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2317A - 차량송풍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송풍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2317A
KR20160142317A KR1020167028967A KR20167028967A KR20160142317A KR 20160142317 A KR20160142317 A KR 20160142317A KR 1020167028967 A KR1020167028967 A KR 1020167028967A KR 20167028967 A KR20167028967 A KR 20167028967A KR 20160142317 A KR20160142317 A KR 20160142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b
blowing system
control valve
outl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8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7833B1 (ko
Inventor
슈강 공
위린 선
웨이징 쩡
위안즈 후앙
창쓰 진
Original Assignee
센젠 즈룬 드라이빙 테크놀러지 포 일렉트릭 비이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센젠 즈룬 드라이빙 테크놀러지 포 일렉트릭 비이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센젠 즈룬 드라이빙 테크놀러지 포 일렉트릭 비이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142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1/00Common features of fluid actuator systems; Fluid-pressure actuator systems or details thereof,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7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forming fluid or electrical conduit means or having other means to accommodate the transmission of a force or sign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8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9/00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J1/00 - B60J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6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ai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8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5/00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6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fluid stor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14Heating or cooling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15Pneumatic energy storages, e.g. pressure air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20Fluid pressure source, e.g. accumulator or variable axial piston pump
    • F15B2211/205Systems with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6851With casing, support, protector or static constructional installations
    • Y10T137/6855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풍시스템으로 기존기술로 해결하기 어려웠던 전기자동차에게 일종의 다 위치, 제어가능한 송풍솔루션을 제공하려는데 있습니다. 제1종 송풍시스템(5100)은 제1 공기원장치(501), 제어밸브(502) 및 배관(503)으로 구성되었고 제1종 송풍시스템(5100)은 여러개의 공기경로가 갖추어져 있고 각 공기경로마다 한개의 송풍구(5a-5m)를 제공하며, 컨트롤러는 제어밸브(502)의 작동상태를 전환시켜 여러 공기경로를 개통 혹은 절단시켜 여러개의 위치에 대한 제어가능한 공기공급효과를 실현합니다. 제2종 송풍시스템(5200)은 제2공기원장치(501) 및 몇개의 배관(503)으로 구성되었고 제2종 송풍시스템(5200)은 여러개의 공기경로가 갖추어져 있고 각 공기경로마다 한개의 송풍구(5n~5q)를 제공하며, 컨트롤러는 제2공기원장치(501)의 작동상태를 전환시켜 여러 공기경로를 개통 혹은 절단시켜 제어가능한 공기공급효과를 실현합니다. 제1종 송풍시스템(5100)과 제2종 송풍시스템(5200)을 전기자동차위에 적절하게 배치하면 다위치, 제어가능한 공기공급효과를 실현할 수 있습니다.

Description

차량송풍시스템{AIR SUPPLY SYSTEM FOR WHOLE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부품기술영역에 속하고 특히 차량송풍시스템이 언급됩니다.
기존 전기자동차는 기계적인 드라이버 트레인을 적용하고 있고 기존 차량기술을 기반으로 한 기계적인 드라이버는 전기자동차의 전기에너지 이용효율을 대폭 감소시켰습니다. 허브모터기술은 발전전망이 좋은 구동 기술인바 허브모터기술을 휠내장모터기술이라고도 하는데 그 특징은 파워 트레인, 드라이버 트레인과 브레이크 장치를 허브내로 통합시켜 전기자동차의 기계부분을 대폭 간소화 한것입니다. 이리하여, 단순한 전기자동차의 모터는 산열해결문제에 직면하게 되었고 기존 차량기술 중 송풍시스템은 제동에만 공기를 제공하다가 차량기술이 발전되면서 에어백, 가스 스프링, 후드와 트렁크 리드의 실링 등 많은 분야에서 공기를 이용하게 되어 송풍시스템은 보조장치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필요조건으로 되었습니다. 특히, 전기자동차의 각 보조장치의 정상적인 작동을 확보하기 위해 더 많은 공기가 필요한데 기존의 기술로는 단순한 전기자동차의 공기사용에 알맞는 방안을 제공하기 어렵고 다 위치, 제어가능한 공기공급효과를 실현하기가 어렵습니다.
본 발명 실시예의 목적은 송풍 시스템을 이용하여 기존기술로 해결하기 어려웠던 전기자동차에게 다 위치, 제어가능한 송풍솔루션을 제공하려는데 있습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아래와 같이 실현합니다. 일종의 차량송풍시스템으로 프레임이 갖춰진 전기자동차에 설치하고 여러개의의 송풍구를 제공하는데 사용하며 차량공기공급시스템에는 입풍구와 배출구가 있는 제1공기원장치와 제2공기원장치, 한개의 입력단과 여러개의 출력단이 있고 기류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밸브, 제어밸브 또는 제2공기원장치에 전기신호를 발송하여 작동상태를 전환하는 컨트롤러 및 시단(initial end)과 말단이 있는 배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제1공기원장치, 제어밸브, 밸브는 제1종 송풍시스템을 구성하고 제1공기원장치의 배출구와 제어밸브의 입력단 사이는 배관으로 연결되어 있고 여러개의 배관의 시단과 이 제어밸브의 여러개의 출력단이 일일이 대응되어 연결되어 있으며 여러개의 배관의 말단이 송풍구로 되는 것입니다. 제2공기원장치, 배관은 제2종 송풍시스템을 구성하고 배관의 시단과 제2공기원장치의 배출구가 서로 연결되고 이 배관의 말단은 노드를 형성하며 이 노드로 각 배관들을 연결함으로써 여러개의 배관들의 말단이 송풍구를 형성합니다.
