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8471A - 접이식 댐을 구비한 용기 - Google Patents

접이식 댐을 구비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8471A
KR20160138471A KR1020167028979A KR20167028979A KR20160138471A KR 20160138471 A KR20160138471 A KR 20160138471A KR 1020167028979 A KR1020167028979 A KR 1020167028979A KR 20167028979 A KR20167028979 A KR 20167028979A KR 20160138471 A KR20160138471 A KR 20160138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p
container
dam
main outlet
fla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8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먼 피터
J. 다마토 로버트
Original Assignee
컴플리트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컴플리트 엘엘씨 filed Critical 컴플리트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60138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84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209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the tubular body having a curved or partially curved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3/0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essentially conical or frusto-co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1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form of integral or permanently secured end closure
    • B65D3/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form of integral or permanently secured end closure with end portion of body adapted to be closed, by flattening or folding operations, e.g. formed with crease lines or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28Other details of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 B65D2231/02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for permitting the insertion of a tubular contents-removing device, e.g. a drinking stra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arton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용기(100)는 용기의 기저부를 가로질러 접혀서 덮개를 형성하는 내부 플랩(120) 및 외부 플랩(140)을 구비한다. 내부 플랩은 내부 플랩의 외부 에지를 따라 댐 플랩(130)을 포함한다. 내부 플랩이 아래로 접힐 때, 이 탭의 자유 에지는 용기의 벽과 접촉하며 위로 구부러져서 "접이식 에지" 댐을 형성한다. 이 접이식 에지 댐은 하나의 세그먼트일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V자형 절개부에 의해 분할되는 2개 이상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각각의 세그먼트는 아래로 접혀서 시임 없이 함께 끼워 맞춰질 수 있다. 제한 채널이 "접이식 에지" 댐과 함께 외부 및 내부 플랩에 의해 형성되는데, 이는 외부 및 내부 플랩 사이에 존재한다.

Description

접이식 댐을 구비한 용기{VESSEL WITH FOLDED DAM}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Peter Herman 및 Robert J. D'Amato를 발명자로 하여 "접이식 댐을 구비한 용기(Vessel With Folded Dam)"라는 명칭으로 2014년 3월 28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971,774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2009년 6월 12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일련번호 제61/186,458호와 관련되고; 2010년 12월 16일에 미국 공개특허 출원번호 US 제2010/0314434호로 공개되어 2013년 8월 13일에 미국 특허 제8,505,807호로 허여된 미국 정규특허 출원번호 제12/813,840호와도 관련되며; 2013년 7월 16일에 출원되어 2013년 11월 14일에 미국 공개특허 출원번호 제2013/0299567호로 공개된 미국 정규특허 출원번호 제13/942,916호와도 관련된다. 모든 전술한 출원, 특허, 및 공개는 모든 목적을 위해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구현예들은 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음용 용기, 및 가요성 재료로 구성되는, 액체 및/또는 비액체 물질을 주입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이컵과 같은 일회용 액체 용기의 제공이 종래 기술에 알려져 있다. 이 컵은 일반적으로 종이 용기가 그 안에 수용된 액체를 흡수하거나 누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물질로 코팅되어 있다. 게다가, 패스트푸드점, 커피숍 등과 같은 식당 구역에서는, 예컨대 뜨거운 음료 또는 차가운 음료의 흘림을 방지하는 데에 도움이 되도록, 별개의 뚜껑, 예컨대 플라스틱 뚜껑이 이와 같은 컵의 보완물로 제공된다. 뚜껑은 흔히 플라스틱 뚜껑인데, 일부는 빨대의 삽입을 위한 구멍을 구비하는 반면, 다른 일부는 직접적인 사용자의 소비를 돕는 좁은 구멍을 형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컵은 흔히 다양한 크기를 갖기 때문에, 식당 또는 커피숍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컵 크기를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크기의 뚜껑을 비축해야 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알려진 장치의 형태로 다양한 컵 크기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진 별개의 물품들(즉, 컵 및 대응하는 뚜껑)의 사용을 요구하며, 고객에게 제공하기 전에 이 물품들의 조정 및 조립을 추가로 요구한다. 게다가, 더 많은 기구들이 100% 재활용 가능한 컵과 같이 환경적으로 더 안전한 제품을 제공하기 위해 연구 중인데, 이는 컵이 대응하는 뚜껑과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달성하기가 더 어려울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내용물을 유지하고 분배하기 위한 용기는 상면을 가로질러 폭을 가지는 기저 영역을 포함한다. 기저부는 내부 체적을 정의하는 내측벽을 구비한다. 기저부의 상면 영역은 2개의 대향 플랩(내부 플랩 및 대향하는 외부 플랩)을 구비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2개의 플랩은 2개의 각각의 경로에 의해 기저 영역으로부터 구분된다.
내부 플랩은 자유 에지(예컨대, 내부 플랩이 기저 영역으로부터 접히는 위치의 반대편에 있는 내부 플랩의 에지)로부터 연장되는 댐 플랩 또는 댐 탭을 포함한다. 플랩들은, 플랩들이 각각의 경로를 따라 접힐 때, 주출구(spout) 구멍을 구비한 높은 주출구를 정의하고, 댐 플랩이 외부 및 내부 플랩 사이에 주출구 구멍을 향해 주출구까지 연장되는 접이식 에지 댐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예컨대, 일부 구현예들에서, 댐 플랩을 포함하는 내부 플랩은 용기의 폭보다 넓고, 댐 플랩을 정의하는 절취된 외부 에지를 구비하고, 그에 따라 내부 플랩이 아래로 접힐 때, 댐 플랩은 용기의 측벽과 접촉하며, 이러한 작용은 댐 플랩을 절취선을 따라 위로 접어서, 접이식 에지 댐을 형성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댐 플랩은 내부 플랩의 자유 에지를 따라 정의되는 길이, 및 자유 에지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폭을 가지되, 길이가 폭보다 크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댐 플랩은 내부 플랩의 자유 에지의 길이의 절반을 초과하여 연장된다.
또한, 내부 및 외부 플랩이 접히는 경우, 댐 플랩 및 내측벽은 용기가 물질을 음용하거나 주입하기 위해 사용되는 중일 때 이 물질을 주출구 구멍을 향해 유도하는 채널을 정의하도록 연동한다.
댐 플랩은 단일 섹션을 구비할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V자형 갭에 의해 분할되는 2개의(또는 그 이상의)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내부 플랩이 아래로 접힐 때, 댐 플랩의 세그먼트들이 위로 상승되어, 내부 플랩과 접힌 외부 플랩 사이에 접히고, 세그먼트들 사이의 V자형 갭을 폐쇄하는 방식으로 함께 끼워 맞춰진다.
