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9297B1 - 구조물의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구조물의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9297B1
KR101329297B1 KR1020120048310A KR20120048310A KR101329297B1 KR 101329297 B1 KR101329297 B1 KR 101329297B1 KR 1020120048310 A KR1020120048310 A KR 1020120048310A KR 20120048310 A KR20120048310 A KR 20120048310A KR 101329297 B1 KR101329297 B1 KR 101329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ain body
vertical height
height setting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8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백섭
차용훈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48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92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02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2Shores or struts, e.g. individual oblique support elements for stabilizing hulls in dry-d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플레이트 상에 설정된 지지점에 직립되게 설치되어 구조물의 하면을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그를 포함하는 구조물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결합홀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그 외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지지날개가 마련된 메인바디와, 메인바디의 하부에 설치되고, 지지날개들의 하부면이 부착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메인바디의 결합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에 수직방향을 따라 다수의 래칫기어이가 형성된 수직높이 세팅부재와, 메인바디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래칫기어이에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수직높이 세팅부재가 상측으로는 이동가능하되, 하측으로는 이동이 억제될 수 있도록 수직높이 세팅부재를 간섭하는 래칫폴과, 수직높이 세팅부재의 상단에 결합되어 구조물의 하면을 접촉 지지하는 지지핀과, 지지핀의 상단에 결합되어 구조물의 하면을 접촉 지지하는 캡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지지장치는 지그의 지지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지그 본체를 플레이트 상에 용접하는 작업이 요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구조물의 조립 작업 후 지그 본체를 손상시키지 않고 지지플레이트로부터 분리하여 지그를 재사용 할 수 있으므로 장치 제작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지그 본체의 재사용에 따른 경제성을 제고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조물의 지지장치{Apparatus for supporting structure}
본 발명은 구조물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과 같은 하부가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대형 및 중량 구조물을 안정하게 지지하여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선박을 포함한 대형의 중량 구조물을 조립함에 있어서, 작업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구조물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여야 한다. 작업자는 구조물 하면의 3차원적 곡면 형상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적절한 지지점들을 결정하고, 그 지지점 위치의 지면에 각각 지지 지그를 설치한 후 곡면 구조물을 상기 지지 지그에 안착시킴으로써, 구조물의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할 수 있다. 종래에는 상기 지지 지그의 본체를 지면에 마련된 지지 플레이트(정반) 상에 용접하거나 고정볼트로 볼팅함으로써 지지 지그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였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1748호에는 블록지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블록지지장치는 선박의 부분품인 블록을 지지하는 블록 지지장치로서, 상기 블록의 셸 플레이트 표면에 상측이 결합되고, 양측에는 한 쌍의 통공이 형성된 지지캡 및 상기 지지캡에 상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대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블록지지장치는 블록에 설치된 다음에는 지지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블록지지장치를 포함한 종래의 구조물의 지지장치에서는 지지 플레이트 상에 지그 본체를 용접 고정하거나 고정볼트로 볼팅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지그의 지지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지그 본체를 플레이트 상에 용접하는 작업이 요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구조물의 조립 작업 후 지그의 재 사용을 위하여 지그 본체를 손상시키지 않고 지지플레이트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구조물의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지지장치는 지지플레이트 상에 설정된 지지점에 직립되게 설치되어 구조물의 하면을 상기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그를 포함하는 구조물의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결합홀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그 외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지지날개가 마련된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날개들의 하부면이 부착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메인바디의 결합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에 수직방향을 따라 다수의 래칫기어이가 형성된 수직높이 세팅부재와, 상기 메인바디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래칫기어이에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수직높이 세팅부재가 상측으로는 이동가능하되, 하측으로는 이동이 억제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높이 세팅부재를 간섭하는 래칫폴과, 상기 수직높이 세팅부재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구조물의 하면을 접촉 지지하는 지지핀과, 상기 지지핀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구조물의 하면을 접촉 지지하는 캡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자성체로 형성되고, 자력에 의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고정시키는 자력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력고정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며, 레버의 회전에 의해 자기력을 온/오프 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마그네틱 베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지지장치.