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8442A - 커넥터 위치 보증(cpa) 부재 및 cpa 부재를 포함한 플러그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위치 보증(cpa) 부재 및 cpa 부재를 포함한 플러그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8442A
KR20160138442A KR1020167027169A KR20167027169A KR20160138442A KR 20160138442 A KR20160138442 A KR 20160138442A KR 1020167027169 A KR1020167027169 A KR 1020167027169A KR 20167027169 A KR20167027169 A KR 20167027169A KR 20160138442 A KR20160138442 A KR 20160138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pa
latching
plug housing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7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8771B1 (ko
Inventor
마르틴 자우어
옌스 오베렌더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60138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8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1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대 플러그 하우징(510) 상에서 플러그 하우징(300)의 접점 위치를 보증하기 위한 CPA 부재(200)에 관한 것이며, 상기 CPA 부재(200)는, 장착 방향(280)으로 플러그 하우징(300) 상으로 끼워질 수 있는 하우징(210)과, 플러그 하우징(300)의 래칭 부재(360)의 차단을 위한 록킹 부재(250)를 포함한다. CPA 부재(200)의 하우징(210)은 장착 과정 동안 플러그 하우징(300)의 수용을 위한 관통 개구부(230)를 포함한다. 록킹 부재(250)는 CPA 부재(200)의 하우징(210) 상에 배치되고 장착 방향(280)을 따라서 연장되는 자유 단부(25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CPA 부재(200)를 최대한 간단하면서도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리고 통상 벌크 재료로서 존재하는 CPA 부재(200)의 상호 간 맞물림의 위험을 최대한 적게 유지하기 위해, 록킹 부재(250)는 장착 방향(280)에 대해 횡방향으로 CPA 부재(200)의 하우징(210)에 대해 바깥쪽을 향해 오프셋 된다. 또한, 본 발명은 CPA 부재(200)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장치에도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커넥터 위치 보증(CPA) 부재 및 CPA 부재를 포함한 플러그 커넥터 장치{CONNECTOR POSITION ASSURANCE(CPA) AND PLUG CONNECTOR ARRANGEMENT HAVING A CPA}
본 발명은 독립 장치 청구항의 전제부에 따른 CPA 부재(영어: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독어: "Stecker-Positions-Kontrolle" 또는 "Stecker-Positions-Kontroll-Element" 또는 Kontaktlagensicherung"), 및 CPA 부재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는 상대 플러그 하우징 상에서 플러그 하우징의 접점 위치의 보증을 위한 CPA 부재들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유형의 CPA 부재들에 의해서는, 상대 플러그 하우징 상에 걸림 고정된 플러그 하우징이, 예컨대 진동, 온도로 인한 팽창 또는 수축, 플러그 하우징 내에 배치된 케이블에서의 끌어당김 또는 기타 기계적 작용들을 통해, 상대 플러그 하우징으로부터 의도치않게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어야 한다. 예컨대 자동차 분야에서, 특히 예컨대 에어백과 같은 안전 관련 컴포넌트들의 경우 플러그 커넥터 장치의 신뢰성에 대한 높은 요구가 주어진다.
CPA 부재는 특별한 구조적인 실시예에 의해, CPA 부재를 구비한 플러그 하우징이 대응하는 상대 플러그 하우징과 완전하게 걸림 고정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대해, 조립 기술자에게 또는 기계로 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대 플러그 하우징 상에 플러그 하우징의 완전한 걸림 고정 후에만, CPA 부재는 플러그 하우징 상에 그 최종 위치로 장착된다.
DE 60 2005 000 248 T2에는, CPA 부재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대 플러그 하우징으로부터 플러그 하우징의 탈거를 어렵게 하는 CPA 부재가 공지되어 있다. CPA 부재는 길쭉한 크로스멤버로서 형성되고, 이 크로스멤버로부터 중앙 섹션이 장착 방향으로 연장되며, 2개의 길쭉한 작동 스프링 섹션이 중앙 섹션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어 가이드 부재들로서 사용된다. 그에 따라, CPA 부재는 세 갈래의 포크와 유사하고 실질적으로 2차원 평면에서 연장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앞에서 설명한 단점들이 방지되는 CPA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 1 항에 따른 CPA 부재 및 청구항 제 12 항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아암(arm)을 포함한 종래의 CPA 부재들이 플러그 커넥터 장치의 소형화에 대한 끊임없이 커지는 요구로 인해 예컨대 사출 성형 방법에 의해 신뢰성 있는 제조와 관련하여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는 사실에 기초한다. CPA 부재 아암들에서 작은 치수들 및 가느다란 래칭 기하구조들에 의해, CPA 부재들의 제조 공정 동안 높은 불량률이 발생할 수 있다. 그 밖에도, 다중 아암형이면서 실질적으로 2차원적인 CPA 부재들의 경우, 통상 벌크 재료로서 처리되는 CPA 부재들이 상호 간에 맞물리고 그에 따라 제조를 중단시키거나, 또는 개별 아암들의 손상이 발생함으로써 CPA 부재의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는 위험이 있다. 또한, 종래의 CPA 부재들의 경우 관련 록킹 개구부 내로 점점 더 소형화되는 CPA 부재의 삽입은 더욱 더 어려워지고 있으며, 그럼으로써 불량률 또는 재가공률은 증가하고 주기 시간도 커진다. 또한, 종래의 CPA 부재들의 경우 종종 플러그 하우징의 외면 상에 제공되는 록킹 개구부가 배치되고, 이 록킹 개구부 내에 CPA 부재가 잠금 고정된다. 상기 방식으로 플러그 하우징 또는 상대 플러그 하우징의 외면 상에서 개방되어 놓이는 록킹 개구부에 의해, 이 록킹 개구부에서 바람직하지 않게 케이블 또는 다른 대상들이 조립 동안 서로 맞물리면서 손상 또는 시간 손실이 생길 위험이 있다. 끝으로 CPA 부재의 포크형 실시예의 경우, CPA 부재의 모든 아암을 위한 가이드 구조를 위해 플러그 하우징 내에 장착 공간이 충분해야 하지만, 이는 플러그 하우징의 달성하고자 하는 소형화에 역행하는데, 그 이유는 아암들의 치수들이 결국 제조 방법, 다시 말해 통상적으로 사출 성형 방법에 의해 하향 제한되기 때문이다. 이는 소형화에 역행하는 플러그 하우징의 보급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측면에 배치된 가이드 부재들이 일종의 가이드 슬리브로서 형성되어 장착된 상태에서 플러그 커넥터 장치의 플러그 하우징의 넥 섹션 또는 슬라이딩 섹션을 완전하게 에워싸는 하우징으로 대체됨으로써 앞에서 설명한 단점들이 바람직하게 방지되는 CPA 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대 플러그 하우징 상에서 플러그 하우징의 접점 위치의 보증을 위한 CPA 또는 플러그 위치 제어 부재 또는 접점 위치 보증 부재가 제안된다. CPA 부재는, 장착 방향에서 플러그 하우징 상으로 끼워질 수 있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또한, CPA 부재는 플러그 하우징의 래칭 부재의 차단을 위한 록킹 부재도 포함하고, CPA 부재의 하우징은 장착 과정 동안 플러그 하우징의 수용을 위한 관통 개구부, 특히 정확히 하나의 관통 개구부를 포함하고, 록킹 부재는 CPA 부재의 하우징 상에 배치되며, 장착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자유 단부를 포함한다. 록킹 부재는 장착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CPA 부재의 하우징에 대해 바깥쪽을 향해 오프셋 된다. "CPA 부재", "플러그 위치 제어 부재" 및 "접점 위치 보증 부재" 라는 표현들은 본 출원서에서 동의어로 사용된다.
그 밖에, CPA 부재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장치도 제안된다. 플러그 커넥터 장치는 단일 부재인 플러그 하우징을 포함하며, 플러그 하우징은 장착 방향을 따라서 소켓 섹션과, CPA 부재를 끼우기 위해 소켓 섹션으로부터 장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슬라이딩 섹션 또는 넥 섹션을 포함한다.
보증이란 표현은, 본 출원서에서, 플러그와 상대 플러그 간의 기계적 또는 전기적 접점이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대응하는 상대 플러그 상에서 플러그의 걸림 고정이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증을 의미한다. 이런 보증은 예컨대 진동, 열 팽창, 노후화 효과 등과 같은 작동으로 인한 간섭 영향들뿐만 아니라, 예컨대 취급 시 또는 조립 시 기계적 작용들도 방지해야 한다. 보증에 의해, 접점의 위치 또는 접점 위치는 지속적으로 정확한 위치로 유지될 수 있다.
본 출원서에서, CPA 부재의 하우징의 공간적 한정을 위해, 비록 록킹 부재가 하우징 상에 배치되거나, 또는 심지어 하우징과 일체형으로 형성된다고 하더라도, 록킹 부재는 하우징에 부가되지 않으며, 특히 장착 방향으로 부가되지 않는다. 또한, 록킹 부재는 하우징의 벽부에 귀속되지도 않는다.
