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4946B1 - 조립식 종이컵 - Google Patents

조립식 종이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4946B1
KR101544946B1 KR1020130153900A KR20130153900A KR101544946B1 KR 101544946 B1 KR101544946 B1 KR 101544946B1 KR 1020130153900 A KR1020130153900 A KR 1020130153900A KR 20130153900 A KR20130153900 A KR 20130153900A KR 101544946 B1 KR101544946 B1 KR 101544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up
present
shape
folding line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3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8096A (ko
Inventor
주찬
Original Assignee
주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찬 filed Critical 주찬
Priority to KR1020130153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4946B1/ko
Publication of KR20150068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2019/2277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collapsi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종이컵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접은 상태로 휴대하다가 사용시 접어서 사용하는 종이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몸체(1)와 지지부(3)로 이루어지는 2개의 동일한 형상의 판재(100,200)의 주연부가 서로 겹쳐 접착되어지되, 상기 몸체의 상단만 개방되도록 측부와 하부가 접착된 접착부(10) 그리고 고정부(12)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 하단부에서 연장되는 지지부(3)는 제1절곡부(30a)에 의해 형성되는 바닥면(30)과 제2절곡부(30b)에 의해 형성되는 지지면(32) 및 지지면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몸체의 고정부(12)에 고정되는 고정날개(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종이컵{FOLDABLE PAPER CUP}
본 발명은 조립식 종이컵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접은 상태로 휴대하다가 사용시 조립하여 사용하는 종이컵에 관한 것이다.
조립식 종이컵은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72373호(발명의 명칭; 1회용 개량종이컵),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31511호(발명의 명칭; 홈이 있는 일회용 종이컵)에 개시된 바와 같이 1회용으로 물이나 음료를 담아 사용한 뒤 그 자리에서 버리는 것이다.
그러나, 이같은 종이컵은 뜨거운 커피나 차와 같은 음료를 마시는데 사용하기 어렵다. 컵의 재질이 얇아서 뜨거움이 사용자의 손에 전달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뜨거운 차를 단숨에 후루룩 마시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뜨거운 차는 조금씩 마시면서 음미하기 때문에 찻잔인 종이컵을 책상이나 식탁 위에 놓고 마시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차가운 물을 마실 때도 컵을 바닥에 놓아둘 필요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 경우 전술한 종이컵은 바닥에 놓을 수 있는 구조가 아니어서 음료를 다 마실 때까지 손으로 잡고 있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자는 바닥에 놓을 수 있는 종이컵이로되, 제조와 유통과정에서는 평면형상이지만 사용자가 사용시 접어서 컵을 조립하고, 조립된 컵에 음료를 담은 상태에서 바닥에도 놓을 수 있는 구조의 본 발명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식 종이컵을 제공하되 바닥에 놓을 수 있는 구조의 종이컵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와 재활용에 친한 종이컵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몸체(1)와 지지부(3)로 이루어지는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의 판재(100,200)의 주연부가 서로 접착되어지되, 상기 몸체의 상단만 개방되도록 측부와 하부가 접착된 접착부(10) 그리고 고정부(12)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 하단부에서 연장되는 지지부(3)는 제1절곡부(30a)에 의해 형성되는 바닥면(30)과 제2절곡부(30b)에 의해 형성되는 지지면(32) 및 지지면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몸체의 고정부(12)에 고정되는 고정날개(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1)는 종이컵 입구가 일정한 형상으로 확장되도록 양측 접착부의 중앙에 제1접힘선(1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역Y자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역Y자형 접힘선(3)의 교차점에서 연장되어 양측 상방으로 컵 안쪽을 향하여 접히도록 제2접힘선(15)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의 상단에는 절곡선(5a)이 형성된 입구날개(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단에 의해 바닥에 놓을 수 있는 구조의 조립식 종이컵이 제공되며,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는 용기로서 휴대와 재활용에 친한 종이컵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예의 전개도
도 2는 또 다른 실시예의 전개도
도 3은 도 2의 1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도
도 5는 본 발명의 고정부의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고정부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예와 다양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종이컵은 편의상 붙인 이름이므로 "종이컵"이라는 용어는 재질에 따른 이름이 아니라, 종이는 물론이고 이에 준하는 합성수지재, 안쪽면을 코팅한 종이, 종이 등에 알루미늄 등의 금속코팅을 한 것 등을 모두 포괄하여 사용한다.
또한 "종이컵"이라는 용어는 용도가 "컵"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다양한 용기를 포괄하여 지칭하며, 액체를 담을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고체 또는 화분의 용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하단에 일정한 통공을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종이컵에 적용할 경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몸체(1)와 지지부(3)로 이루어지는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의 판재(100,200)의 주연부가 서로 접착되어지되, 상기 몸체의 상단만 개방되도록 측부와 하부가 접착된 접착부(10) 그리고 고정부(12)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 하단부에서 연장되는 지지부(3)는 제1절곡부(30a)에 의해 형성되는 바닥면(30)과 제2절곡부(30b)에 의해 형성되는 지지면(32) 및 지지면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몸체의 고정부(12)에 고정되는 고정날개(34)를 포함한다.
