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3710A - 인조 속눈썹 - Google Patents

인조 속눈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3710A
KR20160143710A KR1020167030263A KR20167030263A KR20160143710A KR 20160143710 A KR20160143710 A KR 20160143710A KR 1020167030263 A KR1020167030263 A KR 1020167030263A KR 20167030263 A KR20167030263 A KR 20167030263A KR 20160143710 A KR20160143710 A KR 20160143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lashes
housing
folded
fixed
artifi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0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지 나카무라
도시히코 오히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타이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타이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타이키
Publication of KR20160143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37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2Artificial eyelashes; Artificial eyebrow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mers of halogenated hydrocarbons
    • D10B2321/041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mers of halogenated hydrocarbons polyvinyl chloride or polyvinylidene chlorid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4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41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thermoplastic; thermosett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Cosmetic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조 속눈썹으로서의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고, 눈꺼풀에 대한 장착성이 우수하며, 자연스러운 외관을 갖는 인조 속눈썹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인조 속눈썹은 축사(axial fiber)(10)와 그 축사에 대해 배치된 속눈썹재(21, 22)를 포함하는 인조 속눈썹으로서, 그 속눈썹재는 그 축사를 수평으로 놓았을 때 그 축사에 대해 위쪽에 위치하는 복수의 상측 속눈썹재(21)와 그 축사에 대해 아래쪽에 위치하는 복수의 하측 속눈썹재(22)로 이루어지고, 각 상측 속눈썹재 및 각 하측 속눈썹재는 각각 하나의 속눈썹재를 되접어 꺾어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지며, 되접어 꺾어서 이루어지는 구조인 접힘부(A, B)는 그 축사에 인접해 있고, 접힘부를 갖는 복수의 상측 속눈썹재 및 복수의 하측 속눈썹재는 축사의 길이방향으로 열을 형성하듯이 나열되며, 또한 그 축사의 길이방향에 대해 뻗도록 수직으로 고정되고, 그 축사의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상측 속눈썹재와 하측 속눈썹재가 번갈아 배치되며, 인접하는 상측 속눈썹재의 접힘부(A)와 하측 속눈썹재의 접힘부(B)끼리는 서로 고정되고, 그 고정된 접힘부가 그 축사에 고정됨으로써 귀부분(lug portion)(C)이 형성되며, 그 귀부분이 형성됨으로써 그 접힘부를 그 축사에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조 속눈썹{False eyelashes}
본 발명은 인조 속눈썹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여성의 화장술의 하나로서 눈을 크고 아름답게 보이기 위해 인조 속눈썹이 애용되고 있다.
종래 인조 속눈썹을 제조하는 데는 사람의 손에 의해 두발 등의 장섬유의 모재를 축사에 다수 결착하여 만들어지고 있다. 자주 행해지는 결착 방법으로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섬유의 모재를 둘로 꺾어 구부려, 그 꺾어 구부린 부분을 코어 실에 한번 감아서 꺾어 구부린 부분에 형성시킨 루프에 상기 장섬유의 양단을 통과시킨 다수의 모재를 결착하여, 그 결착 부분을 접착제로 고정화하고, 선단부를 커트하여 인조 속눈썹을 제조하고 있다(특허문헌 1).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인조 속눈썹은 매우 가느다란 속눈썹재를 수작업으로 축사에 대해 균등하게 나열해 가는 데 숙련을 요하며, 균등하게 배치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속눈썹재가 축사에 대해 균일하게 결착되지 못해 소밀(疏密)한 외관이 되어 겉보기가 나빠져 자연스러운 외관을 갖지 않는 것도 있었다. 또한 속눈썹재가 축사에 대해 균일하게 고정화되지 못하기 때문에 소위 귀부분(lug portion)이 변형되어버려 눈꺼풀에 대한 장착감이 나쁘다는 문제도 있었다.
일본국 특허공고 소53-19265호 공보
인조 속눈썹은 눈을 크고 아름답게 보이기 위해 장착되는 것이기 때문에 장착감은 물론 속눈썹이 균등하게 소밀하지 않게 배치된 치수가 안정된 것, 자연스러운 외관을 갖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예의 검토를 거듭하여 인조 속눈썹으로서의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고, 눈꺼풀에 대한 장착감이 우수하며, 자연스러운 외관을 갖는 인조 속눈썹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아래의 구성을 구비한다.
1. 축사(axial fiber)와 그 축사에 대해 배치된 속눈썹재를 포함하는 인조 속눈썹으로서,
그 속눈썹재는 그 축사를 수평으로 놓았을 때 그 축사에 대해 위쪽에 위치하는 복수의 상측 속눈썹재와 그 축사에 대해 아래쪽에 위치하는 복수의 하측 속눈썹재로 이루어지고,
각 상측 속눈썹재 및 각 하측 속눈썹재는 각각 하나의 속눈썹재를 되접어 꺾어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지며,
되접어 꺾어 이루어지는 구조인 접힘부(folded portion)는 그 축사에 인접해 있고,
접힘부를 갖는 복수의 상측 속눈썹재 및 복수의 하측 속눈썹재는 축사의 길이방향으로 열을 형성하듯이 나열되며, 또한 그 축사의 길이방향에 대해 뻗도록 수직으로 고정되고,
그 축사의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상측 속눈썹재와 하측 속눈썹재가 번갈아 배치되며,
인접하는 상측 속눈썹재의 접힘부와 하측 속눈썹재의 접힘부끼리는 서로 고정되고,
그 고정된 접힘부가 그 축사에 고정됨으로써 귀부분(lug portion)이 형성되며,
그 귀부분이 형성됨으로써 그 접힘부를 그 축사에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인조 속눈썹.
