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7496B1 - 전자식 리프팅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식 리프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7496B1
KR102537496B1 KR1020210068185A KR20210068185A KR102537496B1 KR 102537496 B1 KR102537496 B1 KR 102537496B1 KR 1020210068185 A KR1020210068185 A KR 1020210068185A KR 20210068185 A KR20210068185 A KR 20210068185A KR 102537496 B1 KR102537496 B1 KR 102537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unit
upper plate
hole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0244A (ko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씨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씨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씨테크
Priority to KR1020210068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496B1/ko
Publication of KR20220160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리프팅 장치는, 구조물의 체결홀에 체결되어 상기 구조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전자식 리프팅 장치에 있어서, 높이방향으로 승강하는 크레인부, 상부측에 상기 크레인부와 연결되는 연결홀을 구비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측에 형성되며, 상기 구조물의 상부 플레이트 외측면에 접촉되는 접촉지지부 및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 및 상기 접촉지지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승강하고, 상기 체결홀에 삽입된 채, 방사상으로 펼쳐져 상기 구조물의 상부 플레이트 내측면에 접촉되는 위치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조물은, 상부 플레이트가 상기 접촉지지부와 상기 위치이동부 사이에 종속된 채, 상기 크레인부의 승강에 의해 연동되어 리프팅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식 리프팅 장치{Electronic lifting device}
본 발명은 전자식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구조물의 체결홀에 체결되어 상기 구조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전자식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내수 시장 중소형 중공업은 볼트 리프팅 디바이스를 직접 제작하여 로드테스트를 받고 안전 증명서 발급 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리프팅 업무 특성 상 고소작업이 주를 이루고 있기에 상부에 볼트 체결 작업은 애로사항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첫째, 볼트 체결을 위한 인력 및 시간이 소요되며 둘째, 고소작업 장비가 필요하다. 셋째, 볼트 체결을 위한 별도의 작업대가 필요하여, 신속한 리프팅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16325호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물의 체결홀에 체결되되 기존의 볼트/너트 체결 방식이 아닌 전자식 방식으로 구조물을 이동시키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리프팅 장치는, 구조물의 체결홀에 체결되어 상기 구조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전자식 리프팅 장치에 있어서, 높이방향으로 승강하는 크레인부, 상부측에 상기 크레인부와 연결되는 연결홀을 구비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측에 형성되며, 상기 구조물의 상부 플레이트 외측면에 접촉되는 접촉지지부 및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 및 상기 접촉지지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승강하고, 상기 체결홀에 삽입된 채, 방사상으로 펼쳐져 상기 구조물의 상부 플레이트 내측면에 접촉되는 위치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조물은, 상부 플레이트가 상기 접촉지지부와 상기 위치이동부 사이에 종속된 채, 상기 크레인부의 승강에 의해 연동되어 리프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리프팅 장치의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체결홀에 삽입 가능한 제1 위치에서, 방사상으로 펼쳐져 상기 체결홀로의 위치 이동이 제한되는 제2 위치로 변형되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체결홀에 삽입된 채, 상기 제2 위치로 변형되어 상기 접촉지지부와의 사이에 상기 구조물의 상부 플레이트가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접촉지지부를 기준으로 상승하여, 상기 접촉지지부와의 사이에 상기 구조물의 상부 플레이트가 종속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리프팅 장치의 상기 위치이동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원통부, 상기 원통부가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부, 상기 원통부의 하부측에 형성되되, 상기 원통부의 내측으로 은닉되는 제1 위치에서 상기 원통부의 외측으로 펼쳐지는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를 회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원통부는, 하부측 외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은닉홀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은닉홀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구조물의 상부 플레이트 내측면과 접촉되는 걸림접촉부, 상기 걸림접촉부의 일측단에 연결된 채, 회동되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에 