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8198A - 테이프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테이프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8198A
KR20160138198A KR1020167029635A KR20167029635A KR20160138198A KR 20160138198 A KR20160138198 A KR 20160138198A KR 1020167029635 A KR1020167029635 A KR 1020167029635A KR 20167029635 A KR20167029635 A KR 20167029635A KR 20160138198 A KR20160138198 A KR 20160138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cartridge
platen
case
platen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9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2528B1 (ko
Inventor
히데키 사카노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38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8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4Cassettes or cartridges containing continuous copy material, tape, for setting into prin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04Roller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41J2/32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by selective transfer of ink from ink carrier, e.g. from ink ribbon or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5Tape printers; Label pri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2/00Ink-ribbon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2/00Ink-ribbon cartridges
    • B41J32/02Ink-ribbon cartridges for endless rib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5/00Other apparatu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or incorporated in, ink-ribbon mechanisms
    • B41J35/28Detachable carriers or holders for ink-ribbon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202/0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or thermal heads
    • B41J2202/3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thermal heads
    • B41J2202/31Thermal printer with head or platen movable

Landscapes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 Handling Of Continuous Sheets Of Paper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Abstract

간단한 구조와 간단한 조작으로, 테이프 인쇄 장치의 플래튼 지지축을 그 양단에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한 테이프 카트리지를 제공한다.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플래튼 롤러(120)에 삽입되는 외팔보 형식의 플래튼 지지축(48)을 구비한 테이프 인쇄 장치(1)의 카트리지 장착부(5)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테이프 카트리지(100)로서, 플래튼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플래튼 롤러(120)와, 플래튼 롤러(120)가 탑재된 카트리지 케이스(130)와, 카트리지 케이스(130)의 천정벽부(156)에 형성되고, 테이프 카트리지(100)가 카트리지 장착부(5)에 장착될 때, 플래튼 지지축(48)의 선단측이 끼워맞춤되는 끼워맞춤부(236)를 구비하는 테이프 카트리지가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테이프 카트리지{TAPE CARTRIDGE}
본 발명은 테이프 인쇄 장치의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되어 이용되고, 테이프 인쇄 장치에 의해 인쇄에 제공되는 테이프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이러한 테이프 카트리지로서, 사용될 인쇄 장치에 장착된 테이프 카세트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테이프 카세트는 인쇄 테이프가 감겨 있는 테이프 공급 릴, 잉크 리본이 감겨 있는 리본 공급 릴, 잉크 리본이 권취되어 있는 리본 권취 릴, 및 이들 구성품을 수용하는 카세트 케이스를 포함한다.
한편, 이 인쇄 장치는, 장치 본체의 상면에 카세트 커버 및 당해 카세트 커버 내부에, 테이프 카세트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세트 수용부를 포함한다. 카세트 수용부에는, 인쇄 헤드, 플래튼 롤러, 테이프 공급축 및 리본 권취축이 세워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테이프 카세트가 카세트 수용부에 장착될 때, 테이프 이송축 및 리본 권취축은 테이프 이송 릴과 리본 권취 릴 안으로 각각 삽입된다.
플래튼 롤러는 축을 통하여 U 형상의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지지 부재는 지지축을 통하여 샤시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지지 부재는 카세트 커버의 폐색과 함께 회전하며 인쇄 헤드와 맞닿아 있다. 한편, 인쇄 헤드는 보호 부재를 통하여 샤시에 고정되어 있다. 걸어 맞춤 돌기가 보호 부재의 상면에 세워 설치되어 있고 샤시의 상단면에 자유롭게 승강하도록 설치된 간격 규제 부재와 걸어 맞춤 되어 있다. 즉, 간격 규제 부재에 의하여, 테이프 카세트는 인쇄 헤드의 상단부와 플래튼 롤러의 상단부 사이의 간격을 일정한 간격으로 규제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인쇄 헤드 및 플래튼 롤러의 상단부가 인쇄시에 서로 상대적으로 이간되는 것을 방지하여 서로를 균일하게 압접(press-contact)하여 인쇄 품질을 개선하는 것을 도모한다.
일본특허공보 제3629823호
이와 같이 알려진 인쇄 장치에 있어서, 간격 규제 부재는 인쇄 헤드와 플래튼 롤러 사이의 균일한 압접을 유지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이것에 의해서 이 부분의 구성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테이프 카세트의 장착시에는 인쇄 헤드와 플래튼 롤러 사이에 인쇄 테이프와 잉크 리본을 삽입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테이프 카세트의 탈착을 위하여는 간격 규제 부재를 승강하는 것이 요구되며, 이것은 조작을 복잡하게 한다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와 간단한 조작으로 테이프 인쇄 장치의 플래튼 지지축을 그의 양단에서 지지할 수 있는 카세트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트리지 장착부에 그 일단이 고정되고, 테이프 카트리지의 착탈 방향으로 연재하는 플래튼 지지축과, 인쇄 헤드를 구비한 테이프 인쇄 장치의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테이프 카트리지로서,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는,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플래튼 지지축이 관통되고,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로 인쇄 동작이 행해지는 경우에, 상기 인쇄 헤드로부터 가압력을 받는 플래튼 롤러와,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된 경우에, 상기 플래튼 롤러를 관통하는 상기 플래튼 지지축의 선단부를 끼워맞춤하는 끼워맞춤부를 구비한다.
