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0472A - 차량의 하차 안전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하차 안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0472A
KR20140050472A KR1020120116933A KR20120116933A KR20140050472A KR 20140050472 A KR20140050472 A KR 20140050472A KR 1020120116933 A KR1020120116933 A KR 1020120116933A KR 20120116933 A KR20120116933 A KR 20120116933A KR 20140050472 A KR20140050472 A KR 20140050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oor
approach
unit
g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6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재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6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0472A/ko
Publication of KR20140050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04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5/00Arrangements or devices on vehicles for entrance or exit control of passengers, e.g. turnst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vehicle sides, e.g. clearance lights
    • B60Q1/32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vehicle sides, e.g. clearance lights on or fo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6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 E05B81/78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as part of a hands-free locking or unlock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554/40Dynamic objects, e.g. animals, windblown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554/80Spatial relation or speed relative to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주정차 상태에서의 하차시 주변의 안전이 완벽하게 확보되는 시점에서만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의 하차 안전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의 각 도어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도어가 하차를 위한 작동 개시 시점에 도달하는지를 감지하는 도어 작동 시점 감지부, 차량 측후방의 이동 물체 접근을 감지하고, 접근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접근 감지부, 상기 접근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이동 물체가 위험 경계치에 도달하면 모든 도어를 잠금 처리하는 도어 잠금 구동부 및, 차량의 주차 또는 정차 상태에서, 상기 도어 작동 시점 감지부를 통해 도어의 작동 개시 시점이 감지되고, 상기 접근 감지부의 접근 감지 신호를 근거로 이동 물체가 미리 설정된 위험 경계치에 도달하면 상기 도어 잠금 구동부가 모든 도어를 잠금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하차 안전 장치{Safety Apparatus for Alight from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하차 안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차 상태의 차량에서 운전자 및 승객이 하차시에 외부의 위험으로부터 보호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안전 하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하차 안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나 승합차 등과 같은 차량의 경우에는 정차 상태에서 운전자나 승객이 하차하는 시점에서, 외부의 인접 도로 또는 보도 상에서 이동하는 여타 차량이나 오토바이, 손수레 등과 같은 위험 물체에 불가피하게 노출될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한 인명 사고도 자주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인명 사고를 줄이기 위해, 종래에는 차량의 차체 또는 도어 측에 일정 거리 내의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하고, 도어의 개폐시 또는 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경보 신호를 발생하여 위험을 알리기 위한 차량 승하차시 안전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승하차시 안전 시스템은 소형 승용차 또는 대형 승합차 등의 차량 도어에 단순히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차량의 도어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운전자 또는 승객이 승차 또는 하차하고 있는 시점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위험을 알리기 위한 용도로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관련 기술로는 국내공개특허 제2010-0041344호(승하차 안전 전자 도우미 장치)(2010.04.22)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차량 승하차시 안전 시스템의 경우에는 도어가 이미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운전자 또는 승객이 승차 또는 하차하고 있는 상황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위험성을 알리는 기능만을 수행하기 때문에, 인접 도로에서 여타 차량이 위험 거리까지 접근하거나 보도에서 빠른 속도로 접근하는 오토바이 등과 같은 이동 물체에 대한 위험 대처가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므로, 승차 또는 하차하는 운전자, 승객의 안전을 완벽하게 보호해주지 못하게 된다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차량 주정차 상태에서의 하차시 주변의 안전이 완벽하게 확보되는 시점에서만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의 하차 안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도어 측에 주변 촬영 영상의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하여 하차시의 운전자, 승객이 주변 상황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직접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의 하차 안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차량의 하차 안전 장치는, 차량의 각 도어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도어가 하차를 위한 작동 개시 시점에 도달하는지를 감지하는 도어 작동 시점 감지부, 차량 측후방의 이동 물체 접근을 감지하고, 접근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접근 감지부, 상기 접근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이동 물체가 위험 경계치에 도달하면 모든 도어를 잠금 처리하는 도어 잠금 구동부 및, 차량의 주차 또는 정차 상태에서, 상기 도어 작동 시점 감지부를 통해 도어의 작동 개시 시점이 감지되고, 상기 접근 감지부의 접근 감지 신호를 근거로 이동 물체가 미리 설정된 위험 경계치에 도달하면 상기 도어 잠금 구동부가 모든 도어를 