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776Y1 - 절첩식 일회용 종이컵 - Google Patents

절첩식 일회용 종이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776Y1
KR200271776Y1 KR2020020001587U KR20020001587U KR200271776Y1 KR 200271776 Y1 KR200271776 Y1 KR 200271776Y1 KR 2020020001587 U KR2020020001587 U KR 2020020001587U KR 20020001587 U KR20020001587 U KR 20020001587U KR 200271776 Y1 KR200271776 Y1 KR 2002717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up
disposable
outer paper
cup
fold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15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유석
최범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즈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즈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즈아이
Priority to KR20200200015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7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7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776Y1/ko
Priority to KR20-2002-0031116U priority patent/KR200307084Y1/ko
Priority to PCT/KR2003/000113 priority patent/WO2003059130A1/en
Priority to AU2003206154A priority patent/AU2003206154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6Water-bottles; Mess-tins; Cups
    • A45F3/20Water-bottles; Mess-tins; Cups of flexible material; Collapsible or stackable cu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 B65D5/3607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6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drinking cups or like containers
    • B65D81/387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drinking cups or like containers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e.g. laminated or foam filling between walls

Abstract

본 고안은 일회용 종이컵을 절첩 가능하도록 하여 보관 및 휴대시 그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절첩식 일회용 종이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외주면상에는 수직 방향의 절첩선이 상호 대응 형성되고 상기 절첩선을 기준으로 양 방향에는 상호 대칭되는 반원형의 절곡선이 각각 구비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절첩선을 이용하여 접어서 보관 가능하고 사용시에는 양 측에서 상기 절첩선 부위를 누름으로써 상기 절곡선이 내부로 절곡됨과 동시에 지지부가 형성되어 원래의 종이컵 형상으로 복귀되는 외부종이컵; 상기 외부종이컵 상단 주연부에 지지되어 그 내부공간부상에 삽입·설치되며, 상기 외부종이컵과 연동되어 보관시에는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시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물 등과 같은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종이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일회용 종이컵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절첩식 일회용 종이컵 {FOLDABLE PAPER CUP FOR ONE TIME}
본 고안은 절첩식 일회용 종이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회용 종이컵을 절첩 가능하도록 하여 보관 및 휴대시 그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절첩식 일회용 종이컵에 관한 것이다.
우리들의 일상생활에 자주 사용되면서도 별로 의식하지 못하고 지나치게 되는 일회용품들 중에 일회용 종이컵이 차지하는 비중은 적지 않다. 요즘은 환경문제로 일회용품 사용이 많은 규제를 받고 있지만 그 편리성 및 간편성으로 인해 여전히 애용되고 있으며, 꾸준한 연구개발로 인해 환경문제 등을 비롯한 여러 문제점들을 보완해 나가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종이컵은 물이나 커피 또는 인스턴트 차류를 수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책상 또는 바닥면에 세워 놓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무실 또는 야외에서 주로 사용되는 원기둥 형상의 통상적인 종이컵과, 정수기 등과 함께 비치되어 단순히 물을 마시는 용도로 사용되는 생수컵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자의 종이컵은 제조시에 일정 형상으로 만들어져 항상 고정된 부피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보관 또는 휴대시 부피를 많이 차지함은 물론이고 휴대 과정에서 외부 충격에 의해 그 형상이 변형되어 사용하기 불편한 경우는 물론 심지어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후자의 생수컵은 단순한 봉투 형상으로 이루어져 보관시 그 부피가 적어 보관상의 이점은 있지만 이를 사용시 잘 펴지지 않아 종이컵의 개구부에 손가락을 끼워 펼쳐야 하는 등 비위생적이었으며, 물을 담은 상태에서 책상 또는 바닥면에 세워 놓을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최근에 들어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절첩식 종이컵이 많이 선보이고 있지만, 그 구조가 복잡하거나 그에 따른 사용상의 불편함이 많아 실용화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일회용 종이컵을 절첩 가능하도록 하여 보관 및 휴대시에는 접은 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시에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원래 종이컵 형태로 복귀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절첩식 일회용 종이컵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일회용 종이컵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 2의 A-A' 단면도