이 경우에, 테이프 카트리지는 플래튼 롤러를 축지지하는 카트리지 케이스를 추가로 구비하고, 끼워맞춤부는, 착탈 방향 중 장착 방향으로,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의 앞쪽측의 케이스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구성에 의하여, 테이프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될 때, 카트리지 케이스는 카트리지 장착부에 위치되고 테이프 인쇄 장치의 플래튼 지지축이 플래튼 롤러에 삽입된다. 동시에, 플래튼 지지축의 선단측이 케이스 벽의 끼워맞춤부에 끼워맞춤된다. 따라서, 그 일단부에서 지지된 상태의 플래튼 지지축의 선단부는 끼워맞춤부를 통하여 카트리지 케이스에 의하여 보유지지된다. 즉, 카트리지 장착부에 테이프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것만으로, 플래튼 지지축은 양단에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조 및 간단한 조작으로, 인쇄 헤드의 가압력에 의한 플래튼 지지축의 경사짐을 억제하면서 인쇄 동작에서 외팔보로 된 플래튼 지지축에 발생하기 쉬운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인쇄 헤드의 가압력에 의하여 플래튼 지지축의 경사를 억제할 수 있고 플래튼 지지축을 양단에서 지지하는 거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끼워맞춤부는 플래튼 지지축의 선단을 지지하는 끼워맞춤 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여, 다른 두께를 갖는 테이프 카트리지의 복수의 종류에 대하여, 플래튼 지지축을, 테이프 카트리지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면 테이프 카트리지의 종별에 무관하게, 플래튼 지지축을 끼워맞춤부에 끼워맞춤 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케이스에 형성되고, 테이프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 플래튼 롤러를 지지하고 상기 플래튼 롤러의 지름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베어링 공을, 추가로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플래튼 롤러에 삽통되고, 끼워맞춤부에 끼워맞춤하는 플래튼 지지축에 있어서, 플래튼 롤러의 중심과 끼워맞춤부의 중심의 사이에서, 제조상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고 있어도, 플래튼 지지축은 플래튼 롤러로의 삽입 및 끼워맞춤부로의 끼워맞춤에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이 경우, 베어링 공은, 카트리지 케이스에 있어서의 장착 방향의 앞쪽측의 케이스벽에 형성된 제1 베어링 공과, 그의 안쪽측의 케이스벽에 형성된 제2 베어링 공을 갖고, 끼워맞춤 공은, 제1 베어링 공에 연통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테이프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 플래튼 롤러가 지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는 한편, 테이프 카트리지가 장착된 경우에는, 플래튼 지지축을 양단에서 적절하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카트리지 케이스에 풀어 내어지도록 탑재된 인쇄 테이프를, 추가로 구비한다. 베어링 공은, 플래튼 롤러를, 인쇄 테이프의 풀어냄을 제지하는 제지 위치와 제지를 해제하는 제지 해제 위치의 사이에서, 지름 방향의 이동을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테이프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되는 경우에, 플래튼 지지축은, 제지 해제 위치로 이동한 플래튼 롤러에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테이프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되는 경우에, 플래튼 롤러를 제지 해제 위치로 확실히 이동시킬 수 있고, 테이프 카트리지가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플래튼 롤러를 필요에 따라서 제지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르는 커버가 개방되어 있는 테이프 인쇄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실시 형태에 따르는 테이프 카트리지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3은 카트리지 장착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이면측으로부터 본 개폐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상부 케이스가 제거된 테이프 카트리지의 평면도 및 상부 케이스의 이면도이다.
도 6은 이면측으로부터 본 테이프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테이프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테이프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플래튼 지지축 및 테이프 카트리지의 피팅부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는 테이프 카트리지에 대하여, 테이프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테이프 인쇄 장치와 함께 설명한다. 이 테이프 인쇄 장치는, 장착된 테이프 카트리지로부터 인쇄 테이프 및 잉크 리본을 풀어내면서 인쇄를 행하고, 인쇄 테이프의 인쇄된 부분을 절단하여 라벨(테이프 편(piece)을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테이프 인쇄 장치의 개요)
도 1은, 테이프 인쇄 장치 및 그 테이프 인쇄 장치에 장착되는 테이프 카트리지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 인쇄 장치(1)는 외각(outer shell)을 구성하는 장치 케이스(3)와, 테이프 카트리지(100)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 장착부(5)와, 카트리지 장착부(5)를 개폐하는데 사용되는 개폐 커버(7)를 구비하고 있다. 장치 케이스(3)의 상면에는, 카트리지 장착부(5)가 안쪽측에 형성되며, 디스플레이(11)는 중앙측에 설치되고, 키보드(13)는 앞쪽측에 형성된다. 개폐 커버(7)의 근방에는, 손가락-걸이용 오목부(15)가 형성되어 있다. 개폐 커버(7)는, 이 오목부(15)에 손가락을 걸어 올려질 때 개방된다. 또한, 장치 케이스(3)의 측면(좌측면)에는, 가늘고 긴 배출구(17)가 인쇄 테이프(102)를 배출하기 위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테이프 인쇄 장치(1)는 카트리지 장착부(5)에 세워 형성된 인쇄 헤드(21)를 갖는 인쇄 기구부(23)와, 카트리지 장착부(5)의 이측 공간에 내장되어 있는 테이프 이송 기구부(25)와, 테이프 배출구(17)의 근방에 내장된 테이프 절단 기구부(27)를 포함한다. 유저는 키보드(13)를 통하여 인쇄 정보를 입력하고, 디스플레이(11) 상의 인쇄 정보를 확인한 후에 키 조작으로 인쇄를 행한다. 인쇄가 지시되면, 테이프 이송 기구부(25)는 인쇄 테이프(102)와 잉크 리본(110)이 서로 평행하게 주행하도록 구동된다. 또한, 인쇄 기구부(23)로부터 잉크 리본(110)으로 인가된 열에 의하여, 잉크 리본(110)의 잉크가 인쇄 테이프(102)로 전사됨으로써 인쇄를 행한다. 이 인쇄 이송에 의하여, 인쇄 테이프(102)는 테이프 배출구(17)로부터 배출된다. 인쇄가 완료되면, 테이프 절단 기구부(27)가 구동하여, 인쇄 테이프(102)의 인쇄된 부분을 절단한다.
[테이프 카트리지의 개요]
도 2(a) 및 도 2(b), 그리고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 카트리지(100)는, 테이프 코어(104)에 인쇄 테이프(102)가 감겨 있는 테이프 롤(106)과 잉크 리본(110)이 풀어냄 코어(112)에 감겨 있는 리본 롤(114)을 구비한다. 또한, 테이프 카트리지(100)는, 사용된 잉크 리본(110)을 귄취하는 권취 코어(116)와, 인쇄 헤드(21)와 맞닿으며 인쇄 테이프(102)와 잉크 리본(110)을 이송하는 플래튼 롤러(120)(플래튼)을 구비한다. 또한, 테이프 카트리지(100)는, 테이프 롤(106), 리본 롤(114), 권취 코어(116) 및 플래튼 롤러(120)를 수용하는 카트리지 케이스(130)를 구비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테이프 카트리지(100)는, 외각이 카트리지 케이스(130)로 덮여 있는, 소위 쉘 구조를 갖는다.
또한, 테이프 카트리지(100)는, 테이프 카트리지(100)가 테이프 인쇄 장치(1)에 장착될 때 인쇄 헤드(21)가 삽입되는 삽입 개구(134)를 카트리지 케이스(130)에 구비한다. 또한, 테이프 카트리지(100)는 카트리지 케이스(130)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인쇄 테이프(102)가 송출되는 테이프 송출구(138)를 구비한다.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지만, 테이프 롤(106)은 카트리지 케이스(130) 내부에 돌출하고 있는 원통 형상의 코어축(192)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도 5(a) 참조).
플래튼 롤러(120)와 권취 코어(116)가 테이프 이송 기구부(25)에 의하여 구동될 때, 인쇄 테이프(102)가 테이프 코어(104)로부터 풀어 내어지고, 잉크 리본(110)은 풀어냄 코어(112)로부터 풀어 내어진다. 풀어 내어진 인쇄 테이프(102)와 잉크 리본(110)은 플래튼 롤러(120)에서 서로 평행하게 주행하고 인쇄 헤드(21)에 의하여 인쇄에 제공된다. 인쇄가 행해진 인쇄 테이프(102)의 풀어 내어진 단부(인쇄된 부분)는 테이프 송출구(138)로부터 테이프 배출구(17)로 송출된다. 한편, 잉크 리본(110)은 삽입 개구(134)의 주연벽부를 돌아서 권취 코어(116)에 귄취된다. 테이프 카트리지(100)로는, 인쇄 테이프(102)의 테이프 폭에 따라서, 두께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테이프 카트리지가 사용될 수 있다.
