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4025A - 어선용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어선용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4025A
KR20230034025A KR1020210117112A KR20210117112A KR20230034025A KR 20230034025 A KR20230034025 A KR 20230034025A KR 1020210117112 A KR1020210117112 A KR 1020210117112A KR 20210117112 A KR20210117112 A KR 20210117112A KR 20230034025 A KR20230034025 A KR 20230034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ishing boat
support part
protrusion
ro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7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3938B1 (ko
Inventor
고윤식
Original Assignee
고윤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윤식 filed Critical 고윤식
Priority to KR1020210117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3938B1/ko
Publication of KR20230034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4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ramps, gangways or outboard ladders ; Pilot lifts
    • B63B27/146Pilot ladders or similar outboard ladders, e.g. bathing ladders; Pilot li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2Shores or struts, e.g. individual oblique support elements for stabilizing hulls in dry-docks

Abstract

본 발명은 어선(A)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하는 회동부(110); 상기 회동부(110)를 중심으로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지부(120); 상기 지지부(120)의 하부에 바닥과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받침부(130); 상기 회동부(11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어선(A)의 일측 또는 양측에 위치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지지부(120)를 고정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유닛(140); 어선(A)과 상기 지지부(120)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부(120)가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쉽게 회전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발생하는 탄성체(150);를 포함하는 어선용 지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어선의 일측 또는 양측에 접어서 보관하고 펼쳐서 어선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썰물 또는 유지보수 과정에서 전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바닥의 위치에 따라서 높이를 조절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사다리를 구비하여 어민이 어선을 쉽게 출입할 수 있고 위급상황에서 신속하게 사람을 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어선용 지지장치{Supporting device for fishing boats}
본 발명은 어선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썰물 또는 유지보수 과정에서 어선의 일측 또는 양측을 지지하여 전도사고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사다리를 구비하여 안전사고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어선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선의 바닥은 평평하지 않으므로 썰물 또는 유지보수 과정에서 한쪽으로 전도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지지목을 이용하여 어선의 일측 또는 양측을 지지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어민 및 작업자가 다수개의 지지목을 운반하여 어선과 바닥(해저면) 사이를 지지해야 하므로 운반 및 작업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특히 다수개의 지지목은 보관하여 활용하기가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를 갖게 되었다.
또한, 일정길이를 갖는 지지목의 길이(높이)를 조절할 수 없으므로 어선과 바닥 사이를 견고하기 지지할 수 없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아울러 바다에 빠진 사람을 구하거나 어민이 어선으로 올라오거나 내려갈 수 있도록 사용하는 사다리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많은 부피를 차지하고 어선에 보관할 장소가 마땅치 않으므로 위급상황에서 신속하게 사용할 수 없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미국 특허공보 US3952680(1976.04.27.)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64822호(1999.08.05.)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6684호(2011.02.1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수평방향으로 접어서 보관하고 수직방향으로 펼쳐서 바닥과 맞닿아 지지할 수 있는 어선용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바닥의 위치에 따라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어선용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다리를 구비하여 어민 및 작업자가 어선을 쉽게 출입할 수 있고 위급상황에서 신속하게 사람을 구할 수 있는 어선용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어선용 지지장치(100)는,
어선(A)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하는 회동부(110); 상기 회동부(110)를 중심으로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지부(120); 상기 지지부(120)의 하부에 바닥과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받침부(130); 상기 회동부(11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어선(A)의 일측 또는 양측에 위치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지지부(120)를 고정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유닛(140); 어선(A)과 상기 지지부(120)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부(120)가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쉽게 회전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발생하는 탄성체(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받침부(130)의 상부에 상기 지지부(120)의 하부 내측 또는 외측으로 삽입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높이조절구(131); 상기 지지부(120)의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통공(120a); 상기 통공(120a)과 높이조절구(131)의 일측을 관통하여 고정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구(131a); 상기 받침부(130)와 높이조절구(131)의 사이에 형성하는 회전부(130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130)의 상부에 상기 지지부(120)의 하부 내측 또는 외측으로 삽입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높이조절구(131); 상기 높이조절구(131)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하는 다수개의 걸림턱(131b); 상기 지지부(120)의 내측과 상기 높이조절구(131)의 상부 사이에 형성하는 제1탄성부재(132); 상기 지지부(120)의 하부 일측에 형성하는 회전축(133); 상기 회전축(133)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걸림턱(131b)과 맞물리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걸림돌기(134); 상기 걸림돌기(134)의 하부에 형성하는 발판(135); 상기 걸림돌기(134)를 전방으로 회전시켜 상기 걸림턱(131b)과 맞물릴 수 있도록 탄성력을 발생하는 제2탄성부재(136); 상기 받침부(130)와 높이조절구(131)의 사이에 형성하는 회전부(130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유닛(140)은 