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7398A - 천적곤충의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천적곤충의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7398A
KR20160137398A KR1020160061275A KR20160061275A KR20160137398A KR 20160137398 A KR20160137398 A KR 20160137398A KR 1020160061275 A KR1020160061275 A KR 1020160061275A KR 20160061275 A KR20160061275 A KR 20160061275A KR 20160137398 A KR20160137398 A KR 20160137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te
insect
main body
body portio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2753B1 (ko
Inventor
요시타케 가가와
데쓰오 나카지마
야스오 오야마
다다시 히라오카
Original Assignee
이시하라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다이쿄기켄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하라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다이쿄기켄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시하라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37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7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70Invertebrates
    • A01K2227/706Insects, e.g. Drosophila melanogaster, medfl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IPM의 견지로부터, 천적곤충의 대체먹이인 먹이응애의 습성에 기초하여 최적화된 생식 환경을 제공하고, 먹이응애의 장기간에 걸치는 증식유지를 실현하며, 이것에 의해 먹이응애를 포식하는 천적곤충의 정주성을 장기간에 걸쳐서 향상시킨 천적곤충의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충의 천적곤충의 먹이응애의 증식을 유지함으로써 천적곤충의 정주성을 향상시킨 천적곤충의 보호장치로, 내부에 밀폐공간을 가지는 봉투형상 또는 케이스체 형상의 본체부와, 본체부의 밀폐공간에 배치된, 봉투체 내에 천적곤충 및 먹이응애가 출입 가능하게 수용된 수용부를 구비하며, 서로 대향하는, 본체부의 밀폐공간의 내측 표면과, 수용부의 외측 표면의 간격이 3.0㎜ 이하이며, 더 적합하게는, 밀폐공간에 서방습성의 보수재로 이루어지는 부재를 구비하고, 밀폐공간이, 천적곤충이 외부로 출입 가능하며, 본체부에 살수한 경우에 물이 침입되지 않고, 또, 그 습도가 70% 이상으로 30일간 이상 유지 가능하게 구성된 천적곤충의 보호장치.

Description

천적곤충의 보호장치{NATURAL ENEMY INSECT PROTECTING DEVICE}
본 발명은, 천적곤충의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층 더 상세하게는, 간편한 장치이면서, 해충의 천적이 되는 천적곤충에 대해서는 물론, 특히, 천적곤충의 먹이가 되는 먹이응애의 습성에 기초하여 최적화된 생식 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하여 먹이응애의 증식이 장기간에 걸쳐서 유지되며, 천적곤충의 정주성(定住性)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식물에 대한 해충의 구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한 천적곤충의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천적을 중심으로 한 IPM(종합적 병해충 관리)이 주목받고 있다. IPM은, 예를 들면, 방제 대상의 해충인 잎응애류나 총채벌레류를 먹이로 하는 미야코 이리응애, 스워스키 이리응애, 쿠쿠메리스 이리응애 등의 다식성의 이리응애류를 천적곤충으로서 이용하는 관리 방법이다. 한편, 천적곤충은, 본래의 먹이가 되는 상기의 해충이 없거나 혹은 소수인 경우에, 예를 들면, 설탕응애나 가는다리 고기 진드기와 같은, 소위 먹이응애를 그 대체먹이로서 주면, 증식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들의 먹이응애는, 설탕, 소맥분, 콩가루, 건조과실 또는 가다랭이포 등의 보존식품의 해충으로서 발견되는 것이며, 대량으로 증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이론상은, 먹이응애를 이용함으로써, 천적곤충을 대량으로 번식시킬 수 있다. 그러나, 먹이응애는, 상기한 바와 같이, 천적곤충이 본래의 먹이로 하고 있는, 해충이 활동하는 장소인 생육 중의 작물 상의 환경과는 다른, 설탕, 소맥분 등이 있는 환경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생물이기 때문에, 해충방제의 목적으로, 작물 상에, 이들의 먹이응애를 천적곤충과 함께 시용했다고 해도, 천적곤충의 활동을 충분히 유지할 수 없었다.
상기의 경우에, 천적곤충의 개체수를 유지하기 위해, 이들의 먹이응애를 작물 상에 추가하는 방법도 생각되고 있지만 번잡하다. 또, 화학 농약에 의한 방제와 조합하기 위해서는 추가의 빈도를 늘릴 필요가 있어, 비용이 증대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천적곤충 및 천적곤충의 먹이가 되는 먹이 곤충을 함께 하나의 장치 내에 넣고, 이 장치를 작물 재배포장에 설치하는 방법이 생각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보습제, 물, 천적곤충, 천적곤충의 먹이가 되는 먹이 곤충, 먹이 곤충의 먹이가 되는 곰팡이를 배양하기 위한 배양지 및 천적곤충의 산란 기질을 포괄하는 용기로 구성된 천적곤충 증식장치가 제안되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325541호
그렇지만,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장치는, 구성이 복잡하고, 실용상, 사용하기 쉬운 것이 아니며, 또, 대규모인 것에 비해, 천적곤충의 생식 환경(정주성)의 면에서 반드시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본 발명자들은, 그 원인에 대해 상세하게 검토한 결과, 하기의 지견을 얻었다. 천적곤충에도 그 습성은 있지만, 특히 천적곤충의 먹이가 되는 먹이응애는 좁은 곳을 좋아하는 습성이 있으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장치는, 맨 먼저, 이 점에 대하여 아무런 고안도 되지 않아, 먹이응애의 증식을 지속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생식 환경으로서는 적합한 것이 아니었다.
또,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장치에서는, 적당한 습도의 유지를 위해서, 건조가 계속되는 경우는 장치 위 또는 관개 구멍으로부터 적당한 물을 보충함으로써 습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또, 보습제로서 면 타입 펄프나 알긴산나트륨 등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들의 보습제에 물을 첨가하면, 결국, 장치 내는 물방울이 존재한 상태가 된다. 이것에 대해, 천적곤충, 특히 천적곤충의 먹이가 되는 먹이응애의 증식유지에 있어서는, 하기에 서술하는 이유로, 그 생식 환경에 있어서의 물방울의 존재는 피해야 하며, 둘째로, 이 점에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은 구성의 장치는, 특히 먹이응애의 증식유지에는 적합하지 않고, 장기간에 걸쳐 천적곤충의 정주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더욱 더 검토가 필요하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즉, 예를 들면, 이리응애류 등의 천적곤충의 먹이가 되는, 설탕응애, 가는다리 고기 진드기, 긴털가루 진드기와 같은 가루응애류는, 물을 좋아하고, 물방울이 있으면 그 방향으로 모이는 습성이 있다. 그 한편, 이들 진드기는 몸 길이가 0.3∼0.5㎜로 극히 작기 때문에, 물방울 중에서 빠져 죽어 버리며, 물방울이 존재하는 환경에서는, 먹이응애를 안정하게 확실히 증식유지할 수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천적곤충을 이용하는 IPM(종합적 병해충 관리)에서는, 넓은 작물 재배포장에 다수의 천적곤충의 보호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사용하는 장치는, 염가인 것에 더하여, 작업자에게 주는 부하(수고)가 극력, 경감된 힘의 절약화를 달성한 구성의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에서도, 장치를 설치한 후, 보다 장기간에 걸쳐서 장치로부터, 지속적으로 또 안정하게 천적곤충을 방사할 수 있으면, 장치를 빈번히 교환할 필요가 없어져, 작업자에 있어서의 장치 교환의 수고가 경감되어, 대폭 힘을 덜 수 있어, 지극히 유용하다. 이 점은, 실용화에 있어서 지극히 중요한 점이며, 종래의 장치는, 더욱더 개량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지극히 간편한 구성의 장치이면서, 환경의 변화로부터, 천적곤충과 천적곤충의 먹이가 되는 먹이응애를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것이 가능한 천적곤충의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목적은, IPM(종합적 병해충 관리)의 견지로부터, 특히, 천적곤충의 대체먹이인 먹이응애의 습성에 기초하는 최적화된 생식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 그 정주성을 보다 향상시켜 먹이응애의 장기간에 걸치는 증식유지를 실현하고, 이것에 의하여, 장치 내에 생식하는, 먹이응애를 포식하는 천적곤충의 정주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장기간에 걸쳐서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천적곤충의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최종적인 목적은, 이러한 우수한 천적곤충의 보호장치를 실현하는 것으로, 생물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그 안정된 효과의 발현과 효과의 유지가 지극히 어려운, 천적곤충에 의한 해충의 구제를 안정하게 행할 수 있고, 게다가,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에게 주는 작업상의 부하를 저감한 실용가치가 높은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은, 이하의 본 발명에 의하여 달성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의 천적곤충의 보호장치가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말하는 습도란, 25℃에서의 상대습도를 의미한다.
