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378Y1 - 분말, 곡물과 같은 식품류 사용 편의성을 갖춘 듀얼캡 보관용기 - Google Patents

분말, 곡물과 같은 식품류 사용 편의성을 갖춘 듀얼캡 보관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378Y1
KR200483378Y1 KR2020160004670U KR20160004670U KR200483378Y1 KR 200483378 Y1 KR200483378 Y1 KR 200483378Y1 KR 2020160004670 U KR2020160004670 U KR 2020160004670U KR 20160004670 U KR20160004670 U KR 20160004670U KR 200483378 Y1 KR200483378 Y1 KR 2004833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ntainer
spoon
container body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6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락
Original Assignee
한화제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제약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제약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6/01478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12293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3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3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45Utensils for removing the contents from the package, e.g. spoons, forks, spatul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9/00Calibrated capacity measures for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e.g. measuring cu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9/00Calibrated capacity measures for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e.g. measuring cups
    • G01F19/002Measuring spoons or scoops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분말, 곡물과 같은 식품류 등으로 이루어진 내용물이 담기는 듀얼캡 보관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개구부(110)가 형성되며 분말로 이루어진 내용물이 담기는 용기본체(100)와; 상기 용기본체(100)의 개구부(110)와 결합하여 상기 용기본체(100)를 밀폐하는 마개부(200)와; 상기 용기본체(100) 및 상기 마개부(20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거치부(220)와; 상기 거치부(2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용물이 담기는 계량부(510)와 상기 계량부(5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손잡이부(520)를 포함하는 숟가락(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곡물과 같은 식품류 사용 편의성을 갖춘 듀얼캡 보관용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분말, 곡물과 같은 식품류 사용 편의성을 갖춘 듀얼캡 보관용기 {Dual cap container easy to use other food stuff such as powder, grains}
본 고안은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분말, 곡물과 같은 식품류 등으로 이루어진 내용물이 담기는 듀얼캡 보관용기에 관한 것이다.
용기는, 액상, 분말, 캡슐 등으로 이루어진 내용물이 담기는 구성으로서, 내용물의 종류 및 내용물의 배출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구조를 가진다.
그런데 이런한 용기는 용기 내에 담기는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서 오염, 변질, 부패, 수분흡수 등 내용물의 보존상태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용기는,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한 밀폐구조, 배출구조를 가질 필요가 있다.
한편, 의약품, 분말로 이루어진 단백질과 같은 건강보조식품, 분유 등 분말로 이루어진 내용물은, 통상 사용자의 연령, 상태 등에 따라서 일정량을 섭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종래의 용기는, 분말로 이루어진 내용물이 저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일정량의 내용물을 섭취하고자 하는 경우 숟가락, 별도 계량컵 등을 이용하여 섭취하여야 하는 등 내용물 섭취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분말로 이루어진 내용물을 일정량 덜어내어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는 분말, 곡물과 같은 식품류 사용 편의성을 갖춘 듀얼캡 보관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개구부(110)가 형성되며 분말로 이루어진 내용물이 담기는 용기본체(100)와; 상기 용기본체(100)의 개구부(110)와 결합하여 상기 용기본체(100)를 밀폐하는 마개부(200)와; 상기 용기본체(100) 및 상기 마개부(20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거치부(220)와; 상기 거치부(2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용물이 담기는 계량부(510)와 상기 계량부(5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손잡이부(520)를 포함하는 숟가락(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곡물과 같은 식품류 사용 편의성을 갖춘 듀얼캡 보관용기를 개시한다.
