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5966B1 - 탈착식 스푼을 구비한 용기 - Google Patents

탈착식 스푼을 구비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5966B1
KR100455966B1 KR10-2002-0011284A KR20020011284A KR100455966B1 KR 100455966 B1 KR100455966 B1 KR 100455966B1 KR 20020011284 A KR20020011284 A KR 20020011284A KR 100455966 B1 KR100455966 B1 KR 100455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n
cap
container
handle
re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1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2440A (ko
Inventor
안호성
Original Assignee
안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호성 filed Critical 안호성
Priority to KR10-2002-0011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5966B1/ko
Publication of KR20030072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2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5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59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eating utensils or spatul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착식 스푼을 구비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용기(1A)는, 캔(10), 저면(21)에 고정구(40)가 형성되어 있고 캔(10)의 입구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캡(20), 및 캡(20)의 고정구(40)에 대하여 고정 및 분리되는 고정구(50)가 형성되어 있어서 캡(20)의 저면(21)에 탈착식으로 장착되는 스푼(30)을 포함한다. 캡(20)의 고정구(40)는 걸림돌기(41)와 고정돌기(42)로 구성하고, 스푼(30)의 고정구(50)는 걸림턱(51)과 고정구멍(52)으로 구성할 수 있다. 캡(20)의 고정구(40)는 받침편(43)과 고정편(44)으로 구성하고, 스푼(30)의 고정구(50)는, 제한턱(53)과 요부(54)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용기(1B)는, 캔(10), 캔(10)의 입구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캡(20), 스푼(30), 및 스푼(30)이 탈착식으로 장착되는 스푼탈착구(80)가 형성되어 있고 캔(10)의 상단에 장착되는 링프레임(70)을 포함한다. 스푼탈착구(80)는, 링프레임(70)의 링(71)을 가로지르는 서스펜션현(81), 서스펜션현(81)을 중심으로 링(71)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스푼(30)의 컵부(31)가 탄성적으로 걸리는 걸림단(83)이 구비되어 있는 선단탄성편(82), 및 선단탄성편(82)에 대향하여 링(71)의 타측에 형성되어 스푼(30)의 손잡이단부(35)를 탈착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유지하는 후단탄성홀더(84)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탈착식 스푼을 구비한 용기{Container Having Attachable Spoon}
(기술분야)
본 발명은 탈착식 스푼을 구비한 용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분유나 이유식과 같이 위생을 중요시해야 하는 분말식품의 용기에 있어서, 내용물을 덜어내기 위해 사용하는 스푼을 외기에 노출되지 않음은 물론 내용물과도 접하지 않는 상태로 용기 속에 보관할 수 있는, 탈착식 스푼을 구비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분유나 이유식은 원통형 캔과 개폐 캡으로 이루어진 용기에 포장하여 시판되고 있고, 또한 조유시의 계량을 위한 (계량)스푼도 함께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분유(이유식)공급업체는, 적절한 스푼 보관방법을 제시하지 않은 채, 스푼을 캔 속에 집어넣어 보관할 경우 남아있는 분유가 변질될 수 있는 등 위생상으로 바람직하지 아니하므로 따로 보관하는 것이 좋다고 권장하고 있으나, 조유를 해본 사람들이라면 공감할 수 있듯이, 사용한 스푼을 다시 사용하기까지 보관하기가 마땅치 않으며, 따라서 적지 않은 조유자들은 위생문제를 망각한 채 습관적으로 사용한 스푼을 캔 속에 그대로 집어넣어 보관하고 다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조유자들은 손을 깨끗이 닦고 캔 안의 분유 위에 누워져 있는 스푼을 손가락에 분유를 묻어가며 그리고 스푼에 묻은 분유를 털어 내면서 조유하는 것이 보통이므로, 이와 같은 스푼사용환경 하에서는 세균감염 등 유아들에게 위생적으로 위해를 줄 수는 환경이 조성될 염려가 매우 높다.
물론, 스푼을 분유에 꽂아 두면 분유가 손가락에 묻지 않을 것이나, 분유가 가득 차 있는 상태에서 스푼을 꽂아 두면 캡을 닫을 수 없으므로, 스푼을 용기 속에 보관하고자 할 경우 분유가 어느 정도 줄어들 때까지 스푼을 분유 위에 뉘어 놓을 수밖에 없다.
분유용기에 있어서의 스푼보관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이 국내외적으로 일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캔 외부에 스푼을 수납할 수 있는 스푼보관함을 장착하여 여기에 스푼을 보관하는 제안이 있으나, 스푼보관함이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각종 먼지, 해충 및 습기 등으로부터 유효 적절하게 방어하여 스푼의 청결함을 보존시키기에는 한계가 있고, 또한 제조공정상의 어려움과비용상승이 동반되므로, 실용화하여 소비자에게 적용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적지 않다.