잠금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측후방 영역을 촬영하는 영상 카메라, 상기 영상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영상신호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영상 처리부를 통한 측후방 촬영 영상을 화면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 작동 시점 감지부를 통해 도어의 작동 개시 시점이 감지되면, 상기 영상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화면 표시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부는, 차량의 도어 프레임에 소형 디스플레이 형태로 설치되는 플렉시블(Flexible) 재질의 디스플레이 소자와,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 도어의 윈도우에 일체로 설치되는 투명 디스플레이 소자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 작동 시점 감지부는, 각 도어 손잡이에 사람의 손이 접촉함에 의해 발생되는 정전기를 감지하는 촉수 감지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접근 감지부는, 차량 외부에 설치되는 초음파 센서와, 차량 간의 거리 측정이 가능한 통신을 수행하는 V2V(Vehicle to Vehicle) 모듈, 영상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이용한 이미지 인식 모듈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어 잠금 구동부에 의한 도어 잠금 처리시에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음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주정차 상태에서 하차시 운전자 또는 승객이 도어 손잡이를 촉수하는 상태를 감지하면, 외부 측후방의 촬영 영상이 도어측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에 화면 표시되도록 하고, 외부 물체의 접근 상태를 감시하여 위험 상황일 때는 도어를 자동으로 잠금 처리하여 하차시의 사고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종래에 비해 보다 높은 레벨의 안전성이 보장될 수 있고, 운전자 및 승객에게 차량 이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하차 안전 장치에 대한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하차 안전 장치에서 촉수 감지부와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된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하차 안전 장치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하차 안전 장치에 대한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하차 안전 장치는, 4개의 촉수 감지부(10, 12, 14, 16),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20), 접근 감지부(30), 영상 카메라(40), 영상 처리부(50), 복수의 디스플레이부(60, 62), 제어부(70), 도어 잠금 구동부(80), 경보음 발생부(90)를 포함한다.
상기 4개의 촉수 감지부(10, 12, 14, 1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각 도어에 구비되어 있는 도어 손잡이에 각각 개별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각 도어에 대해 하차를 위한 작동 개시 시점을 검출하기 위해, 운전자 또는 승객의 도어 손잡이 접촉시에 사람의 손에서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정전기를 감지하고, 그 감지 결과에 따라 각각 촉수 감지 신호를 발생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촉수 감지부(10, 20, 30, 40)를 4개로 예시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서 차량의 도어 갯수나, 차종, 차량의 사용 용도에 따라 얼마든지 증감하여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20)는 상기 각 촉수 감지부(10, 20, 30, 40)로부터 발생되는 아날로그 신호 형태의 촉수 감지 신호를 디지털 변환한다.
상기 접근 감지부(30)는 차량의 측후방에 접근하는 물체와의 거리 측정을 통해 물체의 접근 상태를 감지하고, 그 감지 결과에 따라 접근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것으로서, 차량 외부에 설치되는 초음파 센서나, 차량 간의 거리 측정이 가능한 통신 기술인 V2V(Vehicle to Vehicle) 모듈, 영상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이용한 이미지 인식 모듈 등의 접근 감지 수단을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카메라(40)는 측후방 방향의 촬영 각도가 확보 가능한 차량 외부의 특정 위치(예컨대, 사이드 미러)에 고정 설치되어 있고, 차량의 주차 또는 정차시에 작동이 개시되어 차량 측후방을 촬영한다.
상기 영상 처리부(50)는 상기 영상 카메라(40)로부터 촬영된 측후방의 영상 신호를 상기 각 디스플레이부(60, 62)에서 화면 표시 가능하도록 영상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부(60, 62)는 상기 영상 처리부(50)를 통해 영상 처리된 측후방의 촬영 영상을 화면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디스플레이부(60, 6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도어 프레임에 소형 디스플레이 형태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어 프레임의 곡면 형상에 맞추어서 설치가 가능하도록 플렉시블(Flexible) 재질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각 디스플레이부(60, 62)는 다른 예로서, 운전석측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뒷좌석 측에 각각 설치가 가능한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차량 도어의 윈도우에 일체로 설치가 가능한 투명 디스플레이 소자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60, 62)의 갯수를 2개로 예시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것으로서 차량의 도어 갯수에 맞추어서 4개를 모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차종, 차량의 사용 용도에 따라 얼마든지 증감하여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는 차량의 주차 또는 정차를 알리는 차량 정차 정보(즉, 변속 기어가 P단 또는 N단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발생하는 정보 신호)를 제공받고,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20)를 통해 상기 각 촉수 감지부(10, 12, 14, 16)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촉수 감지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영상 카메라(I40) 및 영상 처리부(50)를 동작시켜서 차량 측후방의 촬영 영상이 각 디스플레이부(60, 62)를 통해 화면 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70)는 차량의 주차 또는 정차 상태에서, 상기 접근 감지부(30)로부터의 접근 감지 신호를 입력받아 분석하고, 접근 물체의 거리 및 가속도의 산출치를 감시하여 미리 설정된 위험 경계치(예컨대, 10초 이내에 이동 물체가 차량 도어에 도달하는 정도)에 도달하면, 상기 도어 잠금 구동부(80)를 구동 제어하여 해당 차량의 도어를 자동으로 잠금 처리함과 더불어, 상기 경보음 발생부(90)를 통해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70)는 이동 물체에 의한 위험 상태에 의해 차량 도어가 잠궈지고 경보음이 발생되는 상태에서, 위험이 해제되면 상기 도어 잠금 구동부(870)를 통해 각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하고, 상기 경보음 발생부(90)를 통한 경보음 발생을 중지한다.