2. 상측 속눈썹재의 접힘부와 하측 속눈썹재의 접힘부는 인접하는 접힘부끼리의 니트짜기 구조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는 1에 기재된 인조 속눈썹.
3. 상측 속눈썹재의 접힘부와 하측 속눈썹재의 접힘부는 인접하는 접힘부끼리 오버로크 실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는 1에 기재된 인조 속눈썹.
4. 상측 속눈썹재의 접힘부와 하측 속눈썹재의 접힘부는 인접하는 접힘부끼리의 니트짜기 구조 및 오버로크 실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는 1에 기재된 인조 속눈썹.
5. 상기 축사, 상기 상측 속눈썹재 및 상기 하측 속눈썹재가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올레핀 섬유, 폴리염화비닐 섬유, 천연섬유, 셀룰로오스계 섬유로부터 선택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인조 속눈썹.
6. 상기 축사, 상기 상측 속눈썹재 및 상기 하측 속눈썹재 중 어느 하나에 항균제가 배합 또는 도포되어 있는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인조 속눈썹.
7. 상기 축사는 적어도 일부가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가 아닌 재료로 이루어지는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인조 속눈썹.
본 발명에 의하면 인조 속눈썹으로서의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고, 눈꺼풀에 대한 장착감이 우수하며, 자연스러운 외관을 갖는 인조 속눈썹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의 제조방법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제2 실시형태의 제조방법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제3 실시형태의 제조방법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인조 속눈썹의 개략도이다.
부호의 설명
1…인조 속눈썹
10…축사(axial fiber)
21…상측 속눈썹재
22…하측 속눈썹재
23…상측 속눈썹재의 접힘부가 되는 씨실의 루프
24…하측 속눈썹재의 접힘부가 되는 씨실의 루프
30…오버로크 실
31…날실
32…씨실
33…바늘
A…상측 속눈썹재의 접힘부
B…하측 속눈썹재의 접힘부
C…귀부분(lug por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속눈썹재란 속눈썹에 상당하는 인조 속눈썹의 모 부분을 구성하는 재료이며, 축사란 복수의 각 속눈썹재가 축사의 길이방향으로 행렬하듯이 순차 고정됨으로써, 각 속눈썹재가 축사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뻗도록 하여 가로로 열이 늘어서도록 고정하기 위한 실이다. 그리고 상측 속눈썹재 및 하측 속눈썹재의 한쪽이 위쪽에 다른 쪽이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상측 속눈썹재의 축사를 수평으로 놓았을 때의 축사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고정되는 속눈썹재이며, 하측 속눈썹재는 그 반대로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고정되는 속눈썹재이다. 이들 상하의 속눈썹재는 축사의 길이방향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 서로 반대쪽 면 쪽에 고정되는 것이다. 인조 속눈썹을 놓는 법에 따라서는 또한 상측 속눈썹재가 아래쪽에 위치하고, 하측 속눈썹재가 위쪽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축사의 길이방향에 대해 속눈썹재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수직이란 정확히 수직으로 할 필요는 전혀 없으며, 인조 속눈썹을 사용할 때에 속눈썹이 나는 방향의 범위에 속눈썹재가 향하고 있는 정도의 각도를 말한다.
상하 속눈썹재의 접힘부란 하나의 속눈썹재가 축사에 고정되는 개소에 있어서 그 속눈썹재가 꺾여 구부러지고, 그 꺾여 구부러져 형성된 접힘부를 말한다.
축사에 인접한 접힘부란 축사에 접하여 접힘부를 배치한 후 귀부분을 형성시키기까지의 공정에 있어서, 접힘부가 축사와 일체가 되는 것이 가능할 정도로 접힘부가 축사에 접하여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상태를 말한다. 가령 접힘부가 축사에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접힘부가 축사로부터 떨어져 위치하게 되어 그 후에 축사에 대해 고정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니트짜기 구조란, 서로 이웃하는 속눈썹재의 접힘부를 형성하는 루프부를 한쪽의 루프 가운데를 다른 쪽 루프에 통과시키거나 하여 니트를 형성한 것처럼 루프끼리를 고정시켜서 이루어지는 구조, 및/또는 각 루프를 오버로크 실이라 칭하는 별도의 실로 짜듯이 하여 일체화시켜 이루어지는 구조를 말한다.
또한 오버로크 실은 서로 이웃하는 속눈썹재의 접힘부를 이어서 결합시키기 위한 실이다.
또한 귀부분이란 복수의 속눈썹재의 접힘부가 축사에 고정된 개소를 말한다.
또한 상기 축사의 적어도 일부가 열가소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축사와 속눈썹재를 열융착시켜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열융착은 축사와 상하 속눈썹재 사이 및 축사와 상하 속눈썹재의 접힘부 사이 중 어느 하나 이상, 추가로 필요에 따라 오버로크 실을 서로 가열용융하여 일체화시키는 수단으로서, 이들 재료를 완전히 용융하여, 예를 들면 니트짜기의 흔적을 남기지 않도록 용융해도 되고, 고정 가능할 정도로 부분적으로 용융하여 니트짜기를 해서 이루어지는 구조를 남기도록 가열융착하여 일체화시키는 수단이어도 된다. 축사 주위 속눈썹재의 흔적에 관해서도 가열용융에 의해 소실시켜도 되고 남겨도 된다.