[1]해충의 천적이 되는 천적곤충의 먹이가 되는 먹이응애의 증식을 유지함으로써 천적곤충의 정주성을 향상시킨 천적곤충의 보호장치로서, 내부에 밀폐공간을 가지는 봉투형상 또는 케이스체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기 밀폐공간에 배치된, 봉투체 내에 상기 천적곤충 및 상기 먹이응애가 출입 가능하게 수용된 수용부를 구비하고, 서로 대향하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밀폐공간의 내측 표면과, 상기 수용부의 외측 표면의 간격이 3.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적곤충의 보호장치.
[2]해충의 천적이 되는 천적곤충의 먹이가 되는 먹이응애의 증식을 유지함으로써 천적곤충의 정주성을 향상시킨 천적곤충의 보호장치로서, 내부에 밀폐공간을 가지는 봉투형상 또는 케이스체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기 밀폐공간에 배치된, 봉투체 내에 상기 천적곤충 및 상기 먹이응애가 출입 가능하게 수용된 수용부와, 서방습성(徐放濕性)의 보수재(保水材)로 이루어지는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밀폐공간이, 상기 천적곤충이 외부로 출입 가능하며, 본체부에 살수한 경우에 물이 침입되지 않고, 또, 그 습도가 70% 이상으로 30일간 이상 유지 가능하게 구성되며, 또한 상기 밀폐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 표면과, 상기 수용부의 외측 표면이 대향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양자의 간격이, 3.0㎜ 이하인 부분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적곤충의 보호장치.
[3]해충의 천적이 되는 천적곤충의 먹이가 되는 먹이응애의 증식을 유지함으로써 천적곤충의 정주성을 향상시킨 천적곤충의 보호장치로서, 내부에 밀폐공간을 가지고, 또, 상기 천적곤충의 외부에의 방사구(放飼口)를 가지는, 적어도 상기 내부의 밀폐공간에 대하여 서방습성성(徐放濕性)을 나타내는 보수재(保水材)로 형성된 봉투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밀폐공간에 배치된, 봉투체 내에 상기 천적곤충 및 상기 먹이응애가 출입 가능하게 수용된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밀폐공간이, 상기 천적곤충이 외부로 출입 가능하고, 본체부에 살수한 경우에 물이 침입되지 않으며, 또, 그 습도가 70% 이상으로 30일간 이상 유지 가능하게 구성되고, 또한 상기 밀폐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 표면과, 상기 수용부의 외측 표면이 대향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양자의 간격이, 3.0㎜ 이하인 부분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적곤충의 보호장치.
[4]상기 밀폐공간이, 80% 이상으로 30일간 이상 유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상기 [2] 또는 [3]에 기재된 천적곤충의 보호장치.
[5]상기 서방습성(徐放濕性)의 보수재(保水材)가, 고흡수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상기 [2] 또는 [3]에 기재된 천적곤충의 보호장치.
[6]상기 수용부가, 서방습성(徐放濕性)의 고흡수성 수지제의 봉투 내에 수용되고, 상기 본체부의 상기 밀폐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2]에 기재된 천적곤충의 보호장치.
[7]상기 본체부는, 봉투형상인 경우는 그 하단에, 케이스체 형상의 경우는 그 바닥면부에, 상기 천적곤충이 외부로 출입 가능한 방사구를 가지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천적곤충의 보호장치.
[8]상기 수용부는, 티백형상의 봉투체 내에, 상기 천적곤충 및 상기 먹이응애의 조합, 또는, 상기 천적곤충 및 상기 먹이응애에 더하여, 상기 천적곤충 및/또는 상기 먹이응애의 증식에 필요한 먹이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조합이 수용된 구성의 것인 상기[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천적곤충의 보호장치.
[9]상기 케이스체 형상의 본체부는, 표면이 발수처리되어 이루어지는 종이제 또는 플라스틱제의, 시트형상 기재로 상기 밀폐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밀폐공간은,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에 대향하는 후면부와, 바닥면부와, 상기 천적곤충이 외부로 출입 가능한 슬릿형상의 방사구를 가지며, 또, 상기 슬릿형상의 방사구 이외, 상기 밀폐공간 내로 외부로부터 물방울이 침입되지 않게 밀봉되어 있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천적곤충의 보호장치.
[10]상기 바닥면부는, 상기 전면부 및/또는 상기 후면부를 구성하고 있는 상기 기재 시트의 적어도 하나의 하단을 접어 구부린 접은 부분에 의하여, 상기 전면부 및/또는 상기 후면부와 구획되어 형성된 것이며, 접어 구부리기 전의 상기 기재 시트의 하단이, 아래로 볼록한 제1의 열호(劣弧)형상이고, 상기 접은 부분의 형상이, 상기 제1의 열호형상의 현에 대하여 대칭인, 위로 볼록한 제2의 열호형상이며, 적어도, 상기 접어 구부러진 하단이, 상기 전면부의 내면 또는 상기 후면부의 내면과 접하는 부분에, 상기 슬릿형상의 방사구가 형성되는 구조의 상기 [9]에 기재된 천적곤충의 보호장치.
[11]상기 천적곤충은, 이리응애류이며, 상기 먹이응애는, 설탕응애, 가는다리 고기 진드기, 긴털가루 진드기와 같은 가루응애류인 상기 [1]∼[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천적곤충의 보호장치.
[12]상기 본체부의 밀폐공간에, 그 내부에 형성되는 빈틈을 메우기 위한 충전용 부재가 더 배치되어 있는 상기 [1]∼[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천적곤충의 보호장치.
[13]상기 충전용 부재가, 펠트, 간극시트, 마제의 뿌리감는 시트, 털실, 헴프사, 수예면 및 탈지면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상기 [12]에 기재된 천적곤충의 보호장치.
[14]상기 본체부에 연결된, 설치대상인 상기 해충으로부터 보호해야 할 작물의 지엽(枝葉)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를, 더 구비한 상기 [1]∼[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천적곤충의 보호장치.
[15]상기 본체부는, 상기 밀폐공간을 구성하는, 적어도 전면부, 상기 전면부에 대향하는 후면부, 상기 바닥면부 및 상기 방사구를 가지는 케이스체 형상이며, 상기 전면부 및 상기 후면부는, 그들의 하단이, 각각 아래로 볼록한 제1의 원호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전면부는, 상기 제1의 원호형상의 양단에 연이어 접하고, 상기 제1의 원호형상에 대칭인, 위로 볼록한 제2의 원호형상의 접은 부분을 가지며, 상기 바닥면부는, 상기 전면부의 제2의 원호형상의 접은 부분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전면부의 하단을 상기 후면부의 내면에 슬라이딩 접촉시키면서, 거의 90도가 될 때까지 안쪽으로 접어 구부림으로써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제2의 원호형상의 상기 접은 부분으로부터 상기 전면부의 하단과 상기 후면부의 내면과의 슬라이딩 접촉부까지 연재하는, 하면에서 보아 타원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방사구는, 상기 전면부의 하단과 상기 후면부의 내면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천적곤충의 보호장치.
본 발명에 의하면, 지극히 간편한 구성의 장치이면서, 환경의 변화로부터, 천적곤충과, 천적곤충의 먹이가 되는 먹이응애를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것이 가능한 천적곤충의 보호장치가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의하면, IPM(종합적 병해충 관리)의 견지로부터, 특히 천적곤충의 대체먹이인 먹이응애의 습성에 기초하여 최적화된 생식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 그 정주성을 보다 향상시켜 먹이응애의 장기간에 걸치는 증식유지를 실현하고, 이것에 의하여, 장치 내에 생식하는, 먹이응애를 포식하는 천적곤충의 정주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장기간에 걸쳐서 실현할 수 있는 실용가치가 높은 천적곤충의 보호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우수한 천적곤충의 보호장치를 실현하는 것으로, 생물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그 안정된 효과의 발현과 효과의 유지가 지극히 어려운, 천적곤충에 의한 해충의 구제를 안정하게 행할 수 있고, 게다가, 사용하는 작업자에 대한 설치작업 등에 있어서의 부하를 저감할 수 있는, 경제적으로 실용가치가 높은 기술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천적곤충의 보호장치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천적곤충의 보호장치의 수용부의 구성을 일부 파단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 중의 원내는, x-x'선에 있어서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천적곤충의 보호장치의 조립 전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전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천적곤충의 보호장치의 수용부의 구성을 일부 파단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천적곤충의 보호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천적곤충의 보호장치의 수용부의 구성을 일부 파단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들어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현상에 대해, 본 발명자들은, 천적곤충의 먹이가 되는 먹이응애의 습성 등에 대하여 상세한 검토를 행하여, 먹이응애를 보다 장기간에 걸쳐 확실하게 또 안정적으로 증식시키는 것이 가능한, 먹이응애의 생식 환경을 최적화한 상태의 간단하고 쉬운 장치를 완성시킬 수 있으면, 먹이응애를 먹이로 하는 천적곤충을, 장기간에 걸쳐서 상기 장치로부터 지속적으로 방사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는 인식아래, 예의 검토를 행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이미, 해충의 천적이 되는 천적곤충을 증식시키는 장치로서, 해충 구제를 위한 천적곤충 증식용 먹이 먹는 장소ㆍ산란장소ㆍ성충의 보금자리를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농업용 또는 원예용의, 내부에 천적곤충을 수용시킨, 종이제 혹은 플라스틱제의 시트기재로 이루어지는 케이스체 형상의 간단하고 쉬운 구조의 천적곤충 보호장치를 제안하고 있다(일본특허공보 제5681334호). 그리고, 그 실시예에서는, 천적곤충의 수용부인 봉투체에, 천적곤충의 증식에 필요한 먹이로서, 쌀겨나 밀기울 등과 함께 먹이응애를 수용시키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에서 제안한 장치에 의해서도, 천적곤충을 지속적으로 방사할 수 있어, 종래의 장치보다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해충 구제를 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고 있지만, 먼저 서술한 보다 실용가치를 높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먹이응애를, 보다 적극적으로 또 확실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가지기에 이르렀다.
