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5902A - 차량용 등기구 - Google Patents

차량용 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5902A
KR20160125902A KR1020160048063A KR20160048063A KR20160125902A KR 20160125902 A KR20160125902 A KR 20160125902A KR 1020160048063 A KR1020160048063 A KR 1020160048063A KR 20160048063 A KR20160048063 A KR 20160048063A KR 20160125902 A KR20160125902 A KR 20160125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translucent member
light source
emission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8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키 이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160125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59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4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8/22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1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6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3/235 - F21S43/25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4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reflectors and refra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21V5/045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the lens having discontinuous faces, e.g. Fresnel lenses
    • F21W2101/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원의 전방에 투광 부재가 배치된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 투광 부재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극단적으로 두껍게 하지 않고,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투광 부재로부터 전방을 향해 정밀도 좋게 출사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투광 부재(30)의 출사면(32)을, 외주측으로 향함에 따라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5개의 출사 영역(32A) 및 1개의 출사 영역(32B)을 구비한 구성으로 한다. 이에 의해 투광 부재(30)의 후면 형상이 회전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투광 부재(30)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극단적으로 두껍게 하지 않고, 광원(20)으로부터의 광을 전방을 향해 출사시킬 수 있게 한다. 그때, 5개의 출사 영역(32A)을 등기구 정면에서 보아 다중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분한 후에, 각 출사 영역(32A)을 또한 복수의 출사 소자(32As)로 구분한다. 이에 의해 각 출사 소자(32As) 상호간의 경계선을 등기구 정면에서 보아 직선 형상으로 설정 가능하게 하여, 각 출사 소자(32As)로부터의 출사광을 확산 제어할 때의 정밀도를 높인다.

Description

차량용 등기구{VEHICLE LAMP}
본원 발명은 광원 및 상기 광원의 전방에 배치된 투광 부재를 구비한 차량용 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차량용 등기구의 구성으로서, 광원의 전방에 배치된 투광 부재에 의해,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전방을 향해 출사시키도록 구성된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이러한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 그 투광 부재의 출사면의 구성으로서, 등기구 정면에서 보아 다중의 원형 형상으로 구분된 상태로, 외주측으로 향함에 따라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출사 영역을 구비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03111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투광 부재를 채용함으로써, 그 후면 형상을 회전 곡면 또는 이에 가까운 형상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도, 투광 부재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극단적으로 두껍게 하지 않고,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전방을 향해 출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투광 부재는, 그 출사면이 등기구 정면에서 보아 다중의 원형 형상으로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각 출사 영역을 복수의 출사 소자로 구분했다고 해도, 이들 각 출사 소자로부터의 출사광을 확산 제어 혹은 편향 제어할 때의 정밀도를 높이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본원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광원 및 상기 광원의 전방에 배치된 투광 부재를 구비한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 투광 부재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극단적으로 두껍게 하지 않고,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투광 부재로부터 전방을 향해 정밀도 좋게 출사시킬 수 있는 차량용 등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은, 투광 부재의 구성을 궁리함으로써, 상기 목적 달성을 도모하도록 한 것이다.