일부 구현예들은 빨대 구멍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플랩들 및/또는 용기의 기저부는 하나 이상의 빨대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내부 및 외부 플랩은 빨대 구멍들, 또는 플랩의 일부가 하나 이상의 빨대 구멍을 형성하기 위해 관통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되는 톱니부들(serra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각각의 내부 플랩 및 외부 플랩은 대응하는 빨대 구멍들을 구비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외부 플랩이 내부 플랩 위에서 아래로 접힐 때, 빨대 구멍들은 단일 빨대 구멍을 형성하기 위해 연동하도록 중첩되어, 빨대가 플랩들을 통과하여 용기의 외부와 내부 체적 사이에 연장될 수 있게 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주출구는, 톱니부가 절개되거나, 압축되거나, 신장되거나, 달리 왜곡될 때 주출구 구멍을 확대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톱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들이 다양한 다른 특징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일부 구현예들에서, 내부 플랩은 재료가 내부 및 외부 플랩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용기의 체적 내로 유입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되는 배수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외부 플랩은 용기의 기저부에 외부 플랩을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접착 탭, 또는 내부 플랩의 상면에 외부 플랩을 고정하기 위한, 외부 플랩의 내표면 상의 접착제 및/또는 내부 플랩의 외표면 상의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은 주출구 구멍을 밀봉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일부 구현예들은, 주출구로부터 연장되고 주출구 구멍 위에 접히며 이를 덮도록 구성되는 주출구 덮개 탭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은 주출구 덮개 탭이 주출구 구멍 위에 접힐 때 용기 주출구에 주출구 덮개 탭의 자유단을 해제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구성되는 접착제를 주출구 덮개 탭 상에 추가로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일부 구현예들은 주출구 구멍 내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도록 구성되는 마개 폐쇄구를 포함한다. 예컨대, 마개 폐쇄구는 스토퍼부 및 기저부를 포함할 수 있되, 스토퍼부는 기저부로부터 연장되며 주출구 구멍 내에 끼워 맞춰지도록 구성되고, 기저부는 예컨대 마개 폐쇄구가 주출구 구멍을 통해 완전히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토퍼부가 주출구 구멍 내에 있을 때 주출구 구멍의 외부에 남아있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일부 구현예들은 주출구 구멍을 덮기 위해 주출구 위에 성형되는 캡 폐쇄구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예컨대 플랩의 에지와 같은 표면의 에지 및/또는 접힘 경로(예컨대, 절취부 또는 주름부)는 예컨대 에지 및/또는 주름부에 대한 방수 물질의 적용에 의해 방수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들이 다양한 방식에 의해 다양한 재료로 형성되거나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일부 구현예들에서, 용기는 단열재로 형성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용기는 사출 성형, 열 성형, 또는 시트로부터의 압연, 절취, 및 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구현예들의 전술한 특징들은 첨부 도면과 함께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양 플랩이 폐쇄되어 있는 도 1의 용기의 구현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a는 하나의 플랩이 개방되고 하나의 플랩이 폐쇄되어 있는 도 1의 용기의 구현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b는 도 1의 용기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2개의 플랩이 개방되어 있는 용기의 구현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용기와 같은 용기로 성형되도록 구성되는 블랭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도 1의 용기의 저면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도 1의 용기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도 1의 용기의 전방측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도 1의 용기의 좌측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도 1의 용기의 후방측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도 1의 용기의 우측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은 도 1의 용기의 저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용기의 개구를 형성하거나 확대하기 위한 톱니부의 구현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3은 캡 폐쇄구를 구비한 용기의 구현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4a 내지 도 14e는 주출구 덮개를 구비한 용기의 구현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5는 마개 폐쇄구를 구비한 용기의 구현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6a 내지 도 16s는 용기의 대안적인 구현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7a 내지 도 17j는 용기의 대안적인 구현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8a 내지 도 18h는 용기의 대안적인 구현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9는 용기의 구현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0은 용기의 구현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1은 용기의 구현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2a 내지 도 22n은 용기의 대안적인 구현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구현예들은, 용기의 내용물을 유지하는 데에 도움이 되며 용기를 더 사용하기 쉽게 만드는 특징부들을 구비한 용기를 제공한다. 다양한 구현예들은 내부 플랩과 외부 플랩 사이에 접혀서 접힘 가능 댐을 형성하는 댐 플랩을 포함하는데, 접이식 댐은 용기 내용물이 용기의 내부 체적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해하며 용기 내용물을 주출구로 안내한다.
내부 플랩 및 외부 플랩은 용기의 기저부를 가로질러 접힌다. 먼저 접히는 내부 플랩은 접힘부의 높이에서 용기의 기저부의 폭보다 넓고, 그 에지 인근에 접힘선을 구비한다. 그러므로, 이 내부 플랩이 먼저 아래로 접힐 때, 이 플랩의 자유 에지는 용기 몸체의 측벽에 부딪히고, 이러한 접촉은 절취선을 따라 내부 플랩의 자유 에지를 위로 구부려서, "접이식 에지" 댐을 형성한다. 이 "접이식 에지" 댐은 하나의 세그먼트일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V자형 절개부에 의해 분할되는 2개 이상의 세그먼트를 구비할 수 있고, 각각의 세그먼트는 아래로 접혀서 시임 없이 함께 끼워 맞춰질 수 있다. 내부 플랩이 아래로 접힌 후에, 제2 외부 플랩이 내부 플랩의 위에서 아래로 접힌다. 외부 플랩은 내부 플랩을 제자리에 유지하며, 물질이 주출구까지 흐르게 하는 제한 채널을 형성한다. 제한 채널은 "접이식 에지" 댐과 함께 외부 및 내부 플랩에 의해 형성되는데, 이는 외부 및 내부 플랩 사이에 존재한다. 이러한 용기 설계는 사용자가 용기를 압축할 때에도 많은 흘림 없이 주출구 구멍을 통해 안전하게 물질을 주입할 수 있게 한다. 추가로, "접이식 에지" 댐은 상기 용기의 적층 및 안착을 방해할 수 있는 어떤 접착제 또는 실런트에도 의존하지 않는다.
정의. 본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 사용된 바와 같이, 문맥상 달리 요구되지 않는 한, 하기 용어들은 지시된 의미를 가질 것이다:
재료 시트를 "부착"하는 것은 이 시트와 다른 표면 사이의 연결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결은, 연결되는 시트와 다른 표면의 중첩 부분들 사이에 도포되는 접착층을 이용하여 형성되거나, 이들의 인접 부분들에 걸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연결은,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예컨대 압력 및 열 중 하나 이상의 적용을 비롯한 조건 하에, 시트와 다른 표면의 압착(crimping), 융착(fusing), 또는 용접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연동(cooperating)" 개구들은, 예컨대 하나가 다른 하나의 위에 접힐 때 정렬하여, 빨대와 같은 물체가 통과할 수 있는 ("복합 개구"로 지칭될 수 있는) 개구를 형성하는 상이한 표면들, 또는 단일 표면의 상이한 위치들의 개구들이다.
"절두원추형" 형상은, 원뿔대와 비슷하도록, 예컨대 둥근 에지를 구비한 피라미드 단면을 비롯한, 원뿔대와 유사한 형상을 포함한다.
"단열재"는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용기로 성형될 수 있는 재료이며, 0.2 W/(mK) 미만의 열전도도를 가진다.
"접힘 경로"는 플랩, 탭, 또는 재료를 접을 수 있는 경로이며, 예컨대 절취 경로 및 주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첨부 도면의 참조 번호는 다음과 같다:
참조 번호 / 특징부
100 용기
101 용기 몸체 또는 기저부
108 특정 접힘부 또는 주름부를 형성하는 엠보부 또는 절취부
109 충진선을 나타내는 엠보부
110 밀봉형 폐쇄 시임
111 용기의 저면
113 접착 스트립
114 에지 및/또는 절취부 또는 주름부에 적용되는 방수
115 저면 에지
116 절취선
120 내부 플랩
121 용기 기저부로부터 내부 플랩을 구분하는 접힘 경로
122 배수구
123 내부 플랩의 에지의 중심점
124 내부 플랩의 에지
125 접힌 플랩들의 평탄 영역
126 내부 플랩의 외표면
130 댐 탭 또는 댐 플랩
131 탭 또는 댐 플랩의 일부
132 탭 또는 댐 플랩의 일부
133 V자형 갭
134 내부 플랩의 잔여부로부터 댐 플랩을 구분하는 접힘 경로 또는 주름부
135 댐 플랩의 에지
136 접힌 플랩(120, 140) 사이에 개재되는 공간
140 외부 플랩
141 용기 기저부로부터 외부 플랩을 구분하는 접힘 경로
144 외부 플랩의 에지
145 용기의 상면; 외부 플랩의 외표면
146 외부 플랩의 내표면
160 폐쇄 탭
161 폐쇄 탭을 위한 접착제
162 폐쇄 탭을 정의하는 접힘선
165 접착 테이프
170 주출구를 형성하는 접힌 플랩들의 상승 영역
171 주출구
172 주출구 개구
175 접힌 플랩들의 제2 상승 영역
176 대향 피크
185 용기의 기저부의 측벽
188 용기의 내부 체적
193A~Z;198 용기로 성형될 수 있는 블랭크
194 비대칭선
195 기저 영역의 상면
197 주출구를 포함하는 높은 음용부
220 대향 피크의 높이
225 주출구의 높이
290 접이식 에지 댐
291 접이식 에지 댐에 의해 형성되는 채널
300 용기 몸체의 상면에서의 용기의 폭
301 댐 플랩을 포함하는 내부 플랩의 폭
401 주출구 빨대 구멍
402 주출구 빨대 구멍 톱니부
403 주출구 빨대 구멍 톱니부
404 주출구 빨대 구멍 톱니부
405 주출구 빨대 구멍 톱니부
411 상면 빨대 구멍
412 상면 빨대 구멍 톱니부
413 상면 빨대 구멍 톱니부
421 측면 빨대 구멍
422 측면 빨대 구멍 톱니부
500 주출구 개구를 덮는 접힘 가능 탭
501 블랭크로부터 접힘 가능 탭을 구분하는 절취 경로
502 개재형 표면부 접힘 가능 탭
523 주출구에 폐쇄 탭을 해제 가능하게 부착하는 접착제
600 마개 폐쇄구
601 마개 기저부
602 스토퍼부
650 캡 폐쇄구
660 주출구 턱
670 립 탭
제1 구현예
도 1은 액체 및/또는 비액체 물질용 음용 컵 또는 주입 컵일 수 있는 용기(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되, 절두원추형 기저 영역일 수 있거나 절두원추형 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는 기저 영역(101), 및 기저 영역(101)의 상단(195)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대향 플랩(120, 140)을 구비한다. 기저 영역(101)은 저면 부재(111)와 함께 용기(100)의 내부 체적(188)을 형성한다.
