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6166A -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6166A
KR20160136166A KR1020150070017A KR20150070017A KR20160136166A KR 20160136166 A KR20160136166 A KR 20160136166A KR 1020150070017 A KR1020150070017 A KR 1020150070017A KR 20150070017 A KR20150070017 A KR 20150070017A KR 20160136166 A KR20160136166 A KR 20160136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ehicle
destination
display devic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0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1171B1 (ko
Inventor
김순범
김동운
이수우
박주현
홍성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0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1171B1/ko
Priority to US15/575,252 priority patent/US20180137595A1/en
Priority to PCT/KR2016/004779 priority patent/WO2016186355A1/ko
Publication of KR20160136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6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1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1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4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Arrangement of adaptations of instruments
    • B60K35/2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B60K37/02Arrangement of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5/00Arrangements or devices on vehicles for entrance or exit control of passengers, e.g. turnst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anti-collis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0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2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 B60R1/23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with a predetermined field of view
    • B60R1/26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with a predetermined field of view to the rear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0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9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inside the vehicle, e.g. for viewing passengers or carg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4Traffic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06Q30/0284Time or distance, e.g. usage of parking meters or taxi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B60K2360/178
    • B60K2360/179
    • B60K2360/21
    • B60K35/81
    • B60R2016/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3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 B60R2300/302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combining image information with GPS information or vehicle data, e.g. vehicle speed, gyro, steering angle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33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pedestrian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93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obstacle war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72Driver physiology
    • B60W2050/1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60W2556/50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for navigation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01S19/39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42Determining posi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01S19/39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42Determining position
    • G01S19/51Relative positio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9Online discounts or incent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9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inside of a vehicle, e.g. relating to seat occupancy, driver state or inner lighting conditions
    • G06V20/593Recognising seat occupa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Navig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 내부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카메라와 연결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차량의 외부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을 수신하는 제 1 통신부;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획득부; 및 상기 차량의 목적지를 확인하고, 상기 차량의 목적지 및 상기 위치 정보 획득부를 통해 획득되는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차량에 승차한 승차자의 하차 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감지한 하차 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DISPLAY DEVID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실시 예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이 운행함에 따라, 도로상에서 운전자 또는 승객이 승하차를 해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도로상에서 운전자 또는 승객이 승하차시, 차량의 특히 후방에서 차량 또는 오토바이가 접근하고,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승하차하는 경우, 하차하고 있던 사람이 매우 위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자동차 도어의 안쪽 하단부에 적색 반사등을 부착하여 도어가 열려지게 되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이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사용하거나, 후방 차량에게 전방의 자동차의 도어가 열리고 있음을 경고하는 방식이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후방 차량의 운전자가 이를 인지하지 못하면, 쓸모가 없게 되어, 승하차시의 승객의 안전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실시 예에서는, 승객이나 운전자가 차량으로부터 하차하는 경우에 차량의 외부에 배치된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위험 상황을 감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영업용 차량에 승차한 승객의 안전을 위하여 상기 승객의 가족이나 친구에게 상기 승객의 승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차량의 주행 시에 상기 차량에 승차한 승객이나 운전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제안되는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 내부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카메라와 연결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차량의 외부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을 수신하는 제 1 통신부;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획득부; 및 상기 차량의 목적지를 확인하고, 상기 차량의 목적지 및 상기 위치 정보 획득부를 통해 획득되는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차량에 승차한 승차자의 하차 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감지한 하차 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가 상기 목적지로부터 일정 거리 반경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촬영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목적지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요금 결제 이벤트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요금 결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촬영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차자의 하차가 감지되면, 상기 촬영 영상과 함께 상기 차량의 주행 관련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주행 관련 정보는, 상기 차량의 출발지에서 상기 목적지까지의 이동 거리 정보, 상기 이동 거리에 따른 요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촬영 영상 내에 기설정된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객체의 존재 여부에 따라 경고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 영상 내에 기설정된 객체가 존재하면, 상기 차량의 도어 잠김을 위한 도어 잠김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내부로 상기 승차자가 승차하는 시점에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차량 관련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차량 관련 정보는, 차량 번호 및 차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와, 운전자 이름, 자격 등록 번호 및 소속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운전자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량 내부로 상기 승차자가 승차하면, 상기 승차자의 제 1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 2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통신부는, 상기 제 1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승차자의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목적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이동을 위한 목적지를 설정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적지가 설정되면, 외부로 상기 승차자의 승차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승차 정보는, 승차 시간, 승차 차량 정보, 운전자 정보, 출발지 정보, 목적지 정보 및 목적지까지의 소요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단말기 및 상기 제 1 단말기에 등록된 타인의 제 2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승차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제 2 단말기의 정보는, 상기 제 2 통신부를 통해 수행되는 상기 제 1 단말기와의 통신을 통신을 통해 획득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알림 조건에 따라 외부로 상기 승차자의 승차 정보를 추가 전송하며, 상기 추가 전송되는 승차 정보는, 상기 차량의 이동에 따른 실시간 현재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요금 정보의 요금 결제에 따른 승차자의 카드 정보를 수신하는 제 3 통신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주행 중에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기설정된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콘텐츠는, 광고, 뉴스, 목적지 주위의 지도 및 상기 출발지에서 목적지 사이의 이동 경로에 대한 교통 상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한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차량에 승차하는 승차자가 감지되는 단계; 상기 승차자의 목적지를 토대로 선택적으로 상기 차량의 목적지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목적지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차량의 실시간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되는 실시간 현재 위치와 상기 차량의 목적지를 토대로 상기 차량이 상기 승차자의 하차 인근 지역에 도착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이 상기 하차 인근 지역에 도착하면, 상기 차량의 외부를 촬영한 촬영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차 인근 지역에 도착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실시간 현재 위치가 상기 목적지로부터 일정 거리 반경 이내로 접근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설정된 목적지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요금 결제 이벤트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촬영 영상은 상기 요금 결제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에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상기 차량이 상기 하차 인근 지역에 도착하면, 상기 차량의 외부를 촬영한 촬영 영상과 함께 상기 차량의 주행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행 관련 정보는, 상기 차량의 출발지에서 상기 목적지까지의 이동 거리 정보, 상기 이동 거리에 따른 요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촬영 영상 내에 기설정된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에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촬영 영상 내에 기설정된 객체가 존재하면, 상기 차량의 도어 잠김을 위한 도어 잠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량 내부로 상기 승차자가 승차하면, 상기 차량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과 관련된 정보는, 차량 번호 및 차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와, 운전자 이름, 자격 등록 번호 및 소속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운전자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지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내부로 상기 승차자가 승차하면, 상기 승차자의 제 1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제 1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승차자의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지가 설정되면, 외부로 상기 승차자의 승차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승차 정보는, 승차 시간, 승차 차량 정보, 운전자 정보, 출발지 정보, 목적지 정보 및 목적지까지의 소요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승차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단말기 및 상기 제 1 단말기에 등록된 타인의 제 2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승차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단말기의 정보는, 상기 제 1 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해 획득된다.