즉, 본원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는,
광원 및 상기 광원의 전방에 배치된 투광 부재를 구비한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투광 부재는, 상기 투광 부재에 입사된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전방을 향해 출사시키는 출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출사면은, 등기구 정면에서 보아 다중의 다각형 형상으로 구분된 상태로, 외주측으로 향함에 따라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출사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출사 영역 중 적어도 일부의 출사 영역은, 복수의 출사 소자로 구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광원」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발광 다이오드나 레이저 다이오드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출사 영역」은, 등기구 정면에서 보아 다중의 다각형 형상으로 구분된 상태로, 외주측으로 향함에 따라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그 구체적인 배치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출사 영역」은, 등기구 정면에서 보아 다중의 다각형 형상으로 구분되어 있으면, 반드시 동심형으로 구분되어 있지 않아도 좋고, 또한, 반드시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본원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의 투광 부재는, 상기 투광 부재에 입사된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전방을 향해 출사시키는 출사면을 구비하는데, 이 출사면은, 외주측으로 향함에 따라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출사 영역을 구비하기 때문에, 투광 부재의 후면 형상을 회전 곡면 또는 이에 가까운 형상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도, 투광 부재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극단적으로 두껍게 하지 않고,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전방을 향해 출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출사 영역은, 등기구 정면에서 보아 다중의 다각형 형상으로 구분되어 있고, 이들 중 적어도 일부의 출사 영역은 복수의 출사 소자로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각 출사 소자 상호간의 경계선을 등기구 정면에서 보아 직선 형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 각 출사 소자로부터의 출사광을 확산 제어 혹은 편향 제어할 때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원 발명에 의하면, 광원 및 상기 광원의 전방에 배치된 투광 부재를 구비한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 투광 부재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극단적으로 두껍게 하지 않고,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투광 부재로부터 전방을 향해 정밀도 좋게 출사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출사면이 등기구 정면에서 보아 다중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분된 구성으로 하면, 각 출사 소자 상호간의 경계선을 등기구 정면에서 보아 직교하는 2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상으로 설정할 수 있고, 이에 의해 각 출사 소자로부터의 출사광을 서로 직교하는 2방향(예컨대 상하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정밀도 좋게 확산 제어 혹은 편향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투광 부재의 구성으로서, 상기 투광 부재에 입사된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전방을 향해 직접 출사시키는 제1 광 제어부와, 투광 부재에 입사된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내면 반사시킨 후에 전방을 향해 출사시키는 제2 광 제어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면,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투광 부재의 부위에 따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투광 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각 출사 소자가 쐐기 형상의 연직 단면 형상이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구성으로 하면, 투광 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경사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 출사 소자로부터의 출사광을 등기구 정면 방향쪽의 방향을 향하는 광으로 하는 것이 용이하게 가능해진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차량용 등기구의 투광 부재를 광원과 함께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화살표 Ⅳ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실시형태의 작용을 종래예와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변형예의 투광 부재를 광원과 함께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상기 변형예의 투광 부재를 광원과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변형예의 작용을 종래예와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원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10)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10)는, 차량 후방부에 배치되는 테일 램프이며, 램프 보디(12)와 투명한 외측 커버(14)로 형성되는 등실 내에 광원(20)과 투광 부재(30)가 수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광원(20)은, 적색 발광 다이오드이며, 기판(22)에 탑재된 상태로 등기구 전방(차량으로서는 후방)을 향해 배치되어 있다. 이 기판(22)은 램프 보디(12)에 지지되어 있다.
투광 부재(30)는, 투명한 합성 수지 성형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투광 부재(30)는, 광원(20)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고, 그 상하 양단부에 형성된 브래킷(30a)에서 램프 보디(12)에 지지되어 있다.
이 투광 부재(30)는, 광원(20)의 발광 중심을 지나도록 하여 등기구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Ax)을 중심으로 해서 그 근방에 위치하는 제1 광 제어부(30A)와, 이 제1 광 제어부(30A) 주위에 위치하는 환형의 제2 광 제어부(30B)를 구비한다. 이들 제1 광 제어부(30A) 및 제2 광 제어부(30B)는, 모두 축선(Ax)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의 외형 형상을 갖고 있다.
제1 광 제어부(30A)는, 상기 제1 광 제어부(30A)에 입사된 광원(20)으로부터의 광을 전방을 향해 직접 출사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제2 광 제어부(30B)는, 상기 제2 광 제어부(30B)에 입사된 광원(20)으로부터의 광을 내면 반사시킨 후에 전방을 향해 출사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광 제어부(30A)의 후면(34A)은, 축선(Ax)을 중심으로 하는 볼록 곡면 형상의 회전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후면(34A)에서, 광원(20)의 발광 중심으로부터의 출사광을 축선(Ax)과 평행한 방향을 향해 입사시키도록 되어 있다.