상기 인식 아래,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자들이 이미 제안되어 있는 장치보다, 보다 효과적인 천적곤충의 보호장치를 개발할 수 있도록 예의 검토를 행하였다. 그 과정에서, 종이제 혹은 플라스틱제의 시트기재로 이루어지는 케이스체의 내부 형상을 여러 가지로 변경하고, 천적곤충은 물론, 그 먹이가 되는 먹이응애의 최적인 생식 환경을 찾아낼 수 있도록 예의 검토를 행하였다. 그 결과, 천적곤충의 먹이가 되는 가루응애류는, 특히 좁은 공간을 좋아하는 습성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케이스체 형상의 본체부의 내부에 형성한 밀폐공간에, 봉투체 내에 천적곤충 및 먹이응애가 출입 가능하게 수용된 수용부를 배치할 때에, 밀폐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 표면과, 상기 수용부의 외측 표면이 대향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양자의 간격을 좁게 하여 검토를 행한 결과, 좁게 함으로써, 특히 먹이응애의 증식이 양호하게 유지되며, 이것에 의하여 천적 해충도 밀폐공간 내에서, 보다 장기간에 걸쳐서 지속적으로 생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을 찾아냈다.
그리고, 슬릿형상의 약간의 빈틈이 있으면, 천적곤충은 밀폐공간 내에서 외부로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어, 생육중 작물 위의 해충을 포식하여, 결과적으로 IPM가 양호한 상태로 지속적으로 행해지는 것을 확인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좁은 공간으로서, 먹이가 되는 가루응애류가 주위에 벽을 느낀다고 생각할 수 있는 정도의, 적어도 3.0㎜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더는 1.0㎜ 이하의 좁은 간격의 공간이 생식 환경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때문에, 케이스체 형상의 본체부의 내부에, 천적곤충 및 먹이응애가 출입 가능하게 수용된 수용부를 배치한 상태에서, 밀폐공간의 내부에 3.0㎜ 초과의 빈틈이 형성되는 경우는, 이 빈틈을 메우기 위한 충전용 부재를 더 배치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천적곤충 및 먹이응애의 생식 영역에, 간격이 3.0㎜ 이하인 부분을 보다 많이 마련할 수 있으므로, 특히 먹이응애의 증식이 보다 양호하게 유지된다. 이 결과, 천적곤충의 정주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점에 대한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물리적인 생식 환경에 더하여, 온도나 습도 등도 중요한 인자가 된다고 생각하여, 이 점에 대해서도 상세한 검토를 행하였다. 천적곤충인 이리응애류의 생식 환경을 양호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습도를 적당히 유지하는 것이 요구되는 것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앞의 특허문헌 1에서는, 보습제로 물을 적셔 보습상태를 상시 유지함으로써, 천적곤충의 생식 장소의 습도를 55%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고 있다. 이것에 대해, 특허문헌 1의 실시예에 의하면, 이용하는 보습제의 종류에도 의하지만, 보다 습도 유지성이 우수한 알긴산나트륨을 사용했다고 해도, 1일 후의 습도가 99%RH인 것에 대하여, 7일 후의 습도가 72%RH, 14일째에는 51%로 저하하고 있다. 이것에 대해,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그 대책으로서, 증식장치 내의 보습제로, 약 1주간 간격으로 주수(注水) 한다고 되어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먼저 서술한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장치 환경에, 천적곤충의 먹이가 되는 가루응애 등의 먹이응애를 존재시킨 경우, 물을 좋아하는 습성이기 때문에, 주수된 물방울로 모여, 수중에서 빠져 죽어 버려, 특히 먹이응애의 증식을 안정하게 유지하는 것은 어렵다는 지견을 얻었다. 또한, 상기의 기술은, 사용자에, 증식장치 내의 보습제로, 약 1주간 간격으로 주수하는 작업을 강요하는 것이며, 실용화의 점에서도 과제가 있었다. 또, 더욱 더 검토의 결과, 천적곤충의 먹이가 되는, 설탕응애, 가는다리 고기 진드기, 긴털가루 진드기와 같은 가루응애류는, 천적곤충보다 습도가 높은, 구체적으로는, 습도가 7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습도가 80% 이상의 고습도 환경이, 그 생식 환경으로서 특히 적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한 여러 가지의 지견에 대해, 본 발명자들은, 먼저 본 발명자들이 제안한, 내부에 천적곤충을 수용시킨, 종이제 혹은 플라스틱제의 시트기재로 이루어지는 케이스체 형상의 간단하고 쉬운 구조의 천적곤충 보호장치(이하, 종래의 장치로 칭함)에 대하여, 보다 상세한 검토를 행하였다. 그 결과, 종래의 장치는, 비교적으로 좁은 공간이 존재하는 구조로 되어 있지만, 이 점을 강하게 의식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특히 먹이응애에 있어서 최적인 생식 공간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 아니였다. 이것에 대해, 기본적으로는, 후술하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먹이응애의 먹이 먹는 장소의 근방에, 먹이응애가 좋아하는 좁은 공간을 확실히 형성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밀폐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본체부의 내측 표면과, 봉투체 내에 천적곤충 및 먹이응애가 출입 가능하게 수용된 수용부의 외측 표면이 대향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양자의 간격이, 3.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하가 되는 부분을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먹이응애의 증식유지에 지극히 효과적이다. 또, 먼저 서술한 바와 같이, 간격이 3.0㎜ 이하인 부분을 보다 많이 마련하는 목적에서, 본체부의 밀폐공간 내부에 형성되는 3.0㎜ 초과의 빈틈을 메우기 위한 충전용 부재를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먼저 본 발명자들이 제안한 종래의 장치 내에 있어서의 습도를 측정한 결과, 적어도 1개월 반에 걸쳐, 장치 내에 있어서의 습도는, 적어도 50% 이상으로 안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확인했다. 그 한편, 종래의 장치에서는, 형태에 의하여, 그 정도는 다르지만, 장치 내에의 물의 침입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상시, 식물에 살수가 행해지는 것을 상정하여, 종래의 장치를 향하여 강하게 혹은 다방향에서 살수되면, 장치 내에의 물의 침입을 피할 수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으로부터, 장치 내의 환경을, 종래의 장치보다 보다 높은 습도를 안정하게 유지하는 상태로 하는 것에 더하여, 살수했다고 해도 물이 침입되지 않는 장치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가졌다.
그 때문에, 살수한 경우나, 비가 내린 경우에, 장치 내에 물이 침입되지 않게, 적어도 천적곤충이 외부로 출입할 수 있는 정도의 협소한 방사구가 필요하지만, 천적곤충과 그 먹이응애가 생식하는 밀폐공간은, 가능한 한 외부로부터 물방울이 침입되지 않게 밀봉된 상태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 구성에 더하여, 천적곤충과, 그 먹이응애가 생식하는 밀폐공간 내는, 그 습도가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는 85% 이상으로, 적어도 30일간, 유지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으면, 천적곤충을 장기간에 걸쳐서 안정하게 방사할 수 있어, 실용가치가 지극히 높은 천적곤충의 보호장치가 된다. 본 발명자들은, 이 점에 대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극력, 밀봉된 구조의 본체부의 밀폐공간 내에 서방습성(徐放濕性)의 보수재를 얹어놓음으로써, 밀폐공간 내의 습도를, 상기한 고습도로, 또, 30일간 이상, 유지할 수 있는 것을 찾아냈다.
