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6438B1 - 지능형 영상 감지를 활용한 추돌 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지능형 영상 감지를 활용한 추돌 방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6438B1
KR102606438B1 KR1020230108974A KR20230108974A KR102606438B1 KR 102606438 B1 KR102606438 B1 KR 102606438B1 KR 1020230108974 A KR1020230108974 A KR 1020230108974A KR 20230108974 A KR20230108974 A KR 20230108974A KR 102606438 B1 KR102606438 B1 KR 102606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nfirmed
warning
passenger
warn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8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두혁
Original Assignee
두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혁 filed Critical 두혁
Priority to KR1020230108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64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4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anti-collision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54Automatic securing or unlocking of bolts triggered by certain vehicle parameters, e.g. exceeding a speed threshol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06V20/58Recognition of moving objects or obstacles, e.g. vehicles or pedestrians; Recognition of traffic objects, e.g. traffic signs, traffic lights or r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27Post collision measures, e.g. notifying emergency 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204Actuation parameters of safety arrangents
    • B60R2021/01252Devices other than bags
    • B60R2021/01265Seat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르면, 추돌 방지 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수행되는, 지능형 영상 감지를 활용한 추돌 방지 방법에 있어서, 제1 차량의 승객이 지정한 목적지에 상기 제1 차량이 도착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차량의 측면 후방 구역에 대한 촬영을 수행하는 제1 카메라로부터, 상기 제1 차량의 측면 후방 구역의 촬영으로 생성된 제1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가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제1 경고 기기에서 상기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의 운전자에게 상기 제1 차량의 승객 하차에 대한 위험을 경고하는 경고등 및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상기 제1 경고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능형 영상 감지를 활용한 추돌 방지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지능형 영상 감지를 활용한 추돌 방지 방법 {METHOD FOR PREVENTING COLLISION USING INTELLIGENT IMAGE DETECTION}
아래 실시예들은 지능형 영상 감지를 활용하여 추돌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택시와 같은 차량에 탑승한 승객의 하차 시, 승객이 차문을 개방하면서 차량에서 내리는데, 이때, 차량의 후방에서 차량을 추월하기 위해 접근하고 있는 오토바이, 자전거 등의 주행체가 있는 경우, 해당 주행체가 하차 승객을 빠르게 인지하지 못해 그대로 직진하여 개방되는 차문과 추돌하거나 하차 승객과 추돌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승객이 차문을 개방하기 전에, 조만간 차량에서 승객이 하차하기 때문에, 차량의 후방에서 접근하고 있는 주행체의 운전자에게 승객 하차에 대한 위험을 미리 경고하여, 차량의 후방에서 접근하고 있는 주행체와 하차 승객 간의 추돌을 사전에 예방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기술의 구현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420218호 한국등록특허 제10-1410182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22-0036454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132577호
일실시예에 따르면, 지능형 영상 감지를 활용하여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와 하차 승객 간의 추돌을 방지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추돌 방지 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수행되는, 지능형 영상 감지를 활용한 추돌 방지 방법에 있어서, 제1 차량의 승객이 지정한 목적지에 상기 제1 차량이 도착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차량의 측면 후방 구역에 대한 촬영을 수행하는 제1 카메라로부터, 상기 제1 차량의 측면 후방 구역의 촬영으로 생성된 제1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가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제1 경고 기기에서 상기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의 운전자에게 상기 제1 차량의 승객 하차에 대한 위험을 경고하는 경고등 및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상기 제1 경고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능형 영상 감지를 활용한 추돌 방지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1 경고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와 상기 제1 차량 간의 이격 거리를 제1 이격 거리로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1 이격 거리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거리 보다 긴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경고 기기에서 경고등 및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상기 제1 경고 기기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이격 거리가 상기 제1 기준 거리 보다 짧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경고 기기에서 경고등 및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상기 제1 경고 기기를 제어하면서, 제2 경고 기기에서 상기 제1 차량의 승객에게 상기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에 대한 위험을 경고하는 경고등 및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상기 제2 경고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이격 거리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거리 