도 1은 제1 구현예에 따른 폐쇄 구성의 주입 또는 음용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용기(100)는 기저부(101)를 특징으로 한다. 기저부는 사용자가 편안한 방식으로 용기(100)를 잡을 수 있게 하며, 용기가 예컨대 자동차 내의 컵 홀더에서 쉽게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용기(100)는 2개의 중첩 플랩으로 형성되는 상면 또는 덮개를 포함한다. 현재 도면에서, 플랩(140)은 이 구현예의 외부 플랩이므로 가시적이다. 중첩 플랩들은 주출구(171) 및 개구(172)를 포함하는 높은 주입부 또는 음용부의 일부를 형성한다. 주출구(171)는, 주출구(171)가 음용을 위한 용기의 사용 중에 사용자의 구강 내에 삽입될 때, 사용자의 입술이 개구의 외주 주위에 배치되는 재료의 전체 360도 각도 범위에 걸쳐 재료와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주출구(171)는 사용자가 컵(100)으로부터 쉽게 주입하거나 음용할 수 있게 하지만, 예컨대 용기(100) 내에 수용되는 음료의 흘림을 방지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주입용 주출구를 형성하기 위해 개방될 수 있는 미국 특허 제2,826,349호에 제공된 바와 같은 종래의 박공 상면 우유곽과 달리, 용기는 사용자가 용기의 내용물을 소비할 때 사용자의 입술로 주출구의 개구를 완전히 둘러쌀 수 있도록 설계된다.
도 2a는 외부 플랩(140)이 개방되고 내부 플랩(120)이 폐쇄되어 있는 도 1의 용기의 사시도이다.
플랩들(120, 140)은, 양 플랩이 각각의 만곡된 접힘 경로들(121, 141)을 따라 접힐 때, 외부 플랩(140)이 내부 플랩(120) 위에 배치되며, 내부 플랩(120)의 외부 에지(124)의 적어도 일부가 대향하는 외부 플랩(140)의 (141로 지시된) 절취 경로와 일치할 수 있고, 플랩들(120, 140)이 기저 영역(101)의 연장부(102)와 두 플랩(120, 140)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 형성되는 주출구(171)를 구비한 높은 주입부 또는 음용부(197)를 정의하도록, 구성된다.
플랩들(120, 140)은 각각 주출구(171) 및 대향 피크(176)의 일부를 형성한다. 주출구(171) 및 대향 피크(176)는 용기의 상부 영역에서 서로 반대편에 있다. 따라서, 주출구(171)를 통해 내부에 수용된 음료를 소비하기 위해 용기(100)를 기울이면, 음료가 대향 피크(176)로부터 멀리 이동된다.
도 2b는 주출구(171) 및 대향 피크(176)의 형성을 추가로 개략적으로 도시하되, 도 6의 A-A선을 따른 용기(100)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외부 플랩(140)은 이 구현예에서 (선택적인) 중앙 절취선들(116)을 포함한다. 용기의 형상을 수용하는 폐쇄 구성이 되도록 플랩을 접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플랩(140)에 중앙 절취선들(116)을 예성형할 수 있다. 특히, 중앙 절취 경로들(116)은 그 사이에 상대적 평면 영역(125)을 한정하고, 경로들(116)은 평탄 영역(125)의 외부에 상승 영역들(170, 175)을 한정한다.
내부 플랩(120)은 "V"자형 갭(133)을 둘러싸는 제1 부분(131) 및 제2 부분(132)을 구비한 댐 탭(130)을 포함한다. 댐 탭(130)은 내부 플랩(120)의 일부이며, 내부 플랩(120) 중 접힘 경로(121)로부터 멀리 있는 부분으로부터 연장된다. 댐 탭(130)은 대응하는 접힘 경로 또는 주름부(134)에 의해 내부 플랩(120)의 잔여부로부터 구분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부분들(131, 132)을 포함하는) 내부 플랩(120)은 컵 몸체(101)의 상면(195)에서의 용기의 폭(300; 도 6)보다 크고(도 4의 폭(301)), 그에 따라 (댐 탭(130)을 포함하는) 내부 플랩(120)이 아래로 접힐 때, 내부 플랩의 부분들(131, 132)의 자유 에지들(또는 외부 에지들)은 용기(100)의 대향 측벽(185)과 접촉하고, 이러한 작용은 추가로 자유 댐 탭(130)을 접힘 경로(134)를 따라 위로 접거나 구부려서, "접이식 에지" 댐(290)을 형성한다.
양 플랩(120, 140)이 아래로 접힐 때, 도 2b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댐 탭(130)은 내부 플랩(120)과 외부 플랩(140) 사이에 놓이도록 접힘 경로(134)를 따라 접힌다. 접힘 위치에서, 댐 탭(130)은 주출구(171)로부터 내부 플랩(120)의 에지의 중심점(123)을 향해(즉, 중심점(123)의 방향으로) 내부 플랩(120)의 에지를 따라 연장되는 댐(또는 "접이식 에지 댐")(290)을 형성한다. 이 구현예에서, 접이식 에지 댐(290)은 V자형 절개부(133)에 의해 분할되는 2개의 세그먼트(131, 132)를 구비하고, 그에 따라 예컨대 도 2a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플랩(120)이 아래로 접힐 때, 접이식 에지 댐(290)의 2개의 세그먼트(131, 132)는 위로 올려지거나 구부러져서, 세그먼트들 사이의 V자형 갭(133)을 폐쇄하는 방식으로 서로 끼워 맞춰진다.
댐(290)은 용기(100)의 내부 체적(188)으로부터 플랩들(120, 140) 사이에 개재되는 공간(136)으로의 액체(또는 비액체 물질)의 유동을 억제하거나 방지한다. 실제로, 댐(290) 및 기저부(101)의 측벽(185)은 용기의 내부 체적(188)을 빠져나가는 액체(또는 비액체 물질)용 채널(291)을 형성한다. 예컨대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채널(291)은 주출구(171)를 따라 개구(172)까지 연장된다.
도 3은 양 플랩(120, 140)이 펼침 위치에 있는 개방 구성의 도 1의 용기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구현예에서는, 서로 대향하는 플랩들이 용기 벽들의 일체형 부분으로서 이러한 구성에 더 명확히 나타난다. 각각의 플랩은 기저부(101)로부터 직접 연장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0)의 양 플랩(140, 120)이 펼쳐질 때, 연속적인 용기들은 하나가 다른 하나의 위에 적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적층은 다수의 용기의 조밀한 보관을 허용하며, 이와 같은 적층체로부터 단일 용기를 쉽게 회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도 4는 도 1의 용기(100)의 기저부 및 플랩들을 형성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블랭크"로 지칭될 수 있는, 가요성 재료의 시트(193)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의 윤곽선은 용기로 성형 가능한 (가요성 재료의 시트(193A)의 일부가 아닌 선(194)을 중심으로 한) 비대칭적 설계로, 평탄한 저면과 함께 상면을 또한 포함하는 절두원추형 형상을 가진다. 용기를 형성하기 위해, 윤곽선은 외주를 따라 절개되며, 접힘 경로를 따라 절취되고, 압연되어 부착될 수 있다. 윤곽선의 저면 에지(115)는 용기(100)의 저면 에지를 형성한다. 에지(115)는 원호의 형상이며, 이는 용기(100)가 형성될 때 실질적으로 평탄한 기저부를 구비할 수 있게 한다. 용기의 접힘을 적절한 구성으로 안내하기 위해, 다양한 접힘 경로들이 용기의 형성 전에 절취될 수 있다.