[테이프 인쇄 장치의 상세]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장착부(5)는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평면 형상과 상보적인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 종류의 장착 가능한 테이프 카트리지(100) 중에서, 최대 두께를 갖는 테이프 카트리지(100)에 대응하는 깊이를 가지면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카트리지 장착부(5)의 바닥판부를 구성하는 장착 베이스(31)와 측판부(33)는 수지 등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형성(성형)된다. 슬릿 형상의 테이프 배출 경로(35)가 카트리지 장착부(5)와 테이프 배출구(17)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테이프 절단 기구부(27)가 이 부분에 내장되어 있다.
카트리지 장착부(5)의 장착 베이스(31)에는, 코어축(192)이 끼워맞춤하여 위치 결정되는 위치 결정 돌기(41)와, 헤드 커버(43)로 덮여 있는 인쇄 헤드(21)와, 플래튼 롤러(12)를 회전 및 구동하는 플래튼 구동축(45)과, 권취 코어(116)를 회전 및 구동하는 권취 구동축(47)이 세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착 베이스(31)에는, 인쇄 테이프(102)의 종류(속성 정보)를 검출하는 테이프 검출부(51)가 권취 구동축(47)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유사하게, 장착 베이스(31)에는, 풀어냄 코어(112) 및 권취 코어(116)의 회전-정지를 해제하는 코어 해제부(53)가 권취 구동축(47)의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장착 베이스(31)에는, 한 쌍의 작은 돌기(55)가 대각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장착된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중간 부분을 유지하는 한 쌍의 유지 편(5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장착 베이스(31)의 이측 공간에는, 플래튼 구동축(45) 및 권취 구동축(47)을 회전시키는 모터 및 기어열(각각 미도시) 등으로 구성되는, 상기의 테이프 이송 기구부(25)가 내장되어 있다. 테이프 이송 기구부(25)는, 기어열로 동력 분기하여, 플래튼 구동축(45) 및 권취 구동축(47)을 서로 동기하여 회전시킨다.
인쇄 기구부(23)는, 서멀 헤드로 구성된 인쇄 헤드(21)와, 인쇄 헤드(21)를 지지하고 회전시키는 헤드 지지 프레임(61)을 포함한다. 또한, 인쇄 기구부(23)는, 헤드 지지 프레임(61)을 통하여 인쇄 헤드(21)를 인쇄 위치와 퇴피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시키는 헤드 릴리스 기구(head releasing mechanism)(도시 생략)와, 인쇄 헤드(21)(및 헤드 지지 프레임(61))를 덮는 헤드 커버(43)를 포함한다.
헤드 릴리스 기구는, 개폐 커버(7)가 개폐함으로써 작동한다. 헤드 릴리스 기구는 개폐 커버(7)의 폐색 동작에 따라서 인쇄 헤드(21)를 인쇄 위치로 이동(회전)시키며, 개방 동작에 따라서 인쇄 헤드(21)를 퇴피 위치로 이동(회전)시킨다. 인쇄 위치로 이동한 경우, 인쇄 헤드(21)는, 플래튼 롤러(120)에 잉크 리본(110)과 인쇄 테이프(102)를 통하여 맞닿음하고, 퇴피 위치로 이동한 경우, 플래튼 롤러(120)로부터 이간한다. 이에 따라, 테이프 카트리지(100)를 착탈할 때에, 인쇄 테이프(102) 또는 잉크 리본(110)이 인쇄 헤드(21)와 간섭하는 것이 방지된다.
인쇄 헤드(21)에는, 복수의 발열 소자가 형성되고, 복수의 발열 소자는, 플래튼 롤러(120)의 축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줄지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인쇄 테이프(102) 및 잉크 리본(110)이 이송되고, 복수의 발열 소자가 선택적 구동될 때 인쇄가 행해진다. 헤드 커버(43)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장착 베이스(31)(카트리지 장착부(5))와 일체로 형성(성형)되어 있다. 또한, 헤드 커버(43)는, 장착 베이스(31)로부터 수직으로 크게 돌출되어 있다. 헤드 커버(43)는, 내측에서는 인쇄 헤드(21)의 회전을 허용하고, 외측에서는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장착 가이드로서 기능한다.
테이프 검출부(51)는, 복수의 마이크로 스위치(51a)로 구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피검출부(180)와 선택적으로 걸어 맞춤하고, 인쇄 테이프(102)의 테이프 폭, 테이프 색, 재질 등의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종별(속성 정보)을 검출한다. 그리고, 이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인쇄 헤드(21)나 테이프 이송 기구부(25)의 구동이 제어된다.
코어 해제부(53)는, 풀어냄 코어(112)용 및 권취 코어(116)용의 2개의 해제 핀(53a)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세는 후술하지만, 카트리지 케이스(130)에는, 풀어냄 코어(112) 및 권취 코어(116)에 의해 유지되는 회전-정지 훅(206)이 형성되어 있다(도 6 참조). 테이프 카트리지(100)를 장착하면, 이들 회전-정지 훅(206)에 해제 핀(53a)이 걸어맞춤하여, 풀어냄 코어(112) 및 권취 코어(116)의 회전-정지가 해제된다.
플래튼 구동축(45)은, 플래튼 롤러(120)를 삽입 통과하도록 길게 연장된 플래튼 지지축(48)과, 플래튼 지지축(48)의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스프라인(spline) 형상의 회전 구동축(49)을 포함한다(도 3 참조). 테이프 이송 기구부(25)의 회전력은, 이 회전 구동축(49)으로 전달되고, 또한 회전 구동축(49)으로부터 플래튼 롤러(120)로 전달된다(자세한 것은 후술함).
마찬가지로, 권취 구동축(47)은, 고정축(47a)과, 고정축(47a)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스프라인 형상의 가동축(47b)을 포함한다. 이 경우도, 테이프 이송 기구부(25)의 회전력은, 가동축(47b)에 전달되고, 또한 가동축(47b)으로부터 권취 코어(116)로 전달된다.
테이프 카트리지(100)를 카트리지 장착부(5)에 장착하면, 위치 결정 돌기(41)에 코어축(192)(테이프 코어(104))이 걸어 맞춤한다. 또한, 플래튼 구동축(45)에 플래튼 롤러(120)가 걸어 맞춤하고, 추가로 권취 구동축(47)에 권취 코어(116)가 걸어 맞춤한다. 그리고, 개폐 커버(7)를 폐색시키면, 인쇄 헤드(21)가 회전하고, 인쇄 테이프(102) 및 잉크 리본(110)을 사이에 끼워 플래튼 롤러(120)에 맞닿음하여, 테이프 인쇄 장치(1)를 인쇄 대기 상태로 가져온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커버(7)는, 안쪽측에 형성된 힌지부(71)를 통하여, 장치 케이스(3)에 회전 가능하게, 즉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개폐 커버(7)는, 개폐 커버 본체(73)와, 개폐 커버 본체(73)의 중앙에 형성된 관측창(75)과, 개폐 커버 본체(73)의 이면으로부터 돌출되고 힌지부(71)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한 쌍의 축지지편(77)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개폐 커버(7)는, 개폐 커버 본체(73)의 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인쇄 헤드(21)를 회전시키는 작동 레버(79)와, 개폐 커버 본체(73)의 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테이프 카트리지(100)를 가압하는 2개의 가압 돌기(81)를 포함한다. 또한, 개폐 커버(7)는, 개폐 커버 본체(73)의 이면에 돌출 형성되어, 내장되는 커버 폐색 검출 스위치(도시 생략)를 작동(ON)시키는 가압 돌기(83)를 포함한다.
