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2346A - 압출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스크류, 스크류를 변환하기 위한 방법, 및 압출기 - Google Patents

압출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스크류, 스크류를 변환하기 위한 방법, 및 압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2346A
KR20160132346A KR1020160056917A KR20160056917A KR20160132346A KR 20160132346 A KR20160132346 A KR 20160132346A KR 1020160056917 A KR1020160056917 A KR 1020160056917A KR 20160056917 A KR20160056917 A KR 20160056917A KR 20160132346 A KR20160132346 A KR 20160132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drel
screw
extruder
contact surface
se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6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테우츠 슈르곳
Original Assignee
라이펜호이저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마쉬넨파브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펜호이저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마쉬넨파브릭 filed Critical 라이펜호이저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마쉬넨파브릭
Publication of KR20160132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23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4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8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 B29B7/4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single shaft
    • B29B7/42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single shaft with screw or helix
    • B29B7/428Parts or accessories, e.g. casings,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 B29B7/429Screws
    • B29C47/084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505Screws
    • B29C48/507Screw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58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7/0855
    • B29C47/3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51Design of extruder parts, e.g. by modelling based on mathematical theories or experiments
    • B29C48/2511Design of extruder parts, e.g. by modelling based on mathematical theories or experiments by modelling material flow, e.g. melt interaction with screw and barr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395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screws surrounded by a cooperating barrel, e.g. single screw extru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505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395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screws surrounded by a cooperating barrel, e.g. single screw extruders
    • B29C48/397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screws surrounded by a cooperating barrel, e.g. single screw extruders using a single scre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395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screws surrounded by a cooperating barrel, e.g. single screw extruders
    • B29C48/40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screws surrounded by a cooperating barrel, e.g. single screw extruders using two or more parallel screws or at least two parallel non-intermeshing screws, e.g. twin screw extruders
    • B29C48/405Intermeshing co-rotating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395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screws surrounded by a cooperating barrel, e.g. single screw extruders
    • B29C48/40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screws surrounded by a cooperating barrel, e.g. single screw extruders using two or more parallel screws or at least two parallel non-intermeshing screws, e.g. twin screw extruders
    • B29C48/41Intermeshing counter-rotating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505Screws
    • B29C48/58Screws provided with seal ring elements, i.e. elements of generally circular and tapered shape for preventing the back flow of the me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출기 내에서 이용하기 위한 스크류 및 그러한 스크류를 가지는 압출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트윈 스크류 압출기에서 이용하기 위한 스크류 및 트윈 스크류 압출기에 관한 것이다. 스크류가 일반적으로 모듈형 디자인을 갖는다. 스크류의 모듈형 구성은, 막대-형상의 코어, 소위 굴대, 및 굴대 상으로 푸싱되는 개별적인 스크류 요소를 초래한다. 큰 발생 토크를 전달하기 위해서, 요소가 형상-결합 방식(positive-locking manner)으로 굴대로 연결되고 또한 축방향으로 조여진다(braced). 본 발명은 굴대가 무-노치가 되도록 디자인하는 것을 제시한다. 이는, 그러한 굴대의, 그에 따라 또한 이용되는 스크류의 서비스 수명의 상당한 증가를 유도한다.

Description

압출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스크류, 스크류를 변환하기 위한 방법, 및 압출기{SCREW FOR USE IN AN EXTRUDER, METHOD FOR CONVERTING A SCREW AND AN EXTRUDER}
본 발명은 압출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스크류 및 그러한 스크류를 가지는 압출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트윈 스크류 압출기에서 이용하기 위한 스크류 및 트윈 스크류 압출기에 관한 것이다.
스크류가 일반적으로 모듈형 디자인을 갖는다. 그에 따라, 스크류가 변화되는 과제 및 제품 특성에 대해서 매우 탄력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스크류의 모듈형 구성은, 사실상 샤프트 또는 베어링 샤프트로서 또한 종종 지칭되는, 막대-형상의 코어, 소위 굴대(mandrel), 및 굴대 상으로 푸싱되는(pushed) 개별적인 스크류 요소를 초래한다. 그러한 요소는, 전달하고 통과시키기 위한 플라스틱의 이송, 반죽, 혼합 또는 전단(shearing)과 같은, 압출 프로세스에서 스크류의 전통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큰 발생 토크를 전달하기 위해서, 요소가 형상-결합 방식(positive-locking manner)으로 굴대로 연결되고 또한 축방향으로 조여진다(braced).
DE 10 2008 028 289 A1은 스크류를 개시하며, 여기에서 토크가 기어링(gearing)을 통해서 전방 측면 상에서 세그먼트(segment)로부터 세그먼트로 전달된다.