일측에 상기 지지부(120)의 일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지판(141); 타측에 형성하는 중심축(142); 상기 중심축(142)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손잡이(143); 상기 손잡이(143)의 일측에 상기 지지부(120)의 일측에 형성하는 걸림돌기(121)와 맞닿아 고정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돌기(144); 상기 중심축(142)의 하부 일측에 상기 손잡이(143)의 일측면과 맞닿아 지지하여 상기 고정돌기(144)가 걸림돌기(121)와 맞닿은 상태에서 더는 내측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정지부(145); 상기 중심축(142)의 일측에 상기 고정돌기(144)가 걸림돌기(121)와 맞닿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발생하는 탄성체(1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지지부(120)의 일측에 사용자가 당겨서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로프(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20)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하는 사다리(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사다리(200)는 상기 지지부(120)의 일측에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어선(A)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하는 힌지부(210); 상기 힌지부(210)를 중심으로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지대(220); 상기 지지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제1회동축(230); 상기 지지대(22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제2회동축(240); 상기 제1회동축(230)과 제2회동축(240)의 사이에 형성하는 발판(2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120)가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 및 해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구속유닛(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구속유닛(300)은 상기 지지부(120)의 일측에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어선(A)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하는 중심축(310); 상기 중심축(310)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전구(320); 상기 지지부(120)의 상부 일측에 형성하는 구속돌기(330); 상기 회전구(320)의 전방에 상기 구속돌기(330)를 내측으로 삽입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몸체(340); 상기 회전구(320)의 상부에 작업자가 하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고정몸체(340)를 후방으로 회전시켜 상기 구속돌기(330)와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조작발판(350); 상기 중심축(310)의 일측에 상기 고정몸체(340)가 구속돌기(330)를 고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발생하는 탄성체(3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어선의 일측 또는 양측에 접어서 보관하고 펼쳐서 어선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썰물 또는 유지보수 과정에서 전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바닥의 위치에 따라서 높이를 조절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사다리를 구비하여 어민이 어선을 쉽게 출입할 수 있고 위급상황에서 신속하게 사람을 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어선용 지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받침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받침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고정유닛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구속유닛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확대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 어선용 지지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 어선용 지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어선용 지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받침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받침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고정유닛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서 구속유닛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확대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어선용 지지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어선용 지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어선(A)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하는 회동부(110); 상기 회동부(110)를 중심으로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지부(120); 상기 지지부(120)의 하부에 바닥과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받침부(130); 상기 회동부(11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어선(A)의 일측 또는 양측에 위치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지지부(120)를 고정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유닛(140); 어선(A)과 상기 지지부(120)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부(120)가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쉽게 회전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발생하는 탄성체(15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회동부(110)는 축 및 핀 형태로 어선(A)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하여 상기 지지부(120)를 수평방향으로 접어서 보관하고 수직방향으로 펼쳐서 바닥과 맞닿아 지지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중심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회동부(110)는 부시 또는 베어링 등을 포함하여 상기 지지부(120)를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120)는 상기 회동부(110)를 중심으로 수직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받침부(130)가 바닥에 맞닿아 지지함으로써 어선(A)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120)는 다양한 길이와 재질 및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130)는 일정넓이 및 두께를 갖도록 형성하여 바닥에 직접 맞닿은 상태로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받침부(130)의 높이를 조절하여 바닥에 맞닿는 위치에 따라서 견고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상기 받침부(13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실시예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130)의 상부에 상기 지지부(120)의 하부 내측 또는 외측으로 삽입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높이조절구(131); 상기 지지부(120)의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통공(120a); 상기 통공(120a)과 높이조절구(131)의 일측을 관통하여 고정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구(131a); 상기 받침부(130)와 높이조절구(131)의 사이에 형성하는 회전부(130a);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높이조절구(131)는 상기 받침부(130)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으며 상기 지지부(120)의 하부 내측 또는 외측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파이프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공(120a)은 