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4285A - 빨대가 장치된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빨대가 장치된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4285A
KR20100094285A KR1020090013637A KR20090013637A KR20100094285A KR 20100094285 A KR20100094285 A KR 20100094285A KR 1020090013637 A KR1020090013637 A KR 1020090013637A KR 20090013637 A KR20090013637 A KR 20090013637A KR 20100094285 A KR20100094285 A KR 20100094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beverage container
connecting portion
beverage
upper str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3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진
Original Assignee
박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진 filed Critical 박동진
Priority to KR1020090013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4285A/ko
Publication of KR20100094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42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B65D77/286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빨대가 장치 또는 장착된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보다 상세하게는 음료팩등의 음료용기에 별도의 빨대를 꽂지 않고 음료용기에 장치 또는 장착된 빨대를 손잡이로 세워 간단히 음료를 음용할 수 있고, 잠시 음용을 중단하고 이동하거나 또는 보관 시에는 세운 빨대를 다시 원래대로 접어 내용물의 유출이 방지 되도록 하는 빨대장치가 장착된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부빨대와 하부빨대가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회전에 따라 음용이 가능한 상태와 음료 내용물의 밀봉이 가능한 상태간에 원터치식으로 전환이 가능한 빨대장치가 내장된 음료용기를 제공한다.
빨대, 빨대 장치, 음료 용기, 빨대 내장, 빨대 구조,빨대장착

Description

빨대가 장치된 음료용기{Inside Straw Beverage Pack}
도 1 은 상부빨대부의 사시도
도 2 는 하부빨대부의 사시도
도 3 은 상부빨대부가 하부빨대부에 체결되었을 때의 사시도
도 4 는 상부빨대부의 정면도
도 5 는 하부빨대연결부의 연결부위의 정단면도이며 점선부분은 상부빨대부가 체결되었을 때의 조작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 은 상부빨대연결부의 윗면도
도 7 은 하부빨대연결부의 연결부위의 윗면도
도 8 은 상부빨대 연결부가 하부빨대 연결부에 결속된 상태의 윗면도
도 9 는 음료팩에 장착된 빨대장치에 윗 덮개가 포장된 상태의 사시도
도 10 은 윗 덮개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11 은 음료팩의 상부빨대부를 세웠을 때의 사시도
도 13 은음료팩을 전개했을 때 음료팩 내부에서의 빨대장치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명칭]
20: 상부빨대연결부 21: 상부빨대 22: 상부빨대연결부의 철(凸)부분 23: 상부빨대연결부 내부의 통로 24: 상부빨대로 통하는 구멍 25:통기공 개폐 플러그 25a: 플러그 지지부 27:손잡이
28: 동심회전체 30: 하부빨대연결부 31: 하부빨대 31b: 하부빨대 부착탭 32: 하부빨대연결부의 바퀴형 요(凹)부분 34: 하부빨대로 통하는 구멍 35: 통기공
36: 음료용기에 부착되는 테두리 37: 상부빨대부 수용공간
본 고안은 빨대를 상,하 두 부분으로 따로 분리하여 분리된 상하빨대의 각 연결부위로 상하 빨대를 연통 또는 차폐할 수 있도록 하여 빨대의 역할인 음료를 음용 하는 것 외에 용기 안의 음료의 유출을 단속할 수 있도록 하는 빨대장치를 용기에 장착 또는 적용시킴으로써 소비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 고안된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전에는 별도의 빨대를 포장하여 음료용기의 겉면에 부착하여 음용시 빨대를 용기에 꽂아 사용토록 되어있어 소비자가 빨대를 용기에서 떼어내서 용기에 꽂아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었고, 용기 표면에 부착된 빨대의 경우 유통 도중에 빨대가 용기 겉면에서 떨어져 버리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취음도중에 음료용기를 소지하고 지하철이나 버스를 탈 때도 음료가 외부로 유출될까 신경을 써야하는 등 번거러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음료용기에 빨대장치가 장착됨으로써 야기될 수 있는 문제점 즉,포장상태에서의 음료용기의 기밀성 유지 및 안정성이 유지되어야 하며 위생적으로 문제가 생기지 않으면서 음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하고 또한 음용도중 이동시 빨대부위로 내용물이 새지않고 안전하게 소지하고 운반할 수 있게 하는 등의 기술이 필요하며 무엇보다도 종래에 음료용기를 사용했을 때보다 본 음료용기를 사용했을 때 사용자가 편리한 만족감을 느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이 반영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음용자의 입에 접촉되는 상부빨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부빨대(21)가 연결되는 상부빨대연결부(20)의 역할은 음료용기에 장착되는 하부빨대연결부(30)에 체결되며 상부빨대연결부의 동심회전체(28)에 의해 하부빨대연결부의 하부빨대로 통하는 구멍(34)을 원주방향의 자전에 의해 개폐하게 된다.
