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0646A - 나사 부재, 체결 구조 및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의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나사 부재, 체결 구조 및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의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0646A
KR20160140646A KR1020167026502A KR20167026502A KR20160140646A KR 20160140646 A KR20160140646 A KR 20160140646A KR 1020167026502 A KR1020167026502 A KR 1020167026502A KR 20167026502 A KR20167026502 A KR 20167026502A KR 20160140646 A KR20160140646 A KR 20160140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member
main body
body portion
hole
femal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6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3882B1 (ko
Inventor
고이치로우 요시다
요시노리 모토하시
Original Assignee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40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1/00Measures against loss of bolts, nuts, or pins; Measures against unauthorised operation of bolts, nuts or pins
    • F16B41/002Measures against loss of bolts, nuts or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 F16B35/041Specially-shaped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41Releasable devices
    • F16B37/043Releasable devices with snap action
    • F24J2/5237
    • F24J2/526
    • F24J2/526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0/00Solar heat collecto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environments
    • F24S20/70Waterborne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5/0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1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extending in directions away from a supporting surface
    • F24S25/11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extending in directions away from a supporting surface using shaped bodies, e.g. concrete elements, foamed elements or moulded box-lik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5/0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60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65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for coupling adjacent support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profiles together
    • F24J2002/469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80/00Details, accessories or component parts of solar heat coll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24S10/00-F24S70/00
    • F24S2080/01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24S2080/015Plas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7Mountings or trac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나사에 의한 체결 작업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는 부재, 체결 구조 및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의 연결 구조를 제공한다.
한 쌍의 나사 부재로서, 수 나사 부재(30)와 암 나사 부재(40)를 가지며, 수 나사 부재(30) 및 암 나사 부재(40) 중 어느 하나가, 피체결체(10B)에 설치된 관통공(21)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본체부(42)와, 본체부(42)의 단부 근방에 설치되어 피체결체(10B)에 계지되는 것에 의해, 체결의 과정에서 본체부(42)가 관통공(21)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임시 고정부(50)를 가진다.

Description

나사 부재, 체결 구조 및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의 연결 구조{SCREW MEMBER, FASTENING STRUCTURE, AND STRUCTURE FOR CONNECTING FLOAT FOR SOLAR PANEL}
본 발명은, 나사 부재, 체결 구조 및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의 연결 구조에 관한다.
종래, 나사 부재를 이용한 체결 기술이 각종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에는, 볼트가 너트에 서로 맞물리는 것에 의해, 2개의 피체결체를 체결하는 볼트 너트 체결체가 개시된다.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체결체가 이용되는 경우, 볼트와 너트가 서로 맞물려, 볼트의 두부(頭部)과 너트의 좌면 사이에 2개의 피체결체가 끼워지는 것으로 2개의 피체결체가 체결된다.
그렇지만, 이러한 체결 작업에 있어서, 작업자는, 볼트와 너트 중 어느 하나를 손으로 누르면서, 다른 하나를 공구 등으로 돌릴 필요가 있어, 작업이 귀찮았다.
일본국 특허 제 4418025호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나사에 의한 체결 작업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는 나사 부재, 체결 구조 및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의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에 의해서 파악된다.
(1) 본 발명에 관한 제1의 관점은, 한 쌍의 나사 부재로서, 수 나사 부재, 및 암 나사 부재를 가지며, 상기 수 나사 부재 및 상기 암 나사 부재 중 어느 하나가, 피체결체에 설치된 관통공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단부 근방에 설치되어 상기 피체결체에 계지됨으로써, 체결의 과정에서 상기 본체부가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임시 고정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암 나사 부재가 상기 임시 고정부를 가지며, 상기 임시 고정부가 상기 암 나사 부재의 상기 본체부의 삽입 방향측의 단부 근방에 설치되어 있더라도 좋다.
(3) 상기 (2)에 있어서, 상기 임시 고정부가, 상기 본체부의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자 안쪽으로 탄성변형가능한 변형부와, 상기 직교하는 방향이자 바깥쪽으로 상기 변형부의 선단부로부터 돌출해서 상기 관통공의 개구부에 계지되는 계지부를 가지고 있더라도 좋다.
(4) 상기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임시 고정부가, 상기 본체부의 주방향에 따라서 대략 같은 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되어 있더라도 좋다.
(5) 상기 (2)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가, 수 나사 부재가 (나사)삽입될 때 상기 본체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 구조를 가지더라도 좋다.
(6) 상기 (5)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가, 상기 본체부의 삽입 방향에 따라서 형성되는 볼록부를 외주면에 가지고, 상기 볼록부가, 상기 관통공에 설치되는 홈부에 감합해서 상기 본체부의 회전을 방지하더라도 좋다.
(7) 상기 (6)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가, 상기 본체부의 주방향에 따라서 대략 같은 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되어 있더라도 좋다.
(8) 상기 (5)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가, 비원형상의 상기 관통공에 대응해서 비원형상으로 형성된 외형을 가짐으로써, 상기 본체부의 회전 방지가 이루어지더라도 좋다.
(9) 상기 (8)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가,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외형을 가지고 있더라도 좋다.
(10) 상기 (2)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암 나사 부재가 합성수지 성형품에 의해 형성되더라도 좋다.
(11) 상기 (2)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가, 암나사를 가지는 금속제의 인서트 부품과, 상기 인서트 부품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합성수지 성형체를 포함하더라도 좋다.
(12) 상기 (2)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가, 금속판을 굽혀서 형성한 프레스 가공품을 포함하더라도 좋다.
(13) 상기 (12)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가, 상기 프레스 가공품에 접합됨과 함께 암나사를 가지는 부품을 포함하더라도 좋다.
(14)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수 나사 부재가 상기 임시 고정부를 가지고, 상기 임시 고정부가, 상기 수 나사 부재의 상기 본체부의 삽입 방향과는 반대측의 단부 근방에 설치되어 있더라도 좋다.
(15) 상기 (14)에 있어서, 상기 임시 고정부가, 상기 본체부의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자 안쪽으로 탄성변형가능한 변형부와, 상기 직교하는 방향이자 바깥쪽으로 상기 변형부의 선단부로부터 돌출해서 상기 관통공의 개구부에 계지되는 계지부를 가지는 있더라도 좋다.
(16) 상기 (14) 또는 (15)에 있어서, 상기 임시 고정부가, 상기 본체부의 주방향에 따라서 대략 같은 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되어 있더라도 좋다.
(17) 상기 (15) 또는 (16)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가, 그 선단에, 상기 관통공의 개구부 안쪽 가장자리에 설치된 돌기부에 계지되는 되돌림부를 가지고 있더라도 좋다.
(18) 상기 (14)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가, 그 선단에, 암 나사 부재를 유도 삽입을 원활하게 하는 부분으로서 평활한 원통면으로 형성된 유도부를 가지고 있더라도 좋다.