도 5는 용기(100)의 저면(111)을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원형인 저면(111)은 용기의 치수에 기초하여 상이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용기의 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치수가 변경될 수 있고, 저면은 더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용기(100)의 저면(111)은 시트(193)가 압연될 때 기저부(101)의 하부 영역의 구멍 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로써, 용기(100)는 플랩들이 펼쳐질 때 용기의 상부 영역의 구멍을 통해 내부에 배치되는 액체(또는 비액체 물질)를 유지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저면은 용기를 형성하는 동일한 시트의 일부일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1은 도 1의 용기(100)의 상이한 도면들을 도시한다. 도 6은 용기(100)의 평면도이다. 이 도면에서, 주출구(171)가 가시적이다.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주출구(171) 및 대향 피크(176)는 용기(100)의 대향 말단들에 위치하며 접힘 플랩들로 형성되고, 그 중에서 플랩(140)이 가시적이다. 접힌 플랩들(120, 140)은 또한 용기(100)를 위한 일체형 덮개를 형성한다.
도 7은 용기의 정면도이다. 본 설명에서의 "전방"이라는 용어는 높은 주입부 또는 음용부 및 주출구(171)를 구비한 측면을 가리킨다.
도 8은 용기(100)의 ("좌측"으로 지칭되는) 측면도이며, 도 9는 도 1의 용기(100)의 배면도이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대향 피크(176)는 용기(100)의 기저부(101)에 대해 주출구(171)보다 낮은 높이(220)에 있다. 다시 말하면, 주출구(171)의 개구(172)는 기저부(101)에 대해 대향 피크(176)의 높이(220)보다 큰 높이(225)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개구(172)의 높이(225)는 평면 영역(125)보다 적어도 2 ㎝ 더 높다. 이는 예컨대 주출구(171)와 대향 피크(176) 사이에서 사용자의 코를 위한 주출구(171)와 평면 영역(125) 사이의 공간을 허용한다. 또한, 대향 피크의 높이(220)는 바람직하게 주출구의 높이(225)보다 적어도 1 ㎝ 더 낮고, 그에 따라 사용자가 용기(100)로부터 액체를 음용하는 동안 용기(100)를 기울일지라도, 대향 피크는 사용자의 얼굴과 접촉하지 않을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임(110)은 형태(193)의 에지들의 중첩을 나타낸다.
도 10은 도 1의 용기(100)의 측면도이다. 이 측면도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주출구(171)는 좁은 구멍을 통해 음료를 음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컵과 유사하게 형성된다.
도 11은 도 1의 용기(100)의 저면도이다. 저면(111)이 예컨대 접착에 의해 용기(100)의 기저 영역(101)의 구멍에 고정되면, 용기는 누출 없이 내부에 배치되는 액체(또는 비액체 물질)를 수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황에 따라, 용기의 사용자는 빨대를 삽입하길 원할 수 있다. 이는 주출구 구멍(172) 내에 빨대를 삽입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12a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구현예들은, 주출구(171) 내에 더 큰 구멍을 허용하기 위해 절개되거나, 압축되거나, 신장되거나, 달리 왜곡되도록 구성되는 톱니부(401)를 주출구(171)에 포함한다. 톱니부(401)는 플랩들(120, 140)이 접힐 때 톱니부(401)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중첩되도록 구성되는 개별 톱니부들(402, 403)을 각각의 플랩(120, 140)에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일부 구현예들은 플랩들(120, 140)이 접힐 때 (즉, 연동 개구들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중첩되도록 구성되는 원형 톱니부들(412, 413)을 용기의 상면에 포함할 수 있다(도 12b). 원형 톱니부들(412, 413)은 빨대 구멍(411A; 도 12a)의 형성을 허용하는 연동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관통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용기(100)의 제조에 포함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은, 빨대가 용기(100)의 내부 체적(188)에 접근할 수 있게 하도록, 각각 빨대 구멍들(411B, 411C)의 형성을 허용하기 위해 관통되도록 역시 구성되는 원형 톱니부들(404 및/또는 405; 도 12b 및 도 12c)을 포함한다.
상황에 따라, 사용자는 폐쇄 탭들(160)의 사용을 통해 용기의 흘림 저항 특성을 강화하길 바랄 수 있다. 이 탭들은 몸체(101)에 외부 플랩(140)을 고정할 수 있다. 이 구현예에서, 탭(160)은 용기(100)를 형성하는 시트의 일체형 부분으로 형성되며, 외부 플랩(140)의 에지로부터 돌출된다(도 14b; 도 14c). 시트는 폐쇄 탭(160)의 접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폐쇄 탭(160)과 플랩(140)의 교차점에 절취선 또는 접힘 경로(162)를 포함한다. 탭(160)은 덮개(140)를 폐쇄 구성으로 유지하는 데에 도움이 되도록 접힐 때 기저부(101)에 인접한 측에 접착제(161)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탭(160)은 "접착 탭"으로 지칭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일부 구현예들에서, 또한, 접착제(161)는 탭(160)이 기저부(101)와 나란히 아래로 접힐 때 탭(160)과 결합되도록 위치하는 기저부(101)의 외표면 상에 있을 수 있다. 접착제(161)는 탭(160)을 기저부(101)에 반복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기저부(101)로부터 반복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그러므로, 탭(160)은 기저부(101)에 "해제 가능하게(releasably)" 고정되는 것으로 묘사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접착제(161)는 "다부착(multi-stick) 접착제"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용기(100)는 사용 중이 아닐 때 주출구 구멍(172)을 통한 유동을 방해하기 위해 주출구(171)의 단부용 덮개, 접힘 탭, 마개, 또는 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4a 내지 도 14e는 공통 참조 번호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도 4 및 도 6 내지 도 9와 유사하지만, 다부착 접착제(523)를 가진 주출구 덮개 탭(500)을 또한 포함한다. 탭(500)은 주출구 개구(172)가 장기간 사용되지 않을 때 주출구 개구(172) 위에 접혀서 이를 덮도록 구성된다. 접착제(523)는 주출구에 주출구 덮개 탭(500)을 해제 가능하게 부착하고, 그에 따라 주출구 덮개 탭(500)은 주출구 개구(172)를 노출시키기 위해 들어올려질 수 있다. 접힐 때, 주출구 덮개 탭(500)은 개구(172)를 통한 액체(또는 비액체 물질)의 유동을 방해하기 위해 주출구(171)와 밀봉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4a는 주출구 덮개 탭(500)이 주출구(171)의 개구(172) 위에 접혀 있는 용기(100)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4b는 주출구 덮개 탭(500)이 개방 또는 업 위치에 있는 용기(100)의 정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4c 및 도 14d는 탭(500)이 폐쇄 위치에 있는 용기(100)의 좌측면도 및 배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14e는 탭(500)을 구비한 용기(100)로 성형되도록 구성되는 블랭크(193C)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대안적으로, 사용 중이 아닐 때, 캡 또는 마개가 주출구 구멍(172)을 폐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5는 주출구(171)의 개구(172) 내에 마개 폐쇄구(600)를 구비한 용기(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마개 폐쇄구(600)는 마개 기저부(601) 및 스토퍼부(602)를 포함한다. 스토퍼부(602)는 주출구(171)의 개구(172) 내에 및 이를 통해 끼워 맞춰지도록 구성되는 반면, 마개 기저부(601)는 주출구(171)의 개구(172)의 면적 치수보다 더 커서, 마개 폐쇄구(600)가 주출구(171)의 개구(172)를 통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스토퍼부(602)는 개구(172)를 밀봉하고 주출구(171)와 "마찰 끼워 맞춤" 또는 "압력 끼워 맞춤"을 형성하기 위해 개구(172)에 알맞게 끼워 맞춰지도록 구성된다.