도 4의 (a),(b)는 본 고안에 따른 내부종이컵 및 외부종이컵의 전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일회용 종이컵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일회용 종이컵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사용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외부종이컵 12,12' : 절첩선
14,14' : 절곡선 16 : 내부공간부
18 : 주연부 20,20' : 지지부
30 : 내부종이컵 40 : 접착부
50 : 티백(tea bag) 60 : 봉입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외주면상에는 수직 방향의 절첩선이 상호 대응 형성되고 상기 절첩선을 기준으로 양 방향에는 상호 대칭되는 반원형의 절곡선이 각각 구비되어 있는 외부종이컵;상기 외부종이컵 상단 주연부에 지지되어 그 내부공간부상에 삽입·설치되며, 상기 외부종이컵과 연동되는 내부종이컵으로 구성되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일회용 종이컵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 2의 A-A'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내부종이컵 및 외부종이컵의 전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외주면상에는 수직 방향의 절첩선(12,12')이 상호 대응 형성되고 상기 절첩선(12,12')을 기준으로 양 방향에는 상호 대칭되는 반원형의 절곡선(14,14')이 각각 구비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절첩선(12,12')을 이용하여 접어서 보관 가능하고 사용시에는 양 측에서 상기 절첩선(12,12') 부위를 누름으로써 상기 절곡선(14,14')이 내부로 절곡됨과 동시에 지지부(20,20')가 형성되어 원래의 종이컵 형상으로 복귀되는 외부종이컵(10); 상기 외부종이컵(10) 상단 주연부(18)에 지지되어 그 내부공간부(16)상에 삽입·설치되며, 상기 외부종이컵(10)과 연동되어 보관시에는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시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물 등과 같은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종이컵(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종이컵(10)은 통상적인 종이컵 형상에 절첩이 용이하도록 하부가개방된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상기 내부종이컵(30)은 외부종이컵(10)과 접착부(40)를 통해 상호 결합되며 일정 외력에 의해 외부종이컵(10)과 연동되어 수축 또는 확장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종이컵(10) 및 내부종이컵(30) 형상은 사용목적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외부종이컵(10)의 지지부(20)는 절첩선(12,12')을 중심으로 대칭 위치하는 반원형의 절곡선(14,14')이 내부로 절곡되면서 원형 형상을 이루며 어느 정도 함몰되어 음료를 마시기 용이한 종이컵 원래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일회용 종이컵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일회용 종이컵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평상시에는 접혀져 있는 상태에서 보관되는 외부종이컵(10)을 사용자의 손을 이용하여 양측 절첩선(12,12') 부위를 가볍게 누름으로써 상기 절곡선(14,14')이 내부로 절곡됨과 동시에 지지부(20,20')가 각각 형성되어 원래의 종이컵 형상으로 복귀되며, 내부종이컵(30)은 상기 외부종이컵(10)과 연동되어 보관시에는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시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물 등과 같은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종이컵(10)의 내부에 삽입·설치되는 내부종이컵(30)에 커피믹서 또는 티백(tea bag)(50) 등과 같은 인스턴트 차류를 내입하여 밀착 절첩한 후, 외부종이컵(10)의 상단부를 밀폐·봉입시켜 내부의 재료가 외부로 유실 또는 변질되지 않은 상태에서 장기관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평면상으로 밀봉되어진 종이컵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외부종이컵(10) 상단의 봉입부(60)를 제거하고 절첩선(12,12') 부위를 눌러 지지부(20,20')를 형성하여 종이컵을 원래 형태로 복귀시킨 후, 물을 투입하면 되므로 별도의 컵을 준비할 필요없이 간단하면서도 편리하게 차를 마실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봉입부(60)는 개방 후 필요시 차를 저을 수 있는 스푼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종이컵의 보관 및 휴대시 부피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시에도 간단한 조작에 의해 종이컵 형태로 복귀시킬 수 있어 사용하기 간편하다.
그리고 인스턴트 차류가 내입된 찻잔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중컵 구조로 되어 있어 뜨거운 음료나 물을 마실 때 상대적으로 열전달이 적어 사용하기 편리하다.

