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8122Y1 - 통스크레인의 통키잠김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통스크레인의 통키잠김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8122Y1
KR200218122Y1 KR2020000029110U KR20000029110U KR200218122Y1 KR 200218122 Y1 KR200218122 Y1 KR 200218122Y1 KR 2020000029110 U KR2020000029110 U KR 2020000029110U KR 20000029110 U KR20000029110 U KR 20000029110U KR 200218122 Y1 KR200218122 Y1 KR 2002181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tong
groove
holder
tong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91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동
김일규
오일환
서동현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91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81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81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8122Y1/ko

Links

Landscapes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스크레인에 설치되어 통키의 잠김상태을 감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통키의 잠김작동시 키홈에 안전하게 삽입되어 잠기지 않아 작업중 통키가 키홈에서 빠지는 설비사고와 안전사고를 예방할수 있도록 키홈내로의 삽입확인 및 회전, 잠김상태를 육안으로 간편하게 확인할수 있는 통스 크레인의 통키잠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통키(10)의 하단부가 탄력적으로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홀더(32)를 갖추고, 상기 홀더(32)가 내부공간에 승하강가능하게 조립되는 홈베이스(31)를 갖추어 상기 통키(10)가 삽입되는 본체부(30); 상기 통키(10)와 더불어 회전되는 홀더의 회전력에 의해서 작동되는 제 1,2회전체(41)(42)를 갖추고, 상기 제 2회전체(42)에 연결된 감지바(47)의 일단을 검지하는 센서부재(49)를 상기 홈베이스(31)의 외부면에 복수개 장착하여 상기 통키(10)의 회전상태를 감지하는 검출부(40) 및상기 통키(10)의 잠김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수 있도록 상기 센서부재(49)와 전기적으로 연결구성되는 디스플레이부(50);를 포함하는 통스크레인의 통키잠김 감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통스크레인의 통키잠김 감지장치{device for detecting the tong key lock in tongs crane}
본 고안은 통스크레인에 설치되어 통키의 잠김상태을 감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통키의 잠김작동시 키홈에 안전하게 삽입되어 잠기지 않아 작업중 통키가 키홈에서 빠지는 설비사고와 안전사고를 예방할수 있도록 키홈내로의 삽입확인 및 회전, 잠김상태를 육안으로 간편하게 확인할수 있는 통스 크레인의 통키잠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스크레인(tons crane)은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판상의 슬라브(slab)를 집을 있도록 마주하여 벌림, 오므림작동되는 아암(3)과 이에 연결되는 상,하부링크(4a)(4b)를 갖는 통스(5)를 호이스트장치(미도시)에 매달아 중량물을 찝어 대차상에 상차하여 이송하는 작업과 상차된 슬라브를 들어올리는 하차작업을 수행하면서 후공정에 소재를 장입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통스(5)는 도 5와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부링크(4a)단부의 케이싱(6)하단에 통키(10)가 장착되고, 하부링크(4b)에는 상기 통키(10)가 삽입되어 걸리는 키이홈(11)이 장착됨으로서 상기 통키(10)가 커버(12)로서 삽입구(12a)를 형성한 키홈(11)내로 삽입되어 통스(5)를 잠그고 있다.
즉, 중량물인 슬라브를 집으려고 통스(5)의 아암하단을 슬라브표면에 안착하여 권하하면, 상부링크(4a)에 연결된 통키(10)가 키홈바닥면에 접촉하고, 상기 통키(10)는 케이싱(6)내의 하부컴(6b)에서 분리되면서 상부로 밀려 올라가 상부컴(6a)의 곡선부를 따라 일방향 회전하게 됨으로서, 상기 통키(10)가 삽입홈(12a)과 동일한 방향으로 전환되어 잠김상태가 해제된다.
이때, 상기 통스(5)의 상부양측의 쉐이브(미도시) 핀측면에 취부된 리미스트위치의 접점을 쉐이브핀이 터치하면, 키스트로크 버져가 취명하고, 작업자는 버저의 취명상태로 통키의 잠김과 풀림을 확인하여 호이스트를 권상하면, 통스의 아암(3)이 오므라지면서 슬라브를 찝게 되고, 키스토로크버져는 소명된다.