연결되되, 상기 걸림접촉부와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원통부의 내측면과 접촉되어 상기 걸림접촉부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는 회동제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리프팅 장치의 상기 회동제한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원통부의 바닥면에 안착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원통부의 내측면과 접촉되는 회동베이스부 및 상기 회동베이스부의 일측면의 중앙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은닉홀에 삽입된 채, 상기 원통부의 외측면과 동일 면에 배치되는 회동배치부를 구비하며, 상기 은닉홀은, 상기 접촉지지부와 상기 걸림부 사이에 상기 구조물의 상부 플레이트가 종속된 경우, 상기 체결홀을 규정하는 상기 구조물의 홀형성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회동배치부는, 상기 접촉지지부와 상기 걸림접촉부 사이에 상기 구조물의 상부 플레이트가 종속된 경우, 상기 홀형성면과 접촉되어 상기 걸림접촉부에 인가된 하측 방향의 외력을 상기 홀형성면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리프팅 장치의 상기 원통부는, 하부측 외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되, 상기 은닉홀의 양측에 배치되는 은닉보조홀을 더 구비하고, 상기 회동제한부는, 상기 회동베이스부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회동배치부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은닉보조홀에 삽입된 채, 상기 원통부의 외측면과 동일 면에 배치되는 보조배치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보조배치부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걸림접촉부에 인가된 하측 방향의 외력에 상기 회동베이스부의 상기 원통부에 대한 위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리프팅 장치의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원통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일 회전방향을 따라 90도 각도 차이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걸림부, 제2 걸림부, 제3 걸림부 및 제4 걸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걸림부, 상기 제2 걸림부, 상기 제3 걸림부 및 상기 제4 걸림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회동베이스부는, 대향하는 모서리가 라운드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거나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호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리프팅 장치는, 상기 접촉지지부에 장착되어, 상기 접촉지지부와 상기 구조물의 상부 플레이트 외측면과의 접촉 여부를 센싱하는 제1 센싱부, 상기 걸림접촉부에 장착되어, 상기 걸림접촉부와 상기 구조물의 상부 플레이트 내측면과의 접촉 여부를 센싱하는 제2 센싱부 및 상기 제1 센싱부 또는 상기 제2 센싱부에 감지된 측정 값에 따라 상기 크레인부, 상기 승강부 또는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싱부에 의해, 상기 접촉지지부의 상기 구조물의 상부 플레이트 외측면과의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걸림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걸림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 이동되면, 상기 걸림부가 승강하도록 상기 승강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2 센싱부에 의해, 상기 걸림접촉부의 상기 구조물의 상부 플레이트 내측면과의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크레인부를 구동하여 상기 구조물을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볼트 체결 공정이 빠져 인력 및 소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고소작업을 위한 추가 크레인 공정이 필요 없으며, 볼트 체결 공정에서 별도 작업대가 필요 없으므로, 경제적 이익과 공사 일정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리프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리프팅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리프팅 장치의 접촉지지부 및 위치이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리프팅 장치의 걸림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리프팅 장치의 위치이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리프팅 장치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리프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리프팅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리프팅 장치(1)는, 구조물(G)의 체결홀(H)에 체결되어 상기 구조물(G)을 이동시키기 위한 일종의 크레인 장치일 수 있다.
상기 구조물(G)은 상부측에 플레이트(P)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부 플레이트(P)에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체결홀(H)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식 리프팅 장치(1)는 크레인부(10), 본체부(20), 접촉지지부(30) 및 위치이동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레인부(10)는, 높이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는, 상부측에 상기 크레인부(10)와 연결되는 연결홀(21)을 구비하고, 내부에 수용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는, 상기 크레인부(10)의 높이방향으로의 승강에 연동되어 승강된다.