종래 기술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CPA 부재는, 이 CPA 부재가 소형화된 플러그 커넥터 장치에 대해 장착 공간을 결정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 이유는, 플러그 하우징의 수용을 위한 하우징의 관통 개구부가 가이드 슬리브의 방식으로 플러그 하우징 상에서 록킹 부재의 정확한 위치 결정을 위한 가이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측면으로 돌출되는 아암들은 생략되고, 가이드 기능은 록킹 부재와 관련하여 장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 개구부에의해, 특히 플러그 하우징의 수용을 위한 정확히 하나의 관통 개구부에 의해 달성된다. CPA 부재의 본 발명에 따른 구현예에 의해, CPA 부재의 기능 부재들은 종래의 CPA 부재들의 2차원 형상으로부터 3차원 형태로 바뀌며, 그럼으로써 개별 플러그 접점들 간에 종단면을 따라서 점점 작아지는 간격들은 계속해서 감소될 수 있으며, 예컨대 케이블 횡단면의 두께에 의해 결정되는 치수로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현예의 추가 장점들은 그 관통 개구부를 포함한 슬리브 유형의 하우징의 견고한 구성에 있는데, 그 이유는 측면에 배치되는 민감한 가이드 부재들이 생략될 수 있고, 이는 제조 신뢰성을 개선하기 때문이다. 이런 방식으로, 전체적으로 CPA 부재의 측면 치수는 종래 해결책들에 비해 20% 내지 40% 또는 그 이상 감소되며, 그럼으로써 바람직하게는, CPA 부재가 생략될 필요 없이, 케이블 횡단면에 이르기까지의 간격으로 접점 간격들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특히 케이블 횡단면이 작은 경우, 0.5㎜ 또는 그 미만, 예컨대 0.3㎜의 접점 간격까지로의 소형화 역시도 가능하다.
록킹 부재가 장착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하우징의 원주 벽부(circumferential wall)에 대해 바깥쪽을 향해 오프셋 되는 것을 통해, 록킹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소형화의 과정에서 치수가 작을 때에도 신뢰성 있게 제조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소형화된 플러그 커넥터들의 경우 최소 사출 성형 두께가 준수되어야 하고, 자유 단부를 구비하여 안쪽을 향해 돌출되는 줄 세공 구조들(filigree structure)은 소형화된 플러그 커넥터들의 경우 생산 능력의 한계를 초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밖에도 바람직하게는, 바깥쪽을 향해 돌출되는 록킹 부재에 의해, 록킹 부재는 장착 과정 동안 손상으로부터 더 양호하게 보호되는데, 그 이유는, 관통 개구부가 플러그 하우징의 슬라이딩 섹션 또는 넥 섹션을 에워싸면서 록킹 부재를 정확한 위치로 조종할 때까지, 록킹 부재가 플러그 하우징의 외벽부를 따라서 활주하기 때문이다. 이와 반대로, 슬리브 또는 관통 개구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장착 방향을 따라서 벽부를 지나 돌출되는 록킹 부재는, 포지셔닝이 정확하지 않고 대응하는 수용 개구부에 이르지 못하는 경우, 약간 플러그 하우징의 고정 부재들에 대해 가압될 수 있고 그 결과 장착 과정 동안 꺾이거나 손상될 수 있다. 결국, 바깥쪽을 향해 돌출되어 장착 방향으로 벽부를 지나 돌출되는 록킹 부재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CPA 부재가 상호 간 맞물림에 대한 작용점들을 적게 제공하는 것이 달성된다. 그 이유는, 슬리브 유형의 하우징의 관통 개구부가, 상기 방식으로, 예컨대 관통 개구부의 내부로부터 돌출된 록킹 부재와 달리, 상호 간 맞물림의 작용점들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이며, 이는 제조 중에 벌크 재료로서의 납품 시에도 특히 바람직하다.
종래 기술에 비해, CPA 부재를 포함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장치는, CPA 부재가 간단하면서도 신뢰성 있게 플러그 하우징 상으로 장착될 수 있거나 끼워질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데, 그 이유는 CPA 부재의 하우징의 관통 개구부가 일종의 가이드 슬리브로서 플러그 하우징의 슬라이딩 섹션 또는 넥 섹션에 걸쳐서 활주할 수 있고, 이 경우 상호 간에 맞물리지 않거나 또는 줄 세공의 가이드 구조들이 꺾이거나 손상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들 및 개선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제시된 특징들 및 조치들에 의해 실현된다.
본 발명의 한 개선예에 따라서, 관통 개구부는 하우징의 원주 벽부에 의해 한정된다. 달리 말하면, 이 개선예의 경우, 관통 개구부는 환형으로 폐쇄된 벽부에 의해 한정된다. 가이드 슬리브의 방식으로 플러그 하우징의 수용을 위해 하우징의 관통 개구부의 원주를 따라 연장되는 원주 벽부는 플러그 하우징 상에서 록킹 부재의 정확한 위치 결정을 위한 가이드 기능을 수행한다.
원주 벽부에 의해 한정되면서 하우징에 슬리브의 형태를 제공하는 관통 개구부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하우징 상으로 CPA 부재를 폐쇄하거나 장착할 때 그리고 플러그 하우징으로부터 CPA 부재를 개방하거나 탈거할 때 원주 조작 가능성이 제공되는데, 그 이유는 하우징이 모든 측면에서 적합하게 파지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조작 시 스냅 방식 회전의 위험은, 오직 2차원인 그 형상을 고려할 때 종횡비가 큰 종래의 CPA 부재들에 비해, 바람직하게 감소된다. 바람직하게는 원주 벽부가 비교적 크고 균일한 조작 표면을 달성하며, 그럼으로써 조작 동안 벽부 상에 작용하는 힘 작용은 감소된다.
예컨대 리테이닝 링의 유형으로 간극을 구비하여 형성되어 관통 개구부를 한정하면서, 제공된 케이블을 통해 장착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더 수월하게 끼워지는 벽부에 비해, 원주 벽부는 다른 부재들과의 상호 간 맞물림을 특히 양호하게 방지한다. 원주 벽부라는 표현은 본 출원서에서, 종축의 둘레를 따라서 연장되는 원주선에 따라서 관찰되면서 배치되는 서로 반대되는 2개의 단부를 포함하는 슬리브형 벽부도 포함될 수 있으며, 두 단부는 예컨대 키 링(key ring)의 경우처럼 서로 겹쳐진다.
또한, 원주 벽부 및 슬리브의 형태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하우징 상에 CPA 부재가 장착된 상태에서, 필시 플러그 하우징 상에 제공되어 있는 플러그 개구부들, 또는 사출 성형 외피들, 또는 분할된 표면들(cleaved surface)이 바람직하게 커버되며, 그럼으로써 플러그 하우징 상에는 다른 대상들과의 상호 간 맞물림을 위한 작용점들 및 그로 인해 야기되는 손상은 제공되지 않게 된다.
추가 실시예에서, CPA 부재는, 록킹 부재가 장착 방향을 따라서 하우징의 원주 벽부를 지나 돌출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그 결과, 록킹 부재는 키(key)의 방식으로 장착 동안 CPA 부재의 회전 방지형 배치를 실현할 수 있다. 즉, CPA 부재가 회전되는 방식으로 플러그 하우징 상에 장착된다면, CPA 부재는 플러그 하우징 상으로 끼워지지 않는데, 그 이유는 벽부를 지나 돌출된 록킹 부재가 플러그 하우징 상에서 차단될 수 있고 그 결과 추가 끼워짐은 방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간단하면서도 경제적인 포카-요크(Poka-Yoke) 해결책이다.
본 발명에 따른 CPA 부재의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라서, 하우징의 벽부의 내벽부는 관통 개구부로 향해 있거나 또는 향하며, 장착 과정 동안 플러그 하우징에 대한 하우징의 축 방향 가이드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는 하우징의 내벽부 상에 배치된다. 이 개선예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CPA 부재가 장착 과정 동안 플러그 하우징의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없으며, 그 결과 록킹 부재는 신뢰성 있게, 손상 없이, 그리고 확실하게 정확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런 방식으로, 장착 과정을 시작할 때 이미, 비록 관통 개구부가 여타의 경우 예컨대 원형으로 형성될지라도, 확실한 축 방향 가이드가 달성된다. 또한, 슬리브형 하우징의 내벽부 상에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의 배치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어떠한 추가 부재들도 하우징의 외벽부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예컨대 장착된 상태에서 CPA 부재의 외면 상에서 대상들의 상호 간 맞물림의 위험은 최소화된다.
CPA 부재의 한 개선예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는 하우징의 장착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내벽부로부터 멀리 하우징의 내부 안쪽으로 돌출된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CPA 부재의 하우징의 종축을 따라서 연장되는 리브(rib) 유형의 돌출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 개선예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는 간단한 방식으로 예컨대 플러그 하우징의 슬라이딩 섹션 또는 넥 섹션의 외면 상의 그루브의 형태인 대응하는 공동부 내로 삽입될 수 있고, 따라서 간단하게 제조 가능한 축 방향 가이드가 실현될 수 있게 된다.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가, 완전하게, 하우징의 내벽부에 의해 에워싸이는 영역 내에 위치하고 특히 장착 방향으로 하우징의 벽부를 지나 돌출되지 않는 것을 통해, 바람직하게는 특히 상호 간 맞물림으로부터 보호되고 이와 동시에 신뢰성 있게 장착 가능한 CPA 부재가 제공된다.