아울러, 상기 종래의 스푼보관함이 위생적인 측면에서 기능을 발휘한다고 하더라도, 현실적으로 스푼이 분실될 염려를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많은 조유자들은 캔 안에 그냥 넣어 두려는 성향을 보인다.
이와 같은 이유로, 기술적 배경하에서, 조유자들은 스푼을 캔 안에 보관하자니 위생상태에 불안감을 떨쳐버릴 수 없고 외부에 보관하자니 마땅히 둘 곳이 여의치 않아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시판되는 분유나 이유식은, 모유를 대신하는 식품이라는 관점으로 첨단과학생산설비로 최적의 영양성분을 재현한다는 명제 하에 연구 개발되어, 그 품질은 일정 수준 이상을 유지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
그러나, 적어도 하루에도 수 차례 조유시마다 겪게되는 위생상의 불만은 결코 도외시 될 수 없는 것이며, 더구나 면역력이 약한 유아들에게 있어서 세균감염의 대부분(90% 이상)이 손을 통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손으로 잡아 사용했던 스푼을 아무런 대책 없이 분유 위에 올려 보관하고 다시 사용하는 것을 그대로 방치한다면, 유아의 위생에 적지 않은 문제를 유발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분유나 이유식과 같이 위생을 중요시해야 하는 분말식품이 수용된 용기에서, 내용물을 덜어내기 위해 사용하는 스푼의 보관에 관련하여 유발되는 위생문제와 사용상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스푼을 보관할 수 있는 탈착식 스푼을 구비한 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용기의 사시도,
도2는 도1에서 스푼을 캡으로부터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3은 도1의 단면도,
도4는 도1 변형예로서 스푼을 캡으로부터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5는 도4에 예시된 용기의 종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용기의 부분사시도,
도7은 도6 구체예의 단면도,
도8은 도6의 구체예에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선단탄성편의 사시도,
도9는 도6의 구체예에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후단탄성홀더의 사시도,
도10은 도6의 구체예에 적용될 수 있는 다른 예시적인 후단탄성홀더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발명의 용기 10: 캔 20: 캡
30: 스푼 31: 컵부 32: 손잡이
33: 파지부 35: 손잡이단부 40: 캡의 고정구
41: 걸림돌기 42: 고정돌기 43: 받침편
44: 고정편 50: 스푼의 고정구 51: 걸림턱
52: 고정구멍 53: 제한턱 54: 요부
60: 간격보상돌기 70: 링프레임 71: 링
81: 서스펜션현 81a: 요부 82: 선단탄성편
82a: 탄성판 83: 걸림단 84: 후단탄성홀더
85: 후방탄성편 85a: 탄성판 86: 걸림단
87: 스토퍼 88: 측방탄성편 89: 걸림단
90: 스토퍼
본 발명에 따라, 탈착식 스푼을 구비한 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용기는, 기본적으로 내용물이 수용되는 캔, 상기 캔의 입구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캡, 및 상기 내용물을 덜어내는 것에 사용하는 스푼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본 구체예에 따른 발명의 예시적인 용기는, 캔, 저면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고정돌기를 구비한 고정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캔의 입구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캡, 및 상기 캡의 고정구에 대하여 고정 및 분리되며 컵부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에 걸리는 걸림턱과 손잡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에 삽입되는 고정구멍으로 구성된 고정구가 형성되어서 상기 캡의 저면에 탈착식으로 장착되는 스푼을 포함하는 탈착식 스푼을 구비한 용기로서, 상기 캡의 걸림돌기는 상기 컵부의 걸림턱에 요지부동하게 면접촉 방식으로 걸려 고정되도록 그 단부가 내향측으로 돌출된 광폭협단의 호형상의 한 개 이상의 돌기이고; 상기 캡의 고정돌기는 그 단부가 외향측으로 돌출되게 하되, 상기 손잡이의 고정구멍에 삽입되게 하거나, 성형 가공시 강제빼기 사출이 가능하도록, 중심부가 외측으로 벌어지게 절개되거나 중공형상이 되게 하여, 중심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수축현상을 나타내는 돌기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푼의 걸림턱은 상기 캡의 걸림돌기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컵부의 뒤틀림에 의해 쉽게 자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외주연의 외향측으로 두툼하게 돌출시킨 턱이고; 상기 스푼의 고정구멍은 그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상면에 소정 크기의 싱킹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의 통과 두께가 얇아지도록 하여, 상기 고정돌기와의 탈착시 마찰저항이 최소화되도록 하거나, 부착시 삽입안내요홈의 역할을 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캡의 고정구는, 상기 저면에 형성된 받침편과 상기 받침편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고정편으로 구성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는 상기 스푼의 고정구는 상기 스푼의 컵부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상기 받침편에 의해 그 하강 이동이 제한되는 제한턱과 상기 스푼의 손잡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편에 탄성적으로 끼워맞춤되는 