(19) 본 발명의 제2의 관점은, 복수의 피체결체를 한 쌍의 나사 부재에 의해 체결하는 체결 구조로서, 제1의 피체결체 측으로부터 (나사) 삽입되는 수 나사 부재와, 제2의 피체결체에 설치된 관통공에 조립되며, 상기 수 나사 부재와 서로 맞물리는 상기 (2) 내지 (13) 중 어느 하나의 암 나사 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0) 본 발명의 제3의 관점은, 복수의 피체결체를 한 쌍의 나사 부재에 의해 체결하는 체결 구조로서, 제1의 피체결체측으로부터 (나사)삽입되는 암 나사 부재와, 제2의 피체결체에 설치된 관통공에 조립되며, 상기 암 나사 부재와 서로 맞물리는 상기 (14) 내지 (18) 중 어느 하나의 수 나사 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1) 상기 (19) 또는 (20)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피체결체가 복수의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이더라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나사에 의한 체결 작업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는 나사 부재, 체결 구조 및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의 연결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연결된 복수의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체결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체결 구조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체결 구조의 관통공 주변의 사시도이다.
도 7(a)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암 나사 부재의 측면도, (b)는 (a)의 A에서 본 도면이며, 암 나사 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8(a)은 도 7(a)의 B에서 본 도면, (b)는 (a)의 C에서 본 도면이며, 암 나사 부재의 평면도, (c)는 (b)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관한 암 나사 부재의 설명도이며, (a)는 암 나사 부재의 사시도, (b)는 (a)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에 관한 관통공 및 암 나사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1 실시 형태의 제3 변형예에 관한 체결 구조의 설명도이며, (a)는 관통공 및 암 나사 부재의 분해 사시도, (b)는 (a)의 F-F선 단면도이다.
도 12(a)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체결 구조의 단면도, (b)는 (a)의 G부 확대도, (c)는 (b)의 H부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2(a)에 나타낸 수 나사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4(a)는 도 13의 J에서 본 도면, (b)는 도 13의 K에서 본 도면이다.
도 15(a)는 도 14(a)의 L에서 본 도면, (b)는 (a)의 M-M선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b)의 N부 확대도이다.
도 17(a)은 도 14(a)의 R에서 본 도면, (b)는 (a)의 S-S선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2(a)에 나타낸 암 나사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T에서 본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의 V에서 본 도면이다.
도 21(a)은 도 20의 W에서 본 도면, (b)는 도 20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22는 제2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관한 체결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제2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에 관한 체결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제2 실시 형태의 제3 변형예에 관한 체결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25는 제2 실시 형태의 제4 변형예에 관한 체결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26은 제2 실시 형태의 제5 변형예에 관한 체결 구조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이하, 「실시 형태」라고 칭한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덧붙여, 실시 형태의 설명의 전체를 통해 같은 요소에는 같은 번호를 부여한다. 또, 실시 형태 및 도 중에 있어서, 「전(前)」은, 경사한 태양 전지판의 정면측을 수평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안쪽」 방향을 나타내고, 「후(後)」는, 「앞쪽」 방향을 나타낸다. 「좌(왼쪽)」, 「우(오른쪽)」는, 각각 경사한 태양 전지판의 정면측을 수평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좌(왼쪽)」 방향, 「우(오른쪽)」 방향을 나타낸다.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10)의 전체 구성)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체결 구조(후술하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체결 구조 및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체결 구조)의 설명에 앞서, 체결 대상인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10)(본 발명과 관한 피체결체의 일례)의 구성을 도 1~도 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10)는, 대략 사각형상(이 예에서는, 대략 정방형상)의 태양 전지판(10a)을 연못이나 호수 등의 수상에 설치하기 위한 플로트이다. 이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10)에서는, 태양 전지판(10a)을 수평 방향에 대해서 경사시켜서 수상에 설치한다. 덧붙여, 태양 전지판(10a)의 경사각(θ)은, 지역 등에 따라서 발전에 최적인 각도로 설정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10)는, 중공으로 형성된 합성수지제의 플로트 본체(10b)를 구비한다. 플로트 본체(10b)는, 예를 들면, 용융 상태의 통 모양의 파리손(parison)을 복수의 분할 금형 사이에 끼워서 부풀리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서 제조된다. 성형 재료에는, 각종의 합성수지를 이용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플로트 본체(10b)는, 중공부(10c)를 개입시켜(통해) 대향하는 상벽(10d) 및 하벽(10e)으로 이루어지는 층 구조를 가진다. 상벽(10d)과 하벽(10e)은, 파팅 라인(PL)에서 용착되어, 이로 인해, 중공부(10c)가 닫힌 공간이 된다.
덧붙여, 플로트 본체(10b)의 제조는, 블로우 성형에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통 모양의 파리손 대신에 2장의 용융 상태의 시트를 한 쌍의 분할 금형 사이에 배치하고, 시트와 분할 금형과의 사이의 밀폐 공간을 흡인하는 것으로, 2장의 시트 사이에 중공부를 가지는 플로트 본체를 제조해도 좋다. 이러한 성형법에서는, 2장의 시트 사이에 발포재료 등을 심재로서 넣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보다 강성이 높은 플로트 본체를 얻을 수 있다.
플로트 본체(10b)는, 환상 플로트부(10f)와, 이 환상 플로트부(10f)의 내측에 형성되어 태양 전지판(10a)을 지지하는 대략 사각형상(이 예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긴 대략 장방형상)의 제1의 지지판부(10g) 및 제2의 지지판부(10h)를 가진다. 게다가,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10)는, 태양 전지판(10a)을 설치가능한 제1의 설치 부재(10i) 및 제2의 설치 부재(10j)를 구비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10)는, 수상에 있어서 전후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되는 것에 의해, 복수의 태양 전지판(10a)을 전면에 깔아 설치할 수 있다. 서로 이웃하는 2개의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10)는, 암 나사 부재(40) 및 수 나사 부재(30)에 의해 체결된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10)는, 수 나사 부재(30) 및 암 나사 부재(40)로 함께 체결되는 연결 부재(20)(본 발명과 관한 피체결체의 일례)를 개입시켜(통해)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10)는, 앵커(도시 생략)에 의해, 수상의 일정한 장소에 정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덧붙여,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10)을 구별해서 설명하는 경우, 동일한 번호에 A, B를 후속시켜,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10A)」,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10B)」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체결 구조)
다음으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체결 구조를 도 4~도 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체결 구조는,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의 연결 구조이며, 서로 이웃하는 2개의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 (10A), (10B)(본 발명에 관한 「복수의 피체결체」의 일례이며, 여기에서는, 각각 「제1의 피체결체」및 「제2의 피체결체」에 상당한다)의 중첩된 부분을 체결한다. 체결 구조는, 한 쪽의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 (10A)에 설치되는 제1 관통공(11)과, 다른 쪽의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10B)에 설치되어, 제1 관통공(11)에 맞춰지는 제2 관통공(21)과, 수 나사 부재(30) 및 암 나사 부재(40)를 구비한다. 수 나사 부재(30) 및 암 나사 부재(40)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한 쌍의 나사 부재」에 상당한다.