관측창(75)은, 측면에서 측면으로 길게 형성되고, 개폐 커버 본체(73)와는 별체로 되는 투명(가시광에 대하여 투명)한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 관측창(75)을 통하여, 카트리지 장착부(5)에 장착된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인쇄 테이프(102)의 종별 및 테이프 잔량)를 시각적으로 관측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축지지편(77), 작동 레버(79), 2개의 가압 돌기(81) 및 가압 돌기(83)는, 개폐 커버 본체(73)와, 수지로 일체로 형성(성형)되어 있다.
작동 레버(79)는, 개폐 커버 본체(73)의 이면으로부터 크게 돌출되어 있고, 개폐 커버(7)가 폐색될 때, 카트리지 장착부(5)의 측방에 형성한 슬릿 개구(87)에 삽입된다. 슬릿 개구(87)에 삽입된 작동 레버(79)는, 전술의 헤드 릴리스 기구를 작동시켜, 인쇄 헤드(21)를 회전시킨다. 마찬가지로, 개폐 커버(7)가 폐색될 때, 가압 돌기(83)는 슬릿 개구(87)에 인접하는 직사각형 개구(91)에 삽입되고, 커버 폐색 검출 스위치를 작동(ON)시킨다.
가압 돌기(81) 중 하나는,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플래튼 롤러(120)의 근방 위치 있도록 위치되고, 다른 가압 돌기(81)는, 테이프 검출부(51)의 바로 위에 있도록 위치되어 있다. 개폐 커버(7)를 폐색하면, 2개의 가압 돌기(81)는, 테이프 카트리지(100)가 카트리지 장착부(5)의 장착 베이스(31)에 놓이도록 가압하여,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부상(floating)을 방지한다.
[테이프 카트리지의 상세]
다음으로, 도 2(a) 및 도 2(b), 도 5(a) 및 도 5(b), 그리고 도 6을 참조하여, 테이프 카트리지(10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설명에서는, 도 2(a) 및 도 2(b)를 예로서 하여,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장착 방향에서 앞쪽측의 면, 즉 상부 정면을 "표면"이라 하고, 장착 방향에서 안쪽측의 면, 즉 반대측의 면을 "이면"이라 하고,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좌측의 측면을 "좌측면"이라 하고, 우측의 측면을 "우측면"이라 하고, 상측의 원호상의 측면을 「선단면(tip end surface)"이라 하고, 하측의 측면을 "베이스단면"이라 한다.
테이프 카트리지(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케이스(130)와, 이 카트리지 케이스(130)에 수용되어 있는 테이프 롤(106), 리본 롤(114), 권취 코어(116) 및 플래튼 롤러(12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테이프 카트리지(100)는, 카트리지 케이스(130)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 개구(134)와, 플래튼 롤러(120)의 근방에 있어서 좌측면에 형성된 테이프 송출구(138)와, 테이프 롤(106)이 수용되어 있는 위치의 표면을 경유하여 좌측면에서 우측면까지 부착된 식별 라벨(141)(도 1 참조)을 구비하고 있다. 식별 라벨(141)에는, 카트리지 케이스(130)에 수용되어 있는 인쇄 테이프(102)의 테이프 폭, 테이프 색, 재질 등(속성 정보의 일부)이, 표면 및 좌측면의 2개소에 표시되어 있다.
카트리지 케이스(130)는,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외각을 구성하는 것이고(쉘 구조), 우측면의 베이스단이 약간 돌출된, 평면에서 보았을 때 "L" 형상의 외관을 갖는다. 표리 방향에 있어서, 카트리지 케이스(130)는, 하부 케이스(150)와 상부 케이스(152)로 구성되어 있으며, 카트리지 케이스(130)를 카트리지 장착부(5)에 장착했을 때에, 하부 케이스(150)와 상부 케이스(152)는 각각 안쪽측과 앞쪽측에 위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카트리지 케이스(130)는, 상부 케이스(152)가 투명한 수지의 성형품으로 구성되고, 하부 케이스(150)가 불투명한 수지의 성형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152)는, 카트리지 케이스(130)의 표면을 구성하는 천정벽부(156)와, 천정벽부(156)의 주연부에 연결되어 있는 상부 주연벽부(158)가 일체로 형성(성형)되어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150)는, 카트리지 케이스(130)의 이면을 구성하는 바닥벽부(160)와, 바닥벽부(160)의 주연부에 세워 형성된 하부 주연벽(162)과, 삽입 개구(134)를 형성하기 위해 바닥벽부(160)에 세워 형성된 개구 주연벽부(164)가 일체로 형성(성형)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152)의 상부 주연벽부(158)의 하단면에는, 적절한 간격으로 복수의 접합 핀(170)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하부 케이스(150)의 하부 주연벽(162)에는, 이 복수의 접합 핀(170)에 대응하여 복수의 접합 공(172)이 형성되어 있다(도 5(a) 및 도 5(b) 참조). 하부 케이스(150)에, 테이프 롤(106) 및 리본 롤(114) 등의 구성 부품을 배치한 후, 복수의 접합 공(172)에 복수의 접합 핀(170)을 프레스 끼워맞춤(press fit)하여 상부 케이스(152)를 하부 케이스(150)에 접합함으로써, 테이프 카트리지(100)를 조립할 수 있다. 또한, 각 접합 공(172)은, 성형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관통 공으로 되어 있다.
한편, 하부 케이스(15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는, 한 쌍의 유지 편(57)에 의해 유지되는 한 쌍의 유지 수용부(174)가 형성되어 있다(도 2(a) 및 도 2(b) 그리고 도 6 참조). 장착한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한 쌍의 유지 수용부(174)가, 카트리지 장착부(5)의 측에 한 쌍의 유지 편(57)에 의해 유지될 때, 테이프 카트리지(100)는 부상이 방지된다. 또한, 하부 케이스(150)의 이면에는, 한 쌍의 작은 돌기(55)가 약간 여유를 갖고 끼워맞춤하는 작은 끼워맞춤 공(176)이 형성되어 있다(도 6 참조). 장착한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한 쌍의 작은 끼워맞춤 공(176)에, 카트리지 장착부(5)측의 한 쌍의 작은 돌기(55)가 끼워맞춤할 때, 장착 베이스(31) 상에 테이프 카트리지(100)가 간단하게 위치 결정된다.