DE 103 30 530 A1은 샤프트를 설명하며, 그러한 샤프트 상으로 슬리브가 용접된다. 세그먼트가 정지부까지 꿰어진다(threaded). DE 10 2011 112 148 A1, DE 10 2004 042 746 B4 및 DE 196 21 571 C2는 각각 스크류 세그먼트와 굴대 사이의 특별한 기어링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대비한 대안 또는 개선을 제공하는 목적을 기초로 한다.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라서, 이러한 목적이 압출기 내에서 이용하기 위한 스크류로 달성되고, 그에 의해서 스크류는 굴대 및 그러한 굴대 상에서 유지되고 서로 축방향으로 배치되는 많은 수의 세그먼트를 나타내고, 그에 의해서 별개의 토크 반송체(entrainer)가 굴대와 하나의 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되고 그에 의해서 토크 반송체가 굴대의 접촉 표면에서 굴대와 접촉하고, 그에 의해서 스크류는, 굴대의 접촉 표면이 적은 노치(low notch)를 가지거나 바람직하게 무-노치를 특징으로 한다.
용어와 관련하여, 이하가 설명된다:
"세그먼트"는, 압출기의 실린더와 협력하여, 또는 트윈 스크류 압출기의 경우에, 또한 제2 스크류의 세그먼트와 협력하여, 압출기를 통과시키고자 하는 플라스틱의 소성화(plastification)를 위한 나선형 통로 또는 소정 수의 나선형 통로를 제공하는 스크류의 구성요소이다.
각각의 경우에, 2개의 축방향으로 인접한 세그먼트가 그들의 세그먼트 경계에서 축방향으로 간접적으로 또는 직접적으로 서로 부딪친다(bump). 세그먼트들 사이의 결과적인 슬롯이, 그에 따라 가장 단순한 경우에 원형 링이 밀봉되어, 플라스틱 용융체가 내부로 즉, 굴대를 향해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이러한 것을 달성하기 위해서, 세그먼트들이 전형적으로 축방향으로 조여진다. 음의 수직력(negative normal force)이 적절한 밀봉을 제공한다.
"토크 반송체"는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와 협력하여야 한다. 굴대 상의 세그먼트 상에서 또는 양자 모두 상에서, 스크류로 토크를 가할 때, 토크 반송체가 토크를 세그먼트와 굴대 사이에서, 적어도 대부분, 전달한다. 또한, 토크가 하나의 세그먼트로부터 축방향으로 인접한 제2 세그먼트로 전달될 수 있다.
그렇게 하는 데 있어서, 토크 반송체 자체가 제1 또는 제2 세그먼트와 함께 하나의 피스로 구성되지 않고, 그 대신에 조립된 스크류의 별개의 요소가 된다.
토크 반송체가 복수의 개별적인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거나, 단지 하나의 부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특허출원의 범위 내에서, "정확하게 하나", "정확하게 둘" 등을 단순히 의미할 수 있거나 그러한 의미로 의도되는 것이 각각의 문맥으로부터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자명하지 않거나 당업자에게 자명하지 않은 경우에, 부정관사 및 1, 2 등과 같은 숫자가 항상 "적어도"라는 내용으로서 즉, "적어도 하나", "적어도 둘", 등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을 명확하게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굴대의 "접촉 표면"은 토크 반송체가 대항하여 놓이는 표면으로서, 전형적으로 그러나 비필수적으로, 가능한 한 큰 면적을 갖는다. 그에 따라, 접촉 표면은, 토크의 인가시에, 즉 스크류 실린더에 대한 굴대의 회전시에, 요구되는 편심적인 힘 즉, 세그먼트들을 동시에 회전시키기 위해서 요구되는 토크를 세그먼트로 전달하는 표면이고, 동작 중에 압출기 내에 있는 용융체를 그 관성력에 대항하여 이동시키기에 충분한 힘이 인가된다.
단순화된 용어로, 대부분의 경우에, 횡단면에서 스크류를 볼 때, 굴대의 횡단면과 세그먼트의 반경방향 내향 개구부의 횡단면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recess)가 존재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특히, 기능적인 스크류를 생성하기 위해서 토크 반송체가 내부로 피팅(fit)되어야 하는 함몰부이다.
반드시 전체(full) 표면 "접촉"이어야 하는 것이 아님을 명백하게 주목하여야 한다. 오히려, 굴대와 토크 반송체 사이에 많은 수의, 바람직하게 큰 수의 구분된(discrete) 점 형태의(punctiform) 또는 선형의 접촉부가 존재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그에 따라, 접촉 표면 상의 작은 노치의 존재가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굴대 및 토크 반송체 모두 상의 동적 응력이 작을수록, 접촉 표면에서의 토크 반송체와 굴대 사이의 접촉이 더 광범위하고 및/또는 접촉 표면이 완전히 노치가 없는 이상적인 것에 더 근접한다.
종래 기술로부터 이전에 공지된 스크류에 대해서, 발명의 제시된 제1 양태는 이제 조치가 없는 굴대의 접촉 표면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서, 접촉 표면 상의 횡단면에서, 굴대는 노치를 가지지 않는다.
물리학자(physicist)가 아니라, 엔지니어가 그러한 디자인을 생성하기 위한 필요한 기술을 가지고 있다. 그에 따라, 엔지니어가 적어도 실질적으로 노치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한, 작은 노치가 "노치가 없음"이라는 용어에 여전히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기계적으로, 이는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것 보다 적은 응력을 초래한다.
