 선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접속하는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반송 롤러와 상기 접속부 사이에서 종단(終端)하고, 상기 제1 면에서 상기 제2 돌출부의 연장 선상이며 상기 접속부 측에, 상기 제1 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3 돌출부를 상기 제2 돌출부와는 이격된 상태로 설치한, 프린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의 표면에 그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4 돌출부를 설치한, 프린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면에 그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5 돌출부를 설치한, 프린터.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커버의 상기 돌출 헤드부는, 상기 반송 롤러를 보지(保持)하는 보지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프린터.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개폐 커버의 폐지시의 상기 제1 면의 맞은편에 상기 인자 매체의 반송로를 형성하는 반송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상기 반송 부재의 표면에서 상기 제1 돌출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반송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6 돌출부를 설치한, 프린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개폐 커버의 폐지시의 상기 제1 면의 맞은편에 상기 인자 매체의 반송로를 형성하는 반송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인자 매체 수용부 내에 상기 인자 매체의 폭 방향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부재의 한쪽을 상기 인자 매체의 폭 방향으로 이동시킨 경우, 그 이동을 다른 쪽의 가이드 부재에 전달하는 기어 부재를, 상기 반송 부재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한, 프린터.
KR1020167031284A 2014-08-18 2015-04-08 프린터 KR1018055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65847 2014-08-18
JP2014165847A JP5852715B1 (ja) 2014-08-18 2014-08-18 プリンタ
PCT/JP2015/060949 WO2016027500A1 (ja) 2014-08-18 2015-04-08 プリン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790A true KR20160143790A (ko) 2016-12-14
KR101805555B1 KR101805555B1 (ko) 2017-12-07

Family

ID=55238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1284A KR101805555B1 (ko) 2014-08-18 2015-04-08 프린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82990B2 (ko)
EP (1) EP3184314B1 (ko)
JP (1) JP5852715B1 (ko)
KR (1) KR101805555B1 (ko)
CN (1) CN106457851B (ko)
WO (1) WO20160275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04475B2 (en) * 2015-05-08 2017-03-28 Zih Corp. Media processing device with enhanced media and ribbon loading and unloading features
JP6856994B2 (ja) * 2016-09-13 2021-04-14 サト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プリンタ
US9937735B1 (en) * 2017-04-20 2018-04-10 Datamax—O'Neil Corporation Self-strip media module
CN108016151B (zh) * 2017-12-26 2023-12-19 竹林伟业科技发展(天津)股份有限公司 一种无底纸物流标签打印机
JP1617157S (ko) * 2018-02-09 2018-11-05
JP7271922B2 (ja) * 2018-11-30 2023-05-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JP2022104156A (ja) * 2020-12-28 2022-07-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US20230339712A1 (en) * 2022-04-22 2023-10-26 Xiamen Iprt Technology Co., Ltd. Label printer
US20230339243A1 (en) * 2022-04-22 2023-10-26 Xiamen Iprt Technology Co., Ltd. Smart label printer and print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3160A (ja) * 1999-08-25 2001-03-13 Seiko Instruments Inc 感圧式プリンタ
JP2006026931A (ja) 2004-07-12 2006-02-02 Brother Ind Ltd 印刷装置
CN100469658C (zh) * 2004-12-27 2009-03-18 精工爱普生株式会社 带有剥离器的打印机
DE602005025078D1 (de) * 2004-12-27 2011-01-13 Seiko Epson Corp Drucker zum Drucken von Etiketten mit einem Abziehmechanismus zum Abziehen von Etiketten von einem Band
JP4639173B2 (ja) * 2006-09-11 2011-02-23 株式会社サトー プリンタ
US20080095565A1 (en) * 2006-10-23 2008-04-24 Zih Corp. Printer With Platen Support Device for Linerless Media and Associated Method
JP2009107287A (ja) * 2007-10-31 2009-05-21 Fujitsu Isotec Ltd プリンタ装置
JP5351648B2 (ja) 2009-07-30 2013-11-27 サト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ーにおける台紙なしラベルの巻込み防止装置
JP2011037231A (ja) * 2009-08-18 2011-02-24 Ishida Co Ltd ラベル発行装置
CN101722746B (zh) * 2009-12-17 2011-09-28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打印机及其容纸组件和纸用尽检测机构
JP5873326B2 (ja) * 2011-12-22 2016-03-01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
JP2013215899A (ja) 2012-04-04 2013-10-24 Teraoka Seiko Co Ltd 台紙レスラベルプリンタ
JP6262429B2 (ja) * 2012-12-27 2018-01-17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プリンタ
JP6004968B2 (ja) 2013-02-27 2016-10-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受信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84314B1 (en) 2021-07-28
EP3184314A4 (en) 2018-04-11
US20170072723A1 (en) 2017-03-16
CN106457851A (zh) 2017-02-22
US9782990B2 (en) 2017-10-10
JP2016041482A (ja) 2016-03-31
WO2016027500A1 (ja) 2016-02-25
EP3184314A1 (en) 2017-06-28
JP5852715B1 (ja) 2016-02-03
KR101805555B1 (ko) 2017-12-07
CN106457851B (zh) 2018-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5555B1 (ko) 프린터
KR101876821B1 (ko) 프린터
JP5850977B2 (ja) プリンタ
JP5823011B1 (ja) プリンタ
CN108839446B (zh) 打印机
US10308053B2 (en) Printer for printing on a print medium temporarily adhered to a belt-shaped mount
US9561673B2 (en) Printer
JP6121510B2 (ja) プリンタ
JP6301183B2 (ja) プリンタ
WO2015198681A1 (ja) ラベルプリンタ
US10549939B2 (en) Printer
JP6262032B2 (ja) プリンタ
JP6358759B2 (ja) プリンタ
JP2016022711A (ja) プリンタ
JP6257487B2 (ja) プリンタ
JP6494256B2 (ja) ラベルプリンタ
JP6497901B2 (ja) プリンタ
JP2015231694A (ja) プリンタ
JP6381104B2 (ja) プリ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