상기 본체부(20)는, 상기 접촉지지부(3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2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촉지지부(30)는, 상기 본체부(20)의 하부측에 형성되며, 상기 구조물(G)의 상부 플레이트 외측면(P1)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플레이트(P)의 외측면이란 상면을 의미하며, 상부 플레이트(P)의 내측면이란 하면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위치이동부(40)는, 상기 본체부(20)의 바닥면 및 상기 접촉지지부(30)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20)를 기준으로 승강하고, 상기 체결홀(H)에 삽입된 채, 방사상으로 펼쳐져 상기 구조물(G)의 상부 플레이트 내측면(P2)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방사상으로 펼쳐진 위치이동부(40)는 상기 체결홀(H)의 크기보다 큰 횡단면적을 차지하여, 상기 구조물(G)의 상부 플레이트 내측면(P2)에 걸림으로써, 상기 크레인부(10)의 높이방향으로의 승강에 구조물(G)이 연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위치이동부(40)의 방사상으로의 위치 이동은 전자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참고로, 기존의 리프팅 장치는, 구조물(G)의 체결홀(H)에 삽입된 볼트의 하부측이 너트에 체결되고, 체결된 너트가 상부 플레이트(P)의 내측면에 걸림으로써, 구조물(G)을 리프팅 시킬 수 있었으나, 이는 첫째, 볼트 체결을 위한 인력 및 시간이 소요되며 둘째, 고소작업 장비가 필요하다. 셋째, 볼트 체결을 위한 별도의 작업대가 필요한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상기 구조물(G)은, 상부 플레이트(P)가 상기 접촉지지부(30)와 상기 위치이동부(40) 사이에 종속된 채, 상기 크레인부(10)의 승강에 의해 연동되어 리프팅될 수 있다.
상기 위치이동부(40)는, 상기 체결홀(H)에 삽입 가능한 제1 위치(도 4(a) 참조)에서, 방사상으로 펼쳐져 상기 체결홀(H)로의 위치 이동이 제한되는 제2 위치(도 4(b) 참조)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이동부(40)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체결홀(H)에 삽입된 채, 상기 제2 위치로 변형되어 상기 접촉지지부(30)와의 사이에 상기 구조물(G)의 상부 플레이트(P)가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접촉지지부(30)를 기준으로 상승하여, 상기 접촉지지부(30)와의 사이에 상기 구조물(G)의 상부 플레이트(P)가 종속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리프팅 장치의 접촉지지부 및 위치이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리프팅 장치의 걸림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리프팅 장치(1)의 상기 위치이동부(40)는 원통부(41), 승강부(43), 걸림부(45) 및 구동부(4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원통부(41)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측 외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은닉홀(41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43)는, 상기 원통부(41)가 상기 본체부(20)를 기준으로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45)는, 상기 원통부(41)의 하부측에 형성되되, 상기 원통부(41)의 내측으로 은닉되는 제1 위치에서 상기 원통부(41)의 외측으로 펼쳐지는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45)는 걸림접촉부(451), 회동부(453) 및 회동제한부(45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걸림접촉부(451)는, 상기 은닉홀(41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구조물(G)의 상부 플레이트 내측면(P2)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회동부(453)는, 상기 걸림접촉부(451)의 일측단에 연결된 채, 회동될 수 있다.