보다 짧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차량의 승객 좌석에 구비된 제1 안전벨트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안전벨트의 상태가 연결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안전벨트의 연결이 해제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안전벨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안전벨트의 상태가 연결 해제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차량의 승객 좌석에 설치된 제1 차문의 도어락인 제1 도어락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도어락의 상태가 잠금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제1 도어락의 잠금이 해제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도어락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도어락의 상태가 잠금 해제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제1 도어락이 잠기도록, 상기 제1 도어락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능형 영상 감지를 활용한 추돌 방지 방법은, 상기 제1 경고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1 차문이 개방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제1 차량에 설치된 제1 센서로부터 제1 센싱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차량을 호출하여 탑승한 제1 승객이 사용하는 제1 승객 단말로부터 제2 센싱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센싱값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값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차량에 충격이 가해진 것으로 감지하고, 상기 제2 센싱값이 미리 설정된 제2 기준값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승객에게 충격이 가해진 것으로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차량 및 상기 제1 승객 중 적어도 하나에게 충격이 가해진 것으로 감지되면, 충격 감지의 신고 접수를 위한 알림 메시지를 안전센터의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 감지 시, 이동체의 운전자에게 승객 하차에 대한 위험을 경고함으로써, 차량의 후방에서 접근하고 있는 이동체의 운전자에게 승객 하차에 대한 위험을 미리 경고하여, 차량의 후방에서 접근하고 있는 주행체와 하차 승객 간의 추돌을 사전에 방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추돌 방지 장치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추돌 방지 장치의 각 구성요소가 설치된 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영상 감지를 활용하여 추돌을 방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하차 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위험 알림, 안전벨트 제어 및 도어락 제어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충격 감지를 통해 위험 상황을 안전센터에 신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승객 하차 위험도에 따라 상이한 색으로 위험 알림을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추돌 방지 장치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추돌 방지 장치의 각 구성요소가 설치된 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추돌 방지 장치(100)는 제1 차량의 승객이 하차할 때 추돌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카메라(110), 제1 경고 기기(120), 제2 경고 기기(130), 제1 안전벨트(140), 제1 도어락(150), 제1 센서(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통신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 구동회로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추돌 방지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는 서로 결합되어 하나로 구현될 수도 있고, 일부의 구성요소가 생략될 수도 있다.
먼저, 제1 카메라(110)는 제1 차량의 측면에 설치되어, 제1 차량의 측면 후방 구역에 대한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카메라(110)는 제1 차량의 우측면에 설치되어, 제1 차량의 우측면 후방 구역에 대한 촬영을 수행하여 제1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10)는 감시 구역 내의 이동 객체 검출 기능을 가지는 모션 디텍터 카메라, 고화질의 영상을 촬영하는 RGB 카메라, 보다 신뢰성이 있는 레이더가 부착된 카메라, 자동추적을 수행하기 위한 팬틸트 카메라, IP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네트워크 카메라 등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경고 기기(120)는 제1 차량의 측면 후방부에 설치되어,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의 운전자에게 제1 차량의 승객 하차에 대한 위험을 경고하는 경고등 및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경고 기기(120)는 제1 차량의 우측면 후방부에 설치되어, 제1 차량의 승객이 뒷좌석 우측으로 하차를 시도하기 때문에, 제1 차량의 우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의 운전자에게 제1 차량의 승객과 추돌 위험이 있는 것을 경고하는 경고등 및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경고 기기(120)는 경고등을 출력하기 위한 LED, 경고음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경고 기기(130)는 제1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1 차량의 승객에게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에 대한 위험을 경고하는 경고등 및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경고 기기(130)는 제1 차량의 내부 중 뒷좌석 우측에 설치되어, 제1 차량의 승객이 뒷좌석 우측으로 하차를 시도하는 경우, 제1 차량의 승객에게 제1 차량의 우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와 추돌 위험이 있는 것을 경고하는 경고등 및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제2 경고 기기(130)는 승객이 하차하는 도어 부분에 설치하여 승객이 경고등 및 경고음을 인식하는데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경고등을 출력하기 위한 LED, 경고음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안전벨트(140)는 제1 차량의 승객 좌석에 구비되어 있는 안전벨트이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안전벨트(140)는 제1 차량의 뒷좌석 우측 좌석에 구비되어 있는 안전벨트이다.
제1 도어락(150)은 제1 차량의 승객 좌석에 설치된 제1 차문의 도어락이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차량의 뒷좌석 우측 차문이 제1 차문인 경우, 제1 도어락(150)은 제1 차량의 뒷좌석 우측 차문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락이다.