수 나사 부재(30)는, 제1 관통공(11) 측으로부터 (나사)삽입된다. 수 나사 부재(30)의 종류, 재질, 형상은 임의이지만, 각종의 볼트(예를 들면, 수지제의 볼트) 등으로부터 선택 가능하다. 이 예에서는, 두부(頭部)(31)와, 두부(31)의 뒷면(이면)에 설치되어 수나사(32)가 외주면에 형성되는 축부(33)로서 수 나사 부재(30)를 구성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 나사 부재(40)는,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10B) 측으로부터 수 나사 부재(30)에 서로 맞물려,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10B)를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10A)에 단단히 죄어서 체결한다. 이 암 나사 부재(40)는, 수 나사 부재(30)를 (나사)삽입하기 전에, 제2 관통공(21)에 미리 조립될 수 있다. 덧붙여,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10A)와 수 나사 부재(30)의 두부(31)와의 사이에는 고무 재료 등으로 이루어진 부시(35) 등을 개재시켜도 좋다.
(제2 관통공(21)의 구성)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관통공(21)의,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10B) 측의 개구부(22)에는, 제2 관통공(21)의 내경보다 큰 내경으로 스폿페이싱 상으로 형성된 단(段)부(23)가 설치된다. 또, 제2 관통공(21)의 내주면에는, 제2 관통공(21)의 축선에 따라서 복수의 홈부(25)가 형성된다. 게다가, 단부(23)의 내주면에는, 외측에 오목한 복수의 릴리스(26)가 형성된다. 이 예에서는, 한 쌍의 홈부(25)를 대향시켜 배치하고, 이들 한 쌍의 홈부(25)의 대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한 쌍의 릴리스(26)을 대향시켜 배치한다.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 나사 부재(40)는, 암나사(41)가 내주면에 형성되는 대략 원통상의 본체부(42)를 가진다. 이 본체부(42)는, 제2 관통공(21)(도 5 참조)에 대해, 수 나사 부재(30)(도 5 참조)의 나사 삽입 방향(이 예에서는, 하향)과 반대 방향(이 예에서는, 상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다. 또, 암 나사 부재(40)는, 이 본체부(4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대략 반원상의 한 쌍의 좌면부(43)와, 이들 한 쌍의 좌면부(43)의 하측에 형성되는 리브부(45)를 가진다. 또, 본체부(42) 중 좌면부(43)보다도 상측 부분, 즉, 삽입 방향 측의 단부 근방에는, 임시 고정부(50)가 설치된다. 게다가, 본체부(42)의 외주면에는, 홈부(25)에 감합(嵌合; fit)하는 볼록부(46)가 형성된다.
암 나사 부재(40)를 구성하는 재료는 임의이지만, 이 예에서는, 본체부(42)(임시 고정부(50)를 포함한다), 좌면부(43) 및 리브부(45)를 일체로 형성한 합성수지 성형품으로 암 나사 부재(40)를 구성한다.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좌면부(43)의 외경은, 제2 관통공(21)(도 5 참조)의 내경보다도 크게 설정된다. 또, 한 쌍의 좌면부(43)의 사이에는, 한 쌍의 노치(47)가 형성된다. 리브부(45)는, 본체부(42)의 하부의 외주면과 좌면부(43)의 하면을 연결도록 형성된다. 이 예에서는, 한 쌍의 좌면부(43)의 하면측에 복수(예를 들면, 10개)의 리브부(45)를, 한 쌍의 노치(47)을 제외하고, 암 나사 부재(40)의 주방향에 따라 대략 같은 간격으로 배치한다.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임시 고정부(50) 및 볼록부(46)는, 각각 본체부(42)의 주방향에 따라서 대략 같은 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된다.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예에서는, 한 쌍의 노치(47)에 대응하는 위쪽 위치에 한 쌍의 임시 고정부(50)를 배치하고, 이들 한 쌍의 임시 고정부(50)의 대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한 쌍의 볼록부(46)를 대향시켜 배치한다.
임시 고정부(50)는, 체결의 과정에서, 본체부(42)가 제2 관통공(21)(도 5 참조)로부터 떨어지는(탈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임시 고정부(50)는, 작업자가 암 나사 부재(40)를 손으로 누르면서 나사 고정(체결 작업)을 실시하지 않아도 되게 암 나사 부재(40)를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10B)에 임시로 고정하는 것이며, 또, 나사를 고정할 때에, 암 나사 부재(40)가 제2 관통공(21)으로부터 떨어지지(탈락하지) 않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 임시 고정부(50)는, 도 8(c)에 있어서 화살표(P)로 나타내는 본체부(42)의 삽입 방향(이하, 「삽입 방향(P)」라고 칭한다)에 따라서 형성되고, 본체부(42)의 상단에서 개방하는 2개의 슬릿(51)을 가진다. 2개의 슬릿(51)의 사이에는, 삽입 방향(P)과 직교하는 화살표(Q)로 나타내는 방향(이하, 「직교 방향(Q)」이라고 칭한다)이자 안쪽 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한 변형부(52)가 형성된다. 게다가, 임시 고정부(50)는, 변형부(52)의 외면으로부터 직교 방향(Q)이자 바깥 방향으로 돌출해서 형성되는 손톱 모양의 계지부(53)를 가진다. 이 계지부(係止部; locking portion)(53)의 측면은, 윗쪽으로 갈수록 본체부(42)의 중심축측에 가까워지는 경사면상으로 형성된다.
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암 나사 부재(40)에서는, 계지부(53)의 측면이 제2 관통공(21)의 하단부 및 내주면에 눌러 맞닿아지는 것에 의해,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부(52)가 본체부(42)의 직교 방향(Q)이자 안쪽 방향으로 탄성변형한다. 이것에 의해, 계지부(53)가 직교 방향(Q)의 안쪽 방향으로 들어간 상태로, 본체부(42)의 적어도 일부가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10B)의 이(裏)면측으로부터 제2 관통공(21)에 삽입되어 들어간다. 그리고, 계지부(53)의 하단이 단부(23)의 하단을 넘음으로써, 변형부(52)가 직교 방향(Q)의 바깥 방향으로 복원해서, 계지부(53)가 단부(23)의 환상의 수평면(23a)에 걸린다. 이 때, 계지부(53)가 릴리스(26) (도 6 참조)로 회피(도망)하는 것에 의해, 단부(23)의 내주면과 계지부(53)와의 간섭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걸려서 계지되는 계지부(53)에 의해, 암 나사 부재(40)는, 아래쪽으로의 이동이 저지되고, 또한, 좌면부(43)에 의해서 위쪽으로의 이동이 저지된 상태에서,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10B)에 조립된다. 덧붙여, 이 예에서는, 단부(23)의 높이는, 암 나사 부재(40)의 본체부(42)의 선단(先端)을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10B)의 제2 관통공(21)의 주변 가장자리(周緣)(개구부(22) 상단의 주변 가장자리)로부터 돌출시키지 않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어, 본체부(42)의 선단과 제2 관통공(21)의 주변 가장자리는 대략 동일면으로 된다. 단부(23)가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것에 의해,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 (10A)와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 (10A)가 밀착해서 고정된다.