상기 거치부(220)는, 상기 숟가락(500)이 탈착가능하도록 상기 용기본체(100)의 내벽 및 상기 마개부(200)의 내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돌출되어 형성된 장착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220)는, 상기 용기본체(100) 및 상기 마개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부본체(221)와; 상기 거치부본체(221)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숟가락(500)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착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개부(200)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개구부(110)의 외주면에 끼워지며 상기 개구부(110)와 대응되는 개구가 형성되는 용기결합부(260)와; 상기 용기결합부(260)의 개구를 복개하도록 상기 용기결합부(260)과 결합되는 복개부(270)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본체(221)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개구부(110)의 내주면에 끼워져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본체(221)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개구부(110)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그 내주면에 상기 장착부(250)가 형성된 연장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250)는, 상기 숟가락(500)의 양측면을 가압한 상태로 지지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520)는, 상기 한 쌍의 장착부(250)가 장착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상부의 폭이 상기 한 쌍의 장착부(250)이 이루는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장착부(250)는, 상기 손잡이부(520) 중 상기 한 쌍의 장착부(250)가 장착되는 부분의 폭보다 작은 폭을 이루도록 대향되어 돌출되는 돌출턱(25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숟가락(500)은, 상기 계량부(510)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상향 경사를 이루어 확장되는 확장부(5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장부(512)는, 상기 손잡이부(520)가 결합된 부분으로부터 상기 숟가락(500)의 끝단을 향하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끝단 부분보다 양측부분이 더 확장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분말, 곡물과 같은 식품류 사용 편의성을 갖춘 듀얼캡 보관용기는 분말로 이루어진 내용물이 담기는 용기본체와, 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숟가락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내용물을 숟가락으로 퍼서 섭취할 수 있어 편리하게 내용물을 섭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분말, 곡물과 같은 식품류 사용 편의성을 갖춘 듀얼캡 보관용기는, 숟가락이 용기본체에 탈착가능하도록 고정되므로 사용 및 용기의 휴대가 쉽다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 따른 용기는, 숟가락의 내용물이 담기는 계량부의 가장자리에 확장부가 추가로 형성되어 분말로 이루어진 내용물의 퍼올림이 보다 편리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분말, 곡물과 같은 식품류 사용 편의성을 갖춘 듀얼캡 보관용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용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1의 용기에서 복개부가 열려진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c는, 도 1의 용기를 분해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용기에서 거치부에 숟가락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측면도이다.
도 4a는, 도 1의 용기에서 숟가락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에서 숟가락이 거치부에 결합되기 전 및 분리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용기 내부에 삽입되는 숟가락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숟가락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분말, 곡물과 같은 식품류 사용 편의성을 갖춘 듀얼캡 보관용기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분말, 곡물과 같은 식품류 사용 편의성을 갖춘 듀얼캡 보관용기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10)가 형성되며 분말로 이루어진 내용물이 담기는 용기본체(100)와; 용기본체(100)의 개구부(110)와 결합하여 용기본체(100)를 밀폐하는 마개부(200)와; 용기본체(100) 및 마개부(20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거치부(220)와; 거치부(2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용물이 담기는 계량부(510)와 계량부(5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손잡이부(520)를 포함하는 숟가락(5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용기에 담기는 내용물은, 분말로 이루어진 물질이면 어떠한 물질도 가능하며, 의약품, 분말로 이루어진 단백질과 같은 건강보조식품, 분유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에 담기는 내용물은, 분말, 곡물과 같은 식품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100), 마개부(200), 거치부(220) 및 숟가락(500)은, 합성수지 등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성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100), 마개부(200), 거치부(220) 및 숟가락(500) 중 적어도 하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100)는, 개구부(110)가 형성되며 분말로 이루어진 내용물이 담기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용기본체(100)는, 후술하는 숟가락(500)에 의하여 내용물의 배출기능을 구비할 필요가 있는바 사용자가 숟가락(500)을 이용하여 내용물을 퍼올릴 수 있도록 상하로 일정한 길이는 가지는 사각실린더, 원형실린더 등 실린더 형상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개구부(110)는, 용기본체(100)의 실린더 형상의 수평단면의 형상 및 그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구부(110)는, 후술하는 마개부(200)의 결합부(260)와의 결합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구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본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상측에 개구부(110)가 형성되고 측면에 사용자가 잡기 용이하도록 하는 손잡이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20)는, 사용자가 용기본체(100)를 잡을 시에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형태이면 어떠한 형태도 가능하다.