제2 광 제어부(30B)의 후면(34B)은, 광원(20)으로부터의 출사광을 축선(Ax)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절시키도록 하여 입사시키는 입사면(34B1)과, 이 입사면(34B1)으로부터의 입사광을 전반사에 의해 전방을 향해 내면 반사시키는 반사면(34B2)을 구비한다. 그때, 입사면(34B1)은, 축선(Ax)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면에 가까운 원뿔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반사면(34B2)은, 축선(Ax)을 중심으로 하는 볼록 곡면 형상의 회전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반사면(34B2)에서, 입사면(34B1)으로부터 입사된 광원(20)의 발광 중심으로부터의 광을 축선(Ax)과 평행한 방향을 향해 반사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 2는 투광 부재(30)를 광원(20)과 함께 도시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의 Ⅲ-Ⅲ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화살표 Ⅳ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한편, 이들 도면에서는, 투광 부재(30)를, 그 브래킷(30a)을 생략한 상태로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 부재(30)에서, 상기 투광 부재(30)에 입사된 광원(20)으로부터의 광을 전방을 향해 출사시키는 출사면(32)은, 등기구 정면에서 보아 축선(Ax)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의 외형 형상을 갖고 있다.
이 출사면(32)은, 등기구 정면에서 보아 다중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분된 5개의 출사 영역(32A)과, 그 외주측에 위치하는 출사 영역(32B)으로 구성되어 있다.
5개의 출사 영역(32A)은, 등기구 정면에서 보아 축선(Ax)을 중심으로 하는 정사각형을 경계선으로 하여, 동일 폭으로 동심형으로 구분되어 있다.
또한, 이들 5개의 출사 영역(32A) 및 1개의 출사 영역(32B)은, 축선(Ax)으로부터 외주측으로 향함에 따라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때, 이들 5개의 출사 영역(32A) 및 1개의 출사 영역(32B)은, 전후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출사 영역(32A)은, 각각 복수의 출사 소자(32As)로 구분되어 있다. 그때, 이들 복수의 출사 소자(32As)는, 좌우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세로 줄무늬 형상으로 구분되어 있고, 각 출사 소자(32As)는 볼록 곡선 형상의 수평 단면 형상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 각 출사 소자(32As)는, 상기 출사 소자(32As)에 도달한 광원(20)으로부터의 광을 좌우 방향으로 확산되는 광으로서 전방을 향해 출사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출사 영역(32B)도, 복수의 출사 소자(32Bs)로 구분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출사 소자(32Bs)도, 좌우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세로 줄무늬 형상으로 구분되어 있고, 각 출사 소자(32Bs)는 볼록 곡선 형상의 수평 단면 형상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 각 출사 소자(32Bs)도, 상기 출사 소자(32Bs)에 도달한 광원(20)으로부터의 광을 좌우 방향으로 확산되는 광으로서 전방을 향해 출사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종래예와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1)은 본 실시형태의 투광 부재(30)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의 (a2)는 이 투광 부재(30)로부터의 출사광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P1)을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도 5의 (b1)은 종래예에 따른 투광 부재(530)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의 (b2)는 이 투광 부재(530)로부터의 출사광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P1')을 도시한 도면이다.
투광 부재(530)는, 그 기본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본 실시형태의 투광 부재(30)와 동일하지만, 그 출사면(532)이 등기구 정면에서 보아 다중의 원형 형상으로 구분된 복수의 출사 영역(532A)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점에서, 본 실시형태의 경우와 상이하다. 그때, 각 출사 영역(532A)은, 각각 복수의 출사 소자(532As)로 구분되어 있는데, 그 경계선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과 원호 형상의 곡선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5의 (a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 부재(30)로부터의 출사광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P1)은, 가로로 긴 배광 패턴으로서 형성된다. 그때, 이 배광 패턴(P1)은, 그 좌우 양단부에 있어서도 그 좌우 중앙부와 대략 동일한 상하 폭을 갖는 배광 패턴으로서 형성되고, 또한 대략 균일한 광도 분포를 갖는 배광 패턴으로서 형성된다.
이러한 배광 패턴(P1)이 형성되는 것은, 각 출사 소자(32As) 상호간의 경계선이 등기구 정면에서 보아 상하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각 출사 소자(32As)로부터의 출사광을 수평 방향으로 정밀도 좋게 확산 제어할 수 있는 것에 의한 것이다.
한편, 도 5의 (b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 부재(530)로부터의 출사광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P1')도 가로로 긴 배광 패턴으로서 형성되지만, 그 좌우 양단부는 그 좌우 중앙부보다 상하 폭이 상당히 좁은 배광 패턴으로서 형성되고, 또한 약간 불균일한 광도 분포를 갖는 배광 패턴으로서 형성된다.