(암 나사 부재(40)를 이용한 체결 방법)
이어서, 이 암 나사 부재(40)를 이용한 체결 방법을 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체결 방법에서, 작업자는, 우선, 암 나사 부재(40)가 미리 조립된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10B)의 제2 관통공(21)의 상단에,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 (10A)의 제1 관통공(11)을 중첩시킨다.
또한, 작업자는, 부시(35)를 통해(개입시켜) 수 나사 부재(30)를 윗쪽으로부터 제1 관통공(11)에 삽입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공구 등을 이용해서 수 나사 부재(30)의 두부(31)을 돌려서, 그 수나사(32)를 암나사(41)에 삽입한다. 이 때, 볼록부(46)(도 6 참조)와 홈부(25)(도 6 참조)의 감합에 의해서 암 나사 부재(40)의 회전을 방지한 상태로, 수 나사 부재(30)가 암 나사 부재(40)에 삽입된다. 그리고, 수 나사 부재(30)와 암 나사 부재(40)의 체결력에 의해서,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 (10A)가 수 나사 부재(30)의 두부(31)에 단단히 죄어짐과 함께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10B)가 암 나사 부재(40)의 좌면부(43)에 단단히 죄어져, 2개의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 (10A, 10B)가 체결된다.
(제1 실시 형태의 작용 효과)
이상, 설명한 제1 실시 형태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2개의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10A), (10B)를 수 나사 부재(30)로 체결할 때,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10B)에 임시 고정된 암 나사 부재(40)에 대해서, 수 나사 부재(30)가 삽입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2개의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10A), (10B)를 체결하는 작업에 있어서 수 나사 부재(30)를 삽입할 때,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10B)의 뒤측에서 암 나사 부재(40)을 눌러 둘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나사에 의한 체결 작업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변형부(52)와 변형부(52)에 형성되는 계지부(53)로 이루어지는 간소한 구성에 의해서, 임시 고정부(50)를 가지는 암 나사 부재(40)가 얻어진다.
게다가, 작업자가 수 나사 부재(30)를 암 나사 부재(40)에 삽입할 때, 볼록부(46)와 홈부(25)의 감합에 의해서, 암 나사 부재(40)의 회전(이른바 공회전)이 방지된다. 이 때문에, 작업자는, 체결 작업을 보다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
다음으로, 제1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를 도 9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덧붙여, 전술한 체결 구조(도 5 참조)와 공통되는 요소에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후술하는 제2 변형예 및 제3 변형예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전술한 체결 구조(도 5 참조)는, 암나사(41)를 본체부(42)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한 예(도 8(c) 참조)였으나, 그 외 암나사를 포함한 부분은, 별도 부품으로 구성하더라도 좋다.
예를 들면, 도 9(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관한 암 나사 부재(60)에서는, 암나사(61)를 포함한 원통부가 금속제의 인서트 부품(62)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암 나사 부재(60)의 나머지 대부분은, 합성수지 성형체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암 나사 부재(60)는, 인서트 부품(62)을 성형 금형에 삽입한 상태로 수지 성형(예를 들면, 사출 성형)을 실시하는, 이른바 인서트 성형에 의해서 얻을 수 있다. 덧붙여, 이 암 나사 부재(60)에서는, 좌면부(43) 보다도 아래쪽에 통 모양의 부분이 형성되지 않는 간소한 구성이 채용된다.
이 제1 변형예에 의하면, 전술한 체결 구조(도 5 참조)와 대략 같은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게다가, 암나사(61)가 금속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강도 및 내구성이 뛰어난 암 나사 부재(60)를 얻을 수 있다.
덧붙여, 제1 변형예에 있어서, 암 나사 부재(60)는, 인서트 부품(62)을 금형에 삽입한 상태로 사출 성형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좌면부(43)에 대응하는 부분이 사출 성형된 데다가, 후속 공정에 있어서 인서트 부품(62)가 압입되는 것이라도 좋다.
(제1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를 도 1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체결 구조(도 5 참조)는, 홈부(25) 및 볼록부(46)에 의해서 회전 방지 구조를 본체부(42)에 형성한 것이지만(도 6 참조), 그 외 본체부의 외형이 비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회전 방지 구조가 본체부에 부여되어 있더라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에 관한 암 나사 부재 (70)에서는, 본체부(71)의 외형이, 비원형상(이 예에서는, 평면시에서 대략 사각형상)의 제2 관통공(21)에 대응해서, 비원형상(이 예에서는, 평면시에서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본체부(71)는, 대략 사각형상의 저부(72)와 저부(72)에 일체로 형성된 임시 고정부(80)를 가진다. 임시 고정부(80)는, 저부(72)의 한 쪽의 대변으로부터 기립하는 한 쌍의 판상의 변형부(81)와, 변형부(81)의 선단부에 형성된 계지부(82)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저부(72)의 다른 쪽 대변에는, 한 쌍의 판상의 좌면부(73)가 설치된다.
이 제2 변형예에 의하면, 전술한 체결 구조(도 5 참조)와 대략 같은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게다가 본체부(71)가 제2 관통공(21)에 맞춰서 비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만으로, 본체부(71)의 회전 방지가 이루어지므로, 암 나사 부재(70)의 구성이 보다 간소화된다.
(제1 실시 형태의 제3 변형예)
다음으로, 본 발명과 관한 제1 실시 형태의 제3 변형예를 도 1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체결 구조(도 5 참조)는, 암 나사 부재(40)를 합성수지 성형품으로 구성한 것이지만, 그 외 금속제의 프레스 가공품으로 암 나사 부재를 구성하더라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제3 변형예에 관한 암 나사 부재(90)는, 금속판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굽혀져서 본체부(91)가 형성된 프레스 가공품을 주요소로 한다. 본체부(91)는, 대략 사각형상의 저부(92)와, 저부(92)에 일체로 형성된 임시 고정부 (100)를 가진다. 임시 고정부(100)는, 저부(92)의 한 쪽의 대변으로부터 기립하는 한 쌍의 판상의 변형부(101)와, 변형부(101)의 선단부가 외측에 되접어 꺾이는 것으로 형성되는 계지부(102)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저부(92)의 다른 쪽 대변에는, 한 쌍의 판상의 좌면부(93)가 형성된다.
게다가,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암 나사 부재(90)에 있어서는, 저부(92)에 관통공(92a)이 설치되어, 암나사(111)를 가지는 원통상의 부품(110)이, 관통공(92a)에 맞춰지도록 해서 저부(92)의 하면에 용접 등으로 접합된다.
