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3415Y1 - 통키 및 하부지지대 분리형 통스 크레인 - Google Patents

통키 및 하부지지대 분리형 통스 크레인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3415Y1
KR200343415Y1 KR20-2003-0038825U KR20030038825U KR200343415Y1 KR 200343415 Y1 KR200343415 Y1 KR 200343415Y1 KR 20030038825 U KR20030038825 U KR 20030038825U KR 200343415 Y1 KR200343415 Y1 KR 2003434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s
support
fastening
lower support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88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윤희
피정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2003-00388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34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34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34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66C1/44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 B66C1/4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actuated by lift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Abstract

연속주조공정을 통하여 생산된 슬라브(SLAB)의 운송용으로 사용되면서 부품교체를 용이하게 하도록 통키 및 하부지지대가 분리형으로 된 통스 크레인이 제공된다.
상기 통키 및 하부지지대 분리형 통스 크레인은, 통키 상부측의 고정빔 상부에는 상기 상부 지지대에 설치된 체결기어와 체결축으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체결빔이 장착된 통키의 상부지지대 분리부; 와, 통스가 연결되는 통스크로스빔에는 상기 하부 지지대에 배치된 체결블록으로 이동 체결토록 하부 지지대상의 이동체결축과 연결된 통스의 하부지지대 분리부; 및, 상기 상부 지지대의 하부 양측에 걸이바가 선회 운동토록 제공되어 통스의 하부 지지대 분리시 통스의 훅크에 걸이바가 걸리어 지지되는 통스 걸이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슬라브와 접촉이 반복되어 고장이 손쉽게 발생되는 서포팅블록이 설치된 하부 지지대와 통키를 상부지지대 및 통스에서 간단하게 분리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통스 크레인의 부품 교체를 신속하면서 원활하게 진행하도록 하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통키 및 하부지지대 분리형 통스 크레인{A TONGS CRANE HAVING A REMOVABLE TYPE TONG-KEY AND LOWER SUPPORTING BEAM}
본 고안은 슬라브 운송시 사용되는 통스 크레인(TONGS-CRANE)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외부 충격으로 고장이 손쉽게 발생되는 서포팅블록이 설치된 하부 지지대와 통키를 상부지지대 및 통스에서부터 간단하게 분리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통스 크레인의 부품 교체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진행하도록 하고, 특히 통스 크레인에 의한 슬라브의 운송, 적치 및 공정투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통키 및 하부지지대 분리형 통스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제철공장에서 연속주조공정을 통하여 생산되는 슬라브(SLAB)(주편)의 운송시 사용되는 설비가 통스 크레인인데, 이와 같은 통스 크레인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천정벽체에 설치된 레일(112)을 따라 이동하는 천정크레인(110)의 구동부(120)에 설치된 구동드럼(122)에 의하여 작동하는 와이어로프(124)가 풀리(126)를 통하여 상부지지대(130)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상부지지대(130)와 통스(150)의 크로스빔(152)이 연결되는 하부지지 대 (190)사이에는 통스(150)의 작동시 잠금작동을 하는 통키(160)가 연결된다.
이때, 통키 상부고정빔(140)이 상부지지대(130)에 고정되고, 통키 하부 고정빔(180)은 하부 지지대(190)에 고정되고, 상기 통키 상,하부 고정빔(140) (180)사이에 홀더블록(170)을 개재하여 통키(160)가 연결 배치되며, 상기 통키 상,하부 고정빔(140)(180)에는 링크형태의 보조암(210)이 연결되어 상기 통키(160)는 통스 (150)가 슬라부(S)를 집을때 통스를 풀고 잠그는 록킹동작을 한다.