연속하여 목표지점에 통스를 권하하여 슬라브를 안착하면, 상기 키홈(11)으로부터 분리되었던 통키(10)가 삽입홈(12a)으로 삽입된 다음, 상기 통키(10)의 하단부가 키홈(11)바닥면에 접촉하면, 케이싱(6)의 하부컴(6b)으로 분리된 통키(10)가 상부로 올라가 상부컴(6a)의 곡선부를 따라 일방향 회전되면서 상기 삽입홈(12a)과 열십자로 교차하도록 상기 통키(10)가 90°회전되어 상기 키이홈(11)에 통키(10)가 걸리어 잠김되는 것이다.
이때, 리미트스위치의 레버를 쉐이브핀이 접촉하여 접점을 변환시켜 키스트로트버져가 취명하고, 버져의 취명만으로 통키의 회전 및 잠김상태를 확인하고, 호이스트를 동작하여 권상하면 통키(10)가 안전하게 잠김상태를 유지하여 다음작업을 수행할수 있다.
그러나, 상기 슬라브가 적재되는 베드의 수평상태가 불량한 장소에서 슬라브를 권하하여 통키(10)를 잠그면, 쉐이브핀 측면의 리미트스위치에 연결된 키스트로크버져가 취명하여도 통키(10)가 키홈(11)에 삽입되지 않고 커버(12)와 접촉하며, 통키(10)가 케이싱(6)내에서 상승하여 상부컴(6a)의 곡선부를 따라 회전하지 않고, 스트로크버져가 취명하여 통스를 권상하여도 통키(10)가 키이홈(11)에 잠기지 않는다.
이에 따라 호이스트를 반복하여 권상, 권하하여 통키(10)를 키이홈(11)에 잠그려고 할때, 무리한 힘이 작용하여 상기 통키(10)가 절손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통키(10)가 키이홈(11)에 삽입되어도 안전하게 회전되지 않아 통키(10)의 체결핀이 케이싱(6)내의 하부컴(6b)곡선부 상단에 체결된 상태에서 크레인주행시나 횡행 및 호이스트작동중 상기 체결핀이 하부컴(6b)의 곡선부에서 미끄러져 잠금방향의 역방향으로 상기 통키(10)가 회전하여 키이홈(11)에서 이탈됨으로서 통스의 아암이 낙하하는 사고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통스의 상,하부링크(4a)(4b)가 변형되어 통스를 잠글수 없어 전,후공정의 물류흐름을 원할히 공급하지 못해 생산성이 저하되고, 주변설비의 파손을 유발하는 한편, 복구작업시 안전사고의 발생우려가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그 목적은 키이홈에 삽입되어 잠기는 통키의 잠김상태 및 그 회전상태를 육안으로 간편하게 확인하여 이송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수 있는 통스크레인의 통키잠김 감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통스크레인의 통키잠김 감지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통스크레인의 통키잠김 감지장치를 도시한 조립도,
도 3(a)(b)(c)(d)는 본 고안에 따른 통스크레인의 통키잠김 감지장치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4는 일반적인 통스크레인을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일반적인 통스크레인에 채용되는 통키를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종래기술에 따른 키홈을 도시한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통키 10a ... 체결핀
31 .... 홈베이스 32 .... 홀더
33 .... 커버 33a ... 삽입홈
41 .... 제 1회전체 42 .... 제 2회전체
43 .... 제 1작동축 45 .... 스프링부재
46 .... 제 2작동축 47 .... 감지바
48 .... 센서고정베이스 49 .... 센서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써, 본 고안은,
상,하부컴을 갖는 케이싱의 통키와, 슬라브가 찝혀지는 아암 및 상,하부링크을 크레인에 연결구성하여 중량물인 슬라브를 이송하는 통스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통키의 하단부가 탄력적으로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홀더를 갖추고, 상기 홀더가 내부공간에 승하강가능하게 조립되는 홈베이스를 갖추어 상기 통키가 삽입되는 본체부;
상기 통키와 더불어 회전되는 홀더의 회전력에 의해서 작동되는 제 1,2회전체를 갖추고, 상기 제 2회전체에 연결된 감지바의 일단을 검지하는 센서부재를 상기 홈베이스의 외부면에 복수개 장착하여 상기 통키의 회전상태를 감지하는 검출부 및
상기 통키의 잠김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수 있도록 상기 센서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구성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스크레인의 통키잠김 감지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통스크레인의 통키잠김 감지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통스크레인의 통키잠김 감지장치를 도시한 조립도이다.