또한 가열용융에 의해 축사가 용융되고, 이에 더하여 상하 속눈썹재나 오버로크 실도 그 가열온도에서 용융되는 재료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완전히 용융된 경우에는 축사, 상하 속눈썹재, 경우에 따라서는 오버로크 실이 서로 강하게 고정 가능하며, 고정 가능할 정도로 부분적으로 용융된 경우에는 귀부분 표면에 니트에 의한 표면 요철을 남길 수 있기 때문에 인조 속눈썹 사용 시에 눈꺼풀의 피부 표면에 접착제로 붙이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열융착하는 수단 대신에 상기 축사의 적어도 일부가 열경화성 재료 등의 열가소성이 아닌 재료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접착제 등에 의한 접착 등 별도 수단에 의해 축사와 속눈썹재를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인조 속눈썹에 대해 도 1 내지 도 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대해 도 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단, 실제의 인조 속눈썹은 축사(10)에 고정되며, 또한 상측 속눈썹재(21)와 하측 속눈썹재(22)도 견고하게 축사(10)에 고정되어 있으나, 도 1에 있어서는 이들 부재의 관계를 알기 쉽도록 굳이 상측 속눈썹재(21)와 하측 속눈썹재(22)를 축사(10)에 대해 느슨하게 한 상태로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인조 속눈썹(1)의 제1 형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속눈썹재(21) 및 하측 속눈썹재(22)와 상측 속눈썹재(21) 및 하측 속눈썹재(22)를 배치하는 축사(10)로 이루어지는 인조 속눈썹(1)으로서, 상측 속눈썹재(21) 및 하측 속눈썹재(22)는 접힘부(A)를 갖는 상측 속눈썹재(21)와 접힘부(B)를 갖는 하측 속눈썹재(22)로 이루어지며, 축사(10)를 위아래에서 사이에 끼워 넣듯이 상기 상측 속눈썹재(21)와 상기 하측 속눈썹재(22)가 번갈아서 인접하여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인접하는 상기 접힘부(A) 및 접힘부(B)끼리가 니트짜기 구조를 형성하고 축사(10)에 고정되어 귀부분(C)을 형성하고 있다. 그 귀부분(C)은 본 발명의 인조 속눈썹(1)을 착용할 때에 눈꺼풀과 접하는 개소가 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축사(10)가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이면 축사(10)에 접하는 상기 상측 속눈썹재(21)와 상기 하측 속눈썹재(22)가 열융착에 의해 축사(10)에 고정된다. 이때, 축사는 전체가 가열융착 시의 열에 의해 용융되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져 있어도 되고, 그러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시스부(sheath portion)와 열경화성 수지 또는 가열융착 시의 열에 의해서는 용융되지 않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코어부(core portion)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상기 축사(10)에 사용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계 섬유, 폴리염화비닐 섬유,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섬유,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섬유, 폴리염화비닐 섬유, 비닐론, 아크릴계 섬유, 견, 면이나 양모 등의 천연섬유, 또한 레이온이나 비스코스레이온 등으로 이루어지는 셀룰로오스계 섬유 등, 열가소성 수지나 열가소성 수지가 아닌 수지, 또한 천연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 염색성, 가공성, 감촉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축사(10)를 구성하는 섬유로서는 1가닥의 섬유여도 되고, 또한 복수의 섬유를 엮은 것(멀티필라멘트)이어도 되며, 또한 복수의 섬유를 꼰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축사(10)가 시스와 코어로 이루어지는 시스-코어 구조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시스부와 충분히 연화온도가 높은 열가소성 수지나 공지의 열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코어부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축사(10)의 굵기(직경)로서는 50 ㎛~300 ㎛가 바람직하며, 70 ㎛~200 ㎛가 보다 바람직하다. 축사(10)의 굵기가 상기 범위이면 눈꺼풀에 대한 장착 시에 부착하기 쉬워진다. 또한 축사(10)의 굵기는 상기 범위 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축사는 그의 단면이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예를 들면 타원형이어도 된다.
상기 상측 속눈썹재(21) 및 하측 속눈썹재(22)에 사용되는 섬유로서는 인간의 속눈썹과 동일한 감촉과 질감 등을 갖는 것이면 각종의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계 섬유, 폴리염화비닐 섬유,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섬유,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섬유, 폴리염화비닐 섬유, 비닐론, 아크릴계 섬유, 견, 면이나 양모 등의 천연섬유, 또한 레이온이나 비스코스레이온 등으로 이루어지는 셀룰로오스계 섬유 등, 열가소성 수지나 열가소성 수지가 아닌 수지, 또한 천연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 염색성, 가공성, 감촉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상측 속눈썹재(21) 및 하측 속눈썹재(22)를 구성하는 섬유로서는 1가닥의 섬유여도 되고, 또한 복수의 섬유를 엮은 것(멀티필라멘트)이어도 되며, 또한 복수의 섬유를 꼰 것이어도 된다.
상기 상측 속눈썹재(21) 및 하측 속눈썹재(22)의 굵기(직경)로서는 40 ㎛~150 ㎛가 바람직하며, 60 ㎛~100 ㎛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측 속눈썹재(21) 및 하측 속눈썹재(22)의 굵기가 상기 범위이면 인간의 속눈썹과 동일한 감촉과 질감 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측 속눈썹재(21) 및 하측 속눈썹재(22)의 굵기는 상기 범위 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상측 속눈썹재(21) 및 하측 속눈썹재(22)의 단면이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예를 들면 타원형이어도 된다. 타원형으로 한 경우에는 컬을 넣은 상측 속눈썹재(21) 및 하측 속눈썹재(22)로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축사(10), 상측 속눈썹재(21) 및 하측 속눈썹재(22)는 검은색으로 해도 되고, 갈색, 빨간색 및 다른 임의의 색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축사(10), 상측 속눈썹재(21) 및 하측 속눈썹재(22) 중 하나 이상에 항균제가 배합 또는 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항균제로서는 유기계 항균제나 무기계 항균제를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축사(10), 상측 속눈썹재(21) 및 하측 속눈썹재(22) 중 하나 이상의 섬유 표면에 상기 항균제를 도포해도 되며, 또한 이들을 구성하는 재료 중에 상기 항균제를 배합해 두어도 된다. 그 결과, 인조 속눈썹 표면에 있어서 잡균의 번식과 좋지 않은 냄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유기계 항균제로서는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파라옥시안식향산,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안식향산, 안식향산나트륨,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제토늄 또는 글루콘산클로르헥시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무기계 항균제도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은계 항균제, 예를 들면 은제올라이트, 은유리, 은인산지르코늄 등을 들 수 있다.
