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3569A -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통 크레인 - Google Patents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통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3569A
KR20160123569A KR1020150053761A KR20150053761A KR20160123569A KR 20160123569 A KR20160123569 A KR 20160123569A KR 1020150053761 A KR1020150053761 A KR 1020150053761A KR 20150053761 A KR20150053761 A KR 20150053761A KR 20160123569 A KR20160123569 A KR 20160123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over
key
measuring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3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1536B1 (ko
Inventor
김강산
Original Assignee
(유)태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태상 filed Critical (유)태상
Priority to KR1020150053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536B1/ko
Publication of KR20160123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3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3/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and intended primarily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loose materials; Grabs
    • B66C3/04Tine gra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의 하부에 설치하는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양측에 형성하여 철강제품을 집기 위해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작동하는 통스(12)와; 상기 통스(12)의 중간 상부에 형성하되 상부에 삽입홈(14)을 구비하는 통키 삽입부(13)와; 상기 삽입홈(14)의 내부에 삽입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의 중앙 하부에 형성하는 통키(15)로 이루어지는 통 크레인(10)에 있어서, 상기 통키 삽입부(13)의 일측에 형성하여 상기 통키(15)의 회전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제1확인부재(100)와; 상기 통키 삽입부(13)의 타측에 형성하여 상기 통키(15)의 회전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제2확인부재(2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확인부재(100)는 상기 삽입홈(14)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하도록 형성하는 제1관통공(110)과; 상기 제1관통공(110)의 내측에 결합하되 중앙에 제1통공(121)을 구비하는 제1커버(120)와; 상기 제1관통공(110)의 외측에 결합하되 중앙에 제2통공(131)을 구비하는 제2커버(130)와; 상기 제1관통공(110)의 내부에 삽입하되 중간에 걸림부(141)를 형성하고 후방에 상기 제2통공(131)을 관통할 수 있도록 측정바(142)를 구비하며 전방에 상기 제1통공(121)을 관통할 수 있도록 자성체(143)를 마련하는 구동축(140)과; 상기 구동축(140)의 외경에 삽입하여 상기 제1커버(120)와 걸림부(141)의 사이에 설치하는 탄성체(150)와; 상기 통키 삽입부(13)의 일측에 형성하여 상기 측정바(142)의 근접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160)로 구성하고, 상기 제2확인부재(200)는 상기 삽입홈(14)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하도록 형성하는 제2관통공(210)과; 상기 제2관통공(210)의 내측에 결합하되 중앙에 제3통공(221)을 구비하는 제3커버(220)와; 상기 제2관통공(210)의 외측에 결합하되 중앙에 제4통공(231)을 구비하는 제4커버(230)와; 상기 제2관통공(210)의 내부 일측에 형성하는 회전기어(240)와; 상기 제2관통공(210)의 내부에 삽입하여 상기 회전기어(240)와 맞물리도록 형성하되 전방에 밀착돌기(251)를 형성하고 상기 밀착돌기(251)의 후방에 지지턱(252)을 구비하며 중간에 걸림턱(253)을 형성하고 후방에 상기 제4통공(231)을 관통할 수 있도록 측정축(254)를 구비하는 이동기어(250)와; 상기 측정축(254)의 외경에 삽입하여 상기 제4커버(230)와 걸림턱(253)의 사이에 설치하는 탄성체(260)와; 상기 통키 삽입부(13)의 타측에 형성하여 상기 측정축(254)의 근접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270)로 구성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통 크레인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통키의 정확한 회전위치를 확인하여 오작동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통키 삽입부의 내부에 삽입한 통키의 정확한 잠금 또는 해제상태를 확인하여 작동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통키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통 크레인{Crane tube capable of preventing a malfunction}