본 고안의 통키잠김 감지장치(1)는 도 1과 2에도시한 바와같이, 상,하부컴(6a)(6b)을 갖는 케이싱(6)내에 조립된 통키(10)가 홈베이스(31)에 제대로 삽입되어 걸려 있고, 그 회전각도상태를 간편하게 확인할수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장치(1)는 본체부(30), 검출부(40) 및 디스플레이부(50)로 구성된다.
즉, 상기 통키(10)가 삽입되는 본체부(30)는 하부링크(4b)에 연결구성되는 연결베이스(37)를 일체로 갖는 원통형의 홈베이스(31)와, 상기 통키(10)의 하단부가 탄력적으로 체결되는 홀더(32)를 갖추어 구성하는바, 상기 홈베이스(31)의 개구된 상부는 상기 통키(10)가 삽입될수 있도록 '-'자형 삽입홈(33a)을 중앙에 형성한 커버(33)를 갖추어 구성하며, 상기 홀더(32)는 상기 삽입홈(33a)을 통해 삽입된 통키(10)하단부가 탄력적으로 삽입될수 있도록 반원형 단면의 반원통형구조를 가지며, 그 상단부는 상기 삽입홈(33a)에 걸려 외부이탈이 곤란하도록 외측으로 라운딩처리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32)에 연결된 통키의 회전상태를 감지하는 검출부(40)는 상기 통키(10)와 더불어 회전되는 홀더(3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구동되는 제 1,2회전체(41)(42)를 갖추어 구성하는바, 상기 제 1회전체(41)는 상기 홀더(32)의 하부면 길이중앙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 1작동축(43)에 장착되는 기어부재이며, 그 하부에는 상방으로 탄력지지되는 스프링부재(45)를 갖추며, 상기 제 2회전체(42)는 제 1회전체(41)에 기어물림되고, 제 2작동축(46)에 조립되는 기어부재이며, 상기 커버(33)의 연결공(33b)을 통해 노출되는 제 2작동축(46)상단에는 볼트부재(47a)로서 'ㄴ'자형 단면의 감지바(47)를 갖추어 구성한다.
또한, 상기 원통형 홈베이스(31)의 외부면에는 반원형 고정홈(48a)을 등간격으로 복수개 함몰형성한 센서고정베이스(48)를 장착하고, 상기 각 고정홈(48a)에 센서덮개(49a), 볼트부재(49b)로서 상기 감지바(47)의 하단을 검지하는 센서부재(49)를 장착한다.
이때, 상기 제 1,2작동축(43)(46)에는 각각 베어링부재(41a)(42b)가 장착되며, 상기 홈베이스(41)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제 1작동축(43)의 단부에는 와셔(43b),너트(48c)가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통키(10)의 잠김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수 있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0)는 상기 센서부재(49)와 전기적으로 연결구성되어 점등되는 램프(51)가 복수개 장착되는 지시판넬(52)과 버져릴레이 및 각종 전장품이 회로를 이루며 결선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홈베이스(31)로부터 분리되었던 통키(10)를 잠그려고 중량물인 슬라브를 베드에 안착하면서 호이스트를 권하하여 통스(5)를 하강시키면, 도 3(a)에 도시한 바와같이, 홈베이스(31)의 커버(33)에 형성된 삽입홈(33a)으로 삽입되는 통키(10)가 상기 홈베이스(31)내에 설치되고, 스프링부재(45)에 의해서 상방으로 탄력지지되는 홀더(32)에 탄력적으로 삽입된다.