상기 받침부(130) 및 높이조절구(131)의 높이를 조절한 후 그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120)의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다수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구(131a)는 다수개의 통공(120a) 중에서 어느 하나의 통공(120a)과 높이조절구(131)의 일측을 동시에 관통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일정길이를 갖는 핀 또는 축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높이조절구(131)의 일측에 상기 고정구(131a)가 관통할 수 있도록 통공을 형성함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130a)는 상기 받침부(130)가 바닥의 기울기 또는 평탄상태에 따라서 좌우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때 상기 회전부(130a)는 상기 받침부(130)의 상부와 높이조절구(131)의 하부 사이에 위치하여 좌우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핀 또는 축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구(131)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고정구(131a)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통공(120a) 중에서 어느 하나의 통공(120a)과 높이조절구(131)의 일측을 동시에 관통함으로써 상기 받침부(130)가 바닥에 맞닿아 지지하기 위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받침부(13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또한, 상기 받침부(130)의 상부에 상기 지지부(120)의 하부 내측 또는 외측으로 삽입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높이조절구(131); 상기 높이조절구(131)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하는 다수개의 걸림턱(131b); 상기 지지부(120)의 내측과 상기 높이조절구(131)의 상부 사이에 형성하는 제1탄성부재(132); 상기 지지부(120)의 하부 일측에 형성하는 회전축(133); 상기 회전축(133)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걸림턱(131b)과 맞물리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걸림돌기(134); 상기 걸림돌기(134)의 하부에 형성하는 발판(135); 상기 걸림돌기(134)를 전방으로 회전시켜 상기 걸림턱(131b)과 맞물릴 수 있도록 탄성력을 발생하는 제2탄성부재(136); 상기 받침부(130)와 높이조절구(131)의 사이에 형성하는 회전부(130a);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받침부(130)는 일정넓이 및 두께를 갖도록 형성하여 바닥에 직접 맞닿은 상태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사람이 발로 눌러서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높이조절구(131)는 상기 받침부(130)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으며 상기 지지부(120)의 하부 내측 또는 외측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파이프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걸림턱(131b)의 전면은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증가하도록 기울어진 형태이고 상부면은 수평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높이조절구(131)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걸림돌기(134)가 상기 걸림턱(131b)의 기울어진 전면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걸리지 않고, 반대로 상부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걸림돌기(134)가 상기 걸림턱(131b)의 상부면에 맞닿아 걸리게 되므로 상기 높이조절구(131)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탄성부재(132)는 상기 지지부(120)의 내측과 상기 높이조절구(131)의 상부 사이에 위치하여 항상 상기 높이조절구(131)를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탄성력을 확보하기 위한 스프링을 사용한다.
특히 상기 회전축(133)은 축 및 핀 형태로 상기 걸림돌기(134)가 전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중심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걸림돌기(134)는 상기 걸림턱(131b)의 상부면에 걸려서 상기 높이조절구(131)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판(135)은 사람이 발로 밟아서 누를 경우 상기 걸림돌기(134)를 상기 회전축(133)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전시켜 상기 걸림턱(131b)과 고정상태를 해지하여 상기 높이조절구(131)가 상기 제1탄성부재(132)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탄성부재(136)는 사람이 상기 발판(135)을 누르지 않을 경우 상기 걸림돌기(134)를 항상 전방으로 회전시켜 상기 걸림턱(131b)과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을 이용한다.
따라서 상기 받침부(130) 및 높이조절구(131)를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걸림돌기(134)와 걸림턱(131b)이 서로 맞물린 상태로 상기 받침부(130) 및 높이조절구(131)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발판(135)을 누를 경우 상기 걸림돌기(134)가 상기 걸림턱(131b)과 분리되면서 상기 받침부(130) 및 높이조절구(131)가 상기 제1탄성부재(132)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유닛(140)은 상기 지지부(120)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접은 상태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고정유닛(140)은 상기 지지부(120)가 수평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일측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회동부(11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어선(A)의 일측 또는 양측에 위치한다.
이러한 상기 고정유닛(14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에 상기 지지부(120)의 일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지판(141); 타측에 형성하는 중심축(142); 상기 중심축(142)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손잡이(143); 상기 손잡이(143)의 일측에 상기 지지부(120)의 일측에 형성하는 걸림돌기(121)와 맞닿아 고정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돌기(144); 상기 중심축(142)의 하부 일측에 상기 손잡이(143)의 일측면과 맞닿아 지지하여 상기 고정돌기(144)가 걸림돌기(121)와 맞닿은 상태에서 더는 내측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정지부(145); 상기 중심축(142)의 일측에 상기 고정돌기(144)가 걸림돌기(121)와 맞닿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발생하는 탄성체(146);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지지판(141)은 상기 지지부(120)의 일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높이 및 넓이를 갖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중심축(142)은 축 및 핀 형태로 상기 손잡이(143) 및 고정돌기(144)가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중심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손잡이(143)와 고정돌기(144)는 서로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손잡이(143)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기 고정돌기(144)를 전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143)와 고정돌기(144)는 상기 지지판(141)과 사이에 상기 지지부(120)가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판(141)의 일측에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정지부(145)는 상기 중심축(142)의 하부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고정돌기(144)가 걸림돌기(121)와 맞닿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143)가 더는 내측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한다.