즉,상부빨대연결부(20)의 내부는 한 측에 형성돼있는 구멍(24)에서 상부빨대에 이르는 통로(23)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포장 시에는 하부빨대로 통하는 구멍(34)을 이 동심회전체(28)의 상부빨대로 연통된 구멍(24)이외의 부분으로 밀착 밀폐하여 음료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으며 음용자가 상부빨대연결부의 손잡이(27)로 상부빨대부를 세우면 상부빨대연결부의 상부빨대로 연통된 구멍(24)과 하부빨대로 통하는 구멍(34)이 연통되어 음료를 취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이 손잡이는 도면이해의 편리상 도 4,5,6,8 에서는 생략하였다.) 이 손잡이는 상부빨대연결부의 형성 시에 같이 형성된다.
또한,상부빨대연결부를 세우면 상부빨대연결부의 일측에 마련된 플러그(25)가 하부빨대 연결부의 통기공(35)에서 이탈되어 음용시 외부에서 용기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이 플러그는 삽입부(25)와 지지부(25a)가 있으며 이 지지부는 통기공을 닫기 위해 외부빨대연결부를 누를 때 외부빨대연결부(20)가 일정방향이상 밑으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플러그는 일반 샴푸용기의 원터치캡과 같은 원리로써 원터치로 여닫게 된다.
그리고 상부빨대연결부의 양측에 하부빨대연결부의 바퀴형의 요(凹)(32)에 상응하는 철(凸)(22)부분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두 요철을 이용 두 빨대연결부를 조립할 수 있으며 이 요철체결부를 중심으로 원통형의 동심회전체(28)가 원주방향으로 자전할 수 있게 되어 음료용기를 개페할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철(凸)(22) 부분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로(33)를 요(凹)(32) 부분 일방에 V자형으로 형성하여 상부빨대연결부(20)의 어느 정도의 눌림에 의해 양 요철장치가 조립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부빨대(21)는 시중에 나와 있는 음료용기의 크기 중 작은 크기도 나와 있는 것을 감안하여 음료용기가 작은 크기일 경우 상부빨대의 길이가 짧아짐으로써 음용자가 불편하지 않도록 빨대 중간에 자바라형 주름(21a)을 형성하여 빨대를 반으로 접음으로써 길게 이용할 수 있게 하였다.
한편,하부빨대부(도 2)는 하부빨대로 통하는 구멍(34) 양측에 상부빨대연결부의 철(凸)부분을 체결할 수 있는 자동차바퀴형의 요(凹)(32)부분을 형성하였고 여기에 연결될 상부빨대부가 음료용기 내부 쪽으로 함몰될 수 있도록 상부빨대부(도 1)가 수용되는 입체형의 공간(37)을 만들고 이 입체형 공간 상부주위에 음료용기에 부착되는 테두리(36)를 환설하여 음료상자에 장착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하부빨대부(도 2) 일측에 상부빨대연결부의 플러그(25)로 여닫을 수 있는 통기공(35)을 형성하여 음용시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음용이 쉽도록 하였고 이동시 상부빨대연결부의 플러그(25)를 닫음으로써 음료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하였다.
그리고 하부빨대(31)를 하부빨대연결부에 연결하였다.