이 제3 변형예에 의하면, 전술한 체결 구조(도 5 참조)와 대략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게다가, 금속판을 주요소로 한 암 나사 부재(90)가 얻어진다. 추가로, 암나사(111)를 가지는 원통상의 부품 (110)이 별도 접합되는 것에 의해, 암나사(111)의 길이가, 금속판의 두께에 의존하지 않고 임의로 설정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금속판의 두께가 얇은 경우라도, 필요한 체결 강도가 얻어질 수 있도록 암나사(111)를 길게 확보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체결 구조)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체결 구조를 도 12 내지 도 2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2(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체결 구조는,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의 연결 구조이며, 연결 부재(20) 및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 (10A) (본 발명에 관한 「복수의 피체결체」의 일례이며, 여기에서는, 각각 「제1의 피체결체」 및 「제2의 피체결체」에 상당한다)의 중첩된 부분을 체결한다. 이 체결 구조는, 연결 부재(20)에 설치되는 제3 관통공(20a)과,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10A)에 설치되고, 제3 관통공(20a)에 맞춰지는 제1 관통공(11)과, 암 나사 부재(140) 및 수 나사 부재(120)와, 연결 부재(20)와 암 나사 부재(140)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고무 재료 등으로 이루어진 부시(35)를 구비한다. 덧붙여, 수 나사 부재 (120) 및 암 나사 부재(140)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한 쌍의 나사 부재」에 상당한다.
도 1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관통공(11)의 연결 부재(20)측의 개구부(12)에는, 제1 관통공(11)의 내경보다 큰 내경으로 스폿페이싱 상으로 형성된 단(段)부(13)가 설치된다. 또, 단부(13)의 안쪽 가장자리에는, 환상의 돌기부(15)가 형성된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 나사 부재(120)는, 수나사(121)가 외주면에 형성되는 대략 원통상의 본체부(122)를 가진다. 이 본체부(122)는, 제1 관통공(11)(도 12(a) 참조)에 대해, 적어도 일부가 아래쪽으로부터 삽입된다. 또, 수 나사 부재(120)는, 이 본체부(122)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원반상의 두부(123)와 이 두부(123)의 상측에 형성되는 볼록부(126)를 가진다. 또, 본체부(122)의 하단부, 즉 삽입 방향과 반대측의 단부 근방에는, 임시 고정부(130)가 설치된다. 게다가, 본체부(122)는, 평활한 원통면으로 형성된 유도부(122a)와, 본체부(122)를 그 축 직각방향으로 관통하는 빠짐 방지공(122b)을 가진다.
도 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예에서는, 한 쌍의 임시 고정부(130)가 본체부(122)에 대향해서 배치되고, 이들 한 쌍의 임시 고정부(130)의 대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한 쌍의 볼록부(126)가 대향해서 배치된다. 볼록부(126)는,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10A)에 형성되는 홈부(도시 생략)에 계합(係合; engage) 가능하다. 또,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부(123)는, 그 외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리브부(125)를 가진다.
도 15(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임시 고정부(130)는, 본체부(122)가 제1 관통공(11)(도 12(a) 참조)으로부터 떨어지는(탈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임시 고정부(130)는, 작업자가 수 나사 부재(120)를 손으로 누르면서 나사 고정(체결 작업)을 실시하지 않아도 되도록 수 나사 부재(120)를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10A)에 임시로 고정하는 것이고, 또한, 나사 고정시에 수 나사 부재(120)가 제1 관통공(11)으로부터 떨어지지(탈락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임시 고정부(130)는, 삽입 방향(P)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Q)이자 안쪽으로 탄성변형가능한 변형부(132)를 가진다. 게다가, 임시 고정부(130)는, 변형부(132) 외면으로부터 직교 방향(Q)이자 바깥쪽으로 돌출해서 형성된 손톱상의 계지부(133)를 가진다. 이 계지부(133)의 측면은, 위쪽으로 갈수록 본체부(122)의 중심축측에 가까워지는 경사면상으로 형성된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지부(133)는, 제1 관통공(11)의 개구부(12)의 돌기부(15)에 대응해서 형성되는 환상의 되돌림부(반환부)(135)를 가진다. 이 수 나사 부재(120)에서는, 계지부(133)의 측면이 제1 관통공(11)의 내주면에 눌러 맞닿아지는 것에 의해, 변형부(132)가 직교 방향(Q)의 안쪽 방향으로 탄성변형하고, 계지부(133)가 직교 방향(Q)의 안쪽 방향으로 들어간 상태로, 본체부(122)의 적어도 일부가 제1 관통공(11)에 삽입되어 들어간다. 그리고, 계지부(133)의 하단이 단부(13)를 넘는 것에 의해, 변형부(132)가 직교 방향(Q)의 바깥 방향으로 복원되어, 계지부(133)가 단부(13)에 걸린다. 게다가, 반환부(135)가 돌기부(15)에 위쪽으로부터 감합해서 계지된다. 이와 같이 걸려서 계지되는 계지부(133)에 의해, 수 나사 부재(120)는, 아래쪽으로의 이동이 저해되고, 두부(123)에 의해 위쪽으로의 이동이 저지된 상태로,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10A)에 조립된다.
도 17(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도부(122a)는, 암 나사 부재(140)에의 수 나사 부재(120)의 유도 삽입을 원활하게 하는 부분이며,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평활한 원통면으로 형성된다. 또, 빠짐 방지공(122b)은, 와이어(136)나 핀을 삽입 가능한 구멍이며, 수나사(121) 보다도 윗쪽에 위치하는 빠짐 방지공(122b)에 와이어(136)나 핀등이 통과하는 것에 의해서도, 제1 관통공(11)으로부터의 수 나사 부재(120)의 탈락이 방지된다. 빠짐 방지공(122b)은, 암 나사 부재(140)의 나합(螺合; screw) 위치에 따라 선택되도록, 본체부(122)의 축방향에 따라서 복수 배치할 수 있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 나사 부재(140)는, 암나사(141)가 내주면에 형성되는 대략 원통상의 본체부(142)를 가진다. 또, 암 나사 부재(140)는, 이 본체부(14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원반상의 좌면부(143)와, 이 좌면부(143)의 상측에 형성되는 리브부(145)를 가진다. 또, 리브부(145)의 상부에는, 경사공(146)이 형성된다.
도 19및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브부(145)는, 좌면부(143)의 주방향에 따라서 방사상으로 복수개(이 예에서는, 6개) 설치되어 있고, 작업자는, 이들 복수의 리브부(145) 손이나 공구로 돌리는 등으로 암 나사 부재(140)를 수 나사 부재(120)에 나합(螺合; screw)한다.
도 21(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공(146)은, 대향하는 한 쌍의 리브부(145)의 각각에 설치되어 있고, 리브부(145)의 상면으로부터 암 나사 부재(140)의 중심축에 가까워지도록 아래쪽을 향해 기울어져서 형성된다. 조임용 핀(도시 생략)을 경사공(146)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수 나사 부재(120)에 대해서 암 나사 부재(140)를 단단히 죌 수 있어서, 이로 인해, 수 나사 부재(120) 및 암 나사 부재(140)로 보다 강고하게 연결 부재(20) 및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 (10A)를 체결할 수 있다.