항균제의 도포량 또는 배합량으로서는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범위에서 적절히 조정하여 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축사(10)의 재료와 상기 상측 속눈썹재(21) 및 하측 속눈썹재(22)의 재료는 각종 조합법이 가능하며, 특정 조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제1 실시형태 이외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인조 속눈썹에 있어서도 상기와 동일한 각종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실시형태의 인조 속눈썹의 구조)
제1 실시형태의 인조 속눈썹에 사용하는 재료로서는 다음의 것을 채용하였다.
축사로서 바깥쪽이 융착되는 타입의 코어-시스형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날실로서 폴리에스테르계 섬유(150 데니어, 48 필라멘트)의 레귤러사를, 씨실로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TT 수지)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BT 수지)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채용하였다. 또한 씨실은 인조 속눈썹 부분이 되는 실이다. 또한 날실은 씨실과 함께 짜여지는 실로서, 인조 속눈썹의 제조공정 도중에 있어서 씨실로부터 제거되는 실로서, 제품으로서의 인조 속눈썹에는 남지 않는다.
또한 제1 실시형태 및 다른 실시형태에 공통되는 다른 태양으로서, 씨실로서 검정이나 갈색 등의 인조 속눈썹의 색으로서 자연스러운 색이 아닌 빨간색이나 파란색 등으로 착색된 실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해, 인조 속눈썹에 따라 씨실을 박아 넣는 피치나 씨실의 종류를 변경함으로써 각종 인조 속눈썹을 제조할 수 있으며, 하나의 인조 속눈썹에 있어서도 장소에 따라 씨실을 박아 넣는 피치나 씨실의 종류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실시형태의 인조 속눈썹(1)은 상측 속눈썹재(21) 및 하측 속눈썹재(22)와 그 상측 속눈썹재(21) 및 하측 속눈썹재(22)가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축사(1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상측 속눈썹재(21) 및 하측 속눈썹재(22)는 접힘부(A)를 갖는 상측 속눈썹재(21)와 접힘부(B)를 갖는 하측 속눈썹재(22)로 이루어진다.
접힘부(A)를 갖는 상측 속눈썹재(21)와 접힘부(B)를 갖는 하측 속눈썹재(22)는 축사(10)를 사이에 끼워 넣듯이 번갈아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접힘부(A 및 B)는 모두 축사에 가까운 장소에 위치해 있어 확실하게 인접한 상태이다.
상측 속눈썹재(21) 및 하측 속눈썹재(22)는 축사(10)에 대해 위쪽에 상측 속눈썹재(21)가 배치되고, 아래쪽에 하측 속눈썹재(22)가 배치된다. 이때, 상측 속눈썹재(21) 및 하측 속눈썹재(22)는 위아래로 포개어지도록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축사(1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쪽, 아래쪽으로 번갈아가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축사(10)의 한쪽을 향하여 상측 속눈썹재(21) 및 하측 속눈썹재(22)가 뻗도록 배치된다.
축사(10)에 니트짜기 구조의 상기 접힘부(A·B)가 열융착에 의해 고정되어 귀부분(C)이 형성되고, 또한 축사(10)에 접하는 상기 상측 속눈썹재(21)와 상기 하측 속눈썹재(22)가 고정되어 있다.
이 귀부분(C)은 인조 속눈썹(1)으로 성형되었을 때의 눈꺼풀에 장착되는 개소가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측 속눈썹재(21)와 하측 속눈썹재(22)가 대략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어 인조 속눈썹(1)으로 성형되었을 때에 자연스러운 외관을 갖게 된다. 또한 축사(10)에 니트짜기 구조의 상기 접힘부(A·B)가 결합되는 동시에 축사(10)에 접하는 상측 속눈썹재(21) 및 하측 속눈썹재(22)가 고정되는 것으로부터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다.
일반적으로 고정시키는 수단으로는 접착제 등에 의한 접착이나 열에 의한 열융착 등이 있어, 축사 및 속눈썹재에 사용하는 소재에 적합한 수단을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접착제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접착 부분이 딱딱해지지 않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나치게 딱딱해지면 눈꺼풀에 대한 장착이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열융착에 의한 고정 수단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축사(10)로서 코어-시스 구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시스가 되는 개소에 온도를 가하여 용융해서 시스 부분에 접하는 상측 속눈썹재(21) 및 하측 속눈썹재(22)를 고정시킨다.
축사(10)로서 코어-시스 구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가 아닌 재료로 이루어지는 섬유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시스 부분에 접하는 상측 속눈썹재(21) 및 하측 속눈썹재(22)를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시킨다.
이 코어-시스 구조를 갖는 섬유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계 코어-시스 섬유, 폴리아미드계 코어-시스 섬유, 장섬유에 융착사를 연사(撚絲)로 커버링한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사용하는 코어-시스 구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에 의해 고정시키기 위한 온도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섬유를 사용함으로써 고정 부분이 지나치게 딱딱해지는 것이 방지되어 인조 속눈썹(1)의 장착이 용이해진다.
또한 코어-시스 구조를 갖는 이 섬유는 일례로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와 같이 열가소성 수지 이외의 재료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제1 실시형태의 인조 속눈썹(1)은 통상 사용되는 인조 속눈썹과 동등한 크기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례로서, 눈꺼풀에 장착하는 부분(귀 조직)의 길이로서는 20 ㎜~40 ㎜이며, 상측 속눈썹재(21) 및 하측 속눈썹재(22)의 길이로서는 3 ㎜~30 ㎜이다.