상기 회동제한부(455)는, 상기 회동부(453)에 연결되되, 상기 걸림접촉부(451)와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원통부(41)의 내측면과 접촉되어 상기 걸림접촉부(451)의 회동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회동제한부(455)는 회동베이스부(455a) 및 회동배치부(455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동베이스부(455a)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원통부(41)의 바닥면에 안착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원통부(41)의 내측면과 접촉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회동베이스부(455a)는, 상기 걸림접촉부(451)에 인가된 하측 방향의 외력을 상기 원통부(41)로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원통부(41)는 상기 체결홀(H)을 규정하는 상기 구조물(G)의 홀형성면과 맞닿은 상태로 변형이 최소화된 채, 일정 부분의 외력을 상기 홀형성면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회동배치부(455b)는, 상기 회동베이스부(455a)의 일측면의 중앙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은닉홀(411)에 삽입된 채, 상기 원통부(41)의 외측면과 동일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은닉홀(411)은, 상기 접촉지지부(30)와 상기 걸림부(45) 사이에 상기 구조물(G)의 상부 플레이트(P)가 종속된 경우, 상기 체결홀(H)을 규정하는 상기 구조물(G)의 홀형성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동배치부(455b)는, 상기 접촉지지부(30)와 상기 걸림접촉부(451) 사이에 상기 구조물(G)의 상부 플레이트(P)가 종속된 경우, 상기 홀형성면과 접촉되어 상기 걸림접촉부(451)에 인가된 하측 방향의 외력을 상기 홀형성면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배치부(455b)는, 상기 은닉홀(411)의 일부분을 막음으로써, 상기 은닉홀(411)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원통부(41)는, 하부측 외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되, 상기 은닉홀(411)의 양측에 배치되는 은닉보조홀(417)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동제한부(455)는 보조배치부(455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조배치부(455c)는, 상기 회동베이스부(455a)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회동배치부(455b)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은닉보조홀(417)에 삽입된 채, 상기 원통부(41)의 외측면과 동일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배치부(455c)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걸림접촉부(451)에 인가된 하측 방향의 외력에 상기 회동베이스부(455a)의 상기 원통부(41)에 대한 위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배치부(455b)와 동일하게 상기 홀형성면과 접촉되어 상기 걸림접촉부(451)에 인가된 하측 방향의 외력을 상기 홀형성면에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 구동부(47)는, 상기 걸림부(45)를 회동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리프팅 장치의 위치이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리프팅 장치(1)의 위치이동부(40)는 상기 원통부(41)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일 회전방향을 따라 90도 각도 차이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걸림부(45a), 제2 걸림부(45b), 제3 걸림부(45c) 및 제4 걸림부(45d)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걸림부(45a), 상기 제2 걸림부(45b), 상기 제3 걸림부(45c) 및 상기 제4 걸림부(45d)를 구성하는 각각의 회동베이스부(455a)는, 대향하는 모서리가 라운드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거나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호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만약, 회동베이스부의 모서리가 각지도록 형성되어 있다면, 각각의 걸림부의 회동에 이웃한 걸림부의 모서리가 닿아, 파손/손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걸림부의 회동이 제대로 구현되지 않을 수 있으며, 또한 서로 닿지 않도록 작게 형성하는 경우, 걸림접촉부를 제대로 지지하지 못하여 지지력이 약화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회동베이스부(455a)의 크기를 확보함과 동시에 인접한 회동베이스부(455a)와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모서리를 라운드지도록 형성하였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리프팅 장치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리프팅 장치(1)는, 제1 센싱부(50), 제2 센싱부(60) 및 제어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센싱부(50)는, 상기 접촉지지부(30)에 장착되어, 상기 접촉지지부(30)와 상기 구조물(G)의 상부 플레이트 외측면(P1)과의 접촉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상기 제2 센싱부(60)는, 상기 걸림접촉부(451)에 장착되어, 상기 걸림접촉부(451)와 상기 구조물(G)의 상부 플레이트 내측면(P2)과의 접촉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제1 센싱부(50) 또는 상기 제2 센싱부(60)에 감지된 측정 값에 따라 상기 크레인부(10), 상기 승강부(43) 또는 상기 걸림부(45)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제1 센싱부(50)에 의해, 상기 접촉지지부(30)의 상기 구조물(G)의 상부 플레이트 외측면(P1)과의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걸림부(45)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부(47)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걸림부(45)가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본체부(20)가 승강하여, 상기 걸림부(45)가 승강하도록 상기 승강부(43)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승강된 상기 걸림부(45)는 상기 구조물(G)의 상부 플레이트 내측면(P2)에 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P)는 외측면은 상기 접촉지지부(30)와 접촉된 상태이고, 내측면은 상기 걸림부(45)에 접촉된 상태로, 본 발명의 전자식 리프팅 장치(1)에 종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제2 센싱부(60)에 의해, 상기 걸림접촉부(451)의 상기 구조물(G)의 상부 플레이트 내측면(P2)과의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크레인부(10)를 구동하여 상기 구조물(G)을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전자식 리프팅 장치