서방습성(徐放濕性)의 보수재로서는, 원예용으로 개발된 고흡수성 수지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 고흡수성 수지는, 예를 들면, 물을 머금은 상태로 본체부의 밀폐공간 내에 삽입한다고 하는, 사용자에 있어서 간편한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간편한 사용 방법이면서, 먹이응애가 생식하는 밀폐공간 내의 습도를 상기 한 적절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고흡수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이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흡수성 수지 이외에도, 물을 통과시키지 않고 수증기만을 통과시키는 투습성의 막으로 물 또는 수분을 봉입한 형태의 것 등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수분이란, 예를 들면, 흡수성 수지 등에 물을 머금은 것 등, 투습성의 막을 통하여 수증기를 방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가리킨다. 이때에 사용되는 흡수성을 나타내는 재료로서는, 범용의 흡수성 수지나, 먼저 든 원예용으로 개발된 고흡수성 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이들 이외에도, 예를 들면, 한천, 만난(mannan), 아가(agar), 젤라틴, 펙틴 등의 자연유래물 외, 그들 자연유래물 등으로부터 만들어진 겔화제나 증점제 등도 이용할 수 있다. 즉, 이들에 물을 머금은 상기 투습성의 막에 봉입한 형태의 것을, 본체부의 밀폐공간 내에 얹어놓기 때문에 서방습성의 보수재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원예용으로 개발된 고흡수성 수지나 투습성의 막은, 물 또는 수분을 봉입한 후는 수증기상태로 방습하는 것이며, 비록 물을 좋아하는 먹이응애가 모여도, 그 표면을 먹이응애가 보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결코 빠져 죽어 버리는 일은 없다. 이러한 보수재를 사용하는 것은, 먹이응애의 증식을 지속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생식 환경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서방습성의 보수재로서 유용한 고흡수성 수지로서는, 대표적인 것으로는 폴리아크릴산염 가교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고, 이들은, 크리스탈 소일 등의 명칭으로도 판매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제품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시판되고 있는, 예를 들면, 산요카세이(三洋化成)제의 아쿠아 펄(상품명), 산웨트(상품명)나, 가부시키가이샤 다이소산교(株式會社大創産業)가 판매하는 주얼폴리머(상품명)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고흡수성 수지는, 물을 더함으로써 100배 이상으로 팽창하고, 내부에 많은 물을 보수(保水)할 수 있는 한편, 서방습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흡수성 수지제의 볼을 사용하는 경우는, 물을 더하여 팽창시킨 상태에서 물을 제거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 이유는, 먼저 서술한 바와 같이, 밀폐공간 내에 물방울이 존재하면, 먹이응애가 물방울로 향하여 모여, 물방울에 빠져 버리기 때문에, 증식을 안정하게 유지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고흡수성 수지제의 볼은, 물을 더하여 팽창시킨 상태의 것을, 그대로 본체부의 밀폐공간 내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물을 더하여 팽창시킨 고흡수성 수지제의 볼을 복수로 이용하는 경우는, 그들을 투습성의 봉투 등에 봉입한 형태로, 본체부의 밀폐공간 내에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본체부의 밀폐공간 내의 습도를, 예를 들면, 70% 이상 상태로 30일간 유지되는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본체부의 밀폐공간 내에 배치시키는 보수재는, 수증기가 적절히 계속 방출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기능을 나타내는 보수재로서 유용한 고흡수성 수지(고분자 화합물)의 소재로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주위의 온도에 따라 수증기의 방출이 조절되는 기능성을 나타내는, 온도 응답성의 고분자 화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상온 부근 또는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수증기를 방출하고, 상온을 밑도는 온도, 특히 결로가 염려되는 온도에서는, 수증기의 방출이 멈추거나 흡습되거나 하는 기능성을 나타내는 고분자 화합물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고분자 화합물은 시판의 것을 이용할 수 있고, 상품마다 설정되어 있는, 방습, 흡습 온도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천적곤충의 보호장치를 적용하는 재배 대상 작물이나 재배 시설의 조건 등에 따라 적당히 선택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복수종의 고분자 화합물을 병용하는 것도 바람직한 형태이다.
먼저 서술한 바와 같이, 물을 흘려보내지 않고, 수증기만을 흘려보내는 투습성의 막으로, 물 또는 수분을 봉입한 형태의 보수재를 이용하여, 상기 투습성의 막을 통하여, 상기 보수재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를 상기의 밀폐공간 내에 도입되도록 하고, 밀봉된 구조의 본체부의 밀폐공간 내의 습도를 원하는 고습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형태도, 본 발명의 천적곤충의 보호장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이다. 이 경우, 사용하는 보수재는, 상술의 서방습성을 나타내는 고흡수성 수지로 한정되지 않고, 먼저 예시한 바와 같은 여러 가지의 보수성을 나타내는 재료를 적당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형태로 한 경우는, 예를 들면, 투습성 막의 면적이나 두께나, 막의 재료를 적당히 조절함으로써, 본체부의 밀폐공간 내의 습도를 원하는 상태로 조절할 수 있다.
투습성의 막으로 물 또는 수분을 봉입한 봉투형상의 보수재를, 예를 들면, 두께 0.5∼10.0㎜ 정도의 얇은 형상으로 하면, 본체부의 안쪽에 붙인 상태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는, 본 발명의 천적곤충의 보호장치를 작물 재배포장에 설치할 때에 생기는, 보수재를 상기 장치 내에 삽입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설치시의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등, 실용면에서 유용하다. 상기 물 또는 수분을 봉입한 봉투형상의 보수재는, 예를 들면, 세로가 20∼100㎜정도, 가로가 20∼100㎜정도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봉투형상의 보수재를 본체부의 안쪽에 붙인 상태로 이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천적곤충의 보호장치를 작물 재배포장에 설치하기 전에 수증기가 방출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투습성의 막으로 이루어지는 봉투 부분을 방습성의 시트 등으로 덮는 것이 유효하다. 이와 같이 하면, 설치시에 상기 방습성 시트를 벗김으로써, 로스 없이 효율적으로, 보호장치 내의 밀폐공간 내의 습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이와 같이 보수재를 본체부의 안쪽에 붙여, 방습성의 시트 등으로 덮은 상태로 이용하는 것은, 상기한 형태로 한정하지 않고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수시킨 고흡수성 수지를 투습성의 막에 봉입하지 않고, 본체부의 안쪽에 직접 붙여, 방습성의 시트 등으로 덮은 상태로 이용해도 좋다. 상기에서 사용하는 물을 흘려보내지 않고 수증기만을 흘려보내는 투습성의 막으로서는, 예를 들면, 미다공질성의 폴리올레핀계 필름 등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미츠비시 수지제의 투습 필름 KFT(상품명)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적곤충의 보호장치를, 온실, 비닐하우스 등의 시설 내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 이들의 시설 내는, 통상, 습도 조정이 행해지지 않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천적곤충의 보호장치에 있어서, 본체부의 밀폐공간 내의 습도를 원하는 범위로 유지하는 것은, 천적곤충의 안정방사를 위해서 지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의 천적곤충의 보호장치에 의하면, 상기 밀폐공간 내의 습도를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85% 이상으로, 적어도 30일간 유지할 수 있다. 그 구체적인 수단으로서는, 본체부의 크기, 거기에 이용하는 재질의 차이 등에 의해 달라,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 없다. 예를 들면, 보수재를 물 또는 수분을 포함한 상태의 중량으로, 통상 0.8∼20g, 바람직하게는 4∼10g이 되도록 밀폐공간 내에 얹어놓음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현한 일례의 실시형태에 따른 천적곤충의 보호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천적곤충의 보호장치(10)는, 하기의 구조적 특징을 가지는 것으로, 해충의 천적이 되는 천적곤충의 먹이가 되는 먹이응애의 증식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천적곤충의 정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천적곤충의 보호장치는, 내부에 밀폐공간을 가지는 봉투형상 또는 케이스체 형상의 본체부(11)와, 본체부(11)의 밀폐공간에 배치된, 봉투체 내에 천적곤충 및 먹이응애가 출입 가능하게 수용된 수용부(12)를 구비하고, 서로 대향하는, 본체부(11)의 밀폐공간의 내측 표면과, 수용부(12)의 외측 표면과의 간격이 3.0㎜ 이하인 부분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천적곤충의 보호장치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1)의 밀폐공간 내에, 서방습성의 보수재로 이루어지는 부재(15)가 더 배치된 형태로 함으로써, 보다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된다. 이하, 구성요소마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체부(11))
본 발명의 천적곤충의 보호장치를 구성하는 본체부(11)는, 공간을 가지는 봉투형상 또는 케이스체 형상이며, 케이스체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면, 원기둥 형상(바닥면이 타원, 트랙형상인 것을 포함함), 각기둥 형상(바닥면이, 삼각형, 사각형 이상의 다각형인 것을 포함함) 등을 가지는 것을 들 수 있다. 한편, 바닥면의 크기는, 장방형으로 환산하여, 예를 들면, 10∼50×30∼100㎜정도의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체부의 세로는 80∼300㎜정도, 가로는 70∼200㎜정도의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내부에 밀폐공간을 가지는 본체부(11)는,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이 또는 플라스틱제의 시트형상의 기재를, 단책(短冊)형상으로 타발하여,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체 형상으로 조립함으로써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타발하는 방법이나 조립방법에 대해서는 특히 제한은 없다. 본체부(11)를 봉투형상으로서(도시하지 않음), 수용부(12)의 크기에 맞춘 종이제 또는 플라스틱제의 봉투를 사용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체부(11)의 형상을, 공간을 가지는 봉투형상 또는 케이스체 형상으로 함으로써, 본체부(11)에 수용되는, 후술하는 수용부(12)의 생식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즉, 본체 상부에서 측면에 걸쳐 밀봉하여,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물방울이 침입되지 않게 할 수 있음과 함께, 습도를 적당히 유지하는 것, 태양광선 등의 광선을 차단하고, 열선에 의한 고온을 방지하는 것, 천적 이리응애에 영향이 강한 화학농약 등의 살포에 대한 숨을 장소(쉘터)를 제공하는 것, 들쥐나 민달팽이 등의 식충해를 방지하는 것 등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효과는, 후술하는 수용부(12)의 외측 표면과 본체부(11)의 내측 표면이 구성하는 간격 관계와 조합됨으로써, 상승적으로 증대한다.