본원의 CPA의 한 개선예에 따라서, 하우징의 원주 벽부는 장착 방향과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그 단부 상에 단부면을 포함하며, 이 단부면은, 완전하게, 장착 방향에 대해 수직인 평면 내에 배치된다. 그 결과, 바람직하게 CPA 부재는 플러그 하우징 상에 장착된 상태에서 플러그 하우징의 단부면과 동일 평면으로 끝나게 되고, 그럼으로써 바람직하게는 거의 평면의 표면이 달성된다. 그 결과, 상호 간 맞물림이 특히 양호하게 방지되는 것이 달성되고, 먼지, 오물 또는 습기의 유입 가능성은 바람직하게 감소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방식으로 평면 내에 위치하는 단부면은 예컨대 벌크 재료로서 CPA 부재의 납품 시 상호 간 맞물림에 대해 특히 적은 작용면을 달성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식으로, 예컨대 사출 성형 방법에서 CPA 부재의 제조는 특히 간단하고 특히 신뢰성이 있는데, 그 이유는 하우징의 상기 단부 상에서 작은 섹션으로 분리되는 줄 세공의 기하학적 형태들이 제조 공정에 의해 형성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CPA 부재의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라서, 록킹 부재는 하우징과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그 결과, CPA 부재는 특히 경제적이면서도 간단하게 단일의 제조 단계에서, 예컨대 플라스틱 사출 성형 공정 또는 밀링 공정에서 제조된다.
하우징 상에 정확히 하나의 록킹 부재가 제공되는 것을 통해, CPA 부재는 특히 간단하고 경제적으로 제조되고 벌크 재료로서 납품 시 개별 CPA 부재들 상호 간의 맞물림의 위험은 특히 낮다. 이와 동시에, 그 결과로 바람직하게는 CPA 부재가 열쇠-자물쇠 원리의 방식으로, 또는 포카-요크 해결책으로서 단지 단일의 위치에서만 정확하게 플러그 하우징 상으로 끼워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조립 동안, CPA 부재가 양호품인지, 또는 불량품인지의 여부를 곧바로 식별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단일의 록킹 부재만이 그 완벽성 또는 그 기능성에 대해 검사되면 되기 때문이다. 그 결과,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형의 CPA 부재를 구비한 플러그 커넥터의 신뢰성은 커진다.
CPA 부재의 한 개선예에 따라서, 록킹 부재의 자유 단부는 장착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안쪽으로 향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이 돌출부의 외부 표면은, 자유 단부의 단부면에 대해 장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뒤로 물러나면서 장착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방향 섹션과, 이 횡방향 섹션에 이어지면서 장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안쪽을 향해 연장되는 인입 섹션과, 비스듬하게 바깥쪽을 향해 연장되는 인출 섹션을 포함한다. 달리 말하면, 록킹 부재의 자유 단부는 장착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관통 개구부의 축 방향 연장부에까지 안쪽으로 향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개선예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록킹 부재가 상대 플러그 상으로 플러그 하우징의 장착 과정 동안 횡방향 섹션으로 맨 먼저 사전 잠금 고정 위치에서 플러그 하우징의 래칭 부재의 상보적인 횡방향 섹션 또는 래칭 돌출부 상에 지지될 수 있으며, 상대 플러그 하우징과 플러그 하우징의 완전히 걸림 고정된 상태에서야 비로소 인입 섹션에 의해 래칭 부재를 넘어서 그 최종 잠금 고정 위치로 변위될 수 있다. 비스듬하게 안쪽을 향해 연장되는 인출 섹션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하우징으로부터 CPA 부재가 손상 없이 탈거될 수 있고 그에 따라 CPA 부재의 재사용이 가능해진다.
플러그 커넥터 장치의 한 개선예에 따라서, CPA 부재의 하우징의 벽부는 플러그 하우징 상에 완전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플러그 하우징의 슬라이딩 섹션을 에워싸며, 벽부의 외부 표면 또는 하우징의 외벽부는 장착 방향을 따라서 플러그 하우징의 소켓 섹션의 외부 표면 또는 외벽부에 동일 평면으로, 특히 원주를 따라서 동일 평면으로 이어진다.
그 결과,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매끄러운 외부 표면이 제공되며, 이 외부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커넥터 장치 내로 오물 또는 수분 또는 유체의 침투를 감소시키는데, 그 이유는 이를 위해 필요한 작용면들, 예컨대 간극들이 최소한 필요한 정도로 감소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예컨대 가능한 개구부들 또는 분할부들은 플러그 하우징 내에서 예컨대 사출 성형 외피부들 등에 의해 커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원주를 따라서 커버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플러그 커넥터 장치 상에서 예컨대 케이블들 또는 와이어들과 같은 대상들이 상호 간에 맞물리는 위험은 감소된다.
CPA 부재를 포함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장치의 한 개선예에 따라서, 록킹 부재로부터 떨어져 있는 벽부의 단부면은 소켓 섹션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플러그 하우징의 단부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서 끝난다. 그 결과, 바람직하게는 특히 상호 간 맞물림이 적은, 플러그 커넥터 장치의 외부 형태가 달성된다. 또한, 그 결과로, 먼지, 오물 및 습기의 침투는 특히 강하게 억제되며, 그럼으로써 상기 방식으로 상기 유형의 간섭 영향들에 대한 특히 적은 작용면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장치의 한 개선예에 따라서, 플러그 하우징 상에서 외면 상에 래칭 장치가 배치되고, 이 래칭 장치는 장착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경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시소(seesaw) 유형의 래칭 부재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래칭 부재는 삽입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대 플러그 하우징의 래칭 개구부와 맞물리는 위한 래칭 돌출부를 포함하며, 래칭 장치와 플러그 하우징 사이에는 CPA 부재를 인입하기 위해 CPA 부재의 록킹 부재에 상보적인 공동부가 제공된다. 이 개선예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래칭 부재는 시소 유형의 링키지의 작동에 의해 그 걸림 고정된 위치로부터 분리되며, 플러그 하우징은 상대 플러그 하우징으로부터 손상 없이 탈거될 수 있게 된다. CPA 부재를 인입하기 위한 상보적인 공동부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SPA 부재는 유격 없이 그 잠금 고정 위치 내로 인입될 수 있으며, SPA 부재의 장착 상태에서 오물 또는 습기의 침투에 대해 특히 적은 작용점들이 존재하게 된다.
플러그 커넥터 장치의 한 개선예에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 장치는, 래칭 개구부를 포함한 상대 플러그 하우징과, 장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래칭 개구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바깥쪽을 향해 돌출되는 램프(ramp)를 포함하고, 록킹 부재의 자유 단부의 돌출부의 횡방향 섹션은, 플러그 커넥터 장치를 조립할 때, 적어도 하나의 래칭 부재의 래칭 돌출부 상에 맨 먼저 지지되며, 래칭 개구부 내에 적어도 하나의 래칭 부재의 래칭 돌출부를 걸림 고정한 후에 CPA 부재의 록킹 부재는 인입 섹션에 의해 추가로 장착될 때 상대 플러그 하우징의 램프에 의해 바깥쪽을 향해 편향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CPA 부재는 장착 방향을 따라서 그 최종 위치로 변위될 수 있다. 이 개선예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CPA 부재는, 최초로, 상대 플러그 하우징 내에 또는 상에 플러그 하우징이 정확하게 걸림 고정되고 조립된 상태에서, 증가된 힘 소비 없이 그 최종 잠금 고정 위치로 끼워질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조립 기술자에게,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하우징이 상대 플러그 하우징과 기계적으로 정확하게 걸림 고정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대한 촉각적인 피드백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조적인 설계에 의해 CPA 부재는 사전 조립되어 플러그 하우징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상대 플러그 하우징 상에 플러그 하우징을 장착하는 조립 과정은 신속하면서도 신뢰성 있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고 하기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장치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2a는 종래 기술에 따르는 CPA 부재를 포함한 플러그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b는 종래 기술에 따르는 CPA 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CPA 부재를 각각 도시한 다양한 도면들이다.
도 4a는 플러그 하우징 상에 장착하기 전에 본 발명에 따른 CPA 부재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4b는 사전 잠금 고정 위치에서 플러그 하우징 상에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CPA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c는 최종 잠금 고정 위치에서 플러그 하우징 상에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CPA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다양한 장착 상태들에서 플러그 하우징 상에 장착된 CPA 부재를 각각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들이다.