제1 센서(160)는 제1 차량에 설치되어, 제1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에 따라 발생하는 물리적인 힘을 센싱하여, 센싱 결과에 따라 센싱값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센서(160)는 제1 차문의 우측 외부에 설치되어, 제1 차문에 가해지는 충격에 따라 발생하는 물리적인 힘을 센싱하여, 센싱값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센서(160)는 압력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1 카메라(110), 제1 경고 기기(120), 제2 경고 기기(130), 제1 안전벨트(140), 제1 도어락(150) 및 제1 센서(160)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여, 추돌 방지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추돌 방지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네트워크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CAN FD(Controller Area Network with Flexible Data-rate),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플렉스레이(FlexRay), MOST(Media Oriented Systems Transport), 이더넷(Etherne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통신망을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망은 무선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서버와 서버 간의 통신과 서버와 단말 간의 통신이 수행되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통신망과 직접 연결되어, 직접적으로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고, 추돌 방지 장치(100)에 구비된 통신 모듈을 통해 통신망과 연결되어, 간접적으로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는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고, 메모리는 후술되는 방법들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추돌 방지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와, 프로그램 실행을 위해 필요한 정보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에서 추돌 방지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즉, 메모리는 프로세서에서 추돌 방지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해 수행하는 동작들을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중인 데이터, 처리된 데이터, 기 설정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는 통상적으로 메모리가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추돌 방지 장치(100)는 제1 카메라(110) 이외에, 제1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다른 카메라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제1 차량의 실내, 전면, 우측, 좌측 각각에 설치된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돌 방지 장치(100)는 제1 안전벨트(140) 이외에, 제1 차량에 구비되어 있는 다른 안전벨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제1 차량의 운전석, 조수석, 뒷좌석 좌측 좌석 각각에 구비된 안전벨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돌 방지 장치(100)는 제1 도어락(150) 이외에, 제1 차량에 구비되어 있는 다른 도어락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제1 차량의 운전석 차문, 조수석 차문, 뒷좌석 좌측 차문 각각에 설치된 도어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돌 방지 장치(100)는 제1 센서(160) 이외에, 제1 차량에 구비되어 있는 다른 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제1 차량의 운전석 차문이 제2 차문, 조수석 차문이 제2 차문, 뒷좌석 좌측 차문이 제3 차문인 경우, 제1 차문, 제2 차문, 제3 차문 각각에 설치된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추돌 방지 장치(100)는 택시 차량을 대상으로 하여, 택시 정차 승객의 하차 시 후방에서 진입하는 이륜자동차 및 자전거의 추돌을 사전에 예방하는 장치로, 획득된 카메라의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접근하는 이동물체를 감지하고 이동물체 감지 시 경고등 및 스피커를 통해 알림을 발생할 수 있으며, 차량의 실내, 전면, 후면, 우측, 좌측, 후면에 카메라를 장착하고,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모든 영상을 이동식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추돌 방지 장치(100)는 택시 승객 하사 시 차량 측후방에 설치된 카메라로 차량에 측면 후방에서 진입하는 이륜자동차 및 자전거의 진입을 감지하여 경고음 및 경고등을 통해 이륜자동차 및 자전거 운전자에게 승객 하차에 대한 위험을 알려줄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추돌 방지 장치(100)는 지능형 영상 감지를 활용하여, 근접하는 이동체를 감지한 경우, 차량 내부에서 경고등 및 경고음으로 승객에게 근접 이동체에 대한 위험을 알려줄 수 있으며,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륜자동차 및 자전거가 차량으로 가까이 접근하여 하차하는 승객의 위험도가 상승한 경우, 승객이 하차하고자 할 때, 하차하는 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안전벨트를 강제로 잠그거나 차량의 문을 강제로 잠궈 승객의 하차를 일시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하차 승객에게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한 후, 차량 또는 승객의 스마트폰에 일정 이상의 충격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안전센터 등에 신고가 접수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영상 감지를 활용하여 추돌을 방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S301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1 차량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승객 단말은 손님용 택시 호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발지와 목적지를 지정하여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 이동을 요청할 수 있고, 제1 차주 단말은 기사용 택시 호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승객이 지정한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 이동 요청을 수락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1 차량이 제1 승객을 이동시키는 차량으로 매칭될 수 있으며, 제1 차량이 제1 승객의 출발지에 도착하면 제1 승객은 제1 차량에 탑승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70)는 제1 차주 단말로부터 제1 승객이 제1 차량에 탑승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승객이 지정한 출발지에서 제1 차량에 탑승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제1 승객을 태운 상태로 이동중인 제1 차량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제1 차량에 장착된 GPS 모듈을 통해 제1 차량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고, 제1 승객 단말 또는 제1 차주 단말을 통해 제1 차량의 위치를 추적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70)는 제1 승객 단말 또는 제1 차주 단말과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S302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1 차량의 위치를 추적한 결과, 제1 차량의 승객이 지정한 목적지에 제1 차량이 도착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302 단계에서 제1 차량의 승객이 지정한 목적지에 제1 차량이 도착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S301 단계로 되돌아가, 제어부(170)는 제1 차량의 위치를 계속 추적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제1 차량의 승객이 지정한 목적지에 제1 차량이 도착할 때까지, 제1 차량의 위치를 계속 추적할 수 있다.
