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5832B1 - 다용도 컵 캐리어 - Google Patents

다용도 컵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5832B1
KR101545832B1 KR1020150020599A KR20150020599A KR101545832B1 KR 101545832 B1 KR101545832 B1 KR 101545832B1 KR 1020150020599 A KR1020150020599 A KR 1020150020599A KR 20150020599 A KR20150020599 A KR 20150020599A KR 101545832 B1 KR101545832 B1 KR 101545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carrier
handle
delete delete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0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윤경
윤승희
Original Assignee
조윤경
윤승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윤경, 윤승희 filed Critical 조윤경
Priority to KR1020150020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58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4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or several bl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컵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컵 캐리어는 캐리어판지 중앙에 컵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원형으로 절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컵 수납부, 상기 컵 수납부를 중심으로 양측 일정간격에 상기 캐리어판지를 수직으로 접을 수 있도록 절곡선들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선들과 상기 캐리어판지 양단측의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는 각각의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절취부들 및 상기 캐리어판지 일측면의 중앙부에 손잡이 홈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면과 대응되는 타측면에는 외측으로 절곡선이 형성된 플랩걸이편이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가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상기 일측면의 상기 손잡이 홈 외측으로 브이자(V)모양으로 결합되어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지는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캐리어판지의 여백에는 가면, 책받침, 부채, 선캡, 컵 뚜껑을 형성하여 계절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다용도 컵 캐리어{Versatile cup carrier}
본 발명은 다용도 컵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합성수지재나 코팅처리된 아트지의 캐리어판지에 컵 수납부를 형성하고 캐리어판지 여백에는 여러가지 도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다용도 컵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의 삶의 질이 좋아짐에 따라 계절을 가리지 않고 가족 또는 여러사람들과 함께 취미생활을 즐기는 일은 보편적이고 자연스러운 일이 되었다. 또한, 영화관이나 경기장 또는 야유회 등에서는 음료나 커피, 팝콘 등의 음식을 편하게 구입하면서 취미생활을 즐길 수 있다. 이러한 음료나 커피 등을 매장에서 구입할 때, 대부분 종이컵 또는 플라스틱컵에 판매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팝콘 등의 과자류도 별도의 컵과 같은 용기에 판매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러한 커피나 음료 등을 여러사람이 함께 먹을 수 있도록 구입하여 운반하는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51059호의 커피캐리어가 제안되었고, 제안된 커피캐리어는 캐리어 몸체, 상기 몸체 저면에 커피잔 걸림홈이 원형으로 관통되어지도록 형성되어 양측단부가 상부에서 맞대어져 결합되어지되, 상기 캐리어 몸체의 상부에는 손잡이홈이 서로 맞대어져 손잡이가 형성되어지도록 하였으나, 상기와 같은 컵캐리어는 컵을 운반하는 용도로 밖에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캐리어를 컵 운반용으로 한번 사용하고 나면 대부분 버리게 되어 자원낭비에도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사용후 쓰레기로 버리는 경우 부피가 커져 재활용 쓰레기봉투 활용에도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컵 캐리어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면서도 컵 운반수단 뿐만 아니라 캐리어판지 여백을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컵 캐리어를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캐리어판지의 양단측에 손잡이가 마련되고 하나 이상의 컵을 운반하는 다용도 컵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판지 중앙 중심부에 팝콘용기가 수납될 수 있도록 원형의 수납홀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홀 양 옆 종 방향으로 상기 팝콘용기보다 작은 사이즈의 컵 용기가 수납될 수 있도록 원형의 컵 수납 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컵 수납부;