요부로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캡의 저면의 내주연에는 덮었을 때 상기 캔의 상단과 접하는 간격보상돌기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스푼의 손잡이에는 파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용기는, 캔, 상기 캔의 입구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캡, 스푼, 및 링프레임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본 구체예의 특징에 따라, 상기 링프레임에는 상기 스푼을 탈착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스푼탈착구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푼탈착구는, 상기 링프레임의 링을 가로지르는 서스펜션현, 상기 스푼의 컵부가 탄성적으로 걸리는 선단탄성편, 상기 선단탄성편에 대향하여 상기 링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스푼의 손잡이단부를 탈착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유지하는 후단탄성홀더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서스펜션현에는 상기 스푼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스푼의 위치를 정치시켜주는 요부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후단탄성홀더는, 상기 링 쪽으로 탄성적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의 상측이동을 제한하는 걸림단이 형성된 후방탄성편과, 상기 손잡이의 하측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로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후단탄성홀더는, 상기 링의 원주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의 상측이동을 제한하는 걸림단과 상기 손잡이의 하측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상하로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측방탄성편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스푼을 구비한 용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스푼을 구비한 용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제1 구체예)
먼저,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 구체예의 용기를 설명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구체예의 용기(1A)는, 기본적으로 내용물(2)이 수용되는 캔(10), 캔(10)의 입구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캡(20), 및 내용물(2)을 덜어내기 위한 (계량)스푼(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내용물(2)이란, 분유나 이유식과 같이 위생적인 취급과 보관이 중요시 여겨지는 분말식품을 의미하며, 따라서 본 발명의 용기(1)는 이와 같은 분말식품이 수용되는 용기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는 분유용기를 위주로 설명하게 될 것이다.
본 구체예에 있어서, 스푼(30)은 캡(20)의 저면(21)에 탈착식으로 고정 및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조유자는 캔(10)으로부터 캡(20)을 개방한 다음에 캡(20)의 저면(21)에 고정되어 있는 스푼(30)을 분리시켜 사용하고, 사용한 스푼(30)은 다시 캡(20)의 저면(21)에 고정시켜 캔(10)에 덮음으로써 외기와 접촉되지 않는 상태로캔(10)의 내부에 보관하되 스푼(30)이 내용물(2: 분유)에 닿지 않은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캡(20)에 대한 스푼(30)의 탈착식 고정 및 분리를 위하여, 캡(20)의 저면(21)에는 스푼(30)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구(40)가 형성되어 있고, 스푼(30)에는 캡(20)의 고정구(40)에 대응하여 끼워맞춤할 수 있는 고정구(50)가 형성되어 있다. 캡(20)의 고정구(40)와 스푼(30)의 고정구(50)는, 스푼(30)을 캡(20)의 저면(21)에 탈착식으로 고정 및 분리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20)의 고정구(40)로 걸림돌기(41)와 고정돌기(42)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스푼(30)의 고정구(50)로 걸림턱(51)과 고정구멍(52)을 형성할 수 있다.
캡(20)의 걸림돌기(41)는, 대략적으로 캡(20) 저면(21)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가상중심선(X)의 일단(도면에서는 좌측단)에 인접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여기에는 후술하는 스푼(30)의 걸림턱(51)이 걸리게 된다. 걸림돌기(41)는 캡(20)의 저면(21)에 스푼(30)을 장착함에 있어서 스푼(30)의 전체 길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적인 여유를 가질 수 있도록 가능한 한 캡(20)의 외주연에 인접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돌기(41)는 스푼(30)의 걸림턱(51)을 걸어 스푼(30)을 고정시켰을 때 스푼(30)을 요동 없이 유지할 수 있는 형상과 개수로 형성하면 족하고, 예들 들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51)의 윤곽에 대응하여 3개로 분할 형성하거나 2개 또는 4개로 분할 형성할 수 있으며, 1개로 형성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걸림돌기(41)는 컵부(31)의 걸림턱(51)에 요지부동하게 면접촉 방식으로 걸려 고정되도록 그 단부가 내향측으로 돌출된 광폭협단의 호형상으로 한 개 이상이 구비된다.
