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3779B1 - 기능성 종이컵 - Google Patents

기능성 종이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3779B1
KR102243779B1 KR1020200161668A KR20200161668A KR102243779B1 KR 102243779 B1 KR102243779 B1 KR 102243779B1 KR 1020200161668 A KR1020200161668 A KR 1020200161668A KR 20200161668 A KR20200161668 A KR 20200161668A KR 102243779 B1 KR102243779 B1 KR 102243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ortion
cup body
cover
injection hole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1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우에코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우에코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우에코팩
Priority to KR1020200161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37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1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form of integral or permanently secured end closure
    • B65D3/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form of integral or permanently secured end closure with end portion of body adapted to be closed, by flattening or folding operations, e.g. formed with crease lines or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28Other details of walls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가 폐쇄된 컵몸체부; 상기 컵몸체부의 상부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1덮개부, 메인덮개부, 제2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덮개부와 제2덮개부와 메인덮개부는 서로 폴딩되게 접히어 상기 컵몸체부의 상부 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기능성 종이컵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기능성 종이컵{Functional paper Cup}
본 발명은 종이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체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되 상부가 폐쇄되고 주입공이 구비되어 음료의 음용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기능성 종이컵에 관한 것이다.
물 또는 음료수를 마시기 위한 컵은 유리, 플라스틱, 종이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지는데 일회용 컵은 주로 종이로 만들어져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이컵은 일반적으로 하부가 폐쇄되고 상부가 개구된 상태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음료를 수용하여 사용자가 음용 시 상부 개구된 부위에서 수용된 음료가 나와 사용자의 의류에 묻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곤 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종이컵의 상부를 폐쇄하는 뚜껑을 별도 적용하여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뚜껑을 별도로 가지고 다녀야 하여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으며 제조 단가도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4946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음용이 편리하게 가능하도록 구성된 기능성 종이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가 폐쇄된 컵몸체부; 상기 컵몸체부의 상부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1덮개부, 제2덮개부, 메인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덮개부와 제2덮개부와 메인덮개부는 서로 폴딩되게 접히어 상기 컵몸체부의 상부 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기능성 종이컵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덮개부와 제2덮개부가 상기 컵몸체부 상부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접힌 경우 상기 컵몸체부와 상기 제1덮개부 및 제2덮개부가 만나는 부위에는 주입공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컵몸체부와 상기 제1덮개부 사이, 상기 컵몸체부와 상기 제2덮개부 사이 및 상기 컵몸체부와 상기 메인덮개부 사이에는 접힘선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종이컵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종이컵에 의하면, 컵몸체부의 상부를 폐쇄하는 구성들을 컵몸체부에 일체형으로 적용하여 경제적임과 동시에 사용상의 편리함을 가져오게 된다.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종이컵에 의하면, 컵몸체부의 상부를 폐쇄함과 동시에 주입공이 적용되도록 함으로써 종이컵 내부에 수용된 음료의 음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셋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종이컵에 의하면, 상황에 따라서 주입공의 크기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종이컵의 전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종이컵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종이컵에서 메인덮개부를 접어 컵몸체부의 상부 일부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종이컵에서 메인덮개부와 제1덮개부와 제2덮개부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종이컵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종이컵의 정면도;
도 7은 주입공 확장이 가능한 확장용절취선이 적용된 기능성 종이컵의 전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종이컵의 측면도;
도 9는 상기 도 8에 적용되는 음료유도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종이컵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본 발명 기능성 종이컵에 적용되는 구성인 주입공이 위치된 측을 기능성 종이컵의 정면도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종이컵의 전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종이컵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종이컵에서 메인덮개부를 접어 컵몸체부의 상부 일부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종이컵에서 메인덮개부와 제1덮개부와 제2덮개부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종이컵의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종이컵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종이컵(100)은 컵몸체부(110), 받침부(150), 제1덮개부(130), 제2덮개부(140) 및 메인덮개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컵몸체부(110)는 공지된 일반적인 컵과 같이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관통부가 형성된 형태로 전개도상 양측변이 일정 영역부(128)에 접합되도록 이루어지며 하부 관통부가 상기 받침부(150)에 의하여 폐쇄된 형태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부(150)는 둘레접합부(155)가 받침부(150)의 둘레를 따라 상향돌출되도록 한 후 공지된 기술과 같이, 상기 둘레접합부(155)가 상기 컵몸체부(110)의 하부 둘레에 접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컵몸체부(110)의 상부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상기 제1덮개부(130), 제2덮개부(140), 메인덮개부(120)가 배치된 형태를 이룬다.