상기 도어 잠금 구동부(80)는 상기 제어부(70)로부터의 도어 잠금 제어에 따라 차량의 각 도어락(Door Lock) 장치를 각각 구동시켜서 도어를 잠금 처리하고, 상기 제어부(70)로부터의 잠금 해제 제어를 받으면 각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구동한다.
상기 경보음 발생부(90)는 상기 제어부(70)의 경보음 발생 제어에 따라 위험을 알리는 경보음을 발생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하차 안전 장치에 대한 동작을 도 3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하차 안전 장치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제어부(70)는 차량의 주차 또는 정차에 따라 차량 정차 정보를 수신받으면(S10), 접근 감시부(30)로부터의 접근 감시 신호를 입력받아 분석하여 차량 측후방의 이동 물체에 대한 접근 감시를 개시한다(S11).
그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70)는 차량의 각 도어측 도어 손잡이에 구비된 각 촉수 감지부(10, 12, 14, 16)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이 촉수를 감지하는지를 판단한다(S12).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각 촉수 감지부(10, 12, 14, 16)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이 촉수를 감지한다고 판단되면, 영상 카메라(40)를 작동시켜서 해당 차량 측후방의 영역을 촬영하도록 하고, 상기 영상 카메라(4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 영상 처리부(50)를 통해 영상 처리되어 각 도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60, 62)를 통해 화면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S13).
그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접근 감지부(30)로부터 지속적으로 제공되는 접근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이동 물체(예컨대, 인접 도로의 주행 차량, 오토바이, 보도의 자전거, 손수레, 보행자 등)의 접근 거리 및 가속도를 감안한 결과, 상기 이동 물체가 미리 설정된 위험 경계치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한다(S14).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어부(70)는 측후방으로부터 이동하는 물체가 상기 위험 경계치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면, 도어 잠금 구동부(80)를 제어하여 해당 차량의 모든 도어가 도어락을 통해 잠금 처리되도록 함과 더불어, 경보음 발생부(90)를 통해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한다(S15).
그 다음에,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접근 감지부(30)로부터 제공되는 접근 감지 신호를 근거로 위험 상태를 분석하여 측후방에서의 위험이 해제되는 상태가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한다(S16).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어부(70)는 측후방에서의 위험이 해제되는 상태가 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도어 잠금 구동부(80)를 제어하여 각 도어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경보음 발생부(90)를 통한 경보음의 발생이 해제되도록 한다(S17).
