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7780Y1 - 분유통용 스푼 고정 구조 - Google Patents

분유통용 스푼 고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7780Y1
KR200307780Y1 KR20-2002-0037860U KR20020037860U KR200307780Y1 KR 200307780 Y1 KR200307780 Y1 KR 200307780Y1 KR 20020037860 U KR20020037860 U KR 20020037860U KR 200307780 Y1 KR200307780 Y1 KR 2003077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n
fixing
lid
milk
milk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78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호남
정후길
전정욱
Original Assignee
매일유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일유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매일유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378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77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77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77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eating utensils or spatul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유통이나 이유식통과 같은 캔에서 스푼의 보관을 위해 캔의 뚜껑 내측으로 소정 개수의 고정돌기를 구비시키고 이러한 고정돌기에 스푼대의 구멍을 끼워 고정시킴으로써 캔의 내용물 및 스푼의 위생적인 관리가 이루어지게 되는 분유통용 스푼 고정 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내용물이 수용되며, 뚜껑(20)에 의해 밀폐되는 분유통(10)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은 내측면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21, 22)가 구성되는 한편, 상기 고정돌기(21, 22)에 상응하는 구멍(31, 32)이 스푼의 스푼대(33)에 구성되어, 스푼(30)의 보관시 상기 스푼대(33)의 구멍(31, 32)을 상기 고정돌기(21, 22)에 끼워맞추어 상기 스푼대(33)가 뚜껑(20)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유통용 스푼 고정 구조{FIXATION STRUCTURE OF SPOON FOR POWDERED MILK CAN}
본 고안은 분유통용 스푼 고정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유통이나 이유식통과 같은 캔에서 스푼의 보관을 위해 캔의 뚜껑 내측으로 소정 개수의 고정돌기를 구비시키고 이러한 고정돌기에 스푼대의 구멍을 끼워 고정시킴으로써캔의 내용물 및 스푼의 위생적인 관리가 이루어지게 되는 분유통용 스푼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유에서 수분을 제거하여 가루 상태로 만들어 아기에게 모유 대신 섭취하게 하는 분유나 이유기의 유아에게 먹이는 이유식 등은 소정 크기의 캔에 담겨져 있게 되고 사용자는 이러한 분유 등을 떠내기 위해서 개량(改量)된 스푼을 이용하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이러한 스푼은 분유통 내에 분유와 함께 삽입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분유 속에 파묻힌 스푼을 손으로 찾아낸 후 분유를 떠내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의 분유통은 매번 분유를 떠내기 위해서 손을 통 내부로 삽입할 때마다 부모의 손에 묻은 오염물이 분유와 섞일 염려가 있고 또한, 내부에 있는 스푼에는 분유의 잔량이 묻게 되어 이를 털어내야 하므로 사용자에게 많은 불편함이 따랐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해 다른 많은 방식의 분유통이 개발되었는데, 예를 들면, 분유통의 외주면에 분유를 떠내기 위한 분유스푼을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보관함을 구성하는 방식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분유의 잔량이 스푼에 묻는 단점을 보완할 수는 있었으나, 그 보관함이 분유통의 외면에 돌출 형성됨으로써 이러한 분유통은 외출 등과 같은 경우에 사용자로 하여금 분유통을 가방에 소지하고 다니기에 불편함을 주고 제작비용 또한 상승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서, 분유통의 일측을 내부로 함몰시키고 이러한 함몰된 부분에서 외부로 스푼을 걸 수 있는 구멍을 구성시키는 방식이 있는데, 이러한 방식은 아기가 섭취하게 되는 분유를 떠내게 되는 스푼을 외부의 개방된 공간에 걸게됨으로써 스푼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없게 되는 한편, 함몰된 부분으로 인해 소비자에게 분유의 양이 적어진다는 느낌을 주게 되어 구매욕구를 감소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분유통 뚜껑의 내측면으로 소정 개수의 돌기를 형성시키는 한편, 분유를 떠내는 스푼의 