이러한 배광 패턴(P1')이 형성되는 것은, 각 출사 소자(532As) 상호간의 경계선의 일부가 원호 형상의 곡선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각 출사 소자(532As)로부터의 출사광을 수평 방향으로 정밀도 좋게 확산 제어할 수 없는 것에 의한 것이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10)의 투광 부재(30)는, 상기 투광 부재(30)에 입사된 광원(20)으로부터의 광을 전방을 향해 출사시키는 출사면(32)을 구비하는데, 이 출사면(32)은, 외주측으로 향함에 따라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5개의 출사 영역(32A) 및 1개의 출사 영역(32B)을 구비하기 때문에, 투광 부재(30)의 후면 형상이 회전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투광 부재(30)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극단적으로 두껍게 하지 않고, 광원(20)으로부터의 광을 전방을 향해 출사시킬 수 있다.
또한, 5개의 출사 영역(32A)은, 등기구 정면에서 보아 다중의 다각형 형상으로 구분되어 있고, 이들 각 출사 영역(32A)은 복수의 출사 소자(32As)로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각 출사 소자(32As) 상호간의 경계선을 등기구 정면에서 보아 직선 형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 각 출사 소자(32As)로부터의 출사광을 확산 제어할 때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광원(20) 및 상기 광원(20)의 전방에 배치된 투광 부재(30)를 구비한 차량용 등기구(10)에 있어서, 투광 부재(30)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극단적으로 두껍게 하지 않고, 광원(20)으로부터의 광을 투광 부재(30)로부터 전방을 향해 정밀도 좋게 출사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출사면(32)이 등기구 정면에서 보아 다중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분되어 있고, 각 출사 소자(32As) 상호간의 경계선이 등기구 정면에서 보아 상하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각 출사 소자(32As)로부터의 출사광을 좌우 방향으로 정밀도 좋게 확산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투광 부재(30)가, 상기 투광 부재(30)에 입사된 광원(20)으로부터의 광을 전방을 향해 직접 출사시키는 제1 광 제어부(30A)와, 투광 부재(30)에 입사된 광원(20)으로부터의 광을 내면 반사시킨 후에 전방을 향해 출사시키는 제2 광 제어부(30B)를 구비하기 때문에, 광원(20)으로부터의 광을 투광 부재(30)의 부위에 따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투광 부재(30)에 있어서의 제2 광 제어부(30B)의 후면(34B)이 회전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으나, 그 이외의 곡면 혹은 복수의 평면으로 구성된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투광 부재(30)의 출사면(32)이 등기구 정면에서 보아 다중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분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으나, 그 이외의 다중의 다각형 형상(예컨대 마름모꼴이나 육각형 등)으로 구분된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차량용 등기구(10)가 테일 램프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차량에 설치되는 부위나 기능에 관계없이,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변형예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110)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110)도, 그 기본적인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하지만, 투광 부재(130)의 구성 및 광원(20)의 배치가 상기 실시형태의 경우와 일부 상이하다. 이에 따라, 본 변형예의 램프 보디(112) 및 외측 커버(114)도, 상기 실시형태의 경우와 그 형상이 일부 상이하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투광 부재(130) 및 광원(20)이 전방을 향해 비스듬히 상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그 상하 양단부에 형성된 브래킷(130a)에서 램프 보디(112)에 지지되어 있다.
투광 부재(130)는, 광원(20)의 발광 중심을 지나도록 하여 비스듬히 상측 전방으로 연장되는 축선(Ax)을 중심으로 해서 그 근방에 위치하는 제1 광 제어부(130A)와, 이 제1 광 제어부(130A) 주위에 위치하는 환형의 제2 광 제어부(130B)를 구비한다. 이들 제1 광 제어부(130A) 및 제2 광 제어부(130B)는, 모두 축선(Ax)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의 외형 형상을 갖고 있다.
제1 광 제어부(130A)는, 상기 제1 광 제어부(130A)에 입사된 광원(20)으로부터의 광을 전방을 향해 직접 출사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제2 광 제어부(130B)는, 상기 제2 광 제어부(130B)에 입사된 광원(20)으로부터의 광을 내면 반사시킨 후에 전방을 향해 출사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광 제어부(130A)의 후면(134A)은, 축선(Ax)을 중심으로 하는 볼록 곡면 형상의 회전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후면(134A)에서, 광원(20)의 발광 중심으로부터의 출사광을 축선(Ax)과 평행한 방향을 향해 입사시키도록 되어 있다.