아울러 상기 탄성체(146)는 상기 고정돌기(144)가 항상 상기 걸림돌기(121)와 맞닿을 수 있도록 내측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발생하는 스프링을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돌기(144)와 걸림돌기(121)는 서로 맞물리거나 또는 맞닿아 고정할 수 있도록 고리 형상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유닛(140)은 사용자가 상기 지지부(120)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지지판(141)과 손잡이(143) 및 고정돌기(144)의 사이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돌기(144)가 걸림돌기(121)와 서로 맞닿아 상기 고정유닛(140)을 고정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143)를 당기게 되면서 상기 고정돌기(144)가 걸림돌기(121)와 서로 분리되면서 상기 지지부(120)를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성체(150)는 상기 지지부(120)가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탄성력을 확보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체(150)는 인장스프링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120)의 일측에 사용자가 당겨서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로프(160);를 포함하여 어선(A) 위에 있는 작업자 또는 어민이 바닥으로 내려오지 않고 상기 로프(160)를 당겨서 상기 지지부(120)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로프(160)는 다양한 재질 및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권취드럼 및 모터를 이용하여 감거나 풀어서 상기 지지부(120)를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20)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하는 사다리(200);를 포함하여 바다로 빠진 사람 또는 어민이 어선(A)으로 쉽게 올라올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를 위한 상기 사다리(2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20)의 일측에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어선(A)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하는 힌지부(210); 상기 힌지부(210)를 중심으로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지대(220); 상기 지지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제1회동축(230); 상기 지지대(22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제2회동축(240); 상기 제1회동축(230)과 제2회동축(240)의 사이에 형성하는 발판(25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힌지부(210)는 축 및 핀 형태로 상기 지지부(120)와 함께 상기 지지대(220)가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중심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힌지부(210)는 부시 또는 베어링 등을 포함하여 상기 지지대(220)를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회동축(230)과 제2회동축(240)은 상기 발판(250)이 상기 지지부(120) 및 지지대(220)의 회전각도에 따라서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도록 중심축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발판(250)은 상기 지지부(120) 및 지지대(220)가 수직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수평방향으로 펼쳐지면서 사용자가 밟고 올라가거나 내려갈 수 있도록 유도하고, 반대로 상기 지지부(120) 및 지지대(220)가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접혀서 상기 사다리(200)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부(120)가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 및 해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구속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상기 구속유닛(30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20)의 일측에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어선(A)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하는 중심축(310); 상기 중심축(310)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전구(320); 상기 지지부(120)의 상부 일측에 형성하는 구속돌기(330); 상기 회전구(320)의 전방에 상기 구속돌기(330)를 내측으로 삽입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몸체(340); 상기 회전구(320)의 상부에 작업자가 하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고정몸체(340)를 후방으로 회전시켜 상기 구속돌기(330)와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조작발판(350); 상기 중심축(310)의 일측에 상기 고정몸체(340)가 구속돌기(330)를 고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발생하는 탄성체(36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중심축(310)은 축 및 핀 형태로 상기 회전구(320)가 전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중심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회전구(320)는 상기 중심축(310)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고정몸체(340)가 상기 구속돌기(330)를 고정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때 상기 회전구(320)와 고정몸체(340)의 사이에 회전축(341)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몸체(340)가 상기 구속돌기(330)의 위치에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한편, 상기 구속돌기(330)는 외측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돌출한 원형의 형상이고 상기 고정몸체(340)의 내측은 상기 구속돌기(330)가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일정한 넓이 및 깊이를 갖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발판(350)은 사용자가 발로 밟아서 누를 경우 상기 회전구(320)와 고정몸체(340)를 상기 중심축(310)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전시켜 상기 고정몸체(340)와 구속돌기(330)를 서로 분리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탄성체(360)는 상기 고정몸체(340)가 구속돌기(330)를 고정하여 상기 지지부(120)가 수직방향을 유지한 상태에서 더는 후방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도록 스프링을 사용한다.