따라서, 천정크레인(110)이 레일(112)을 따라 이동하다가, 슬라브의 이송시구동드럼(122)으로 작동하는 와이어로프(124)에 의하여 통스(150)가 벌어지거나 좁혀지면서 슬라브를 집어서 권상 운송시키게 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지지대(190)에는 통스(150)가 슬라브(S)를 집어서 운송시킬때, 그 슬라브 매수를 조절하는 서포팅 블록(200)이 제공되고, 이와 같은 서포팅블록(200)은 도면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지만, 연결된 모터(202) 작동시 내부에 배치되고 슬라브 접촉롤(204)이 제공된 승강빔(206)이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슬라브 매수를 조절하도록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통스 크레인(100)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지지대(190)상에 제공되어 슬라브(S)의 매수를 조절하기 위한 필수부품 서포팅블록(200)은 슬라브 매수 조절을 위하여는 슬라브에 접촉롤 (206)이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외부 충격이 가장 빈번하게 가해지는 부품인데, 이와 같은 외부충격을 완충시키는 구조가 없어 이와 같은 서포팅블록 (200)은 손쉽게 고장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통스 크레인(100)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서포팅블록(200)이 설치된 하부지지대(190)와, 통키(160) 및 상부지지대(130)가 고정빔(140)(180)들과 홀더블록(170)을 개재하여 일체로 볼트 연결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서포팅블록(200)들의 부품 보수나 교체작업이 매우 지연되는데, 이는 지지대(130)(190)와 통키(160)등의 분해 작업이 어렵기 때문이다.
결국, 종래 통스 크레인(100)에 있어서는, 서포팅블록(200)등의 부품 보수나 교체작업시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는 통스 크레인의 가동중단으로 이러지고, 통스 크레인을 이용한 슬라브의 운송, 적치 및 공정투입도 지체되어 제조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통키와 상부 지지대 및, 통스와 하부 지지대간의 분리가 용이하여 서포팅블록등의 부품 교체작업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한편, 이를 통한 통스 크레인의 가동율을 향상시키는 통키 및 하부지지대 분리형 통스 크레인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통스 크레인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종래 통스 크레인에서 상,하부 지지대와 통키 연결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통키 및 하부지지대 분리형 통스 크레인을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5는 도 4에서 상부지지대 및, 통키 및 하부지지대간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인 통키 및 하부지지대 분리형 통스 크레인에서 통키의 상부 지지대 분리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인 통키의 상부지지대 분리부를 도시한 상세도
도 8은 본 고안의 통스 크레인에서 분리작동을 위한 전원 연결캡구성을 도시한 상세도
도 9는 본 고안인 통키 및 하부지지대 분리형 통스 크레인에서 통스 걸이부를 도시한 상세도
도 10은 본 고안인 통키 및 하부지지대 분리형 통스 크레인에서 통스의 하부지지대 분리부를 도시한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통키와 하부지지대 분리형 통스크레인
10.... 통키의 상부지지대 분리부
12.... 체결기어 14,36.... 이동체결축
16.... 체결빔 30.... 통스의 하부지지대 분리부
32.... 통스크로스빔 34.... 체결블록
50.... 통스 걸이부 52.... 걸이바
54.... 통스훅크 124.... 천정크레인 와이어로프
130.... 상부 지지대 140.... 상부 고정빔
150.... 통스 160.... 통키
170.... 홀더블록 180.... 하부 고정빔
190.... 하부 지지대 200.... 서포팅블록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천정크레인 와이어로프로서 작동하는 통스가 연결된 상부지지대와, 슬라브 매수를 결정하는 서포팅블록이 설치된 하부지지대 및, 상기 상,하부 지지 및 지지대의 연결을 위한 고정빔사이에 통스의 록킹작동을 위하여 연결되는 통키를 포함하는 통스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통키 상부측의 고정빔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 지지대에 설치된 체결기어와 체결축으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체결빔이 장착되어 상기 통키의 상부지지대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통키의 상부지지대 분리부;
상기 통스가 연결되는 통스크로스빔에는 상기 하부 지지대에 배치된 체결블록으로 이동 체결토록 하부 지지대상의 이동체결축과 연결되어 통스의 하부 지지대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통스의 하부 지지대 분리부; 및
상기 상부 지지대의 하부 양측에 걸이바가 선회 운동토록 제공되어 통스의 하부 지지대 분리시 통스의 훅크에 걸이바가 걸리어 지지되는 통스 걸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통키 및 하부지지대 분리형 통스 크레인을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상부지지대 및, 통키 및 하부지지대간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인 통스 크레인에서 통키의 상부 지지대 분리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인 통키의 상부지지대 분리부를 도시한 상세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통스 크레인에서 분리작동을 위한 전원 연결구성을 도시한 상세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인 통스 크레인에서 통스 걸이부를 도시한 상세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인 통스 크레인에서 통스의 하부지지대 분리부를 도시한 상세도인데, 이하 종래 통스 크레인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부호로서 나타낸다.