스푼대에 뚜껑 돌기에 상응하는 구멍을 형성하여 스푼 보관시 상기 돌기에 구멍을 끼워맞춤으로써 분유통 내부에서 스푼을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게 하는 한편, 이로 인해 스푼의 부재를 방지하여 사용자가 스푼을 찾는 불편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분유통용 스푼 고정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분유통용 스푼 고정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분유통의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이 일실시예에 따른 분유통의 뚜껑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유통의 뚜껑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분유통 20 : 뚜껑
21 : 제 1 고정돌기 22 : 제 2 고정돌기
30 : 스푼 31 : 제 1 구멍
32 : 제 2 구멍 33 : 스푼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른 분유통용 스푼 고정 구조는 내용물이 수용되며, 뚜껑(20)에 의해 밀폐되는 분유통(10)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은 내측면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21, 22)가 구성되는 한편, 상기 고정돌기(21, 22)에 상응하는 구멍(31, 32)이 스푼의 스푼대(33)에 구성되어, 스푼(30)의 보관시 상기 스푼대(33)의 구멍(31, 32)을 상기 고정돌기(21, 22)에 끼워맞추어 상기 스푼대(33)가 뚜껑(20)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고정돌기는 2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고정돌기는 그 단부가 몸체보다 더 큰 형상으로이루어져, 스푼대(33)를 끼웠을 경우, 고정이 확실히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은 분유통 뚜껑의 내측면에 소정 개수의 고정돌기를 형성시키는 한편, 분유 스푼의 스푼대에 상기 고정돌기에 상응하는 소정 개수의 구멍을 형성시켜 분유 스푼의 위생적인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분유통용 스푼 고정 구조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분유통용 스푼 고정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분유통의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이 일실시예에 따른 분유통의 뚜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유통의 뚜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이 적용된 분유통용 스푼 고정 구조는 기존의 분유통 구조에서 분유통(10)의 뚜껑(20)에 형성되는 고정 돌기들(21, 22)과 이러한 고정 돌기들에 상응하는 스푼대(33)의 구멍들(31, 32)로 구성된다.
도 1에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유통용 스푼 고정 구조에 대해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고정돌기들(21, 22)은 분유통(10)을 덮는 뚜껑(20)의 내측면, 즉 닫힌상태에서 분유통(10) 내부의 분유와 접촉되는 뚜껑면에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뚜껑 내측면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1 고정돌기(21)와 상기 제 1 고정돌기(21)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 2 고정돌기(22)로 구성된다.
이때, 이러한 제 1 고정돌기(21) 및 제 2 고정돌기(22)는 그 단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단면적을 가지게 형성되어, 이러한 고정돌기들(21, 22)에 구멍이 형성된 물체가 삽입되게 되면 고정돌기들(21, 22)의 단부의 넓은 부위가 걸림구로 작용하게 되며, 따라서 삽입 고정된 물체가 쉽게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스푼(30)은 분유통(10) 내의 분유를 정량으로 담기 위한 개량 스푼인데, 이러한 스푼의 스푼대(33)에는 상기 제 1 고정돌기(21) 및 제 2 고정돌기(22)에 상응하여 형성되는 소정 크기의 제 1 구멍(31) 및 제 2 구멍(32)이 각각 구비된다.
따라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분유통(10)의 뚜껑 내측으로 형성된 상기 제 1 고정돌기(21) 및 제 2 고정돌기(22)에는 각각 스푼대(33)의 제 1 구멍(31) 및 제 2 구멍(32)이 끼워져 스푼(30)이 분유통 뚜껑(20)에 밀착 고정됨으로써 평상시 분유통 내부에서 스푼(30)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4를 참조하면, 분유통 뚜껑(20)에는 단일의 제 1 고정돌기(21)가 형성되며, 이에 상응하여 스푼의 스푼대(33)에도 단일의 제 1 구멍(31)이 형성되게 되는데, 이러한 구성 역시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스푼(30)을 상기 분유통 뚜껑(20)에 밀착해 고정시킬 수 있게 되어 분유통 내부에 스푼(30)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게 한다.