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지지장치는 지그의 지지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지그 본체를 플레이트 상에 용접하는 작업이 요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구조물의 조립 작업 후 지그 본체를 손상시키지 않고 지지플레이트로부터 분리하여 지그를 재사용 할 수 있으므로 장치 제작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지그 본체의 재사용에 따른 경제성을 제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지지장치에 대한 사용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지지장치에 대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지지장치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지지장치의 캡부재를 하방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캡부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의 지지장치에 대한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의 지지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지지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구조물의 지지장치는 선박 등과 같은 대형의 곡면 구조물(100)의 하면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지플레이트(10)와, 복수개의 지그(20)로 구성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플레이트(10) 상에 곡면 구조물의 기하학적 형상을 고려하여 구조물의 하중을 안정되게 분산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지지점을 설정한다. 상기 지지점에 복수개의 지그(20)를 수직으로 직립 설치하여 곡면 구조물(100)의 하면을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지지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그(20)는 메인바디(21)와, 수직높이 세팅부재(22), 베이스플레이트(26), 지지핀(23), 래칫폴(31), 자력고정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바디(21)는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수직방향으로 결합홀(21a)이 형성되어 수직높이 세팅부재(22)가 삽입된다. 상기 메인바디(21)의 하부에는 그 외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지지날개(25)가 마련된다. 상기 메인바디(21)와 지지날개(25)는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제작을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제작시간 및 비용을 절감한다. 상기 메인바디(21)의 하부에는 상기 복수개의 지지날개(25)의 하부면이 부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6)가 용접결합된다.
지지날개(25)들 사이의 메인바디(21)의 외주면에는 래칫폴(31)의 일단부가 결합홀(21a)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관통되게 관통구(21b)가 형성된다. 관통구(21b)는 수직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되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복수개가 결합홀(21a)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위치의 메인바디(21)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높이 세팅부재(22)의 본체(22a)는 상기 메인바디(21)의 결합홀(21a)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진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걸림턱(22b)이 마련된다. 상기 수직높이 세팅부재(22)의 상부에는 암나사부(22c)가 형성된다.
또한, 본체(22a)는 외주면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인입홈(22d)이 형성된다. 인입홈(22d)은 복수개가 본체(22a)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22a)의 각 인입홈(22d) 내측에는 다수의 래칫기어이(22f)들이 형성된다. 상기 래칫기어이(22f)들은 수직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본체(22a)가 메인바디(21)의 결합홀(21a)에 삽입시, 단부가 본체(22a)의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인입홈(22d)의 깊이에 대응되는 돌출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높이 세팅부재(22)의 상부에는 지지핀(23)이 결합된다. 상기 지지핀(23)의 최상부(23c)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핀(23)은 수직 높이를 미세조정할 수 있도록 수나사부(23a)가 마련되어 수직높이 세팅부재(22)의 암나사부(22c)와 나사 결합된다. 즉, 지지핀(23)의 하부에 마련된 수나사부(23a)가 수직높이 세팅부재(22)의 암나사부(22c)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나사 결합부의 회전운동에 대응하여 지지핀(23)이 상하로 미세하게 직선 이동한다. 한편 지지핀(23)의 상부에는 작업자가 높이 조정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높이조정용 핸들(28)이 관통 삽입되는 2개의 관통홀(23b)이 교차 형성된다. 작업자는 상기 2개의 관통홀(23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핸들(28)을 삽입하여 지지핀(23)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캡부재(29)는 지지핀(23)의 상단에 설치되어 구조물의 하면을 접촉지지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부재(29)는 제1부분(29a)과 제2부분(29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부분(29a)은 곡면 구조물(100)의 하면에 직접 접촉되도록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부분(29b)은 상기 제1부분(29a)의 중앙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중공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지지핀(23)의 최상부(23c)이 가압 끼워지게 된다. 상기 제2부분(29b)의 측벽에는 상기 핸들(28)이 삽입될 수 있는 복수개의 관통홀(29c)이 마련된다.