제2 광 제어부(130B)의 후면(134B)은, 광원(20)으로부터의 출사광을 축선(Ax)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절시키도록 하여 입사시키는 입사면(134B1)과, 이 입사면(134B1)으로부터의 입사광을 전반사에 의해 전방을 향해 내면 반사시키는 반사면(134B2)을 구비한다. 그때, 입사면(134B1)은, 축선(Ax)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면에 가까운 원뿔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반사면(134B2)은, 축선(Ax)을 중심으로 하는 볼록 곡면 형상의 회전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반사면(134B2)에서, 입사면(134B1)으로부터 입사된 광원(20)의 발광 중심으로부터의 광을 축선(Ax)과 평행한 방향을 향해 반사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 7은 투광 부재(130)를 광원(20)과 함께 도시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8은 투광 부재(130)를 광원(20)과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 부재(130)에 있어서, 상기 투광 부재(130)에 입사된 광원(20)으로부터의 광을 전방을 향해 출사시키는 출사면(132)은, 등기구 정면에서 보아 원형의 외형 형상을 갖고 있다.
이 출사면(132)은, 등기구 정면에서 보아 다중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분된 5개의 출사 영역(132A)과, 그 외주측에 위치하는 출사 영역(132B)으로 구성되어 있다.
5개의 출사 영역(132A)은, 등기구 정면에서 보아 축선(Ax)과 출사면(132)의 교점을 중심으로 하는 정사각형의 경계선에 의해 동일 폭으로 동심형으로 구분되어 있다.
또한, 이들 5개의 출사 영역(132A) 및 1개의 출사 영역(132B)은, 축선(Ax)으로부터 외주측으로 향함에 따라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들 각 출사 영역(132A)은, 각각 복수의 출사 소자(132As)로 구분되어 있다. 그때, 이들 복수의 출사 소자(132As)는, 상하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가로 줄무늬 형상으로 구분되어 있고, 각 출사 소자(132As)는 쐐기 형상의 연직 단면 형상이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 각 출사 소자(132As)는, 상기 출사 소자(132As)에 도달한 광원(20)으로부터의 광을 하향으로 편향시켜 등기구 정면 방향을 향해 출사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출사 영역(132B)도, 복수의 출사 소자(132Bs)로 구분되어 있다. 그때, 이들 복수의 출사 소자(132Bs)도, 상하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가로 줄무늬 형상으로 구분되어 있고, 각 출사 소자(132Bs)는 쐐기 형상의 연직 단면 형상이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 각 출사 소자(132Bs)도, 상기 출사 소자(132Bs)에 도달한 광원(20)으로부터의 광을 하향으로 편향시켜 등기구 정면 방향을 향해 출사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 9는 본 변형예의 작용을 종래예와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의 (a1)은 본 변형예의 투광 부재(130)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9의 (a2)는 이 투광 부재(130)로부터의 출사광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P2)을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도 9의 (b1)은 종래예에 따른 투광 부재(630)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9의 (b2)는 이 투광 부재(630)로부터의 출사광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P2')을 도시한 도면이다.
투광 부재(630)는, 그 기본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본 변형예의 투광 부재(130)와 동일하지만, 그 출사면(632)이 등기구 정면에서 보아 다중의 원형 형상으로 구분된 복수의 출사 영역(632A)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점에서, 본 변형예의 경우와 상이하다. 그때, 각 출사 영역(632A)은, 각각 복수의 출사 소자(632As)로 구분되어 있는데, 그 경계선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과 원호 형상의 곡선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9의 (a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 부재(130)로부터의 출사광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P2)은, 약간 세로로 긴 스폿 형상의 배광 패턴으로서 형성된다. 그때, 이 배광 패턴(P2)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외형 형상을 갖는 배광 패턴으로서 형성되고, 또한 대략 균일한 광도 분포를 갖는 배광 패턴으로서 형성된다.
이러한 배광 패턴(P2)이 형성되는 것은, 각 출사 소자(132As) 상호간의 경계선이 등기구 정면에서 보아 상하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각 출사 소자(132As)로부터의 출사광을 상하 방향으로 정밀도 좋게 편향 제어할 수 있는 것에 의한 것이다.