본 실시형태의 인조 속눈썹(1)은 상측 속눈썹재(21)와 하측 속눈썹재(22)가 대략 균등하게 배치되어도 되기 때문에, 인조 속눈썹(1)으로 성형되었을 때 자연스러운 외관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축사(10)에 니트짜기 구조의 접힘부(A·B)가 고정되는 동시에 축사(10)에 접하는 상측 속눈썹재(21) 및 하측 속눈썹재(22)가 고정되기 때문에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다. 게다가 열융착 섬유에 의해 고정되는 것보다 눈꺼풀에 대한 장착감이 양호해진다.
(제조예 1)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인조 속눈썹의 제조예 1에 대해 도 2를 사용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인조 속눈썹은 적어도 양단부(도 2에서는 그 중 일단부만 도시)에 축사(10), 양 축사 간에 복수의 날실(31), 씨실(32) 및 바늘(33)로 구성되는 직기(織機)에 의해 적어도 한쪽의 축사(10)에서 씨실(32)을 되접어 꺾어 만들 수 있다.
되접어 꺾은 씨실(32) 단부는 루프를 형성하고 있어 그 루프가 상기 축사(10)를 위아래에서 번갈아가며 사이에 끼워 넣듯이 배치되며, 다음에 되접어 꺾기가 예정되어 있는 씨실(32)을, 앞에 형성된 루프 안을 통과시킨 바늘(33)로 그 다음에 되접어 꺾기가 예정되어 있는 씨실(32)을 잡아 그 바늘(33)을 루프 안에서 꺼내고 같은 조작을 반복하여 니트짜기 구조를 형성한다.
이로써 인접하는 접힘부끼리 니트짜기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접힘부끼리의 결합은 축사(10)에 대해 위쪽에 있는 상측 속눈썹재의 접힘부가 되는 씨실의 루프(23) 중에 이웃한 하측 속눈썹재의 접힘부가 되는 씨실의 루프(24)를 넣고, 다음으로 그 하측 속눈썹재의 접힘부가 되는 씨실의 루프(24) 중에 이웃한 상측 속눈썹재의 접힘부가 되는 씨실의 루프(23)를 넣는 조작을 순차적으로 행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축사(10)와 상기 니트짜기 구조를 결착시키는 동시에 상기 축사(10)와 그 축사(10)에 접하는 씨실(32)을 용착에 의해 고정하여 귀부분을 갖는 직물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직물의 씨실(32)을 날실(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하는 공정, 상기 고정된 축사(10) 이외의 날실(31)을 제거하는 공정, 상기 씨실(32)을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여 인조 속눈썹을 성형하는 공정을 차례로 행함으로써 제조된다.
이 씨실(32)을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기 전에는 축사(10) 쪽이 아닌 씨실의 단부도 루프를 형성하고 있다. 인조 속눈썹으로 하는 데는 그 단부의 루프 부분을 절단하고, 또한 날실(31)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또는 축사(10)를 1가닥 더 준비하여 2가닥의 축사(10) 사이에서 상기 공정을 행함으로써 인조 속눈썹의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일단 날실(31) 및 씨실(32)을 짠 후에 날실(31)을 빼내고 씨실(32)만으로 하는 공정과 씨실(32)의 축사(10) 쪽이 아닌 쪽 루프를 절단하는 공정이 필요한데, 이 두 공정 중 어느 공정도 먼저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 루프를 절단하는 공정이나 속눈썹의 길이를 조정하는 공정을 용이하게 행하기 위해서는 루프를 절단하는 공정보다도 날실을 빼내는 공정을 나중에 행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날실(31)은 씨실(32)로부터 빼내는 것이 예정되어 있기 때문에 날실(31)로서는 빼내기 쉬운 재료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재료의 형상으로서는 시트 형상, 실 형상, 끈 형상, 평직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재질은 종이, 코트지, 섬유, 수지 등이면 된다. 또한 빼내는 것이 예정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날실의 표면에 활제나 피막을 도포하여 미끄러지기 쉽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귀부분은 제조된 인조 속눈썹을 장착할 때에 눈꺼풀과 접하는 개소가 된다. 또한 씨실(32)은 제조된 인조 속눈썹의 속눈썹재가 된다.
또한 씨실로서는 1가닥의 모노필라멘트를 사용해도 되고, 또는 2가닥 이상의 모노필라멘트를 사용해도 된다. 가닥 수가 늘어남으로써 인조 속눈썹으로 하였을 때의 속눈썹재의 밀도를 높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의 인조 속눈썹의 제조방법을 제조예 1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인조 속눈썹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축사(10)와 그 축사(10)에 접하는 씨실(32)의 루프를 니트짜기 구조로 하여 결합시켜 귀부분을 갖는 세폭직물을 형성한다.
상기 축사(10)와 그 축사(10)에 접하는 씨실(32)의 루프를 니트짜기 구조로 하여 결착시키는 수단으로서는 상기의 각종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축사(10)와 그 축사(10)에 접하는 씨실(32)의 루프를 니트짜기 구조로 하여 결착시키는 동시에, 상기 축사와 그 축사에 접하는 씨실을 고정시킴으로써 균일 간격으로 나열된 씨실을 고정화할 수 있어 치수 안정성이 향상된다. 이렇게 하여 생성된 귀부분은 제조된 인조 속눈썹을 장착할 때에 눈꺼풀과 접하는 개소가 된다. 이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인조 속눈썹은 치수 안정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외관을 가지며 눈꺼풀에 대한 장착이 용이해진다.
다음으로, 상기 세폭직물의 씨실을 날실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한다.