래칫폴(31)은 일단부가 관통구(21b)를 통해 결합홀(21a) 내부로 인입되어 수직높이 세팅부재(22)의 래칫기어이(22f)를 간섭할 수 있게 상기 메인바디(21)의 외주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래칫폴(31)은 일단부가 래칫기어이(22f)에 삽입되어 수직높이 세팅부재가 상측으로는 이동가능하되, 하측으로는 이동이 억제될 수 있도록 수직높이 세팅부재(22)를 간섭한다.
래칫폴(31)은 타단부에 작업자가 파지하여 회동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가 마련된다. 손잡이는 래칫폴(31)의 회전축선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래칫폴(31)의 회전축에는 래칫폴(31)의 일단부가 결합홀(21a)의 중심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이 설치될 수도 있다.
래칫폴(31)의 일단부가 래칫기어이(22f)에 삽입되어 수직높이 세팅부재(22)를 간섭함으로 지그(20)의 수직높이가 세팅된다. 즉, 작업자가 원하는 수직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로 수직높이 세팅부재(22)를 메인바디(21)로부터 인출시키면, 래칫폴(31)의 간섭에 의해 수직높이 세팅부재(22)는 하방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이 억제되어 지그(20)의 수직높이가 세팅된다. 이때, 지그(20)의 수직높이를 낮출 경우, 작업자는 손잡이를 통해 래칫폴(31)의 일단부가 래칫기어이(22f)로부터 이탈되도록 래칫폴(31)을 회동시킨 다음, 수직높이 세팅부재(22)를 하방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자력고정부는 자력에 의해 스틸과 같은 자성체로 형성된 지지플레이트(10)에 베이스플레이트(26)를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6)에 고정되며, 레버의 회전에 의해 자기력을 온/오프 시키는 다수의 마그네틱 베이스(40)를 구비한다.
마그네틱 베이스(40)는 레버의 회전에 의해 자력이 발생되면 상기 자력에 의해 지지플레이트(10)에 부착되어 베이스플레이트(26)를 지지플레이트(10)에 고정시킨다. 지그(20)의 위치를 변경시키거나 지지플레이트(10)로부터 철거할 경우, 레버를 회전시켜 자력을 소멸시키면 마그네틱 베이스(40)는 지지플레이트(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되어 베이스플레이트(26)는 지지플레이트(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자력고정부가 다수의 마그네틱 베이스(40)로 이루어진 것을 설명하였으나, 자력고정부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전자석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구비한 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지지장치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지 플레이트(10) 상의 각 지지점에 위치시킨 다음, 마그네틱 베이스(40)에 자력이 발생되도록 레버를 회전시켜 지그(20)의 베이스플레이트(26)를 지지플레이트(10)에 고정시킨다. 그 다음에 구조물의 형상을 고려하여 각 지지점에서의 수직 높이를 계산하고, 그에 따라 수직높이 세팅부재(22)를 메인바디(21)로부터 인출시킨다. 이때, 래칫기어이(22f)와 래칫폴(31)에 의해 수직높이 세팅부재(22)는 하강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 다음에 수직높이 세팅부재(22)의 상단에 결합된 지지핀(23)의 관통공(23b)에 높이 미세조정용 핸들(28)을 삽입하여 소정 각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지그의 수직높이를 정확하게 맞춘 후에, 상기 지지핀(23)의 최상부(23c)에 결합된 캡부재(29)의 제1부분(29a)에 선박 등의 곡면 구조물을 올려놓고 조립 작업을 수행한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의 지지장치(7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구조물의 지지장치(70)는 베이스플레이트(26)에 관통되게 삽입되어 구속되는 구속핀(50)을 더 구비한다.
이때, 베이스플레이트(26)는 각 모서리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삽입구(53)가 형성되고, 각 삽입구(53)에 연통되며, 상기 삽입구(5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삽입구(53)의 내경보다 작은 폭을 갖는 연장홈(54)이 형성된다.