또한, 기설정된 알림 조건에 따라 외부로 상기 승차자의 승차 정보를 추가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추가 전송되는 승차 정보는, 상기 차량의 이동에 따른 실시간 현재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요금 정보의 요금 결제에 따른 승차자의 카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량의 주행 중에 기설정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콘텐츠는, 광고, 뉴스, 목적지 주위의 지도 및 상기 출발지에서 목적지 사이의 이동 경로에 대한 교통 상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승객이 차량에 승차한 경우, 상기 승객이 승차한 차량에 대한 정보 및 운전자의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차량의 이동 장소에 대한 목적지가 설정되면, 승차 정보를 상기 승객의 지인에게 전송해줌으로써, 상기 승객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차량의 주행 중에 광고 방송, 목적지 주변 정보, 뉴스 정보, 실시간 교통 상황 정보, 이동 경로 정보, 실시간 요금 정보 등의 다양한 부가 정보를 제공해줌으로써, 상기 차량이 목적지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승객의 지루함을 해소시켜주어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승객이 차량에서 하차하는 경우,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상기 차량의 주변 영상을 표시해주고, 상기 차량의 주변에 오토바이와 같은 이동 물체가 존재하면, 이에 대한 경고 신호를 출력하거나 차량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잠김 상태로 변경해줌으로써, 상기 승객의 하차 시에 상기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승차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공되는 차량 정보 및 운전자 정보를 보여준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목적지 설정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단말기를 통해 표시되는 목적지 설정 화면을 보여준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승차 정보 전송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 내지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선택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 모드에서의 디스플레이 화면 제어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디스플레이부(1171)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를 보여준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차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차 모드에서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여준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도면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도면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도면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정보 제공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시스템(100), 단말기(200) 및 서버(3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차량에 장착되어, 상기 차량에 대한 정보나, 상기 차량에 탑승한 승객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부가 정보를 제공해준다.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장치(110)와, 차량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 외부의 주변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12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200)는 상기 차량 내부에 탑승한 승객이 소유한 개인 기기이며,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100)과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차량의 이동을 위한 정보 및 상기 승객의 안전이나 편의를 위한 다양한 정보를 상호 교환한다.
상기 단말기(2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서버(300)는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100)과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에 전송한다.
상기 서버(300)는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이 장착된 차량의 주행 중에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의 디스플레이 장치(110)를 통해 표시될 광고나 뉴스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저장하고, 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으로 상기 저장한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는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10)에서 수행하는 일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동작 중 제어부(118)에서 수행되는 동작이 상기 서버(3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서버(30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통신부(111)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수신신호(예를 들어, 목적지 설정 신호, 요금 결제 신호, 카메라 영상 등)를 상기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30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0)로부터 전송되는 수신신호를 토대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상기 서버(300)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통신부(111)를 통해 수신하여 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디스플레이 장치(110) 및 카메라(12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에 탑승한 승객에게 제공될 다양한 부가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도면 상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0)가 차량의 뒷 좌석에 설치되어 있다고 도시되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설치 위치는 이용 대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이용 대상이 운전자나 조수석에 탑승한 고객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차량 앞 좌석의 센터페시아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카메라(120)는 차량의 외부에 설치되며, 그에 따라 상기 차량 외부의 주변 영상을 촬영하고, 그에 따라 상기 촬영한 주변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120)는 상기 차량의 후방을 촬영하는 후방 카메라임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카메라(120)의 설치 위치는 실시 예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장착된 카메라의 수도 증가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120)는 차량의 도어 핸들에 장착된 제 1 카메라, 상기 차량이 택시인 경우에 택시 모자에 장착된 제 2 카메라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샤크 안테나에 설치된 제 3 카메라와, 차량의 트렁크나 번호판 등에 설치된 제 4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카메라(120)는 상기 차량 외부의 주변 영상뿐 아니라, 차량 내부의 영상도 획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제 5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통신부(111), 요금 정보 획득부(112), 상태 감지부(113), 인터페이스부(114), 메모리(115), 사용자 입력부(116) 및 출력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1)는 디스플레이 장치(11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보다 구체적으로는, 카메라(120), 단말기(200) 및 서버(300))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1)는 방송 수신 모듈(1111), 무선 인터넷 모듈(1112), 근거리 통신 모듈(1113) 및 위치정보 모듈(11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15)에 저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12)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디스플레이 장치(11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13)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14)은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12)는 상기 카메라(120)와 무선 연결되고, 그에 따라 상기 카메라(120)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다르게 상기 카메라(120)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별도의 영상 입력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카메라(120)를 통해 획득된 영상은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12)를 통해 무선신호로 수신될 수 있으며, 이와 다르게 상기 별도의 영상 입력부를 통해 유선으로 입력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120)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17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0)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15)에 저장되거나 통신부(111)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0)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116)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16)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출력부(117)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171), 음향 출력 모듈(1172) 및 알람부(117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71)는 디스플레이 장치(11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차량이 승차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171)는 차량의 정보나 상기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의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차량이 주행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171)는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다양한 콘텐츠(광고, 뉴스, 지도 등)를 표시한다.
또한, 차량이 하차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171)는 카메라(12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17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17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17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장치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7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1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17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17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17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17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18)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18)는 디스플레이부(117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도시하지 않음)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도시하지 않음)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도시하지 않음)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근접 센서(도시하지 않음)는 추후 설명할 상태 감지부(113)일 수 있다.
상기 상태 감지부(113)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주위에 위치한 사용자, 다시 말해서 차량에 탑승한 승객의 상태를 감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상태 감지부(113)는 상기 근접 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주위로 상기 승객이 접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승객의 존재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 감지부(113)는 차량 내부에 위치한 카메라(도시하지 않음)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상태 감지부(113)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주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태 감지부(113)에 의해 주변 영상이 획득되면, 제어부(118)는 상기 획득된 주변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영상 내에 승객에 대응하는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차량 내에 탑승한 승객의 존재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8)는 상기 승객의 존재 유무 뿐만 아니라, 상기 객체가 존재하면, 상기 객체 내에서 사용자의 눈 영역을 검출하고, 그에 따라 상기 검출한 눈 영역의 상태에 따라 상기 승객이 수면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172)은 통신부(111)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15)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172)은 디스플레이 장치(110)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17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173)는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나 경고 상황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171)나 음성 출력 모듈(117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171,1172)은 알람부(117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메모리(115)는 제어부(118)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5)는 디스플레이부(1171)를 통해 표시될 광고나 뉴스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14)는 디스플레이 장치(11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디스플레이 장치(11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1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14)에 포함될 수 있다.