(수 나사 부재(120)을 이용한 체결 방법)
이어서, 수 나사 부재(120)를 이용한 체결 방법을 설명한다. 이 체결 방법에서, 작업자는, 우선, 수 나사 부재(120)가 미리 조립된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10A)의 제1 관통공(11)의 상단에, 연결 부재(20)의 제3 관통공(20a)을 중첩시킨다.
게다가, 작업자는, 암 나사 부재(140)를 수 나사 부재(120)에 유도부(122a)를 이용해, 부시(35)를 개입시켜 감합하고, 공구 등을 이용해 암 나사 부재(140)를 돌려, 그 암나사(141)를 수나사(121)에 나합한다. 이것에 의해, 수 나사 부재(120)와, 암 나사 부재(140)의 체결력에 의해서,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10A)가 수 나사 부재(120)의 두부(123)에 단단히 죄어지는 것과 함께, 연결 부재(20)가 암 나사 부재(140)의 좌면부(143)에 단단히 죄어져,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10A)와 연결 부재(20)가 체결된다.
(제2 실시 형태의 작용 효과)
이상, 설명한 제1 실시 형태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연결 부재(20)와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10A)를 체결할 때,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10A)에 임시 고정된 수 나사 부재(120)에 대해서, 암 나사 부재(140)가 나합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연결 부재(20)와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10A)를 체결하는 작업에 있어서 암 나사 부재(140)를 나합할 때,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 (10A)의 뒤쪽에서 수 나사 부재(120)를 눌러 둘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나사에 의한 체결 작업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 변형부(132)와 변형부(132)에 형성되는 계지부(133)로 이루어지는 간소한 구성에 의해서, 임시 고정부(130)를 가지는 수 나사 부재(120)를 얻을 수 있다.
또, 수 나사 부재(120)의 되돌림부(135)가, 제1 관통공(11)의 돌기부(15)에 계지되므로, 작업자는, 수 나사 부재(120)를 제대로 확실히 제1 관통공(11)에 계지시킬 수 있다.
게다가, 수 나사 부재(120)의 본체부(122)가, 평활한 원통면으로 형성된 유도부(122a)를 가지므로, 작업자는, 암 나사 부재(140)에 수 나사 부재(120)를 원활히 유도하여 삽입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수 나사 부재(120)에 대한 암 나사 부재(140)의 나합 작업이 한층 용이하게 된다.
(제2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의 제1~제5 변형예를 도 22~도 2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관한 체결 구조는, 도 12(a)에 나타낸 체결 구조의 기본 구성에 있어서, 부시(35)와 암 나사 부재(140)와의 사이에 간극(틈)(151)이 형성된 예이다.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에 관한 체결 구조는, 도 12(a)에 나타낸 체결 구조로부터, 부시(35)를 생략하고, 암 나사 부재(140)의 좌면부(143)가 연결 부재(20)에 직접 접촉한 예이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의 제3 변형예에 관한 체결 구조는,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의 연결 구조이며, 연결 부재(20) 및 인접하는 2개의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10A), (10B)로 이루어진 3개의 피체결체(본 발명에 관한 「복수의 피체결체」의 일례이며, 여기에서는, 연결 부재(20)가 「제1의 피체결체」에,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10B)가 「제2의 체결체」에 상당한다)의 중첩한 부분을 체결한다. 체결 구조는, 연결 부재(20)에 설치된 제3 관통공(20a)과,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10A)에 설치되고, 제3 관통공(20a)에 맞춰지는 제1 관통공(11)과,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10B)에 설치되고, 제3 관통공(20a)에 맞춰지는 제2 관통공(21)과, 수 나사 부재(120) 및 암 나사 부재(140)와, 연결 부재(20)와 암 나사 부재(140)의 사이에 개재되는 고무 재료 등으로 이루어지는 부시(35)를 가진다.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의 제4 변형예에 관한 체결 구조는, 도 24에 나타낸 체결 구조의 기본 구성에 있어서, 부시(35)와 암 나사 부재(140)와의 사이에 간극(틈)(151)이 형성된 예이다.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의 제5 변형예에 관한 체결 구조는, 도 24에 나타낸 체결 구조로부터, 부시(35)를 생각하고, 암 나사 부재(140)의 좌면부(143)가 연결 부재(20)에 직접 접촉한 예이다.
이상, 실시 형태를 이용해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 형태에 기재된 범위에는 한정되지 않는 것임은 말할 필요도 없다. 상기 실시 형태에, 다양한 변경 또는 개량을 더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또 그와 같은 변경 또는 개량을 더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은,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로부터 분명하다.
10, 10 A, 10 B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피체결체),
11 제1 관통공(관통공),
12 개구부,
13 단부,
15 돌기부,
20 연결 부재(피체결체),
21 제2 관통공(관통공),
22 개구부
25 홈부,
30 수 나사 부재,
40 암 나사 부재,
41 암나사,
42 본체부,
46 볼록부,
50 임시 고정부,
52 변형부,
53 계지부,
60 암 나사 부재,
61 암나사,
62 인서트 부품,
70 암 나사 부재,
71 본체부,
80 임시 고정부,
81 변형부,
82 계지부,
90 암 나사 부재,
91 본체부,
100 임시 고정부,
101 변형부,
102 계지부,
110 원통상의 부품(암나사를 가지는 부품),
111 암나사,
120 수 나사 부재,
121 수나사,
122 본체부,
122a 유도부,
130 임시 고정부,
132 변형부,
133 계지부,
135 되돌림부,
140 암 나사 부재,
141 본체부,
(P) 삽입 방향,
(Q) 직교 방향(직교하는 방향).

Claims (21)

  1. 한 쌍의 나사 부재로서,
    수 나사 부재, 및 암 나사 부재를 가지며,
    상기 수 나사 부재 및 상기 암 나사 부재 중 어느 하나가, 피체결체에 설치된 관통공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단부 근방에 설치되어 상기 피체결체에 계지됨으로써, 체결의 과정에서 상기 본체부가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임시 고정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나사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 나사 부재가 상기 임시 고정부를 가지며, 상기 임시 고정부가 상기 암 나사 부재의 상기 본체부의 삽입 방향측의 단부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나사 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고정부가,
    상기 본체부의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자 안쪽으로 탄성변형가능한 변형부와,
    상기 직교하는 방향이자 바깥쪽으로 상기 변형부의 선단부로부터 돌출해서 상기 관통공의 개구부에 계지되는 계지부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나사 부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고정부가, 상기 본체부의 주방향에 따라서 대략 같은 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나사 부재.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가, 수 나사 부재가 삽입될 때 상기 본체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나사 부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가, 상기 본체부의 삽입 방향에 따라서 형성되는 볼록부를 외주면에 가지고,
    상기 볼록부가, 상기 관통공에 설치되는 홈부에 감합해서 상기 본체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쌍의 나사 부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가, 상기 본체부의 주방향에 따라서 대략 같은 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나사 부재.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가, 비원형상의 상기 관통공에 대응해서 비원형상으로 형성된 외형을 가짐으로써, 상기 본체부의 회전 방지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나사 부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가,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외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나사 부재.