종래 기술에서, 페더 키(feather key)가 토크 반송체로서 굴대와 세그먼트 사이에 일반적으로 제공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의 토크 반송체의 구체적인 구성과 독립적으로, 본체가 인장, 전단, 또는 비틀림 응력을 받을 때, 노치 효과가 자국난(incised) 또는 노치형의 본체 상에서 일반적으로 발생된다. 노치 효과는 2개의 메커니즘 상에서, 다시 말해서, 한편으로 응력 집중 인자로서 설명될 수 있는 국부적인 응력 집중 및, 다른 한편으로, 재료 및 응력 집중의 구체적인 감쇠 거동이 노치에서 응력 피크에 반작용하는 것을 설명하는 지지 효과 상에서 구축된다. 피로 노치 인자는 응력 집중 인자 및 노치 민감도의 지수(qoutient)이다.
부가적인 정보를 DIN 743-2: 샤프트 및 액슬(axle)의 하중 용량의 계산(Calculation of load capacity of shafts and axles) - 파트 2: 이론적 응력 집중 인자 및 피로 노치 인자(Theoretical stress concentration factors and fatigue notch factors)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압출기 스크류의 구성에서 지금까지 이용되었던 기하형태가 보다 확실한 형상-결합 연결을 달성하기 위해서 굴대 상의 노칭(notching)을 의식적으로 용인하였지만, 여기에서 제시된 발명은 반대의 접근 방식을 의식적으로 취하였고, 가능한 한 작은 응력 집중 인자를 위해서 노력한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은, 접촉 표면 상에서와 같이, 적어도 노치가 전형적으로 필수적인 곳에서, 굴대의 횡단면이 이제 더 이상 노치를 가지지 않도록 보장하고자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노치"는 접촉 표면 내의 횡단면의 적어도 오목한 프로파일로서 이해될 것이다. 적어도 횡단면 내의 모서리와 함께, 그러한 것을 여기에서 회피하고자 한다.
굴대의 접촉 표면 상에서 즉, 적어도 접촉 표면 내에서, 그러나 바람직하게 또한 접촉 표면의 경계 상에서, 노치-결핍, 특히 노치가 없는 것의 결과로서, 스크류의 동작 중에 굴대 상으로 작용하는 응력 피크가 매우 크게 감소된다. 그에 따라, 예를 들어, 굴대를 위한 상당히 긴 서비스 수명을 초래할 수 있는, 이전에 공지된 재료를 가지는 굴대를 실현할 수 있거나; 기존의 부하에 보다 적합하게 디자인될 수 있는, 다른 재료로 굴대를 만들 수 있게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서비스 수명의 연장 또는 비용 절감, 또는 양자 모두를 초래한다. 기계 성능의 증가가 또한 달성될 수 있다.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라서, 이러한 목적이 압출기 내에서 이용하기 위한 스크류로 달성되고, 그에 의해서 스크류는 굴대 및 그러한 굴대 상에서 유지되고 서로 축방향으로 배치되는 많은 수의 세그먼트를 나타내고, 그에 의해서 별개의 토크 반송체가 굴대와 하나의 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되고 그에 의해서 토크 반송체가 굴대의 접촉 표면에서 굴대와 접촉하고, 그에 의해서 굴대는 스크류의 길이방향 연장 축에 수직이고 접촉 표면과 교차하는 횡단면을 나타내고, 그에 의해서, 횡단면 상에서, 굴대는 2.0 미만의 응력 집중 인자(DIN 743-2 섹션(Section) 5에 따름)를 나타낸다. 횡단면 상에서, 굴대가 1.75 미만, 바람직하게 1.5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 1.4 이하, 기껏해야 1.3 또는 기껏해야 1.25의 응력 집중 인자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기술에 따른(여기에서 구체적으로 도 1에 따른) 굴대 기하형태의 경우에, 발명자의 원형(prototype) 계산은 2.21 내지 2.39의 노칭을 특징으로 하는 응력 집중 인자 α(알파)를 나타냈다. 대조적으로,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디자인은 약 1.19 내지 1.34의 응력 집중 인자 알파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라서, 이러한 목적이 압출기에서 이용하기 위한 스크류로 달성되고, 그에 의해서 스크류는 굴대 및 그러한 굴대 상에서 유지되고 서로 축방향으로 배치되는 많은 수의 세그먼트를 나타내고, 그에 의해서 별개의 토크 반송체가 굴대와 하나의 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되고 그에 의해서 토크 반송체가 굴대의 접촉 표면에서 굴대와 접촉하고, 그에 의해서 굴대의 횡단면 내의 접촉 표면의 프로파일이 제1의, 양의 각도 만큼 원형 주변부(surround)에 대해서 이탈하기 시작하고, 그에 의해서 제1 각도가 90°미만이고, 제2의, 유사한 양의 각도에 의해서, 그 프로파일이 주변부와 다시 수렴되고, 그에 의해서 음의 각도의 합계가 90°미만, 특히 45°미만이다. 가장 특히, 음의 각도의 합계가 10°미만, 특히 0°일 수 있다.