캡(20)의 고정돌기(42)는, 걸림돌기(41)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 즉 걸림돌기(41)와 협력하여 스푼(30)을 고정시켰을 때 스푼(30)을 균형 있게 유지할 수 있는 위치, 바람직하게 상기 가상중심선(X)에 인접한 위치의 걸림돌기(41)에 대항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후술하는 스푼(30)의 고정구멍(52)에 탄성적으로 끼워맞춤된다. 고정돌기(42)는 그 단부(42A)가 외향측으로 돌출되되 고정구멍(52)에 삽입되어 탄성적으로 삽입상태를 유지되도록 그 중심부가 외측으로 벌어지게 절개되어 있거나 중공형상으로 되어 있어, 중심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수축현상을 나타낸다.스푼(30)의 걸림턱(51)은, 내용물(2)이 담기는 스푼(30)의 컵부(31)의 외주연을 따라 립과 같은 형성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20)의 걸림돌기(41)에 걸쳐진다. 걸림턱(51)은 캡(20)의 걸림돌기(41)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컵부(31)의 뒤틀림에 의해 쉽게 자연 이탈되지 않도록 그 외주연의 외향측으로 두툼하게 립 마운트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스푼(30)의 고정구멍(52)은, 길게 신장된 스푼(30)의 손잡이(32)에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전술한 걸림돌기(41)에 걸림턱(51)을 걸은 상태에서 고정돌기(42)에 정확하게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고정구멍(52)은 그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상면에 소정 크기의 싱킹요홈(52A)이 형성되어 고정돌기(42)의 통과 두께가 얇아지도록 하여, 고정돌기(42)와의 탈착시 마찰저항이 최소화되도록 하거나, 부착시 삽입 안내요홈의 역할을 하도록 한다.
고정구멍(52)과 고정돌기(42)의 직경은 고정돌기(42)가 고정구멍(52)에 꼭 맞게 끼워져서 강제로 누르거나 당기지 아니하는 한 고정돌기(42)가 고정구멍(52)에 삽입된 상태 또는 빠져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상호 대응하는 직경을 가진다.
캡(20)과 그 고정구(40) 및 스푼(30)과 그 고정구(50)는, 모두 자체적으로 탄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고정구들(40, 50)의 고정상태는 플라스틱 재질 특성에 의해 탄성적으로 유지할 수 있지만, 도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돌기(42)의 중앙에 슬릿을 형성하여 고정구멍(52)에 탄성적으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의도하지 않게 스푼(30)이 캡(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도1의 고정구(40, 50) 구조에 따라, 캡(20)의 걸림돌기(41)에 스푼(30)의 걸림턱(51)을 걸어 맞춘 상태에서 캡(20)의 고정돌기(42)에 스푼(30)의 고정구멍(52)을 끼워맞춤하면 스푼(30)이 캡(20)의 저면에 안전하게 고정되고, 이로써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푼(30)을 내용물(2)에 접하지 않는 상태로 캡(20)의 저면(21)과 내용물(2) 상단 사이의 공간에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예시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캡(20)의 고정돌기(42)와 스푼(30)의 고정구멍(52)을 형성하지 않고, 상기 캡(20)의 걸림돌기(41)와 스푼(30)의 걸림턱(51)만의 단일 접점고정 방식으로, 스푼(30)을 탈착식으로 고정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물론 이때의 캡(20)의 걸림돌기(41)와 스푼(30)의 걸림턱(51)은 고정돌기(42)와 고정구멍(52) 없이 독립적으로 스푼(30)을 지지할 수 있는 보다 견고한 결합구조가 사용된다.
구정구들(40, 50)의 다른 예로서는,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20)의 고정구(40)로서 받침편(43)과 고정편(44)을 형성하고, 스푼(30)의 고정구(50)로서 제한턱(53)과 요부(54)를 형성할 수 있다.
캡(20)의 받침편(43)은 전술한 걸림돌기(41)와 같이 후술하는 스푼(30)의 제한턱(53)을 걸어서 고정시키는 것이 아니라 스푼(30)이 아래로 하강하는 경로를 막아서 그 하강을 제한한다는 것을 제외하고 걸림돌기(41)와 실질적으로 차이가 없으며,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편(43)은 걸림돌기(41)에 비하여 제한턱(53)과의 접면이 완만하게 형성되어 있다.
캡(20)의 고정편(44)도 고정돌기(4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다만 후술하는 스푼(30)의 요부(54)가 탄성적으로 강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2개의 편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스푼(30)의 제한턱(53)은 도1에 관련하여 설명한 구체예의 걸림턱(51)과 동일하게 컵부(31)의 외주연에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받침편(43) 위에 얹어짐으로써 컵부(31)가 하강하지 않게 한다. 스푼(30)의 요부(54)는, 스푼(30)의 손잡이(32)에 양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편(44)에 탄성적으로 끼워맞춤된다.