  10. 제2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 나사 부재가 합성수지 성형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나사 부재.
  11. 제2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가,
    암나사를 가지는 금속제의 인서트 부품과,
    상기 인서트 부품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합성수지 성형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나사 부재.
  12. 제2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가, 금속판을 굽혀서 형성한 프레스 가공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나사 부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가, 상기 프레스 가공품에 접합됨과 함께 암나사를 가지는 부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나사 부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 나사 부재가 상기 임시 고정부를 가지고,
    상기 임시 고정부가, 상기 수 나사 부재의 상기 본체부의 삽입 방향과는 반대측의 단부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나사 부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고정부가,
    상기 본체부의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자 안쪽으로 탄성변형가능한 변형부와,
    상기 직교하는 방향이자 바깥쪽으로 상기 변형부의 선단부로부터 돌출해서 상기 관통공의 개구부에 계지되는 계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나사 부재.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고정부가, 상기 본체부의 주방향에 따라서 대략 같은 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나사 부재.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가, 그 선단에, 상기 관통공의 개구부 안쪽 가장자리에 설치된 돌기부에 계지되는 되돌림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나사 부재.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가, 그 선단에, 암 나사 부재를 유도 삽입을 원활하게 하는 부분으로서 평활한 원통면으로 형성된 유도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나사 부재.
  19. 복수의 피체결체를 한 쌍의 나사 부재에 의해 체결하는 체결 구조로서,
    제1의 피체결체 측으로부터 삽입되는 수 나사 부재와,
    제2의 피체결체에 설치된 관통공에 조립되며, 상기 수 나사 부재와 서로 맞물리는 제2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암 나사 부재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구조.
  20. 복수의 피체결체를 한 쌍의 나사 부재에 의해 체결하는 체결 구조로서,
    제1의 피체결체측으로부터 삽입되는 암 나사 부재와
    제2의 피체결체에 설치된 관통공에 조립되며, 상기 암 나사 부재와 서로 맞물리는 제14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수 나사 부재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구조.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피체결체가 복수의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구조.
KR1020167026502A 2014-03-31 2015-01-28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의 연결 구조 KR1023738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71465 2014-03-31
JPJP-P-2014-071465 2014-03-31
PCT/JP2015/052342 WO2015151567A1 (ja) 2014-03-31 2015-01-28 ねじ部材、締結構造及びソーラパネル用フロートの連結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646A true KR20160140646A (ko) 2016-12-07
KR102373882B1 KR102373882B1 (ko) 2022-03-11

Family

ID=54239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6502A KR102373882B1 (ko) 2014-03-31 2015-01-28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의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20008B2 (ko)
JP (1) JP6468282B2 (ko)
KR (1) KR102373882B1 (ko)
CN (1) CN106211789B (ko)
MY (1) MY191524A (ko)
WO (1) WO2015151567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356A (ko) * 2017-02-21 2018-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력 변환 장치
KR102009367B1 (ko) * 2019-02-15 2019-08-09 주식회사 아인스머티리얼즈 수상태양광 발전 부력체용 연결핀
KR102017298B1 (ko) * 2019-02-15 2019-09-02 (주)테크윈 수상태양광 발전 부력체용 연결핀
KR102017297B1 (ko) * 2019-02-15 2019-09-02 (주)테크윈 수상태양광 발전 부력체용 연결핀
KR102047948B1 (ko) * 2019-02-15 2019-11-22 (주)테크윈 수상태양광 발전 부력체용 연결핀
KR102099777B1 (ko) * 2018-11-27 2020-04-10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리벳 조인팅 너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17254A (ja) * 2016-07-25 2018-02-0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樹脂部品締結用の締結具
JP6771822B2 (ja) * 2016-09-16 2020-10-21 日東工業株式会社 取付ユニット
JP7062676B2 (ja) * 2017-09-12 2022-05-06 シャープ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水上設置用支持装置および水上太陽光発電システム
US11724804B2 (en) * 2019-04-11 2023-08-15 Textron Innovations Inc. Aircraft coupling mechanism
SG10201907786PA (en) * 2019-08-22 2021-01-28 Scg Chemicals Co Ltd Connection assembly
AU2021222114A1 (en) * 2020-02-19 2022-10-06 Floating Solar Australia Pty Ltd Modular raft system
KR102265862B1 (ko) * 2021-03-25 2021-06-16 (주)제이루트 기상정보와 환경정보를 분석하여 발전량을 예측하는 태양광발전 모니터링 시스템
US20230197422A1 (en) * 2021-12-20 2023-06-22 Applied Materials, Inc. Fastening assembly for beam blocker in ion processing apparatus
CN114954818A (zh) * 2022-06-01 2022-08-30 诺斯曼能源科技(北京)股份有限公司 一种水上漂浮式浮体之间连接的抗剪切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0628A (ja) * 1999-02-24 2000-09-05 Kazuyuki Sano 調心ボルト
JP2008057660A (ja) * 2006-08-31 2008-03-13 Daiwa House Ind Co Ltd ボルトの仮固定構造および仮固定ボルト
JP4418025B1 (ja) 2009-09-25 2010-02-17 一郎 河野 ボルトナット締結体
CN202170918U (zh) * 2011-06-27 2012-03-21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螺锁结构及具有螺锁结构的电子装置
JP2013124766A (ja) * 2011-12-16 2013-06-24 Nec Computertechno Ltd 取り付け部材および取り付け部材の構成方法
JP2013209994A (ja) * 2012-03-30 2013-10-10 Isuzu Motors Ltd インサート用ナット部材、接合部材、接合構造、及び自動車用部品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44502A (en) * 1946-05-29 1953-07-07 Tinnerman Products Inc Fastening device
JPS44424Y1 (ko) * 1964-07-02 1969-01-10
GB1367082A (en) * 1970-10-05 1974-09-18 Ft Products Ltd Threaded fastener
DE4117231A1 (de) * 1990-06-08 1991-12-12 Volkswagen Ag Verbindung duennwandiger bauteile
JPH07150643A (ja) * 1992-04-22 1995-06-13 Shinjiyou Seisakusho:Kk コンクリート用アンカー
JPH06264910A (ja) * 1993-03-11 1994-09-20 Asahi Chem Ind Co Ltd プレセットボルト
US5413442A (en) * 1993-09-21 1995-05-09 Barnes Group, Inc. Bolt-nut assembly for railroad crossing frogs
US5407310A (en) * 1993-10-19 1995-04-18 Agape Plastics, Inc. Mounting plate assembly
FR2712047B1 (fr) * 1993-11-05 1995-12-08 Jeanson Jean Francois Dispositif d'auto-rétention pour éléments d'assemblage et de fixation tels que vis, boulons et écrous.