S302 단계에서 제1 차량의 승객이 지정한 목적지에 제1 차량이 도착한 것으로 확인되면, S303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1 카메라(110)로부터 제1 차량의 측면 후방 구역의 촬영으로 생성된 제1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제1 카메라(110)는 제1 차량의 측면 후방 구역에 대한 촬영을 수행하여 제1 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제1 차량의 승객이 지정한 목적지에 제1 차량이 도착한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차량의 측면 후방 구역에 대한 촬영을 수행하는 제1 카메라로부터, 제1 차량의 측면 후방 구역의 촬영으로 생성된 제1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304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1 영상 정보를 기초로,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제1 영상 정보를 기초로,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 객체가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고,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 객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면, 인식된 객체가 접근하고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고, 접근하고 있는 객체가 있는 것으로 분석하면,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가 있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지능형 영상 감지를 활용하여,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지능형 영상 감지 기술은 영상을 분석하여 내포된 특성을 인식하고 패턴을 추출하는 기술로, 목적과 대상에 따라 객체 인식 및 추적, 상황 감지, 모션 인식 및 추적, 객체 검색 등의 다양한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과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S305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가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305 단계에서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가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S306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1 경고 기기(120)에서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의 운전자에게 제1 차량의 승객 하차에 대한 위험을 경고하는 경고등 및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제1 경고 기기(1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1 경고 기기(120)에서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의 운전자에게 제1 차량의 승객 하차에 대한 위험을 경고하는 경고등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때, 승객 하차 위험도에 따라 상이한 색으로 위험 알림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S305 단계에서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가 없는 것으로 감지되거나, S306 단계 이후, S307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1 차량의 승객이 하차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제1 차량의 승객 좌석에 설치된 차문이 개폐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차문이 개폐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차량의 승객이 하차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차문의 개폐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차문에는 센서가 부착될 수 있다.
S307 단계에서 제1 차량의 승객이 하차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S304 단계로 되돌아가, 제어부(170)는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가 있는지 여부를 계속 감지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제1 차량의 승객이 하차한 것으로 확인될 때까지,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가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제1 경고 기기(120)에서 경고등 및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제1 경고 기기(120)를 제어할 수 있다.
S307 단계에서 제1 차량의 승객이 하차한 것으로 확인되면, S308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1 경고 기기(120)에서 경고등 및 경고음이 출력되지 않도록, 제1 경고 기기(12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제1 차량의 승객이 하차한 것으로 확인될 때까지,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가 없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 제1 경고 기기(120)에서 경고등 및 경고음이 출력되고 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제1 경고 기기(120)에서 경고등 및 경고음이 계속 출력되지 않도록, 제1 경고 기기(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제1 차량의 승객이 하차한 것으로 확인될 때까지,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가 있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 제1 경고 기기(120)에서 경고등 및 경고음이 출력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제1 경고 기기(120)에서 경고등 및 경고음이 더 이상 출력되지 않도록, 제1 경고 기기(1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하차 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위험 알림, 안전벨트 제어 및 도어락 제어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S401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1 영상 정보를 기초로,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와 제1 차량 간의 이격 거리를 제1 이격 거리로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제1 영상 정보를 기초로,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가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의 크기를 확인하고, 이동체의 크기가 클수록 이동체와 제1 차량 간의 이격 거리가 짧은 것으로, 제1 이격 거리를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지능형 영상 감지를 활용하여,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와 제1 차량 간의 이격 거리를 제1 이격 거리로 분석할 수 있다.
S402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1 이격 거리가 제1 기준 거리 보다 긴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 거리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402 단계에서 제1 이격 거리가 제1 기준 거리 보다 긴 것으로 확인되면, S403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1 경고 기기(120)에서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의 운전자에게 제1 차량의 승객 하차에 대한 위험을 경고하는 경고등 및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제1 경고 기기(120)를 제어할 수 있다.
S402 단계에서 제1 이격 거리가 제1 기준 거리 보다 길지 않고 짧은 것으로 확인되면, S404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1 경고 기기(120)에서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의 운전자에게 제1 차량의 승객 하차에 대한 위험을 경고하는 경고등 및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제1 경고 기기(120)를 제어하면서, 제2 경고 기기(130)에서 제1 차량의 승객에게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에 대한 위험을 경고하는 경고등 및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제2 경고 기기(130)를 제어할 수 있다.
S405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1 이격 거리가 제2 기준 거리 보다 짧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준 거리는 제1 기준 거리 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S405 단계에서 제1 이격 거리가 제2 기준 거리 보다 짧은 것으로 확인되면, S406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1 차량의 승객 좌석에 구비된 제1 안전벨트(14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1 안전벨트(140)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제1 안전벨트(140)에는 센서가 부착되어 있으며, 제1 안전벨트(140)의 상태는 연결 상태 및 연결 해제 상태 중 어느 하나로 확인할 수 있다.