도 9 내지 도 11, 그리고 도 13 및 도 1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빨대장치가 장착된 음료용기의 설치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소비자가 음용시 상부빨대손잡이(27)로 상부빨대부를 세우면 상부빨대연결부의 플러그(25)가 하부빨대연결부의 통기공(35)에서 이탈되어 음용시 용기 안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고 상부빨대부가 세워짐으로 상부 빨대와 하부빨대가 연통 되어 음료를 음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음용을 잠시 중단할 시에는 다시 상부빨대부를 원래대로 접음으로써 빨대로 음료가 유출되지 않게 하고 또한 플러그(25)로 통기공(35)을 막게 됨으로써 소비자가 용기를 뒤집어도 내부의 음료가 용기 외부로 유출이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 하부빨대는 밑 부분에 음료용기 내부의 옆면 저부에 접착될 수 있는 탭(31b)을 형성하여 음료를 끝까지 음용할 수 있게 하였고 빨대 중간 부분에 자바라형 주름(31a)을 형성하여 빨대장치를 음료용기에 장착할 때 하부빨대의 유동성을 좋게 하였다.(도 14) 그리고 하부빨대연결부의 테두리에 빨대덮개(11)를 포장하여 마무리하였다.
이리하여 본 용기는 음용시 밀봉된 윗 덮개(11)를 제거하고 손잡이(27)로 상부빨대부를 세워서 바로 음료를 음용할 수 있는 것뿐만 아니라 이동시에는 내용물이 유출 안 되게 다시 닫고 이동할 수 있는 안정성과 사용자의 편리성이 도모된 음료용기이며 상부빨대부가 하부빨대부에 내장되고 다시 하부빨대부가 음료용기에 함몰되어 장착되기 때문에 위생적이며 또한 외관상 기존의 음료용기와 차이가 없고 따라서 제품의 운반 및 보관에도 빨대로 인한 아무런 불편이 없도록 고안된 빨대가 장착된 음료용기 인 것이다.

Claims (10)

  1. 빨대를 음료용기 외부에 위치하며 음용자의 입에 접촉되는 상부빨대(21)와 음료용기 내부의 음료에 접촉되는 하부빨대(31)로 분리하고,
    일측에 동심회전체(28)가 형성되고 상부빨대로 관통하는 통로(23)가 마련된 상부빨대연결부(20)를 만들어 상부빨대(21)를 연결하는 한편
    일측에 하부빨대(31)로 통하는 통로(34)가 마련된 하부빨대연결부(30)를 만들어 음료에 접촉되는 하부빨대(31)를 연결하며
    상부빨대연결부(20)의 동심회전체(28)가 하부빨대연결부의 하부빨대로 통하는 구멍(34)에 밀착되고 자전 될 수 있도록 하는 결속장치를 형성하여 상부빨대연결부를 하부빨대연결부의 구멍(34) 변부에 체결하여 상부빨대부가 체결된 하부빨대연결부를 음료용기에 장치 또는 장착하여서 된 빨대가 장치된 음료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빨대연결부에 손잡이(27)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장치가 장치된 음료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빨대연결부(20)의 자전 반경 내의 하부빨대연결부(30)에 통기공(35)을 형성하고 이 통기공을 막을 수 있는 장치가 형성돼 있는 상부빨대연결부의 자전에 의한 세워짐과 접힘에 의해 이 통기공을 원터치로 여닫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장치가 장치된 음료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부빨대연결부에 체결될 상부빨대부(도 1)를 보호하기 위하여 하부빨대연결부에 입체형공간(37)을 형성하여 음료용기에 본 장치가 적용됐을 시 상부빨대부 및 하부빨대연결부등의 일체의 장치가 음료용기의 내부방향으로 함몰 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빨대장치가 장치된 음료용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함몰된 하부빨대연결부의 상부둘레에 음료용기에 장착할 수 있는 테두리(36)를 환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장치가 장치된 음료용기.
  6. 청구항 4에 있어서 함몰된 하부빨대연결부를 보호커버(11)로 밀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장치가 장치된 음료용기.