더 나아가, 제1종 송풍시스템은 프레임의 앞부에 설치하는 제1서브 송풍시스템, 프레임의 뒷부에 설치하는 제2서브 송풍시스템, 그리고 프레임의 중부에 설치하는 제3서브 송풍시스템으로 구분되어 있고, 제2종 송풍시스템은 프레임 앞부에 설치하는 제4서브 송풍시스템과 상기 프레임의 뒷부에 설치하는 제5서브 송풍시스템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제1서브 송풍시스템, 제2서브 송풍시스템, 제3서브 송풍시스템, 제4서브 송풍시스템,제5서브 송풍시스템은 모두 상기 컨트롤러로 제어합니다.
더 나아가, 제1서브 송풍시스템에는 제1공기원장치 하나, 제어밸브 하나와 여러개의의 배관이 포함되어 있고 제1서브송풍시스템에는 4개 송풍구가 있으며 제어밸브의 출력단은 제1출련단, 제2출력단과 제3출력단으로 구분되어 있고 제어밸브의 제1출련단은 4개 송풍구 중의 2개 송풍구와 연결하고 이 제어밸브의 제2출력단과 제3출력단은 4개 송풍구중의 기타 2개 송풍구와 연결합니다.
더 나아가, 상기 제2서브 송풍시스템에는 제1공기원장치 두개, 제어밸브 두개와 여러개의 배관이 포함되어 있고 제2서브송풍시스템에는 3개 송풍구가 있으며 제어밸브의 출력단은 제1출련단과 제2출력단으로 구분되어 있고 제어밸브의 제1출력단은 3개 송풍구중의 2개 송풍구와 연결하고 두 제어밸브의 제2출력단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3개 송풍구 중 다른 하나의 송풍구와 연결합니다.
더 나아가, 상기 제3서브 송풍시스템에는 제1공기원장치 두개, 제어밸브 두개와 여러개의의 배관이 포함되어 있고 제3서브 송풍시스템은 6개 송풍구가 있고 제어밸브의 제1출력단, 제2출력단과 제3출력단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두개의 제어밸브의 제1출력단은 6개 송풍구 중의 2개 송풍구와 연결되어 있고 이 두 제어밸브의 제2출력단은 6개 송풍구 중의 다른 2개 송풍구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 두 제어밸브의 제3출력단 사이에 두 제2덕트가 연결되어 있고 각 제1덕트의 배관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배관의 말단은 6개의 송풍구의 남은 2개 송풍구를 형성합니다.
더 나아가, 프레임 내측에는 프레임 프로파일따라 펼쳐지는 여러개의의 캐비티가 형성되었는데 그 중의 한개의 캐비티가 상기의 제1덕트를 형성합니다.
더 나아가, 제1공기원장치는 고압송풍기이고 제어밸브는 공기압 리버싱밸브입니다.
더 나아가, 제4서브 송풍시스템에는 제2공기원장치 한개와 여러개의의 배관이 포함되어 있고 노드 연결에는 여러개의 제2덕트가 있고 각 제2덕트는 하나의 배관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 배관의 말단에는 송풍구가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의 내측에 프레임 프로파일따라 펼쳐지는 여러개의의 캐비티가 형성되었는데 그 중의 한개 캐비티가 제2덕트를 형성합니다.
더 나아가, 제5서브 송풍시스템에는 제2공기원장치 한개와 여러개의의 배관이 포함되어 있고 노드 연결에는 여러개의 제3덕트가 있고 각 제3덕트는 하나의 배관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 배관의말단에는 송풍구가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의 내측에 프레임 프로파일따라 펼쳐지는 여러개의 캐비티가 형성되었는데 그 중의 한 캐비티가 제3덕트를 형성합니다.
더 나아가, 제2공기원장치는 고압공기펌프입니다.
본 발명과 기존기술의 기술효과를 비교한 결과: 제1종 송풍시스템은 제1 공기원장치, 제어밸브 및 여러개 의 배관으로 구성되었고 제1종 송풍시스템은 여러개의 공기경로가 갖추어져 있고 각 공기경로마다 한개의 송풍구를 제공하며, 송풍구는 전기자동차의 공기공급이 필요한 위치에 설치하고 컨트롤러는 제어밸브의 작동상태를 전환시켜 여러 공기경로를 개통 혹은 절단시켜 여러개의 위치에 대한 제어가능한 공기공급효과를 실현합니다. 제2종 송풍시스템은 제2공기원장치 및 여러개의 배관으로 구성되었고 제2종 송풍시스템도 여러개의 공기경로가 갖추어져 있는데 각 공기경로마다 한개의 송풍구를 제공하며, 송풍구는 전기자동차의 공기공급이 필요한 위치에 설치하고 컨트롤러는 제2공기원장치의 작동상태를 전환시켜 여러 공기경로를 개통 혹은 절단시켜 제어가능한 공기공급효과를 실현합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순한 전기자동차의 공기사용에 필요한 위치에는 모터방열, 후드와 트렁크 리드의 실링, 에어백, 가스 스프링 등이 포함되는데 제1종 송풍시스템과 제2종 송풍시스템을 전기자동차위에 적절하게 배치하면 다 위치, 제어가능한 공기공급효과를 실현할 수 있습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차량 송풍시스템이 프레임에 적용한 입체도 임.