본체부(11)를 구성하는 기재는, 탄력성이나 가요성을 가짐과 함께, 비와 이슬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방수성이나 내후성을 가지며, 일반 쓰레기로서 폐기 가능한 재료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본체부에 연결하는, 후술하는 설치부(13)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면, 합성지, 표면이 발수처리되어 이루어지는 종이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폐기시의 환경 부하가 작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밀크 카톤지, 코트보드지, 양면 PE(폴리에틸렌)필름 라미네이트지 등을 들 수 있다. 또,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롤 및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일종의 합성수지, 금속박, 또는 부직포라도 좋다. 또, 통상 0.01∼2.0㎜, 바람직하게는 0.1∼0.5㎜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부(1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적곤충이 공간에서 외부로 나오는 것이 가능한 방사구(빈틈)를 가지는 것이, 천적곤충의 증식 후의 활동을 위해서 바람직하다. 한편, 빈틈으로서는, 천적곤충을 통과할 수 있는 약간의 빈틈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 살수 등에 의하여 내부로 물이 침입할 우려를 고려하면, 본체부 하부의 바닥면 근방에 위치하는 슬릿형상의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1)는, 밀폐공간을 구성하는, 적어도 전면부(A), 상기 전면부(A)에 대향하는 후면부(B), 바닥면부(C) 및 방사구(D)를 가지는 케이스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본체부(11)는 케이스체 형상이며, 표면이 발수처리되어 이루어지는 종이제 또는 플라스틱제의, 시트형상 기재로 밀폐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밀폐공간은, 전면부(A)와, 상기 전면부(A)에 대향하는 후면부(B)와, 바닥면부(C)와 천적곤충이 외부로 출입 가능한 슬릿형상의 방사구(D)를 가지며, 또, 이 슬릿형상의 방사구 이외, 밀폐공간 내에 외부로부터 물방울이 침입하지 않게 밀봉된 상태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나타낸 전개도를 하기와 같이 조립함으로써, 도 1에 나타낸 구성의 본체부(11)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바닥면부(C)는, 상기 전면부(A)를 구성하고 있는 상기 기재 시트의 적어도 하나의 하단을 접어 구부린 접은 부분에 의하여, 상기 전면부(A)와 경계되어 형성된 것이며, 접어 구부리기 전의 상기 기재 시트의 하단이, 아래로 볼록한 제1의 열호형상으로, 상기 접은 부분의 형상이, 상기 제1의 열호형상의 현에 대하여 대칭인, 위로 볼록한 제2의 열호형상이며, 적어도, 상기 접어 구부러진 하단이, 상기 후면부(B)의 내면과 접하는 부분에, 상기 슬릿형상의 방사구(D)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술하면, 도 3에 나타낸 전개도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 1에 나타낸 구성의 본체부(11)는, 전면부(A) 및 후면부(B)는, 그들의 하단이, 각각 아래로 볼록한 제1의 원호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전면부(A)는, 제1의 원호형상의 양단에 연이어 접하고, 제1의 원호형상에 대칭인, 위로 볼록한 제2의 원호형상의 접은 부분(e)을 가지며, 바닥면부(C)는, 전면부의 제2의 원호형상의 접은 부분을 기준으로 하여, 전면부(A)의 하단을 후면부(B)의 내면에 슬라이딩 접촉 시키면서, 거의 90도가 될 때까지 안쪽으로 접어 구부림으로써 형성됨과 함께, 제2의 원호형상의 상기 접은 부분으로부터 전면부(A)의 하단과 후면부(B)의 내면과의 슬라이딩 접촉부까지 연재하는, 하면에서 보아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며, 또한 방사구(D)는, 전면부의 하단과 후면부의 내면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면부를 마련하는 부분을 하기와 같이 구성하는 것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이다. 도 5에 나타낸 천적곤충의 보호장치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도 1에 나타낸 형태의 장치에 있어서 후면부(B)를 구성하고 있는 기재 시트의 하단을 한층 더 접어 구부림으로써, 본체부(11)를 구성하는 전면부(A)에 이어서 설치된 바닥면부(C)에 중첩하여 바닥면부(C')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바닥면부(C)의, 후면부의 내면과 접하는 위치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형성된 슬릿형상의 방사구(D)가, 바닥면부(C')를 형성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도 5에 나타낸 형태의 천적곤충의 보호장치에 의하면, 예를 들면, 식물에 살수한 경우에, 천적곤충의 보호장치(10)의 하부에 마련된 슬릿형상의 방사구(D)를 통하여 장치의 내부에 물방울이 침입하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수용부(12))
본 실시의 형태에 이용되는 수용부(12)는, 본체부(11)의 공간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적곤충이 출입 가능하게 수용된, 공기로(空氣路)의 확보 때문에, 예를 들면, 적어도 2개의 관통구멍(1 이상의 소정의 크기의 개구라도 좋다)(도시하지 않음)을 가지는, 예를 들면, 4∼8×4∼8㎝의 정방형 또는 장방형의 티백형상의 봉투체 내에, 천적곤충과 먹이응애의 조합, 혹은, 천적곤충과 먹이응애와, 천적곤충 및/또는 먹이응애의 증식에 필요한 먹이와의 조합이 수용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천적곤충의 추가적인 먹이 먹는 장소를 제공할 수 있음과 함께, 상술의 본체부(11)가 가지는 기능에 더하여, 예를 들면, 천적곤충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화학농약으로부터 한층 더 쉘터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천적곤충으로서는, 미야코 이리응애, 스워스키 이리응애, 쿠쿠메리스 이리응애 등 다식성의 이리응애류를 적합예로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천적곤충의 활동을 지탱하는 먹이로서, 적어도 먹이응애(설탕응애, 가는다리 고기 진드기, 긴털가루 진드기 등)를 이용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먹이응애(설탕응애, 가는다리 고기 진드기, 긴털가루 진드기 등)에 더하여, 먹이응애의 먹이가 되는 밀기울, 설탕 등을 병용하면 좋다. 한편, 수용부(12) 내에 보습제를 더해도 좋지만, 먼저 서술한 바와 같이, 사용하는 보습제는, 물방울이 생기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용부(12)로서는, 예를 들면, 스워스키 이리응애 250마리에 대하여, 먹이응애를 500∼2000마리 정도 이용하고, 이것에, 밀기울을 3.0g, 설탕을 0.15∼0.6g 혼합한 것을 들 수 있다. 또, 아리스타 라이프 사이언스사제, 상품명 「스워스키플러스」를 이용해도 좋다.