도 1은 앞 뒤면(100,200)을 일체로 절단하여 접어서 만들 때의 전개도, 도 2는 앞 뒤면을 각각 만들어 서로 접착하여 만들 때의 전개도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앞 뒤면을 하나의 판으로 제작할 수도 있고, 2개의 판으로 만들 수도 있다. 따라서 앞 뒤면(100,200)은 동일한 구조이다.
이에 따라, 도 1에서는 10a선을 접어 L자형으로 접착하고, 도 2에서는 2개의 판재(100,200)을 겹쳐 양 측부와 하부를 ∪자형으로 접착한다.
이밖에도 양 측면을 접고 몸체 중앙의 제1접힘선(13)을 따라 하단부까지가 수직으로 절단된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접착부는 도 3의 제1점힘선(13)을 따라 몸체(1)의 하단까지 수직으로 접착부(10)가 형성된다.
도 1과 도 2의 경우 몸체(1)는 접착부(10)에 의해 형성된다. 도 1의 경우 접착부가 L자 형상이지만, 도 2의 경우의 접착부(10)는 각진 ∪자 형태로서 상부가 개방되어 용기의 수용부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진 ∪자형태로 접착부를 형성하였지만, 둥근 ∪자도 무방하며 그밖의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의 형상을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사다리꼴로 형성하였지만, 몸체의 하단으로 흐르는 윤곽선인 측부의 선(접착부의 능선)도 다양하게 성형할 수 있다. 예컨대 측부의 중앙(몸통 중앙)이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접착부(10)의 측부의 선은 곡선 또는 절곡선이 될 수도 있다.
지지부(3)는 종이컵을 바닥에 놓을 수 있도록 용기의 바닥면(30)과 지지면(2)면을 각각 제1절곡부(30a)와 제2절곡부(30b)에서 절곡한 뒤, 고정날개(34)를 몸체의 고정부(12)에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이렇게 조립된 종이컵의 형태는 도 4와 같다. 미설명부호 30c는 제3절곡부로서 고정날개를 끼워 고정한 후 쉽게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것이다.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몸체(1)는 제1접힘선(13)이 종이컵 입구가 일정한 형상으로 확장되도록 기능하는데, 형상을 역Y자 형상으로 하였다. 아울러 상기 역Y자형 접힘선(13)의 교차점에서 연장되어 양측 상방으로 컵 안쪽을 향하여 접히도록 제2접힘선(15)이 더 형성하였다.
도면에서 1점쇄선으로 표시된 선은 컵의 바깥쪽으로 확장되도록 접히는 선이며, 파선은 반대쪽으로 접히는 선을 구분한 것이다.
상기 몸체(1)의 상단에는 절곡선(5a)이 형성된 입구날개(5)를 형성한 뒤, 제작시에 접어서 붙일 수도 있고, 사용시에 접어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입구날개(5)를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만, 사용자의 입술이 닫는 부분이므로 촉감을 좋게 하기 위해 둥글게 말거나, 단순히 접어서 몸체 표면에 접착하는 것도 무방하다.
지지부(3)의 고정날개(34)와 몸체의 고정부(12)는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3의 경우 삼각형의 종이편을 사용하여 삼각형의 양변(12a)만 접착한 뒤 바닥변(12b)이 개방되도록 하고, 개방된 틈으로 지지부의 고정날개(34)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12)는 몸체에 슬릿(통공)을 형성하여 끼우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 경우에는 액상의 물질을 담는 용도가 아니라, 화분이나 액상이 아닌 다른 재질의 물건을 수용하는 용기로 사용하는 것이 적당할 것이다.
도 6의 경우는 고정부의 고정편을 상부면(12a)만 접착하고 하부면을 날개(12b)로 형성하면 지지부의 지지면(32)의 고정날개의 단부를 고정부의 고정선에 대응한 형상으로 만들어 절곡하지 않고 날개(12b) 밑에 끼워 넣어 고정하면 된다.
이밖에도 본 발명은 몸체의 고정부(12)의 형상을 하트모양이나 캐릭터 모양으로 할 수도 있으며, 입구날개(5)의 형상도 입술 모양 등으로 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종이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모양의 성형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몇가지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였다. 다만, 전술한 실시예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시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을 응용한 다양한 변형예들이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오직 보호범위는 후술하는 청구항에 의해 제한된다.