도 2는 도 1의 A곳의 확대도 임.
도 3는 도 1의 B곳의 확대도 임.
도 4는 도 1의 C곳의 확대도 임.
도 5는 도 3 중 D-D곳의 단면도 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차량 송풍시스템의 설명도 임.
본 발명의 목적, 기술방안 및 우점이 더욱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이하 부도 및 실시예를 결합하여 본 발명에 대해 진일보 상세한 설명을 진행합니다. 이해해야 할 점은, 여기서 설명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해석에 쓰이나 본 발명을 한정하는것은 아닙니다.
도 6에서 배관(503)은 실선, 웨더스트립(5500)은 점선, 제1덕트(504), 제2덕트(505), 제3덕트(506)은 쇄선, 노드는 디스크, 송풍구는 원으로 표시합니다.
도 1~도 6을 참고.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한 것은 차량 송풍시스템으로 프레임(5300)을 갖춘 전기자동차에 설치하여 여러개의의 송풍구를 제공하고 상기 차량 공기공급시스템은 입풍구(5011)와 배출구(5012)가 있는 제1공기원장치(501), 입력단(5021) 하나와 여러개의 출력단(5022, 5023, 5024)이 있고 기류방향을 전환하는 제어밸브(502), 상기 제어밸브(502) 혹은 상기 제2공기원자치(501)에게 전기신호를 발송하여 작동상태를 전환하는 컨트롤러(설명도에서 제시하지 않음)와 여러개의의 시단과 말단이 있는 배관(503)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컨트롤러는 차량탑재 전산시스템을 이용하여 전기자동차의 각 전기부품들을 컨트롤합니다. 배관(503)의 시단은 유체가 배관(503)으로 들어가는 입구이고 배관(503)의 말단이란 유체가 배관(503)으로 배출되는 출구입니다.
제1공기원장치(501), 제어밸브(502), 배관(503)은 제1종 공기공급시스템(5100)을 구성하고 이 제1공기원장치(501)의 배출구(5012)와 이 제어밸브(502)의 입력단(5021) 사이는 하나의 배관(503)으로 연결하고 여러개의의 배관의 시단과 제어밸브(502)의 여러개의 출력단(5022, 5023, 5024) 은 일일이 대응하여 연결하고 여러개의 배관의 말단에 송풍구를 형성합니다. 제1종 송풍시스템(5100) 중, 컨트롤러와 제어밸브(502)는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컨트롤러는 제어밸브(502)를 통과하는 기류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어 제어밸브(502)의 각 수출단의 기류 통과 여부를 공제합니다. 제1공기원장치(501)가 작동하면서, 공기가 제1공기원장치(501)의 입풍구(5011)로부터 들어 와 제1공기원장치(501)의 배출구(5012)에서 배출하는 동안 제어밸브(502)를 통과하고 제어밸브502는 컨트롤러의 전기신호를 통해 작동하면서 제어밸브(502)의 출력단과 연결된 배관의 말단에 여러개의 송풍구를 형성하고 송풍구의 배기는 제어가 가능합니다. 제1종 송풍시스템(5100)이 제공하는 여러개의 송풍구는 독립적으로 작동합니다.
제2공기원장치(501), 배관(503)은 제2종 송풍시스템(5200)을 구성하고 한 배관(503)의 시단과 제2공기원장치(501)의 배출구(5012)와 연결하고 이 배관 (503)의 말단에 한개의 노드를 형성하고 이 노드로부터 여러개의 배관(503)과 연결하고 이 여러개의 배관(503)의 말단은 송풍구를 형성합니다. 노드란 여러개의의 배관 혹은 기타 유체의 경로를 형성할 수 있는 부품들이 만나 형성된 교차점을 말합니다. 제2종 송풍시스템(5200) 중, 컨트롤러와 제2공기원장치(501)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컨트롤러는 제2공기원장치(501)에 대해 개통 혹은 절단의 작용을 합니다. 컨트롤러가 제2공기원장치(501)에게 “개통”의 전기신호를 발송하면 제2공기원장치(501)는 작동하여 공기는 제2공기원장치(501)의 입풍구(5011)로 부터 흘러들어 제2공기원장치(501)의 배출구(5012)를 통해 배출하며 제2공기원장치(501)의 배출구(5012)와 연결된 배관의 말단에 여러개의의 송풍구를 형성합니다. 반대로, 컨트롤러가 제2공기원장치(501)에 “절단”의 전기신호를 발송하면 제2공기원장치(501)는 정지되고 배관의 말단은 송풍하지 않습니다. 제2종 송풍시스템(5200)이 제공하는 여러개의 송풍구는 동시에 작동합니다.