도 4 및 도 5에서는 본 고안인 통키 및 하부지지대 분리형 통스 크레인 (1)에서 상부 지지대(130) 및, 통키(160)와 하부지지대(190)간의 분리되기 전과 분리된 후의 상태를 구성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통스 크레인(1)의 구성적 특징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슬라브 매수를 조정하는 서포팅블록 (200)등의 부품등이 외부충격과 같은 여러 요인으로 파손되어도 상기 서포팅블록(200)이설치된 하부 지지대(190)와 통키(160)의 상부지지대(130) 및, 통스(150)와 하부지지대(190)간의 분리도 용이하게 하여, 전체적으로 통스 크레인 (1)에서 부품손상이 발생되면 그 보수나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본 고안의 통스 크레인(1)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천정크레인 와이어로프(124)로서 작동하는 풀리(126)와 통스(150)의 상단부가 연결된 상부지지대(130)와, 슬라브 매수를 결정하는 서포팅블록(200)등이 설치된 하부지지대 (190) 및, 상기 상,하부 지지 및 지지대(130)(190)사이에 통스(150)의 잠금작동을 위한 통키(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와 같은 상,하부 지지대 (130)(190)와 통키(160) 및 실질적으로 슬라브 운송을 가능하게 하는 통스(150)는 종래 통스크레인(100)과 동일한 구성이다.
한편,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통키 및 하부지지대 분리형 통스 크레인(1)은, 크게 통키의 상부지지대 분리부(10)와 통스의 하부지지대 분리부(30) 및, 통스 걸이부(50)로 나누어 질 수 있는데, 이들 구성부(10) (30)(50)들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통키의 상부 지지대 분리부(10)는, 상기 통키(160)의 상부에 연결되는 통키 상부 고정빔(140)의 상부에 체결빔(16)이 연결되고, 이와 같은 체결빔(16)은 상기 상부 지지대(130)에 설치된 체결기어(12)와 체결축(14)으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통키(160)를 상부지지대(130)에서 부터 분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통스의 하부지지대분리부(30)는, 상기 통스(150)가 연결되는 통스크로스빔(32)에는 상기 하부 지지대 (190)에 배치된 체결블록(34)으로 이동 체결토록 하부 지지대(190)상의 이동체결축 (36)과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통스의 하부지지대 분리부(30)에 의하면, 통스 크레인에서 충격이 가장 많이 가해지는 서포팅블록(200)이 하부 지지대(190)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하부 지지대(190)상의 여러 부품들이 상부 지지대보다는 더 많이 배치되고, 보수 및 부품교체작업이 보다 많이 발생되므로, 하부 지지대를 통스와 분리시키어 이들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다음,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통키 및 하부지지대 분리형 통스 크레인(1)에서 상기 통스 걸이부(50)는, 상기 상부지지대(30)의 하부 양측에 걸이바(52)가 선회 운동토록 제공되어 통스의 하부 지지대 분리시 통스의 훅크(54)에 걸이바(52)가 걸리어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통스 걸이부(50)는, 통키(160)가 상부 지지대(130)와 분리된 상태에서 하부지지대(190)를 통스 구체적으로는 통스크로스빔(32)과 분리시키기 전에 먼저, 통스(150)가 추락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통스 훅크(54)에 상부 지지대(130)측의 걸이바(52)를 걸어서 안정적으로 지지시키는 것이다.