또한, 하부 케이스(150)의 이면에는, 테이프 검출부(51)에 대응하는 피검출부(180)가 베이스단면 측의 좌코너부(즉, 표면측으로부터 볼 때 우코너부)에 형성되어 있다(도 6 참조). 피검출부(180)는, 테이프 검출부(51)의 복수의 마이크로 스위치(51a)에 대응하는 장소에 구성되어 있고, 복수의 비트 패턴이, 이 부분에 형성된 수용 공(180a)의 존재 유무에 기초하여 얻어진다. 즉, 이 비트 패턴이, 상기한 인쇄 테이프(102)의 종별에 대응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케이스(130) 내의 상측 공간(선단면측)에는, 넓게 테이프 롤(106)이 수용되는 테이프 수용 영역(190)이 구성되어 있다. 테이프 수용 영역(190)의 중앙에는, 하부 케이스(150)와 일체로 형성(성형)된 코어축(192)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코어축(192)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테이프 롤(106)(테이프 코어(104))은 코어축(192)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 되어 있다.
또한, 테이프 수용 영역(190)에는, 풀어 내어진 인쇄 테이프(102)를 플래튼 롤러(120)로 안내하는 테이프 가이드(194)가, 하부 케이스(150)와 일체로, 플래튼 롤러(120)의 근방에 세워 설치되어 있다. 즉, 카트리지 케이스(130)의 내부에는, 테이프 롤(106)을 기점으로 하여, 테이프 가이드(194) 및 플래튼 롤러(120)를 거쳐 테이프 송출구(138)에 이르는 테이프 이송 경로(196)가 구성되어 있다. 테이프 롤(106)로부터 풀어 내어진 인쇄 테이프(102)는, 테이프 가이드(194)를 통하여 플래튼 롤러(120)로 안내되고, 플래튼 롤러(120)에 의하여 인쇄에 제공된다. 그런 후, 인쇄 테이프(102)는, 추가로 플래튼 롤러(120)로부터 테이프 송출구(138)로 안내된다.
테이프 롤(106)은, 인쇄 테이프(102) 및 테이프 코어(104) 이외에, 롤 형상의 인쇄 테이프(102)의 양단면에 부착된 2매의 원형 필름(198)을 갖는다. 이 2매의 원형 필름(198)은, 테이프 코어(104)에 감긴 인쇄 테이프(102)가 펼쳐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테이프 코어(104)에는, 도시에서는 생략했지만, 역회전 정지 기구가 내장되어 있다. 테이프 카트리지(100)를 운반하는 경우에는, 이 역회전 정지 기구에 의해, 인쇄 테이프(102)의 역회전이 방지된다. 한편, 테이프 카트리지(100)를 테이프 인쇄 장치(1)의 카트리지 장착부(5)에 장착하면, 위치 결정 돌기(41)에 의해 역회전 정지 기구의 역회전 정지가 해제되어서, 인쇄 테이프(102)의 이송이 가능해진다.
카트리지 케이스(130) 내의 베이스부 우측에는, 삽입 개구(134)에 인접하여 리본 수용 영역(200)이 구성되어 있다. 리본 수용 영역(200)에서는, 리본 롤(114)(풀어냄 코어(11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풀어냄측 베어링부(202)와, 권취 코어(116)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권취측 베어링부(204)가, 각각 그 우부분과 좌부분에 카트리지 케이스(13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부 케이스(152) 및 하부 케이스(150)의 각각에, 풀어냄측 베어링부(202) 및 권취측 베어링부(204)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150)에 형성된 풀어냄측 베어링부(202) 및 권취측 베어링부(204)의 절결 부분에는, 선단부를 이들 풀어냄측 베어링부(202) 및 권취측 베어링부(204)에 임하게 갖는 회전-정지 훅(206)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정지 훅(206) 중 하나 및 다른 하나는 각각 풀어냄 코어(112) 및 권취 코어(116)에, 회전 정지 상태로 걸어 맞춤하고 있다.
리본 수용 영역(200)에는, 풀어 내어진 잉크 리본(110)을 플래튼 롤러(120)로 안내하는 제1 리본 가이드(210)가, 하부 케이스(150)와 일체로 풀어냄측 베어링부(202)의 근방에 세워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개구 주연벽부(164)의 외주측에는, 잉크 리본(110)의 둘레회전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제2 리본 가이드(2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카트리지 케이스(130)의 내부에는, 리본 롤(114)을 기점으로 하고, 제1 리본 가이드(210), 플래튼 롤러(120) 및 복수의 제2 리본 가이드(212)를 거쳐 권취 코어(116)에 이르는 리본 이송 경로(214)가 구성되어 있다. 리본 롤(114)로부터 풀어 내어진 잉크 리본(110)은, 제1 리본 가이드(210)를 통하여 플래튼 롤러(120)로 안내되고, 플래튼 롤러(120)에 의하여 인쇄가 행해진다. 또한, 플래튼 롤러(120)를 통하여 개구 주연벽부(164)(복수의 제2 리본 가이드(212))를 둘레회전하여 권취 코어(116)에 권취된다.
리본 롤(114)은, 잉크 리본(110) 및 풀어냄 코어(112) 이외에, 풀어냄 코어(112)에 제동 부하를 부여하는 원환상의 판 스프링(220)을 포함한다(도 5(b) 참조). 판 스프링(220)은, 둘레 방향에 있어서 물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축방향에 있어서 상부 케이스(152)의 천정벽부(156)와 풀어냄 코어(112)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즉, 풀어냄 코어(112)에는, 이 판 스프링(220)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 제동 부하가 부여된다. 이에 따라, 권취 코어(116)로부터 풀어 내어진 잉크 리본(110)에는, 백 텐션이 부여되어 잉크 리본(110)에서의 느슨함이 방지된다.
풀어냄 코어(11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절결(222)이 하부 케이스(150)측의 단부에, 둘레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6 참조). 또한, 회전-정지 훅(206)이 복수의 절결(222)과 걸려 맞춤되거나 걸려 맞춤 해제된다. 또한, 풀어냄 코어(112)를 지지하는 하부 케이스(150)측의 풀어냄측 베어링부(202)는 원형의 개구로 구성되어 있지만, 상부 케이스(152)측의 풀어냄측 베어링부(202)는, 원통 형상의 돌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돌출 부분에 판 스프링(220)이 장착되어 있다(구성부품의 양자에 대하여는 도 5(b) 참조).
마찬가지로, 권취 코어(116)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하부 케이스(150)측의 단부에는, 둘레 방향으로 복수의 절결(22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절결(224)에는, 회전-정지 훅(206)이 걸려 맞춤 되거나 걸려 맞춤 해제된다. 또한, 권취 코어(116)의 내주면에는 스프라인 홈(226)이 형성되고, 권취 구동축(47)에 스프라인 걸어 맞춤한다. 이에 따라, 권취 구동축(47)의 회전력이 권취 코어(116)에 전달되어, 잉크 리본(110)이 권취된다.