이처럼 상기 구속유닛(300)은 상기 지지부(120)가 수직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하고, 사용자가 상기 조작발판(350)을 누를 경우 상기 고정몸체(340)와 구속돌기(330)가 서로 떨어지면서 상기 탄성체(15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지지부(120)가 수평방향으로 쉽게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20)를 수직방향으로 회전시켜 바닥에 세워진 상태로 어선(A)이 썰물 또는 유지보수 과정에서 전도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20)가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사다리(200)의 발판(250)이 수평방향으로 펼쳐져 어민 및 구조자가 어선(A)을 올라갈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지지부(120)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발판(250)을 접어서 사다리(200)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구성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100: 본 발명 어선용 지지장치
110: 회동부
120: 지지부 120a: 통공
130: 받침부 130a: 회전부
131: 높이조절구 131a: 고정구
131b: 걸림턱 132: 제1탄성부재
133: 회전축 134: 걸림돌기
135: 발판 136: 제2탄성부재
140: 고정유닛 141: 지지판
142: 중심축 143: 손잡이
144: 고정돌기 145: 정지부
146: 탄성체
150: 탄성체 160: 로프
200: 사다리 210: 힌지부
220: 지지대 230: 제1회동축
240: 제2회동축 250: 발판
300: 구속유닛 310: 중심축
320: 회전구 330: 구속돌기
340: 고정몸체 350: 조작발판
360: 탄성체
A: 어선

Claims (9)

  1. 어선(A)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하는 회동부(110); 상기 회동부(110)를 중심으로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지부(120); 상기 지지부(120)의 하부에 바닥과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받침부(130); 상기 회동부(11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어선(A)의 일측 또는 양측에 위치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지지부(120)를 고정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유닛(140); 어선(A)과 상기 지지부(120)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부(120)가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쉽게 회전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발생하는 탄성체(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선용 지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30)의 상부에 상기 지지부(120)의 하부 내측 또는 외측으로 삽입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높이조절구(131); 상기 지지부(120)의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통공(120a); 상기 통공(120a)과 높이조절구(131)의 일측을 관통하여 고정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구(131a); 상기 받침부(130)와 높이조절구(131)의 사이에 형성하는 회전부(130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선용 지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30)의 상부에 상기 지지부(120)의 하부 내측 또는 외측으로 삽입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높이조절구(131); 상기 높이조절구(131)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하는 다수개의 걸림턱(131b); 상기 지지부(120)의 내측과 상기 높이조절구(131)의 상부 사이에 형성하는 제1탄성부재(132); 상기 지지부(120)의 하부 일측에 형성하는 회전축(133); 상기 회전축(133)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걸림턱(131b)과 맞물리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걸림돌기(134); 상기 걸림돌기(134)의 하부에 형성하는 발판(135); 상기 걸림돌기(134)를 전방으로 회전시켜 상기 걸림턱(131b)과 맞물릴 수 있도록 탄성력을 발생하는 제2탄성부재(136); 상기 받침부(130)와 높이조절구(131)의 사이에 형성하는 회전부(130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선용 지지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140)은 일측에 상기 지지부(120)의 일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지판(141); 타측에 형성하는 중심축(142); 상기 중심축(142)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손잡이(143); 상기 손잡이(143)의 일측에 상기 지지부(120)의 일측에 형성하는 걸림돌기(121)와 맞닿아 고정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돌기(144); 상기 중심축(142)의 하부 일측에 상기 손잡이(143)의 일측면과 맞닿아 지지하여 상기 고정돌기(144)가 걸림돌기(121)와 맞닿은 상태에서 더는 내측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정지부(145); 상기 중심축(142)의 일측에 상기 고정돌기(144)가 걸림돌기(121)와 맞닿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발생하는 탄성체(1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선용 지지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20)의 일측에 사용자가 당겨서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로프(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선용 지지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20)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하는 사다리(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선용 지지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200)는 상기 지지부(120)의 일측에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어선(A)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하는 힌지부(210); 상기 힌지부(210)를 중심으로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지대(220); 상기 지지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제1회동축(230); 상기 지지대(22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제2회동축(240); 상기 제1회동축(230)과 제2회동축(240)의 사이에 형성하는 발판(2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선용 지지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20)가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 및 해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구속유닛(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선용 지지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구속유닛(300)은 상기 지지부(120)의 일측에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어선(A)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하는 중심축(310); 상기 중심축(310)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전구(320); 상기 지지부(120)의 상부 일측에 형성하는 구속돌기(330); 상기 회전구(320)의 전방에 상기 구속돌기(330)를 내측으로 삽입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몸체(340); 상기 회전구(320)의 상부에 작업자가 하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고정몸체(340)를 후방으로 회전시켜 상기 구속돌기(330)와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조작발판(350); 상기 중심축(310)의 일측에 상기 고정몸체(340)가 구속돌기(330)를 고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발생하는 탄성체(3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선용 지지장치.