한편, 이하의 도 6 내지 도 10에서는 상기 각각의 구성부(10)(30)(50)를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는데, 이 도면들을 따라 상기 구성부(10)(30)(50)들의 세부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 및 도 7에서는 상기 통키의 상부지지대 분리부(10)를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는데, 먼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지지대(190)에 통과하여 볼 트 (192)로서 통키 하부고정빔(180)이 연결 고정되고, 이와 같은 통키 하부고정빔 (180)에는 보조암(210)의 하부와 통키(160)의 홀더블록(180)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통키(160)의 상부 고정빔(140)에는 중앙에 체결홈(16a)이 형성된 체결빔(16)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고정빔(140)에는 상기 보조암(210)의 상부가 연결되고, 상기 체결빔(16)은 상부 지지대(130)를 통과하여 다음에 설명하는 이동체결축(12)이 체결홈(16a)에 체결될때, 상부 지지대(130)에 연결 고정되게 된다.
한편, 상기 통키(160)를 상부지지대(130)와 연결하는 체결빔(16)의 일측에는 다음에 설명하는 통스의 하부지지대 분리부(30) 및 통스 걸이부(50)에서 이동체결축등의 구동을 위한 모터와 서포팅블록(200)의 모터(202) 구동을 위한 전원공급용으로 서로 협력하여 접속되는 경우 전원이 통하는(인가되는)전원 연결캡(18)(20)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때 하측의 전원연결캡(20)에 연결된 전원케이블(23)은, 상기 통키 상,하부 고정빔(140)(180)사이에 연결된 보조암(210)을 따라 플렉시블하게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다음의 도 7에서 다시 상세하게 설명하듯이, 상기 체결빔(16)은 성부 지지대(130)에 부분적으로 안착되어 지지되는 체결기어(12)가 그 외접부에 체결되게 되고, 이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별도의 부호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 체결빔(16)과 체결기어(12)의 외접 및 내접부에는 기어홈들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통키(160)상측의 상부 고정빔(140)과연결되는 상기 체결빔(16)이 상부 지지대(130)에서 분리되거나 고정되는 상태에 따라 하부지지대(190)상의 통키(160)와 상부지지대(130)의 연결이 결정되는 것이다.
다음,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지지대(130)에 전후 및 좌우측으로 배치된 다수의 하부베어링(24a)에 수직한 기어(24)들이 연결되고, 상기 기어(24)의 상부측에 배치된 상부베어링(24b)는 체결기어(12)를 감지하는 센서 (26a)가 내장된 지지대(26)가 장착되며, 상기 지지대(26)의 중앙부에 하측에는 체결기어 스톱퍼(26b)가 고정 부착된다.
이때, 상기 다수의 기어(24)중 하나에는 지지대(26)상에 고정된 모터(28)의 축이 상부베어링(24b)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기어(24)에 내접하여서는 상기 통키 체결빔(16)에 체결되는 체결기어(12)가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모터(28)가 구동하면 상기 기어 (24)들과 내접되는 체결기어(12)는 회전 하강하면서 상기 체결빔(16)의 외접부에 형성된 기어와 맞물리면서 체결빔(16)은 체결기어(12)로서 지지 고정되게 된다.
다음,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지지대(30)의 일측에 설치된 기어박스(14a)를 통하여 이동체결축(14)이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기어박스 (14a)에는 모터(14b)의 축이 연결된다.
따라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모터(14b)가 구동하면 상기 기어박스(14a)상의 이동체결축(14)은 전진하거나 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후진하여 상기 통키상의 체결빔(160)에 형성된 체결홈(16a)에 끼워지게 된다.