본 발명은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통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 크레인의 잠금 또는 해제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하여 오작동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통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 크레인은 제철소에서 생산되는 철강제품(슬래브 또는 코일)을 들어올린 후 지정된 장소로 운반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이러한 통 크레인(1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레인의 하부에 설치하는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양측에 형성하여 철강제품을 집기 위해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작동하는 통스(12)와; 상기 통스(12)의 중간 상부에 형성하는 통키 삽입부(13)와; 상기 본체(11)의 중앙 하부에 상기 통키 삽입부(13)의 내부에 삽입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통키(15)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통키(15)는 상기 통키 삽입부(13)의 중간 내측에 형성한 삽입홈(14)에 삽입한 상태에서 회전방향에 따라서 통 크레인(10)의 잠금 또는 해제상태를 조절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작업자가 통키의 정확한 회전위치를 확인할 수 없으므로 오작동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특히 종래에는 통키 삽입부의 내부에 삽입한 통키의 정확한 잠금 또는 해제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없으므로 작업효율을 저하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08136호(2000.12.15.)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18122호(2001.03.15.)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02678호(2003.03.19.)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43415호(2004.02.27.) 한국등록특허 제10-1298528호(2013.08.2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통키의 회전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하여 오작동 및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통 크레인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통키의 표면에 맞닿기 위해서 내측으로 이동함은 물론 통키의 표면에 맞닿아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통기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통 크레인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통 크레인은,
크레인의 하부에 설치하는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양측에 형성하여 철강제품을 집기 위해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작동하는 통스(12)와; 상기 통스(12)의 중간 상부에 형성하되 상부에 삽입홈(14)을 구비하는 통키 삽입부(13)와; 상기 삽입홈(14)의 내부에 삽입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의 중앙 하부에 형성하는 통키(15)로 이루어지는 통 크레인(10)에 있어서,
상기 통키 삽입부(13)의 일측에 형성하여 상기 통키(15)의 회전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제1확인부재(100)와; 상기 통키 삽입부(13)의 타측에 형성하여 상기 통키(15)의 회전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제2확인부재(2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확인부재(100)는 상기 삽입홈(14)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하도록 형성하는 제1관통공(110)과; 상기 제1관통공(110)의 내측에 결합하되 중앙에 제1통공(121)을 구비하는 제1커버(120)와; 상기 제1관통공(110)의 외측에 결합하되 중앙에 제2통공(131)을 구비하는 제2커버(130)와; 상기 제1관통공(110)의 내부에 삽입하되 중간에 걸림부(141)를 형성하고 후방에 상기 제2통공(131)을 관통할 수 있도록 측정바(142)를 구비하며 전방에 상기 제1통공(121)을 관통할 수 있도록 자성체(143)를 마련하는 구동축(140)과; 상기 구동축(140)의 외경에 삽입하여 상기 제1커버(120)와 걸림부(141)의 사이에 설치하는 탄성체(150)와; 상기 통키 삽입부(13)의 일측에 형성하여 상기 측정바(142)의 근접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160)로 구성하고,
상기 제2확인부재(200)는 상기 삽입홈(14)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하도록 형성하는 제2관통공(210)과; 상기 제2관통공(210)의 내측에 결합하되 중앙에 제3통공(221)을 구비하는 제3커버(220)와; 상기 제2관통공(210)의 외측에 결합하되 중앙에 제4통공(231)을 구비하는 제4커버(230)와; 상기 제2관통공(210)의 내부 일측에 형성하는 회전기어(240)와; 상기 제2관통공(210)의 내부에 삽입하여 상기 회전기어(240)와 맞물리도록 형성하되 전방에 밀착돌기(251)를 형성하고 상기 밀착돌기(251)의 후방에 지지턱(252)을 구비하며 중간에 걸림턱(253)을 형성하고 후방에 상기 제4통공(231)을 관통할 수 있도록 측정축(254)를 구비하는 이동기어(250)와; 상기 측정축(254)의 외경에 삽입하여 상기 제4커버(230)와 걸림턱(253)의 사이에 설치하는 탄성체(260)와; 상기 통키 삽입부(13)의 타측에 형성하여 상기 측정축(254)의 근접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270)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통키의 정확한 회전위치를 확인하여 오작동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통키 삽입부의 내부에 삽입한 통키의 