도 1에 따른 기하형태에서, 예를 들어, 음의 각도의 합계가 90°, 즉 정확하게 접촉 표면의 필레(fillet)의 연부의 -90°이다. 이러한 버전에서, 2개의 양의 각도가: 제1 각도 약 30°, 제2 각도 정확히 90°이다.
다른 한편으로, 도 2에 따른 기하형태에서, 음의 각도의 합계가 영이다. 2개의 양의 각도가 모두 약 45°이다.
발명의 제4 양태에 따라서, 이러한 목적이 압출기 내에서 이용하기 위한 스크류로 달성되고, 그에 의해서 스크류는 굴대 및 그러한 굴대 상에서 유지되고 서로 축방향으로 배치되는 많은 수의 세그먼트를 나타내고, 그에 의해서 별개의 토크 반송체가 굴대와 하나의 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되고 그에 의해서 토크 반송체가 굴대의 접촉 표면에서 굴대와 접촉하고, 그에 의해서 토크 반송체가 그 윤곽의 정확히 하나의 측면으로 접촉 표면에 대항하여 놓인다.
다른 한편으로, 종래 기술에서, 페더 키의 이용만이 공지되어 있고, 그러한 페더 키는 2개의 측면(도 1 참조)으로 또는 3개의 측면으로 접촉 표면에 대항하여 놓인다.
일반적으로, 굴대가 원형 주변부와 횡단면에서 부분적으로 합치되게 하는 것이 가장 용이할 것이다. 이어서, 굴대가 원형 횡단면을 가지는 샤프트로부터 가공될 수 있고, 특히 밀링 가공될 수 있다.
굴대는 샤프트이고, 그러한 샤프트의 횡단면은 원형으로부터 이탈되고, 구체적으로, 일반적으로 내측을 향해서, 이론적인 원형 주변부로부터 이탈한다. 예를 들어, 재료를 제거함으로써 그 횡단면 내에서 원래의 원형 횡단면을 가지는 샤프트를 재작업하는 것에 의해서, 제조할 수 있다. 심지어 여기에서 제시된 굴대의 제조 방법과 별개로, 횡단면 내의 굴대의 원주의 각각의 부분이 가능한 한 큰 범위까지 원형인 경우에, 즉 횡단면 내에서 굴대가 가능한 한 큰 범위까지, 예를 들어, 구체적인, 측정된 제어된 원주의 적어도 절반에 걸쳐서, 그 이론적 원형 주변부와 부분적으로 합치되는 경우에 제조가 특히 용이할 것이다.
원형 주변부와 부분적으로 합치되는 원주의 부분이 작아지기 시작할수록, 토크 반송체와의 보다 큰 접촉 표면이 제공되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
둔각으로 주변부로부터 이탈하는 접촉 표면은 이미 굴대 내의 응력 피크를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둔각"은 π(pi)/2 보다 큰, 그러나 π보다 작은 각도이고, 그에 따라 90°보다 크나 180°보다 작은 각도이다.
이러한 특징은, 굴대의 이론적인 원형 주변부로부터 접촉 표면으로의 전이부를 횡단면에서 볼 때, 접촉 표면이 단지 둔각에 의해서 주변부와 관련하여 이탈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발명자의 계산에서, 접촉 표면이 굴대의 횡단면 상의 2개의 원형 원호 세그먼트들 사이의 현(chord)인, 굴대 기하형태가 매우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학적으로-기하형태적으로, "현"은 원형 원호 세그먼트들의 2개의 단부들 사이의 횡단면 내의 가장 짧은 연결부이다. 그러나, 반드시 수학적으로 이상적인 현이어야 하는 것이 아님을 명백하게 주목하여야 한다. 그 대신에, 당업자, 즉 기계적 엔지니어는, 직접적이고, 직선적인 현으로부터의 사소한 이탈이 여전히 발명의 양태를 적절히 만족시킬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굴대의 횡단면 상에서 원형 원호 세그먼트들 사이에서 원형 원호 형상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이탈이 존재하도록, 현이 사이에 배치되어 접촉 표면을 형성하는 2개의 원형 원호 세그먼트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고려되는 횡단면 상의 원형 주변부의 다른 연속적인 원형 원호 세그먼트가 또한 존재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단지 하나의 현이 횡단면 내에 존재하고, 그에 따라 단지 하나의 토크 반송체가 굴대와 이러한 고려되는 횡단면 내에서 그곳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 사이에 피팅될 수 있다.
굴대 내에서 부하를 가능한 한 균일하게 분포시키기 위해서, 굴대가 횡단면 내에서 거울 대칭적인 것, 특히 이중 거울 대칭적인 것이 제시된다.