결국, 도 6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기어(12)와 이동체결축(14)이 모터들의 작동으로 통키(160)의 상부 고정빔(140)과 연결되는 체결빔(16)을 고정하면 통키와 상부지지대(130)는 연결 고정되어 통스 크레인의 조업이 수행되고, 반대로 체결기어(12)와 이동체결축(14)이 체결빔(16)에서 분리되면 통키(160)와 상부지지대(130)가 분리되어 부품교체등의 보수유지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이때,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지지대(130)에서 체결빔(16)이 통과하는 내측에는 체결기어(12)가 하강한 상태를 감지하여 체결기어(12)와 체결빔 (16)의 체결을 확인하는 체결기어 감지를 위한 근접센서(29a)와 통키상의 체결빔 (16)이 상부지지대(130)를 통과한 상태를 감지하는 체결빔 감지를 위한 다른 근접센서(29b)들이 설치되어 있다.
다음, 도 6 및 도 8에서는 상기 접속형 전원연결캡(18)(20)을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즉, 도 6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지지대(130)의 일측으로 전원투입용 연결캡(18)이 설치되고 그 내측에 전원선 보호대(18a)가 부착되고, 그 내측에 전원선(18b)이 끼워지고, 이 전원선(18b)의 각 단자선(18b')의 끝단에는 하측의 연결캡(20)과 접촉하면 전원을 투입하는 통전볼(18c)이 연결된다.
그리고, 도 6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빔(16)의 단부에 배치된 다른 연결캡(20)은, 그 내측에 전원선 보호대(20a)가 부착되고, 그 내측에 전원선(20b)이 끼워지며, 전원선(20b)의 각 단자선(20b')의 끝 단에는 상측의 상부지지대(130)상의 전원투입용 연결캡(18)과 접촉하면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통전홈(20c)들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6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통키측의 체결빔(16)이 상부지지대(130)상의 체결기어(12)와 이동체결축(14)으로 연결 고정되는 상태에서는 각 연결캡(18)(20)이 접속되어 전원은 케이블(23)을 따라 하부지지대(190)상의 서포팅블록(200)과 다른 이동체결축등의 모터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고, 통키 체결빔(16)이 상부지지대(130)에서 분리되는 순간 전원 연결캡(18)(20)의 접속도 끊어져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다음, 도 9에서는 본 고안인 통키 및 하부지지대 분리형 통스 크레인(1)의 상기 통스 걸이부(50)를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키(160)상의 체결빔(16)이 상부 지지대(130)상의 체결기어(12)와 이동체결축(14)과 분리되어 통키(160)가 상부 지지대(130)에서 분리되면, 실질적으로 슬라브(S)들을 집어서 운송시키는 통스 (150)는 그 지지기반이 상실되게 되므로, 도 9의 통스 걸이부(50)는 통키와 상부지지대간의 분리전에 먼저 통스를 걸어서 지지하도록 한 것이다.
즉,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통스(20)의 측면부 중앙측에는 한쌍의 혹크(54)가 미리 고정되어 있고, 이에 통키와 상부지지대 분리시 걸이바 (52)가 연결 고정되면서 통스(150)는 지지되게 된다.
한편,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지지대(30)의 내부 중앙측에에는 기어박스(56)가 설치되고, 상기 기어박스(56)에는 구동모터(56a)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기어박스(56)의 상측에는 체인벨트(58a)(58b)가 연결 되어지며, 상기 체인벨트(58)는 걸이바(52)의 축(52a)과 일체화된 기어(52b)에 체결되며, 상기축(52a)에는 베어링(52c)이 끼어져 상부지지대(130)에 고정되고, 상기 기어(52b)에는 걸이바(52)의 수직바(52d)가 부착되며, 상기 수직바(52d)에는 수평바(52e)가 부착된다.
따라서,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모터(56a)가 구동하면 체인벨트 (58)들에 의하여 상부지지대(130)의 양측 걸이바(52)중 수평 걸이바(52e)가 선회 이동하여 통스(150)의 중앙측에 설치된 훅크(54)에 걸리어 고정되면서 통스의 걸이작동이 수행되고, 이는 통키(160)의 체결빔(16)이 상부지지대(130)의 체결기어(12)와 이동체결축(14)과 분리되어도 통스(15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한다.