제1종송풍시스템(5100)과 제2종송풍시스템(5200)을 전기자동차위에 적절하게 배치하고 제1종송풍시스템(5100)과 제2종송풍시스템(5200)은 모두 한개의 컨트롤러로 제어하는데 이는 최적화된 솔루션으로 다위치를 제어가능한 공기공급요구를 만족하면서 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소비전력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제1종 송풍시스템(5100)은 제1 공기원장치(501), 제어밸브(502) 및 여러개의 배관(503)으로 구성되었고 제1종 송풍시스템(5100)은 여러개의 공기경로가 갖추어져 있고 각 공기경로마다 한개의 송풍구를 제공하며, 송풍구는 전기자동차위에 공기공급이 필요한 위치에 설치하고 컨트롤러는 제어밸브(502)의 작동상태를 전환시켜 여러 공기경로를 개통 혹은 절단시켜 여러개의 위치에 대한 제어가능한 공기공급효과를 실현합니다. 제2종 송풍시스템(5200)은 제2공기원장치(501) 및 여러개의 배관(503)으로 구성되었고 제2종 송풍시스템(5200)도 여러개의 공기경로가 갖추어져 있는데 각 공기경로마다 한개의 송풍구를 제공하며, 송풍구는 전기자동차의 공기공급이 필요한 위치에 설치하고 컨트롤러는 제2공기원장치(501)의 작동상태를 전환시켜 여러 공기경로를 개통 혹은 절단시켜 제어가능한 공기공급효과를 실현합니다. 단순한 전기자동차의 공기사용에 필요한 위치에는 모터방열, 후드와 트렁크 리드의 실링, 에어백, 가스 스프링 등이 포함되는데 제1종 송풍시스템(5100)과 제2종 송풍시스템(5200)을 전기자동차위에 적절하게 배치하면 다 위치, 제어가능한 공기공급효과를 실현할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제1종 송풍시스템(5100)은 프레임(5300)의 앞부에 설치하는 제1서브 송풍시스템(510), 프레임(5300)의 뒷부에 설치하는 제2서브 송풍시스템(520), 그리고 프레임(5300)의 중부에 설치하는 제3서브 송풍시스템(530)으로 구분되어 있고, 제2종 송풍시스템(5200)은 프레임(5300) 앞부에 설치하는 제4서브 송풍시스템(530)과 프레임(5300)의 뒷부에 설치하는 제5서브 송풍시스템(550)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제1서브 송풍시스템(510), 제2서브 송풍시스템(520), 제3서브 송풍시스템(530), 제4서브 송풍시스템(530),제5서브 송풍시스템(550)은 모두 컨트롤러로 제어합니다. 제1서브 송풍시스템(510)은 전기자동차 앞부 양측의 허브모터와 스티어링 모터의 방열을 위해, 프론트 배터리의 충돌방지 에어쿠션을 위해,케너피를 위해 송풍하고, 제2서브 송풍시스템(520)은 전기자동차 뒷부 양측의 허브모터와 스티어링 모터의 방열을 위해, 리어 배터리의 충돌방지 에어쿠션을 위해 송풍하며, 제3서브 송풍시스템(530)은 전기자동차의 후드와 트렁크 리드의 실링을 위해, 동력배터리의 플로그상의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에어 쿠션을 위해 송풍합니다. 제4서브 송풍시스템(530)과 제5서브 송풍시스템(550)의 후드와 트렁크는 리드의 가스 스프링을 위해 송풍합니다. 각 서브 송풍시스템은 모두 한개의 컨트롤러가 통합적으로 제어하기에 차량의 송풍시스템의 조작성과 실용성이 더욱 우수하며 전기자동차의 사용자들의 다양한 공기 사용요구를 만족시킵니다. 각 서브 송풍시스템을 프레임(5300)의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하여 인근원칙을 만족하여 차지하는 공간을 절감합니다.
더 나아가, 상기 제1서브 송풍시스템(510)에는 제1공기원장치(501) 하나, 제어밸브(502)하나와 여러개의 배관(503)이 포함되어 있고 제1서브 송풍시스템(510)은 4개 송풍구(5a, 5b, 5c, 5d)가 있으며 제어밸브(502)의 출력단은 제1출력단(5022), 제2출력단(5023)과 제3출력단(5024)으로 구분되어 있고 제어밸브(502)의 제1출력단(5022)과 4개 송풍구중의 2개 송풍구 (5a, 5b)(전기자동차 앞부 양측의 허브모터와 스티어링 모터의 방열을 위해 송풍)와 연결되어 있고 제어밸브(502)의 제1출력단(5022)로부터 배출한 공기는 한 배관(503)을 통해 한 노드로 흘러가 노드로부터 두 배관(503)을 통해 해당 송풍구 (5a, 5b)로 흘러가는데 이 송풍구 (5a, 5b) 축방향은 프레임(5300)의 평면과 수직 즉, 이 송풍구의 축방향과 스티어링모터(5600)의 축방향은 평행되고 송풍구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허브모터와 스티어링모터로 이동해 전기자동차 앞부 양측의 허브모터와 스티어링모터의 방열을 실현합니다. 그리고 이 제어밸브(502)의 제2출력단(5023)과 제3출력단(5024)은 4개 송풍구 중의 기타 두 송풍구 (5c, 5d)(프론트 배터리의 충돌방지 에어쿠션을 위해, 케너피를 위해 송풍)와 연결되어 있고 제2출력단(5023)과 배관의 시단은 연결되고 이 배관의 말단에 송풍구(5c)를 형성하며 제3출력단(5024)과 배관의 시단이 연결되고 배관의 말단에 송풍구(5d)를 형성합니다.