G: 구조물
P: 상부 플레이트
H: 체결홀
10: 크레인부
20: 본체부
30: 접촉지지부
40: 위치이동부
50: 제1 센싱부
60: 제2 센싱부
70: 제어부

Claims (5)

  1. 구조물의 체결홀에 체결되어 상기 구조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전자식 리프팅 장치에 있어서,
    높이방향으로 승강하는 크레인부;
    상부측에 상기 크레인부와 연결되는 연결홀을 구비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측에 형성되며, 상기 구조물의 상부 플레이트 외측면에 접촉되는 접촉지지부; 및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 및 상기 접촉지지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승강하고, 상기 체결홀에 삽입된 채, 방사상으로 펼쳐져 상기 구조물의 상부 플레이트 내측면에 접촉되는 위치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조물은,
    상부 플레이트가 상기 접촉지지부와 상기 위치이동부 사이에 종속된 채, 상기 크레인부의 승강에 의해 연동되어 리프팅되고,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체결홀에 삽입 가능한 제1 위치에서, 방사상으로 펼쳐져 상기 체결홀로의 위치 이동이 제한되는 제2 위치로 변형되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체결홀에 삽입된 채, 상기 제2 위치로 변형되어 상기 접촉지지부와의 사이에 상기 구조물의 상부 플레이트가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접촉지지부를 기준으로 상승하여, 상기 접촉지지부와의 사이에 상기 구조물의 상부 플레이트가 종속되도록 하며,
    상기 위치이동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원통부,
    상기 원통부가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부,
    상기 원통부의 하부측에 형성되되, 상기 원통부의 내측으로 은닉되는 제1 위치에서 상기 원통부의 외측으로 펼쳐지는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를 회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원통부는,
    하부측 외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은닉홀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은닉홀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구조물의 상부 플레이트 내측면과 접촉되는 걸림접촉부,
    상기 걸림접촉부의 일측단에 연결된 채, 회동되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에 연결되되, 상기 걸림접촉부와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원통부의 내측면과 접촉되어 상기 걸림접촉부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는 회동제한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동제한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원통부의 바닥면에 안착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원통부의 내측면과 접촉되는 회동베이스부 및
    상기 회동베이스부의 일측면의 중앙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은닉홀에 삽입된 채, 상기 원통부의 외측면과 동일 면에 배치되는 회동배치부를 구비하며,
    상기 은닉홀은,
    상기 접촉지지부와 상기 걸림부 사이에 상기 구조물의 상부 플레이트가 종속된 경우, 상기 체결홀을 규정하는 상기 구조물의 홀형성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회동배치부는,
    상기 접촉지지부와 상기 걸림접촉부 사이에 상기 구조물의 상부 플레이트가 종속된 경우, 상기 홀형성면과 접촉되어 상기 걸림접촉부에 인가된 하측 방향의 외력을 상기 홀형성면에 전달하고,
    상기 원통부는,
    하부측 외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되, 상기 은닉홀의 양측에 배치되는 은닉보조홀을 더 구비하고,
    상기 회동제한부는,
    상기 회동베이스부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회동배치부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은닉보조홀에 삽입된 채, 상기 원통부의 외측면과 동일 면에 배치되는 보조배치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보조배치부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걸림접촉부에 인가된 하측 방향의 외력에 상기 회동베이스부의 상기 원통부에 대한 위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원통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일 회전방향을 따라 90도 각도 차이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걸림부, 제2 걸림부, 제3 걸림부 및 제4 걸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걸림부, 상기 제2 걸림부, 상기 제3 걸림부 및 상기 제4 걸림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회동베이스부는,
    대향하는 모서리가 라운드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거나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호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리프팅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지지부에 장착되어, 상기 접촉지지부와 상기 구조물의 상부 플레이트 외측면과의 접촉 여부를 센싱하는 제1 센싱부;
    상기 걸림접촉부에 장착되어, 상기 걸림접촉부와 상기 구조물의 상부 플레이트 내측면과의 접촉 여부를 센싱하는 제2 센싱부; 및
    상기 제1 센싱부 또는 상기 제2 센싱부에 감지된 측정 값에 따라 상기 크레인부, 상기 승강부 또는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싱부에 의해, 상기 접촉지지부의 상기 구조물의 상부 플레이트 외측면과의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걸림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걸림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 이동되면, 상기 걸림부가 승강하도록 상기 승강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2 센싱부에 의해, 상기 걸림접촉부의 상기 구조물의 상부 플레이트 내측면과의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크레인부를 구동하여 상기 구조물을 위치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리프팅 장치.