여기서, 상기 메인덮개부(120)는 전개도상 상기 컵몸체부(110)의 양측에 각각 제1메인덮개부(121)와 제2메인덮개부(122)가 서로 가장자리가 접합되어 하나의 메인덮개부(120)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덮개부(130)와 제2덮개부(140)와 메인덮개부(120)는 각각 컵몸체부(110)의 상부에서 접혀서 상기 제1덮개부(130)와 제2덮개부(140)와 메인덮개부(120)가 면상 접합하며 서로 폴딩되면서 상기 컵몸체부(110)의 상부 개구된 부위가 폐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컵몸체부(110)와 상기 제1덮개부(130) 사이, 상기 컵몸체부(110)와 상기 제2덮개부(140) 사이 및 상기 컵몸체부(110)와 상기 메인덮개부(120) 사이에는 상기 부재들이 서로 면상 폴딩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접힘선(11, 12, 13, 14)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접힘선(11, 12, 13, 14)은 상기 각 부재(120, 130, 140)들이 상기 컵몸체부(110) 상부에서 용이하게 접히도록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필요 시 외력을 가하여 상기 각 부재(120, 130, 140) 중 선택된 부재가 컵몸체부(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소정 천공된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종이컵(100)은 상기 제1덮개부(130)와 제2덮개부(140)가 상기 컵몸체부(110) 상부를 폐쇄하도록 접힌 경우 상기 컵몸체부(110)와 상기 제1덮개부(130) 및 제2덮개부(140)가 만나는 부위에는 주입공(134)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덮개부(130)와 제2덮개부(140)는 상기 주입공(134)이 형성되는 측이 돌출된 형태, 즉 도 5와 같이 상기 주입공(134)이 형성된 부위가 상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접힘선(12, 13)과 상기 제1덮개부(130) 및 제2덮개부(140)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주입공(134)을 통한 내부 음료의 음용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덮개부(140)에는 상기 제1덮개부(130)의 일측이 제2덮개부(140)의 타측에 끼워져 양부재(130, 140)가 고정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끼움홈(145)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컵몸체부(110)는 내측으로 상기 주입공(134)이 형성된 측 하부 일정 영역에 소수성물질이 코팅된 소수성코팅부(111)가 구비되도록 하여 주입공(134)으로 내부 수용된 음료가 매우 원활하게 주입공(134)으로 유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소수성물질은 물과의 마찰을 줄여 표면에 물이 붙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공지된 다양한 형태 중 일 형태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제1덮개부(130), 제2덮개부(140) 및 메인덮개부(120)들이 서로 면상 접촉되는 부위에는 양면테이프와 이면지 등이 적용되어 사용자가 필요 시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종이컵에 의하면, 상기 컵몸체부(110)의 상부를 폐쇄하는 구성들을 상기 컵몸체부(110)에 일체형으로 적용하여 경제적임과 동시에 사용상의 편리함을 가져오게 된다.
또한, 상기 컵몸체부(110)의 상부를 폐쇄함과 동시에 상기 주입공(134)이 상향 돌출된 형태로 적용되도록 함으로써 종이컵 내부에 수용된 음료의 음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7은 주입공 확장이 가능한 확장용절취선이 적용된 기능성 종이컵의 전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종이컵(100)도 상기 제1덮개부(130)와 제2덮개부(140)가 상기 컵몸체부(110) 상부를 폐쇄하도록 접힌 경우 상기 컵몸체부(110)와 상기 제1덮개부(130) 및 제2덮개부(140)가 만나는 부위에는 주입공(134)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입공(134) 둘레를 따라서 기 설정 간격마다 복수 개의 확장용절취선(181, 182, 183)이 적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이컵의 경우는 상기 확장용절취선(181, 182, 183) 중 선택된 확장용절취선을 절취함에 따라서 주입공(134)의 크기가 달라지도록 함으로써 상황에 따라서 컵몸체부(110) 내부에 수용된 음료를 보다 편리하게 음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종이컵의 측면도이며, 도 9는 상기 도 8에 적용되는 음료유도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종이컵은 컵몸체부(110) 내부에 음료유도모듈(200)이 설치된 상태를 이룬다.