상기 컵 수납부를 중심으로 양측 일정간격에 상기 캐리어판지를 수직으로 접을 수 있도록 절곡선들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선들과 상기 캐리어판지 양단 측의 상기 손잡이 사이에는 각각의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절취부들;
상기 절취부들 중 한쪽 면 절취부는 컵 용기의 크기에 따라 컵 뚜껑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각각의 절취부 양단측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를 중심으로 하단 일측에는 파지부를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부채겸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절개부는 수평방향으로 각각 2개의 내외측 절개부가 형성되되, 상기 내측 절개부가 상기 외측 절개부 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하며, 타 측면 절취부에는 상기 타 측면 절취부의 일측단부에 클립이 구비되어진 직사각형의 책받침이 형성되거나, 또는 얼굴에 착용될 수 있도록 가면, 또는 햇빛을 차단할 수 있는 선 캡이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판지 일측면의 중앙부에는 손잡이 홈이 형성되며, 상기 일측면과 대응되는 타 측면에는 외측으로 절곡선이 형성된 플랩걸이편이 일체로 구성되어 손잡이가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상기 일측면의 상기 손잡이 홈 외측으로 브이자(V)모양으로 결합되어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지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양측단부의 모서리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슬릿(slit) 및 제2 슬릿(slit)부와, 타측 손잡이부 양측단부의 모서리부분에 각각 형성되어지는 제1 지지돌기 및 제2 지지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캐리어판지가 상기 손잡이 홈 부위를 중심으로 절첩되어 양단측이 서로 맞대어지면, 억지 끼움에 의해 제1 슬릿(slit)부와 제1 지지돌기가 결합되고 제2 슬릿(slit)부와 제2 지지돌기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가지 다용도 컵을 손쉽게 운반하는 캐리어로 이용하면서도 캐리어판지 여백을 최대한 활용하여 필요에 따라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구조로, 그 제조공정이 단순하여 제작공정을 줄임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캐리어판지가 단순 형상을 가지므로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고, 폐기시에도 컵 운반수단 이외에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절취부가 제거된 상태에서 폐기하기 때문에 폐기물양도 줄일 수 있고,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도 더 얻을 수 있다.
또한, 캐리어를 컵 운반수단으로 이용하면서 캐리어판지 일부분에 부채, 가면, 책받침, 선캡, 컵뚜껑을 제작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인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또한, 어린이를 동반하여 취미생활을 즐기는 경우에도 필요시 별도의 가면이나 책받침을 구입할 필요없이 바로 절취부에 형성되어 있는 필요물품을 탈거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비용절감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또한, 계절에 따라 절취부의 모양을 부채나, 선캡으로 제작이 가능하므로 경기장에서 경기관람시나, 야유회 시에도 상황에 따라 필요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또한, 손잡이가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캐리어판지 양단측 모서리부분에 판지를 이용한 고정부를 가지므로 한손으로 캐리어를 파지할 경우에 견고하게 손잡이가 결합되어 지므로 상기 손잡이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뜨거운 커피나 음료 등 운반시에 안전성을 확보하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또한, 매장에서 커피와 팝콘을 동시 구입하여 이동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 형성된 팝콘 수납부와 커피 수납부에 지지하여 캐리어를 한손으로도 운반이 가능하므로 짧은 시간에 목적지로 들고 갈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또한, 컵 용기 크기에 따라 컵 뚜껑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절개부가 형성된 지지부가 컵라면, 우동, 사발면 등에 뜨거운 물을 붓고 조리하는 경우 뚜껑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컵 캐리어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
도 1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컵 캐리어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
도 2a는 도 1a 및 도 1b의 A 또는 B로 도시된 절취부의 용도를 부채로 표시한 도면.
도 2b는 도 1a 및 도 1b의 A 또는 B로 도시된 절취부의 용도를 책받침으로 표시한 도면.
도 2c는 도 1a 및 도 1b의 A' 또는 B'로 도시된 절취부의 용도를 가면으로 표시한 도면.
도 2d는 도 1a 및 도 1b의 A' 또는 B'로 도시된 절취부의 용도를 선캡으로 표시한 도면.
도 2e는 도 1a 및 도 1b의 A 또는 B로 도시된 부분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절취부의 용도를 컵뚜껑으로 표시한 도면.