KR1020210068185A 2021-05-27 2021-05-27 전자식 리프팅 장치 KR102537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185A KR102537496B1 (ko) 2021-05-27 2021-05-27 전자식 리프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185A KR102537496B1 (ko) 2021-05-27 2021-05-27 전자식 리프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244A KR20220160244A (ko) 2022-12-06
KR102537496B1 true KR102537496B1 (ko) 2023-05-26

Family

ID=84406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185A KR102537496B1 (ko) 2021-05-27 2021-05-27 전자식 리프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749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3568A1 (fr) * 2009-05-20 2010-11-25 Bouygues Construction Dispositif d'accrochage et de decrochage automatique de structures lourdes
JP2016013896A (ja) * 2014-07-02 2016-01-28 イーグルクランプ株式会社 穴吊りクランプ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325B1 (ko) 2017-11-22 2019-08-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리프팅 트롤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3568A1 (fr) * 2009-05-20 2010-11-25 Bouygues Construction Dispositif d'accrochage et de decrochage automatique de structures lourdes
JP2016013896A (ja) * 2014-07-02 2016-01-28 イーグルクランプ株式会社 穴吊りクラ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244A (ko) 202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96275B1 (en) Component assembly comprising a sheet metal part and a nut element attached thereto and also a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such a component assembly
US11230853B2 (en) Large capacity above ground impoundment tank
KR102537496B1 (ko) 전자식 리프팅 장치
KR102527789B1 (ko)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콘크리트 파일 몰드의 조립 해체 방법
CN102442460B (zh) 将管紧固至支撑结构的紧固装置以及具有这种紧固装置的运输和存储容器
KR101959747B1 (ko) 고소작업대용 협착방지장치
JP5639966B2 (ja) 固定治具及び建物ユニットの輸送方法
CN105502147B (zh) 用于圆柱形台阶孔工件吊装的吊具
KR101329297B1 (ko) 구조물의 지지장치
CN204916727U (zh) 可拆卸钢制容器
KR101507426B1 (ko) 선박 블록 이동용 러그
JP6166870B2 (ja) 柱の立設方法、及び柱
JP7017262B2 (ja) コーン型保安器具
CN112777478B (zh) 航空发动机翻转工装及其吊具
KR200218122Y1 (ko) 통스크레인의 통키잠김 감지장치
JP6969986B2 (ja) ピン挿入検出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作業機
JP6717522B2 (ja) 着床検出機構
KR200486664Y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서포트 어셈블리
JP4268840B2 (ja) 取外工具
JP7048099B2 (ja) コンテナクレーンのスプレッダ
KR102365385B1 (ko) 천장 크레인용 새들 고정장치
JP7130695B2 (ja) 構造物の立て起こし用治具
JP4905949B2 (ja) コールバンカーとその竪起し方法
KR102502738B1 (ko) 콘크리트 파일 몰드의 조립 해체 자동화 시스템
JP6359920B2 (ja) 取付アダプ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