도면들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들로 표시된 요소들은 동일한 기능들을 갖는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장치(100)가 분해도로 도시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 장치(100)는 플러그 하우징(300)과, CPA 부재(200)와, 접점 캐리어(400)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점의 수용을 위한 접점 캐리어(400)를 포함한다. 접점 캐리어(400)는 플러그 하우징(3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면서 예컨대 플러그 하우징(300)과 별도로 제조된다. 접점 캐리어(400)는 차후에야 비로소 플러그 하우징(300)의 내부 안쪽으로 삽입된다. CPA 부재(200)는 장착 방향(280)에서 플러그 하우징(300)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내부에 배치되는 접점 캐리어(400) 및 장착되는 CPA 부재(200)를 포함하는 플러그 하우징(300)은, 장착 방향(280)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공통 종축(202)을 갖는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 장치(100)는, 상대 플러그 하우징(510) 또는 인터페이스 하우징(510)을 구비한 상대 플러그(500) 또는 인터페이스(500)를 포함하며, 상대 플러그 하우징(510)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래칭 개구부(520)가 배치된다. 또한, 상대 플러그 하우징(510) 상에는 노즈(nose)형 램프(530)가 배치되며, 이 램프는 삽입 방향(280)으로 관찰할 때 래칭 개구부(520)의 전방에서 상대 플러그 하우징(510)의 상부 테두리 상에 형성되어 삽입 방향(280)으로 연장된다. 상대 플러그(500)는, 예컨대 제어 유닛, 에어백 또는 유사한 장치와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센서 또는 센서 부재와 연결될 수 있는 케이블의 단부 상에 배치된다.
접점 캐리어(400)는 종축(202)을 따라서 길쭉한 형태를 갖는다. 접점 캐리어(400)는 대략 중앙에서 접점 캐리어(400)를 원주를 따라서 둘러싸는 반경 방향 시일(420)에 의해 에워싸이며, 이 반경 방향 시일은 플러그 커넥터 장치(100)의 조립된 상태에서 상대 플러그(500)의 내부로 예컨대 오물 및 습기의 침투를 방지한다. 이 경우, 반경 방향 시일(420)은 플러그 하우징(300)의 내부에 대해 접점 캐리어(400)를 밀봉한다. 장착 방향(280)과 반대 방향으로 위치하는 접점 캐리어의 단부 상에서 접점 캐리어(400) 내로는 매트 시일(410)(mat seal)이 삽입될 수 있고, 이 매트 시일에 의해 접점 캐리어(400) 내에 배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접점(여기서는 미도시)은 유체 밀봉 방식으로 접점 캐리어(400)의 내부 안쪽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접점 캐리어(400)는, 조립된 상태에서, 플러그 하우징(300)의 내부 안쪽으로 삽입된다. 장착 방향(280)에 대해 횡방향으로 접점 캐리어(400)를 관통할 수 있는 이차 록킹 부재(430)에 의해, 접점 캐리어(400) 내에 삽입된 접점은 소실 방지되는 방식으로 접점 캐리어(40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이차 록킹 부재(430)에 의해, 바람직하게 플러그 커넥터 장치(100)는 특히 신뢰성 있게 결합되고 CPA 부재의 작용이 개선된다.
플러그 하우징(300)은 장착 방향(280)에 따라서 소켓 섹션(310)으로 이어지는 슬라이딩 섹션(320) 또는 넥 섹션(320)을 포함한다. 이 경우, 소켓 섹션(310)은 횡단면과 관련하여 종축(202)에 대해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섹션(320) 또는 넥 섹션(320)보다 더 큰 횡단면을 가지며, 그럼으로써 슬라이딩 섹션(320)의 원주선은 완전하게 예컨대 소켓 섹션(310)의 원주선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슬라이딩 섹션(320) 및 소켓 섹션(310)의 횡단면은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대략 직사각형이고, 직사각형 횡단면은 라운딩된 모서리들을 갖는다. 그러나 타원형 횡단면 또는 원형 횡단면도 가능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섹션(320) 내에서 직사각형 횡단면의 단변들(short side) 상에는 가이드 그루브들(322)이 배치되며, 이 가이드 그루브들은 장착 방향(280)과 반대 방향으로 위치하는 슬라이딩 섹션(320)의 상부 단부로부터 축 방향으로 장착 방향(280)을 따라서 소켓 섹션(310)으로의 슬라이딩 섹션(320)의 이행부 직전까지 연장된다.
소켓 섹션(310) 상에서 직사각형 횡단면의 상대적으로 더 긴 두 장변 상에는 래칭 장치(350)가 배치된다. 래칭 장치(350)는 소켓 섹션(310)으로부터 약간 바깥쪽을 향해 장착 방향(280)에 대해 횡방향으로 돌출되고 소켓 섹션(310)으로부터 출발하여서는 장착 방향(280)과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섹션(320) 또는 넥 섹션(320)의 상부 단부까지 연장된다. 래칭 장치(350)는 예컨대 길쭉한 적어도 하나의 래칭 부재(360)를 포함하며, 이 래칭 부재는 래칭 장치(350)를 따라서 장착 방향(280)을 따라 슬라이딩 섹션(320)의 영역으로부터 소켓 섹션(310)의 영역 내에까지 연장된다. 래칭 부재들(360) 각각에는 안쪽을 향해 종축(202) 쪽으로 향하는 래칭 돌출부(364)가 예컨대 래칭 개구부(520) 내에 걸림 고정되기 위한 크로스바(cross bar)의 형태로 제공된다. 도시된 예시에서, 약간 편심되어 배치되는 2개의 래칭 부재(360)가 제공되며, 이 래칭 부재들 사이에는 중심에 간극이 위치한다. 간극은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크로스바, 예컨대 연속해서 형성된 래칭 돌출부(364)에 의해 브리지될 수 있다. 플러그 하우징(300)이 상대 플러그 하우징(510) 상으로 장착 방향(280)으로 끼워진다면, 적어도 하나의 래칭 부재(360)는 상대 플러그 하우징(510)의 래칭 개구부(520) 내에 걸림 고정되고 그에 따라 상대 플러그 하우징(510)으로부터 플러그 하우징(300)의 단순한 탈거 또는 분리를 방지한다.
장착 방향(280)에 대해 횡방향으로, 래칭 장치(350)와 슬라이딩 섹션(320) 사이에는, 슬라이딩 섹션(320)과 래칭 장치(350) 사이에 CPA 부재(200)를 인입하기에 적합한 공동부(354)가 제공된다. 그에 따라, 슬라이딩 섹션(320)의 영역에서 래칭 장치(350)는 슬라이딩 섹션(320) 또는 넥 섹션(320)으로부터 이격된다. 래칭 부재(360)를 포함한 래칭 장치(350)는 적어도 슬라이딩 섹션(320)으로 향해 있는 자체의 영역에서 시소 유형으로 슬라이딩 섹션(320) 쪽으로 경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CPA 부재(200)가 슬라이딩 섹션(320) 상에 장착되어 있지 않으면, 래칭 장치(350)는 예컨대 지압(finger pressure)을 통해 슬라이딩 섹션(320) 쪽의 방향으로 경동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래칭 부재(360)는 소켓 섹션(310)의 영역에서 횡방향에서 소켓 섹션(31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바깥쪽을 향해 이동된다. 이런 방식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2개의 래칭 부재(360)는 상대 플러그 하우징의 래칭 개구부(520)로부터 이동될 수 있고, 플러그 하우징(300)은 장착 방향(280)과 반대 방향으로 상대 플러그 하우징(510)으로부터 탈거되게 된다.
래칭 부재(360) 또는 2개의 래칭 부재(360)의 상기 잠금 해제 가능성은 CPA 부재(200)를 장착하는 것을 통해 방지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예컨대 래칭 부재(360)의 의도하지 않은 잠금 해제에 대한 위험은 감소된다.
CPA 부재(200)는 하우징(210)을 포함한다. 하우징(210)은 가이드 슬리브의 형태로 슬리브 유형으로 형성되어 원주 벽부(212)를 포함하고, 이 원주 벽부는 장착 과정 동안 플러그 하우징(300)의 수용을 위한 관통 개구부(230)를 에워싸며, 벽부(212)의 내벽부(214)는 관통 개구부(230)로, 또는 가이드 슬리브의 내부로 향해 있다. 벽부(212)는 바깥쪽으로 향하는 외벽부(216)를 포함하고, 이 외벽부는 예컨대 매끄럽고 개구 없는 표면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CPA 부재의 하우징(210)은 장착 방향(280)에 대해 횡방향으로 플러그 하우징(300)의 슬라이딩 섹션(320)에 상보적인 횡단면, 그에 따라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모서리들이 라운딩된 직사각형 횡단면을 갖는다. 이런 방식으로 CPA 부재(200)는 슬라이딩 섹션(320)을 통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CPA 부재(200)는 록킹 부재(250)를 포함하며, 이 록킹 부재는 하우징(210) 상에 배치되고 장착 방향(280)을 따라서 연장되는 자유 단부(252)와, 안쪽을 향해 종축(202) 쪽으로 향하는 록킹 돌출부(26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단지 정확히 하나의 단일의 록킹 부재(250)가 CPA 부재(200) 상에 배치된다. 록킹 부재(250)는 장착 방향(280)에 대해 횡방향으로 CPA 부재(200)의 하우징(210)의 원주 벽부(212)에 대해 바깥쪽을 향해 오프셋 되고 장착 방향(280)을 따라서는 하우징(210)의 원주 벽부(212)를 지나 돌출된다. 록킹 부재(250)는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하우징(210)의 직사각형 횡단면의 두 장변 중 하나의 장변 상에 배치된다. 물론, 록킹 부재는 다른 측면 벽부 상에도 배치될 수 있다.