다음, 도 10에서는 상기 통스와 하부지지대 분리부(30)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지지대(190)에 모터(38a)가 연결되는 기어박스(38)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기어박스(38)에는 모터 구동시 수평하게 전진 및 후진하는 이동체결축(36)이 체결 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하부지지대(190)에 파여진 홈에는 한쌍의 체결블록(34)이 핀(34a)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통스(160)에 연결되어 통스를 고정하는 통스 크로스빔(32)에는 상기 체결블록(34)과 맛물려지는 한쌍의 보조가로빔(40)이 편심되어 아이들상태로 연결된다.
따라서,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통키(160)와 상부지지대(130)가 분리되고, 통스(160)가 걸리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통스의 하부지지대 분리부(30)의 모터(28a)를 구동시키면 이동체결축(36)이 통스를 연결하는 통스크로스빔(32)에 체결 또는 이탈되는 작동으로, 통스 크로스빔(152)과 하부 지지대 (190)의 분리가 용이하게 수행된다.
결국,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샅이, 상부지지대(130)와 통스(150)에서 부터 통키(160)가 연결된 하부지지대(190)가 신속하게 분리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면서, 하부 지지대(190)상의 서포팅블록(200)과 같은 부품교체나 보수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본 고안인 통키 및 하부지지대 분리형 통스 크레인(1)의 전체 작용을 정리하면, 도 4 내지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통스 크레인(1)의 천정 크레인(110) 운전자는 통키(160)나 서포팅블록(200)의 이상이 발생되면, 작업대등에 통스(150)를 안착시킨다.
이때, 도 9의 모터(56a)를 구동시켜 체인벨트(58a)(58b)로서 걸이바(2)의 기어(52b)가 회전하면 걸이바(52)의 수평바(52e)가 이동하여 통스(150)에 부착된 훅크(54)에 걸리어 지지된다.
다음, 도 7 및 도 10의 모터(14b)(38b)가 구동되어 이동체결축(14)(36)을 각각 후진시키면, 통키(160)상의 체결빔(16)과 통스(150)에 연결된 통스크로스빔 (32)과 상기 이동체결축(14)(36)들이 분리된다.
그리고,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지지대(130)상의 다른 모터 (28)가 작동되면, 기어(24)들이 회전하면서 체결기어(12)는 지지대(26)측으로 회전 상승되어 통키 체결빔(16)에서 이탈된다.
즉, 통키(160)와 하부지지대(190)가 분리 대기 상태가 되면, 상부지지대 (130)와 이에 걸이바(52)로 걸려진 통스(150)는 와이어로프(124)로서 권상되고, 하부지지대(190)만이 작업대상에 남고, 이때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은 접속형 연결캡(18)(20)의 분리로 자동 차단되게 된다.