많은 수의 토크 반송체가 하나의 횡단면 상에서 굴대의 원주 주위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이미 주목하였다. 이는 또한 굴대 내의 응력의 감소를 초래하는데, 이는 전체적인 필요 토크가 몇 개의 구분된 연결부 즉, 고려되는 횡단면 상의 몇 개의 토크 반송체를 통해서 굴대의 횡단면 내로 도입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비록 비틀림 응력이 동시에 증가될 수 있지만, 각각의 개별적인 토크 반송체에 대한 각각의 개별적인 접촉 표면 상의 최대 예상 표면 압력이 감소된다.
횡단면 내에서 토크 반송체가 쐐기 형상을 나타낼 수 있고, 그에 의해서 쐐기가 구체적으로 매우 다양한 상이한 형태를 즉, 적어도 하나의 부분적으로 둥글게 처리된 연부 또는 다른 것을 가질 수 있고, 그에 의해서 모든 경우에 제1 편평 단부 및 일 단부의 편평도에 대한 상승된 타 단부가 존재하여야 한다. 이어서, 쐐기는 스크류의 횡단면 내에서 더 이상 거울 대칭적이 아니고, 이는, 내측을 향한 스크류 세그먼트의 적합한 반대 구성에서 필수적으로 토크 반송으로 유도된다.
그러나, 바람직하게, 다양한 토크 반송체들이 스크류의 하나의 횡단면 상에 존재하고 스크류의 중앙 축에 대해서 점 대칭적이나; 토크 반송체들은 거울 대칭적이 아니고, 오히려 이론적인 거울 축과 관련하여 비대칭적이다. 비대칭은 굴대와 세그먼트 사이의 순간적인 구동을 특히 용이하게 강제할 수 있게 한다. 점 대칭은, 굴대 내의 응력이 가능한 한 균일하게 분배될 수 있게 한다.
하나 이상의 토크 반송체들이 서로에 대해서 거울 대칭적인 디자인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대칭을 위한 전술한 특징이 횡단면 상의 많은 토크 반송체들에 대해서 존재하나, 그러나 모두에 대해서는 아닌, 구성이 또한 고려된다. 예를 들어, 반송을 위해서, 하나 이상의 토크 반송체가 반대 회전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라서, 이러한 목적이 압출기의 스크류를 변환하기 위한 방법으로 달성되고, 그에 의해서 스크류는 굴대 및 그러한 굴대 상에서 유지되고 서로 축방향으로 배치되는 많은 수의 세그먼트를 나타내고, 세그먼트 경계가 밀봉되고, 그에 의해서 별개의 토크 반송체가 굴대와 하나의 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되고, 그에 의해서 토크 반송체가 굴대의 접촉 표면에서 굴대와 접촉하고, 그에 의해서 방법은 이하의 단계: (a) 예를 들어 세그먼트를 굴대로부터 축방향으로 푸싱하는 것에 의해서, 세그먼트를 굴대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및 (b) 세그먼트를 토크 반송체를 가지는 굴대 상으로 푸싱하는 단계로서, 그에 의해서 토크 반송체가 굴대의 접촉 표면에서 굴대와 접촉하고 그에 의해서 굴대의 접촉 표면이 노치를 가지지 않는, 푸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발명의 제시된 제2 양태는, 무-노치 또는 적어도 접촉 표면 상의 무-노치 굴대를 이용할 때에도, 토크 반송체가 기하형태적으로 적응된다면, 예를 들어 페더 키와 상응하게 적응된다면,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세그먼트가 계속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당연하게, 압출기가 전술한 유형의 스크류를 나타낸다면, 발명의 제시된 장점이 압출기로, 특히 단일 스크류 압출기 또는 트윈 스크류 압출기로 또한 용이하게 확장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를 기초로 그리고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이, 종래 기술에 따른 디자인과 비교하여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면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2개의 페더 키(feather key)를 가지는 굴대의 개략적인 횡단면이다.
도 2는, 각각 무-노치 접촉 표면 상의, 2개의 토크 반송체를 가지는 굴대의 예시적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유사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굴대(1)가 주로 원통형인 중실형(solid) 재료로 실질적으로 이루어진다. 그에 따라, 횡단면에서, 종래 기술로부터의 굴대(1)가 이론적으로 원형인 주변부(2)(보다 양호한 인식을 위해서 약간 거리를 두고 도시하였다)에 합치된다. 그러나, 횡단면에서, 종래 기술의 굴대(1)가 스크류 축(4)에 대해서 점 대칭적이 되도록, 2개의 페더 키 홈(3)(예시적으로 번호가 부여됨)이 종래 기술의 굴대(1)의 원주 위에 장착된다.
통상적인 페더 키(5)가 페더 키 홈(3)의 각각에 삽입된다. 페더 키가 종래 기술에 따른 굴대(1)의 원형 주변부(2) 위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고, 조립된 스크류(미도시)에서, 페더 키가 세그먼트(미도시)의 내측과 형상-결합 방식으로 협력하고 토크 반송을 보장한다.