카트리지 케이스(130) 내의 베이스부 좌측에는, 삽입 개구(134)에 인접하여 플래튼 수용 영역(230)이 구성되어 있다. 플래튼 수용 영역(230)의 중앙에는, 하부 케이스(150)에 형성된 타원상(장원(oval)상) 개구를 갖는 하부 베어링부(234)와(도 6 참조), 상부 케이스(152)에 형성된 타원상 개구를 갖는 상부 베어링부(232)(도 5(b)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베어링부(232) 및 하부 베어링부(234)에 의해, 플래튼 롤러(120)가 회전 가능하고 또한 약간 횡적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타원상의 상부 베어링부(232) 및 하부 베어링부(234)에 지지된 플래튼 롤러(120)는, 플래튼 롤러(120)가 플래튼 구동축(45)에 걸어맞춤하는 홈(home) 위치(제지 해제 위치)와, 인쇄 테이프(102)를 사이에 두고 테이프 가이드(194)와 맞닿는 홀딩(holdong) 위치(제지 위치)의 사이에서, 횡적 이동(미소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 테이프 카트리지(100)가 운반될 때, 인쇄 테이프(102)의 풀어 내어진 단부는, 테이프 송출구(138)로부터 외부로 약간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도 1 참조). 이때, 잘못하여 인쇄 테이프(102)의 풀어 내어진 단부에 압입력(pressing force) 혹은 인입력(withdrawing force)이 작용하면, 이 힘에 의해 당겨진 플래튼 롤러(120)는 전술의 홀딩 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인쇄 테이프(102)의 풀어 내어진 단부가, 테이프 송출구(138)로부터 카트리지 케이스(130) 내로 끌려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부 케이스(152)(천정벽부(156))에는, 상부 베어링부(232)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의 플래튼 지지축(48)의 선단측이 끼워맞춤하는 끼워맞춤부(236)가 형성되어 있다. 끼워맞춤부(236)는, 천정벽부(156)를 관통하는 끼워맞춤 공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끼워맞춤부(236)는, 상부 베어링부(232)와 연통하고 있고, 전술의 홈 위치에서 상부 베어링부(232)와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상세는 후술함).
플래튼 롤러(120)는, 원통 형상의 롤러 베이스체(240)와, 롤러 베이스체(240)의 외주면에 장착한 고무 롤러(242)를 포함한다. 고무 롤러(242)는, 축방향에 있어서 인쇄 헤드(21)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인쇄 위치로 이동할 때 인쇄 헤드(21)는, 인쇄 테이프(102) 및 잉크 리본(110)을 사이에 끼워 이 고무 롤러(242)와 맞닿는다. 또한, 롤러 베이스체(240)의 내주면에는 스프라인 홈(spline groove; 244)이 형성되고, 이 스프라인 홈(244)에, 플래튼 구동축(45)의 회전 구동축(49)이 걸어 맞춤한다. 이에 따라, 플래튼 구동축(45)의 회전력이 플래튼 롤러(120)에 전달되어, 인쇄 테이프(102)(및 잉크 리본(110))가 인쇄-이송된다.
[끼워맞춤부 및 플래튼 지지축의 상세]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끼워맞춤부(236) 주변의 구조에 대해서, 플래튼 구동축(45)의 플래튼 지지축(48)의 구조와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테이프 카트리지(100)를 카트리지 장착부(5)에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8은,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래튼 구동축(45)은, 장착 베이스(31)의 아래에 위치하는 장치 프레임(260)에 세워 설치된 플래튼 지지축(48)과, 플래튼 지지축(48)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 구동축(49)을 포함한다. 회전 구동축(49)은, 평기어(spur gear)로 구성된 기어부(270)와, 기어부(270)에 일체로 형성한 스프라인부(272)를 포함한다. 그리고, 기어부(270)는 상기의 테이프 이송 기구부(25)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플래튼 지지축(48)은, 스트레이트 형상의 축 본체(280)와, 축 본체(280)의 베이스단부측과 연결되어 있는 축 고정부(282)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축 고정부(282)는, 장치 프레임(260)에 형성한 하부 공에 프레스 끼워맞춤되어 있고, 이에 따라, 플래튼 지지축(48)은, 장치 프레임(260)에 고정되어 있다. 즉,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착탈 방향으로 연재하는 플래튼 지지축(48)은, 그의 일단부가 장치 프레임(260)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플래튼 지지축(48)은, 장치 프레임(260)으로부터 교차하도록 연장되고, 그 축 본체(280)가, 장착 베이스(31)를 관통하여 카트리지 장착부(5)의 내부에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플래튼 지지축(48)의 선단부는, 모따기 되어서, 헤드 커버(43)와 대략 동일한 높이에 달하고 있다.
카트리지 장착부(5)에 테이프 카트리지(100)를 장착하면(장착 방향은, 플래튼 지지축(48)의 선단으로부터 베이스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나타내며, 제거 방향은 장착 방향의 반대 방향을 나타낸다), 착탈 방향으로 연재한 플래튼 지지축(48)(축 본체(280))이, 롤러 베이스체(240)에 삽입하여, 회전 구동축(49)이 롤러 베이스체(240)의 하단부에 걸어 맞춤한다. 즉, 플래튼 롤러(120)는, 플래튼 지지축(4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이 상태에서 회전 구동축(49)에 의해 회전되고 구동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래튼 롤러(120)는, 롤러 베이스(240)와, 롤러 베이스체(240)에 부착한 고무 롤러(242)를 포함한다. 롤러 베이스체(240)는, 단차가 있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롤러 베이스체(240)는, 고무 롤러(242)를 유지하는 롤러 유지부(300)와, 롤러 유지부(300)의 상측으로 연속하는 환상 보스부(302)와, 롤러 보유지지부(300)의 하측으로 연속하고 내주면에 형성된 스프라인 홈(244)을 갖는 환상의 걸어 맞춤부(304)가 일체로 형성(성형)되어 있다.
환상 보스부(302)는, 고무 롤러(242)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기능하고, 그 선단측에 상부 베어링부(232)와 회전-걸어 맞춤하는 상부 회전 걸어 맞춤부(310)를 포함한다. 또한, 환상 걸어 맞춤부(304)는, 회전력의 입력용 부분으로서 기능하고, 그 베이스단부측에 하부 베어링부(234)와 회전-걸어 맞춤하는 하부 회전 걸어 맞춤부(312)를 포함한다. 즉, 플래튼 롤러(120)는, 상부 회전 걸어 맞춤부(310) 및 하부 회전 걸어 맞춤부(312)의 근방에서, 상부 케이스(152)의 천정벽부(156)(상부 베어링부(232)) 및 하부 케이스(150)의 바닥벽부(160)(하부 베어링부(234))에 의해, 그 양단부에서 지지된 상태(즉, 양단부에서, 플래튼 지지축(48)이 연신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플래튼 지지축(48)의 양단부 변위가 규제되어, 무제한적으로 허용되지 않는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장착 방향에서의 앞쪽측(플래튼 지지축(48)의 선단측)에 있는 상부 베어링부(232) 및 장착 방향에서의 안쪽측(회전 구동축(49)측)에 있는 하부 베어링부(234)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장원(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플래튼 롤러(120)는, 카트리지 케이스(130)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미소 이동(횡적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미소 이동은, 인입되는 인쇄 테이프(102)에 수반하여(마찰력으로), 플래튼 롤러(120)의 이동, 즉 테이프 가이드(194)를 비스듬하게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인쇄 테이프(102)를 플래튼 롤러(120)와 테이프 가이드(194)의 사이에 끼워서, 의도하지 않는 인쇄 테이프(102)의 얽힘을 방지한다.