Claims (2)

  1. 상·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외주면상에는 수직 방향의 절첩선이 상호 대응 형성되고 상기 절첩선을 기준으로 양 방향에는 상호 대칭되는 반원형의 절곡선이 각각 구비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절첩선을 이용하여 접어서 보관 가능하고 사용시에는 양 측에서 상기 절첩선 부위를 누름으로써 상기 절곡선이 내부로 절곡됨과 동시에 지지부가 형성되어 원래의 종이컵 형상으로 복귀되는 외부종이컵;
    상기 외부종이컵 상단 주연부에 지지되어 그 내부공간부상에 삽입·설치되며, 상기 외부종이컵과 연동되어 보관시에는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시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물 등과 같은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종이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일회용 종이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종이컵에 인스턴트 차류를 내입하고, 필요시 개방 가능하도록 상기 외부종이컵의 상단부를 밀폐·봉입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일회용 종이컵.
KR2020020001587U 2002-01-18 2002-01-18 절첩식 일회용 종이컵 KR2002717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587U KR200271776Y1 (ko) 2002-01-18 2002-01-18 절첩식 일회용 종이컵
KR20-2002-0031116U KR200307084Y1 (ko) 2002-01-18 2002-10-18 일회용 컵
PCT/KR2003/000113 WO2003059130A1 (en) 2002-01-18 2003-01-17 Disposable cup
AU2003206154A AU2003206154A1 (en) 2002-01-18 2003-01-17 Disposable cu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587U KR200271776Y1 (ko) 2002-01-18 2002-01-18 절첩식 일회용 종이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776Y1 true KR200271776Y1 (ko) 2002-04-10

Family

ID=3229153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1587U KR200271776Y1 (ko) 2002-01-18 2002-01-18 절첩식 일회용 종이컵
KR20-2002-0031116U KR200307084Y1 (ko) 2002-01-18 2002-10-18 일회용 컵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1116U KR200307084Y1 (ko) 2002-01-18 2002-10-18 일회용 컵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200271776Y1 (ko)
AU (1) AU2003206154A1 (ko)
WO (1) WO200305913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153Y1 (ko) 2007-08-30 2010-03-18 김민수 일회용 포장 종이컵
KR101114236B1 (ko) * 2011-05-23 2012-03-05 조현준 접이식 종이컵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21102693U1 (de) * 2021-05-18 2022-08-23 Ar Packaging Gmbh Faltbech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5957A (en) * 1997-11-17 1999-03-02 Dopaco, Inc. Food scoop with condiment compartment
US6182890B1 (en) * 1999-09-10 2001-02-06 Andrew J. Sattler Collapsible container for holding foodstuffs, and methods of using same
KR200194427Y1 (ko) * 1999-10-21 2000-09-01 김동환 포장겸용 사각 종이컵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153Y1 (ko) 2007-08-30 2010-03-18 김민수 일회용 포장 종이컵
KR101114236B1 (ko) * 2011-05-23 2012-03-05 조현준 접이식 종이컵 및 그 제조방법
WO2012161425A1 (en) * 2011-05-23 2012-11-29 SONG, Sang-Geun Foldable paper cup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59130A1 (en) 2003-07-24
AU2003206154A1 (en) 2003-07-30
KR200307084Y1 (ko) 200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502283A (ja) 回転スプーン付き使い捨てカップ
EP2117390A1 (en) Disposable cup which maybe used as packing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20070145108A1 (en) Beverage container holder
KR200271776Y1 (ko) 절첩식 일회용 종이컵
KR101641534B1 (ko) 손잡이를 구비한 접이식 컵
KR20090108259A (ko) 접이식 슬라이딩 스트로
KR200488738Y1 (ko) 빨대구비 음료 용기
JP5129000B2 (ja) 飲料用二重ストロー
KR19980059445U (ko) 절첩되는 일회용 종이컵
KR200176915Y1 (ko) 일회용 차용기
KR200315091Y1 (ko) 부피축소가 가능한 일회용 음료수 컵
JP3116502U (ja) 即席食品収納セット
KR200286315Y1 (ko) 컵라면 뚜껑을 이용한 그릇
KR200271837Y1 (ko) 컵라면 용기 덮개
CN217390392U (zh) 便捷式速冲杯
CN212606843U (zh) 一种强化锲合的纸盖及纸杯
CN215400449U (zh) 一种储物瓶
JP2002002657A (ja) 紙カップ容器
KR200159568Y1 (ko) 커피 믹서용 종이 용기
WO2022006944A1 (zh) 一种高实用性咖啡杯
CN201073175Y (zh) 折叠杯
TW504479B (en) Heat insulating container
KR200307780Y1 (ko) 분유통용 스푼 고정 구조
JP2010018330A (ja) カップ容器
CN207361008U (zh) 一种一次性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