도 3a는 도 2e에 도시된 컵 뚜껑이 컵과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b는 도 2e에 도시된 컵 뚜껑이 팝콘용기와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컵 캐리어의 완성된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또다른 다용도 컵 캐리어의 완성된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컵 캐리어는 복수개의 컵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도구뿐만 아니라 캐리어판지의 여백을 이용하여 다양한 용도의 구조를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컵 캐리어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판지(110)의 중앙부에 하나 이상의 컵(C)이 지지되는 컵 수납부(111a)와 상기 컵 수납부의 양측으로 절곡선들(115)이 형성되고, 상기 양측절곡선의 외측으로 다양한 용도의 구조가 형성되는 절취부(112)와 상기 절취부의 외측으로 손잡이부(118)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 양측 모서리부분에 손잡이를 견고하게 결합되어지는 슬릿(113,113')과 지지돌기(114,114')로 구성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 각 구성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컵 캐리어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캐리어판지(110)는 구부리거나 접는 것이 용이해야 하기 때문에 기성의 종이와 같은 소재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침수되거나 잘 찢어지지 않는 합성수지재나 코팅 처리된 아트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다수의 컵(C)을 이송할 때 변형되는 것을 막고 안정적인 이송을 위해서는 두께가 너무 두꺼워서 잘 구부러지지 않는 소재보다는 잘 휘지않고 크게 늘어나는 성질이 없는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소재에 대해서만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기성의 골판지나 플라스틱재의 소재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컵 수납부(111a)는 상기 캐리어판지의 중앙에 위치하면서 복수의 컵(C)을 옮기기 위해 캐리어판지(110)에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캐리어판지(110)를 운반할 경우 손잡이 방향으로 구부린다고 보았을 때, 복수개의 컵 수납부(111a)는 종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컵 수납부를 중심으로 양측 일정간격에 상기 캐리어판지를
수직으로 접을 수 있도록 절곡선(115)들이 형성되되, 상기 절곡선(115)들은 판지를 쉽게 접을 수 있도록 압축기를 이용하여 종방향을 따라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곡선(115)들은 상기 컵 수납부에 상기 컵을 지지하여 캐리어판지 양단측 손잡이를 서로 맞대어 파지하였을 때, 상기 컵(C)이 보다 더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절취부(112)는 상기 절취부의 외측둘레에 상기 절취부가 쉽게 절취될 수 있도록 절취선(112')이 형성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절취부(112)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도록 여러가지 모양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취부(112)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는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118)는 캐리어판지(110) 일측면의 중앙부에 손잡이 홈(116)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면과 대응되는 타측면에는 외측으로 절곡선(115')이 형성된 플랩걸이편(117)이 일체로 형성되어 손잡이부가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상기 일측면의 상기 손잡이 홈 외측으로 브이자(V)모양으로 결합되어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플랩걸이편(117)이 형성된 손잡이부가 타측 손잡이부 외측방향으로 브이자(V)모양의 형태로 결합되어지게 되므로서, 복수개의 컵 용기가 수납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캐리어를 운반할 경우 손잡이부의 파지를 편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플랩걸이편(117)은 상기 플랩걸이편(117)을 쉽게 접을 수 있도록 압축기를 이용하여 종방향으로 절곡선(115')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플랩걸이편(117)과 캐리어판지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손잡이 외측방향으로 절곡시키도록 구성한다.
또한, 양측 손잡이부가 서로 맞대어 상기 플랩걸이편(117)에 의해 결합되는 경우 보다 더 결속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 양측단부 모서리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제 1슬릿(slit) 및 제 2슬릿(slit)부와, 타측 손잡이부 양측단부에 각각의 제1 지지돌기 및 제2 지지돌기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캐리어판지가 상기 손잡이 홈 부위를 중심으로 절첩되어 양단측이 마주보면, 각각의 대응되는 제1 슬릿(slit)부와 제1 지지돌기가 결합되고 제2 슬릿(slit)부와 제2 지지돌기가 결합되어 고정되므로서, 컵(C)을 상기 컵 수납부(111a)에 지지하여 운반하는 경우 손잡이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어, 목적지 까지 안전한 운반을 할 수 있도록 효과를 주는 것이 가능하다.