(밀폐공간 내)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천적곤충의 보호장치에서는, 본체부(11)의 내부에 밀폐공간(14)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상기한 수용부(12)를 배치하지만, 먼저 서술한 바와 같이, 그때, 상기 본체부(11)의 내측 표면과 수용부(12)의 외측 표면과 본체부 내측 표면이 구성하는 간격이, 3.0㎜ 이하의 부분을 가지도록 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간격이 2.0㎜ 이하, 또는 1.0㎜ 이하의 가능한 한 좁은 간격인 부분이 형성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 간격은, 수용부(12)를 본체부(11) 내에 삽입할 때에 조정할 수 있다. 이 간격은, 노기스(vernier caliper), 디지털 노기스 또는 빈틈 게이지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천적곤충의 보호장치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밀폐공간(14) 내에, 먼저 서술한 서방습성의 보수재로서,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로 팽윤시킨 입상(粒狀)의 고흡수성 수지(15)를 수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지극히 용이하게, 밀폐공간(14) 내의 습도를, 70% 이상으로 30일간 이상, 또한, 80% 이상으로 30일간 이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밀폐공간(14) 내에, 물로 팽윤시킨 시트형상의 고흡수성 수지를 배치해도 좋으며, 물로 팽윤시킨 시트형상의 고흡수성 수지를 봉투형상으로 하고, 그 속에 수용부(12)를 배치하도록 하는 것도 유효하다(모두 도시하지 않음).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천적곤충의 보호장치로서는, 본체부를, 내부에 밀폐공간을 가지고, 또, 천적곤충의 외부에의 방사구를 가지는, 적어도 본체부 내부에 형성되는 밀폐공간에 대하여 서방습성을 나타내는 보수재로 형성된 봉투형상으로 하고(도시하지 않음), 이 속에, 천적곤충 및 먹이응애가 출입 가능하게 수용된 수용부(12)를 배치하도록 구성한 것이라도 좋다. 이 경우는, 봉투형상의 본체부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외측의 표면을 발수성이 되도록 하고, 또, 안쪽의 봉투체의 내면의 형성재료를, 서방습성을 나타내는 보수재로 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대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밀폐공간은, 천적곤충이 외부로 출입 가능하고, 본체부에 살수한 경우에 물이 침입되지 않으며, 또, 그 습도가 70% 이상으로 30일간 이상 유지 가능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천적곤충의 보호장치에서는, 밀폐공간(14) 내부의, 본체부(11) 내측 표면과 수용부(12) 외측 표면의 간격이 3.0㎜ 이하인 부분을 많이 가지는 구성으로 하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 수용부(12)를 배치한 밀폐공간(14) 내부에 형성되는 빈틈을 메우기 위한 충전용 부재를 더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충전용 부재로서는, 펠트, 간극시트, 마제 뿌리감는 시트, 털실, 헴프사, 수예면 및 탈지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부재는, 상기 빈틈에 채워 사용하거나, 수용부(12)를 사이에 끼워 사용하거나 할 수 있다. 사용하는 충전용 부재의 크기는, 펠트와 같은 시트형상의 것이면, 50∼200㎜×50∼200㎜정도로 두께가 1∼10㎜정도이며, 털실이나 면과 같은 끈 형상이나 괴상(塊狀)의 것이면, 상기 빈틈에 가득 채워 넣도록, 적당하게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빈틈을 메우는 부재를 사용한 경우, 예를 들면, 먹이응애의 산란장소가 될 수 있고, 먹이응애의 증식을 유지하며, 나아가서는 천적곤충의 정주성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우수한 효과를 가져온다.
(설치부(13))
본 발명의 천적곤충의 보호장치(1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1)에 연결된, 설치대상인 해충으로부터 보호해야 할 작물의 지엽(도시하지 않음)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13)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치부(13)에 의하여, 설치대상인 지엽 등에, 직접 간단하고 쉽게 매달 수 있다. 한편, 사용의 형태에 따라서는, 예를 들면, 해충으로부터 보호해야 할 작물의 지엽에, 설치부(13)를 이용하지 않고 설치해도 좋다. 도 1∼4에 나타낸 천적곤충의 보호장치(10)에서는, 본체부(11)를 구성하는 후면부(B)를 형성하는 시트에 계속하여 일체적으로 마련한 설치부(13)를 이용함으로써, 본체부(11)의 내부에 마련하는 밀폐공간에, 살수한 경우에도 물방울이 침입되지 않게 밀봉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나타낸, 본체부(11)를 구성하는 후면부(B)에 계속하여 마련한 풀칠하는 부분인 (a)의 부분을 안쪽으로 접어 구부리고, 상기 (a)의 부분에 본체부(11)를 구성하는 전면부(A) 측단의 내벽의 (b)의 부분을 중첩하여 풀로 붙인 후, 본체부(11)를 구성하는 후면부(B)에 계속하여 마련한 설치부(13)의, 상기 설치부(13)와, 본체부(11)를 구획하는 경계에 있는 파선의 위치에서, 설치부(13)를, 본체부(11)를 구성하는 전면부(A)측에 접어 구부리며, 또한 도 3에 나타낸 띠 형상의 (c)의 부분만이 전면부(A)의 상단부(d)와 중첩하도록, 설치부(13)를 파선의 위치에서 다시 접어 구부리고, 이 중첩된 부분을 접착제 혹은 스테플러 등으로 고정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1)의 내부에 특히 상부가 강고하게 밀봉된 밀폐공간의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그 제법은 지극히 간편하여, 이 점에서 실용적이다.
설치부(13)로서는,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상을 가지고, 그 사각형상의 상변을 제외하고, 다른 3변에는 본체부(11)의 기재에 연결된 부분을 관통하는 연속된 잘려진 부분이 형성되며, 또, 다른 3변의 잘려진 부분 중 좌우 2변의 잘려진 부분이 서로 대칭형 또는 비대칭형의 톱형상을 가지고, 사각형상의 상변을 남기고 3변의 잘려진 부분을 떼어냄으로써, 설치대상을 기재와의 사이에서 탈착 가능하게 끼워 지지할 수 있는 설편(舌片)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들 수 있다.
(천적곤충의 보호장치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천적곤충의 보호장치(10)는, 그것이 케이스체 형상인 경우,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전개도를 따라서, 플라스틱 또는 종이제의 시트형상의 기재를 단책형상으로 타발하여,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체 형상으로 조립하여 본체부(11)를 형성하고, 수용부(12)를 삽입하여, 배치함으로써, 천적곤충의 보호장치(10)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봉투형상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제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1 또는 도 5에 나타낸 실시형태로 하는 경우, 바닥면부(C)만을 조립하지 않은 시트형상의 것과, 이것에 적어도 천적곤충과 먹이응애가 수용된 수용부(12)와, 필요에 따라서 물로 팽윤시키기 전의 볼 형상의 고흡수성 수지를 조합한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작업자가, 본체부(11)의 내부에, 수용부(12)와, 필요에 따라서 물로 팽윤시켜, 물을 제거한 볼 형상의 고흡수성 수지를 바닥면부(C)측으로부터 단순히 삽입하고, 그 후에 바닥면부(C)만을 조립하는 것만으로,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유용한 천적곤충의 보호장치(10)를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제품으로서는, 상기 볼 형상의 고흡수성 수지로 바꾸고, 투습성의 막으로 물 또는 수분을 봉입하여 이루어지는 봉투형상의 보수재를 얇은 형상으로서 이용한 것을 들 수 있다. 먼저 서술한 바와 같이, 이 경우는, 본체부(11)의 안쪽에 봉투형상의 보수재를 미리 붙인 상태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면, 작업자가 본체부(11)의 내부에, 수용부(12)를 바닥면부(C)측으로부터 단순히 삽입하고, 그 후에 바닥면부(C)만을 조립하는 것만으로,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유용한 천적곤충의 보호장치(10)를, 보다 간편하게 얻을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천적곤충의 보호장치를, 실시예를 이용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의하여, 어떠한 제한을 받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에 나타내는 천적곤충의 보호장치(10)를, 하기와 같이 하여 제작했다. 우선, 두께가 0.4㎜의 표면을 발수처리한 종이제 시트형상의 기재를 단책형상으로 타발하고, 조립하기 전의 도 3에 나타내는 전개도와 같은 시트형상의 기재를 준비했다. 한편, 도 3 중의 점선은, 봉투체 내에 천적곤충과 먹이응애를 출입 가능하게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수용부(12)를 배치하는 위치를 나타내고, 파선은, 접어 구부리는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에서 준비한 전개한 상태의 시트형상 기재를 하기의 순서로 조립하고, 도 1에 나타낸 본 실시예의 천적곤충의 보호장치로 했다.
도 3에 나타낸, 본체부(11)를 구성하는 후면부(B)에 계속하여 마련한 풀칠하는 부분인 (a)의 부분을 안쪽으로 접어 구부리고, 상기 (a)의 부분에, 본체부(11)를 구성하는 전면부(A) 측단의 내벽의 (b)의 부분을 중첩하여 풀로 붙인다. 다음으로, 본체부(11)를 구성하는 후면부(B)에 계속하여 마련한 설치부(13)의, 상기 설치부(13)와 본체부(11)를 구획하는 경계에 있는 파선의 위치에서, 설치부(13)를, 본체부(11)를 구성하는 전면부(A) 측으로 접어 구부리고, 또한 도 3에 나타낸 띠 형상의 (c)의 부분만이 전면부(A)의 상단부(d)와 중첩하도록, 설치부(13)를 파선의 위치에서 다시 접어 구부리며(도 2 참조), 이 중첩된 부분을 접착제 혹은 스테플러 등으로 고정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본체부(11)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조립했다. 그리고, 이 공간 내에, 수용부(12)를 삽입한 후, 도 3에 나타낸 파선(e)의 부분을, 본체부(11)를 구성하는 후면부(B) 측을 향하여 약 90도 접어 구부림으로써, 바닥면부(C)를 형성하고, 도 1에 나타낸 케이스체 형상으로 조립했다.