한편,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52)의 천정벽부(156)에는, 상부 베어링부(232)의 외측에 위치하여, 플래튼 지지축(48)(의 축 본체(280))의 선단측이 끼워맞춤하는 끼워맞춤부(236)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타원형의 상부 베어링부(232)를 공간 구성하기 위하여, 천정벽부(156)는, 플래튼 롤러(120)의 플래튼 지지축(48) 방향으로부터 볼 때(플래튼 지지축(48)의 선단측으로부터 베이스단부측을 향하여 볼 때), 약간 솟아오른 커버벽부(316)를 가지며, 이 커버벽부(316)에는, 끼워맞춤부(23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끼워맞춤부(236)를 갖는 커버벽부(316)의 환상 가장자리에는, 유도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테이프 카트리지(100)를 카트리지 장착부(5)로 장착할 때에,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걸림을 감소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끼워맞춤부(236)(축지지부)는 끼워맞춤 공(관통 공)으로 구성되어 있고, 플래튼 지지축(48)의 선단이 끼워맞춤하여 끼워맞춤부(236)로 삽입된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끼워맞춤부(236)는, 홈 위치(제지 해제 상태에 있어서, 상부 회전 걸어 맞춤부(310)가 존재하는 타원형 상부 베어링부(232) 내의 위치)에서 상부 베어링부(232)와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테이프 카트리지(100)를 카트리지 장착부(5)에 장착하면, 플래튼 롤러(120)는, 플래튼 지지축(48)에 의해 규제되어, 자동적으로 홈 위치로 이동한다. 그리고, 플래튼 지지축(48)과 끼워맞춤부(236)는, 덜컹거림이 발생하지 않는 치수 공차를 가지며, 끼워맞춤부(236)는, 베이스단측(하부측)에서 그 일단이 지지된 플래튼 지지축(48)의 선단을 보유지지한다(플래튼 지지축(48)이 연신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변위를 규제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카트리지 장착부(5)에 장착된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끼워맞춤부(236)는, 플래튼 구동축(45)의 플래튼 지지축(48)의 선단측에 끼워맞춤한다. 이 때문에, 베이스단부측에서 그의 일단부가 지지된 플래튼 지지축(48)의 선단측이, 끼워맞춤부(236)에 의해 보유지지된다. 즉, 테이프 카트리지(100)를 카트리지 장착부(5)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플래튼 지지축(48)을 그의 양단부에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조와 간단한 조작으로, 플래튼 지지축(48)을 그의 양단부에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플래튼 지지축(48)에 지지된 플래튼 롤러(120)가, 인쇄 헤드(21)로부터 가압력을 받는 인쇄 동작 상태에서도, 플래튼 롤러(120)의 기울어짐을 저감하여, 인쇄 헤드(21)와 플래튼 롤러(120)를 대략 균일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높은 인쇄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인쇄 동작에 수반하는 진동으로 플래튼 롤러(120)가 공진한다고 해도, 끼워맞춤부(236)에 의해, 베이스단측이 지지되어 있는 플래튼 지지축(48)의 선단측에서의 플래튼 지지축(48)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변위(즉, 플래튼 지지축(48)이 그 일단에서 지지되는 경우, 변위가 최대 진폭을 가지면서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진동하는 부분의 변위)를 억제함으로써, 플래튼 롤러(120)를 효과적으로 제진할 수 있다.
또한, 끼워맞춤부(236)는 관통하는 끼워맞춤 공으로 구성하는 것만으로, 두께가 상이한 복수종의 테이프 카트리지(100)에 대하여, 플래튼 지지축(48)을 최대폭을 갖는 테이프 카트리지(100)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면,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두께 종별에 관계없이, 플래튼 지지축(48)을 끼워맞춤부(236)에 끼워맞춤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 장착부(5)에 장착되는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두께에 관계없이, 플래튼 지지축(48)을 그 양단부에서 지지할 수 있다.
최대폭을 갖는 테이프 카트리지(100)에 있어서는, 끼워맞춤부(236)를 백(bag)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케이스(152)의 표면에 있어서 끼워맞춤부(236)에 걸림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카트리지(100)가 상부면을 기준으로 장착되는 테이프 인쇄 장치(1)에 있어서도, 그 끼워맞춤부(236)가, 반드시 관통 공일 필요는 없다.
1 : 테이프 인쇄 장치
3 : 장치 케이스
5 : 카트리지 장착부
7 : 개폐 커버
21 : 인쇄 헤드
23 : 인쇄 기구부
25 : 테이프 이송 기구부
31 : 장착 베이스
41 : 위치 결정 돌기부
45 : 플래튼 구동축
47 : 권취 구동축
48 : 플래튼 지지축
49 : 회전 구동축
100 : 테이프 카트리지
102 : 인쇄 테이프
110 : 잉크 리본
120 : 플래튼 롤러
130 : 카트리지 케이스
150 : 하부 케이스
152 : 상부 케이스
156 : 천정벽부
160 : 바닥벽부
232 : 상부 베어링부
234 : 하부 베어링부
236 : 끼워맞춤부
240 : 롤러 베이스체
242 : 고무 롤러
260 : 장치 프레임
280 : 축 본체
310 : 상부 회전 걸어 맞춤부
312 : 하부 회전 걸어 맞춤부

Claims (6)

  1. 카트리지 장착부에 그 일단이 고정되고 테이프 카트리지의 착탈 방향으로 연재하는 플래튼 지지축과, 인쇄 헤드를 구비한 테이프 인쇄 장치의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테이프 카트리지로서,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플래튼 지지축이 관통되고,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로 인쇄 동작이 행해지는 경우에, 상기 인쇄 헤드로부터 가압력을 받는 플래튼 롤러와,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된 경우에, 상기 플래튼 롤러를 관통하는 상기 플래튼 지지축의 선단부를 끼워맞춤하는 끼워맞춤부를 구비하는 테이프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튼 롤러를 축지지하는 카트리지 케이스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끼워맞춤부는, 상기 착탈 방향 중 장착 방향으로,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의 안쪽측의 케이스벽에 형성되어 있는 테이프 카트리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부는, 상기 플래튼 지지축의 선단측을 지지하기 위한 끼워맞춤 공을 갖는 테이프 카트리지.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에 형성되고,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플래튼 롤러를 지지하고 상기 플래튼 롤러의 지름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베어링 공을, 추가로 구비하는 테이프 카트리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공은, 상기 장착 방향에서,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의 앞쪽측의 케이스벽에 형성된 제1 베어링 공과, 그 안쪽측의 케이스벽에 형성된 제2 베어링 공을 갖고,
    상기 끼워맞춤 공은, 상기 제1 베어링 공과 연통하고 있는 테이프 카트리지.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에, 풀어 내어지도록 탑재된 인쇄 테이프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베어링 공은, 상기 플래튼 롤러가, 상기 인쇄 테이프의 풀어 내어짐을 제지하는 제지 위치와 상기 제지를 해제하는 제지 해제 위치의 사이에서, 상기 지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될 때, 상기 플래튼 지지축은, 상기 제지 해제 위치로 이동한 상기 플래튼 롤러에 삽입되는 테이프 카트리지.