한편, 도 9의 (b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 부재(630)로부터의 출사광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P2')도, 약간 세로로 긴 배광 패턴으로서 형성되지만, 그 상하 좌우의 각 코너부가 이지러진 배광 패턴으로서 형성되고, 또한 약간 불균일한 광도 분포를 갖는 배광 패턴으로서 형성된다.
이러한 배광 패턴(P2')이 형성되는 것은, 각 출사 소자(632As) 상호간의 경계선의 일부가 원호 형상의 곡선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각 출사 소자(632As)로부터의 출사광을 상하 방향으로 정밀도 좋게 편향 제어할 수 없는 것에 의한 것이다.
다음으로, 본 변형예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변형예의 투광 부재(130)는, 상기 투광 부재(130)에 입사된 광원(20)으로부터의 광을 전방을 향해 출사시키는 출사면(132)을 구비하는데, 이 출사면(132)은, 외주측으로 향함에 따라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5개의 출사 영역(132A) 및 1개의 출사 영역(132B)을 구비하기 때문에, 투광 부재(130)의 후면 형상이 회전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투광 부재(130)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극단적으로 두껍게 하지 않고, 광원(20)으로부터의 광을 전방을 향해 출사시킬 수 있다.
또한, 5개의 출사 영역(132A)은, 등기구 정면에서 보아 다중의 다각형 형상으로 구분되어 있고, 이들 각 출사 영역(132A)은 복수의 출사 소자(132As)로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각 출사 소자(132As) 상호간의 경계선을 등기구 정면에서 보아 직선 형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 각 출사 소자(132As)로부터의 출사광을 편향 제어할 때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에 의하면, 광원(20) 및 상기 광원(20)의 전방에 배치된 투광 부재(130)를 구비한 차량용 등기구(110)에 있어서, 투광 부재(130)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극단적으로 두껍게 하지 않고, 광원(20)으로부터의 광을 투광 부재(130)로부터 전방을 향해 정밀도 좋게 출사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출사면(132)이 등기구 정면에서 보아 다중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분되어 있고, 각 출사 소자(132As) 상호간의 경계선이 등기구 정면에서 보아 상하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투광 부재(130)가 상하 방향으로 경사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 출사 소자(132As, 132Bs)로부터의 출사광을 등기구 정면 방향쪽의 방향을 향하는 광으로 하는 것이 용이하게 가능해진다.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투광 부재(130)가, 상기 투광 부재(130)에 입사된 광원(20)으로부터의 광을 전방을 향해 직접 출사시키는 제1 광 제어부(130A)와, 투광 부재(130)에 입사된 광원(20)으로부터의 광을 내면 반사시킨 후에 전방을 향해 출사시키는 제2 광 제어부(130B)를 구비하기 때문에, 광원(20)으로부터의 광을 투광 부재(130)의 부위에 따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변형예에 있어서는, 각 출사 소자(132As, 132Bs)가, 상기 출사 소자(132As, 132Bs)에 도달한 광원(20)으로부터의 광을 하향으로 편향시켜 등기구 정면 방향을 향해 출사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으나, 그때, 각 출사 소자(132As, 132Bs)에 도달한 광원(20)으로부터의 광을 하향으로 편향시키고, 좌우 방향으로 확산시키도록 하여 출사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 제원(諸元)으로서 나타낸 수치는 일례에 불과하며, 이들을 적절히 상이한 값으로 설정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기재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여러 가지 변경을 가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10, 110: 차량용 등기구 12, 112: 램프 보디
14, 114: 외측 커버 20: 광원
22: 기판 30, 130: 투광 부재
30A, 130A: 제1 광 제어부 30B, 130B: 제2 광 제어부
30a, 130a: 브래킷 32, 132: 출사면
32A, 32B, 132A, 132B: 출사 영역
32As, 32Bs, 132As, 132Bs: 출사 소자
34A, 34B, 134A, 134B: 후면 34B1, 134B1: 입사면
34B2, 134B2: 반사면 Ax: 축선
P1, P2: 배광 패턴

Claims (4)

  1. 광원 및 상기 광원의 전방에 배치된 투광 부재를 구비한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투광 부재는, 상기 투광 부재에 입사된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전방을 향해 출사시키는 출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출사면은, 등기구 정면에서 보아 다중의 다각형 형상으로 구분된 상태로, 외주측으로 향함에 따라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출사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출사 영역 중 적어도 일부의 출사 영역은, 복수의 출사 소자로 구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면은, 등기구 정면에서 보아 다중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 부재는, 상기 