연장홈(54)은 베이스플레이트(26)의 회전에 의해 삽입구(53)에 삽입된 후술되는 구속핀(50)의 돌출부재(51)가 인입될 수 있도록 베이스플레이트(26)의 중심을 기준으로 연장홈(54)까지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반경을 갖는 호형으로 연장형성된다. 이때, 각 삽입구(53)에 형성된 연장홈(54)들은 삽입구(53)에 대해 동일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속핀(50)은 삽입구(53)에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구(53)에 대향되는 각 위치의 지지플레이트(10)에 상방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재(51)와, 상기 돌출부재(51)의 상단에 형성된 헤드부재(52)를 구비한다.
돌출부재(51)는 삽입구(53)에 삽입시 베이스플레이트의 회전에 의해 연장홈(54)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연장홈(54)의 폭 이하의 외경을 갖는 환봉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헤드부재(52)는 상기 돌출부재(51)가 연장홈(54)에 삽입시 돌출부재(51)가 베이스플레이트(26)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연장홈(51)의 폭보다는 크고, 상기 삽입구(53)의 내경 이하의 외경을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업자는 돌출부재(51) 및 헤드부재(52)가 삽입구(53)에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6)를 지지플레이트(10)의 상면에 안착시킨다. 돌출부재(51)가 삽입구(53)에 삽입되며, 돌출부재(51)가 연장홈(54)로 인입될 수 있도록 베이스플레이트(26)를 회전시킨다. 상기 연장홈(54)으로 돌출부재(51)가 인입되면, 연장홈(54)의 폭보다 큰 외경으로 형성된 헤드부재(52)가 베이스플레이트(26)에 간섭되어 돌출부재(51)가 연장홈(5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구속핀(50)이 지지플레이트(10)의 상면에 고정된 것이 아니라 구속핀(50)이 상면에 형성된 보조플레이트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보조플레이트는 고정볼트 또는 용접에 의한 고정수단을 통해 지지플레이트(10)의 지지점에 고정설치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지지플레이트
20: 지그
21: 메인바디
21a: 결합홀
22: 수직높이 세팅부재
22a: 본체
22b: 걸림턱
22c: 암나사부
23: 지지핀
23a: 나사부
25: 지지날개
28: 핸들
29: 캡부재
29a: 제1부분
29b: 제2부분

Claims (5)

  1. 지지플레이트 상에 설정된 지지점에 직립되게 설치되어 구조물의 하면을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그를 포함하는 구조물의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결합홀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그 외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지지날개가 마련된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날개들의 하부면이 부착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메인바디의 결합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에 수직방향을 따라 다수의 래칫기어이가 형성된 수직높이 세팅부재와;
    상기 메인바디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래칫기어이에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수직높이 세팅부재가 상측으로는 이동가능하되, 하측으로는 이동이 억제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높이 세팅부재를 간섭하는 래칫폴과;
    상기 수직높이 세팅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는 지지핀과;
    상기 지지핀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구조물의 하면을 접촉 지지하는 캡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자성체로 형성되고,
    자력에 의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고정시키는 자력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지지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고정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며, 레버의 회전에 의해 자기력을 온/오프 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마그네틱 베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지지장치.
  4. 지지플레이트 상에 설정된 지지점에 직립되게 설치되어 구조물의 하면을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그를 포함하는 구조물의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결합홀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그 외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지지날개가 마련된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날개들의 하부면이 부착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메인바디의 결합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에 수직방향을 따라 다수의 래칫기어이가 형성된 수직높이 세팅부재와;
    상기 메인바디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래칫기어이에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수직높이 세팅부재가 상측으로는 이동가능하되, 하측으로는 이동이 억제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높이 세팅부재를 간섭하는 래칫폴과;
    상기 수직높이 세팅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는 지지핀과;
    상기 지지핀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구조물의 하면을 접촉 지지하는 캡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에 연통되며, 상기 삽입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삽입구의 내경보다 작은 폭을 갖는 연장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구에 대향되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상방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삽입구에 삽입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위치변경에 의해 상기 연장홈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연장홈의 폭 이하의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 돌출부재와, 상기 돌출부재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재가 상기 연장홈에 삽입시, 상기 돌출부재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홈의 폭보다 크고, 상기 삽입구의 내경 이하의 외경을 갖는 헤드부재가 마련된 구속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지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홈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삽입구에 삽입된 상기 돌출부재가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연장홈까지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반경을 갖는 호형으로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지지장치.