상기 마개부(200)는, 용기본체(100)의 개구부(110)와 결합하여 용기본체(100)를 밀폐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마개부(200)는, 용기본체(100)에 결합되며 개구부(110)와 대응되는 개구가 형성되는 용기결합부(260)와; 용기결합부(260)의 개구를 복개하도록 용기결합부(260)과 결합되는 복개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결합부(260)는, 용기본체(100)의 개구부(110)에 결합되며 개구부(110)와 대응되는 개구가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용기결합부(260)는, 스크루결합, 끼움결합 등 용기본체(100)의 개구부(110)와의 결합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용기결합부(260)는, 용기본체(100)의 개구부(110)에 끼워지며 개구부(110)와 대응되는 개구가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복개부(270)는, 용기결합부(260)의 개구를 복개하도록 용기결합부(260)과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복개부(270)는, 용기결합부(260)와 완전 분리되도록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거나, 힌지회전에 의하여 용기결합부(260)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힌지결합되는 등 다양한 구조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개부(270)는, 내용물의 소량 배출을 위하여 보조개구(271)가 형성되고, 보조개구(271)의 개폐를 위한 보조마개(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마개(420)는, 복개부(270)에 완전 분리 가능하게 탈착결합되거나, 힌지결합되어 복개부(270)에 형성된 보조개구(271)를 개폐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보조마개(420)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서 보조개구(271)의 부근에서 복개부(270)과 힌지결합되고 타측에서 복개부(270)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숟가락(500)은, 사용자가 복개부(270)를 조작하여 용기본체(100)의 개구부(110)를 개방한 후 용기본체(100)의 개구부(110)를 통하여 내용물을 퍼올리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숟가락(500)는, 내용물이 담기는 계량부(510)와, 계량부(5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손잡이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량부(510)는, 내용물이 담기는 구성으로 상측이 개방된 컵모양을 가지는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계량부(510)는, 사용자가 내용물의 양을 계량하여 담을 수 있도록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눈금(514)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숟가락(500)은, 계량부(510)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상향 경사를 이루어 확장되는 확장부(5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장부(512)는, 계량부(510)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상향 경사를 이루어 확장됨으로써 사용자가 내용물을 보다 편리하게 퍼 올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확장부(512)는, 손잡이부(520)가 결합된 부분으로부터 숟가락(500)의 끝단을 향하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끝단 부분보다 양측부분이 더 확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장부(512)가 측면부분에서 더 확장되면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내용물을 계량부(510)에 담을 수 있으며 내용물을 퍼올리는 과정에서 내용물이 계량부(510)에 담긴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손잡이부(520)는, 사용자가 내용물을 퍼 올릴 수 있도록 사용자의 손에 의하여 잡을 수 있도록 계량부(510)의 일측에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손잡이부(520)는, 계량부(510)의 일측에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등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아울러, 사용자가 용기본체(100) 내에 담긴 내용물을 긁어 퍼올리는 조작이 자주 있는바 길이방향의 휨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리브(52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브(522)는, 길이방향의 휨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손잡이부(520)의 저면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520)는, 후술하는 거치부(22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바, 사용자가 거치부(220)에 대하여 탈착이 용이하도록 상측부분(521)이 저면 쪽으로 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측부분(521)이 저면 쪽으로 휘어져 형성되면, 거치부(220)에 거치된 상태에서 그 내주면으로부터 상측부분(521)이 이격되므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거치부(220)로부터 숟가락(500)을 분리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220)는, 용기본체(100) 및 마개부(20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거치부(220)는, 숟가락(500)이 탈착가능하도록 용기본체(100)의 내벽 및 마개부(200)의 내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돌출되어 형성된 장착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250)는, 용기본체(100)의 내벽 및 마개부(200)의 내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숟가락(500)과의 탈착결합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장착부(250)는, 상기 장착부(250)는, 숟가락(500)의 양측면을 가압한 상태로 지지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520)는, 한 쌍의 장착부(250)가 장착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상부의 폭이 한 쌍의 장착부(250)이 이루는 폭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장착부(250)는, 손잡이부(520) 중 한 쌍의 장착부(250)가 장착되는 부분의 폭보다 작은 폭을 이루도록 대향되어 돌출되는 돌출턱(251)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치부(220)는, 장착부(250)가 용기본체(100)의 내벽 및 마개부(200)의 내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대신에, 분리된 구성으로서, 용기본체(100) 및 마개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부본체(221)와; 거치부본체(221)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숟가락(500)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착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본체(221)는, 