요금 정보 획득부(112)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0)가 설치된 차량 내에 존재하는 요금 미터기(도시하지 않음)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요금 미터기에서 획득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획득되는 정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0)가 설치된 차량의 이동에 따른 이용 요금 정보와, 이동 거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 118)는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18)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181)은 제어부(118)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18)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18)는 승객의 탑승이 감지되면, 그에 따라 승차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8)는 상기 승객이 탑승한 후 이동 위치에 대응하는 목적지가 설정되면, 주행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8)는 상기 탑승한 승객의 목적지 근처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0)가 장착된 차량이 이동하면, 하차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승차 모드, 주행 모드 및 하차 모드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전원 공급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원 공급부는 제어부(118)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15)에 저장되고, 제어부(118)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0)가 설치된 차량이 택시이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0)가 상기 차량에 탑승한 승객이 이용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0)가 설치된 차량은 택시가 아닌 일반 개인이 소유한 차량일 수 있고, 이와 다르게 버스일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18)는 차량에 승객이 승차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100단계).
즉, 상태 감지부(113)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주변에서 감지한 신호를 제어부(118)로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118)는 상기 전달되는 신호를 토대로 상기 차량 내에 승차하는 승객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상기 상태 감지부(113)에서 제어부(118)로 전달되는 신호는, 근접 센서를 통해 획득한 접근 물체의 존재 여부를 알리는 신호일 수 있으며, 이와 다르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주변을 촬영한 촬영 영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태 감지부(113)가 상기 촬영 영상을 제어부(118)로 전달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8)는 상기 전달되는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촬영 영상 내에 승차한 승객에 대응하는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객체의 존재 유무에 따라 상기 승객의 승차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판단결과(100단계), 상기 차량 내로 승차한 승객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8)는 승차 모드로 진입한다(110단계).
여기에서, 복수의 모드의 각각에 대한 가장 큰 차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71)에 상기 표시되는 영상이다.
즉, 상기 승차한 승객이 존재하여, 승차 모드로 진입한 경우, 상기 제어부(118)는 상기 승차한 승객에게 상기 승차한 차량의 정보나, 상기 승차한 차량의 운전자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171)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18)는 상기 승차한 승객의 목적지 정보를 획득하고, 그에 따라 상기 목적지 정보를 토대로 차량의 목적지를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118)는 상기 목적지가 설정되면, 상기 탑승한 승객의 안전을 위하여, 상기 승객의 승차 정보를 상기 승객이 소유한 단말기 또는 상기 승객이 미리 등록한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118)는 기설정된 알림 조건을 기준으로 상기 알림 조건에 대응하는 알림 이벤트가 발생하는 시점에 상기 승객의 승차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에서, 상기 승차 정보는, 상기 차량의 정보, 운전자 정보, 출발지 정보, 목적지 정보, 주변 교통 상황에 따른 상기 목적지까지의 이동 소요 시간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이동에 따른 실시간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차 정보에는 상기 승객이 상기 차량에 승차한 시점의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18)는 상기 목적지가 설정되어, 그에 따른 차량의 주행이 시작되면, 주행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171)를 통해 상기 주행 모드에 대응하는 정보가 표시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주행 모드에 대응하는 정보는, 광고, 뉴스, 지도와 같은 부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와, 현재 시간 정보, 차량의 이동 거리 정보, 요금 정보 및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 상의 교통 상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18)는 상기 승차한 승객의 하차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30단계).
여기에서, 상기 하차의 감지는, 상기 상태 감지부(113)를 통해 상기 승차한 승객의 존재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가 목적지에 대응하는 위치인 경우, 그리고 요금 결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8)는 상기 승객의 하차가 감지되면, 하차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하차 모드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140단계).
여기에서, 상기 하차 모드의 진입은, 상기 카메라(120)를 통해 촬영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171)를 통해 우선적으로 표시한다. 그에 따라, 상기 하차하는 승객은 상기 표시되는 영상을 통해 상기 차량의 주변에 객체(인체나, 이동 물체 등)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승차 모드, 주행 모드 및 하차 모드 각각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승차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공되는 차량 정보 및 운전자 정보를 보여준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18)는 승객의 승차가 감지되면, 디스플레이부(1171)를 통해 상기 승객이 승차한 차량과 상기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200단계).
여기에서, 상기 메모리(115)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0)가 설치된 차량의 정보와, 상기 차량의 운전자 정보를 저장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제어부(118)는 상기 승객의 승차가 감지된 시점에 상기 저장된 차량 정보 및 운전자 정보를 상기 메모리(115)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차량 정보 및 운전자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171)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차량에 승객이 승차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디스플레이부(1171)에는 상기 차량 정보 및 운전자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객이 승차한 경우, 상기 승객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171)를 통해 디스플레이되고 있던 차량 정보 및 운전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디스플레이부(1171)의 디스플레이 화면(600)을 통해 표시되는 정보를 보여준다.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화면(600)은 제 1 영역(610), 제 2 영역(620) 및 제 3 영역(630)을 포함한다.
제 1 영역(610)에는 메인 정보가 표시되고, 제 2 영역(620)에는 서브 정보가 표시되며, 제 3 영역(630)에는 차량의 운행과 관련된 부가 정보가 표시된다.
이때, 상기 차량 정보 및 운전자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600)의 제 1 영역(610)을 통해 표시된다.
제 1 영역(610)에 표시되는 정보는, 운전자 이름, 차량 등록 번호, 차종, 차량 번호 및 소속사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영역(620)에는 서브 정보가 표시되는데, 상기 서브 정보는 상기 승차한 승객에 의해 표시되는 정보의 종류가 설정될 수 있으며, 이와 다르게 운전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영역(620)에는 서버(300)로부터 실시간 뉴스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상기 수신한 뉴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영역(620)에는 상기 뉴스 정보가 슬라이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제 3 영역(620)에는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부가 정보가 표시된다.
상기 부가 정보에는, 날씨 정보나, 날짜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 이외에도 주행과 관련된 이동 거리 정보, 요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가 정보에는 상기 차량의 주행 전, 주행 중 및 주행 완료에 따라 서로 다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차량의 주행 전에는 상기 부가 정보에 상기 승객이 가고자 하는 장소에 대한 목적지 설정을 위해, 상기 승객이 소유한 단말기와의 근거리 통신을 유도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량의 주행 중에는 상기 차량의 이동 경로에 대응하는 정보 및 상기 이동 경로 상의 현재 교통 상황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량의 주행 완료(승객의 목적지에 상기 차량이 도착한 경우) 시에는 상기 차량의 주행에 따른 이용 요금의 결제를 유도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설명하면, 제어부(118)는 상기 승차 차량 정보 및 목적지 정보가 표시되면, 상기 차량에 승차한 승객이 가고자 하는 목적지 정보를 획득한다(210단계).