S407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1 안전벨트(140)의 상태가 연결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407 단계에서 제1 안전벨트(140)의 상태가 연결 상태로 확인되면, S408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1 안전벨트(140)의 연결이 해제되지 않도록, 제1 안전벨트(1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제1 안전벨트(140)의 상태가 연결 상태로 확인되면, 제1 차량의 승객이 제1 안전벨트(140)를 아직 차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1 차량의 승객이 하차하는 것을 정지시키기 위해, 제1 안전벨트(140)의 연결이 해제되지 않고 연결 상태가 계속 유지되도록, 제1 안전벨트(1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S407 단계에서 제1 안전벨트(140)의 상태가 연결 상태가 아닌 연결 해제 상태로 확인되면, S409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1 차량의 승객 좌석에 설치된 제1 차문의 도어락인 제1 도어락(15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1 차문의 잠금을 제어하기 위해, 제1 차문에는 제1 도어락(150)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1 도어락(150)의 상태는 잠금 상태 및 잠금 해제 상태 중 어느 하나로 확인될 수 있다.
S410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1 도어락(150)의 상태가 잠금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410 단계에서 제1 도어락(150)의 상태가 잠금 상태로 확인되면, S411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1 도어락(150)의 잠금이 해제되지 않도록, 제1 도어락(150)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제1 안전벨트(140)의 상태가 연결 해제 상태로 확인되고 제1 도어락(150)의 상태가 잠금 상태로 확인되면, 제1 차량의 승객이 하차를 위해 제1 안전벨트(140)를 풀었으나 제1 도어락(150)은 아직 잠겨져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1 차량의 승객이 하차하는 것을 정지시키기 위해, 제1 도어락(150)의 잠금이 해제되지 않고 잠금 상태가 계속 유지되도록, 제1 도어락(1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S410 단계에서 제1 도어락(150)의 상태가 잠금 상태가 아닌 잠금 해제 상태로 확인되면, S412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1 도어락(150)이 잠기도록, 제1 도어락(150)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제1 안전벨트(140)의 상태가 연결 해제 상태로 확인되고 제1 도어락(150)의 상태가 잠금 해제 상태로 확인되면, 제1 차량의 승객이 하차를 위해 제1 안전벨트(140)를 풀고 제1 도어락(150)의 잠금도 해제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1 차량의 승객이 하차하는 것을 정지시키기 위해, 제1 도어락(150)이 다시 잠기도록, 제1 도어락(1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충격 감지를 통해 위험 상황을 안전센터에 신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각 단계는 S306 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S501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1 차문이 개방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제1 차량에 설치된 제1 센서(160)로부터 제1 센싱값을 획득하고, 제1 차량을 호출하여 탑승한 제1 승객이 사용하는 제1 승객 단말로부터 제2 센싱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제1 센싱값은 제1 센서(160)가 제1 차문에 가해지는 충격에 따라 발생하는 물리적인 힘을 센싱하여 측정된 값이고, 제2 센싱값은 제1 승객 단말이 제1 승객 단말에 가해지는 충격에 따라 발생하는 물리적인 힘을 센싱하여 측정된 값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제1 경고 기기(120)에서 경고등 및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제1 경고 기기(120)를 제어한 이후, 제1 차문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제1 차문이 개방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차문이 개방된 시점부터 미리 정해진 기간이 지난 이후에, 제1 센서(160)로부터 제1 센싱값을 획득하고, 제1 승객 단말로부터 제2 센싱값을 획득할 수 있다.
S502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1 센싱값이 제1 기준값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센싱값이 제1 기준값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차량에 충격이 가해진 것으로 감지할 수 있고, 제2 센싱값이 제2 기준값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승객에게 충격이 가해진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값 및 제2 기준값 각각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 보다 사람에게 가해지는 충격이 더 위험하기 때문에, 제1 기준값 보다 제2 기준값이 더 낮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S503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1 차량 및 제1 승객 중 적어도 하나에게 충격이 가해진 것으로 감지되면, 충격 감지의 신고 접수를 위한 알림 메시지를 안전센터의 관리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70)는 안전센터의 관리자 단말과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제1 차량에게 충격이 가해진 것으로 감지되면,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와 제1 차량이 충돌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1 차량의 사고를 신고하기 위한 알림 메시지를 안전센터의 관리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알림 메시지는 제1 차량의 차종, 차량번호, 차주, 위치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제1 승객에게 충격이 가해진 것으로 감지되면,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와 제1 승객이 충돌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1 승객의 사고를 신고하기 위한 알림 메시지를 안전센터의 관리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알림 메시지는 제1 승객의 연락처, 제1 차량의 차종, 차량번호, 위치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승객 하차 위험도에 따라 상이한 색으로 위험 알림을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S601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1 이격 거리가 제1 기준 거리 보다 긴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601 단계에서 제1 이격 거리가 제1 기준 거리 보다 긴 것으로 확인되면, S602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1 경고 기기(120)에서 제1 색의 경고등이 출력되도록, 제1 경고 기기(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색은 승객 하차 위험도가 1등급인 것을 나타내기 위해 설정된 색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제1 이격 거리가 제1 기준 거리 보다 긴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차량의 승객 하차 위험도를 관심 등급인 1등급으로 설정하고, 제1 경고 기기(120)에서 1등급의 색으로 설정된 제1 색의 경고등이 출력되도록, 제1 경고 기기(120)를 제어하여,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의 운전자에게 제1 차량의 승객 하차 위험도가 1등급인 것을 알려줄 수 있다.