용기본체(100) 및 마개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거치부본체(221)는, 용기본체(100)의 개구부(110)의 내주면에 끼워져 설치될 수 있으며 용기본체(100)의 개구부(110)의 형상에 대응되는 링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마개부(200)의 복개부(270)의 개폐시 숟가락(500)의 상단부분이 방해될 수 있는바, 숟가락(500)이 용기본체(100)의 내측으로 깊숙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거치부본체(221)는, 용기본체(100)의 개구부(110)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그 내주면에 장착부(250)가 형성된 연장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230)는, 숟가락(500)이 용기본체(100)의 내측으로 깊숙이 장착되도록 용기본체(100)의 개구부(110)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그 내주면에 장착부(250)가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장부(230)는, 용기본체(100)의 개구부(110)의 내측으로 돌출, 즉 용기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장부(230)에 장착되는 숟가락(500) 또한 그 길이방향, 즉 계량부(510) 및 손잡이부(520)가 이루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연장부(230)의 돌출방향, 즉 용기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용기본체(100)의 개구부(110)가 용기본체(100)의 상하방향, 즉 길이방향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형상의 용기의 사용에 적합하다.
한편 상기 거치부본체(221)는, 상단 부분에 외측으로 향하여 돌출된 돌출턱(240)이 형성되어 용기본체(100)의 개구부(110)에 지지되어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돌출턱(240)은, 상단 부분에 외측으로 향하여 돌출되어 용기본체(100)의 개구부(110)에 지지되어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장착부(250)는, 용기본체(100)의 내벽 및 마개부(200)의 내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숟가락(500)과의 탈착결합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장착부(250)는, 상기 장착부(250)는, 숟가락(500)의 양측면을 가압한 상태로 지지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520)는, 한 쌍의 장착부(250)가 장착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상부의 폭이 한 쌍의 장착부(250)이 이루는 폭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장착부(250)는, 손잡이부(520) 중 한 쌍의 장착부(250)가 장착되는 부분의 폭보다 작은 폭을 이루도록 대향되어 돌출되는 돌출턱(25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은 본 고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용기본체 110: 개구부
200: 마개부 500: 숟가락

Claims (4)

  1. 개구부(110)가 형성되며 분말로 이루어진 내용물이 담기는 용기본체(100)와;
    상기 용기본체(100)의 개구부(110)와 결합하여 상기 용기본체(100)를 밀폐하는 마개부(200)와;
    상기 용기본체(100) 및 상기 마개부(20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거치부(220)와;
    상기 거치부(2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용물이 담기는 계량부(510)와 상기 계량부(5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손잡이부(520)를 포함하는 숟가락(500)을 포함하며,
    상기 마개부(200)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개구부(110)의 외주면에 끼워지며 상기 개구부(110)와 대응되는 개구가 형성되는 용기결합부(260)와;
    상기 용기결합부(260)의 개구를 복개하도록 상기 용기결합부(260)과 결합되는 복개부(270)를 포함하며,
    상기 복개부(270)는, 상기 용기본체(100) 내에 담긴 내용물의 소량 배출을 위하여 보조개구(271)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개구(271)의 개폐를 위한 보조마개(420)가 설치되며,
    상기 보조마개(420)는, 일측에서 상기 보조개구(271)의 부근에서 상기 복개부(270)과 힌지결합되고 타측에서 복개부(270)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거치부(220)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개구부(110)의 내주면에 끼워져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기 개구부(110)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연장부(230)를 포함하는 거치부본체(221)와;
    상기 연장부(23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숟가락(500)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착부(250)를 포함하며,
    상기 숟가락(500)의 손잡이부(520)는, 상기 연장부(23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계량부(510)는, 상기 연장부(230)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손잡이부(520)는, 사용자가 상기 거치부(220)에 대하여 탈착이 용이하도록 상측부분(521)이 상기 손잡이부(520)의 저면 쪽으로 휘어지며,
    상기 장착부(250)는, 상기 숟가락(500)의 양측면을 가압한 상태로 지지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부(520)는, 상기 한 쌍의 장착부(250)가 장착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상부의 폭이 상기 한 쌍의 장착부(250)이 이루는 폭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곡물과 같은 식품류 사용 편의성을 갖춘 듀얼캡 보관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장착부(250)는,
    상기 손잡이부(520) 중 상기 한 쌍의 장착부(250)가 장착되는 부분의 폭보다 작은 폭을 이루도록 대향되어 돌출되는 돌출턱(25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곡물과 같은 식품류 사용 편의성을 갖춘 듀얼캡 보관용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숟가락(500)은,
    상기 계량부(510)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상향 경사를 이루어 확장되는 확장부(5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곡물과 같은 식품류 사용 편의성을 갖춘 듀얼캡 보관용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512)는, 상기 손잡이부(520)가 결합된 부분으로부터 상기 숟가락(500)의 끝단을 향하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끝단 부분보다 양측부분이 더 확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곡물과 같은 식품류 사용 편의성을 갖춘 듀얼캡 보관용기.