도 13은 주출구 개구(172)를 덮고 폐쇄하기 위해 주출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캡 폐쇄구(650)를 구비한 용기(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캡 폐쇄구(650)는 예컨대 금속박과 같은 가단성 재료로 형성된다. 주출구(171)를 폐쇄하기 위해, 사용자는 주출구(171)에 캡 폐쇄구(650)를 적용하고, 주출구(171) 주위에 캡 폐쇄구(650)를 형성하기 위해 이를 압착하며, 주출구 개구(172)를 폐쇄하고 밀봉하기 위해 주출구(171)의 일부를 압착한다.
기타 구현예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댐 탭(120)은 하나의 세그먼트일 수 있다. 단일-세그먼트 댐 탭(130)의 구현예가 도 16a 내지 도 16s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현예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공통 참조 번호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구현예는 전술한 특징부들 중 다수를 공유한다.
도 16b는 내부 플랩(120) 및 외부 플랩(140)을 구비한 용기(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내부 플랩(120)은 접힘 경로 또는 주름부(134)에 의해 정의되는 길이(130L)를 가진 단일-세그먼트 댐 탭(130)을 포함한다. 댐 탭(130)은 접힘 경로 또는 주름부(134)에 수직인 방향으로 정의되는 폭(130W)을 가진다. 길이(130L)는 폭(130W)보다 크고, 길이(130L)는 일부 구현예들에서 폭(130W)의 적어도 2배일 수 있거나,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폭(130W)의 3배, 4배, 5배,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댐 탭(130)은 적어도 내부 플랩(120)의 에지(124, 135)의 중심점(123)으로부터 주출구(171)로 연장될 수 있고, 주출구 구멍(172)까지 또는 이에 가깝게 주출구로 연장될 수 있다.
댐 탭(130)을 포함하는 내부 플랩(120)의 폭(301)은 용기(100)의 상면(195)의 폭(300)보다 크고, 그에 따라 도 16b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플랩(120)이 아래로 접힐 때, 댐 탭(130)은 용기의 내부 체적(188)으로부터 멀리 위로 접힌다. 외부 플랩(140)이 아래로 접힐 때, 댐 탭(130)은 내부 플랩(120)과 외부 플랩(140) 사이에 배치되어, 접이식 에지 댐(290)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접이식 에지 댐(290)은 접힘 경로(134)를 따라 용기의 기저부(101)의 내측벽(185)과 물리적으로 접촉한다.
댐(290) 및 기저부(101)의 측벽(185)은 용기(100)의 내부 체적(188)을 빠져나가는 액체(또는 비액체 물질)용 채널(291)을 형성한다. 예컨대 도 16d 및 도 16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채널(291)은 주출구(171)를 따라 개구(172)까지 연장된다. 용기(100)가 이와 같이 빠져나가는 액체 또는 비액체 물질을 음용하거나 주입하기 위해 사용되는 중일 때, 채널(291)은 이 물질을 주출구 구멍(172)을 향해 유도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용기 및 플랩들의 몇몇 에지들 및/또는 접힘선들/주름부들/절취선들은 방수될 수 있거나, 또는 추가 방수 코팅층(114)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6n의 구현예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댐 탭(130)의 에지(135)를 포함하는) 내부 플랩(120)의 에지(124) 및/또는 외부 플랩(140)의 에지(144) 및/또는 내부 플랩(120)과 외부 플랩(140) 사이의 에지(127) 및/또는 내부 플랩(120)의 잔여부로부터 댐 탭(130)을 구분하는 접힘선들/절취선들(134)은 두세 가지 예를 들면 폴리유산계 화합물 또는 폴리에틸렌계 화합물과 같은 (추가) 방수 재료(114)로 코팅되거나 함침될 수 있다.
용기의 임의의 내용물이 용기(100)의 체적(188)을 빠져나가서 접힌 내부 플랩(120)과 외부 플랩(140) 사이로 진행되는 경우, 빠져나가는 내용물은 배수구(122)를 통해 용기의 체적(188) 내로 다시 유입될 수 있다.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구현예들 중 몇몇은 내부 플랩을 통한 배수구(122)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지만, 배수구는 모든 구현예들에서 선택적이며, 임의의 내부 플랩에 포함될 수 있거나 생략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도 16f는 예컨대 형태를 절두원추형 형상으로 압연하고 플랩들(120, 130)을 폐쇄함으로써 용기(100)를 형성할 수 있는 시트 또는 블랭크(193D)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구현예에서, 블랭크(193D)는 외부 플랩(140), 배수구(122) 및 댐 탭(130)을 포함하는 내부 플랩(12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6o는 배수구(122)를 생략한 유사 블랭크(193F)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6f 및 도 16q는 또한 용기(101)의 기저부(101)로부터 플랩들(120, 140)을 구분하는 몇몇 선택적인 접힘선들(131, 141), 및 내부 플랩(120)의 잔여부로부터 댐 탭(130)을 구분하는 접힘선 또는 주름부(134)를 구비한 블랭크들(193D, 193H)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6q는 선택적인 접착 스트립들(113)을 구비한, 용기(100)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193H)의 다른 구현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외부 플랩(140) 상의 접착 스트립(113)은 외부 플랩(140)의 내표면(146) 상에 있다; 예컨대 도 16a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내부 플랩(120) 및 외부 플랩(140)이 접힐 때, 내부 플랩(120)에 대향하는 표면이다. 달리 말하면, 외부 플랩(140) 상의 접착 스트립(113)은 외부 플랩(140)이 아래로 접히지 않을 때 용기의 내측 표면(146) 상에 있는데, 이는 이 표면이 내부를 향하기 때문이다.
내부 플랩(120) 상의 접착 스트립(113)은 내부 플랩(120)의 외표면(126) 상에 있다; 이는 내부 플랩(120) 및 외부 플랩(140)이 접힐 때 외부 플랩(140)에 대향하는 표면이다. 달리 말하면, 내부 플랩(120) 상의 접착 스트립(113)은 내부 플랩(120)이 아래로 접히지 않을 때 용기의 외측 표면 상에 있는데, 이는 이 표면이 용기(100)로부터 외부를 향하기 때문이다.
도 16r은 내부 플랩(120)과 외부 플랩(140) 사이의 기저 영역(101)의 연장부(102)로부터 연장되는 주출구 턱(660)을 구비한, 용기(100)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193I)의 다른 구현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주출구가 형성될 때, 턱(660)은 주출구(171)를 강화한다.
도 16s는 립 탭(670)을 구비한, 용기(100)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193J)의 다른 구현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립 탭(670)은 주출구의 에지 상의 물의 흡상(wicking)을 방지하는 데에 도움이 되고, 사용자의 구강 내에서의 주출구의 느낌을 또한 개선할 수 있다. 립 탭(670)은 아래로 접히며 접착제로 주출구(171)에 부착되어, 주출구 구멍의 저면을 따라 접이식 에지를 형성한다.
도 16h, 도 16i, 도 16j, 도 16k, 도 16l, 및 도 16m은 이 구현예에 따른 용기(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6h는 용기(100)의 평면도, 도 16i는 용기(100)의 정면도, 도 16j는 용기(100)의 좌측면도, 도 16k는 용기(100)의 배면도, 도 16l은 용기(100)의 우측면도, 및 도 16m은 용기(100)의 저면도이다.
도 17a 내지 도 17k는 공통 참조 번호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본원에 설명된 다른 구현예들의 동일한 특징부들 중 다수를 구비한 대안적인 구현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특징부들의 다양한 있을 수 있는 조합들이 블랭크들(193K, 193L, 193N, 193O) 내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8a 내지 도 18h는 공통 참조 번호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본원에 설명된 다른 구현예들의 동일한 특징부들 중 다수를 구비한 대안적인 구현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특징부들의 다양한 있을 수 있는 조합들이 블랭크들(193P, 193Q, 193R, 193S, 193T) 내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9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마개 폐쇄구(600)를 구비한 용기(100)의 구현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캡 폐쇄구(650)를 구비한 용기(100)의 구현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1은 공통 참조 번호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본원에 설명된 다른 구현예들의 동일한 특징부들 중 다수를 구비한 대안적인 구현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실제로, 도 21의 구현예는 본원에 설명된 구현예들의 용기를 나타내며, 용기의 상면(145)(즉, 외부 플랩(140)의 외표면)에 물리적으로 결합되고, 외부 플랩(140)의 에지(144)에 걸쳐 연장되며, 용기(100)의 기저부(101)에 부착되는 접착 테이프(165)를 또한 포함한다.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착 테이프(165)는 플랩들(120, 140)을 폐쇄 또는 접힘 위치에 고정한다.