이와 같은 도4의 고정구(40, 50) 구조에 따라, 캡(20)의 받침편(43) 위에 스푼(30)의 제한턱(53)을 유지시킨 상태에서 캡(20)의 고정편(44)에 스푼(30)의 요부(54)를 끼워맞춤하면 스푼(30)이 캡(20)의 저면(21)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이로써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푼(30)을 내용물(2)에 접하지 않는 상태로 캡(20)의 저면(21)과 내용물(2) 상단 사이의 공간에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스푼(30) 손잡이(32)에는 파지부(33)를 형성하여 스푼(30)을 캡(20)에 고정시키고 분리할 때 손으로 잡기 편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파지부(33)는 손잡이(32)의 단부를 아래쪽으로 약간 하향 굴곡시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써 사용자는 캡(20)의 저면(21)과의 사이에 공간을 이용해 스푼(30)을 파지할 수 있다.
캡(20)의 저면(21)의 내주연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10)의 상단과 접함으로써 캡(20)이 더 이상 하강하지 않도록 하는 간격보상돌기(60)를 형성할 수 있다. 본 간격보상돌기(60)에 따라, 캡(20)의 저면(21)과 내용물(2) 사이에 공간을확보하기 어려운 캔(10)의 경우에도 스푼(30)이 수용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따라서 스푼(30)이 내용물(2)에 접하지 않는 상태로 용기(1A) 내에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캡(20)의 둘레 높이와 간격보상돌기(60)의 높이는 장착할 스푼(30)의 컵부(31) 높이에 맞게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11은 스푼(30)으로 내용물(2)을 계량할 때 계량의 정확을 위해 내용물을 평평하게 골라주는 계량조절편이고, 도면부호 34는 스푼(30)의 손잡이(32)에 형성된 논슬립을 나타낸다.
(제2 구체예)
이하, 도6 내지 도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용기를 설명하며, 상기 제1 구체예와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도6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구체예의 용기(1B)는, 내용물(2)이 수용되는 캔(10), 캔(10)의 입구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캡(20), 내용물(2)을 덜어내기 위한 스푼(30), 및 캔(10)의 상단에 장착되는 링프레임(70)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본 구체예의 특징에 따라, 링프레임(70)에는 스푼(30)이 탈착식으로 장착되는 스푼탈착구(80)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링프레임(70)은, 캔(10)의 상단 입구에 삽입 장착되는 도6과 같은 형상의 링 형상의 프레임으로서, 상기 스푼탈착구(80)를 구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부재이다.
도1에 있어서 계량조절편(11)은 캔(10)에 고정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시판되는 일부 분유용기에는 본 구체예와 유사한 별도로 형성된 링프레임을 캔(10)의 상단에 삽입하여 계량조절편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링프레임(70)은, 이와 같은 종래의 계량조절편을 형성하기 위한 링프레임을 본 발명에 맞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6에서 도면부호 12는 링프레임(70)을 고정시키기 위한 턱이다.
링프레임(70)에 형성되는 스푼탈착구(80)는, 서스펜션현(81), 선단탄성편(82) 및 후단탄성홀더(84)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서스펜션현(81)은 링프레임(70)의 링(71)에 대해 현을 이루도록 링(71)을 가로질러 소정의 폭으로 형성된다. 링(71) 내부의 공간을 2개로 분할하는 서스펜션현(81)은, 작은 공간 내에 컵부(31)가 수용될 수 있을 위치에 형성하면 족하다. 바람직하게 서스펜션현(81)에는 장착되는 스푼(30)의 위치에 대응하여(대략 중간정도의 위치) 오목한 요부(81a)를 형성함으로써 스푼(30)을 장착할 때 그 위치가 정확하게 정치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서스펜션현(81)은 전술한 계량조절편으로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선단탄성편(82)은 서스펜션현(81)을 중심으로 링(71)의 일측에 형성되며, 여기에는 스푼(30)의 컵부(31)가 장착된다. 선단탄성편(82)은 서스펜션현(81) 및 후단탄성홀더(84)와 협력하여 스푼(30)을 탈착식으로 장착할 수 있는 구조라면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71)의 내측 아래로 굴곡 형성하여 링(71)쪽으로 탄성적으로 변위될 수 있는 탄성판(82a)과 탄성판(82a)의 내측에 수평으로 형성된 걸림단(83)을 구비하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후단탄성홀더(84)는 링(71)에 형성되되, 선단탄성편(82)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여기에는 손잡이단부(35)가 탈착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유지되어 서스펜션현(81) 및 선단탄성편(82)과 협력하여 스푼(30)을 고정시킨다. 후단탄성홀더(84)는 손잡이단부(35)를 탈착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예들 들어 도9와 도10에 도시된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도9를 참조하면, 후단탄성홀더(84A)는, 후방탄성편(85)과 스토퍼(87)로 구성되어 있다. 후방탄성편(85)은 링(71)의 내측 아래로 굴곡되어 링(71)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링(71)쪽으로 탄성적으로 변위될 수 있는 탄성판(85a)과 탄성판(85a)에 횡으로 형성된 걸림단(86)을 구비한다. 걸림단(86)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손잡이단부(35)가 걸려 그 상측이동이 제한되고, 스토퍼(87)는 걸림단(86)에서 일정한 거리(손잡이단부의 두께에 대응하는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측에서 걸림단(86)에 걸려 있는 손잡이단부(35)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기능을 가진다.