US5616052A (en) * 1995-05-10 1997-04-0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Screw mounting kit for use within connector
US5741101A (en) * 1996-08-16 1998-04-21 Gulistan; Bullent Reliable snap action locking fastener
US5743691A (en) * 1997-02-03 1998-04-28 Textron Inc. Clinch-type fastener member
US5906172A (en) * 1998-02-17 1999-05-25 Kordes; Michael John Plurality of floats connectable for forming various floating structures
JP2001221219A (ja) * 2000-02-04 2001-08-17 Sanku:Kk 仮止め機能付きナット
US6457924B1 (en) * 2000-05-31 2002-10-01 General Electric Company Snap-in fastener
US6375499B1 (en) * 2000-11-08 2002-04-23 Li-Li Lin Structure of a four-legged mounting peg for connection of boards
ITMI20010354A1 (it) * 2001-02-22 2002-08-22 Leonardo Srl Struttura a telaio tubolare per piani di appoggio
DE102004045675B4 (de) * 2003-09-18 2006-05-24 Menke, Manfred, Dipl-Ing. Spannmittel
DE202005005536U1 (de) * 2005-04-07 2005-06-09 Böllhoff Verbindungstechnik GmbH Blindniet
US7273018B2 (en) * 2005-12-22 2007-09-25 Gardner Strong Modular floating dock frame and interconnection system
DE102006007244A1 (de) * 2006-02-15 2007-08-16 Newfrey Llc, Newark Befestigungselement mit Gewindeabschnitt
US20090133732A1 (en) * 2007-11-26 2009-05-28 Chih-Yu Hsia Floating solar power collectors and application means
JP2011089543A (ja) * 2009-10-20 2011-05-06 Nifco Inc クリップ
US20120305051A1 (en) * 2010-02-14 2012-12-06 Yuri Kokotov Floating solar power plant
TWI480473B (zh) * 2010-03-16 2015-04-11 Foxconn Tech Co Ltd 固定件及使用該固定件的固定裝置和電子裝置
FR2974163B1 (fr) * 2011-04-15 2018-06-22 Ciel Et Terre International Dispositif support de panneau
FR2980562B1 (fr) * 2011-09-27 2013-10-11 Ciel Et Terre Ensemble pour la realisation d'un reseau de flotteurs destine au support de panneaux photovoltaiques
US8972701B2 (en) * 2011-12-06 2015-03-03 Arm Limited Setting zero bits in architectural register for storing destination operand of smaller size based on corresponding zero flag attached to renamed physical register
WO2013116897A1 (en) * 2012-02-08 2013-08-15 Water Innovations Power And Technology Holdings Pty Ltd Solar generator platform
CN102739111A (zh) * 2012-06-20 2012-10-17 常州天合光能有限公司 浮动式光伏装置及其构成的浮动式光伏发电阵列
FR2993855B1 (fr) * 2012-07-24 2014-08-29 Ciel Et Terre Ancrage de centrales solaires flottantes
CN103133496B (zh) * 2013-03-07 2015-02-18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卡扣式螺母组件
KR20150018341A (ko) * 2013-08-09 2015-02-2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태양광 패널 지지체
FR3014830B1 (fr) * 2013-12-16 2017-02-17 Ciel Et Terre Int Dispositif flottant support de panneau photovoltaiqu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0628A (ja) * 1999-02-24 2000-09-05 Kazuyuki Sano 調心ボルト
JP2008057660A (ja) * 2006-08-31 2008-03-13 Daiwa House Ind Co Ltd ボルトの仮固定構造および仮固定ボルト
JP4418025B1 (ja) 2009-09-25 2010-02-17 一郎 河野 ボルトナット締結体
CN202170918U (zh) * 2011-06-27 2012-03-21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螺锁结构及具有螺锁结构的电子装置
JP2013124766A (ja) * 2011-12-16 2013-06-24 Nec Computertechno Ltd 取り付け部材および取り付け部材の構成方法
JP2013209994A (ja) * 2012-03-30 2013-10-10 Isuzu Motors Ltd インサート用ナット部材、接合部材、接合構造、及び自動車用部品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356A (ko) * 2017-02-21 2018-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력 변환 장치
KR102099777B1 (ko) * 2018-11-27 2020-04-10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리벳 조인팅 너트
KR102009367B1 (ko) * 2019-02-15 2019-08-09 주식회사 아인스머티리얼즈 수상태양광 발전 부력체용 연결핀
KR102017298B1 (ko) * 2019-02-15 2019-09-02 (주)테크윈 수상태양광 발전 부력체용 연결핀
KR102017297B1 (ko) * 2019-02-15 2019-09-02 (주)테크윈 수상태양광 발전 부력체용 연결핀
KR102047948B1 (ko) * 2019-02-15 2019-11-22 (주)테크윈 수상태양광 발전 부력체용 연결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51567A1 (ja) 2015-10-08
JPWO2015151567A1 (ja) 2017-04-13
US10520008B2 (en) 2019-12-31
MY191524A (en) 2022-06-28
JP6468282B2 (ja) 2019-02-13
CN106211789B (zh) 2020-01-14
CN106211789A (zh) 2016-12-07
KR102373882B1 (ko) 2022-03-11
US20170108030A1 (en) 2017-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40646A (ko) 나사 부재, 체결 구조 및 태양 전지판용 플로트의 연결 구조
US8973947B2 (en) Protective plate mounting structure for a fuel tank
US5092703A (en) Ball joi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753188B2 (ja) パイプジョイント
CN104246243B (zh) 紧固件保持装置
US7686337B2 (en) Steering column cover assembly and method
KR20080048275A (ko) 연료도어의 하우징 장치
CN102822539A (zh) 部件紧固结构以及其所使用的卡夹
CN210110912U (zh) 输出极底座及电池模组
JP6797323B1 (ja) ねじ締結具
KR20140002629U (ko) 인서트 몰딩 기어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
US11162525B2 (en) External thread member
US20170350433A1 (en) Fastening devic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injection molding parts
US20230080323A1 (en) Fastener, fastening structure, and method of designing fastener
US20220205471A1 (en) Locking feature for a fastener
KR101811346B1 (ko) 서랍용 인서트 너트
US20140321940A1 (en) Clip
US11236776B2 (en) Retainer
JPH04136515A (ja) 結合構造およびパネル状材の結合構造
JP6666969B2 (ja) 継手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12605569U (zh) 车座以及车辆
JP7465800B2 (ja) 連結装置、連結方法およびシートフレームの支持構造
KR101353900B1 (ko) 어시스트 핸들 조립용 핀 및 이를 포함한 차량의 어시스트 핸들
CN216788939U (zh) 紧固件组件
CN215487489U (zh) 内循环式滚珠螺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