투광 부재에 입사된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전방을 향해 직접 출사시키는 제1 광 제어부와, 투광 부재에 입사된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내면 반사시킨 후에 전방을 향해 출사시키는 제2 광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 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각 출사 소자는, 쐐기 형상의 연직 단면 형상이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KR1020160048063A 2015-04-22 2016-04-20 차량용 등기구 KR201601259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87902A JP2016207470A (ja) 2015-04-22 2015-04-22 車両用灯具
JPJP-P-2015-087902 2015-04-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902A true KR20160125902A (ko) 2016-11-01

Family

ID=57147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8063A KR20160125902A (ko) 2015-04-22 2016-04-20 차량용 등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60312972A1 (ko)
JP (1) JP2016207470A (ko)
KR (1) KR2016012590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10071B (zh) 2016-06-10 2020-03-20 古泽洋将 对水生生物进行引导的方法以及对水生生物进行引导的系统
CN106594629A (zh) * 2017-01-23 2017-04-26 上海小糸车灯有限公司 一种led车灯后灯的制动灯/尾灯光学结构
TWM558200U (zh) * 2017-11-01 2018-04-11 Depo Auto Parts Ind Co Ltd 光學元件及汽車車燈
CN109973927B (zh) * 2018-12-28 2024-03-22 华域视觉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矩阵式远光模组及其聚光器
JP7339013B2 (ja) * 2019-04-01 2023-09-05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3111A (ja) 2004-01-13 2005-07-28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2827A (en) * 1996-03-01 1997-12-02 Ford Motor Company Tail lamp for an automotive vehicle using an elongated hyperbolic cylinder
US5779341A (en) * 1996-03-01 1998-07-14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Reduced package depth low-profile lamp with smoothly shaped lenses
US6547423B2 (en) * 2000-12-22 2003-04-15 Koninklijke Phillips Electronics N.V. LED collimation optics with improved performance and reduced size
US20080310028A1 (en) * 2007-06-18 2008-12-18 Jeyachandrabose Chinniah Near field lens for a light assembly
JP5441801B2 (ja) * 2010-04-12 2014-03-1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JP5626060B2 (ja) * 2011-03-23 2014-11-19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灯具
CN103574500A (zh) * 2012-07-23 2014-02-12 黄国进 全反射集光透镜
JP2014060041A (ja) * 2012-09-18 2014-04-03 Ichikoh Ind Ltd 車両用灯具
US9476557B2 (en) * 2013-01-08 2016-10-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ow profile highly efficient vehicular LED modules and headlamp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3111A (ja) 2004-01-13 2005-07-28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207470A (ja) 2016-12-08
US20160312972A1 (en) 2016-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50048B2 (ja) 車両用灯具
KR20160125902A (ko) 차량용 등기구
JP6180527B2 (ja) ヘッドライト用照明装置
US10036526B2 (en) Light guiding lens and vehicle lighting unit
JP6381113B2 (ja) 車両用灯具
JP6114025B2 (ja) 車両用灯具
JP2015201278A (ja) 車両用灯具
US9458986B2 (en) Lighting unit
US20100103694A1 (en) Light guide array
JP5903279B2 (ja) 車両用灯具
JP2014089941A (ja) 車両用灯具
JP6278510B2 (ja) 車両用灯具
JP4290607B2 (ja) 車両用灯具
JP7019403B2 (ja) 車両用灯具
JP2015049977A (ja) 車両用灯具
JP2014211983A (ja) 車両用灯具の灯具ユニット
JP2016006729A (ja) 車両用灯具
JP6901354B2 (ja) 車両用灯具
WO2014103743A1 (ja) 車両用灯具
JP6498474B2 (ja) 車両用灯具
JP6742228B2 (ja) 灯具
JP6082264B2 (ja) 導光レンズ及び灯具
US11835193B2 (en) Lighting tool for vehicle
JP2016029606A (ja) 車両用灯具
JP2014170630A (ja) 車両用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