페더 키 홈(3) 내에서, 페더 키(5)가 노치-포함 접촉 표면(6)에 대항하여(against) 놓이고: 그에 따라 노치-포함 접촉 표면(6) 내에서 종래 기술의 굴대(1)의 횡단면이, 오목한 필레(fillet)(7)를 사이에 나타내는, 2개의 실질적으로 직선형인 프로파일로 이루어진다. 임의 경우에, 노치 효과의 결과로서, 여기에서 큰 응력 피크가 존재한다. 원형 원호 세그먼트(9)로부터 노치-포함 접촉 표면(6) 내로의 전이부에서 일 측면 상에 직각부(8)가 또한 존재하고, 이는 바람직하지 못하게 높은 응력 집중을 초래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비되는 발명에 따른 실시예(도 2 참조)가 또한 굴대, 그러나 무-노치 굴대(10), 및 2개의 쐐기-형상의 페더 키(11)(예시적으로 번호가 부여됨)로 이루어진다.
무-노치 굴대(10) - 엄격하게 말해서: 무-노치 접촉 표면을 가지는 굴대 - 가 특별한 수의 원형 원호 세그먼트(12, 13), 여기에서 정확히 2개의 원형 원호 세그먼트(12, 13)뿐만 아니라, 그 사이의 2개의, 여기에서 정확하게 2개의 현(chord)(14, 15)을 나타낸다.
그에 따라, 무-노치 굴대(10)가 이중 축방향 대칭적이다.
또한, 무-노치 굴대(10)가 오목한 지역이나, 직각, 또는 그보다 작은 각도를 나타내지 않는다. 오히려, 그러한 굴대는 2개의 원형 원호 세그먼트(12, 13), 2개의 정확하게 직선형인 현(14, 15) 및 둔각의 전이부(16)(예시적으로 번호가 부여됨)만으로 이루어진다.
2개의 현(14, 15)이 2개의 쐐기-형상의 페더 키(11)를 위한 무-노치 접촉 표면(17)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바와 같이, 무-노치 굴대(10)가 굴대로부터 스크류 세그먼트로의 토크의 형상-결합 전이를 위한 페더 키를 필요로 한다.
2개의 쐐기-형상의 페더 키(11)가 이러한 것의 발생을 보장한다.
각각의 쐐기-형상의 페더 키(11)가 편평한 제1 단부(18) 및 상승된 제2 단부(19)를 나타낸다.
제1 외측 윤곽 프로파일(20)에서, 쐐기-형상의 페더 키(11)의 편평한 제1 단부(18)가 바람직하게 원호형 프로파일을 가지고, 다시 말해서 원형의 원호 세그먼트(12, 13)가 합치되는, 이론적인 원형 주변부(여기에서 도시되지 않음)의 연속이 된다. 단지 다른, 제2의 외측 윤곽 프로파일(21)에서, 쐐기-형상의 페더 키(11)가, 횡단면에서, 원형 주변부 외측으로 진행되고, 세그먼트에 대한 토크 반송체를 제공한다.
스크류의 발명에 따른 디자인의 무-노치 굴대(10)가 종래 기술에 따른 굴대(1) 보다 상당히 더 안정적일 뿐만 아니라; 상당히 더 용이하고 비용-효과적으로 또한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쐐기-형상의 페더 키(11)의 기하형태의 숙련된 선택으로, 페더 키(5)를 가지는 종래 기술의 굴대(1)의 전체적인 외측 윤곽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거의 동일한, 무-노치 굴대(10) 및 쐐기-형상의 페더 키(11)의 전체적인 구조의 외측 윤곽이 얻어질 수 있다. 그에 따라, 기존의 스크류 세그먼트가 새로운 발명에 따른 무-노치 굴대(10) 및 또한 그 쐐기-형상의 페더 키(11)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단면 상에서, 토크 반송체가 또한 반대 방향의 회전을 위해서 반송하도록 구성되거나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을 명확하게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그에 따라, 토크 반송체가 양 토크 회전 방향들을 위한 반송체로서 구성되도록, 예시적인 실시예가, 바람직하게 횡단면이 동일한, 또는 다른 방식으로 주위로 배치된 4개의 토크 반송체를 제공한다.
1 종래 기술에 따른 굴대
2 원형 주변부
3 페더 키 홈
4 스크류 축
5 페더 키
6 노치-포함 접촉 표면
7 오목한 필레
8 직각부
9 원형 원호 세그먼트
10 무-노치 굴대
11 쐐기-형상의 페더 키
12 원형 원호 세그먼트
13 원형 원호 세그먼트
14 현
15 현
16 둔각 전이부
17 무-노치 접촉 표면
18 편평한 제1 단부
19 상승된 제2 단부
20 제1 외측 윤곽 프로파일
21 제2 외측 윤곽 프로파일

Claims (15)

  1. 압출기에서 이용하기 위한 스크류로서, 상기 스크류는 굴대 및 상기 굴대 상에서 유지되고 서로 축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세그먼트를 나타내고, 상기 굴대와 하나의 세그먼트 사이에서 별개의 토크 반송체가 배치되고, 상기 토크 반송체는 상기 굴대의 접촉 표면 영역에서 상기 굴대와 접촉하고, 상기 굴대의 접촉 표면 영역은 노치를 가지지 않는, 압출기에서 이용하기 위한 스크류.