여기에서, 상기 목적지 정보는 상기 승차한 승객이 소유한 단말기(200)로부터 획득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목적지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제어부(118)는 상기 획득한 목적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목적지를 설정한다(220단계).
여기에서, 상기 목적지 설정은 네비게이션의 목적지 설정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네이게이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8)는 상기 승객의 승차에 따른 승차 정보를 획득하고, 그에 따라 상기 획득한 승차 정보를 외부로 전송한다(230단계).
여기에서, 상기 승차 정보는 상기 차량의 정보, 운전자 정보, 출발지 정보, 목적지 정보, 주변 교통 상황에 따른 상기 목적지까지의 이동 소요 시간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이동에 따른 실시간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차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대상은 상기 목적지 설정을 위해 사용된 승객의 단말기(200)일 수 있다. 또한, 이와 다르게 상기 제어부(118)는 상기 단말기(200)를 통해 상기 승객의 지인에 대한 단말기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단말기 정보에 대응하는 지인 단말기로 상기 승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18)는 상기 서버(300)로부터 상기 승객이 가고자 하는 목적지 주변의 할인 쿠폰과 같은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상기 수신한 서비스 정보를 상기 승객의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목적지 설정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단말기를 통해 표시되는 목적지 설정 화면을 보여준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차량에 탑승한 승객은 자신이 소유한 단말기 상에서 목적지 설정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300단계). 여기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차량에 대응하는 스마트 택시 업체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단말기(200)에는 사용자(승객)가 자주 가는 장소에 대한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목적지 리스트가 표시된다(310단계).
도 8을 참조하면,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 화면(800)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자주 이용한 장소에 대한 목적지 정보가 표시된다.
상기 목적지 정보는 사용자가 실제 직접 갔던 장소를 포함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에서 추천하는 장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800)에는 다수의 목적지 중 어느 하나의 목적지를 검색하기 위한 목적지 검색 창을 포함한다.
또한, 이와 다르게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800)에는 상기 표시된 목적지 이외의 새로운 목적지의 검색 또는 직접 입력을 위한 목적지 입력 창(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설명하면, 단말기(200)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800)을 통해 목적지 리스트가 표시되면, 상기 표시된 목적지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특정 목적지를 선택받거나, 상기 목적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새로운 목적지를 직접 입력받는다(320단계). 다시 말해서, 단말기(200)는 사용자가 가고자 하는 목적지 정보를 획득한다.
이어서, 상기 단말기(200)는 상기 목적지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획득한 목적지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0)로 전송한다(330단계).
이때, 상기 목적지 정보의 전송은 상기 단말기(200)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0)에 태그됨에 따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어서, 단말기(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10)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승차한 차량의 정보를 수신한다(340단계). 여기에서, 상기 차량의 정보는 상기 설명한 승차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200)는 상기 승차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승차 정보를 기등록된 다른 단말기로 전송한다(350단계). 여기에서, 상기 승차 정보의 전송은 상기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승차 정보 전송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제어부(118)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0)가 설치된 차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400단계). 여기에서, 상기 승차 차량 정보는, 차종, 차량 등록일, 차량 소속사, 차량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차 차량 정보는 메모리(115)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118)는 상기 메모리(115)에 저장된 차량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8)는 상기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 정보를 획득한다(410단계). 상기 운전자 정보는 운전자 이름, 자격 등록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운전자 정보는 메모리(115)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118)는 상기 메모리(115)에 저장된 운전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18)는 상기 설정된 목적지 정보를 획득하고, 그에 따라 현재 교통 상황 정보를 토대로 현 위치에서 상기 목적지까지의 이동 소요 시간을 획득한다(420단계).
그리고, 상기 제어부(118)는 일정 주기에 따라 상기 차량의 이동에 따른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430단계).
이어서, 제어부(118)는 알림 조건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440단계). 즉, 상기 제어부(118)는 기획득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승차 정보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전송 이벤트는 복수의 알림 조건 중 기설정된 어느 하나의 특정 알림 조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8)는 상기 알림 조건이 발생, 다시 말해서 전송 이벤트가 발생하면, 승차 차량 정보, 운전자 정보, 출발지 정보(승차 위치 정보), 목적지 정보, 목적지까지의 소요 시간 정보 및 차량의 실시간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승차 정보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한다(440단계).
여기에서, 상기 외부 단말기는 상기 승객이 소유한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8)는 상기 승객이 소유한 단말기로부터 기등록된 다른 단말기 정보(지인의 단말기 정보)를 획득하고, 그에 따라 상기 획득한 단말기 정보에 대응하는 지인 단말기로 상기 승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8)는 상기 승차 정보를 최초 전송하는 시점에는 상기 승차 차량 정보, 운전자 정보, 출발지 정보(승차 위치 정보), 목적지 정보, 목적지까지의 소요 시간 정보 및 차량의 실시간 현재 위치 정보를 모두 포함한 승차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8)는 상기 최초 전송 시점 이후부터 상기 이전에 전송한 정보와 중복되는 정보를 제외한 새롭게 변경되는 정보만을 상기 외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새롭게 변경되는 정보는, 목적지까지의 소요 시간 정보 및 실시간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118)는 상기 승차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알림 조건을 판단한다(510단계).
그리고, 상기 제어부(118)는 상기 판단한 알림 조건이 제 1 알림 조건이면(520단계), 상기 승차 모드의 완료 시점에 상기 승차 정보를 상기 외부 단말기로 전송한다(530단계). 여기에서, 상기 승차 모드의 완료 시점은 상기 차량이 이동한 목적지가 설정된 시점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알림 조건에 의해 상기 승차 정보가 상기 외부 단말기로 전송되면, 상기 제어부(118)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변경되는 승차 정보만을 획득하여 상기 외부 단말기로 계속하여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8)는 상기 판단한 알림 조건이 제 2 알림 조건이면(540단계), 상기 승차 모드의 완료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경과 시점에 승차 정보를 전송한다(550단계). 그리고, 상기 제 2 알림 조건에 의해 상기 승차 정보가 상기 외부 단말기로 전송되면, 상기 제어부(118)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변경되는 승차 정보만을 획득하여 상기 외부 단말기로 계속하여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8)는 상기 판단한 알림 조건이 제 3 알림 조건이면(560단계),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계속하여 추적하고, 그에 따라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가 상기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이동 경로가 아닌 다른 경로로 벗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가 상기 이동 경로를 벗어난 시점에 상기 승차 정보를 전송한다(570단계).