그에 따라, 차량 내부의 운전자 또는 승객은 도어를 열고 안전하게 하차할 수 있게 된다(S18).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12, 14, 16:촉수 감지부 20: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30:접근 감지부 40:영상 카메라
50:영상 처리부 60, 62:디스플레이부
70:제어부 80:도어 잠금 구동부
90:경보음 발생부

Claims (6)

  1. 차량의 각 도어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도어가 하차를 위한 작동 개시 시점에 도달하는지를 감지하는 도어 작동 시점 감지부;
    차량 측후방의 이동 물체 접근을 감지하고, 접근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접근 감지부;
    상기 접근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이동 물체가 위험 경계치에 도달하면 모든 도어를 잠금 처리하는 도어 잠금 구동부; 및
    차량의 주차 또는 정차 상태에서, 상기 도어 작동 시점 감지부를 통해 도어의 작동 개시 시점이 감지되고, 상기 접근 감지부의 접근 감지 신호를 근거로 이동 물체가 미리 설정된 위험 경계치에 도달하면 상기 도어 잠금 구동부가 모든 도어를 잠금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하차 안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차량의 측후방 영역을 촬영하는 영상 카메라,
    상기 영상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영상신호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영상 처리부를 통한 측후방 촬영 영상을 화면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 작동 시점 감지부를 통해 도어의 작동 개시 시점이 감지되면, 상기 영상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화면 표시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하차 안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부는, 차량의 도어 프레임에 소형 디스플레이 형태로 설치되는 플렉시블(Flexible) 재질의 디스플레이 소자와,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 도어의 윈도우에 일체로 설치되는 투명 디스플레이 소자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하차 안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작동 시점 감지부는, 각 도어 손잡이에 사람의 손이 접촉함에 의해 발생되는 정전기를 감지하는 촉수 감지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하차 안전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감지부는, 차량 외부에 설치되는 초음파 센서와, 차량 간의 거리 측정이 가능한 통신을 수행하는 V2V(Vehicle to Vehicle) 모듈, 영상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이용한 이미지 인식 모듈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하차 안전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잠금 구동부에 의한 도어 잠금 처리시에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음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하차 안전 장치.

KR1020120116933A 2012-10-19 2012-10-19 차량의 하차 안전 장치 KR201400504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933A KR20140050472A (ko) 2012-10-19 2012-10-19 차량의 하차 안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933A KR20140050472A (ko) 2012-10-19 2012-10-19 차량의 하차 안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0472A true KR20140050472A (ko) 2014-04-29

Family

ID=50655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6933A KR20140050472A (ko) 2012-10-19 2012-10-19 차량의 하차 안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0472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6355A1 (ko) * 2015-05-19 2016-11-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WO2016186255A1 (ko) * 2015-05-18 2016-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차의 알림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160136543A (ko) * 2015-05-19 2016-11-30 주식회사 경신 하차시 위험 알림 장치 및 방법
KR20160136957A (ko) * 2015-05-21 2016-11-3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을 이용한 승하차시 시야확보방법 및 그 시스템
US10704301B2 (en) 2017-12-27 2020-07-07 Hyundai Motor Company Safety exit assist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20230090408A (ko) * 2021-12-14 2023-06-22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차량 도어 개폐 제어 장치 및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6255A1 (ko) * 2015-05-18 2016-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차의 알림 시스템 및 제어 방법
US10235879B2 (en) 2015-05-18 2019-03-19 Lg Electronics Inc. Notification system of a ca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WO2016186355A1 (ko) * 2015-05-19 2016-11-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60136543A (ko) * 2015-05-19 2016-11-30 주식회사 경신 하차시 위험 알림 장치 및 방법
KR20160136957A (ko) * 2015-05-21 2016-11-3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을 이용한 승하차시 시야확보방법 및 그 시스템
US10704301B2 (en) 2017-12-27 2020-07-07 Hyundai Motor Company Safety exit assist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20230090408A (ko) * 2021-12-14 2023-06-22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차량 도어 개폐 제어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5920B2 (en) Safety system for preventing a vehicle door from opening into traffic
KR20140050472A (ko) 차량의 하차 안전 장치
KR102201540B1 (ko) 전동킥보드의 안전 보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87165B1 (ko) 차량 승객을 위한 승하차 안전 시스템
JP5803832B2 (ja) 緊急退避支援装置
JP5949660B2 (ja) ドライバ確認装置
KR101482171B1 (ko) 어라운드뷰 정차모드 제어방법
JP4100026B2 (ja) 発進支援装置
KR102092625B1 (ko) 차량 상태 경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7208040B2 (ja) 車両制御装置
JP2009202610A (ja) 駐車支援装置
KR101960915B1 (ko) 차량 도어 충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JP2018008576A (ja) 車両ドア開閉支援システム
US11225192B2 (en) Vehicle advancing monitoring system
KR20120122170A (ko) 차량의 후방 충돌 방지 장치
KR20170070457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26928A (ko) 차량용 하차 경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44727A (ko) 하차 승객 보호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7019419A (ja) 車輛用ドア開閉制御装置およびドア開閉制御システム、ドア開閉予告システム
KR101361179B1 (ko) 차량용 안전시스템
JP2003104132A (ja) 同乗者モニタ装置
WO2019035640A1 (ko) 자동차의 안전거리 유지 경고장치
JP6143036B2 (ja) 車両用後方監視装置
JP2008269399A (ja) 車両の車線逸脱警報装置
KR102007765B1 (ko) 유아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스마트 유모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