상기 음료유도모듈(200)은 컵몸체부(110)의 받침부 상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스탠드부(220)와, 상기 스탠드부(220)의 상측이 중앙부에 결합된 상태를 이루는 중간수평폐쇄부(21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중간수평폐쇄부(210)는 상기 주입공(134)에 대응되는 위치로 중간수평폐쇄부(210)의 상부와 하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개방홈부(215)가 형성된다.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중간수평폐쇄부(210)의 둘레 또는 스탠드부(220)의 하부는 각각 상기 컵몸체부(110)의 내부면 또는 받침부(150) 중앙 상부에 고정된 상태를 이룸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료유도모듈(200)이 적용되어 상기 중간수평폐쇄부(210)로 인하여 종이컵이 전체적으로 흔들리더라고 내부 음료가 바로 제1덮개부(130)와 제2덮개부(140) 및 메인덮개부(120)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적인 음료의 음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주입공(134)에 대응되는 위치로 구비된 개방홈부(215)를 이용 컵몸체부(110) 내부 수용된 음료의 원활한 음용은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주입공(134) 하부 일부 영역과 상기 중간수평폐쇄부(210)의 상부면에는 소수성물질이 코팅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컵몸체부(110)를 수평한 곳에 세워놓은 경우 상기 중간수평폐쇄부(210)의 개방홈부(215)가 형성된 측이 개방홈부가 형성되지 않은 반대측보다 낮은 상태를 이루도록 경사진 형태를 이루도록 하여(즉, 도 8에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 음료유도모듈이 구비된 기능성 종이컵을 책상 위 등에 놓은 경우 컵몸체부(110) 내부에서 상기 중간수평폐쇄부(210)의 상측으로 올라갔던 음료가 다시 중간수평폐쇄부(210)의 하부로 자동적으로 내려가 수용되도록 할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종이컵의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컵몸체부(110)의 중앙부 둘레를 따라서 일정 영역에 주름부(118)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주입공(134)의 외측으로 상기 주입공(134)을 감싸는 일정 영역에 음영부(177)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름부(118)를 이용 컵몸체부(110)를 잡기가 편하도록 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음영부(177)에 소정의 짙은 색상을 적용함으로써 주입공(134) 주변에 사용자의 입술 루즈가 묻거나 입자국이 생기더라도 시각적으로 자국 등이 확실하게 보이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주름부(118)는 컵몸체부(110)의 외면 전체에 걸쳐 측면에서 보아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속으로 연결되게 경사진 스크류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컵몸체부(110) 표면에 묻은 물기가 손에 묻지 않고 아래로 빠져나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기능성 종이컵
110: 컵몸체부
120: 메인덮개부
130: 제1덮개부
134: 주입공
140: 제2덮개부
150: 받침부

Claims (3)

  1.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가 폐쇄된 컵몸체부; 상기 컵몸체부의 상부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1덮개부, 메인덮개부, 제2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덮개부와 제2덮개부와 메인덮개부는 서로 폴딩되게 접히어 상기 컵몸체부의 상부 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덮개부와 제2덮개부가 상기 컵몸체부 상부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접힌 경우 상기 컵몸체부와 상기 제1덮개부 및 제2덮개부가 만나는 부위에는 주입공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컵몸체부와 상기 제1덮개부 사이, 상기 컵몸체부와 상기 제2덮개부 사이 및 상기 컵몸체부와 상기 메인덮개부 사이에는 상기 제1덮개부, 상기 제2덮개부 및 상기 메인덮개부가 서로 면상 폴딩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접힘선이 각각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제1덮개부와 제2덮개부는 상기 주입공이 형성되는 측이 상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각 접힘선과 상기 제1덮개부 및 제2덮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덮개부에는 상기 제1덮개부의 일측이 상기 제2덮개부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끼움홈이 구비되며,
    상기 컵몸체부는 내측으로 상기 주입공이 형성된 측 하부 일정 영역에 소수성물질이 코팅된 소수성코팅부가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주입공으로 내부 수용된 음료가 원활하게 유도되도록 하며,
    상기 주입공 둘레를 따라서 기 설정 간격마다 복수 개의 확장용절취선이 상기 결합된 컵몸체부, 제1덮개부 및 제2덮개부에 형성되는,
    기능성 종이컵.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용절취선은 세 개가 구비되는 기능성 종이컵.