또한, 상기 제어부(118)는 상기 판단한 알림 조건이 제 4 알림 조건이면(580단계), 이전에 예상된 목적지까지의 이동 소요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 소요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도 승차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승차 정보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한다(570단계).
이때, 상기에서 상기 승차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알림 조건은 복수 개가 동시에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118)는 상기 설정된 복수의 알림 조건 중 어느 하나의 알림 조건에 대응하는 이벤트가 감지됨에 따라 상기 승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 1 내지 4 알림 조건이 모두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부(118)는 제 1 알림 조건이 발생한 시점, 제 2 알림 조건이 발생한 시점, 제 3 알림 조건이 발생한 시점 및 제 3 알림 조건이 발생한 시점에 모두 상기 외부 단말기로 상기 승차 정보를 전송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2 내지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선택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118)는 주행 모드로 진입하면, 디스플레이부(1171)의 제 1 영역을 통해 제 1 정보를 표시한다(60O단계). 여기에서, 상기 주행 모드로 진입하기 이전에는 상기 제 1 영역을 통해 상기 차량 정보 및 운전자 정보가 표시되며, 그에 따라 상기 주행 모드로 진입함에 따라 상기 제 1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를 제 1 정보로 변경한다. 상기 제 1 정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어서, 제어부(118)는 디스플레이부(1171)의 제 2 영역을 통해 제 2 정보를 표시한다(61O단계). 상기 제 2 정보는 뉴스 정보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118)는 서버(300)로부터 실시간 뉴스정보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상기 수신한 뉴스 정보를 상기 제 2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제어부(118)는 디스플레이부(1171)의 제 3 영역을 통해 제 3 정보를 표시한다(62O단계). 여기에서, 상기 제 3 정보는 부가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부가 정보에는, 날씨 정보나, 날짜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 이외에도 주행과 관련된 이동 거리 정보, 요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어부(118)는 목적지가 설정되면, 현 위치에서 상기 목적지까지 소요되는 이동 소요 시간을 계산한다(700단계).
그리고, 상기 이동 소요 시간이 계산되면, 상기 제어부(118)는 메모리(115)에 저장된 콘텐츠나, 서버(300)에 존재하는 콘텐츠 중 상기 이동 소요 시간에 대응하는 재생 길이를 가지는 콘텐츠를 상기 제 1 정보로 선택한다(710단계). 여기에서, 상기 제 1 정보의 선택은 상기 이동 소요 시간에 대응하는 재생 길이를 가지는 콘텐츠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된 목록 중 어느 하나의 특정 콘텐츠의 선택 신호를 승객으로부터 입력받음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 1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8)는 상기 선택된 제 1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171)의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720단계).
도 13을 참조하면, 제어부(118)는 기저장된 콘텐츠 및 서버에서 제공하는 콘텐츠의 목록을 표시한다(800단계).
이어서, 제어부(118)는 상기 표시되는 콘텐츠 목록 상에서 어느 하나의 특정 콘텐츠의 선택 신호를 수신한다(810단계).
그리고, 제어부(118)는 상기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선택된 콘텐츠를 제 1 정보로 설정하고, 그에 따라 상기 설정된 제 1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171)의 제 1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한다(820단계).
도 14를 참조하면, 제어부(118)는 승객의 단말기(200)와 통신을 수행한다(900단계).
그리고, 제어부(118)는 상기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승객의 요청 정보를 수신한다(910단계).
여기에서, 요청 정보는, 상기 단말기(200)를 통해 현재 실행되고 있는 콘텐츠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8)는 상기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상기 확인한 콘텐츠를 제 1 정보로 설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171)의 제 1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 한다(920단계).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1171)를 통해 콘텐츠가 계속하여 재생되는 경우, 승객은 상기 콘텐츠 재생을 흥미롭게 시청할 수 있을 수도 있으며, 이와 다르게 상기 콘텐츠의 재생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8)는 상기 승차한 승객의 상태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상기 감지한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71)의 디스플레이 조건을 변경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 모드에서의 디스플레이 화면 제어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어부(118)는 상태 감지부(113)를 통해 감지된 영상을 토대로 상기 승객의 상태를 판단한다(1000단계).
이어서, 제어부(118)는 상기 판단한 승객의 상태가 수면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1010단계).
그리고, 제어부(118)는 상기 승객의 상태가 수면 상태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171)의 출력을 차단한다(1020단계). 다시 말해서, 제어부(118)는 출력할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 중 음성 신호만을 음성 출력 모듈에 전달하고, 상기 영상 신호는 전달하지 않는다. 이와 다르게, 제어부(118)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71)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이어서, 제어부(118)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71)의 출력 차단에 의해, 상기 영상 신호의 출력을 차단한 상태에서 음성 신호만이 출력되도록 한다(1030단계).
또한, 제어부(118)는 상기 영상신호의 출력을 차단하지 않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171)의 밝기 레벨을 최저 레벨로 변경할 수도 있다.
도 16 및 도 17은 디스플레이부(1171)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를 보여준다.
도 1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화면(1600)은 제 1 영역(1610), 제 2 영역(1620) 및 제 3 영역(1630)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영역(1610)에는 상기 설명한 제 1 정보가 표시된다. 이때, 상기 제 1 정보의 선택 과정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18)는 디폴트로 설정된 광고 정보와 같은 콘텐츠를 제 1 정보로 설정하고, 그에 따라 상기 설정한 제 1 정보를 상기 제 1 영역(161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제 2 영역(1620)에는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실시간 뉴스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제 3 영역(1630)에는 부가 정보가 표시되는데, 상기 부가 정보는 날씨 및 날짜 정보가 표시되는 제 1 부가 정보 표시 영역(1631)과, 상기 차량의 이동 거리 및 요금 정보가 표시되는 제 2 부가 정보 표시 영역(1632)과, 상기 차량의 이동 경로 상의 실시간 교통 상황 정보가 표시되는 제 3 부가 정보 표시 영역(1633)을 포함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화면(1700)은 제 1 영역(1710), 제 2 영역(1720) 및 제 3 영역(1730)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영역(1710)에는 상기 설명한 제 1 정보가 표시된다. 이때, 상기 제 1 정보의 선택 과정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18)는 디폴트로 설정된 광고 정보와 같은 콘텐츠를 제 1 정보로 설정하고, 그에 따라 상기 설정한 제 1 정보를 상기 제 1 영역(171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설정된 목적지 상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일 수 있으며, 상기 지도 정보 상에는 상기 목적지 주변의 주요 건물 정보나 맛집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 2 영역(1720)에는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실시간 뉴스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제 3 영역(1730)에는 부가 정보가 표시되는데, 상기 부가 정보는 날씨 및 날짜 정보가 표시되는 제 1 부가 정보 표시 영역(1731)과, 상기 차량의 이동 거리 및 요금 정보가 표시되는 제 2 부가 정보 표시 영역(1732)과, 상기 차량의 이동 경로 상의 실시간 교통 상황 정보가 표시되는 제 3 부가 정보 표시 영역(173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18)는 주행 모드로의 진입 전에는 상기 제 3 부가 정보 표시 영역(1733)에 단말기와의 통신을 유도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차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차 모드에서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여준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어부(118)는 승객의 하차가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100단계).