절단 수단으로서는 적절한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날붙이에 의한 절단, 레이저에 의한 절단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절단하는 개소로서는 귀부분으로부터 적절히 조정하여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례로서, 귀부분으로부터 20 ㎜ 정도 간격을 두고 절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귀부분으로부터 어느 정도의 간격을 두고 절단함으로써 속눈썹재의 길이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절단한 씨실에 연마 등의 처리를 행할 때에도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단한 부분으로부터 세폭직물 중의 날실을 제거한다. 날실은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는 귀부분과 그 귀부분으로부터 나와 있는 씨실이 남게 된다. 또한 씨실은 축사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절단한 씨실이 따로따로 흩어지는 경우는 없다. 앞에서 설명하였지만, 귀부분은 인조 속눈썹을 눈꺼풀에 장착시키는 개소가 되고 귀부분으로부터 나와 있는 씨실이 인조 속눈썹의 속눈썹재가 된다.
다음으로 상기 귀부분을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여 적절한 길이의 인조 속눈썹을 얻는다.
절단하는 수단으로서는 상기 절단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귀부분을 절단하여도 그 귀부분을 구성하는 축사나 씨실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분해되는 경우는 없다.
(제2 실시형태의 인조 속눈썹의 구조)
제2 실시형태의 인조 속눈썹에 사용하는 재료로서는 다음의 것을 채용하였다.
축사로서 바깥쪽이 융착되는 타입인 코어-시스형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날실로서 폴리에스테르계 섬유(150 데니어, 48 필라멘트)의 레귤러사를, 씨실로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TT 수지)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BT 수지)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오버로크 실로서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채용하였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해 도 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는 기본적인 구성 및 재료는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귀부분의 구성이 상이하기 때문에, 그 상이한 개소에 대해 설명한다.
즉, 제2 실시형태는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접힘부를 고정하는 오버로크 실에 의해 니트짜기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점이 특징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속눈썹재의 접힘부가 되는 씨실의 루프(23) 및 하측 속눈썹재의 접힘부가 되는 씨실의 루프(24) 안에 오버로크 실(30)이 통과되어 연결되어 가는 구성이 되며, 그 오버로크 실(30)은 연속적으로 루프를 형성하고 이 루프가 니트짜기 구조를 형성하여 귀부분의 일부가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바늘 직기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3의 아래쪽에 나타내어진 상측 속눈썹재의 접힘부가 되는 씨실의 루프(23) 안에 오버로크 실(30)의 첫 번째 루프를 통과시키듯이 오버로크 실(30)을 진행시킨다.
오버로크 실(30)의 첫 번째 루프를 통과하면, 그의 상측 속눈썹재의 접힘부가 되는 씨실의 루프(23) 바깥쪽을 통과하여 이미 형성된 오버로크 실(30)의 루프에 위쪽으로부터 통과시키고, 바로 인접하는 하측 속눈썹재의 접힘부가 되는 씨실의 루프(24) 아래쪽으로부터 오버로크 실(30)을 통과시켜 오버로크 실(30)의 두 번째 루프를 형성하도록 하여, 재차 하측 속눈썹재의 접힘부가 되는 씨실의 루프(24) 아래와 오버로크 실(30)의 첫 번째 루프 위를 통과시켜 오버로크 실(30)의 두 번째 루프를 완성시킨다.
재차, 오버로크 실(30)의 두 번째 루프 위로부터 오버로크 실(30)을 통과시키고, 다음으로 인접하는 상측 속눈썹재의 접힘부가 되는 씨실의 루프(23) 아래로부터 오버로크 실(30)을 통과시켜 오버로크 실(30)의 세 번째 루프를 형성시킨다.
또한 상측 속눈썹재의 접힘부가 되는 씨실의 루프(23) 아래쪽을 통과시키고, 오버로크 실(30)의 두 번째 루프 위에서부터 되돌려 오버로크 실(30)의 세 번째 루프를 완성시킨다.
이렇게 하여 오버로크 실(30)을 통과시켜 감으로써 오버로크 실(30)의 니트짜기 구조를 형성하는 동시에 속눈썹재를 축사(10)에 고정시킨다.
이에 의한 축사에 대한 속눈썹재의 고정은 상하 속눈썹재끼리 니트짜기 구조를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축사에 대해 상하 속눈썹재를 구부리려고 하는 힘이 직접 가해지지는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축사에 대한 상하 속눈썹재를 뻗게 하는 방향을 예정대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배치되고 고정됨으로써 속눈썹재끼리의 간격이 일정해져 치수 안정성이 향상되고, 또한 속눈썹재끼리의 소밀감(疏密感)이 없어져 자연스러운 외관이 된다. 또한 오버로크 실에 의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속눈썹재가 보다 고정화되어 용이하게 속눈썹재가 탈락하는 경우도 없어 자연스러운 외관이 된다.
(제3 실시형태의 인조 속눈썹의 구조)
제3 실시형태의 인조 속눈썹에 사용하는 재료로서는 다음의 것을 채용하였다.
축사로서 바깥쪽이 융착되는 타입의 코어-시스형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날실로서 폴리에스테르계 섬유(150 데니어, 48 필라멘트)의 레귤러사를, 씨실로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TT 수지)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BT 수지)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오버로크 실로서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채용하였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대해 도 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는 기본적인 구성 및 재료는 상기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귀부분의 구성이 상이하기 때문에, 그 상이한 개소에 대해 설명한다.