KR1020200161668A 2020-11-26 2020-11-26 기능성 종이컵 KR102243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668A KR102243779B1 (ko) 2020-11-26 2020-11-26 기능성 종이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668A KR102243779B1 (ko) 2020-11-26 2020-11-26 기능성 종이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3779B1 true KR102243779B1 (ko) 2021-04-26

Family

ID=75733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1668A KR102243779B1 (ko) 2020-11-26 2020-11-26 기능성 종이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377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2733A (ja) * 2001-09-05 2003-03-12 Dainippon Printing Co Ltd 紙カップ
JP2010018323A (ja) * 2008-07-11 2010-01-28 Yushin:Kk 逆止機能ノズルを備えるフレキシブル包装袋
KR20120032495A (ko) * 2009-06-12 2012-04-05 허먼 피터 용기 및 용기를 만드는 방법
KR101544946B1 (ko) 2013-12-11 2015-08-18 주찬 조립식 종이컵
JP2017509557A (ja) * 2014-03-28 2017-04-06 コンプリート エルエルシーCompleat LLC 折り畳まれた堰を備える容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2733A (ja) * 2001-09-05 2003-03-12 Dainippon Printing Co Ltd 紙カップ
JP2010018323A (ja) * 2008-07-11 2010-01-28 Yushin:Kk 逆止機能ノズルを備えるフレキシブル包装袋
KR20120032495A (ko) * 2009-06-12 2012-04-05 허먼 피터 용기 및 용기를 만드는 방법
KR101544946B1 (ko) 2013-12-11 2015-08-18 주찬 조립식 종이컵
JP2017509557A (ja) * 2014-03-28 2017-04-06 コンプリート エルエルシーCompleat LLC 折り畳まれた堰を備える容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84452A1 (en) Multifunctional drinking cup structure
USD547175S1 (en) Mirrored dispenser container
USD469691S1 (en) Paper cup with fold top lid
US20020170874A1 (en) Easy-open lid assembly for a bottle
US6851550B2 (en) Infusion package
RU2673763C2 (ru) Крышка, выполненная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повторного закрытия
JP7071759B2 (ja) 内部アクセスを有する分注容器
US5842634A (en) Folding cup
KR102243779B1 (ko) 기능성 종이컵
JP3448262B2 (ja) 飲料缶用キャップおよびストロー
JP2003072733A (ja) 紙カップ
US20040178207A1 (en) Disposable beverage cup lid with lip-operated valve
JP7146209B2 (ja) 飲料カップ用蓋体
KR200488738Y1 (ko) 빨대구비 음료 용기
US20020170915A1 (en) Closure with secondary compartment
KR20100094285A (ko) 빨대가 장치된 음료용기
KR20030064199A (ko) 뚜껑이 구비된 종이컵
WO2019056787A1 (zh) 一种一体杯子
USD518709S1 (en) Dispenser with center opening covers
WO2006103496A1 (en) Container for cosmetic products
JP3115142U (ja) 飲料用容器
KR200271776Y1 (ko) 절첩식 일회용 종이컵
JPS6120967Y2 (ko)
KR200182095Y1 (ko) 빨대 내장형 음료용기
EP0034161A1 (en) Container assembly, tap and valve cap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