정확한 잠금 또는 해제상태를 확인하여 작동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통키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통 크레인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주요부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주요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통 크레인의 적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주요부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주요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통 크레인의 적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크레인의 하부에 설치하는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양측에 형성하여 철강제품을 집기 위해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작동하는 통스(12)와; 상기 통스(12)의 중간 상부에 형성하되 상부에 삽입홈(14)을 구비하는 통키 삽입부(13)와; 상기 삽입홈(14)의 내부에 삽입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의 중앙 하부에 형성하는 통키(15)로 이루어지는 통 크레인(10)에 있어서,
상기 통키 삽입부(13)의 일측에 형성하여 상기 통키(15)의 회전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제1확인부재(100)와; 상기 통키 삽입부(13)의 타측에 형성하여 상기 통키(15)의 회전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제2확인부재(2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확인부재(100)는 상기 삽입홈(14)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하도록 형성하는 제1관통공(110)과; 상기 제1관통공(110)의 내측에 결합하되 중앙에 제1통공(121)을 구비하는 제1커버(120)와; 상기 제1관통공(110)의 외측에 결합하되 중앙에 제2통공(131)을 구비하는 제2커버(130)와; 상기 제1관통공(110)의 내부에 삽입하되 중간에 걸림부(141)를 형성하고 후방에 상기 제2통공(131)을 관통할 수 있도록 측정바(142)를 구비하며 전방에 상기 제1통공(121)을 관통할 수 있도록 자성체(143)를 마련하는 구동축(140)과; 상기 구동축(140)의 외경에 삽입하여 상기 제1커버(120)와 걸림부(141)의 사이에 설치하는 탄성체(150)와; 상기 통키 삽입부(13)의 일측에 형성하여 상기 측정바(142)의 근접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160)로 구성하고,
상기 제2확인부재(200)는 상기 삽입홈(14)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하도록 형성하는 제2관통공(210)과; 상기 제2관통공(210)의 내측에 결합하되 중앙에 제3통공(221)을 구비하는 제3커버(220)와; 상기 제2관통공(210)의 외측에 결합하되 중앙에 제4통공(231)을 구비하는 제4커버(230)와; 상기 제2관통공(210)의 내부 일측에 형성하는 회전기어(240)와; 상기 제2관통공(210)의 내부에 삽입하여 상기 회전기어(240)와 맞물리도록 형성하되 전방에 밀착돌기(251)를 형성하고 상기 밀착돌기(251)의 후방에 지지턱(252)을 구비하며 중간에 걸림턱(253)을 형성하고 후방에 상기 제4통공(231)을 관통할 수 있도록 측정축(254)를 구비하는 이동기어(250)와; 상기 측정축(254)의 외경에 삽입하여 상기 제4커버(230)와 걸림턱(253)의 사이에 설치하는 탄성체(260)와; 상기 통키 삽입부(13)의 타측에 형성하여 상기 측정축(254)의 근접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270)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통스(12)의 작동상태에 따라서 상기 통키(15)가 삽입홈(14)의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잠금 또는 해지할 수 있는 상세한 구조 및 작동원리는 당업계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는 기술이므로 상세한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특히 상기 제1확인부재(100)는 상기 통키 삽입부(13)의 일측에 형성하여 금속재질인 상기 통키(15)의 표면으로 달라붙거나 떨어지는 위치에 따라서 상기 통키(15)의 회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관통공(110)은 상기 측정바(142)가 내부에 삽입하여 내측 및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여유공간을 확보한다.
또한, 상기 제1커버(120)는 상기 제1관통공(110)의 내측에 결합하여 상기 측정바(142)의 유지보수 및 교환시 쉽게 탈착할 수 있음은 물론 일측면에 상기 탄성체(150)가 맞닿은 상태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통공(121)은 상기 구동축(140) 및 자성체(143)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상기 통키(15)의 표면에 달라붙거나 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때 상기 제1통공(121)의 규격(지름)은 상기 구동축(140) 및 자성체(143)가 간섭업이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제2커버(130)는 상기 제1관통공(110)의 외측에 결합하여 상기 측정바(142) 및 탄성체(150)의 유지보수 및 교환시 쉽게 탈착할 수 있음은 물론 일측면에 상기 걸림부(141)가 맞닿아 더 이상 외측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제2통공(131)은 상기 측정바(142)가 통과할 수 있도록 일정한 규격(지름)을 갖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140)은 상기 통키(15)의 회전위치에 따라서 상기 자성체(143)가 내측으로 이동할 경우 동시에 상기 측정바(142)를 이동시킨다.