도9와 같은 후단탄성홀더(84A)의 구성에 따라, 스푼(30)의 손잡이단부(35)를 아래로 누르면, 탄성판(85a)이 탄성적으로 뒤로 후퇴한 후에 다시 탄성적으로 앞으로 전진하면서 걸림단(86)과 스토퍼(87) 사이에 손잡이단부(35)가 구속되고, 이런 상태에서 손잡이단부(35)를 강제로 당겨 올리면 탄성판(85a)이 탄성적으로 뒤로 후퇴하면서 손잡이단부(35)가 구속으로부터 풀리게 된다.
도10에 도시된 예를 참조하면, 후단탄성홀더(84B)는 상측은 넓고 하측은 좁게 2개의 측방탄성편(88)이 서로 마주보고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각 측방탄성편(88)은 링(71)의 원주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위될 수 있으며, 상부에는손잡이(32)의 상측이동을 제한하는 걸림단(89)이 형성되어 있고, 걸림단(89)으로부터 일정거리(손잡이단부의 두께에 대응하는 거리) 이격되어서는 손잡이(32)의 하측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90)가 형성되어 있다.
후단탄성홀더(84B)의 구성에 따라, 스푼(30)의 손잡이단부(35)를 아래로 누르면, 측방탄성편(88)이 좌우로 벌어진 후에 다시 좁아지면서 걸림단(89)과 스토퍼(90) 사이에 손잡이단부(35)가 구속되고, 이 상태에서 손잡이단부(35)를 강제로 당겨 올리면 측방탄성편(88)이 탄성적으로 벌어지면서 손잡이단부(35)가 구속으로부터 풀리게 된다.
선단탄성편(82)과 후단탄성홀더(84)의 걸림단들(83, 86, 89)은 서스펜션현(81)의 높이보다 약간 아래에 위치되며, 이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푼(30)은 탄성적으로 고정되어서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지 않고 안전하게 장착된다.
이하, 도6 내지 도10을 참조하여, 본 구체예에 따른 용기(1B)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스푼(30)의 컵부(31)의 선단을 선단탄성편(82)의 걸림단(83)에 걸고 서스펜션현(81)의 요부(81a)에 손잡이(32)의 목부를 걸치고, 손잡이단부(35)를 아래로 가압하여 후단탄성홀더(84)에 유지시키면 된다. 통상적으로 플라스틱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되는 스푼(30)은 자체적으로 탄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위와 같은 방식으로 스푼(30)을 장착하면, 서스펜션현(81)을 받침대로 하여 컵부(31)와 손잡이단부(35)가 탄력을 가지고 아래쪽에서 걸려 있는 상태가 됨으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스푼(30)이 링프레임(7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이런 상태에서 캡(20)을 덮으면, 스푼(30)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용기 속에 안전하게 보관된다.