이와 같이 형성한 본체부(11)는, 세로 160㎜×가로 70㎜×최대 안길이 20∼30㎜였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성된 본체부(11)는, 그 전면부(A)와 접어 구부린 접은 부분에 의하여 구획되고, 상기 전면부와 일체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바닥면부(C)가 형성되며, 바닥면부(C)의 원호상의 단부가 본체부(11)를 구성하는 후면부(B)와 접하는 부분에 슬릿형상의 방사구(D)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11)의 공간에 삽입된 수용부(12)에는, 60∼70㎜의 크기의 티백형상의 봉투체에, 스워스키 이리응애, 먹이응애(설탕응애), 밀기울을, 각각 250∼300마리, 1000∼2000마리, 3.0g 수용한 것을 이용했다. 또, 수용시킬 때에, 본체부(11)의 보다 상부에 수용부(12)에 배치하도록 하고, 본체부(11)를 구성하는 밀폐공간의 내측 표면과, 수용부(12)의 외측 표면과의 간격이, 확실히 3.0㎜ 이하의 부분이 형성되도록 했다. 부분적으로는, 1.0㎜ 이하의 부분이 있는 것을 확인했다.
상기와 같이 하여 제작된 천적곤충의 보호장치(10)를, 설치부(13)에 의하여 망고 나무 가지에 한 그루당 5개 매달았다. 이 장치 내를 관찰하여, 수용부(12)의 외측, 본체부(11)의 내측에서 관찰된 스워스키 이리응애의 개체수(성충, 유충)와 알수 및 먹이응애인 설탕응애의 개체수(성유충)와 알수를 카운트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Figure pat00001
표 1중의 숫자는 모두, 천적곤충의 보호장치(10)의 설치 후 6일째, 12일째 및 19일째에 관찰된 개체수 또는 알수의 각각을 누적한 것이며, 5개의 보호장치(10)의 평균치이다. 스워스키 이리응애의 활동을 지탱하는 먹이응애인 설탕응애는, 본체부(11)에서 산란을 행하고 있고, 수용부(12)에서 나온 설탕응애가 보호장치(10)의 본체부(11) 내에서 활동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도 1에 나타내는 천적곤충의 보호장치(10)의 케이스체 형상의 본체부(11)를,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형성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수용부(12)를, 본체부(11)의 밀폐공간(14) 내에 삽입하고, 실시예 1에서 행한 것과 같은 상태로 배치함과 함께, 산란부(세로 100㎜×가로 50㎜×두께 1㎜의 펠트)(도시하지 않음)를, 수용부(12)에 서로 향하도록 하여 삽입했다. 바닥면부(C)는,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e)의 부분을 약 90도 접어 구부림으로써, 제작했다.
제작된 천적곤충의 보호장치를 설치부(13)에 의하여 운슈 귤 나무 가지에 한 그루당 1개 매달았다. 이 장치 내를 관찰하여, 수용부(12)의 외측, 본체부(11)의 내측에서 관찰된 스워스키 이리응애의 개체수(성유충) 및 설탕응애의 개체수(성유충)를 카운트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Figure pat00002
표 2 중의 숫자는 모두, 천적곤충의 보호장치의 설치 후 4일째, 10일째 및 19일째에 관찰된 개체수의 각각을 누적한 것이며, 3개의 보호장치(10)의 평균치이다.
(실시예 3)
실시예 2에서 제작한 것과 마찬가지로 하여 천적곤충의 보호장치(10)의 본체부(11)를 조립하고, 본체부(11)의 밀폐공간(14) 내에,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수용부(12)와, 수용부(12)를 서로 향하도록 하여 산란부를 삽입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부(11)의 밀폐공간(14) 내에, 또한 미리 흡수시키고, 표면의 물을 잘 제거한 고흡수성 수지(구(球)형상으로, 흡수시에 직경 약 1㎝)를, 1 보호장치당 3개, 상기 장치의 바닥부에 삽입하며(도 4 참조), (e)부분을 접어 구부려 바닥면부(C)를 형성했다. 그 후, 상기와 같이 하여 제작한 천적곤충의 보호장치(10)를, 그 설치부(13)에 의하여, 운슈 귤 나무 가지에 한 그루당 1개 매달았다. 이 장치 내를 관찰하여, 수용부(12)의 외측, 본체부(11)의 내측에서 관찰된 스워스키 이리응애의 개체수(성유충) 및 먹이응애인 설탕응애의 개체수(성유충)를 카운트했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Figure pat00003
표 3 중의 숫자는 모두, 천적곤충의 보호장치의 설치 후 4일째, 10일째 및 19일째에 관찰된 개체수의 각각을 누적한 것이며, 3개의 보호장치(10)의 평균치이다.
(실시예 4)
실시예 2에서 제작한 것과 마찬가지로 하여 천적곤충의 보호장치(10)의 본체부(11)를 조립했다. 그때, 본체부(11)의 밀폐공간(14) 내에,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수용부(12)와, 투습성의 막(상품명:투습성 필름 KFT/미츠비시 수지제)으로 물을 봉입한 봉투형상의 보수재를 삽입하고, (e)의 부분을 접어 구부려 바닥면부(C)를 형성했다. 상기 보수재는, 물을 머금은 상태의 중량으로 8g의 것을 이용하고, 그 크기는, 세로가 80㎜, 가로가 40㎜이며, 두께의 최대치는 5㎜였다. 이와 같이 하여 제작된 천적곤충의 보호장치는, 상기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 있어, 천적곤충의 우수한 정주성이 발휘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활용예로서는, 농업작물의 관리, 특히, 천적을 중심으로 한 IPM(종합적 병해충 관리)에 있어서, 유효하게 이용된다.
10:천적곤충 보호장치
11:본체부
12:수용부
13:설치부
14:밀폐공간
15:서방습성(徐放濕性)의 보수재
A:전면부
B:후면부
C, C':바닥면부
D:방사구

Claims (13)

  1. 해충의 천적이 되는 천적곤충의 먹이가 되는 먹이응애의 증식을 유지함으로써 천적곤충의 정주성(定住性)을 향상시킨 천적곤충의 보호장치로서,
    내부에 밀폐공간을 가지는 봉투형상 또는 케이스체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기 밀폐공간에 배치된, 봉투체 내에 상기 천적곤충 및 상기 먹이응애가 출입 가능하게 수용된 수용부를 구비하고,
    서로 대향하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밀폐공간의 내측 표면과, 상기 수용부의 외측 표면의 간격이 3.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적곤충의 보호장치.
  2. 해충의 천적이 되는 천적곤충의 먹이가 되는 먹이응애의 증식을 유지함으로써 천적곤충의 정주성을 향상시킨 천적곤충의 보호장치로서,
    내부에 밀폐공간을 가지는 봉투형상 또는 케이스체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기 밀폐공간에 배치된, 봉투체 내에 상기 천적곤충 및 상기 먹이응애가 출입 가능하게 수용된 수용부와, 서방습성(徐放濕性)의 보수재(保水材)로 이루어지는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밀폐공간이, 상기 천적곤충이 외부로 출입 가능하며, 본체부에 살수한 경우에 물이 침입되지 않고, 또, 그 습도가 70% 이상으로 30일간 이상 유지 가능하게 구성되며,
    또한 상기 밀폐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 표면과, 상기 수용부의 외측 표면이 대향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양자의 간격이, 3.0㎜ 이하인 부분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적곤충의 보호장치.