더 나아가, 제2서브 송풍시스템(520)에는 제1공기원장치(501) 하나, 제어밸브(502) 두개와 여러개의 배관(503)이 포함되어 있고 제2서브 송풍시스템(520)는 3개 송풍구(5e, 5f, 5g)가 있으며 제어밸브(502)의 출력단은 제1출력단(5022), 제2출력단(5023)으로 구분되어 있고 제어밸브(502)의 제1출력단(5022)은 3개 송풍구의 2개 송풍구 (5e, 5f)(전기자동차 뒷부 양측의 허브모터와 스티어링모터의 방열을 위해 송풍)와 연결되어 있고 제어밸브(502)의 제1출력단(5022)로부터 배출한 공기는 배관을 통해 송풍구 (5e, 5f)로 흘러가는데 이 송풍구 (5e, 5f)의 축방향은 프레임(5300)의 평면과 수직 즉, 이 송풍구의 축방향과 스티어링모터(5600)의 축방향은 평행되고 송풍구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허브모터와 스티어링모터로 이동해 전기자동차 뒷부 양측의 허브모터와 스티어링모터의 방열을 실현합니다. 두 제어밸브(502)의 상기 제2출력단(5023)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3개 송풍구 중의 기타 상기 송풍구 (5g)(리어 배터리의 충돌방지 에어쿠션을 위해 송풍)와 연결되어 있고 두 제어밸브(502)의 제2출력단(5023)에서 배출한 공기는 그 중의 한 배관(503)을 통해 같이 한 노드로 흘러가 이 노드로부터 다른 배관을 통해 송풍구 (5g)로 이동하여 리어 배터리의 충돌방지 에어쿠션을 위해 송풍하는 송풍구(5g)의 정상적인 작동을 확보하고 제1공기원장치(501)만 작동하면 리어 배터리의 충돌방지 에어쿠션을 위해 송풍할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제3 서브 송풍시스템(530)은 제1공기원장치(501) 두개, 제어밸브(502) 두개와 여러개의 배관(503)이 포함되어 있고 제3서브 송풍시스템(530)은 6개 송풍구(5h, 5i, 5j, 5k, 51, 5m)가 있고 제어밸브(502)의 출력단은 제1출력단(5022), 제2출력단(5023)과 제3출력단(5024)로 구분되고 두 제어밸브(502)의 제1출력단(5022)은 6개 송풍구 중의 2개 송풍구 (5h, 5i)(에어쿠션5400을 위해 송풍)와 연결되어 있고 두 이 제어밸브(502)의 제2출력단(5023)은 6개 송풍구 중의 두 송풍구(5j, 5k)(전기자동차 후드와 트링크 리드의 실링을 위해 송풍)와 연결되어 있으며 송풍구 (5j, 5k)는 웨더스트립(5500)의 내강에 송풍하여 후드와 트렁크리드의 실링을 실현하고 두 이 제어밸브(502)의 제3출력단(5024) 사에는 두 제1덕트(504)로 연결되어 있고 제1덕트(504)위에는 배관(503)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 배관 (503)의 상기 말단에 6개 송풍구의 남은 두 송풍구 (5l, 5m)(동력배터리 플러그 상의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송풍)를 형성합니다.
더 나아가, 프레임(5300) 내측에 프레임(5300) 프로파일따라 펼쳐지는 여러개의의 캐비티(5301)가 형성되었는데 그 중의 캐비티(5301)가 제1덕트(504)를 형성합니다. 프레임(5300)내에 설치한 캐비티(5301)의 작용은 서로 부동하고 테이블을 설치할 수 있거나 다른 기능의 덕트로 사용할 수도 있거나 브레이크 오일을 통과할 수 있는 등 역할을 합니다. 이 구조는 전기자동차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별도로 배관을 추가하지 않아도 덕트의 효과를 실현할 수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캐비티(5301)는 프레임(5300)의 프로파일따라 펼쳐지고 프레임(5300)의 프로파일은 클로징 구조이고 제1덕트(504)도 클로징 구조입니다. 캐비티(5301)의 단면은 대체로 구형인데 이는 프레임(5300)의 성형성을 고려한 것입니다.