특히 상기 걸림부(141)는 평소에 상기 탄성체(150)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제2커버(130)와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측정바(142)가 외측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때 상기 측정바(142)는 상기 구동축(140) 및 자성체(143)의 이동위치에 따라서 동시에 이동하면서 상기 센서(160)가 근접하는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자성체(143)는 자력을 이용하여 금속재질인 상기 통키(15)의 회전위치에 따라서 표면으로 달라붙을 수 있도록 유도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구동축(140) 및 측정바(14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성체(143)에 대한 자력의 세기는 상기 통기(15)의 크기 및 상기 구동축(140) 및 측정바(142)를 이동시킬 수 있다.설치환경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탄성체(150)는 평소에 상기 구동축(140) 및 측정바(142)를 외측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통키(15)가 자성체(143)와 근접한 위치로 회전하면 상기 자성체(143)와 걸림부(141)가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커버(120)와 걸림부(141)의 사이에 압착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체(150)는 다양한 형태를 갖는 스프링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사용 및 취급이 용이한 압축스프링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상기 센서(160)는 상기 측정바(142)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통기(15)의 회전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160)는 리미트 센서 등과 같은 접촉식 또는 근접센서 등과 같은 비접촉식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확인부재(1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통키(15)가 상기 자성체(143)의 근접위치로 회전하면 상기 자성체(143)가 상기 통키(15)의 표면에 달라붙게 되고 동시에 상기 구동축(140) 및 측정바(142)가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센서(160)가 상기 측정바(142)를 감지할 수 없으므로 상기 통키(15)의 회전위치(잠금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확인부재(200)는 상기 통키 삽입부(13)의 타측에 형성하여 회전하는 통키(15)의 표면과 맞닿을 경우 이동하는 위치에 따라서 상기 통키(15)의 회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관통공(210)은 상기 이동기어(250)가 내부에 삽입하여 내측 및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여유공간을 확보한다.
또한, 상기 제3커버(220)는 상기 제2관통공(210)의 내측에 결합하여 상기 이동기어(250)의 유지보수 및 교환시 쉽게 탈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통공(221)은 상기 밀착돌기(251)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상기 통키(15)의 표면에 맞닿을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때 상기 제3통공(221)의 규격(지름)은 상기 밀착돌기(251)가 간섭업이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제4커버(230)는 상기 제2관통공(210)의 외측에 결합하여 상기 이동기어(250) 및 탄성체(260)의 유지보수 및 교환시 쉽게 탈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4통공(231)은 상기 측정축(254)이 통과할 수 있도록 일정한 규격(지름)을 갖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기어(240)는 상기 이동기어(250)와 맞물린 상태로 상기 이동기어(250)가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때 상기 회전기어(240) 및 이동기어(250)는 래크와 피니언 기어를 적용하였다.
또한, 상기 밀착돌기(251)는 회전하는 통키(15)의 표면에 맞닿아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결과적으로 상기 측정축(254)을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지지턱(252)은 상기 제3커버(220)의 일측면에 맞닿아 상기 밀착돌기(251)가 상기 제3통공(221)을 통과하여 더 이상 내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한다.