KR1020210117112A 2021-09-02 2021-09-02 어선용 지지장치 KR102553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112A KR102553938B1 (ko) 2021-09-02 2021-09-02 어선용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112A KR102553938B1 (ko) 2021-09-02 2021-09-02 어선용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4025A true KR20230034025A (ko) 2023-03-09
KR102553938B1 KR102553938B1 (ko) 2023-07-11

Family

ID=85511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7112A KR102553938B1 (ko) 2021-09-02 2021-09-02 어선용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393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2680A (en) 1974-09-30 1976-04-27 Griffin Edward N Roll stabilizer for vessels at rest
KR19990064822A (ko) 1999-05-12 1999-08-05 김시영 어선의 전복방지장치
KR20080103475A (ko) * 2008-08-11 2008-11-27 남주희 선박블록 받침대용 탄력핀지그
KR20110016684A (ko) 2009-08-12 2011-02-18 한국과학기술원 해상부유물의 동요 방지장치
KR20130057642A (ko) * 2011-11-24 2013-06-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갑판 사다리 적재함을 구비한 선박
KR101329297B1 (ko) * 2012-05-07 2013-11-13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구조물의 지지장치
KR101539696B1 (ko) * 2015-02-05 2015-08-26 이욱창 선박용 구명사다리
KR102270409B1 (ko) * 2020-04-29 2021-06-29 박순이 선박 전도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2680A (en) 1974-09-30 1976-04-27 Griffin Edward N Roll stabilizer for vessels at rest
KR19990064822A (ko) 1999-05-12 1999-08-05 김시영 어선의 전복방지장치
KR20080103475A (ko) * 2008-08-11 2008-11-27 남주희 선박블록 받침대용 탄력핀지그
KR20110016684A (ko) 2009-08-12 2011-02-18 한국과학기술원 해상부유물의 동요 방지장치
KR20130057642A (ko) * 2011-11-24 2013-06-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갑판 사다리 적재함을 구비한 선박
KR101329297B1 (ko) * 2012-05-07 2013-11-13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구조물의 지지장치
KR101539696B1 (ko) * 2015-02-05 2015-08-26 이욱창 선박용 구명사다리
KR102270409B1 (ko) * 2020-04-29 2021-06-29 박순이 선박 전도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3938B1 (ko) 2023-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56892A1 (en) Ladder stand with platform hoist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KR101425666B1 (ko) 작업발판용 접이식 등주장치
KR102553938B1 (ko) 어선용 지지장치
KR101478964B1 (ko) 갱폼용 사다리
KR102075935B1 (ko) 건물용 비상탈출기구
US20070209870A1 (en) Access and escape devices
US3921757A (en) Building evacuation and rescue apparatus
US5257677A (en) Climbing device for columnar members, such as trees, poles and the like
JP2005506890A (ja) 建物、ボーリングプラットフォーム、船舶等のような建築物から人を救出するための装置
KR102272103B1 (ko)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
JP7053024B2 (ja) 建築物における緊急脱出避難装置
CN217400809U (zh) 一种屋面检修口用折叠爬梯
JPH0949318A (ja) 作業用ゴンドラ
US20190269245A1 (en) Telescopic Seat Assembly for a Hunting Tree Stand
JP4052654B2 (ja) 植木剪定のための高低所作業用吊腰掛
KR20190042933A (ko) 휴대용 접이식 사다리
KR102112588B1 (ko) 오토 셀프 스윙 아웃 대피구조물
KR102529694B1 (ko) 건물용 비상탈출기구
JPH0124320Y2 (ko)
JP3866719B2 (ja) 避難はしご
KR101420407B1 (ko) 비상탈출장치용 안전사다리
JPH0240240Y2 (ko)
JP7033890B2 (ja) 高所作業用三脚における閉脚防止装置
US4630710A (en) Elevatable work station
KR20220015181A (ko) 익수자 구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