더 나아가, 제1공기원장치(501)는 고압송풍기이고 제어밸브(502)는 공기압 리버싱밸브입니다. 고압송풍기는 입력된 기계에너지를 통해 공기압을 높여 공기를 배출하는 장비로서 공기압 리버싱밸브는 컨트롤러의 전기신호를 받은 후 기류의 방향을 전환하는 역할을 하고 고압송풍기와 공기압 리버싱밸브의 결합을 이용해 다 위치에서 독립적으로 공기를 사용하는 요구를 만족할 수 있습니다. 제2서브 송풍시스템(520) 중의 고압송풍기의 축선과 제3서브 송풍시스템(530) 중의 고압송풍기의 축선은 모두 프레임(5300)의 평면과 수직되고 전기자동차의 수직방향에서 더 작은 공간으로도 고압송풍기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제3서브 송풍시스템(530) 중의 고압송풍기와 공기압 리버싱밸브는 두 그룹으로 구분되어 전기자동차 중간부위 양측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더 나아가, 제4서브 송풍시스템(530)에는 제2공기원장치(501) 하나와 여러개의의 상기 배관(503)이 포함되어 있고 노드 연결에는 여러개의의 제2덕트(505)가 있고 각 제2덕트(505)에는 배관(503) 하나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 배관(503)의 말단에는 송풍구(5n, 5o)(전기자동차 후드의 가스 스프링을 위해 송풍)가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5300)의 내측에 프레임(5300) 프로파일따라 펼쳐지는 여러개의의 캐비티(5301)가 형성되었는데 그 중의 한 캐비티(5301)가 제2덕트(505)를 형성합니다. 제4서브 송풍시스템(530)은 컨트롤러가 제어하고 후드의 가스 스프링의 승강을 위해 송풍하여 승강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힌지구조와 결합시켜 전기자동차 후드의 클로징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가스 스프링은 자유 스프링으로 주요 지탱역할을 하고 최소와 최대의 두 레벨만 있으며 진행과정 중 스스로 정지할 수 없습니다. 본 실시예 중 노드로 두 제2덕트(505)를 연결하고 각 제2덕트(505)에는 한 배관(503)이 연결되어 있고 이 배관(503)의 말단에는 두 송풍구 (5n, 5o)를 형성하여 전기자동차 후드의 두 가스 스프링을 위해 공기를 충전하거나 빼면서 후드를 클로징합니다.
더 나아가, 제5서브 송풍시스템(550)에는 제2공기원장치(501) 하나와 여러개의의 배관(503)이 포함되어 있고 노드 직렬연결에는 여러개의의 제3덕트(506)가 있고 제3덕트(506)에는 배관(503) 하나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 배관(503)의 말단에는 송풍구(5p, 5q)(전기자동차 트렁크 리드의 가스 스프링을 위해 송풍)가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5300)의 내측에 프레임(5300) 프로파일따라 펼쳐지는 여러개의의 캐비티(5301)가 형성되었는데 그 중의 한 캐비티(5301)가 상기의 제3덕트(506)를 형성합니다. 제5서브 송풍시스템(550)은 컨트롤러가 제어하고 트렁크 리드의 가스 스프링의 승강을 위해 송풍하여 승강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힌지구조와 결합시켜 전기자동차 트렁크 리드의 클로징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본 실시예 중 노드로 두 제3덕트(506)를 연결하고 각 제3덕트(506)에는 한 배관(503)이 연결되어 있고 이 배관(503)의 말단에두 송풍구 (5p, 5q)를 형성하여 전기자동차 트렁크 리드의 두 가스 스프링을 위해 공기를 충전하거나 빼면서 트렁크 리드를 클로징합니다. 제4서브 송풍시스템(530)과 제5서브 송풍시스템(550)은 동시에 동할 수 있고 비동기 작동할 수도 있으며 이에 해당한 전기자동차 후드 및 트렁크 리드의 오픈 모드도 부동합니다.
더 나아가, 제2공기원장치(501)는 고압공기펌프입니다. 고압공기펌프는 밀폐된 공간에서 공기를 배출하거나 밀폐된 공간에서 공기를 뽑을 수 있습니다. 즉 공기의 충전과 뽑기입니다. 고압송풍기는 컨트롤러로 제어하고 가스 스프링을 위해 공기를 충전하거나 뽑는 것을 제어하여 전기자동차의 후드와 트렁크 리드를 클로징합니다. 고압공기펌프를 이용해 여러개의 송풍기의 동시에 공기를 사용하는 수요를 만족시킵니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에 불과한바, 본 발명에 대해 제한하지 않습니다. 본 발명의 정신 및 원칙 범위내에서 진행된 임의의 수정,교체 혹은 개진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내에 포함됩니다.