아울러 상기 걸림턱(253)은 일측면에 상기 탄성체(260)와 맞닿은 상태로 탄성력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정축(254)은 상기 밀착돌기(251) 및 이동기어(250)의 이동위치에 따라서 동시에 이동하면서 상기 센서(270)가 근접하는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특히 상기 탄성체(260)는 평소에 상기 밀착돌기(251) 및 이동기어(250)를 내측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통키(15)가 회전하면서 상기 밀착돌기(251)와 맞닿을 경우 상기 이동기어(250)가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4커버(230)와 걸림턱(253)의 사이에 압착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체(260)는 다양한 형태를 갖는 스프링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사용 및 취급이 용이한 압축스프링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상기 센서(270)는 상기 측정축(254)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통기(15)의 회전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270)는 리미트 센서 등과 같은 접촉식 또는 근접센서 등과 같은 비접촉식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확인부재(2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통키(15)가 회전하면서 상기 밀착돌기(251)를 외측으로 이동시키면 동시에 상기 이동기어(250) 및 측정축(254)이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센서(270)가 상기 측정축(254)을 감지하여 상기 통키(15)의 회전위치(잠금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 통 크레인
11: 본체 12: 통스
13: 통키 삽입부 14: 삽입홈
15: 통키
100: 제1확인부재
110: 제1관통공 120: 제1커버
121: 제1통공 130: 제2커버
131: 제2통공 140: 구동축
141: 걸림부 142: 측정바
150: 탄성체 160: 센서
200: 제2확인부재
210: 제2관통공 220: 제3커버
221: 제3통공 230: 제4커버
231: 제4통공 240: 회전기어
250: 이동기어 251: 밀착돌기
252: 지지턱 253: 걸림턱
254: 측정축 260: 탄성체
270: 센서

Claims (1)

  1. 크레인의 하부에 설치하는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양측에 형성하여 철강제품을 집기 위해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작동하는 통스(12)와; 상기 통스(12)의 중간 상부에 형성하되 상부에 삽입홈(14)을 구비하는 통키 삽입부(13)와; 상기 삽입홈(14)의 내부에 삽입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의 중앙 하부에 형성하는 통키(15)로 이루어지는 통 크레인(10)에 있어서,
    상기 통키 삽입부(13)의 일측에 형성하여 상기 통키(15)의 회전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제1확인부재(100)와; 상기 통키 삽입부(13)의 타측에 형성하여 상기 통키(15)의 회전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제2확인부재(2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확인부재(100)는 상기 삽입홈(14)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하도록 형성하는 제1관통공(110)과; 상기 제1관통공(110)의 내측에 결합하되 중앙에 제1통공(121)을 구비하는 제1커버(120)와; 상기 제1관통공(110)의 외측에 결합하되 중앙에 제2통공(131)을 구비하는 제2커버(130)와; 상기 제1관통공(110)의 내부에 삽입하되 중간에 걸림부(141)를 형성하고 후방에 상기 제2통공(131)을 관통할 수 있도록 측정바(142)를 구비하며 전방에 상기 제1통공(121)을 관통할 수 있도록 자성체(143)를 마련하는 구동축(140)과; 상기 구동축(140)의 외경에 삽입하여 상기 제1커버(120)와 걸림부(141)의 사이에 설치하는 탄성체(150)와; 상기 통키 삽입부(13)의 일측에 형성하여 상기 측정바(142)의 근접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160)로 구성하고,
    상기 제2확인부재(200)는 상기 삽입홈(14)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하도록 형성하는 제2관통공(210)과; 상기 제2관통공(210)의 내측에 결합하되 중앙에 제3통공(221)을 구비하는 제3커버(220)와; 상기 제2관통공(210)의 외측에 결합하되 중앙에 제4통공(231)을 구비하는 제4커버(230)와; 상기 제2관통공(210)의 내부 일측에 형성하는 회전기어(240)와; 상기 제2관통공(210)의 내부에 삽입하여 상기 회전기어(240)와 맞물리도록 형성하되 전방에 밀착돌기(251)를 형성하고 상기 밀착돌기(251)의 후방에 지지턱(252)을 구비하며 중간에 걸림턱(253)을 형성하고 후방에 상기 제4통공(231)을 관통할 수 있도록 측정축(254)를 구비하는 이동기어(250)와; 상기 측정축(254)의 외경에 삽입하여 상기 제4커버(230)와 걸림턱(253)의 사이에 설치하는 탄성체(260)와; 상기 통키 삽입부(13)의 타측에 형성하여 상기 측정축(254)의 근접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270)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통 크레인.