  3. 해충의 천적이 되는 천적곤충의 먹이가 되는 먹이응애의 증식을 유지함으로써 천적곤충의 정주성을 향상시킨 천적곤충의 보호장치로서,
    내부에 밀폐공간을 가지고, 또, 상기 천적곤충의 외부에의 방사구(放飼口)를 가지는, 적어도 상기 내부의 밀폐공간에 대하여 서방습성(徐放濕性)을 나타내는 보수재(保水材)로 형성된 봉투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밀폐공간에 배치된, 봉투체 내에 상기 천적곤충 및 상기 먹이응애가 출입 가능하게 수용된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밀폐공간이, 상기 천적곤충이 외부로 출입 가능하고, 본체부에 살수한 경우에 물이 침입되지 않으며, 또, 그 습도가 70% 이상으로 30일간 이상 유지 가능하게 구성되고,
    또한 상기 밀폐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 표면과, 상기 수용부의 외측 표면이 대향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양자의 간격이, 3.0㎜ 이하인 부분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적곤충의 보호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공간이, 습도 80% 이상으로 30일간 이상 유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천적곤충의 보호장치.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방습성(徐放濕性)의 보수재(保水材)가, 고흡수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천적곤충의 보호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가, 서방습성(徐放濕性)의 고흡수성 수지제의 봉투 내에 수용되고, 상기 본체부의 상기 밀폐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천적곤충의 보호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봉투형상인 경우는 그 하단에, 케이스체 형상의 경우는 그 바닥면부에, 상기 천적곤충이 외부로 출입 가능한 방사구를 가지는 천적곤충의 보호장치.
  8.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티백형상의 봉투체 내에, 상기 천적곤충 및 상기 먹이응애의 조합, 또는, 상기 천적곤충 및 상기 먹이응애에 더하여, 상기 천적곤충 및/또는 상기 먹이응애의 증식에 필요한 먹이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조합이 수용된 구성의 것인 천적곤충의 보호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체 형상의 본체부는, 표면이 발수처리되어 이루어지는 종이제 또는 플라스틱제의, 시트형상 기재로 상기 밀폐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밀폐공간은,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에 대향하는 후면부와, 바닥면부와, 상기 천적곤충이 외부로 출입 가능한 슬릿형상의 방사구를 가지며, 또, 상기 슬릿형상의 방사구 이외, 상기 밀폐공간 내로 외부로부터 물방울이 침입되지 않게 밀봉되어 있는 천적곤충의 보호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부는, 상기 전면부 및/또는 상기 후면부를 구성하고 있는 상기 기재 시트의 적어도 하나의 하단을 접어 구부린 접은 부분에 의하여, 상기 전면부 및/또는 상기 후면부와 구획되어 형성된 것이며, 접어 구부리기 전의 상기 기재 시트의 하단이, 아래로 볼록한 제1의 열호(劣弧)형상이고, 상기 접은 부분의 형상이, 상기 제1의 열호형상의 현에 대하여 대칭인, 위로 볼록한 제2의 열호형상이며, 적어도, 상기 접어 구부러진 하단이, 상기 전면부의 내면 또는 상기 후면부의 내면과 접하는 부분에, 상기 슬릿형상의 방사구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는 천적곤충의 보호장치.
  11.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적곤충은, 이리응애류이며, 상기 먹이응애는, 설탕응애, 가는다리 고기 진드기, 긴털가루 진드기와 같은 가루응애류인 천적곤충의 보호장치.
  12.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밀폐공간에, 그 내부에 형성되는 빈틈을 메우기 위한 충전용 부재가 더 배치되어 있는 천적곤충의 보호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용 부재가, 펠트, 간극시트, 마제 뿌리감는 시트, 털실, 헴프사, 수예면 및 탈지면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천적곤충의 보호장치.
KR1020160061275A 2015-05-22 2016-05-19 천적곤충의 보호장치 KR1026127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04864 2015-05-22
JP2015104864 2015-05-22
JP2016006573 2016-01-15
JPJP-P-2016-006573 2016-0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398A true KR20160137398A (ko) 2016-11-30
KR102612753B1 KR102612753B1 (ko) 2023-12-11

Family

ID=57707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275A KR102612753B1 (ko) 2015-05-22 2016-05-19 천적곤충의 보호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2) JP6700100B2 (ko)
KR (1) KR10261275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10215A (zh) * 2017-05-12 2017-12-01 沈阳金丰春航空科技有限公司 容纳装置
KR20210028930A (ko) 2019-09-05 2021-03-1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적류의 지속 방사형 구조체
KR102626445B1 (ko) * 2022-07-26 2024-01-1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포식성 응애류 사육을 위한 사육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58877A (zh) * 2016-09-13 2017-02-01 广东省生物资源应用研究所 中华甲虫蒲螨在制备柑橘木虱生物防治制剂中的应用
JP7017729B2 (ja) * 2017-08-03 2022-02-09 アリスタライフサイエンス株式会社 防護カバー
CN110495420B (zh) * 2019-08-01 2021-08-17 安佑生物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防治家禽红螨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5078A (ja) * 2002-05-14 2003-11-18 Okinawa Pref Gov 捕食性昆虫リュウキュウツヤテントウを用いた生物農薬、その製造方法、その方法に用いる人工採卵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害虫防除法
JP2005272353A (ja) * 2004-03-24 2005-10-06 Ryukyu Sankei Kk ウスチャバネヒメカゲロウを含む生物農薬
KR100720977B1 (ko) * 2006-09-29 2007-05-23 주식회사 세실 천적류 방사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해충 방제 방법
JP2007325541A (ja) 2006-06-08 2007-12-20 Arysta Lifescience Corp 天敵昆虫の増殖装置及び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5222A (ja) * 2003-12-26 2005-07-14 Cats Agrisystems:Kk 天敵生物の放飼用袋
GB0615358D0 (en) * 2006-08-02 2006-09-13 Syngenta Bioline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rganic compounds
JP2010187606A (ja) * 2009-02-19 2010-09-02 Agri Soken:Kk 天敵生物の放飼装置
CN103299958A (zh) * 2013-05-20 2013-09-18 中国农业科学院植物保护研究所 一种饲养猎物粉螨和捕食螨的新方法
WO2015022726A1 (ja) * 2013-08-13 2015-02-19 大協技研工業株式会社 天敵昆虫増殖装置
CN103651299B (zh) * 2013-11-14 2016-03-30 于丽辰 昆虫及螨类释放装置及其应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5078A (ja) * 2002-05-14 2003-11-18 Okinawa Pref Gov 捕食性昆虫リュウキュウツヤテントウを用いた生物農薬、その製造方法、その方法に用いる人工採卵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害虫防除法
JP2005272353A (ja) * 2004-03-24 2005-10-06 Ryukyu Sankei Kk ウスチャバネヒメカゲロウを含む生物農薬
JP2007325541A (ja) 2006-06-08 2007-12-20 Arysta Lifescience Corp 天敵昆虫の増殖装置及び使用方法
KR100720977B1 (ko) * 2006-09-29 2007-05-23 주식회사 세실 천적류 방사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해충 방제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10215A (zh) * 2017-05-12 2017-12-01 沈阳金丰春航空科技有限公司 容纳装置
KR20210028930A (ko) 2019-09-05 2021-03-1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적류의 지속 방사형 구조체
KR102626445B1 (ko) * 2022-07-26 2024-01-1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포식성 응애류 사육을 위한 사육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110192A (ja) 2020-07-27
JP6901098B2 (ja) 2021-07-14
KR102612753B1 (ko) 2023-12-11
JP6700100B2 (ja) 2020-05-27
JP2017127301A (ja) 2017-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37398A (ko) 천적곤충의 보호장치
US7051672B2 (en) System for providing beneficial insects or mites
KR100597613B1 (ko) 포식성 응애류의 장기 지속 방사형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해충 방제 방법
MXPA03003073A (es) Tratamiento de semillas de maiz transgenico con pesticidas.
ES2213494B1 (es) Sistema para proporcionar insectos o acaros beneficiosos.
KR101688785B1 (ko) 천적곤충 증식장치
US2446509A (en) Plant cover
HUP0100334A2 (hu) Makrolidok alkalmazása a kártevők irtásában
KR100732601B1 (ko) 해충 방제를 위한 천적의 장기 지속 방사용 구조체, 및이를 이용한 해충 방제 방법
ES2371322T3 (es) Aparato para el control de plagas.
JP2005185222A (ja) 天敵生物の放飼用袋
JP2018029591A (ja) 天敵昆虫の保護装置、天敵昆虫の個体数を維持又は増加させる方法及び害虫の防除方法
JP7032628B2 (ja) 天敵生物を用いた害虫防除方法
JP6019010B2 (ja) ムカデ用毒餌剤入り容器
EP0210447A1 (en) Agent for controlling harmful insects in agricultural and market garden crops
JP3590134B2 (ja) 柄眼目類害虫の防除資材
JPH10327732A (ja) 害虫駆除テープ
JP7017729B2 (ja) 防護カバー
JP2018102173A (ja) 天敵を定着させた作物の苗、並びにその作成方法、及び当該苗を用いた害虫防除方法
KR20150054449A (ko) 다중 캡슐 방제제
JPS58121203A (ja) ゴキブリ退治薬
JP6016995B1 (ja) 防護カバー
JP2007110987A (ja) 保護具
JPH07289412A (ja) 防虫マット
Comis Areawide pest management: Bait-and-kill strategy can slash insecticide use in corn bel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