KR1020120048310A 2012-05-07 2012-05-07 구조물의 지지장치 KR101329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310A KR101329297B1 (ko) 2012-05-07 2012-05-07 구조물의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310A KR101329297B1 (ko) 2012-05-07 2012-05-07 구조물의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9297B1 true KR101329297B1 (ko) 2013-11-13

Family

ID=49857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8310A KR101329297B1 (ko) 2012-05-07 2012-05-07 구조물의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929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9356A (ko) * 2016-08-16 2018-02-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대상물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
CN112960077A (zh) * 2021-03-31 2021-06-15 嘉兴市锦佳船舶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高稳定性船体建造升降调节支撑装置
CN115092353A (zh) * 2022-06-24 2022-09-23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分段建造用配合活络胎架的轻型内管支撑
KR20230034025A (ko) * 2021-09-02 2023-03-09 고윤식 어선용 지지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1974A (ko) * 1998-08-06 1998-11-25 김병태 선박건조용 스크류 잭
KR200349022Y1 (ko) * 2004-02-06 2004-04-30 홍순복 선체 블럭 지지용 핀지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1974A (ko) * 1998-08-06 1998-11-25 김병태 선박건조용 스크류 잭
KR200349022Y1 (ko) * 2004-02-06 2004-04-30 홍순복 선체 블럭 지지용 핀지그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9356A (ko) * 2016-08-16 2018-02-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대상물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
KR102455882B1 (ko) * 2016-08-16 2022-10-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대상물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
CN112960077A (zh) * 2021-03-31 2021-06-15 嘉兴市锦佳船舶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高稳定性船体建造升降调节支撑装置
KR20230034025A (ko) * 2021-09-02 2023-03-09 고윤식 어선용 지지장치
KR102553938B1 (ko) * 2021-09-02 2023-07-11 고윤식 어선용 지지장치
CN115092353A (zh) * 2022-06-24 2022-09-23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分段建造用配合活络胎架的轻型内管支撑
CN115092353B (zh) * 2022-06-24 2023-11-14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分段建造用配合活络胎架的轻型内管支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9297B1 (ko) 구조물의 지지장치
JP2007521146A5 (ko)
CN108438437A (zh) 一种多功能物流用托盘及调节工具和调节方法
US8434750B2 (en) Positioning device for workpieces
CA2945861A1 (en) Alignment tool, system and method for the connection of wind turbine tower segments
KR200477760Y1 (ko) 전동기 샤프트 얼라인용 지그
KR20060115273A (ko) 곡면 구조물의 지지장치
KR100905861B1 (ko) 선박블록 운반용 지지장치
JP6946178B2 (ja) 空気ばね及び台車
CN110062549B (zh) 一种联动式机柜底座结构
KR101410778B1 (ko) 터빈로터의 버켓의 조립지그장치
JP6226672B2 (ja) 加工装置の作業用スタンド
JP6694179B1 (ja) コラム組立装置
KR20130023285A (ko) 용접 비드 절삭 장치 및 증기 터빈의 레이디얼 핀 발취 방법
JP2001009747A (ja) カップリング用ロックナットの取付・取外し治具
CN208644519U (zh) 旋转操作台
KR102287861B1 (ko) 스마트스틱용 멀티 렌치 헤드
JPH11223693A (ja) ナット部材の着脱移送装置
KR100709328B1 (ko) 평면 구조물의 지지장치
CN108927656A (zh) 紧固设备及其操作方法
CN104338970A (zh) 一种加工六棱钢螺母螺纹孔的钻模及基于该钻模的加工方法
CN105252187B (zh) 一种发电机定子侧杆焊接工装结构
CN112009163A (zh) 一种三片式铝合金锻造轮毂
CN105459025B (zh) 拆装装置
WO2014054648A1 (ja) 高さ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