즉, 제3 실시형태는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접힘부끼리 및 그 접힘부를 고정하는 오버로크 실에 의해 니트짜기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점이 특징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상측 속눈썹재의 접힘부 및 하측 속눈썹재의 접힘부끼리가 니트짜기 구조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접힘부를 고정하는 오버로크 실도 니트짜기 구조를 형성하여 귀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양단부에 축사, 양 축사 간에 복수의 날실, 씨실 및 바늘로 구성되는 세폭직기에 의해 적어도 한쪽의 축사에서 씨실을 되접어 꺾어 되접어 꺾은 씨실 단부가 루프 형상을 하고 있으며, 그 루프 형상부가 상기 축사를 위아래에서 번갈아 사이에 끼워 넣듯이 배치되고, 다음으로 되접어 꺾기가 예정되어 있는 씨실과 오버로크 실을 앞에 형성된 U자 형상부의 루프 안을 통과시킨 바늘로 그 다음으로 되접어 꺾기가 예정되어 있는 씨실 및 오버로크 실을 잡고 그 바늘을 루프 안으로부터 꺼내고 동일 조작을 반복하여 니트짜기 구조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축사와 그 축사에 접하는 씨실 및 상기 니트짜기 구조를 고정하여 귀부분을 갖는 세폭직물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세폭직물의 씨실을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하는 공정, 상기 고정된 축사 이외의 날실을 제거하는 공정, 상기 귀 조직을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여 인조 속눈썹을 성형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접힘부끼리의 결합은 축사에 대해 위쪽에 있는 하나의 상측 속눈썹재 접힘부가 되는 씨실의 루프(23) 중에 이웃한 하측 속눈썹재의 접힘부가 되는 씨실의 루프(24)를 넣고, 다음으로 그 하측 속눈썹재의 접힘부가 되는 씨실의 루프(24) 중에 이웃한 상측 속눈썹재의 접힘부가 되는 씨실의 루프(23)를 넣는 조작을 순차적으로 행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루프끼리는 오버로크 실로 결합된다. 이로 인해 축사에 접하는 속눈썹재의 단부는 니트짜기 구조에 추가로 오버로크 실이 통과됨으로써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니트짜기 구조로 귀부분을 형성시킴으로써 보다 강고하게 속눈썹재끼리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니트짜기 구조에 추가로 오버로크 실을 사용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속눈썹재끼리의 간격이 거의 균등하게 유지되어 치수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속눈썹재끼리의 소밀감이 없어져 자연스러운 외관이 된다. 또한 오버로크 실에 의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속눈썹재가 보다 고정화되어 용이하게 속눈썹재가 탈락하는 경우도 없어 자연스러운 외관이 된다.
(제4 실시형태의 인조 속눈썹의 구조)
제4 실시형태의 인조 속눈썹에 사용하는 재료로서는 다음의 것을 채용하였다.
축사로서 견사(絹絲)를, 날실로서 폴리에스테르계 섬유(150 데니어, 48 필라멘트)의 레귤러사를, 씨실로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TT 수지)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BT 수지)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오버로크 실은 사용해도 되고 사용하지 않아도 되지만 사용하는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채용하였다.
또한 접착제로서 클로로프렌계 접착제를 채용하였다.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는 짜는 방법과 구조는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나, 축사로서 사용하는 섬유를 열가소성 수지가 아닌 견사로 한 점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이 때문에 축사와 씨실을 용착이 아닌 별도로 준비한 접착제로 접착해서 고정하였다.
상기 제1 실시형태 내지 상기 제4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조 속눈썹은 속눈썹재의 간격이 일정해지도록 니트짜기 구조가 사용되어 있으며, 이로써 형성되는 귀부분에 의해 인조 속눈썹으로서의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고, 눈꺼풀에 대한 장착감이 우수하며, 자연스러운 외관을 갖는 인조 속눈썹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축사(axial fiber)와 그 축사에 대해 배치된 속눈썹재를 포함하는 인조 속눈썹으로서,
    그 속눈썹재는 그 축사를 수평으로 놓았을 때 그 축사에 대해 위쪽에 위치하는 복수의 상측 속눈썹재와 그 축사에 대해 아래쪽에 위치하는 복수의 하측 속눈썹재로 이루어지고,
    각 상측 속눈썹재 및 각 하측 속눈썹재는 각각 하나의 속눈썹재를 되접어 꺾어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지며,
    되접어 꺾어 이루어지는 구조인 접힘부는 그 축사에 인접해 있고,
    접힘부를 갖는 복수의 상측 속눈썹재 및 복수의 하측 속눈썹재는 축사의 길이방향으로 열을 형성하듯이 나열되며, 또한 그 축사의 길이방향에 대해 뻗도록 수직으로 고정되고,
    그 축사의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상측 속눈썹재와 하측 속눈썹재가 번갈아 배치되며,
    인접하는 상측 속눈썹재의 접힘부와 하측 속눈썹재의 접힘부끼리는 서로 고정되고,
    그 고정된 접힘부가 그 축사에 고정됨으로써 귀부분(lug portion)이 형성되며,
    그 귀부분이 형성됨으로써 그 접힘부를 그 축사에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인조 속눈썹.
  2. 제1항에 있어서,
    상측 속눈썹재의 접힘부와 하측 속눈썹재의 접힘부는 인접하는 접힘부끼리의 니트짜기 구조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는 인조 속눈썹.
  3. 제1항에 있어서,
    상측 속눈썹재의 접힘부와 하측 속눈썹재의 접힘부는 인접하는 접힘부끼리 오버로크 실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는 인조 속눈썹.
  4. 제1항에 있어서, 
    상측 속눈썹재의 접힘부와 하측 속눈썹재의 접힘부는 인접하는 접힘부끼리의 니트짜기 구조 및 오버로크 실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는 인조 속눈썹.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사, 상기 상측 속눈썹재 및 상기 하측 속눈썹재가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올레핀 섬유, 폴리염화비닐 섬유, 천연섬유, 셀룰로오스계 섬유로부터 선택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속눈썹.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사, 상기 상측 속눈썹재 및 상기 하측 속눈썹재 중 어느 하나에 항균제가 배합 또는 도포되어 있는 인조 속눈썹.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사는 적어도 일부가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가 아닌 재료로 이루어지는 인조 속눈썹.