KR1020150053761A 2015-04-16 2015-04-16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통 크레인 KR101681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761A KR101681536B1 (ko) 2015-04-16 2015-04-16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통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761A KR101681536B1 (ko) 2015-04-16 2015-04-16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통 크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569A true KR20160123569A (ko) 2016-10-26
KR101681536B1 KR101681536B1 (ko) 2016-12-02

Family

ID=57251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3761A KR101681536B1 (ko) 2015-04-16 2015-04-16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통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153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3890A (ja) * 1996-06-05 1997-12-16 Sumitomo Constr Mach Co Ltd クレーンのシリンダストローク検出装置
KR200208136Y1 (ko) 2000-07-26 2000-12-15 주식회사한성중공업 천장 크레인의 통키 안전장치
KR200218122Y1 (ko) 2000-10-19 2001-03-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통스크레인의 통키잠김 감지장치
KR200302678Y1 (ko) 1998-12-01 2003-03-19 주식회사 포스코 통스크레인의 통키 홀더장치
KR200343415Y1 (ko) 2003-12-12 2004-02-27 주식회사 포스코 통키 및 하부지지대 분리형 통스 크레인
KR200307877Y1 (ko) * 1998-11-04 2004-09-07 주식회사 포스코 오토픽업크레인의통키회전사이클감지장치
KR101074160B1 (ko) * 2011-04-01 2011-10-17 (주)탬코 통스크레인의 통키 제어장치
KR101298528B1 (ko) 2011-07-08 2013-08-22 주식회사 포스코 통키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3890A (ja) * 1996-06-05 1997-12-16 Sumitomo Constr Mach Co Ltd クレーンのシリンダストローク検出装置
KR200307877Y1 (ko) * 1998-11-04 2004-09-07 주식회사 포스코 오토픽업크레인의통키회전사이클감지장치
KR200302678Y1 (ko) 1998-12-01 2003-03-19 주식회사 포스코 통스크레인의 통키 홀더장치
KR200208136Y1 (ko) 2000-07-26 2000-12-15 주식회사한성중공업 천장 크레인의 통키 안전장치
KR200218122Y1 (ko) 2000-10-19 2001-03-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통스크레인의 통키잠김 감지장치
KR200343415Y1 (ko) 2003-12-12 2004-02-27 주식회사 포스코 통키 및 하부지지대 분리형 통스 크레인
KR101074160B1 (ko) * 2011-04-01 2011-10-17 (주)탬코 통스크레인의 통키 제어장치
KR101298528B1 (ko) 2011-07-08 2013-08-22 주식회사 포스코 통키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1536B1 (ko) 2016-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347601B (es) Sistema de control y posicionamiento para el intercambio de elementos de revestimiento de desgaste en una pared sometida a desgaste.
JP2008143645A5 (ko)
CN104909259B (zh) 一种发动机缸盖吊具
CA2638675A1 (en) Taper lock system
KR101681536B1 (ko)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통 크레인
KR101331094B1 (ko) 선회기구 부착 스크라이브 헤드
KR101798482B1 (ko) 통키의 역회전 방지장치를 구비한 통스크레인
US9475679B2 (en) Chain hoist
JP2010173792A (ja) シャックル
CN205009234U (zh) 管型材上料专用机械手
JP2007308279A (ja) コイルリフターの旋回装置
CN203500257U (zh) 装载机轮边支承轴
KR101784771B1 (ko) 보강 장치
CN104442036A (zh) 一种印辊清洁器
KR200480043Y1 (ko) 선박용 해치 조립체
JP2009241198A (ja) 工作機械用の旋回式パレットチェンジャー
CN206066883U (zh) 用于模具的安全锁制结构
CN205271550U (zh) 一种数控机床用刀库
AU2020252997B2 (en) Operating device
KR101736581B1 (ko) 프로브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랜스
CN108674524A (zh) 一种位置可调节的agv防撞避障安全保护装置
KR20170142021A (ko) 안전성능 향상 및 잠금 부하를 저감시킨 통키 잠금 구조물
KR100879355B1 (ko) 통 크레인용 슬라브 파지매수 확인장치
CN218863549U (zh) 中心回转接头和工程机械
KR102306169B1 (ko) 나침판을 이용한 크레인용 방향표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