KR1020167029635A 2014-03-24 2015-03-19 테이프 카트리지 KR1018925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60916 2014-03-24
JP2014060916A JP6134283B2 (ja) 2014-03-24 2014-03-24 テープカートリッジ
PCT/JP2015/058317 WO2015146797A1 (ja) 2014-03-24 2015-03-19 テープカートリッ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8198A true KR20160138198A (ko) 2016-12-02
KR101892528B1 KR101892528B1 (ko) 2018-08-28

Family

ID=54195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9635A KR101892528B1 (ko) 2014-03-24 2015-03-19 테이프 카트리지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3) US9498994B2 (ko)
EP (1) EP3124262B1 (ko)
JP (1) JP6134283B2 (ko)
KR (1) KR101892528B1 (ko)
CN (1) CN106103113B (ko)
BR (1) BR112016022091A2 (ko)
RU (1) RU2667230C2 (ko)
TW (2) TWI665100B (ko)
WO (1) WO20151467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56926A (en) 2008-12-25 2016-04-15 Brother Ind Ltd Tape cassette
ES2554777T3 (es) 2008-12-25 2015-12-2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Cartucho de cinta e impresora de cinta
EP3546232B1 (en) * 2009-03-31 2023-11-2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WO2010113440A1 (en) 2009-03-31 2010-10-0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and tape printer
WO2011001487A1 (en) 2009-06-30 2011-01-06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and tape printer
EP2845743B1 (en) * 2009-12-16 2018-01-3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EP2520437B1 (en) 2009-12-28 2015-05-2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WO2015146094A1 (ja) * 2014-03-24 2015-10-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テープ印刷装置およびテープ印刷システム
US10543703B2 (en) * 2017-07-31 2020-01-28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and tape cassette unit
JP7143648B2 (ja) * 2018-06-28 2022-09-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テープ印刷装置、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テープカートリッジセット
JP7279537B2 (ja) * 2019-06-19 2023-05-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載置台およびテープ印刷システム
JP2021003831A (ja) * 2019-06-26 2021-01-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テープ印刷装置
JP7314646B2 (ja) * 2019-06-26 2023-07-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テープ印刷装置
JP1659818S (ko) * 2019-06-28 2020-05-18
JP1659863S (ko) * 2019-06-28 2020-05-18
JP7322638B2 (ja) * 2019-09-30 2023-08-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印刷用カセット
CN110949020B (zh) * 2019-11-12 2021-11-05 安庆中船柴油机有限公司 一种用于号码管打印的号码管预加热装置
US10850780B1 (en) 2020-01-23 2020-12-01 William Leo Gross System for reducing aerodynamic drag forces on a trail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823A (ja) 1985-07-05 1987-01-17 Hitachi Zosen Corp 電解複合研摩方法
JPH106579A (ja) * 1996-06-25 1998-01-13 Casio Comput Co Ltd 印刷装置
US5853254A (en) * 1994-12-15 1998-12-29 Seiko Epson Corporation Tape cartridge for use in a tape printer
JP2002178572A (ja) * 2000-12-14 2002-06-26 Seiko Epson Corp プラテンおよびこれを備えたテープ印刷装置
JP2008516798A (ja) * 2004-10-15 2008-05-22 ダイモ 低摩擦カセット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5447A (en) * 1992-10-13 1997-01-21 Seiko Epson Corporation Tape cartridge and printing device having print medium cartridge
JPH11212428A (ja) * 1998-01-27 1999-08-0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606042B2 (ja) 1998-03-20 2005-01-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テープカートリッジ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テープ印刷装置
JP3420544B2 (ja) * 1999-12-03 2003-06-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テープカートリッジ
KR100569169B1 (ko) * 2003-02-13 2006-04-07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테이프 인쇄 장치, 라벨 작성 방법, 및 기억매체
CN104802537A (zh) 2009-04-28 2015-07-29 迪默公司 用于标签打印机中的盒
JP2011046142A (ja) 2009-08-28 2011-03-10 Brother Industries Ltd テープカセットと印字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823A (ja) 1985-07-05 1987-01-17 Hitachi Zosen Corp 電解複合研摩方法
US5853254A (en) * 1994-12-15 1998-12-29 Seiko Epson Corporation Tape cartridge for use in a tape printer
JPH106579A (ja) * 1996-06-25 1998-01-13 Casio Comput Co Ltd 印刷装置
JP2002178572A (ja) * 2000-12-14 2002-06-26 Seiko Epson Corp プラテンおよびこれを備えたテープ印刷装置
JP2008516798A (ja) * 2004-10-15 2008-05-22 ダイモ 低摩擦カセ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46797A1 (ja) 2015-10-01
KR101892528B1 (ko) 2018-08-28
TWI665100B (zh) 2019-07-11
RU2667230C2 (ru) 2018-09-17
CN106103113A (zh) 2016-11-09
CN106103113B (zh) 2018-07-10
US20180099514A1 (en) 2018-04-12
EP3124262B1 (en) 2019-07-24
BR112016022091A2 (pt) 2017-10-31
EP3124262A4 (en) 2018-03-14
US20150283837A1 (en) 2015-10-08
RU2016141414A (ru) 2018-04-26
EP3124262A1 (en) 2017-02-01
JP6134283B2 (ja) 2017-05-24
TWI592314B (zh) 2017-07-21
TW201600354A (zh) 2016-01-01
TW201725128A (zh) 2017-07-16
US20170036464A1 (en) 2017-02-09
RU2016141414A3 (ko) 2018-04-26
US9498994B2 (en) 2016-11-22
JP2015182315A (ja) 2015-10-22
US9884499B2 (en) 2018-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2528B1 (ko) 테이프 카트리지
KR101899525B1 (ko) 테이프 카트리지
KR101892523B1 (ko) 테이프 카트리지
KR101727993B1 (ko) 테이프 카트리지
TWI710477B (zh) 帶匣
JP4428462B2 (ja) テープカセット並びにテープ印字装置
KR101892486B1 (ko) 테이프 카트리지
KR101957333B1 (ko) 테이프 인쇄 장치 및 테이프 인쇄 시스템
TWI654098B (zh) Belt printing device and tape printing system
TWI655107B (zh) Carcass
JP6359721B2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4428461B2 (ja) テープカセット並びにテープ印字装置
JP2009160941A (ja) テープカセット並びにテープ印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