도 1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컵 캐리어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실시예의 형성되어 있는 동일한 복수개의 컵 수납부보다 더 큰 사이즈의 컵 수납부가 하나 더 형성되어 있는 구성의 차이가 있을 뿐, 그 외에 구성들은 상기 제1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그 외에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구성상의 차이가 있는 컵 수납부(111b)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컵 수납부(111b)는 상기 캐리어판지(110)의 중앙부에 위치하되, 종방향으로 상기 컵 수납부(111b)를 중심으로 양측에 상기 컵 수납부(111a)가 각각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컵 수납부(111b)에 지지되는 컵 용기로는 팝콘용기, 사발면 용기, 또는 상기 컵 수납부(111a)에 지지되는 컵(C)용기 보다 크고 상기 컵 수납부(111b)에 지지될 수 있는 모든 컵 용기이면 가능하다.
도 2a 내지 도 2e는 추가적인 실시예로 상기 도 1a 및 도 1b의 각각의 형성되어 있는 절취부(112)에 대한 설명이다.
먼저, 도 1a 및 도 1b의 각각의 형성되어 있는 절취부(112)는 일측면 절취부에 파지부(130)가 구비된 부채형상(112a)이 형성되고, 타측면 절취부에는 일측단부에 클립부(140)가 구비되어진 직사각형의 책받침(112b)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채형상은 캐리어판지 내의 상기 각각의 절취부에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직사각형의 책받침(112b) 또한 상기 캐리어판지 내의 상기 각각의 절취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파지부(130)는 상기 부채형상의 일측에 필요시 절개할 수 있도록 절개부가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직사각형의 책받침은 일측단부의 중앙부분에 ‘
Figure 112015014306497-pat00001
’형상의 도형모양인 절개부가 형성되어 영수증이나, 계산서 등을 파지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c 및 도 2d 는 도 1a 및 도1b의 각각의 형성되어 있는 절취부(112)에 대한 추가적인 또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 1a 및 도1b의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절취부(112)는 가면(112c)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타측면 절취부는 선캡(112d)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면은 캐리어판지 내의 상기 각각의 절취부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선캡 또한 상기 캐리어판지 내의 상기 각각의 절취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면(112c)은 얼굴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가면 상단부분 양쪽으로 일정 크기에 사물을 식별할 수 있도록 식별홀(150)들이 형성되고, 상기 식별홀들 하단 중앙부위에 상기 가면을 착용할 때 숨을 쉴 수 있도록 마우스홀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가면(112c)은 가면의 중간부분 양단측 일정부분에 상기 가면을 착용할 수 있도록 원형모양의 고정홀(15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홀에는 필요에 따라
탄성재질의 고정끈(미도시)을 결합시켜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선캡(112d)은 야외에서 치러지는 경기관람시나 야유회에서 햇빛을 차단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피부가 약한 어린이를 동반할 경우 피부손상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캡은 필요에 따라 여러가지 모양으로도 제작이 가능하다.