플러그 하우징(300)의 슬라이딩 섹션(320) 상에 CPA 부재(200)를 장착할 때, CPA 부재의 벽부(212)는 플러그 하우징(300)의 슬라이딩 섹션(320)을 완전하게 에워싸며, 하우징(210)의 개구 없는 매끄러운 외벽부(216)는 조립된 플러그 커넥터 장치(100)에 맞물림이 적은 평면 표면을 부여한다. 이와 동시에, 록킹 부재(250)는 플러그 하우징(300)의 공동부(354) 내에서 2개의 래칭 부재(360) 사이를 통해 밀려진다. 그에 따라, 상대 플러그(500) 또는 인터페이스(500) 상에 장착되어 체결되거나 잠금 고정된 상태에서, CPA 부재(200)를 통한 래칭 장치(350)의 시소 유형의 경동이 효과적으로 차단되고 걸림 고정의 의도되지 않은 분리가 효과적으로 저지된다. 이 경우, 한편으로 CPA 부재(200)의 벽부(212)의 부분이면서 플러그 하우징(300)과 래칭 장치(350)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부분에 의해서는, 안쪽으로 향하는 래칭 장치(350)의 시소 유형의 경동이 차단되게 되며, 그 때문에 래칭 부재들(360)은 장착 방향(280)에 대해 횡방향으로 래칭 개구부(520)로부터 이동되지 않는다. 다른 한편으로는, 록킹 부재(250)는, 래칭 부재들(360), 또는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되고 래칭 부재들(360)을 연결하는 래칭 돌출부(364)를 커버함으로써 마찬가지로 래칭 개구부(520)로부터 래칭 부재들(360)의 이동을 차단한다. 그에 따라, 벽부(212) 및 록킹 부재(250)는 함께 상대 플러그 하우징(500) 상에서 플러그 하우징(300)의 고정을 위한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CPA 부재(200)의 구현 형태에 의해 상기 기능이 달성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CPA 부재(200)의 장착 공간은 최소화되고 그 형태 복잡성도 감소된다(단지 하나의 돌출된 줄 세공 요소만 제공됨).
내벽부(214)의 협폭 측들에는 각각 리브 유형의 돌출부로서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220)가 배치되며, 이 가이드 부재는 장착 방향(280)을 따라서 연장된다. 가이드 부재들(220)은 장착 과정 동안 플러그 하우징(300)의 가이드 그루브들(322) 내로 맞물리고, 이런 방식으로 CPA 부재(200)의 확실하면서도 회전 없는 축 방향 가이드를 가능하게 한다. 그 결과, 상보적인 공동부(354) 내로, 자체의 줄 세공의 자유 단부(252) 및 이 자유 단부 상에 배치된 돌출부(260)를 포함하는 협폭의 섀클형 록킹 부재(250)의 확실하면서도 손상 없는 인입이 보장된다.
본 출원서에서, "안쪽 또는 내부에"란 표현은 장착 방향(280)에 대해 횡방향인 방향과 관련하여 종축(202) 쪽으로 향하는 것으로 사용되며, "바깥쪽 또는 외부에"란 표현은 장착 방향(280)에 대해 횡방향인 방향과 관련하여 종축(202)으로부터 멀리, 예컨대 반경 방향으로 멀리 향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2a에는, 종래 기술에 따르는 CPA 부재(290)를 포함하는 플러그 하우징(300)이 도시되어 있다. CPA 부재(290)는, 도 2b에서도 알 수 있는 것처럼, 실질적으로 2차원의 포크형 부재로서 형성된다. CPA 부재(290)는 장착 방향(280)으로 볼 때 먼저 크로스바(292)를 포함하고, 이 크로스바로부터 대략 중심에서 록킹 섀클(296)이 장착 방향(280)을 따라서 돌출된다. 록킹 섀클(296)은 그에 대해 평행한 2개의 가이드 섀클(294)에 의해 양측에서 둘러싸인다. CPA 부재(290)는 장착 방향(280)을 따라서 플러그 하우징(300)의 공동부 내에 삽입되고, 가이드 섀클들(294)은 축 방향 가이드를 달성하며, 록킹 섀클(296)은 플러그 하우징(300)의 래칭 부재의 잠금 고정을 달성한다. 가이드 섀클들(294) 및 록킹 섀클(296)이 크로스바(292)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CPA 부재(290)의 소정의 최소 폭이 요구된다. 그 밖에도, 플러그 하우징(300)은, 가이드 섀클들(294)의 확실한 측면 가이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CPA 부재(290)보다 또는 적어도 CPA 부재의 기능 부재들(294, 296)보다 더 넓게 구성되어야 된다. 이는 플러그 하우징(300) 및 CPA 부재(290)의 계속되는 소형화에 반한다. 또한, CPA 부재(290)는 그 표면 유형의 형상으로 인해 파지하기가 어렵고 장착 과정 동안 자체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약간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섀클들이 서로 맞물릴 수 있거나 손상될 수 있다.
도 3a 내지도 3d에는, 본 발명에 따른 CPA 부재(200)의 한 실시형태가 다양한 도면들로 도시되어 있다. 도 3a에는, 자체의 원주 벽부(212)를 구비하여 가이드 슬리브로서 형성된 자체의 슬리브 유형의 관통 개구부(230)를 포함하는 CPA 부재(2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장착 방향(280)은 하우징(210)의 관통 개구부(230)의 종축(202)에 대해 거의 평행하게 연장된다. 벽부(212)는 록킹 부재(250)로부터 떨어져 있는 그 상부 단부 상에 단부면(218)을 포함한다. 종축(202)에 대해 횡방향인 횡단면에서 단부면(218)은 한 평면에, 다시 말하면 어느 곳에서나 장착 방향(280)을 따르는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CPA 부재(200)는 플러그 하우징(300) 상에 장착된 상태에서 플러그 하우징(300)의 상면과 동일 평면에서 끝난다.
하우징(210)의 외벽부(216)로부터는 하우징(210)의 종측면에서 장착 방향(280)을 따라서 볼 때 하우징(210)의 하부 영역에서 록킹 부재(250)는 맨 먼저 횡방향에서 바깥쪽을 향해 벽부(212)의 대략 하나 내지 5개의 벽 두께만큼, 바람직하게는 하나 내지 3개의 벽 두께만큼 돌출된다. 그런 다음, 록킹 부재(250)는 약 90°만큼 편향되어 장착 방향(280)을 따라서 연장되고, 록킹 부재는 하우징(210)의 하부 단부보다 더 돌출된다. 이 경우, 돌출 부재(250)는 하우징(210)의 하부 단부, 다시 말하면 벽부(212)의 추가 단부면보다 더 돌출된다. 이런 돌출부는 예컨대 장착 방향(280)을 따라서 슬리브 유형의 하우징(210)의 높이(h)의 대략 30% 내지 250%만큼,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50%만큼 연장된다.
협폭 측들에 배치되는 가이드 부재들(220)은 협폭 측의 10% 내지 100%에 걸쳐,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에 걸쳐 연장되고 벽부(212)에 의해 완전하게 에워싸인다. 다시 말하면, 가이드 부재들은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뿐만 아니라 장착 방향(280)을 따라서도 하우징(210)의 벽부(212)를 지나 돌출되지 않는다.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형태에서, 가이드 부재들(220)은 장착 방향(280)을 따라서 하우징(210)의 벽부(212)를 지나 돌출될 수 있다.
도 3b에는, CPA 부재(200)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록킹 부재(250)의 자유 단부(252) 상에서는 안쪽을 향해 종축(202) 쪽으로 향하면서 자유 단부(252)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260)가 나타난다. 돌출부(260)는 자유 단부(252)의 단부면으로부터 장착 방향(280)과 반대 방향으로 뒤로 물러난다. 자유 단부(252)의 단부면으로 향해 있는 상기 돌출부의 하부 면 상에는 횡방향에서 안쪽을 향해 돌출된 횡방향 섹션(262)이 형성된다. 횡방향 섹션은, 장착 과정 동안 사전 잠금 고정 위치에서 장착 방향(280)과 반대 방향으로 플러그 하우징(300)의 래칭 장치(350)의 래칭 부재(360) 또는 래칭 부재들(360)의 대응하는 횡방향 섹션 또는 래칭 돌출부(364) 상에 지지되도록 형성된다. 횡방향 섹션(262)에는 비스듬하게 안쪽 상부 방향[다시 말하면 장착 방향(280)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인입 섹션(264)이 이어지고, 이 인입 섹션은 장착 방향(280)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돌출부 섹션(265)으로 이어져서 비스듬하게 바깥쪽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인출 섹션(266)에 이어진다.