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현(81)의 협력 없이, 선단탄성편(82)과 후단탄성홀더(84)만으로 스푼(30)을 탈착식으로 고정시킬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이 경우 스푼의 컵부(31)에는 도2의 걸림턱(51)과 같은 턱(도시생략)을 형성하고 상기 선단탄성편(82)의 걸림단(83)의 아래에는 스푼(30)의 하향이동을 제한하는 추가의 걸림단(도시생략)을 형성하는 것과 같은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스푼을 구비한 용기(1)에 의하면, 사용한 스푼을 용기 내의 내용물(2) 위에 그대로 방치하지 않고도 용기(1) 속에 청결하게 보관할 수 있으므로, 분유나 이유식과 같이 위생을 중요시해야 하는 분말식품을 취급하는 용기에 있어서 스푼 보관에 관련된 위생문제와 사용상의 불편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캔, 저면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고정돌기를 구비한 고정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캔의 입구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캡, 및 상기 캡의 고정구에 대하여 고정 및 분리되며 컵부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에 걸리는 걸림턱과 손잡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에 삽입되는 고정구멍으로 구성된 고정구가 형성되어서 상기 캡의 저면에 탈착식으로 장착되는 스푼을 포함하는 탈착식 스푼을 구비한 용기에 있어서,
    상기 캡의 걸림돌기는 상기 컵부의 걸림턱에 요지부동하게 면접촉 방식으로걸려 고정되도록, 그 단부가 내향측으로 돌출된 광폭협단의 호형상의 한 개 이상의 돌기이고;
    상기 캡의 고정돌기는 그 단부가 외향측으로 돌출되게 하되, 상기 손잡이의 고정구멍에 삽입되어 탄성적으로 삽입되게 하거나, 성형 가공시 강제빼기 사출이 가능하도록, 중심부가 절개되거나 중공형상이 되게 하여, 중심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수축현상을 나타내는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스푼을 구비한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푼의 걸림턱은 상기 캡의 걸림돌기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컵부의 뒤틀림에 의해 쉽게 자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외주연의 외향측으로 두툼하게 돌출시킨 턱이고; 상기 스푼의 고정구멍은 그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상면에 소정 크기의 싱킹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의 통과 두께가 얇아지도록 하여, 상기 고정돌기와의 탈착시 마찰저항이 최소화되도록 하거나, 부착시 삽입안내요홈의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스푼을 구비한 용기.
  3. 캔, 저면에 고정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캔의 입구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캡, 및 상기 캡의 고정구에 대하여 고정 및 분리되는 고정구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캡의 저면에 탈착식으로 장착되는 스푼을 포함하는 탈착식 스푼을 구비한 용기에 있어서,
    상기 캡의 고정구는, 상기 저면에 형성된 받침편과 상기 받침편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고정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푼의 고정구는, 상기 스푼의 컵부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상기 받침편에 의해 그 하강 이동이 제한되는 제한턱과 상기 스푼의 손잡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편에 탄성적으로 끼워맞춤되는 요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스푼을 구비한 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저면의 내주연에는 상기 스푼이 수용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캔에 덮었을 때 상기 캔의 상단과 접하는 간격보상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스푼을 구비한 용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푼의 손잡이에는 파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스푼을 구비한 용기.
  6. 캔, 상기 캔의 입구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캡, 스푼, 및 상기 스푼이 탈착식으로 장착되는 스푼탈착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캔의 상단에 장착되는 링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스푼을 구비한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푼탈착구는, 상기 링프레임의 링을 가로지르는 서스펜션현; 상기 서스펜션현을 중심으로 상기 링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푼의 컵부가 탄성적으로 걸리는 걸림단이 구비되어 있는, 선단탄성편; 및 상기 선단탄성편에 대향하여 상기 링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스푼의 손잡이단부를 탈착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유지하는 후단탄성홀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스푼을 구비한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현에는 상기 스푼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스푼의 위치를 정치시켜주는 요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스푼을 구비한 용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탄성홀더는, 상기 링 쪽으로 탄성적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의 상측이동을 제한하는 걸림단이 형성된 후방탄성편; 및 상기 손잡이의 하측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스푼을 구비한 용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탄성홀더는, 상기 링의 원주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의 상측이동을 제한하는 걸림단과 상기 손잡이의 하측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상하로 형성되어 있는, 마주보는 한쌍의 측방탄성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스푼을 구비한 용기.