즉, 제어부(118)는 차량의 현재 위치와, 기설정된 목적지 정보를 비교하고, 그에 따라 상기 승객의 하차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8)는 차량이 목적지 주변에 도착하면, 하차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8)는 상기 하차가 감지되었다면, 디스플레이부(1171)를 통해 상기 카메라(12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1110단계).
상기 카메라(120)는 차량의 외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전방, 후방 및 측방의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촬영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상기 카메라(120)는 후방 카메라임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어부(118)는 상기 하차 감지를 상기 목적지와 현재 위치의 비교가 아닌, 다른 방법을 통해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8)는 승객이 목적지에 도착함에 따라 요금 결제를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시점을 상기 하차 시점으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요금 결제 이벤트는 최종 발생한 요금의 확인을 위하여 미터기의 요금 결제 버튼을 입력함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8)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71)를 통해 상기 카메라(120)를 통해 획득한 영상뿐만 아니라, 상기 영상과 함께 최종 발생한 요금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8)는 상기 승객이 상기 영상 및 요금 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영상 및 요금 정보를 확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하차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부(1171)를 통해 표시되는 영상(1900)은 카메라(120)를 통해 획득한 외부 촬영 영상을 표시하는 제 1 영역(1910)과, 뉴스 정보와 같은 부가 정보를 표시하는 제 2 영역(1920)과, 주행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표시하는 제 3 영역(1930)으로 구분된다.
상기 제 1 영역(1910)에는 상기 카메라(12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 표시된다.
이때, 상기 카메라(120)라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 1 영역(1910)은 상기 카메라(120)의 수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영역에 상기 카메라(120)를 통해 획득된 영상이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제 3 영역(1930)에는 날씨 및 날짜 정보가 표시되는 제 1 부가 정보 표시 영역(1911)과, 차량이 이동한 총 거리 정보 및 요금 정보가 표시되는 제 2 부가 정보 표시 영역(1912)과, 상기 요금 정보를 확인하여 요금 결제를 유도하는 정보가 표시되는 제 3 부가 정보 표시 영역(1913)을 포함한다.
승객은 하차 시에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 1 영역(1910)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을 토대로 외부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안전하게 하차를 시도할 수 있다.
다시, 도 18을 설명하면, 제어부(118)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 1 영역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을 분석한다(1120단계). 즉, 제어부(118)는 기저장된 기준 영상과 상기 표시되는 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표시되는 영상 내에 움직이는 객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118)는 상기 표시되는 영상의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 내에 인체나 물체와 같은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130단계).
도 19를 보면, 제 1 영역에는 승객의 하차에 위험을 줄 수 있는 객체(1911)가 포함되어 있다. 제어부(118)는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영상 내에 상기와 같은 객체(1911)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18)는 상기 영상 내에 상기와 같은 객체가 존재하면, 상기 감지된 객체의 존재를 알리는 경고 신호를 출력한다(1140단계).
이어서, 제어부(118)는 차량 도어의 잠김을 위한 잠김 신호를 출력한다(1150단계). 즉, 제어부(118)는 승객이 상기 객체를 인지하지 못함에 따라 차량의 도어를 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상기 잠김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8)는 상기 영상 내에 상기와 같은 객체가 존재하지 않다면, 상기 승객이 하차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의 잠김 해제를 위한 잠김 해제 신호를 출력한다(1160단계).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승객이 차량에 승차한 경우, 상기 승객이 승차한 차량에 대한 정보 및 운전자의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차량의 이동 장소에 대한 목적지가 설정되면, 승차 정보를 상기 승객의 지인에게 전송해줌으로써, 상기 승객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차량의 주행 중에 광고 방송, 목적지 주변 정보, 뉴스 정보, 실시간 교통 상황 정보, 이동 경로 정보, 실시간 요금 정보 등의 다양한 부가 정보를 제공해줌으로써, 상기 차량이 목적지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승객의 지루함을 해소시켜주어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승객이 차량에서 하차하는 경우,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상기 차량의 주변 영상을 표시해주고, 상기 차량의 주변에 오토바이와 같은 이동 물체가 존재하면, 이에 대한 경고 신호를 출력하거나 차량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잠김 상태로 변경해줌으로써, 상기 승객의 하차 시에 상기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즉, 이전에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디스플레이장치가 택시와 같은 차량에 장착된 경우이고, 도 20 및 도 21은 디스플레이장치가 학원 버스와 같은 차량에 장착된 경우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어부(118)는 우선적으로 사용자(여기에서, 승객은 학원의 수업을 마치고 귀가하는 학생 또는 학원에 등원하는 학생일 수 있음)이 승차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소유한 개인 정보 카드를 인식한다(1200단계).
즉,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들을 관리하기 위하여, 수강증 발급과 같은 등록이 이루어지면, 상기 등록한 사용자들에게 각각 개인 정보 카드를 발급하도록 한다. 상기 개인 정보 카드에는 상기 사용자의 출발지, 목적지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또한 연락처 정보가 더 저장되어 있다. 상기 연락처는 상기 사용자 본인의 연락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의 부모님과 같은 보호자의 연락처이다.
제어부(118)는 상기 개인 정보 카드가 인식되면, 상기 인식된 개인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목적지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한 목적지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이동 목적지를 설정한다(1210단계).
여기에서, 제어부(118)는 상기 인식된 개인 정보 카드가 복수 개인 경우, 복수 개의 목적지 정보를 획득하고, 그에 따라 상기 복수의 목적지로 각각 이동하기 위한 최적의 목적지 이동 경로를 설정한다(1220단계). 이는, 일반적인 네비게이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제어부(118)는 상기 설정된 주행 경로 및 교통 상황 정볼르 토대로 각각의 목적지까지 이동하기 위해 소요되는 소요 시간 정보를 획득한다(1230단계).