연속하여 상기 통키(10)가 하강되면, 도 3(b)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 1,2회전체(41)(42)가 기어물림된 상태에서 슬리브(43a)와 제 1회전체(41)가 스프링부재(45)를 압축시키면서 수직하강되고, 상기 회전체(41)에 조립된 제 1작동축(43)의 하단부가 홈베이스(31)의 하부측으로 노출되는 한편, 상기 통키(10)의 체결핀(10a)은 케이싱(6)내의 하부컴(6b)으로부터 분리된 다음 상승하여 상부컴(6a)의 굴곡부에 접촉한다. 이때, 지시판넬(52)의 램프(51)는 상기 통키(10)의 하단부가 삽입홈(33a)과 나란함을 표시하도록 수직하게 점등되는 반면에, 회전상태를 알리는 램프(51)는 점등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통키(10)의 체결핀(10a)이 상부컴(6a)의 굴곡부를 따라 상승되면서 상기 삽입홈(33a)과 직교되어 걸리도록 상기 통키(10)가 90°회전되면, 도 3(c)에 도시한 바와같이, 회전되는 통키(10)에 연결된 홀더(32)와, 이에 연결된 제 1작동축(43)이 일방향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제 1작동축(43)의 제 1회전체(41)와 기어물림된 제 2회전체(42)가 맞물림방향으로 회전구동되기 시작하고, 이에 장착된 제 2작동축(46)도 상기 제 2회전체(42)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제 2작동축(46)의 회전작동은 이에 감지바(47)의 회전을 유발하면서 그 하단부를 홈베이스(31)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센서고정베이스(48)에 복수개 장착된 센서부재(49)와의 접점을 변환시켜 판넬(52)의 램프(51)를 수평하게 점등시킨다. 이때, 상기 통키(10)가 커버(33)의 삽입홈(33a)과 직교하여 걸리도록 90°로 완전히 회전될 때 버져가 취명되며, 상기 램프(51)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확인할수 있도록 그 회전하는 상태에 따라 다르게 판넬(52)상에 점등된다.
또한, 상기 통키(10)의 걸림상태를 확인한 다음에 호이스트를 조작하여 권상하면, 도 3(d)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통키(10)는 커버(33)의 삽입홈(33a)과 직교배치되어 잠김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통키(10)의 체결핀(10a)은 케이싱(6)의 하부컴(6b)의 굴곡부 홈입구 부분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통키(10)의 상승과 더불어 홀더(32), 슬리브(43a) 및 제 1회전체(41)는 스프링부재(4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상승복귀된다.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하면, 통키가 홈베이스내로 삽입되어 회전하는 각도와 통키의 잠금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수 있기 때문에, 통키의 잠김불량으로 발생하는 통키빠짐 및 이로 인한 설비사고, 설비파손을 방지할수 있으며,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4)

  1. 상,하부컴(6a)(6b)을 갖는 케이싱(6)의 통키(10)와, 슬라브가 찝혀지는 아암(3) 및 상,하부링크(4a)(4b)을 크레인에 연결구성하여 중량물인 슬라브를 이송하는 통스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통키(10)의 하단부가 탄력적으로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홀더(32)를 갖추고, 상기 홀더(32)가 내부공간에 승하강가능하게 조립되는 홈베이스(31)를 갖추어 상기 통키(10)가 삽입되는 본체부(30);
    상기 통키(10)와 더불어 회전되는 홀더의 회전력에 의해서 작동되는 제 1,2회전체(41)(42)를 갖추고, 상기 제 2회전체(42)에 연결된 감지바(47)의 일단을 검지하는 센서부재(49)를 상기 홈베이스(31)의 외부면에 복수개 장착하여 상기 통키(10)의 회전상태를 감지하는 검출부(40) 및
    상기 통키(10)의 잠김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수 있도록 상기 센서부재(49)와 전기적으로 연결구성되는 디스플레이부(5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스크레인의 통키잠김 감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베이스(31)의 개구된 상부는 '-'자형 삽입홈(33a)을 중앙에 형성한 커버(33)를 장착하며, 상기 홀더(32)는 상기 삽입홈(33a)을 통해 삽입된 통키(10)하단부가 탄력적으로 삽입될수 있도록 반원형 단면의 반원통형구조를 가지며, 그 상단부는 상기 삽입홈(33a)에 걸려 외부이탈이 곤란하도록 외측으로 라운딩처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스크레인의 통키잠김 감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회전체(41)는 상기 홀더(32)에 설치된 제 1작동축(43)에 장착되는 기어부재이며, 그 하부에는 상방으로 탄력지지되는 스프링부재(45)를 갖추며, 상기 제 2회전체(42)는 제 1회전체(41)에 기어물림되고, 제 2작동축(46)에 조립되는 기어부재이며, 상기 감지바(47)는 커버(33)의 연결공(33b)을 통해 노출되는 제 2작동축(46)상단과 볼트부재(47a)로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스크레인의 통키잠김 감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재(49)는 상기 홈베이스(31)의 외부면에 장착되는 센서고정베이스(48)의 반원형 고정홈(48a)에 센서덮개(49a), 볼트부재(49b)로서 상기 감지바(47)의 하단을 감지하도록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스크레인의 통키잠김 감지장치.