S601 단계에서 제1 이격 거리가 제1 기준 거리 보다 길지 않고 짧은 것으로 확인되면, S603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1 이격 거리가 제2 기준 거리 보다 긴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603 단계에서 제1 이격 거리가 제2 기준 거리 보다 긴 것으로 확인되면, S604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1 경고 기기(120)에서 제2 색의 경고등이 출력되도록, 제1 경고 기기(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2 색은 승객 하차 위험도가 2등급인 것을 나타내기 위해 설정된 색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제1 이격 거리가 제1 기준 거리 보다 짧지만 제2 기준 거리 보다 긴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차량의 승객 하차 위험도를 주의 등급인 2등급으로 설정하고, 제1 경고 기기(120)에서 2등급의 색으로 설정된 제2 색의 경고등이 출력되도록, 제1 경고 기기(120)를 제어하여,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의 운전자에게 제1 차량의 승객 하차 위험도가 2등급인 것을 알려줄 수 있다.
S603 단계에서 제1 이격 거리가 제2 기준 거리 보다 길지 않고 짧은 것으로 확인되면, S605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1 안전벨트(140)의 상태가 연결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605 단계에서 제1 안전벨트(140)의 상태가 연결 상태로 확인되면, S606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1 경고 기기(120)에서 제3 색의 경고등이 출력되도록, 제1 경고 기기(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3 색은 승객 하차 위험도가 3등급인 것을 나타내기 위해 설정된 색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제1 이격 거리가 제2 기준 거리 보다 짧은 것으로 확인되고 제1 안전벨트(140)의 상태가 연결 상태로 확인되면, 제1 차량의 승객 하차 위험도를 경계 등급인 3등급으로 설정하고, 제1 경고 기기(120)에서 3등급의 색으로 설정된 제3 색의 경고등이 출력되도록, 제1 경고 기기(120)를 제어하여,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의 운전자에게 제1 차량의 승객 하차 위험도가 3등급인 것을 알려줄 수 있다.
S605 단계에서 제1 안전벨트(140)의 상태가 연결 상태가 아닌 연결 해제 상태로 확인되면, S607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1 도어락(150)의 상태가 잠금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607 단계에서 제1 도어락(150)의 상태가 잠금 상태로 확인되면, S608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1 경고 기기(120)에서 제4 색의 경고등이 출력되도록, 제1 경고 기기(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4 색은 승객 하차 위험도가 4등급인 것을 나타내기 위해 설정된 색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제1 이격 거리가 제2 기준 거리 보다 짧은 것으로 확인되고 제1 안전벨트(140)의 상태가 연결 해제 상태로 확인되고 제1 도어락(150)의 상태가 잠금 상태로 확인되면, 제1 차량의 승객 하차 위험도를 경고 등급인 4등급으로 설정하고, 제1 경고 기기(120)에서 4등급의 색으로 설정된 제4 색의 경고등이 출력되도록, 제1 경고 기기(120)를 제어하여,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의 운전자에게 제1 차량의 승객 하차 위험도가 4등급인 것을 알려줄 수 있다.