예를 들어,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가 제 1 사용자, 제 2 사용자 및 제 3 사용자이고, 제 1 사용자는 제 1 목적지로 이동하고, 제 2 사용자는 제 2 목적지로 이동하며, 제 3 사용자는 제 3 목적지를 이동하며, 상기 설정된 주행 경로가 현재 위치에서 제 1 목적지, 제 2 목적지 및 제 3 목적지 순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118)는 현 위치에서 제 1 목적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제 1 소요 시간을 예상한다.
또한, 제어부(118)는 상기 현 위치에서 제 1 목적지를 거쳐 제 2 목적지까지 가는데 소요되는 제 2 소요 시간을 예상하고, 이와 마찬가지로, 현 위치에서 제 1 목적지 및 제 2 목적지를 거쳐 제 3 목적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제 3 소요 시간을 예상한다.
그리고, 제어부(118)는 상기 각각의 개인 정보에 대응하여 등록된 단말기 정보를 획득한다(1240단계). 즉, 제어부(118)는 제 1 사용자의 단말기 정보, 제 2 사용자의 단말기 정보 및 제 3 사용자의 단말기 정보를 획득한다(1240단계).
그리고, 제어부(118)는 상기 단말기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획득한 각각의 단말기로 각각의 사용자의 승차 정보를 전송한다(1250단계).
즉, 제어부(118)는 제 1 사용자의 단말기로 출발지, 목적지, 목적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소요 시간(상기 설명한 제 1 소요 시간), 차량 정보, 운전자 정보 등을 전송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어부(118)는 제 2 및 3 사용자의 단말기로 각각 상기와 같은 승차 정보를 전송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어부(118)는 주행 모드에서, 차량이 이동할 다음 목적지 정보를 획득한다(1300단계).
상기 다음 목적지 정보가 획득되면, 제어부(118)는 상기 획득한 다음 목적지 정보를 토대로 상기 다음 목적지에서 하차하는 사용자에 대한 하차 정보를 획득한다(1310단계).
이어서, 제어부(118)는 상기 획득한 다음 목적지 정보와, 하차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171)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1320단계).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특정 하차 이벤트가 발생하는 시점에 상기 카메라(120)를 통해 획득한 영상을 표시한다고 하였으나, 상기 사용자 입력부(116)에는 후방 카메라 전환 키와 같은 입력부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승객이 원하는 시점에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상기 카메라(120)를 통해 획득한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승객이 차량에 승차한 경우, 상기 승객이 승차한 차량에 대한 정보 및 운전자의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차량의 이동 장소에 대한 목적지가 설정되면, 승차 정보를 상기 승객의 지인에게 전송해줌으로써, 상기 승객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차량의 주행 중에 광고 방송, 목적지 주변 정보, 뉴스 정보, 실시간 교통 상황 정보, 이동 경로 정보, 실시간 요금 정보 등의 다양한 부가 정보를 제공해줌으로써, 상기 차량이 목적지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승객의 지루함을 해소시켜주어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승객이 차량에서 하차하는 경우,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상기 차량의 주변 영상을 표시해주고, 상기 차량의 주변에 오토바이와 같은 이동 물체가 존재하면, 이에 대한 경고 신호를 출력하거나 차량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잠김 상태로 변경해줌으로써, 상기 승객의 하차 시에 상기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실시예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가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설정하는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시스템
110: 디스플레이 장치
111: 통신부
112: 요금 정보 획득부
113: 상태 감지부
114: 인터페이스부
115: 메모리
116: 사용자 입력부
117: 출력부
118: 제어부
120: 카메라
200: 단말기
300: 서버

Claims (19)

  1. 차량 내부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카메라와 연결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차량의 외부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을 수신하는 제 1 통신부;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획득부; 및
    상기 차량의 목적지를 확인하고, 상기 차량의 목적지 및 상기 위치 정보 획득부를 통해 획득되는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차량에 승차한 승차자의 하차 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감지한 하차 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가 상기 목적지로부터 일정 거리 반경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촬영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목적지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요금 결제 이벤트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요금 결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촬영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차자의 하차가 감지되면, 상기 촬영 영상과 함께 상기 차량의 주행 관련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주행 관련 정보는,
    상기 차량의 출발지에서 상기 목적지까지의 이동 거리 정보, 상기 이동 거리에 따른 요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촬영 영상 내에 기설정된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객체의 존재 여부에 따라 경고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 영상 내에 기설정된 객체가 존재하면, 상기 차량의 도어 잠김을 위한 도어 잠김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내부로 상기 승차자가 승차하는 시점에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차량 관련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차량 관련 정보는,
    차량 번호 및 차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와,
    운전자 이름, 자격 등록 번호 및 소속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운전자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부로 상기 승차자가 승차하면, 상기 승차자의 제 1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 2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통신부는,
    상기 제 1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승차자의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목적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이동을 위한 목적지를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적지가 설정되면, 외부로 상기 승차자의 승차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승차 정보는,
    승차 시간, 승차 차량 정보, 운전자 정보, 출발지 정보, 목적지 정보 및 목적지까지의 소요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단말기 및 상기 제 1 단말기에 등록된 타인의 제 2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승차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제 2 단말기의 정보는,
    상기 제 2 통신부를 통해 수행되는 상기 제 1 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해 획득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알림 조건에 따라 외부로 상기 승차자의 승차 정보를 추가 전송하며,
    상기 추가 전송되는 승차 정보는,
    상기 차량의 이동에 따른 실시간 현재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요금 정보의 요금 결제에 따른 승차자의 카드 정보를 수신하는 제 3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주행 중에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기설정된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콘텐츠는,
    광고, 뉴스, 목적지 주위의 지도 및 상기 출발지에서 목적지 사이의 이동 경로에 대한 교통 상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차량에 승차하는 승차자가 감지되는 단계;
    상기 승차자의 목적지를 토대로 선택적으로 상기 차량의 목적지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목적지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차량의 실시간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되는 실시간 현재 위치와 상기 차량의 목적지를 토대로 상기 차량이 상기 승차자의 하차 인근 지역에 도착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이 상기 하차 인근 지역에 도착하면, 상기 차량의 외부를 촬영한 촬영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하차 인근 지역에 도착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실시간 현재 위치가 상기 목적지로부터 일정 거리 반경 이내로 접근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목적지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요금 결제 이벤트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촬영 영상은
    상기 요금 결제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에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상기 하차 인근 지역에 도착하면, 상기 차량의 외부를 촬영한 촬영 영상과 함께 상기 차량의 주행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행 관련 정보는,
    상기 차량의 출발지에서 상기 목적지까지의 이동 거리 정보, 상기 이동 거리에 따른 요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내부로 상기 승차자가 승차하면, 상기 승차자의 제 1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제 1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승차자의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주행 중에 기설정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콘텐츠는,
