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9201A - 바퀴 이탈 구조를 가지는 로워암 - Google Patents
바퀴 이탈 구조를 가지는 로워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29201A KR20160129201A KR1020150060780A KR20150060780A KR20160129201A KR 20160129201 A KR20160129201 A KR 20160129201A KR 1020150060780 A KR1020150060780 A KR 1020150060780A KR 20150060780 A KR20150060780 A KR 20150060780A KR 20160129201 A KR20160129201 A KR 2016012920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ion part
- arm member
- connection
- lower arm
- ar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암부재가 차체프레임에 설치되었을 시 상기 제1 연결부 보다 후방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3 연결부에는 너클과 연결되도록 볼조인트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연결부와 제3 연결부의 사이에서 암부재에는 파손 유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 이탈 구조를 가지는 로워암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도 2는 종래의 로워암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의 로워암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종래의 로워암에 충격이 가해졌을 시 로워암과 휠의 운동 방향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퀴 이탈 구조를 가지는 로워암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퀴 이탈 구조를 가지는 로워암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퀴 이탈 구조를 가지는 로워암에 형성된 파손 유도부의 위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E”부분의 파손 유도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110: 암부재 111: 제1 연결부
113: 제2 연결부 115: 제3 연결부
117: 파손 유도부
Claims (5)
- 몸체가 되는 암부재(110)로 이루어지며; 상기 암부재(110)는 λ 형상으로 구비되고, 일단부에는 제1 연결부(111)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제3 연결부(115)가 형성되며, 다른 단부에는 제2 연결부(113)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부(113)는 상기 암부재(110)가 차체프레임에 설치되었을 시 상기 제1 연결부(111) 보다 후방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3 연결부(115)에는 너클과 연결되도록 볼조인트(6)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연결부(113)와 제3 연결부(115)의 사이에서 암부재(110)에는 파손 유도부(1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 이탈 구조를 가지는 로워암.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손 유도부(112)는 상기 제2 연결부(113)와 제3 연결부(115)의 사이에서 상기 암부재(110)의 하부 모서리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 이탈 구조를 가지는 로워암.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손 유도부(112)은 단면이 삼각형으로 형성되며, 전방을 향할수록 상하 방향 높이가 낮아지고 폭 방향 넓이가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 이탈 구조를 가지는 로워암.
- 제1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113)의 중심(B)과 상기 제3 연결부(115)의 중심(C)을 연결한 제1 연결선(L)과 상기 제1 연결선(L)에 수직하도록 상기 제1 연결부(111)의 중심(A)으로부터 연장된 선이 만나는 점을 P라고 할때; 상기 파손 유도부(112)는 상기 P점으로부터 제1 연결선(L)에 수직하도록 연장하여 암부재(110)와 만나는 점(P1)과 상기 제3 연결부(115)의 중심(C)으로부터 제1 연결선(L)에 수직하도록 연장하여 상기 암부재(110)와 만나는 점(C1)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 이탈 구조를 가지는 로워암.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파손 유도부(112)는 상기 P1점과 C1점의 사이에서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 이탈 구조를 가지는 로워암.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0780A KR20160129201A (ko) | 2015-04-29 | 2015-04-29 | 바퀴 이탈 구조를 가지는 로워암 |
PCT/KR2015/012627 WO2016175416A1 (ko) | 2015-04-29 | 2015-11-24 | 차량용 로워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0780A KR20160129201A (ko) | 2015-04-29 | 2015-04-29 | 바퀴 이탈 구조를 가지는 로워암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29201A true KR20160129201A (ko) | 2016-11-09 |
Family
ID=57198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60780A Ceased KR20160129201A (ko) | 2015-04-29 | 2015-04-29 | 바퀴 이탈 구조를 가지는 로워암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129201A (ko) |
WO (1) | WO2016175416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016227A (zh) * | 2017-12-19 | 2018-05-11 | 合肥长安汽车有限公司 | 一种车用摆臂 |
KR102032200B1 (ko) | 2018-09-04 | 2019-10-15 | (주)동희산업 | 차량용 로워암의 내구 시험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465028A (zh) * | 2021-06-10 | 2022-12-13 | 上汽通用汽车有限公司 | 控制臂和汽车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67312A (ko) | 2008-12-11 | 2010-06-21 | 현대위아 주식회사 | 자동차 로어암 및 쇽업쇼버 브라켓 어셈블리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737837B2 (ja) * | 1994-06-24 | 2006-01-25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
JP3505899B2 (ja) * | 1996-03-04 | 2004-03-15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
JP3687604B2 (ja) * | 2001-12-19 | 2005-08-24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車体前部構造 |
JP2009255857A (ja) * | 2008-04-21 | 2009-11-05 | Nissan Motor Co Ltd |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構造 |
JP2012158200A (ja) * | 2011-01-28 | 2012-08-23 | Daihatsu Motor Co Ltd | 車両の懸架装置 |
-
2015
- 2015-04-29 KR KR1020150060780A patent/KR20160129201A/ko not_active Ceased
- 2015-11-24 WO PCT/KR2015/012627 patent/WO2016175416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67312A (ko) | 2008-12-11 | 2010-06-21 | 현대위아 주식회사 | 자동차 로어암 및 쇽업쇼버 브라켓 어셈블리 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016227A (zh) * | 2017-12-19 | 2018-05-11 | 合肥长安汽车有限公司 | 一种车用摆臂 |
KR102032200B1 (ko) | 2018-09-04 | 2019-10-15 | (주)동희산업 | 차량용 로워암의 내구 시험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6175416A1 (ko) | 2016-11-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682727B2 (en) | Sub frame structure of vehicle | |
US5845938A (en) | Deformable suspension and for automotive vehicle | |
US9783234B2 (en) | Sub frame structure of vehicle | |
KR101814647B1 (ko) | 차량용 차량 전방 구조 | |
KR102166872B1 (ko) | 차량용 토션빔 액슬장치 | |
CN103358848A (zh) | 稳定杆衬套附接组件 | |
CN102398631A (zh) | 拖臂安装结构 | |
CN112744296A (zh) | 侧翻保护系统 | |
KR20160129201A (ko) | 바퀴 이탈 구조를 가지는 로워암 | |
CN108974125B (zh) | 悬架臂支承构造 | |
CN105793076B (zh) | 用于机动车辆的悬架臂 | |
CN211252807U (zh) | 一种车辆副车架连接支架 | |
JP7170577B2 (ja) | トーションビ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 | |
US11472241B2 (en) | Towing apparatus for bus | |
KR20120007608U (ko) | 보조쇽업소버 장착을 위한 보조브래킷 | |
JP2006044551A (ja) | 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 | |
KR101703610B1 (ko) | 차량용 서브 프레임 | |
JP4994383B2 (ja) | 前部に衝撃を受けた際に車内に車輪が入り込むのを防止する自動車前部の構造 | |
JP3572923B2 (ja) |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取付け構造 | |
CN114633595A (zh) | 轮毂托架构造 | |
KR100901578B1 (ko) | 차량의 트레일링아암 장착구조 | |
JP6562293B2 (ja) | スタビライザの保持構造 | |
KR102097145B1 (ko) | 측면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차량의 서스펜션 아암 | |
CN213862407U (zh) | 直拉杆臂 | |
KR101371451B1 (ko) | 차량용 레이디어스 로드 유닛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11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6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