  2. 압출기에서 이용하기 위한 스크류로서, 상기 스크류는 굴대 및 상기 굴대 상에서 유지되고 서로 축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세그먼트를 나타내고, 별개의 토크 반송체가 상기 굴대와 하나의 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토크 반송체는 상기 굴대의 접촉 표면 영역에서 상기 굴대와 접촉하고, 상기 굴대는 상기 스크류의 길이방향 연장 축에 수직이고 상기 접촉 표면 영역과 교차하는 횡단면을 나타내고, 상기 횡단면 상에서 상기 굴대는 2.0 미만의 응력 집중 인자(DIN 743-2 섹션 5에 따름)를 나타내는, 압출기에서 이용하기 위한 스크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면 상에서 상기 굴대는 1.75 미만, 바람직하게 1.5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 1.4 이하, 최대 1.3 또는 최대 1.25의 응력 집중 인자를 나타내는, 압출기에서 이용하기 위한 스크류.
  4. 압출기에서 이용하기 위한 스크류로서, 상기 스크류는 굴대 및 상기 굴대 상에서 유지되고 서로 축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세그먼트를 나타내고, 별개의 토크 반송체가 상기 굴대와 하나의 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토크 반송체는 상기 굴대의 접촉 표면 영역에서 상기 굴대와 접촉하고, 상기 굴대의 횡단면 내에서 상기 접촉 표면 영역의 프로파일이 제1 양의 각도만큼 원형 주변부에 대해서 이탈하기 시작하고, 상기 프로파일은 마찬가지로 제2 양의 각도만큼 상기 주변부와 다시 수렴하고, 음의 각도의 합계는 90°미만, 특히 45°미만인, 압출기에서 이용하기 위한 스크류.
  5. 제4항에 있어서,
    음의 각도의 합계는 10°미만, 특히 0°인, 압출기에서 이용하기 위한 스크류.
  6. 압출기에서 이용하기 위한 스크류로서, 상기 스크류는 굴대 및 상기 굴대 상에서 유지되고 서로 축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세그먼트를 나타내고, 별개의 토크 반송체가 상기 굴대와 하나의 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토크 반송체는 상기 굴대의 접촉 표면 영역에서 상기 굴대와 접촉하고, 상기 토크 반송체는 자신의 윤곽의 정확히 하나의 측면으로 상기 접촉 표면 영역에 안착하는, 압출기에서 이용하기 위한 스크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2, 3, 4, 5, 또는 6개의 항에 따른 스크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횡단면 내에서 상기 굴대는 원형 주변부와 부분적으로 합치되는, 압출기에서 이용하기 위한 스크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표면 영역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굴대의 횡단면 상의 2개의 원호 세그먼트들 사이의 현(chord)인, 압출기에서 이용하기 위한 스크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횡단면 내에서 상기 굴대는 거울 대칭적, 특히 이중 거울 대칭적인, 압출기에서 이용하기 위한 스크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토크 반송체가 상기 굴대의 원주 주위로 제공되는, 압출기에서 이용하기 위한 스크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횡단면에서 하나의 토크 반송체가 하나의 편평한 단부 및 다른 하나의 두꺼운 단부를 가지는 쐐기 형상을 나타내는, 압출기에서 이용하기 위한 스크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의 하나의 횡단면 상에서 상기 토크 반송체는 비대칭적, 점 대칭적, 또는 거울 대칭적인, 압출기에서 이용하기 위한 스크류.
  14. 압출기의 스크류를 리툴링(retooling)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스크류는 굴대 및 상기 굴대 상에서 유지되고 서로 축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세그먼트를 나타내고, 세그먼트 경계는 밀봉되고, 별개의 토크 반송체가 상기 굴대와 하나의 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토크 반송체는 상기 굴대의 접촉 표면에서 상기 굴대와 접촉하고, 상기 방법은:
    a. 상기 굴대로부터 상기 세그먼트를 제거하는 단계; 및
    b. 토크 반송체를 가지는 굴대 상으로 상기 세그먼트를 푸싱하는 단계로서, 상기 토크 반송체는 상기 굴대의 접촉 표면에서 상기 굴대와 접촉하고,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크류가 생성되는, 상기 세그먼트를 푸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압출기의 스크류를 리툴링하기 위한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크류를 가지고, 특히 단일 스크류 압출기 또는 트윈 스크류 압출기인 압출기.