도 22a 내지 도 22n은 공통 참조 번호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본원에 설명된 다른 구현예들의 동일한 특징부들 중 다수를 구비한 대안적인 구현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다부착 접착제(523)를 구비한 주출구 덮개 탭(500)을 또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예컨대 도 22a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주출구 덮개 탭(500)은 2개의 접힘선(501)에 의해 한정된다. 이 구현예에서, 2개의 접힘선(501)은 서로 평행하고, 그에 따라 접힘선들을 모두 접으면, 좁은 개재면(502)이 형성된다. 개재면(502)은 주출구 개구(172)에서 주출구(171)의 폭과 거의 같은 폭을 가지고, 그에 따라 주출구 덮개 탭(500)은 이 지점에서 주출구(171) 주위에 더 용이하게 접힐 수 있다. 특징부들의 다양한 있을 수 있는 조합들이 블랭크들(193U, 193V, 193W, 193X, 193Y, 193Z, 198) 내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재료 및 제조
본원에 설명된 구현예들은 일반적으로 종이와 같은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용기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유산계 화합물 등을 비롯한 플라스틱 및 처리된 종이와 같은, 용기(100)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액체를 수용할 수 있는 용기로 성형되기에 적합한 다른 가요성 재료로 구성되는, 다른 구현예들이 제공될 수 있다.
용기는 사출 성형, 열 성형, 또는 시트(예컨대, 시트(193))로부터의 압연, 절취, 및 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용기(100)는 각각 압출 폴리스티렌 발포체(XPS) 또는 판지와 같은 플라스틱 또는 종이계 제품들로 이루어진 단열재로 제조될 수도 있고, 그에 따라 내용물이 외부로부터 더 잘 단열될 수 있다.
용기가 종이와 같은 재료로 구성되는 구현예들에서, 용기는 일 측 또는 양 측에서 왁스, 폴리유산계 화합물, 또는 폴리에틸렌계 화합물과 같은 방수 코팅으로 코팅될 수 있다. 게다가, 코팅은 용기가 블랭크로 형성되기 전에 또는 후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의 모든 영역들에 설명된 구현예들은 단지 예시의 목적이다; 다수의 변형 및 수정이 당업자들에게 명확할 것이다. 모든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범주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19)

  1. 폭을 가지며 내측벽 및 내부 체적을 정의하는 기저 영역;
    내부 플랩 및 대향하는 외부 플랩을 포함하되, 상기 2개의 플랩은 2개의 각각의 경로에 의해 상기 기저 영역으로부터 구분되는 것인 상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플랩은 자유 에지로부터 연장되는 댐 플랩을 포함하며,
    상기 플랩들은, 상기 대향 플랩들이 각각의 경로를 따라 접힐 때 주출구 구멍을 구비한 높은 주출구를 정의하고, 상기 댐 플랩이 상기 외부 및 내부 플랩 사이에 상기 주출구 구멍을 향해 상기 주출구까지 연장되는 접이식 에지 댐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 플랩은 상기 내부 플랩의 상기 자유 에지를 따라 정의되는 길이, 및 상기 자유 에지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폭을 가지되, 상기 길이가 상기 폭보다 큰 것인,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 플랩은 상기 내부 플랩의 상기 자유 에지의 길이의 절반을 초과하여 연장되는,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 플랩 및 상기 내측벽은 상기 용기가 물질을 음용하거나 주입하기 위해 사용되는 중일 때 이 물질을 상기 주출구 구멍을 향해 유도하는 채널을 정의하도록 연동하는,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플랩은 상기 기저 영역의 폭보다 넓으며, 상기 댐 플랩을 정의하는 절취된 외부 에지를 구비하고, 그에 따라 상기 내부 플랩이 아래로 접힐 때, 상기 댐 플랩은 상기 용기의 상기 측벽과 접촉하고, 이러한 작용은 상기 댐 플랩을 절취선을 따라 위로 접어서, 상기 접이식 에지 댐을 형성하는,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 플랩은 V자형 갭에 의해 분할되는 2개의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그에 따라 상기 내부 플랩이 아래로 접힐 때, 상기 댐 플랩의 상기 세그먼트들이 위로 상승되어, 상기 세그먼트들 사이의 V자형 갭을 폐쇄하는 방식으로 함께 끼워 맞춰지는,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는, 톱니부가 절개되거나, 압축되거나, 신장되거나, 달리 왜곡될 때 상기 주출구 구멍을 확대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톱니부를 포함하는,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들은 연동 빨대 구멍들을 포함하는,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들은 상기 연동 빨대 구멍들을 형성하기 위해 관통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톱니부를 포함하는, 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단열재를 포함하는, 용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사출 성형, 열 성형, 또는 시트로부터의 압연, 절취, 및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용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플랩은 상기 용기의 상기 기저부에 상기 외부 플랩을 고정하는 접착 탭, 또는 상기 내부 플랩의 상면에 상기 외부 플랩을 고정하기 위한, 상기 외부 플랩의 내표면 상의 접착제 및/또는 상기 내부 플랩의 외표면 상의 접착제를 포함하는, 용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플랩은, 상기 플랩들이 접힐 때, 유체가 상기 내부 플랩과 상기 외부 플랩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상기 용기의 내부 체적 내로 흐를 수 있게 하도록 배치되는 배수구를 포함하는, 용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주출구 구멍 위에 접히며 이를 덮도록 구성되는 주출구 폐쇄 탭을 추가로 포함하는, 용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 폐쇄 탭이 상기 주출구 구멍 위에 접힐 때 상기 주출구에 상기 주출구 폐쇄 탭을 해제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주출구 폐쇄 탭 상의 접착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용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 구멍 내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도록 구성되는 마개 폐쇄구를 추가로 포함하는, 용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 폐쇄구는 스토퍼부 및 기저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기저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주출구 구멍 내에 끼워 맞춰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기저부는 상기 스토퍼부가 상기 주출구 구멍 내에 있을 때 상기 주출구 구멍의 외부에 남아있도록 구성되는, 용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 구멍을 덮기 위해 상기 주출구 위에 성형되는 캡 폐쇄구를 추가로 포함하는, 용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들 및/또는 접힘 경로들은 방수 재료를 포함하는, 용기.
KR1020167028979A 2014-03-28 2015-03-28 접이식 댐을 구비한 용기 KR201601384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71774P 2014-03-28 2014-03-28
US61/971,774 2014-03-28
PCT/US2015/023219 WO2015149048A1 (en) 2014-03-28 2015-03-28 Vessel with folded da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8471A true KR20160138471A (ko) 2016-12-05

Family

ID=52824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8979A KR20160138471A (ko) 2014-03-28 2015-03-28 접이식 댐을 구비한 용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20170361972A1 (ko)
EP (1) EP3122642B1 (ko)
JP (1) JP6625062B2 (ko)
KR (1) KR20160138471A (ko)
CN (1) CN106232485B (ko)
AU (1) AU2015237155B2 (ko)
CA (1) CA2943253A1 (ko)
HK (1) HK1232197A1 (ko)
MX (1) MX2016012471A (ko)
WO (1) WO20151490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205243D0 (en) 2012-03-26 2012-05-09 Kraft Foods R & D Inc Packaging and method of opening
GB2511559B (en) 2013-03-07 2018-11-14 Mondelez Uk R&D Ltd Improved Packaging and Method of Forming Packaging
GB2511560B (en) 2013-03-07 2018-11-14 Mondelez Uk R&D Ltd Improved Packaging and Method of Forming Packaging
PL3293126T3 (pl) 2016-09-09 2022-01-24 Metsä Board Corporation Kubek papierowy, wykrój na kubek papierowy i zastosowanie kubka papierowego
DE102017002114B4 (de) * 2017-03-08 2019-12-05 Emre Yildiz Gebindeverschluss, verschließbare Gebindevorrichtung umfassend den Gebindeverschluss sowie Gebindeverschlusswerkstück für den Gebindeverschluss
WO2020030683A1 (en) * 2018-08-08 2020-02-13 Hanpak Limited A container with an improved closure arrangement restricting spillage
US20200102111A1 (en) * 2018-09-28 2020-04-02 Robin Thurgood Recyclable Cup
WO2020179350A1 (ja) * 2019-03-06 2020-09-10 東罐興業株式会社 紙製容器およびその使用方法
USD968949S1 (en) * 2020-07-08 2022-11-08 Godiva Belgium B.V./S.R.L. Container
KR102243779B1 (ko) * 2020-11-26 2021-04-26 주식회사 바우에코팩 기능성 종이컵
US20220354284A1 (en) * 2021-05-04 2022-11-10 SIIP Drinks, LLC Drinking straw mountable container system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435A (en) 1887-03-15 Paper box
US3125258A (en) 1964-03-17 Dispensing container and blank therefor
US667634A (en) * 1900-02-16 1901-02-05 Dayton Folding Box Company Paper pail.