S607 단계에서 제1 도어락(150)의 상태가 잠금 상태가 아닌 잠금 해제 상태로 확인되면, S609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1 경고 기기(120)에서 제5 색의 경고등이 출력되도록, 제1 경고 기기(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5 색은 승객 하차 위험도가 5등급인 것을 나타내기 위해 설정된 색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제1 이격 거리가 제2 기준 거리 보다 짧은 것으로 확인되고 제1 안전벨트(140)의 상태가 연결 해제 상태로 확인되고 제1 도어락(150)의 상태가 잠금 해제 상태로 확인되면, 제1 차량의 승객 하차 위험도를 위험 등급인 5등급으로 설정하고, 제1 경고 기기(120)에서 5등급의 색으로 설정된 제5 색의 경고등이 출력되도록, 제1 경고 기기(120)를 제어하여,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의 운전자에게 제1 차량의 승객 하차 위험도가 5등급인 것을 알려줄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S701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1 영상 정보에서 제1 시점에 획득된 영상의 이미지를 제1 이미지로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시점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1 이미지를 기초로,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이륜자동차, 자전거 등과 같은 이동체에 대한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S703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1 이미지를 기초로,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제1 시점에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703 단계에서 제1 시점에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S713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가 없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S703 단계에서 제1 시점에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 제1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S704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1 영상 정보에서 제2 시점에 획득된 영상의 이미지를 제2 이미지로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시점은 제1 시점 이후의 시점으로,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705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2 이미지를 기초로,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 제1 객체가 계속 존재하는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제1 이미지를 기초로,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 제1 객체가 존재한 것으로 확인한 이후, 제2 이미지를 기초로,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 제1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 제1 객체가 계속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고, 제2 이미지를 기초로,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 제1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 제1 객체가 계속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S706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2 이미지를 기초로,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 제1 객체가 계속 존재하는지 여부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제1 시점부터 제2 시점까지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 제1 객체가 계속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706 단계에서 제1 시점부터 제2 시점까지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 제1 객체가 계속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S713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가 없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S706 단계에서 제1 시점부터 제2 시점까지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 제1 객체가 계속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S707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1 이미지에서 제1 객체가 차지하고 있는 영역을 제1 영역으로 구분하고, 제2 이미지에서 제1 객체가 차지하고 있는 영역을 제2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S708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1 이미지 내에서 제1 영역이 차지하고 있는 면적의 비율을 제1 비율로 산출하고, 제2 이미지 내에서 제2 영역이 차지하고 있는 면적의 비율을 제2 비율로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는 동일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S709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2 비율이 제1 비율 보다 높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객체가 접근할수록 카메라에 객체가 더 가깝게 촬영되어, 영상 정보에서 객체가 차지하고 있는 영역의 크기가 커지게 되며, 제어부(170)는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객체가 접근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제2 비율이 제1 비율 보다 높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709 단계에서 제2 비율이 제1 비율 보다 높지 않고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S713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가 없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S709 단계에서 제2 비율이 제1 비율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S710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2 비율에서 제1 비율을 뺀 값으로 제3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S711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3 비율이 기준 비율 보다 높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비율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영상 정보에서 객체가 차지하고 있는 영역의 크기가 커지더라도, 일정 이상으로 커져야만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객체가 제1 차량 쪽으로 접근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으므로, 제어부(170)는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객체가 제1 차량 쪽으로 접근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제3 비율이 기준 비율 보다 높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711 단계에서 제3 비율이 기준 비율 보다 높지 않고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S713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가 없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S711 단계에서 제3 비율이 기준 비율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S712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가 있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3)

  1. 추돌 방지 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수행되는, 지능형 영상 감지를 활용한 추돌 방지 방법에 있어서,
    제1 차량의 승객이 지정한 목적지에 상기 제1 차량이 도착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차량의 측면 후방 구역에 대한 촬영을 수행하는 제1 카메라로부터, 상기 제1 차량의 측면 후방 구역의 촬영으로 생성된 제1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가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제1 경고 기기에서 상기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의 운전자에게 상기 제1 차량의 승객 하차에 대한 위험을 경고하는 경고등 및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상기 제1 경고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경고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와 상기 제1 차량 간의 이격 거리를 제1 이격 거리로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1 이격 거리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거리 보다 긴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경고 기기에서 경고등 및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상기 제1 경고 기기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이격 거리가 상기 제1 기준 거리 보다 짧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경고 기기에서 경고등 및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상기 제1 경고 기기를 제어하면서, 제2 경고 기기에서 상기 제1 차량의 승객에게 상기 제1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이동체에 대한 위험을 경고하는 경고등 및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상기 제2 경고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이격 거리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거리 보다 짧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차량의 승객 좌석에 구비된 제1 안전벨트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안전벨트의 상태가 연결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안전벨트의 연결이 해제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안전벨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안전벨트의 상태가 연결 해제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차량의 승객 좌석에 설치된 제1 차문의 도어락인 제1 도어락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도어락의 상태가 잠금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제1 도어락의 잠금이 해제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도어락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도어락의 상태가 잠금 해제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제1 도어락이 잠기도록, 상기 제1 도어락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능형 영상 감지를 활용한 추돌 방지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고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1 차문이 개방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제1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에 따라 발생하는 물리적인 힘을 센싱하는 제1 센서로부터, 상기 제1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에 따라 발생하는 물리적인 힘을 센싱하여 측정된 값인 제1 센싱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차량을 호출하여 탑승한 제1 승객이 사용하는 제1 승객 단말에 구비된 센서로부터, 상기 제1 승객 단말에 가해지는 충격에 따라 발생하는 물리적인 힘을 센싱하여 측정된 값인 제2 센싱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센싱값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값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차량에 충격이 가해진 것으로 감지하고, 상기 제2 센싱값이 미리 설정된 제2 기준값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승객에게 충격이 가해진 것으로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차량 및 상기 제1 승객 중 적어도 하나에게 충격이 가해진 것으로 감지되면, 충격 감지의 신고 접수를 위한 알림 메시지를 안전센터의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지능형 영상 감지를 활용한 추돌 방지 방법.