본 발명의 명칭을 "조립식 종이컵"이라 이름한 것은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실시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재질로서 합성수지 판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컵은 물론이고 산업용 박스 등 필요에 따라 크기와 형태를 달리하여 다양한 용기의 제작에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이재질로 바닥에 세울 수 있는 구조이므로 세미나장의 탁자 위에 참석자를 표시하기 위한 1회용 명패나, 매장의 팝업광고물 지지대, 화분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산업용 박스로 사용할 경우 테이핑을 하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고, 유통 및 보관시 접을 수 있으므로 유통 및 보관이 용이하다. 또한 알루미늄 코팅재 또는 인체에 무해한 합성수지재를 사용하면 세척과 소독이 용이하여 개인용 위생용기에도 적합하다.
1 몸체 3 지지부 5 입구날개
5a 절곡선 10 접착부 12 고정부
13 제1접힘선 15 제2접힘선 30 바닥면
30a 제1절곡부 30b 제2절곡부 30c 제3절곡부
32 지지면 34 고정날개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몸체(1)와 지지부(3)로 이루어지는 2개의 동일한 형상의 판재(100,200)의 주연부가 서로 접착되어지되, 상기 몸체는 상단만 개방되도록 측부와 하부가 접착된 접착부(10) 그리고 고정부(12)를 포함하고, 종이컵의 입구가 일정한 형상으로 확장되도록 양측 접착부 사이의 중앙에 역Y자 형상의 제1접힘선(13)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 하단부에서 연장되는 지지부(3)는 제1절곡부(30a)에 의해 형성되는 바닥면(30)과 제2절곡부(30b)에 의해 형성되는 지지면(32) 및 지지면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몸체의 고정부(12)에 고정되는 고정날개(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종이컵
  4. 제3항에서,
    상기 제1접힘선(13)의 중심(교차점)에서 연장되어 양측 상방의 컵 안쪽을 향하여 접히도록 제2접힘선(15)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종이컵
  5. 제3항 또는 제4항에서,
    상기 몸체(1)는 상단에서 연장되고 절곡선(5a)이 형성된 입구날개(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종이컵
KR1020130153900A 2013-12-11 2013-12-11 조립식 종이컵 KR101544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900A KR101544946B1 (ko) 2013-12-11 2013-12-11 조립식 종이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900A KR101544946B1 (ko) 2013-12-11 2013-12-11 조립식 종이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096A KR20150068096A (ko) 2015-06-19
KR101544946B1 true KR101544946B1 (ko) 2015-08-18

Family

ID=53515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3900A KR101544946B1 (ko) 2013-12-11 2013-12-11 조립식 종이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49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779B1 (ko) 2020-11-26 2021-04-26 주식회사 바우에코팩 기능성 종이컵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477Y1 (ko) * 2000-05-06 2001-12-13 황미경 경사 지지대를 가진 스탠드
KR200326068Y1 (ko) * 2003-04-24 2003-09-13 이철훈 종이컵
KR100908848B1 (ko) * 2007-07-03 2009-07-21 이항석 절첩식 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477Y1 (ko) * 2000-05-06 2001-12-13 황미경 경사 지지대를 가진 스탠드
KR200326068Y1 (ko) * 2003-04-24 2003-09-13 이철훈 종이컵
KR100908848B1 (ko) * 2007-07-03 2009-07-21 이항석 절첩식 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779B1 (ko) 2020-11-26 2021-04-26 주식회사 바우에코팩 기능성 종이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096A (ko) 2015-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8270B2 (en) Gift card presenter
US9409675B2 (en) Food and condiment container
US8870018B2 (en) Sleeve for a container
US20100102183A1 (en) Window Insert
US9254053B2 (en) Promotional coaster
US20080223913A1 (en) Automobile seat support caddy device
US20090152283A1 (en) Expandable condiment cup and storage system
KR101544946B1 (ko) 조립식 종이컵
US9189979B2 (en) Display shield having a collapsible holder for a beverage
US20050194286A1 (en) Food container with folding condiment holding platform
US20170035209A1 (en) Dual form and dual use of folding accessory and a compatible bed sheet
CN207903161U (zh) 一种酒杯包装盒
KR20150068204A (ko) 포장박스
WO2015152739A1 (en) Flexible liquid pouch
EP3006361A1 (en) Container
CN209127141U (zh) 一种可作为画框的立体美术材料包装盒
KR100885811B1 (ko) 접이식 종이컵 구조
KR200487804Y1 (ko) 접시 겸용 종이컵
JP3204852U (ja) クリアファイル
CA2527670A1 (en) Improved container holder with multi-connection system
WO2017111762A1 (ru) Держатель соломинки для сосуда с напитком
KR101545832B1 (ko) 다용도 컵 캐리어
JP3200219U (ja) 飲料用携帯袋
KR20220001707U (ko) 홀더 일체형 캐리어
JP3185015U (ja) ファイルスタンドに利用可能な手提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