인입 섹션(264)은, 접점 보증 부재(200)를 간단하면서도 최대한 힘을 들이지 않으면서 접점 보증 부재의 최종 잠금 고정 위치로 변위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이를 위해, 플러그 하우징(300)의 래칭 부재들(360)이 상대 플러그 하우징(510)의 래칭 개구부(520) 내에 걸림 고정되면, 곧바로 인입 섹션(264)은 상대 플러그 하우징(510)의 램프와 접하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CPA 부재(200)가 장착 방향(280)을 따라서 가압된다면, 인입 섹션(264)은 노즈 유형의 램프(530)를 따라서 하향 활주하며, 전체 록킹 부재(250)는 장착 방향(280)에 대해 횡방향으로 바깥쪽을 향해 가압된다. 이처럼 바깥쪽으로 향하는 이동에 의해, 래칭 부재(360) 또는 래칭 돌출부(364) 상에 지지되는 횡방향 섹션(262)은 고정 해제되고 그에 따라 장착 방향(280)을 따르는 CPA 부재(200)의 축 방향 이동을 추가로 차단하지 않는다. 그에 따라, CPA 부재(200)는 약간의 힘의 소비로 램프(530)에 의해 그리고 래칭 부재들(360) 사이의 가능한 크로스바 또는 래칭 돌출부(364)에 의해 그 최종 위치로 변위될 수 있다. 또한, 이런 방식으로, 조립 기술자 또는 기계는, 정확한 래칭 위치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이런 경우에만 CPA 부재(200)가 증가된 힘의 소비 없이 그 최종 잠금 고정 위치로 밀려질 수 있기 때문이다.
CPA 부재(200)의 탈거 동안, 인출 섹션(266)은 탈거 이동을 보조한다. 인출 섹션(266)은, 그 인출 사면 유형의 형상을 통해, 록킹 부재(250) 상에서 장착 방향(280)과 반대 방향으로 CPA 부재(200)의 축 방향 이동을 횡방향에서 바깥쪽을 향해 작용하는 이동으로 변환하며, 그럼으로써 CPA 부재(200)는 손상 없이 플러그 하우징(300)으로부터 분리된다.
도 4a에는, 두 부재가 사전 잠금 고정 위치에서 조립되기 전에, 플러그 하우징(300) 및 CPA 부재(200)가 별도의 개별 부품들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4b에는, CPA 부재(200) 및 플러그 하우징(300)의 사전 잠금 고정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런 사전 잠금 고정 위치에서 CPA 부재(200)는 증가된 힘의 소비가 없으면 계속하여 플러그 하우징(300)의 슬라이딩 섹션(320)에 걸쳐 장착 방향(280)을 따라서 이동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록킹 부재(250)의 돌출부(260)의 횡방향 섹션(262)이 래칭 부재들(360)의 대응하는 횡방향 섹션 또는 래칭 돌출부(364) 상에 지지되기 때문이다. 여기서는, 상기 사전 잠금 고정 위치에서 래칭 장치(350)가 적어도 여전히 제한되는 방식으로 슬라이딩 섹션(320) 쪽으로 경동될 수 있음으로써, 상대 플러그 하우징(510) 상에 장착된 상태에서 래칭 부재들(360)이 래칭 개구부(520)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위치에서, CPA 부재(200)의 록킹 부재(250)는 조립 기술자 또는 기계로 촉각의 피드백을 달성한다. 조립 기술자 또는 기계는, 플러그 하우징(300) 상으로 계속하여 장착 방향(280)으로 CPA 부재(200)를 장착하고자 할 때, 이를 상당한 힘의 소비 없이도 할 수 있다. 이는, 플러그 하우징(300)이 상대 플러그 하우징(500) 상에 아직도 완전하게 걸림 고정되어 있지 않음에 대한 신호이다.
도 4c에는, CPA 부재(200) 및 플러그 하우징(300)이 대응하는 상대 플러그 하우징(510) 없이 최종 잠금 고정 위치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상황은, 상대 플러그 하우징(510)이 없으면 보통은 불가능하지만, 그러나 CPA 부재(200)의 기능은 도 4c에서 특히 잘 알 수 있다. 이제 CPA 부재(200)의 벽부(212)는 플러그 하우징(300)의 슬라이딩 섹션(320) 또는 넥 섹션(320)을 완전하게 그리고 거의 유격 없이 에워싸며, 록킹 부재(250)로 향해 있는 그 단부면으로 플러그 하우징(300)의 소켓 섹션(310) 상에 지지된다. 이런 상태에서, 소켓 섹션의 외벽부(312)는 CPA 부재(200)의 외벽부(216)와 동일 평면에서 끝나며, 그럼으로써 전체적으로 매끄러우면서 중단 없는 표면이 존재하게 되고, 이런 표면은 대상들의 상호 간 맞물림 또는 오물, 습기 등의 침투에 대한 작용점들을 적게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CPA 부재(200)의 벽부(212)의 단부면(218)은 플러그 하우징(300)의 단부면과 동일 평면에서 끝난다. 이와 동시에, 하우징(210)의 벽부(212), 및 록킹 부재(250)는 래칭 장치(350)와 슬라이딩 섹션(320) 사이의 공동부(354)를 거의 완전하게 채운다. 이 경우, 록킹 부재(250)는 그 자유 단부(252)로 래칭 부재들(360)에 겹쳐진다. 이제 슬라이딩 섹션(320) 쪽으로 장착 방향(280)에 대해 횡방향으로 래칭 장치(350)의 시소 유형의 경동은 CPA 부재(200)의 벽부(212) 및 록킹 부재(250)에 의해 효과적으로 저지되며, 그럼으로써 래칭 개구부(520)로부터 래칭 부재들(360)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는 더 이상 불가능하게 된다.
도 4a에서는, CPA 부재(200)의 선택된 구현 형태의 경우 플러그 커넥터 장치(100)의 소형화가 간소화된 방식으로 가능한 것을 잘 알 수 있다. 그 이유는, 원주 벽부(212)에 의해, 플러그 하우징(300) 상에는, CPA 부재(200)를 확실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계속하여 바깥쪽을 향해 돌출되는 추가 벽부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 대신, 바람직하게는, 소켓 섹션(310)에 대해 안쪽을 향해 약간 물러난 슬라이딩 섹션(320)이 슬리브 유형의 CPA 부재(200)를 위한 가이드 구조로서 사용된다. 그에 따라, CPA 부재(200)의 축 방향 가이드는 록킹 부재(250)와 동일한 연장 방향에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장착 방향(280)과 반대 방향으로 록킹 부재(250)로부터 멀리 연장된다. 가이드 몸체로서 사용되는 슬라이딩 섹션(320)은 소켓 섹션(310)보다 더 작은 지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장착 공간은 소켓 섹션(310)에 의해 결정되고 더 이상 CPA 부재(200)에 의해서는 결정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기능 부재들(가이드 및 잠금 고정)이 서로 상이한 평면 및 공간 방향에 배치되기 때문이다. 그 결과, 플러그 커넥터 장치(100)의 소형화가 바람직하게 촉진된다.
마찬가지로, 슬리브형 CPA 부재(200)가 모든 외면에서 대면적으로 파지되며, 그럼으로써 CPA 부재(200)의 조립 및 분해가 대폭 간소화되는 것도 잘 알 수 있다. 종래 기술(도 2 a 및 도 2b)에 따르는 CPA 부재의 표면 유형의 구현예에 비해서 3차원 형성, 다시 말하면 더욱 균형 잡힌 종횡비에 의해, 조립 동안 CPA 부재(200)의 의도하지 않은 회전은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또한, CPA 부재(200)는 운송 시에, 그리고 취급 시에 상호 간에 맞물릴 수 있거나, 또는 꺾일 수 있는 줄 세공 부분을 조금만 포함한다. 슬리브 유형의 형성은 매우 견고하며, 그리고 손상의 위험도 적다.
도 5a에는, 상대 플러그 하우징(510) 상으로 장착할 때 CPA 부재(200) 및 플러그 하우징(300)의 사전 잠금 고정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 횡단면도에는, 자체의 반경 방향 시일(420) 및 자체의 매트 시일(410)을 구비하여 플러그 하우징(300) 내에 삽입된 접점 캐리어(400)와, 여기서는 미도시한 접점을 접점 캐리어 내에 잠금 고정하거나 이차로 고정하고 그에 따라 확실하게 고정하는 이차 록킹 부재(43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의 우측에는 노즈 유형의 램프(530)가 상대 플러그 하우징(510) 상의 래칭 개구부(520)의 상부에서 식별된다. 도면의 상부 부분에는, 횡방향 섹션(262)이 어떻게 래칭 부재(360)의 래칭 돌출부(364) 상에 지지되어 있는지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단면도에서는, 록킹 부재(250)에 상보적인 래칭 장치(350)의 공동부(354)가 잘 나타나있다. 이런 상태에서, 래칭 장치(350)는 "F"로 표시된 화살표를 따라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슬라이딩 섹션(320)에 대해 경동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래칭 부재(360)는 래칭 장치(350)의 하부 영역에서 바깥쪽을 향해 편향된다.