US1295418A (en) 1915-08-23 1919-02-25 American Water Supply Company Of New England Paper cup.
US1543209A (en) 1920-03-17 1925-06-23 Fulton Claude Victor Medicine container and spoon
US1375778A (en) 1920-04-20 1921-04-26 Earl C Clearwater Sanitary ice-cream-cone protector
US1527830A (en) 1924-02-15 1925-02-24 Frank V Booker Self-closing box
US2016964A (en) * 1933-12-06 1935-10-08 Continental Can Co Method of preparing a dispensing container
US2074824A (en) 1935-03-16 1937-03-23 Karlsson-Ygger Albert Container
US2344359A (en) 1938-03-07 1944-03-14 Lehmann Harry Paper container blank
US2367780A (en) 1940-06-22 1945-01-23 Bloomer Bros Co Carton
US2321042A (en) 1941-07-19 1943-06-08 American Can Co Container
US2646200A (en) 1945-12-06 1953-07-21 Atkins Samuel Lawrence Drinking vessel
US2661138A (en) 1949-03-16 1953-12-01 Leonard Gordon Container
US2608841A (en) 1950-11-16 1952-09-02 William W Rice Drinking cup for use by infants and invalids such as chair and bedridden patients
US2687840A (en) 1951-02-26 1954-08-31 Perga Containers Ltd Container structure
US2826349A (en) 1954-07-21 1958-03-11 Marathon Corp Container
US2797041A (en) 1954-10-18 1957-06-25 Fibreboard Paper Products Corp Carton
GB773138A (en) 1955-10-29 1957-04-24 Field Sons & Co Ltd Improvements in collapsible cartons
US2812121A (en) 1957-01-22 1957-11-05 Thomas M Sheets Pouring container with protective cover
US2964227A (en) 1958-01-23 1960-12-13 Goldsholl Morton Cardboard box
US3047179A (en) 1961-05-03 1962-07-31 Edward A Madej Bottle caps and the like
US3090542A (en) 1962-07-06 1963-05-21 Ruth S Miller Closure cap for waxed paper cup
US3150811A (en) 1963-07-24 1964-09-29 Lily Tulip Cup Corp Container
US3190440A (en) 1963-09-09 1965-06-22 Monsanto Co Curvilinear window containers and blanks therefor
US3334797A (en) 1965-07-01 1967-08-08 Mobil Oil Corp Containers with tear strip closures
US3315866A (en) 1965-09-09 1967-04-25 David A Kersh Pouring spout
US3302858A (en) 1965-09-16 1967-02-07 Ruth S Miller Tab-open closure cap for drinking cup-carton
US3365114A (en) 1966-06-17 1968-01-23 Continental Packaging Corp Box closures
US3343743A (en) 1966-09-12 1967-09-26 St Joseph Paper Box Company Carrying container
US3361308A (en) 1966-09-23 1968-01-02 Brown Co Carton having pour spout
US3595446A (en) 1969-04-01 1971-07-27 Hellstrom Harold R Quick-open container structure
US3680771A (en) 1970-04-01 1972-08-01 Continental Can Co Closure device for containers
US3630430A (en) 1970-08-06 1971-12-28 Diamond Int Corp Quickly erected scoop-type carton
US3809310A (en) 1971-03-01 1974-05-07 Brown Co Hexagonal container for food products or the like
GB1328317A (en) 1971-08-27 1973-08-30 Aspro Nicholas Ltd Carton
US3806023A (en) 1972-07-12 1974-04-23 W Barnett Lid for hot liquid drinking cup
US3845897A (en) 1972-11-28 1974-11-05 Brown Co Snap-erected container
US3929222A (en) 1974-10-29 1975-12-30 Graphic Arts Packaging Corp Pillow box blank
SE400941B (sv) * 1974-12-10 1978-04-17 Esseltepack Ab Med foderoblat forsedd skalformad forpackning
US3971503A (en) 1975-01-27 1976-07-27 Container Corporation Of America Sanitary paperboard scoop and container
US3964606A (en) 1975-03-31 1976-06-22 Anchor Wire Corporation Of Tennessee Package, display and dispensing device and blank therefor
US4083447A (en) 1976-07-26 1978-04-11 Bergstein Packaging Trust Cartons with cradle forming end closures
US4135512A (en) 1977-04-15 1979-01-23 Godsey David W Medication dispensing cup
US4150747A (en) 1977-05-09 1979-04-24 The Continental Group, Inc. Composite can
US4185764A (en) 1978-11-06 1980-01-29 Champion International Corporation Snap-up bottom, flat folded scoop-type carton
US4201331A (en) 1979-03-28 1980-05-06 Champion International Corporation Butterfly carton and blank for forming same
US4267955A (en) 1979-07-25 1981-05-19 Diamond International Corporation Quickly erected scoop-type carton and layout for cutting
US4322014A (en) 1979-07-27 1982-03-30 Morris Philip Splash-proof container and cover
US4238069A (en) 1979-08-09 1980-12-09 Morris George A Jr One-piece corrugated container
DK145534C (da) * 1979-12-07 1983-05-09 Colgate Palmolive Co Sekskantet emballage
US4368841A (en) 1980-08-07 1983-01-18 Phillips Petroleum Company Paper container
JPS584815Y2 (ja) * 1980-12-16 1983-01-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蓋つき紙カツプ
DE3217156A1 (de) 1982-05-07 1983-11-10 Altstaedter Verpack Vertrieb Packung fuer fliessfaehige fuellgueter mit wieder verschliessbarer oeffnungsvorrichtung
US4420111A (en) 1982-07-27 1983-12-13 Erwin Hament Cup and cover combination
JPS59179687U (ja) * 1983-05-18 1984-11-30 小田 明宏 液体の飛び散り防止コツプ
US4620665A (en) * 1983-08-18 1986-11-04 Nathaniel H. Garfield Container with integral toggle closure
US4535928A (en) 1983-11-02 1985-08-20 International Paper Company Dual purpose carton
US4573631A (en) 1984-06-22 1986-03-04 Michael Reeves Disposable straw, lid and cup combination
US4711389A (en) 1985-12-11 1987-12-08 International Paper Company Self-supporting and spill resistant food carton
US4714164A (en) 1985-12-16 1987-12-22 Nimco Corporation Stacking tab for tapered container
US4630733A (en) 1985-12-20 1986-12-23 Continental Bondware, Inc. Product indicating tab
US4805775A (en) 1985-12-20 1989-02-21 Continental Bondware, Inc. Carton with product indicating tab
US4730766A (en) 1985-12-20 1988-03-15 Continental Bondware, Inc. Sealing of void area at the top of cup bead of hot melt
USD306975S (en) * 1986-08-14 1990-04-03 Sweetheart Cup Company Inc. French fry holder
US4714190A (en) 1986-09-11 1987-12-22 Morrocco Diane M Fast food take out carton with cover
US4712725A (en) 1986-09-17 1987-12-15 Moore Timothy J Container with integral fold-in closure lid
US5061501A (en) 1987-10-09 1991-10-29 Lowe David M Display package for meat item
US4886206A (en) 1988-07-11 1989-12-12 Martinez Beatrice E Disposable container with foldable spout
GB2222569B (en) * 1988-09-12 1992-02-19 Guinness Son & Co Ltd A A method of packaging a beverage and a beverage package
US4915235A (en) 1989-05-12 1990-04-10 International Paper Company Tear panel french fry carton
US5048749A (en) 1989-09-19 1991-09-17 Rock-Tenn Company Sealed reclosable container
US5137210A (en) 1990-04-12 1992-08-11 Hibbs Brenda K Beverage cup with attached side pouch for food
US5062568A (en) 1990-10-09 1991-11-05 Owens-Illinois Plastic Products Inc. Thermoplastic cup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US5301870A (en) 1991-12-23 1994-04-12 Lever Brothers Company, Division Of Conopco, Inc. Scoop
US5400989A (en) 1993-02-08 1995-03-28 Gaskill; Daniel L. Support for flexible bag
US5358175A (en) * 1993-03-17 1994-10-25 Dopaco, Inc. Cup container with intergral closure
US5423476A (en) 1993-11-15 1995-06-13 Ferrer; Lilly Cup with integral straw
NL9401637A (nl) 1994-10-05 1996-05-01 Crystal Bv Doosvormige verpakking met afsluitbare strooiopening.