  7. 청구항 4에 있어서 하부빨대연결부에 입체형공간(37)이 형성된 경우의 상,하,각 빨대연결부에 서로의 결속장치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부빨대연결부(20)의 동심회전체(28) 양쪽에 바퀴형의 철(凸)부분(22)을 형성하는 한편,하부빨대연결부(30)의 구멍(34)위의 양측벽에 상부빨대연결부(20)의 철(凸)(22)부분의 반대모양 인 요(凹)부분(3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장치가 장치된 음료용기.
  8. 청구항 7 에 있어서 요(凹)부분(32)이 형성된 하부빨대연결부(30)에 상부빨대연결부(20)에 형성된 철(凸)부분(22)이 유입될 수 있는 V자형의 삽입로(33)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장치가 장치된 음료용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음용시 상부빨대(21)의 길이가 짧지 않도록 빨대를 길게 포장하기 위해 빨대 중간에 자바라형 주름(21a)을 형성하여 상부빨대를 접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장치가 장치된 음료용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부빨대(31)에 자바라형 주름(31a)을 형성하고 부착용 탭(31b)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장치가 장치된 음료용기.
KR1020090013637A 2009-02-18 2009-02-18 빨대가 장치된 음료용기 KR201000942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637A KR20100094285A (ko) 2009-02-18 2009-02-18 빨대가 장치된 음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637A KR20100094285A (ko) 2009-02-18 2009-02-18 빨대가 장치된 음료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285A true KR20100094285A (ko) 2010-08-26

Family

ID=42758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3637A KR20100094285A (ko) 2009-02-18 2009-02-18 빨대가 장치된 음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428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327U (ko) * 2015-07-14 2017-01-24 장융 쉬 컵 뚜껑 흡입 노즐의 원터치 오픈 구조
CN107098058A (zh) * 2017-05-31 2017-08-29 句容市悠然包装制品有限公司 一种吸管瓶盖
WO2017153343A1 (en) * 2016-03-10 2017-09-14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A package designed to reduce the risk of spillage
US10640258B2 (en) 2016-03-10 2020-05-05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Package comprising a drinking device restricted to move in a pre-determined plan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327U (ko) * 2015-07-14 2017-01-24 장융 쉬 컵 뚜껑 흡입 노즐의 원터치 오픈 구조
WO2017153343A1 (en) * 2016-03-10 2017-09-14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A package designed to reduce the risk of spillage
US10640258B2 (en) 2016-03-10 2020-05-05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Package comprising a drinking device restricted to move in a pre-determined plane
CN107098058A (zh) * 2017-05-31 2017-08-29 句容市悠然包装制品有限公司 一种吸管瓶盖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6079B2 (en) Container and container lid
MX2011000916A (es) Tapon resellable para contenedor de bebida plegable.
KR20100094285A (ko) 빨대가 장치된 음료용기
ES2201195T3 (es) Vertedor con cierre para recipientes, en especial para cajas para envasado de liquidos.
KR101386421B1 (ko) 식품용기용 덮개
CN209995830U (zh) 兼具防回流和多次密封功能的热饮杯盖
JP3536729B2 (ja) 液体容器の栓装置
KR200488738Y1 (ko) 빨대구비 음료 용기
JP2005138901A (ja) ボトルキャップおよびボトル
JP5128301B2 (ja) オーバーキャップ付き容器
KR200358662Y1 (ko) 캡 조립체를 갖춘 머그컵
CN215777069U (zh) 一种纸塑通用的防漏杯盖
KR200434081Y1 (ko) 취수구 커버를 구비하는 병뚜껑
KR100552044B1 (ko) 티백
CN209225766U (zh) 桶形饮料杯托碗
CN219858437U (zh) 一种咖啡杯盖
US20230040658A1 (en) Water Bottle
CN211167758U (zh) 一次性饮品杯
JP4412519B2 (ja) バッグインボックスの注出装置
KR100312993B1 (ko) 위생 캔 음료용기
JP3146619U (ja) 市販ボトル装着容器
KR200275018Y1 (ko) 티백이 구비된 일회용 컵
KR200204276Y1 (ko) 병뚜껑과 결합된 위생컵이 부착되어 있는 페트병
KR20050043450A (ko) 덮개가 구비된 종이용기
KR200271038Y1 (ko) 빨대가 내장된 음료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