도 5b에는, 최종 잠금 고정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런 상태에서, 래칭 부재(360)는 그 래칭 돌출부(364)로 상대 플러그 하우징(510)의 래칭 개구부(520) 내에 걸림 고정된다. 이런 걸림 고정은 여기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중간 단계에서 이미 형성되지만, CPA 부재는 아직도 자체의 최종 잠금 고정 위치로 하향으로 밀려지지 않는다. 이런 중간 상태에서, 돌출부(260)의 인입 섹션(262)은 램프(530)의 사면부 상에 지지되며, 그리고 CPA 부재(200)에 대한 축 방향 힘 작용을 통해 램프(530)를 따라서 바깥쪽을 향해 가압되어 장착 방향(280)을 따라서 그 최종 위치로 변위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입 섹션은 맨 먼저 장착 방향(280)을 따라서 램프에 걸쳐서, 그런 다음에는 래칭 개구부(520) 내에 걸림 고정된 래칭 부재들(360)의 래칭 돌출부(364)의 바깥쪽으로 향해 있는 표면에 걸쳐서 활주한다. 래칭 돌출부(364)의 바깥쪽으로 향해 있는 표면은 최종적으로 록킹 부재(250)에 의해 커버된다. 도시된 단면도에서, 램프(530) 및 돌출부(260)는 래칭 돌출부(364)에 대해 도면 평면으로부터 끌어 올려진 상태에서 관찰된다. 그 이유는, 래칭 부재들(360)이, 도 1에 나타나는 것처럼, 장착 과정 동안 좌측 및 우측에서 램프(530)를 통과하여 활주하는 한편, 래칭 부재들 사이에 위치하는 록킹 부재(250)는 단지 램프(530)에 걸쳐서만 바깥쪽을 향해 활주하기 때문이다. 이런 공간상 관계는 도 5c에도 도시되어 있다. 도 5b의 최종 잠금 고정 위치에서, 횡방향에서 슬라이딩 섹션(320) 쪽으로 래칭 장치(350)의 경동은 CPA 부재(200)에 의해 차단된다.
상기 유형의 CPA 부재들 또는 플러그 커넥터 장치들은, 예컨대 자동차 공학에서, 플러그 커넥터의 분야의 모든 영역에서 사용된다. 특히 바람직한 경우는, 예컨대 자동차에서 에어백들, ESP 모듈들 및 기타 보조 시스템들의 접속을 위한 안전 관련 플러그 커넥터 장치들에서의 사용, 또는 예컨대 센서들 또는 센서 부재들의 전기 커넥터에서 저극성 적용 분야들(low-polar application)이다.
100: 플러그 커넥터 장치
200: CPA 부재
202: 공통 종축
210: 하우징
212: 원주 벽부
214: 내벽부
216: CPA 부재의 외벽부
218: 단부면
220: 가이드 부재
230: 관통 개구부
250: 록킹 부재
252: 자유 단부
260: 록킹 돌출부
262: 횡방향 섹션
264: 인입 섹션
265: 돌출부 섹션
266: 인출 섹션
280: 장착 방향, 삽입 방향
290: CPA 부재
292: 크로스바
294: 가이드 섀클, 기능 부재
296: 록킹 섀클, 기능 부재
300: 플러그 하우징
310: 소켓 섹션
312: 소켓 섹션의 외벽부 또는 외부 표면
320: 슬라이딩 섹션 또는 넥 섹션
322: 가이드 그루브
350: 래칭 장치
354: 공동부
360: 래칭 부재
364: 래칭 돌출부
400: 접점 캐리어
410: 매트 시일
420: 반경 방향 시일
430: 이차 록킹 부재
500: 상대 플러그, 인터페이스
510: 상대 플러그 하우징, 인터페이스 하우징
520: 래칭 개구부
530: 램프

Claims (16)

  1. 상대 플러그 하우징(510) 상에서 플러그 하우징(300)의 접점 위치의 보증을 위한 커넥터 위치 보증(CPA) 부재로서, 상기 CPA 부재(200)는
    장착 방향(280)에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300) 상으로 끼워질 수 있는 하우징(210)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210)은 장착 과정 동안 상기 플러그 하우징(300)의 수용을 위한 관통 개구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CPA 부재(200)는 또한 상기 플러그 하우징(300)의 래칭 부재(360)의 차단을 위한 록킹 부재(250)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 부재(250)는 상기 CPA 부재(200)의 상기 하우징(210) 상에 배치되고, 상기 장착 방향(280)을 따라서 연장되는 자유 단부(252)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 부재(250)는 상기 장착 방향(280)에 대해 횡방향으로 상기 CPA 부재(200)의 상기 하우징(210)에 대해 바깥쪽을 향해 오프셋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위치 보증(CPA)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개구부(212)는 상기 하우징(210)의 원주 벽부(212)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위치 보증(CPA) 부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부재(250)는 상기 하우징(210)의 상기 원주 벽부(212)에 대해 바깥쪽을 향해 오프셋 되고 상기 장착 방향(280)을 따라서는 상기 하우징(210)의 상기 원주 벽부(212)를 지나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위치 보증(CPA) 부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10)의 벽부(212)의 내벽부(214)는 상기 관통 개구부(230)로 향해 있고, 장착 과정 동안 상기 플러그 하우징(300)에 대한 상기 하우징(210)의 축 방향 가이드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220)는 상기 하우징(210)의 상기 내벽부(214)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위치 보증(CPA) 부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220)는 상기 하우징(210)의 장착 방향(280)에 대해 횡방향으로 상기 내벽부(214)로부터 멀리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 안쪽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위치 보증(CPA) 부재.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220)는 상기 하우징(210)의 종축(202)을 따라서 연장되는 리브 유형의 돌출부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위치 보증(CPA) 부재.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220)는 상기 하우징(210)의 내벽부(214)에 의해 에워싸이는 영역 내에 완전히 위치하고, 특히 상기 장착 방향(280)에서 상기 하우징(210)의 벽부(212)를 지나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위치 보증(CPA) 부재.
  8. 제 2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10)의 원주 벽부(212)는 상기 장착 방향(280)과 반대 방향으로 위치하는 그 단부 상에 단부면(218)을 포함하며, 상기 단부면(218)은 상기 장착 방향(280)에 대해 수직인 평면 내에 완전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위치 보증(CPA) 부재.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부재(250)는 상기 하우징(210)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위치 보증(CPA) 부재.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10) 상에는 정확히 하나의 록킹 부재(250)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위치 보증(CPA) 부재.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부재(250)의 자유 단부(252)는 상기 장착 방향(280)에 대해 횡방향으로 안쪽으로 향하는 돌출부(260)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260)의 외부 표면은 상기 자유 단부(252)의 단부면에 대해 상기 장착 방향(28)과 반대 방향으로 뒤로 물러나면서 상기 장착 방향(280)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방향 섹션(262)과, 상기 횡방향 섹션(262)에 이어지면서 상기 장착 방향(28)과 반대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안쪽을 향해 연장되는 인입 섹션(264)과, 비스듬하게 바깥쪽을 향해 연장되는 인출 섹션(26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위치 보증(CPA) 부재.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CPA 부재(200)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장치로서, 플러그 하우징(300)을 포함하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300)은 장착 방향(280)을 따라서 소켓 섹션(310)과, 상기 소켓 섹션(310)에 이어지며 상기 CPA 부재(200)를 장착하기 위한 슬라이딩 섹션(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CPA 부재(200)의 하우징(210)의 벽부(212)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300) 상에 완전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슬라이딩 섹션(320)을 에워싸며,
    상기 하우징(210)의 벽부(212)의 외부 표면(216)은 상기 장착 방향(280)을 따라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300)의 소켓 섹션(310)의 외부 표면(312)에 동일 평면으로, 특히 원주를 따라서 동일 평면으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부재(250)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기 벽부(212)의 단부면(218)은 상기 소켓 섹션(310)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300)의 단부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으로 끝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장치.
  15.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300) 상에서 외면 상에 래칭 장치(350)가 배치되고,
    상기 래칭 장치(350)는 상기 장착 방향(280)에 대해 횡방향으로 경동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시소 유형의 래칭 부재(360)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래칭 부재(360)는 삽입 방향(280)을 따라서 연장되며, 상대 플러그 하우징(510)의 래칭 개구부(520)와 맞물리는 래칭 돌출부(364)를 포함하며,
    상기 래칭 장치(350)와 상기 플러그 하우징(300) 사이에는 상기 CPA 부재(200)를 인입하기 위해 상기 CPA 부재(200)의 록킹 부재(250)에 상보적인 공동부(354)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장치.
  16.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 장치(100)는, 래칭 개구부(520), 및 상기 장착 방향(280)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래칭 개구부(520)의 상부에 배치되어 바깥쪽을 향해 돌출되는 램프(530)를 구비한 상대 플러그 하우징(510)을 포함하고,
    상기 록킹 부재(250)의 자유 단부(252)의 돌출부(260)의 횡방향 섹션(262)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 장치(100)를 조립할 때 상기 래칭 부재(360)의 래칭 돌출부(364) 상에 맨 먼저 지지되며, 상기 래칭 개구부(520) 내에 상기 래칭 부재(360)의 래칭 돌출부(364)를 걸림 고정한 후에 상기 CPA 부재(200)의 상기 록킹 부재(250)는 상기 인입 섹션(264)에 의해 추가로 장착될 때 상기 상대 플러그 하우징(510)의 램프(530)에 의해 바깥쪽을 향해 편향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상기 CPA 부재(200)는 상기 장착 방향(280)을 따라서 그 최종 위치로 변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장치.