KR10-2002-0011284A 2002-03-04 2002-03-04 탈착식 스푼을 구비한 용기 KR100455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284A KR100455966B1 (ko) 2002-03-04 2002-03-04 탈착식 스푼을 구비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284A KR100455966B1 (ko) 2002-03-04 2002-03-04 탈착식 스푼을 구비한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440A KR20030072440A (ko) 2003-09-15
KR100455966B1 true KR100455966B1 (ko) 2004-11-06

Family

ID=32223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1284A KR100455966B1 (ko) 2002-03-04 2002-03-04 탈착식 스푼을 구비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59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19451B1 (en) 2009-12-29 2016-08-24 Nestec S.A. Dispensing apparatus having an overcap and scoop and method of dispensing
KR200483378Y1 (ko) * 2016-01-13 2017-05-08 한화제약주식회사 분말, 곡물과 같은 식품류 사용 편의성을 갖춘 듀얼캡 보관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08008B2 (en) 2006-12-27 2012-11-13 Abbott Laboratories Container
US8511499B2 (en) 2007-12-18 2013-08-20 Abbott Laboratories Container
US8469223B2 (en) 2009-06-05 2013-06-25 Abbott Laboratories Strength container
US8627981B2 (en) 2009-06-05 2014-01-14 Abbott Laboratories Container
CN106275807B (zh) 2012-04-27 2019-02-22 雅培制药有限公司 通过套环附接到容器上的盖
USD733320S1 (en) 2013-04-26 2015-06-30 Abbott Laboratories Container
CN105151477A (zh) * 2013-06-24 2015-12-16 胡小青 对取物勺进行限位的包装罐底罐组件
CN103287729B (zh) * 2013-06-24 2015-11-25 虞海妹 一种改进型奶粉罐
FR3008395B1 (fr) * 2013-07-09 2016-04-15 Ardagh Mp Group Netherlands Bv Structure de conditionnement pour le stockage et la distribution d'un produit en vrac
CN104986428A (zh) * 2015-08-06 2015-10-21 广州番禺美特包装有限公司 一种可便于放置勺子的包装罐
JP7027815B2 (ja) * 2017-11-02 2022-03-02 東洋製罐株式会社 オーバーキャップ
USD849537S1 (en) 2018-02-26 2019-05-28 Dean W. Wallwey Scoop holder
WO2020176925A1 (en) * 2019-03-01 2020-09-10 Sinn John Container with measuring scoop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2455U (ko) * 1988-02-08 1989-08-21
JPH06255665A (ja) * 1993-02-26 1994-09-13 Nitsupura Kk 容器蓋
KR950022688U (ko) * 1994-01-04 1995-08-18 강종구 분유 계량 숟가락과 분유통의 뚜껑
JPH1149172A (ja) * 1997-08-04 1999-02-23 Toppan Printing Co Ltd 取り出し具付き容器
KR200223804Y1 (ko) * 2000-12-29 2001-05-15 롯데제과주식회사 스푼 부착형 아이스크림 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2455U (ko) * 1988-02-08 1989-08-21
JPH06255665A (ja) * 1993-02-26 1994-09-13 Nitsupura Kk 容器蓋
KR950022688U (ko) * 1994-01-04 1995-08-18 강종구 분유 계량 숟가락과 분유통의 뚜껑
JPH1149172A (ja) * 1997-08-04 1999-02-23 Toppan Printing Co Ltd 取り出し具付き容器
KR200223804Y1 (ko) * 2000-12-29 2001-05-15 롯데제과주식회사 스푼 부착형 아이스크림 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19451B1 (en) 2009-12-29 2016-08-24 Nestec S.A. Dispensing apparatus having an overcap and scoop and method of dispensing
KR200483378Y1 (ko) * 2016-01-13 2017-05-08 한화제약주식회사 분말, 곡물과 같은 식품류 사용 편의성을 갖춘 듀얼캡 보관용기
WO2017122939A1 (ko) * 2016-01-13 2017-07-20 한화제약주식회사 분말, 곡물과 같은 식품류 사용 편의성을 갖춘 듀얼캡 보관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440A (ko) 2003-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5966B1 (ko) 탈착식 스푼을 구비한 용기
US11937714B2 (en) Training cup
US8042704B2 (en) Container with measuring device holding means
US6641094B2 (en) Plush bottle holder
US8579145B2 (en) Infant feeding bowl
WO2003086059A1 (en) Feeding stand for pet food package
KR200474817Y1 (ko) 테이크아웃 컵
US5597190A (en) Can holder
KR20120002910U (ko) 분유용 용기
GB2452940A (en) Infant feeding bowl with handle
GB2546848B (en) A Utensil for Attaching a Lid to a Container
KR200342168Y1 (ko) 계량스푼의 보관 및 거취 사용이 용이한 분유통
JP3035008U (ja) 飲料収容容器
WO1999065782A1 (fr) Porte-paille, couvercle, et couvercle avec porte-paille pour contenant a boisson
JP4475626B2 (ja) 食器
KR200223804Y1 (ko) 스푼 부착형 아이스크림 용기
EP3059180A1 (en) Weaning clip
KR200311207Y1 (ko) 분말통의 계량스푼의 걸이구조
KR101930833B1 (ko) 도구 고정구조를 갖는 용기마개
KR200486146Y1 (ko) 이중용기
KR100589330B1 (ko) 컵 홀더
JP3201491U (ja) ストロー付きカップ
KR20150044658A (ko) 빨대와 물품을 보관하는 덮개가 구비된 젤리용기
KR20170053602A (ko) 음식물 용기
KR101802072B1 (ko) 오프너 기능이 구비된 물병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