KR1020160056917A 2015-05-10 2016-05-10 압출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스크류, 스크류를 변환하기 위한 방법, 및 압출기 KR201601323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005790.1A DE102015005790A1 (de) 2015-05-10 2015-05-10 Schnecke zum Einsatz in einem Extruder, Verfahren zum Umrüsten einer Schnecke und Extruder
DE102015005790.1 2015-05-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346A true KR20160132346A (ko) 2016-11-18

Family

ID=55640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6917A KR20160132346A (ko) 2015-05-10 2016-05-10 압출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스크류, 스크류를 변환하기 위한 방법, 및 압출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60325467A1 (ko)
EP (1) EP3093119A1 (ko)
JP (1) JP2016210185A (ko)
KR (1) KR20160132346A (ko)
CN (1) CN106113455A (ko)
BR (1) BR102016010394A2 (ko)
CA (1) CA2929540A1 (ko)
DE (1) DE102015005790A1 (ko)
TW (1) TW20170397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12148B4 (de) * 2011-09-01 2015-12-24 Kraussmaffei Berstorff Gmbh Extrude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Extruders
CN107116718B (zh) * 2017-07-07 2023-06-27 中国石油大学(华东) 一种具有过渡段的全光滑双螺杆挤出机转子
CN110154354B (zh) * 2019-05-14 2024-04-02 佛山智塑科技有限公司 一种挤出机端面密封结构
CN112557152B (zh) * 2020-12-08 2023-03-28 上海海隆石油管材研究所 一种用于硫化物应力腐蚀开裂试验的非对称结构单轴拉伸试样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502337A1 (de) * 1965-03-13 1969-03-06 Werner & Pfleiderer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Schneckenelementen fuer Schneckenpressen
JPS60245537A (ja) * 1984-05-22 1985-12-05 Japan Steel Works Ltd:The 押出成形機用単軸スクリユ−
DE4206219A1 (de) * 1992-02-28 1993-09-02 Blach Josef A Vorrichtung zum mischen und/oder kneten von werkstoffen
DE4421514C2 (de) * 1994-06-20 1998-08-13 Krupp Werner & Pfleiderer Gmbh Schneckenmaschine mit aufsteckbaren Schneckensatzelementen
JPH08326768A (ja) * 1995-05-29 1996-12-10 Toshiba Mach Co Ltd スプラインおよび多軸押出機の回転エレメント用スプライン
US6312756B1 (en) * 1995-10-13 2001-11-06 Corn Products International, Inc. Starch products having hot or cold water dispersibility and hot or cold swelling viscosity
DE10330530A1 (de) 2003-07-05 2005-02-03 Leistritz Extrusionstechnik Gmbh Schneckenschaft für eine Extruderschneckenwelle
US7192178B2 (en) * 2004-02-19 2007-03-20 J. C. Steele & Sons, Inc. Extrusion auger with removable auger segments and removal tool
DE102004042746B4 (de) 2004-09-03 2008-03-27 Leistritz Ag Extruderschnecke
DE102008028289B4 (de) 2008-06-16 2021-07-15 Leistritz Extrusionstechnik Gmbh Extruderschnecke sowie Extruder umfassend mindestens eine solche Extruderschnecke
DE102011112148B4 (de) 2011-09-01 2015-12-24 Kraussmaffei Berstorff Gmbh Extrude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Extruders
JP6446235B2 (ja) * 2014-10-27 2018-12-26 東芝機械株式会社 押出機および混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113455A (zh) 2016-11-16
BR102016010394A2 (pt) 2016-11-08
CA2929540A1 (en) 2016-11-10
EP3093119A1 (de) 2016-11-16
US20160325467A1 (en) 2016-11-10
TW201703975A (zh) 2017-02-01
JP2016210185A (ja) 2016-12-15
DE102015005790A1 (de) 2016-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32346A (ko) 압출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스크류, 스크류를 변환하기 위한 방법, 및 압출기
CN105465314B (zh) 滚柱丝杠机构及相关制造方法
CA2803297C (en) Driver for torque and rotation transfer from a rotational chuck to a drill steel
CN105465313B (zh) 集成环齿轮的滚柱丝杠机构及相关制造方法
JP4541665B2 (ja) 切屑成形式加工用デバイス
JP5000661B2 (ja) 多軸押出機
JP2018062170A (ja) 押出機において使用されるスクリューおよび押出機
JP4978430B2 (ja) ボールスプライン
CA2932037A1 (en) Coupling
ITMI970543A1 (it) Giunto per alberi rigido alla torsione e elastico alla flessione in particolare completamente in acciaio
JP2005273790A (ja) 撓み軸継手
BRPI0823190B1 (pt) Sistema de transmissão de torque
JP6716614B2 (ja) スピンドル駆動部及びスピンドル駆動部を有するアクチュエータ
KR20160137422A (ko) 압출기용 웜 스크류 및 압출기
US7309187B2 (en) Releasable keyless bushing assembly
CN203778493U (zh) 万向联轴器十字轴总成
CN218670511U (zh) 齿轮轴
JP5083157B2 (ja) 伸縮式回転伝達軸
US20180104879A1 (en) Screw to be used in an extruder and extruder
US785071A (en) Fastening for wheels, shafts, and cranks.
US11052982B2 (en) Apparatus for dovetail chord relief for marine propeller
EP4303040A1 (en) Bushing, suspension system and vehicle
US841090A (en) Pulley and bushing.
JP2014140886A (ja) 圧延ロール
JPS61278619A (ja) 軸継手及びその継手による軸連結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