KR1020167027169A 2014-04-03 2015-03-12 커넥터 위치 보증(cpa) 부재 및 cpa 부재를 포함한 플러그 커넥터 장치 KR1023287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206431.7 2014-04-03
DE102014206431.7A DE102014206431A1 (de) 2014-04-03 2014-04-03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CPA) und Steckverbinderanordnung mit einer CPA
PCT/EP2015/055203 WO2015150048A1 (de) 2014-04-03 2015-03-12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cpa) und steckverbinderanordnung mit einer cp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8442A true KR20160138442A (ko) 2016-12-05
KR102328771B1 KR102328771B1 (ko) 2021-11-19

Family

ID=52682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7169A KR102328771B1 (ko) 2014-04-03 2015-03-12 커넥터 위치 보증(cpa) 부재 및 cpa 부재를 포함한 플러그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30197B2 (ko)
JP (1) JP6434049B2 (ko)
KR (1) KR102328771B1 (ko)
CN (1) CN106463889B (ko)
DE (1) DE102014206431A1 (ko)
WO (1) WO2015150048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37046A1 (en) * 2018-06-07 2019-12-12 Royal Precision Products, Llc Electrical connector system with internal spring component and applications thereof
US10693252B2 (en) 2016-09-30 2020-06-23 Riddell, In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high-power applications
US11411336B2 (en) 2018-02-26 2022-08-09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Spring-actuated electrical connector for high-power applications
US11721927B2 (en) 2019-09-09 2023-08-08 Royal Precision Products Llc Connector recording system with readable and recordable indicia
US11721942B2 (en) 2019-09-09 2023-08-08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Connector system for a component in a power management system in a motor vehicle
US11929572B2 (en) 2020-07-29 2024-03-12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Connector system including an interlock system
US11990720B2 (en) 2019-01-21 2024-05-21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Power distribution assembly with boltless busbar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22905B2 (ja) * 2016-03-09 2018-11-1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422908B2 (ja) * 2016-03-15 2018-11-1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DE202017101632U1 (de) * 2017-03-21 2018-06-22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Steckeranordnung und Verriegelungseinrichtung zur Verriegelung eines Gegensteckverbinders an einem Steckverbinder
US10381782B2 (en) * 2017-06-12 2019-08-13 Byrne Norman R Electrical connector with haptic feedback
JP6839146B2 (ja) * 2018-09-03 2021-03-03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WO2020157329A1 (de) * 2019-02-01 2020-08-06 Hirschmann Automotive Gmbh Steckverbindung mit verriegelungselement
DE102019113494A1 (de) * 2019-05-21 2020-11-26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Kontaktträger
DE102019209235A1 (de) 2019-06-26 2020-12-31 Robert Bosch Gmbh Steckverbinder
US11374367B2 (en) * 2020-09-29 2022-06-28 Onanon, Inc. Vibrating connector system
CN112929288B (zh) * 2021-02-03 2022-11-22 江西山水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性能5g路由器
LU102725B1 (de) * 2021-03-26 2022-09-26 Phoenix Contact Gmbh & Co Steckverbinder mit aufsteckbarem Verriegelungselement
DE102022213591A1 (de) 2022-12-14 2024-06-20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Steckverbinder, Steckverbinderanordn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teckverbindung
DE202023107207U1 (de) 2023-12-05 2024-01-10 Marelli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ermany) GmbH Lichtmodul und Kraftfahrzeugbeleuchtungseinrichtung mit einem solchen Lichtmodul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4687A (ja) * 1990-03-23 1991-12-05 Yazaki Corp コネクタの結合検知装置
JPH03276583A (ja) * 1990-03-27 1991-12-06 Yazaki Corp コネクタの結合検知装置
JPH0412479A (ja) * 1990-05-02 1992-01-17 Yazaki Corp コネクタの結合検知装置
US5605471A (en) * 1995-02-01 1997-02-25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mploying a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JP2007128743A (ja) * 2005-11-04 2007-05-24 Yazaki Corp コネクタ
US20130095692A1 (en) * 2011-10-12 2013-04-18 Yazaki North America, Inc. Connector and terminal positioning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6803B2 (ja) 1997-12-04 2004-02-1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嵌合検知機構
JP2002164125A (ja) * 2000-11-27 2002-06-07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3920055B2 (ja) * 2001-04-12 2007-05-30 矢崎総業株式会社 半嵌合防止コネクタの組み付け方法及び半嵌合防止コネクタ
JP3976134B2 (ja) 2001-09-05 2007-09-12 矢崎総業株式会社 半嵌合防止コネクタ
US6491542B1 (en) * 2002-01-16 2002-12-10 Yazaki North America Combined connection and terminal position assurance structure for vehicle wiring connectors
JP2005251540A (ja) 2004-03-03 2005-09-15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装置
JP2006260920A (ja) 2005-03-17 2006-09-28 Jst Mfg Co Ltd 電気的接続装置
JP5647491B2 (ja) 2010-11-12 2014-12-24 矢崎総業株式会社 ホルダ係止構造
JP5831818B2 (ja) 2012-03-09 2015-12-0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8926355B2 (en) * 2012-06-29 2015-01-06 Lear Corporatio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for a connector assembly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4687A (ja) * 1990-03-23 1991-12-05 Yazaki Corp コネクタの結合検知装置
JPH03276583A (ja) * 1990-03-27 1991-12-06 Yazaki Corp コネクタの結合検知装置
JPH0412479A (ja) * 1990-05-02 1992-01-17 Yazaki Corp コネクタの結合検知装置
US5605471A (en) * 1995-02-01 1997-02-25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mploying a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JP2007128743A (ja) * 2005-11-04 2007-05-24 Yazaki Corp コネクタ
US20130095692A1 (en) * 2011-10-12 2013-04-18 Yazaki North America, Inc. Connector and terminal positioning mechanism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93252B2 (en) 2016-09-30 2020-06-23 Riddell, In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high-power applications
US11223150B2 (en) 2016-09-30 2022-01-11 Royal Precision Products, Llc Spring-actuated electrical connector for high-power applications
US11870175B2 (en) 2016-09-30 2024-01-09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Spring-actuated electrical connector for high-power applications
US11721924B2 (en) 2018-02-26 2023-08-08 Royal Precision Products Llc Spring-actuated electrical connector for high-power applications
US11411336B2 (en) 2018-02-26 2022-08-09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Spring-actuated electrical connector for high-power applications
US11398696B2 (en) 2018-06-07 2022-07-26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internal spring component
US11715900B2 (en) 2018-06-07 2023-08-01 Royal Precision Products Llc Electrical connector system with internal spring component and applications thereof
US11715899B2 (en) 2018-06-07 2023-08-01 Royal Precision Products Ll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internal spring component
US11476609B2 (en) 2018-06-07 2022-10-18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system with internal spring component and applications thereof
WO2019237046A1 (en) * 2018-06-07 2019-12-12 Royal Precision Products, Llc Electrical connector system with internal spring component and applications thereof
US11990720B2 (en) 2019-01-21 2024-05-21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Power distribution assembly with boltless busbar system
US11721927B2 (en) 2019-09-09 2023-08-08 Royal Precision Products Llc Connector recording system with readable and recordable indicia
US11721942B2 (en) 2019-09-09 2023-08-08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Connector system for a component in a power management system in a motor vehicle
US11929572B2 (en) 2020-07-29 2024-03-12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Connector system including an interlock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34049B2 (ja) 2018-12-05
US10230197B2 (en) 2019-03-12
WO2015150048A1 (de) 2015-10-08
US20170125949A1 (en) 2017-05-04
CN106463889B (zh) 2019-11-12
DE102014206431A1 (de) 2015-10-08
KR102328771B1 (ko) 2021-11-19
JP2017510048A (ja) 2017-04-06
CN106463889A (zh)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38442A (ko) 커넥터 위치 보증(cpa) 부재 및 cpa 부재를 포함한 플러그 커넥터 장치
US9509081B2 (en) Connector
CN111433978B (zh) 具有端子位置保证构件的电连接器
US9368897B2 (en) Electrical connector
US9318841B2 (en) Connector assembly with chamber block and contact position assurance
US10164371B2 (en)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with retainer for terminal
KR20170136991A (ko) 개선된 체결 장치를 가지는 전기 연결기 조립체
KR102516478B1 (ko) 커넥터 조립체
JP2009038010A (ja) 電気コネクタ
US20100285696A1 (en) Connector having a securing anti-plugging front grid
US11139605B2 (en) Plug connector with latch hooks
US10290972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N114245956B (zh) 电插接连接件、电插接连接器以及用于电插接连接件的固定元件
EP2149178B1 (en) Sealable squib connector system
US9985380B2 (en) Connector and position assurance member received therein
CN107453098B (zh) 电连接器
JP2011181435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嵌合方法
US9196993B2 (en) Connector unit
US20230231341A1 (en) Connector
US20230113489A1 (en) Plug connector housing, and injection-moudling method and injection-moudling device for producing a plug connector housing
US20150255910A1 (en) Connector Element Having a Contact Module Engagement
JP2008311020A (ja) コネクタ装置
JP2017010625A (ja) コネクタ装置
EP2795733A1 (en) Connector assembly with blocking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