KR1020167030263A 2014-04-01 2015-03-31 인조 속눈썹 KR201601437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75815 2014-04-01
JP2014075815 2014-04-01
PCT/JP2015/060201 WO2015152270A1 (ja) 2014-04-01 2015-03-31 付け睫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710A true KR20160143710A (ko) 2016-12-14

Family

ID=54240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0263A KR20160143710A (ko) 2014-04-01 2015-03-31 인조 속눈썹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791782B2 (ko)
EP (1) EP3127444B1 (ko)
JP (1) JP6618149B2 (ko)
KR (1) KR20160143710A (ko)
CN (1) CN106413451B (ko)
TW (1) TWI638611B (ko)
WO (1) WO201515227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681B1 (ko) * 2019-12-23 2020-09-07 최석 붙임머리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53037A (ko) * 2019-11-12 2022-04-28 로레알 인조 속눈썹 열 및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37837A (zh) 2016-07-28 2024-04-09 莱施菲公司 施用一组睫毛嫁接物的方法、睫毛融合物及其制造方法
CA3208678A1 (en) 2016-12-20 2018-06-28 Lashify, Inc. Applicators and cases for artificial lash extensions
USD863679S1 (en) 2018-10-19 2019-10-15 Lashify, Inc. False eyelash applicator
WO2020082056A1 (en) 2018-10-19 2020-04-23 Lashify, Inc. Applicators for applying eyelash extensions and methods for use and manufacture thereof
JP1686171S (ko) 2018-10-19 2021-05-24
CA3123631A1 (en) 2019-01-14 2020-07-23 Lashify, Inc. Lash extensions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thereof
JP2020114952A (ja) * 2019-01-17 2020-07-30 スケールエナジー株式会社 つけまつげ及び人工まつげ
CN211747241U (zh) 2019-10-03 2020-10-27 莱施菲公司 人造睫毛装置及睫毛延长装置
FR3102916B1 (fr) * 2019-11-12 2022-04-08 Oreal Frange de cils artificiels et procédé de fabrication
FR3102915B1 (fr) * 2019-11-12 2021-11-26 Oreal Frange de cils artificiels et procédé de fabrication
FR3107816B1 (fr) * 2020-03-05 2022-03-18 Oreal Faux cils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e ceux-ci
KR20220113819A (ko) * 2020-01-29 2022-08-16 로레알 인조 속눈썹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N113229556A (zh) * 2021-04-21 2021-08-10 李科修 一种ptt假睫毛的制造方法及应用
CN113558323A (zh) * 2021-08-27 2021-10-29 朱莉洁 一种防水假睫毛及其制作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9265A (en) 1976-08-03 1978-02-22 Masateru Kanbara Low voltage instantaneous kettl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54015A (en) * 1968-08-06 1969-07-08 Benjamin Udes Method of making false eyelashes
JPS5319265B2 (ko) 1973-08-29 1978-06-20
JPS5860004A (ja) * 1981-10-06 1983-04-09 中島ナイロン工業株式会社 人造睫毛及びその製造方法
US6308716B1 (en) 2000-08-07 2001-10-30 Yongho Han Core for an adhesive device for attaching a false eyelash
JP4883551B2 (ja) * 2004-12-28 2012-02-22 株式会社アデランス かつら及びその製造方法
CN103118565B (zh) * 2010-07-30 2015-11-25 株式会社黛怡茜 假眼睫毛包装体
US8967158B2 (en) * 2010-09-03 2015-03-03 Matsukaze Co., Ltd. Artificial eyelash and method for attaching the same
KR101045497B1 (ko) * 2010-09-16 2011-06-30 주식회사 에이지 인조 속눈썹 및 그 제조장치
TW201313154A (zh) 2011-09-28 2013-04-01 Guo Xuan Technology Corp 假睫毛結構
CN103251159B (zh) * 2012-02-17 2015-01-28 郑铭元 假睫毛及其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9265A (en) 1976-08-03 1978-02-22 Masateru Kanbara Low voltage instantaneous kett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3037A (ko) * 2019-11-12 2022-04-28 로레알 인조 속눈썹 열 및 제조 방법
KR102152681B1 (ko) * 2019-12-23 2020-09-07 최석 붙임머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13451A (zh) 2017-02-15
EP3127444A4 (en) 2017-09-27
JP6618149B2 (ja) 2019-12-11
WO2015152270A1 (ja) 2015-10-08
EP3127444B1 (en) 2018-10-10
US20170127743A1 (en) 2017-05-11
EP3127444A1 (en) 2017-02-08
JPWO2015152270A1 (ja) 2017-04-13
CN106413451B (zh) 2019-09-10
US10791782B2 (en) 2020-10-06
TWI638611B (zh) 2018-10-21
TW201542114A (zh) 2015-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43710A (ko) 인조 속눈썹
TWI669425B (zh) 花邊編織物
US6811870B2 (en) Method for forming chenille yarns and the chenille yarns produced thereby
JP6770212B1 (ja) 土木用合成繊維製ネット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4167942B2 (ja) 強化繊維シート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3502365A (ja) 人工まつげの列および製造方法
JP6732267B1 (ja) レース地
JP7318126B2 (ja) 人工まつげの列および製造方法
JP5729992B2 (ja) 面ファスナ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4727679B (zh) 一排人造睫毛及制造方法
IT201800010666A1 (it) Coprimaterasso termico o coperta termica
KR101910947B1 (ko) 올 빠짐이 개선된 보온용 편물 충전재,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용도
JP2909049B1 (ja) みのの製造方法
JPWO2020031383A1 (ja) レース編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