US5417364A (en) 1994-07-11 1995-05-23 Shaw; Loretta A. Ketchup pocket basket
US5645191A (en) 1994-11-04 1997-07-08 Neville; Lillian Disposable safety cup
USD367816S (en) 1995-02-15 1996-03-12 Dopaco, Inc. Closable cup
CA2145112C (en) 1995-03-21 1998-09-29 Kevin Lankin Self-locking closure system
AU5916996A (en) 1995-05-29 1996-12-18 Elfvin, Bjorn Beverage container and bottom closure therefore
US5588552A (en) 1995-06-05 1996-12-31 Johnson; Timothy C. Disposable rolled rim cup and lid closure
US5626283A (en) 1996-02-07 1997-05-06 Westvaco Corporation Container for food and condiments
US5697549A (en) 1996-11-18 1997-12-16 Dopaco, Inc, Carton with prize coupon
US5720429A (en) 1997-01-03 1998-02-24 Cordle; Bradley D. Food container with flip-out condiment pocket
AT1899U1 (de) 1997-01-30 1998-01-26 Surlina Zoran Verpackung mit einer ebenen grundfläche, einer mantelfläche und einer deckfläche
US5911358A (en) 1997-05-31 1999-06-15 Cd Cartondruck Gmbh Folding box
US5875957A (en) 1997-11-17 1999-03-02 Dopaco, Inc. Food scoop with condiment compartment
USD406058S (en) 1998-02-16 1999-02-23 Gary Allmon Fanfold closure box
US5960987A (en) * 1998-04-16 1999-10-05 Flip Cup Company, Llc Self sealing drinking dispenser
USD418368S (en) * 1998-06-22 2000-01-04 Flip Cup Company, Llc Cup
US6027018A (en) 1999-03-04 2000-02-22 Dopaco, Inc. Carton with integral promotional material
US6230969B1 (en) 1999-03-17 2001-05-15 Peter J. Spransy Food container and sauce reservoir arrangement
US6176420B1 (en) 1999-06-07 2001-01-23 George E. Sarson Disposable cup with spill resistant lid
US6216946B1 (en) 1999-12-10 2001-04-17 Dopaco, Inc. Food scoop with condiment holder
USD456253S1 (en) 2000-04-06 2002-04-30 Kimberly-Clark Limited Container
AU143620S (en) 2000-04-06 2001-04-11 Kimberly Clark Ltd A container
USD456710S1 (en) 2000-04-14 2002-05-07 Sca Hygiene Products Ab Box
US6360944B1 (en) 2000-08-16 2002-03-26 Charles Gorman Food container with a foldable condiment holder
ITRM20010095A1 (it) 2001-02-22 2002-08-22 Seda Spa Contenitore con elementi di chiusura.
US6394338B1 (en) 2001-08-13 2002-05-28 Roy Gene Sluder Convertible container for food and condiment
JP4853603B2 (ja) * 2001-09-05 2012-01-1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紙カップ
GB0123758D0 (en) 2001-10-03 2001-11-21 Mcdonald S Restaurants Ltd Containers
PT1456092E (pt) 2001-12-10 2006-07-31 Alcoa Gmbh Verpackwerke Recipiente, tratando-se nomeadamente de uma garrafa para bebidas
USD469691S1 (en) 2002-01-23 2003-02-04 Sweetheart Cup Company Inc. Paper cup with fold top lid
DE10202705A1 (de) * 2002-01-24 2003-08-07 Ki Bum Park Papierbecher mit integriertem Deckel
USD467798S1 (en) 2002-02-13 2002-12-31 Richard Cohon Carrying container
PT1354804E (pt) 2002-04-08 2005-11-30 Seda Spa Recipiente descartavel anti-salpicos
CA2412365A1 (en) * 2002-07-17 2004-01-17 George E. Sarson Disposable cup with fold-down lid
USD502364S1 (en) 2003-07-15 2005-03-01 Hong Kong Cup Products Mfy. Ltd. Cup
USD495209S1 (en) 2003-07-15 2004-08-31 Pactiv Corporation Cup having inwardly folding lids
EP1656300A1 (en) 2003-07-28 2006-05-17 The Cupworks Corporation Disposable cup with fold-down lid
JP2005096790A (ja) * 2003-09-24 2005-04-14 Toppan Printing Co Ltd パルプモウルド紙容器
US6955289B2 (en) * 2004-02-06 2005-10-18 Lid Lock Cup Co. Ltd. Container having an integral lid
US20060169759A1 (en) * 2005-01-31 2006-08-03 Sarson George E Product container with fold-down lid
US7681784B2 (en) * 2007-11-06 2010-03-23 Lang Robert J Container with integral foldable locking closure
US9975290B2 (en) 2008-03-06 2018-05-22 Sonoco Development, Inc. Flexible packaging structure with built-in tamper-evidence features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20090261156A1 (en) * 2008-04-18 2009-10-22 Abbott Phillip G Round top cup with folding closure
USD605895S1 (en) 2008-04-18 2009-12-15 Shamrock Cups, Llc Round top cup
USD628059S1 (en) 2008-11-25 2010-11-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ckage
US8540114B2 (en) * 2009-03-18 2013-09-24 Cup Techniques Ltd. Container apparatus with a body, plate, and lid
JP5150549B2 (ja) 2009-04-06 2013-02-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犠牲電極の取付構造
EP2653401B1 (en) 2009-06-12 2015-09-16 Compleat LLC Spouted cup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8864015B2 (en) * 2009-11-25 2014-10-21 Hanpak Limited Cup with integral closure flaps
USD637872S1 (en) * 2010-03-16 2011-05-17 Cup Techniques, Ltd Cup with an attached fold down lid
US8955738B2 (en) * 2011-05-17 2015-02-17 Pactiv Packaging Inc. Food scoop with top closure
EP2855290B1 (en) * 2012-05-25 2016-07-27 Hanpak Limited A cup with integral closure flaps restricting spillage
CN203332516U (zh) * 2012-07-31 2013-12-11 麦晓毅 自封口容器
US8746545B2 (en) * 2012-08-09 2014-06-10 Russell E. Houck Drink cup for road running races
US9359101B2 (en) 2013-11-22 2016-06-07 Huhtamaki, Inc. Leak resistant food slee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232197A1 (zh) 2018-01-05
US11008131B2 (en) 2021-05-18
EP3122642B1 (en) 2018-11-28
MX2016012471A (es) 2017-05-04
CA2943253A1 (en) 2015-10-01
WO2015149048A1 (en) 2015-10-01
CN106232485A (zh) 2016-12-14
AU2015237155A1 (en) 2016-10-06
EP3122642A1 (en) 2017-02-01
JP2017509557A (ja) 2017-04-06
JP6625062B2 (ja) 2019-12-25
AU2015237155B2 (en) 2019-06-13
CN106232485B (zh) 2019-03-08
US20180186502A1 (en) 2018-07-05
US20170361972A1 (en) 201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1655B2 (en) Vessel with folded dam
KR20160138471A (ko) 접이식 댐을 구비한 용기
US8864016B2 (en) Vessel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EP2855290B1 (en) A cup with integral closure flaps restricting spillage
CN109476398B (zh) 具有限制溢出的闭合装置的容器
US20210300618A1 (en) A container with an improved closure arrangement restricting spillage
US20200102111A1 (en) Recyclable Cup
AU2013205527A1 (en) Vessel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CA3182995A1 (en) A l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