Claims (10)

  1. 프레임이 갖춰진 전기자동차에 설치하고 여러개의의 송풍구를 제공하는 일종의 차량송풍시스템에 있어서,
    공급시스템에는 입풍구와 배출구가 있는 제1공기원장치와 제2공기원장치, 한 입력단과 여러개의 력단이 있고 기류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밸브, 제어밸브 혹은 제2공기원장치에 전기신호를 발송하여 작동상태를 전환하는 컨트롤러 및 시단과 말단이 있는 배관이 포함되고, 제1공기원장치, 제어밸브, 밸브는 제1종 송풍시스템을 구성하고 이 제1공기원장치의 배출구와 이 제어밸브의 입력단 사이에 배관으로 연결되어 있고 여러개의 배관의 시단과 이 제어밸브의 여러개의 출력단이 일일이 대응되면서 연결되어 있으며 여러개의 배관의 말단이 송풍구로 되며, 제2공기원장치, 배관은 제2종 송풍시스템을 구성하고 한 배관의 시단과 제2공기원장치의 배출구가 연결하고 이 배관읜 말단이 노드를 형성하며 이 노드로 각 배관들을 연결하고 이 여러개의의 배관들의 말단에서 송풍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송풍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제1종 송풍시스템은 프레임의 앞부에 설치하는 제1서브 송풍시스템, 프레임의 뒷부에 설치하는 제2서브 송풍시스템, 그리고 프레임의 중부에 설치하는 제3서브 송풍시스템으로 구분되어 있고, 제2종 송풍시스템은 프레임 앞부에 설치하는 제4서브 송풍시스템과 프레임의 뒷부에 설치하는 제5서브 송풍시스템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제1서브 송풍시스템, 제2서브 송풍시스템, 제3서브 송풍시스템, 제4서브 송풍시스템,제5서브 송풍시스템은 모두 상기 컨트롤러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송풍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제1서브 송풍시스템에는 제1공기원장치 하나, 제어밸브 하나와 여러개의의 배관이 포함되어 있고 제1서브송풍시스템에는 4개 송풍구가 있으며 제어밸브의 출력단은 제1출련단, 제2출력단과 제3출력단으로 구분되어 있고 제어밸브의 제1출련단은 4개 송풍구 중의 2개 송풍구와 연결하고 이 제어밸브의 제2출력단과 제3출력단은 4개 송풍구중의 기타 2개 송풍구와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송풍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제2서브 송풍시스템에는 제1공기원장치 두개, 제어밸브 두개와 여러개의의 배관이 포함되어 있고 제2서브송풍시스템에는 3개 송풍구가 있으며 제어밸브의 출력단은 제1출련단과 제2출력단으로 구분되어 있고 제어밸브의 제1출력단은 3개 송풍구중의 2개 송풍구와 연결하고 두 이 제어밸브의 제2출력단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3개 송풍구의 다른 하나의 송풍구와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송풍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제3서브 송풍시스템에는 제1공기원장치 두개, 제어밸브 두개와 여러개의의 배관이 포함되어 있고 제3서브 송풍시스템은 6개 송풍구가 있고 제어밸브의 제1출력단, 제2출력단과 제3출력단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두 제어밸브의 제1출력단은 6개 송풍구 중의 2개 송풍구와 연결되어 있고 이 두 제어밸브의 상기 제2출력단은 6개 송풍구 중의 다른 2개 송풍구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 두 제어밸브의 제3출력단 사이에 두 제2덕트가 연결되어 있고 각 제1덕트에 배관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 배관의 말단은 6개의 송풍구 중의 남은 2개 송풍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송풍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프레임 내측에 프레임 프로파일따라 펼쳐지는 여러개의의 캐비티가 형성되었는데 그 중의 한 캐비티가 제1덕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송풍시스템.
  7. 제 2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공기원자치는 고압송풍기이고 상기 제어밸브는 공기압 리버싱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송풍시스템.
  8. 제 2항에 있어서,
    제4서브 송풍시스템에는 제2공기원장치 하나와 여러개의의 배관이 포함되어 있고 노드 연결에는 여러개의의 제2덕트가 있고 각 제2덕트에는 배관 하나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 배관의 말단에는 송풍구가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의 내측에 프레임 프로파일따라 펼쳐지는 여러개의의 캐비티가 형성되었는데 그 중의 한 캐비티가 제2덕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송풍시스템.
  9. 제 2항에 있어서,
    제5서브 송풍시스템에는 제2공기원장치 하나와 여러개의의 배관이 포함되어 있고 노드 연결에는 여러개의의 제3덕트가 있고 제3덕트에는 배관 하나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 배관의 말단에는 송풍구가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의 내측에 프레임 프로파일따라 펼쳐지는 여러개의 캐비티가 형성되었는데 그 중의 한 캐비티가 상기의 제3덕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송풍시스템.
  10. 청구항 제 8항 또는 제 9항에서 언급한 차량송풍시스템에 있어서, 제2공기원자치는 고압공기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송풍 시스템.
KR1020167028967A 2014-04-01 2014-04-01 차량송풍시스템 KR1021678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4/074561 WO2015149289A1 (zh) 2014-04-01 2014-04-01 整车供风系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317A true KR20160142317A (ko) 2016-12-12
KR102167833B1 KR102167833B1 (ko) 2020-10-21

Family

ID=54239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8967A KR102167833B1 (ko) 2014-04-01 2014-04-01 차량송풍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906588B2 (ko)
EP (1) EP3127728B1 (ko)
JP (1) JP6411543B2 (ko)
KR (1) KR102167833B1 (ko)
CN (1) CN106103148B (ko)
ES (1) ES2811277T3 (ko)
WO (1) WO20151492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77693B (zh) * 2018-11-01 2020-11-0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客车
KR20220022161A (ko) * 2020-08-18 2022-02-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하부 차체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2822A (en) * 1909-10-23 1911-09-12 Irving Cowles Pneumatic cushioning device.