KR2020000029110U 2000-10-19 2000-10-19 통스크레인의 통키잠김 감지장치 KR2002181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110U KR200218122Y1 (ko) 2000-10-19 2000-10-19 통스크레인의 통키잠김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110U KR200218122Y1 (ko) 2000-10-19 2000-10-19 통스크레인의 통키잠김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8122Y1 true KR200218122Y1 (ko) 2001-03-15

Family

ID=73059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9110U KR200218122Y1 (ko) 2000-10-19 2000-10-19 통스크레인의 통키잠김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812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765B1 (ko) * 2002-09-10 2008-11-26 주식회사 포스코 비정상적인 걸림이 발생되지 않는 통스키의 스핀들 핀
KR100875439B1 (ko) 2007-06-08 2008-12-22 윤인중 슬래브통 통키 역방향 회전 제어장치
KR100879348B1 (ko) * 2002-08-02 2009-01-19 주식회사 포스코 통 크레인용 통키 이탈 방지장치
KR20160123569A (ko) 2015-04-16 2016-10-26 (유)태상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통 크레인
KR101798482B1 (ko) * 2015-12-02 2017-11-16 (주)한성중공업 통키의 역회전 방지장치를 구비한 통스크레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348B1 (ko) * 2002-08-02 2009-01-19 주식회사 포스코 통 크레인용 통키 이탈 방지장치
KR100870765B1 (ko) * 2002-09-10 2008-11-26 주식회사 포스코 비정상적인 걸림이 발생되지 않는 통스키의 스핀들 핀
KR100875439B1 (ko) 2007-06-08 2008-12-22 윤인중 슬래브통 통키 역방향 회전 제어장치
KR20160123569A (ko) 2015-04-16 2016-10-26 (유)태상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통 크레인
KR101798482B1 (ko) * 2015-12-02 2017-11-16 (주)한성중공업 통키의 역회전 방지장치를 구비한 통스크레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18122Y1 (ko) 통스크레인의 통키잠김 감지장치
EP0022102B1 (en) A locking device for locking a rotatable shaft against rotation
KR200208136Y1 (ko) 천장 크레인의 통키 안전장치
JP2000355483A (ja) クレーン仕様パワーシャベルのフックセット
JP2010173792A (ja) シャックル
KR0156473B1 (ko) 마이크로 스위치를 이용한 구조물 선회잠금장치
CN210127320U (zh) 一种脱水机
JP3166798U (ja) 吊持金具
CN107109857A (zh) 用于安装在窗、门或诸如此类的扇和固定框之间的配件以及具有这种配件的窗、门或诸如此类
CN206684210U (zh) 一种防篡改的电压传感器
KR200395298Y1 (ko) 후크 안전 장치
CN214780205U (zh) 一种吊具转销位置检测装置
KR102537496B1 (ko) 전자식 리프팅 장치
KR200144271Y1 (ko) 압력솥 뚜껑의 안전개폐장치
CN220325435U (zh) 一种便于维修的驱动装置
CN220932928U (zh) 一种碳排放浓度检测报警装置
CN215249072U (zh) 一种桥式起重机吊钩定位防撞装置
CN213023019U (zh) 一种废气浓度无线监测报警装置
KR200268671Y1 (ko) 디지털 온도조절계 검사용 지그 어셈블리
KR920002356Y1 (ko)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의 안전장치
KR200374402Y1 (ko) 크레인의 방열판 구조
JP2005163393A (ja) 移動型支持台
KR100879348B1 (ko) 통 크레인용 통키 이탈 방지장치
KR0115368Y1 (ko) 스키드로우더 캐노피의 안전걸이 장치
KR0128405Y1 (ko) 천정크레인 통키의 이상동작 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1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