도 2e는 도 1a 및 도 1b의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절취부(112)에 대한 추가적인 또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의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절취부(112)는 컵 뚜껑(112e)의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컵 뚜껑(112e)은 절취부들(112)의 일측단부에 컵 용기의 크기에 따라 컵 뚜껑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각각의 절취부 양단측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절개부(160,161)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160,161)는 각각의 내ㆍ외측으로 형성되되, 상기 내측 절개부가 상기 외측절개부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내측 절개부와 상기 외측절개부가 동일하게 제작 되거나, 내측절개부가 외측절개부 보다 더 작게 제작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컵 뚜껑(112e)은 일반 컵라면이나 일반 컵라면 보다 더 큰 사이즈의 사발면 등에 뜨거운 물을 붓고 조리할 때, 컵(C) 사이즈에 맞도록 절개부를 절취하여 컵에 지지되며, 합성수지재의 탄성력으로 보다 더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절개부(160,161)의 형상은 ‘
Figure 112015014306497-pat00002
’의 도형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절개부가 도형에 나타나 있는 끝 부분이 절곡되어 있으므로 컵뚜껑으로 지지할 경우 캐리어판지(110)가 갈라지거나 찢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컵 뚜껑(112e)은 상기 절개부(160,161)를 중심으로 하단 일측에 파지부(130)를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부채겸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2a 내지 도 2e의 부채, 책받침, 가면, 선캡, 컵뚜껑의 형상은 캐리어판지 내의 각각의 절취부에 상기 구성 중 하나의 구성으로 제작될 수 있거나, 필요에 따라 각각의 절취부에 서로 다른 구성으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컵뚜껑(112e)이 컵용기와 결합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컵라면에 물을 붓고 조리과정시에 컵 뚜껑(112e)으로 활용하고 있는 상태도이다. 기존 컵라면을 조리하는 경우에는 컵라면의 상단에 붙어있는 컵뚜껑을 일부 떼어내어 컵에 뜨거운 물을 붓고 떼어낸 부분의 뚜껑을 컵에 다시 밀착시키는 방식으로 조리하거나, 상기 떼어낸 뚜껑을 밀착시키기 위해 다른 물건 등을 이용하여 떼어내 컵을 눌러주는 방식으로 대부분 조리를 한다.
그러나, 본원발명의 컵 뚜껑(112e)은 기존 컵라면에 붙어있는 뚜껑을 제거하고, 컵(C) 사이즈에 맞는 지지부의 탄성을 이용하여 컵을 지지하는 것이다.
도 3b는 도 3a에서 활용하고 있는 컵보다 더 큰 사이즈의 컵에 대한 상태도이다. 일반 컵 보다 더 큰 사이즈의 컵라면이나 사발면 등을 조리할 경우 컵뚜껑(112e)에 형성되어 있는 외측 절개부(161)를 이용하여 컵 뚜껑으로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팝콘 등을 구입하여 캐리어로 이동할 경우 외측 절개부(161)를 팝콘 뚜껑으로 지지가 가능케 하여 목적지 까지 운반하는데에 팝콘이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컵 캐리어의 완성된 사시도이다.
도시된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컵 캐리어는 캐리어판지 중앙의 컵 수납부에 컵(C)이 하방으로 삽입되고, 컵 수납부 양측단의 절곡선(115)을 절곡시켜 캐리어판지 양단측 손잡이부를 서로 맞대어 지지하도록 구성하며, 캐리어 하부 컵 수납부(111a,111b)와 손잡이부(118) 사이에 여백을 활용하여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부채, 가면, 책받침, 선캡, 컵뚜껑을 제작하여 커피잔이나 팝콘 등을 편리하게 이동함은 물론, 계절에 따라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또한, 캐리어를 사용후 폐기시에도 상기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구조를 별도로 절취된 상태에서 폐기시킴으로써, 쓰레기를 줄일 수 있고, 자원낭비도 줄이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
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 다용도 컵 캐리어 110 : 캐리어판지
111a,111b : 컵 수납부 112 : 절취부
112' : 절취선 112a : 부채
112b : 책받침 112c : 가면
112d : 선캡 112e : 컵 뚜껑
113 : 제1슬릿 113': 제2슬릿
114 : 제1지지돌기 114': 제2지지돌기
115,115' : 절곡선들 116 : 손잡이 홈
117 : 플랩걸이편 118 : 손잡이부
130 : 부채파지부 140 : 클립부
150 : 식별홀 151 : 고정홀
152 : 마우스홀 160 : 컵 지지부
161 : 절개부
C : 컵 P.C : 팝콘용기

Claims (10)

  1. 캐리어판지의 양단측에 손잡이가 마련되고 하나 이상의 컵을 운반하는 다용도 컵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판지 중앙 중심부에 팝콘용기가 수납될 수 있도록 원형의 수납홀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홀 양 옆 종 방향으로 상기 팝콘용기보다 작은 사이즈의 컵 용기가 수납될 수 있도록 원형의 컵 수납 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컵 수납부;