US20060071466A1 (en) * 2004-09-27 2006-04-06 Oshkosh Truck Corporation Vehicle frame
JP2006335170A (ja) * 2005-06-01 2006-12-14 Nissan Motor Co Ltd 車両の強電系冷却装置
JP2008105605A (ja) * 2006-10-26 2008-05-08 Toyota Motor Corp 車両に搭載された電気機器の冷却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54593A (en) * 1969-02-11 1971-11-24 Tatra Np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eating and ventilating systems for vehicles
US3951222A (en) * 1974-12-23 1976-04-20 Fletcher Maurice C Lightweight automobile
JPS6085007A (ja) * 1983-10-17 1985-05-14 Toyota Motor Corp 車輌用車高調整装置
US4640331A (en) * 1984-06-04 1987-02-03 Eaton Corporation Central tire inflation system
JPS61188213A (ja) * 1985-02-15 1986-08-21 Hitachi Ltd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JP2944148B2 (ja) * 1990-06-07 1999-08-30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US5684698A (en) * 1994-04-15 1997-11-04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Vehicle attitude and average height control apparatus
JP3911076B2 (ja) * 1997-10-13 2007-05-09 サンデン株式会社 車両用冷房装置
FR2775221B1 (fr) * 1998-02-20 2000-05-26 Renault Dispositif d'aeration, de chauffage et de climatisation d'un habitacle d'un vehicule automobile
GB0108919D0 (en) * 2001-04-10 2001-05-30 Delphi Tech Inc Vehicle roll control system
DE10160972C1 (de) * 2001-12-11 2003-01-23 Daimler Chrysler Ag Verfahren zur Regelung der Luftmenge in einem Niveauregulierungssystem
US6851470B2 (en) * 2002-05-23 2005-02-08 International Truc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Air mixing system for auxiliary vehicle HVAC units
CN2572261Y (zh) * 2002-10-10 2003-09-10 沈阳航达机载设备公司 飞机地面空调车
CN2830952Y (zh) * 2005-02-21 2006-10-25 广州市新基业工业设备技术有限公司 一种新型风门可调节电控新风装置
FR2893537A1 (fr) * 2005-11-21 2007-05-25 Renault Sas Dispositif de climatisation d'habitacle de vehicule automobile
JP2007182197A (ja) * 2006-01-10 2007-07-19 Toyota Motor Corp 車高調整装置
US7942427B2 (en) * 2009-04-23 2011-05-17 Arvinmeritor Technology, Llc Air supply system for active air suspension
JP2012087742A (ja) * 2010-10-21 2012-05-10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エアドライヤ保護装置
CN102452297B (zh) * 2010-10-29 2014-07-09 杭州三花研究院有限公司 电动汽车及其热管理系统
CN102353546A (zh) * 2011-06-27 2012-02-15 黄志辉 试验台用风量风向均可调节的导风柜
US8973688B2 (en) * 2011-12-20 2015-03-10 Caterpillar Paving Products Inc. Suspens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track-propelled machines
CN202413815U (zh) * 2012-01-10 2012-09-05 南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高速轨道车辆废排装置
CN106715189B (zh) * 2014-04-01 2019-07-02 广东华旵智动行运系统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2822A (en) * 1909-10-23 1911-09-12 Irving Cowles Pneumatic cushioning device.
US20060071466A1 (en) * 2004-09-27 2006-04-06 Oshkosh Truck Corporation Vehicle frame
JP2006335170A (ja) * 2005-06-01 2006-12-14 Nissan Motor Co Ltd 車両の強電系冷却装置
JP2008105605A (ja) * 2006-10-26 2008-05-08 Toyota Motor Corp 車両に搭載された電気機器の冷却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27728B1 (en) 2020-06-03
ES2811277T3 (es) 2021-03-11
WO2015149289A1 (zh) 2015-10-08
JP2017512702A (ja) 2017-05-25
US10906588B2 (en) 2021-02-02
US20170120954A1 (en) 2017-05-04
JP6411543B2 (ja) 2018-10-24
EP3127728A4 (en) 2017-12-20
EP3127728A1 (en) 2017-02-08
CN106103148A (zh) 2016-11-09
CN106103148B (zh) 2018-03-30
KR102167833B1 (ko) 202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221921A (ja) 軌道系車両の空調装置
KR101637305B1 (ko) 자동차의 기류 유도 장치
CN203097921U (zh) 屏蔽门制式地铁车站隧道排热兼站台公共区排烟系统
CN202847379U (zh) 汽车前排吹面风管
CN104701586A (zh) 一种车载电池包风道冷却系统
KR20160142317A (ko) 차량송풍시스템
JP2013119813A (ja) 風力装置を備えた車輌
JP5145817B2 (ja) 電気自動車の冷却装置
CN106184337A (zh) 方向盘及车辆
CN103042912B (zh) 一种电动轮矿用自卸车轮边牵引电机和制动器的冷却风道结构
CN204527182U (zh) 汽车前桥驻车制动装置、汽车驻车制动系统
JP2006015862A (ja) 車両のバッテリ冷却システム
CN102407749B (zh) 一种随动桥气囊充放气系统及使用该系统的三轴车
CN104760583A (zh) 汽车前桥驻车制动装置、汽车驻车制动系统
CN202429194U (zh) 一种abs的双通道电控继动阀
CN103587419A (zh) 工程机械及其仪表台装置
CN204943812U (zh) 一种车载空调吹风管结构
CN100542863C (zh) 轨道车辆的底架承载式风道及其安装方法
CN104843017A (zh) 电力机车及牵引电机冷却装置
CN101362425A (zh) 车辆驾驶舱内的空调通风装置
CN202716703U (zh) 一种车用后排吹面风管
CN202641328U (zh) 客车进气系统
JP6039400B2 (ja) 空気抵抗を低減した鉄道車両及びこの鉄道車両を組み込んだ鉄道車両編成
CN210852687U (zh) 气流引导装置和车辆
JP2011195063A (ja) 車室構成部品冷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