KR1020230108974A 2023-08-21 2023-08-21 지능형 영상 감지를 활용한 추돌 방지 방법 KR102606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8974A KR102606438B1 (ko) 2023-08-21 2023-08-21 지능형 영상 감지를 활용한 추돌 방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8974A KR102606438B1 (ko) 2023-08-21 2023-08-21 지능형 영상 감지를 활용한 추돌 방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6438B1 true KR102606438B1 (ko) 2023-11-24

Family

ID=88972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8974A KR102606438B1 (ko) 2023-08-21 2023-08-21 지능형 영상 감지를 활용한 추돌 방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643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182B1 (ko) 2012-06-01 2014-06-20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카메라를 이용한 승객 안전하차 감지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36166A (ko) * 2015-05-19 2016-11-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1711549B1 (ko) * 2015-12-30 2017-03-0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주정차시의 측후방 위험감지를 통한 오토락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19089503A (ja) * 2017-11-16 2019-06-13 株式会社デンソー 走行制御装置
KR20200132577A (ko) 2019-05-17 2020-11-25 김민규 버스 안전하차 알림장치
KR20220036454A (ko) 2020-09-15 2022-03-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탑승자의 하차 안전 경고 장치 및 그 방법
KR102420218B1 (ko) 2017-10-21 2022-07-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차 승객 보호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118702A (ko) * 2021-02-19 2022-08-26 주식회사 마노 차량의 승하차 안전 보조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182B1 (ko) 2012-06-01 2014-06-20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카메라를 이용한 승객 안전하차 감지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36166A (ko) * 2015-05-19 2016-11-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1711549B1 (ko) * 2015-12-30 2017-03-0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주정차시의 측후방 위험감지를 통한 오토락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420218B1 (ko) 2017-10-21 2022-07-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차 승객 보호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9089503A (ja) * 2017-11-16 2019-06-13 株式会社デンソー 走行制御装置
KR20200132577A (ko) 2019-05-17 2020-11-25 김민규 버스 안전하차 알림장치
KR20220036454A (ko) 2020-09-15 2022-03-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탑승자의 하차 안전 경고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118702A (ko) * 2021-02-19 2022-08-26 주식회사 마노 차량의 승하차 안전 보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68444A1 (en) Vehicle control system for passenger protection and method thereof
US8379924B2 (en) Real time environment model generation system
JP6127659B2 (ja) 運転支援装置及び運転支援方法
US20070001512A1 (en) Image sending apparatus
KR20110067359A (ko) 차량 충돌 방지 장치 및 방법
KR20210138463A (ko) 보행자 사고방지 방법 및 그 장치
JP7459916B2 (ja) 物体追跡方法、物体追跡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1369708A (zh) 车辆行驶的信息记录方法及装置
KR20180060937A (ko) 차량용 도어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6002812A (ja) 車両用非常通報装置
JP2015176444A (ja) 自律走行車両
US20150169959A1 (en) Monitoring method of vehicle and automatic braking apparatus
KR102606438B1 (ko) 지능형 영상 감지를 활용한 추돌 방지 방법
JP2019192069A (ja) 報知装置、及び、報知方法
KR102549382B1 (ko) 어린이 사고 예방 안전 장치 및 방법
KR101266015B1 (ko) 승강장 안전선 및 선로 감시 시스템
KR102051020B1 (ko) 운전패턴 활용을 위한 차량용 영상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64672A (ko) 차량의 전방충돌위험경보 및 안전운행가이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9202860A (ja) エレベータの注意喚起システム
JP7268959B2 (ja) 車両が停止後に自動的に再び前進させないようにすることを可能にする装置及び方法
KR20190089536A (ko) 카메라를 활용한 차량 도어부 승객 안전 장치 및 방법
KR20150046979A (ko) 차량에서의 위험 발생 통보 장치 및 방법
US20240046778A1 (e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vehicle system and management device
KR20140059677A (ko) 운송 차량의 사고 인식 시스템
KR102191509B1 (ko) 차량 비상등의 자동 점멸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