KR2020160004670U 2016-01-13 2016-08-11 분말, 곡물과 같은 식품류 사용 편의성을 갖춘 듀얼캡 보관용기 KR2004833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14782 WO2017122939A1 (ko) 2016-01-13 2016-12-16 분말, 곡물과 같은 식품류 사용 편의성을 갖춘 듀얼캡 보관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206 2016-01-13
KR20160000206 2016-01-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378Y1 true KR200483378Y1 (ko) 2017-05-08

Family

ID=58716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670U KR200483378Y1 (ko) 2016-01-13 2016-08-11 분말, 곡물과 같은 식품류 사용 편의성을 갖춘 듀얼캡 보관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83378Y1 (ko)
WO (1) WO2017122939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966B1 (ko) * 2002-03-04 2004-11-06 안호성 탈착식 스푼을 구비한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4242Y1 (ko) * 1987-05-08 1990-05-12 김봉구 용기 속 걸이
JP2004191248A (ja) * 2002-12-12 2004-07-08 Izumi Kasei Kogyo Kk 計量スプーン
JP4525205B2 (ja) * 2004-06-23 2010-08-18 東洋製罐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製振出用キャップ
KR100839066B1 (ko) * 2007-04-03 2008-06-19 박갑표 분유용기와 스푼의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966B1 (ko) * 2002-03-04 2004-11-06 안호성 탈착식 스푼을 구비한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22939A1 (ko) 2017-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1918A (en) Cap for nursing bottle for providing a compartmental dispensing receptacle
US5890627A (en) Apparatus, adaptable to sales containers, for volumetric dispensing of powered materials
JP4823738B2 (ja) 計量スプーン付容器。
US9541441B2 (en) Integrated measuring scoop apparatus
US20160244226A1 (en) Powdered dispenser container with a combined scoop holder and scraper
EP1027851B1 (en) Container with dispensing assembly
US20150197381A1 (en) Container with a mountable scoop
US9708093B2 (en) Dispensing closure for powdered products
EP1852364A1 (en) A container assembly comprising a dosing tool
US5829386A (en) Poultry fount
KR20120002910U (ko) 분유용 용기
KR101450181B1 (ko) 캡슐의 장착이 가능한 컵 뚜껑
KR200483378Y1 (ko) 분말, 곡물과 같은 식품류 사용 편의성을 갖춘 듀얼캡 보관용기
JP6328371B2 (ja) 飲み物用カップ蓋および飲み物用カップ
US20100126998A1 (en) Food and Beverage Container with Integrated Disposable Liner Dispenser
US10633166B2 (en) Food container assembly
KR100740260B1 (ko) 스푼을 일체형으로 설치한 식품 보관용기
JP6132231B2 (ja) 注出容器
KR101971896B1 (ko) 즉석 식품의 보관 용기
JPH089020Y2 (ja) ポーション容器
JPH01294453A (ja) 容器の蓋
JP2014198579A (ja) 収納ケース
CN110312663B (zh) 具有隔间的盖子和使用所述盖子的容器
JP2003192030A (ja) 液状物を収容した軟質容器を収納する外容器体
JP3144209U (ja) 合成樹脂製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