본 고안의 분유통용 스푼 고정 구조는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서 아기가 섭취하는 분유통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기재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원리는 분유통뿐만 아니라 이유식통이나 생식통, 분말쥬스통 등과 같이 최초 개봉 후 계속적으로 스푼을 이용하여 내용물을 떠내게 되는 각종 캔형 통의 위생적 관리를 위해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나타난 분유통용 스푼 고정 구조는 분유통 내부의 상측에 스푼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뚜껑 내측면으로 소정 개수의 고정돌기를 형성시키는 한편, 스푼대에 상기 고정돌기에 상응하는 구멍을 형성시켜 스푼을 상기 뚜껑에 밀착 고정시킴으로써 스푼의 보관이 분유통 외부에서 이루어지지 않고 분유통 내에서 가능하도록 하여 외부의 오염물질과 차단된 상태로 스푼의 관리가 위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스푼을 일정 장소에 고정하여 보관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분유통을 사용할 때 스푼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주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내용물이 수용되며, 뚜껑(20)에 의해 밀폐되는 분유통(10)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은 내측면으로 고정돌기가 구성되며, 상기 고정돌기에 상응하는 구멍이 스푼의 스푼대(33)에 구성되어, 스푼(30)의 보관시 상기 스푼대(33)의 구멍을 상기 고정돌기에 끼워맞추어 상기 스푼대(33)가 뚜껑(20)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통용 스푼 고정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돌기는 2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통용 스푼 고정 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돌기는 그 단부가 몸체보다 더 큰 형상으로 이루어져, 스푼대(33)를 끼웠을 경우, 고정이 확실히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통용 스푼 고정 구조.
KR20-2002-0037860U 2002-12-20 2002-12-20 분유통용 스푼 고정 구조 KR2003077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860U KR200307780Y1 (ko) 2002-12-20 2002-12-20 분유통용 스푼 고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860U KR200307780Y1 (ko) 2002-12-20 2002-12-20 분유통용 스푼 고정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7780Y1 true KR200307780Y1 (ko) 2003-03-19

Family

ID=49403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7860U KR200307780Y1 (ko) 2002-12-20 2002-12-20 분유통용 스푼 고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77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808B1 (ko) * 2016-08-12 2018-10-04 김경만 캔 뚜껑 안전 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808B1 (ko) * 2016-08-12 2018-10-04 김경만 캔 뚜껑 안전 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2910U (ko) 분유용 용기
KR200474817Y1 (ko) 테이크아웃 컵
JP2005022673A (ja) 目薬容器
KR200307780Y1 (ko) 분유통용 스푼 고정 구조
JP2554822Y2 (ja) 詰め替え容器
US4880020A (en) Traveling toothbrush holder
BG63429B1 (bg) Контейнер за напитки или други течности със сгъваем накрайник
JP2006321540A (ja) 飲料用ボトル
US6305584B1 (en) Dispensing cover assembly
JP4041682B2 (ja) 市販ボトル用アダプタ
JP2002347796A (ja) 市販ボトル装着用容器
KR200193549Y1 (ko) 음료용기 부착형 빨대
US11465821B1 (en) Holder for food and beverage containers
JPH0427481Y2 (ko)
JP2014148313A (ja) 注出容器
KR200476250Y1 (ko) 보관체가 구비된 병
CN215923099U (zh) 容器组合及其盖体
CN210285207U (zh) 便携容器
KR840001475Y1 (ko) 보온병 겸용 보온 도시락
KR101930833B1 (ko) 도구 고정구조를 갖는 용기마개
KR200311218Y1 (ko) 분유스푼 보관함
JPS5843529Y2 (ja) コップ付ゲ−ベルトップ型容器
JP2006036264A (ja) コップ
KR200483378Y1 (ko) 분말, 곡물과 같은 식품류 사용 편의성을 갖춘 듀얼캡 보관용기
KR200213747Y1 (ko) 저장용기 부착용 간이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