    상기 컵 수납부를 중심으로 양측 일정간격에 상기 캐리어판지를 수직으로 접을 수 있도록 절곡선들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선들과 상기 캐리어판지 양단 측의 상기 손잡이 사이에는 각각의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절취부들;
    상기 절취부들 중 한쪽 면 절취부는 컵 용기의 크기에 따라 컵 뚜껑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각각의 절취부 양단측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를 중심으로 하단 일측에는 파지부를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부채겸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절개부는 수평방향으로 각각 2개의 내외측 절개부가 형성되되, 상기 내측 절개부가 상기 외측 절개부 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하며, 타 측면 절취부에는 상기 타 측면 절취부의 일측단부에 클립이 구비되어진 직사각형의 책받침이 형성되거나, 또는 얼굴에 착용될 수 있도록 가면, 또는 햇빛을 차단할 수 있는 선 캡이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판지 일측면의 중앙부에는 손잡이 홈이 형성되며, 상기 일측면과 대응되는 타 측면에는 외측으로 절곡선이 형성된 플랩걸이편이 일체로 구성되어 손잡이가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상기 일측면의 상기 손잡이 홈 외측으로 브이자(V)모양으로 결합되어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지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양측단부의 모서리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슬릿(slit) 및 제2 슬릿(slit)부와, 타측 손잡이부 양측단부의 모서리부분에 각각 형성되어지는 제1 지지돌기 및 제2 지지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캐리어판지가 상기 손잡이 홈 부위를 중심으로 절첩되어 양단측이 서로 맞대어지면, 억지 끼움에 의해 제1 슬릿(slit)부와 제1 지지돌기가 결합되고 제2 슬릿(slit)부와 제2 지지돌기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컵 캐리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020599A 2015-02-11 2015-02-11 다용도 컵 캐리어 KR101545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599A KR101545832B1 (ko) 2015-02-11 2015-02-11 다용도 컵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599A KR101545832B1 (ko) 2015-02-11 2015-02-11 다용도 컵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5832B1 true KR101545832B1 (ko) 2015-08-19

Family

ID=54061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0599A KR101545832B1 (ko) 2015-02-11 2015-02-11 다용도 컵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583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249Y1 (ko) * 2004-05-27 2004-08-05 정정일 측방개폐형 케익 상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249Y1 (ko) * 2004-05-27 2004-08-05 정정일 측방개폐형 케익 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0631A (en) Device for holding containers
EP1274630B1 (en) Configurable cup holder
JP3202643U (ja) 飲料用の支持部を備えた食品コンテナ
KR101972608B1 (ko) 이동 중에 소비되는 음식물 및/또는 음료를 위한 용기 및 이를 만들기 위한 방법
KR101546330B1 (ko) 음료용기 운반수단
US7850004B2 (en) Food and beverage container carrier
US9402491B1 (en) Pizza box and cup holder in combination
US7025199B1 (en) Folding serving tray
KR20110114967A (ko) 일회용 컵 캐리어
US20160022065A1 (en) Food and Beverage Tray
US20100096397A1 (en) Cup Carrier for Inserting in a Bag
KR101545832B1 (ko) 다용도 컵 캐리어
KR101200164B1 (ko) 컵 캐리어
KR101697955B1 (ko) 테이크아웃 컵용 캐리어
KR20190007396A (ko) 자원 절약형 무접착 친환경 컵 캐리어
US20150060532A1 (en) Food Product Holder
KR20180110563A (ko) 음료용기의 고정이 가능하며 재활용 가능한 테이크 아웃용 음료 홀더
US20060076382A1 (en) Waist-mounted tray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2154586A (ja) 紙製断熱カップホルダー
EP2246268B1 (en) Carrier formed of foldable sheet material
KR200476318Y1 (ko) 컵 캐리어
JP2008529913A (ja) 持ち帰り用バッグのためのインサート
US11718443B2 (en) Containers for transporting items and methods of arranging such containers
WO2009020411A1 (en) Container for carrying a take-away meal
KR101942085B1 (ko) 다기능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