    광고, 뉴스, 목적지 주위의 지도 및 상기 출발지에서 목적지 사이의 이동 경로에 대한 교통 상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50070017A 2015-05-19 2015-05-19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411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017A KR102411171B1 (ko) 2015-05-19 2015-05-19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US15/575,252 US20180137595A1 (en) 2015-05-19 2016-05-09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PCT/KR2016/004779 WO2016186355A1 (ko) 2015-05-19 2016-05-09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017A KR102411171B1 (ko) 2015-05-19 2015-05-19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166A true KR20160136166A (ko) 2016-11-29
KR102411171B1 KR102411171B1 (ko) 2022-06-21

Family

ID=57320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0017A KR102411171B1 (ko) 2015-05-19 2015-05-19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80137595A1 (ko)
KR (1) KR102411171B1 (ko)
WO (1) WO2016186355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60604A (zh) * 2017-11-10 2019-05-17 Lg电子株式会社 安装在车辆上的车辆控制设备和控制车辆的方法
CN110103714A (zh) * 2019-05-19 2019-08-09 上海方堰实业有限公司 一种客车用智能信息显示器
CN110312633A (zh) * 2017-02-23 2019-10-08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图像显示系统、图像显示方法以及程序
KR102606438B1 (ko) * 2023-08-21 2023-11-24 두혁 지능형 영상 감지를 활용한 추돌 방지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05373B2 (ja) 2016-12-27 2020-06-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運転システム
US10554783B2 (en) * 2016-12-30 2020-02-04 Lyft, Inc. Navigation using proximity information
KR102645360B1 (ko) * 2017-01-12 2024-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차량 장치 및 전자 장치와 차량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방법 및 전자 장치에서 정보 전송 방법
JP6822303B2 (ja) * 2017-04-28 2021-01-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7061280B2 (ja) 2018-02-05 2022-04-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ーバ装置、車両及びシステム
EP3598259B1 (en) * 2018-07-19 2021-09-0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11023742B2 (en) 2018-09-07 2021-06-01 Tusimple, Inc. Rear-facing perception system for vehicl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64962A1 (en) * 2000-07-18 2002-11-07 Mankins Matt W. D.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mobile units, with reporting by, and control of, such units
KR100577539B1 (ko) * 2004-07-01 2006-05-10 김현민 광고형모니터링시스템
KR20130026942A (ko) * 2011-09-06 2013-03-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의 위험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38315A (ko) * 2013-02-27 2013-04-17 한형우 안전택시 서비스시스템
KR20130140195A (ko) * 2011-04-28 2013-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36622A1 (en) * 2000-12-15 2004-02-26 Semyon Dukach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signs
US20030040944A1 (en) * 2001-08-22 2003-02-27 Hileman Ryan M. On-demand transportation system
US7253833B2 (en) * 2001-11-16 2007-08-07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Vehicle periphery visual recognition system, camera and vehicle periphery monitoring apparatus and vehicle periphery monitoring system
JP3908056B2 (ja) * 2002-02-26 2007-04-25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3271706A (ja) * 2002-03-14 2003-09-26 Fujitsu Ltd タクシー相乗り管理方法、タクシー相乗り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タクシー相乗り管理装置
JP2004157698A (ja) * 2002-11-06 2004-06-03 Nec Corp タクシーサービス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タクシーサービス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KR20040050957A (ko) * 2002-12-11 2004-06-18 씨엔씨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택시요금징수단말기
US8639214B1 (en) * 2007-10-26 2014-01-28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8005488B2 (en) * 2007-12-14 2011-08-23 Promptu Systems Corporation Automatic service vehicle hailing and dispatch system and method
JP2010230551A (ja) * 2009-03-27 2010-10-14 Sony Corp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JP5275963B2 (ja) * 2009-12-08 2013-08-28 株式会社東芝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移動体
US20120041675A1 (en) * 2010-08-10 2012-02-16 Steven Juliver Method and System for Coordinating Transportation Service
KR20140050472A (ko) * 2012-10-19 2014-04-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하차 안전 장치
JP2015066979A (ja) * 2013-09-26 2015-04-13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船舶用表示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備えた小型船舶
DE112014006597T5 (de) * 2014-04-17 2017-04-0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Fahrzeugmontierte Vorrichtung
US9360333B2 (en) * 2014-08-04 2016-06-07 Here Global B.V. Method and apparatus calculating estimated time of arrival from multiple devices and servic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64962A1 (en) * 2000-07-18 2002-11-07 Mankins Matt W. D.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mobile units, with reporting by, and control of, such units
KR100577539B1 (ko) * 2004-07-01 2006-05-10 김현민 광고형모니터링시스템
KR20130140195A (ko) * 2011-04-28 2013-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30026942A (ko) * 2011-09-06 2013-03-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의 위험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38315A (ko) * 2013-02-27 2013-04-17 한형우 안전택시 서비스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2633A (zh) * 2017-02-23 2019-10-08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图像显示系统、图像显示方法以及程序
CN109760604A (zh) * 2017-11-10 2019-05-17 Lg电子株式会社 安装在车辆上的车辆控制设备和控制车辆的方法
CN110103714A (zh) * 2019-05-19 2019-08-09 上海方堰实业有限公司 一种客车用智能信息显示器
KR102606438B1 (ko) * 2023-08-21 2023-11-24 두혁 지능형 영상 감지를 활용한 추돌 방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1171B1 (ko) 2022-06-21
WO2016186355A1 (ko) 2016-11-24
US20180137595A1 (en) 2018-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1171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US8768569B2 (e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or mobi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US11250708B2 (en) Moving object control apparatus, moving object control method, and moving object
US9487172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1649643B1 (ko) 정보 표시 장치
US9819790B2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1869391B1 (ko) 지능형 주차 관리 시스템
KR101562589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US20110098916A1 (en) Navigation method of mobi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EP3006277A1 (en) Image transmission device
US20100161207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 thereof
KR20100041545A (ko) 텔레매틱스 단말기 및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이동체 제어 방법
KR101631959B1 (ko) 차량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39361A (ko) 컴퓨팅 디바이스
KR20130053137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60082452A (ko) 차량 시스템 제어를 위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90098795A (ko) 차량 단말기 및 그것을 포함하는 운송 시스템의 제어방법
JP2016189074A (ja) 通知装置、通知方法および通知プログラム
CN106878421B (zh) 预约共享车辆的方法、订车终端及系统
KR101602256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72971A (ko)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경로 안내 방법
KR101667699B1 (ko)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운행안내방법
KR20150033428A (ko) 전자기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200026451A (ko) 통학차량의 안전시스템
KR101844636B1 (ko) 택시 단말기 및 택시승하차 정보를 이용한 택시 서비스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