따라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지지대(190)상의 통키 체결빔 (16)이 상부지지대(130)에서 분리되면서 통스의 크로스비임(32)도 하부지지대 (190)와 분리되고, 이는 결국 통스 크레인에서 외부 충격이 가장 빈번하게 가해지는 통키와 서포팅블록(200)이 배치된 하부지지대(190)의 분리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상기 부품들의 교체와 같은 보수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다음, 지금까지 설명한 역순으로 통키(160)를 상부지지대(130)와 연결하고, 하부 지지대(190)상에 통스 크로스비임(32)을 연결시키면 통스 크레인의 재작동이 바로 수행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인 통키 및 하부지지대 분리형 통스 크레인에 의하면, 통키를 포함하는 통키 블록과 하부 지지대를 분해가 용이하게 조립하면서 세트화하여 교체시간을 단축시킴으로서, 통스 크레인에서 충격으로 인한 보수유지가 가장 빈번한 서포팅블록은 물론, 하부 지지대의 보수 및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전체적인 통스 크레인의 보수시간을 단추시키고 그 가동율을 향상시키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5)

  1. 천정크레인 와이어로프(124)로서 작동하는 풀리(126)와 통스(150)가 연결된 상부지지대(130)와, 슬라브 매수를 결정하는 서포팅블록(200)이 설치된 하부지지대 (190) 및, 상기 상,하부 지지 및 지지대(130)(190)의 연결을 위한 고정빔(140) (180)사이에 통스(150)의 잠금작동을 위하여 연결되는 통키(160)를 포함하는 통스 크레인(1)에 있어서,
    상기 통키 상부측의 고정빔(140)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 지지대(130)에 설치된 체결기어(12)와 이동체결축(14)으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체결빔(16)이 장착되어 상기 통키의 상부지지대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통키의 상부지지대 분리부 (10);
    상기 통스(150)가 연결되는 통스크로스빔(32)에는 상기 하부 지지대(190)에 배치된 체결블록(34)으로 이동 체결토록 하부 지지대(190)상의 이동체결축(36)과 연결되어 통스의 하부 지지대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통스의 하부지지대 분리부 (30); 및
    상기 상부 지지대(30)의 하부 양측에 걸이바(52)가 선회 운동토록 제공되어 통스의 하부 지지대 분리시 통스의 훅크(54)에 걸이바(52)가 걸리어 지지되는 통스 걸이부(50);
    로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키 및 하부 지지대 분리형 통스 크레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키와 상부 지지대 분리부(10)의 상기 체결기어 (12)는, 상기 상부지지대(130)에 전후 및 좌우측으로 배치된 다수의 하부베어링 (24a)에 수직한 기어(24)들의 내접부에 체결되고, 상기 기어(24)의 상부측에 배치된 상부베어링(24b)에는 지지대(26)가 장착되고, 상기 지지대(26)에는 상기 다수의 기어들(24)중 하나와 연결되는 모터(28)가 연결되며,
    상기 체결빔(16)에 형성된 홈(16a)에 삽입 체결되는 상기 이동체결축(14)은, 상기 상부지지대(30)의 일측에 설치되고 모터(14b)가 연결된 기어박스(14a)에 수평하게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키 및 하부지지대 분리형 통스 크레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키와 상부지지대 분리부(10)는, 상부지지대(130)와 체결빔(16)에 각각 제공되어 하부지지대(130)상의 서포팅블록(200)의 모터등의 구동을 위한 전원공급을 조정하는 접속형 전원연결캡(18)(20)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키 및 하부지지대 분리형 통스 크레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스의 하부지지대 분리부(30)의 상기 이동체결축 (36)은 상기 하부지지대(190)에 모터(38a)가 연결되도록 설치된 기어박스(38)에 수평하게 체결되고, 상기 체결블록(34)은 상기 하부지지대(190)에 파여진 홈에 핀 (34a)으로 연결되어 상기 통스에 연결된 상기 통스 크로스빔(32)에는 상기 체결블록(34)과 맛물려지는 상기 이동체결축(36)이 연결 및 분리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키 및 하부지지대 분리형 통스 크레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스 걸이부(50)의 훅크(54)는 통스(150)의 중앙측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지지대(30)의 내부 중앙측에는 구동모터(56a)가 연결된 기어박스(56)가 설치되고, 상기 기어박스(56)의 상측에 연결된 체인벨트 (58a)(58b)에는 상기 걸이바(52)의 축(52a)과 일체화된 기어(52b)에 체결되며, 상기 축(52a)에는 베어링(52c)이 끼워져 상부지지대(130)에 고정되고, 상기 기어(52b)에는 걸이바 (52)의 수직바(52d)가 부착되며, 상기 수직바(52d)에는 수평바(52e)가 부착되어 상기 수평바(52e)가 통스 훅크(54)에 걸이어 고정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키 및 하부지지대 분리형 통스 크레인
KR20-2003-0038825U 2003-12-12 2003-12-12 통키 및 하부지지대 분리형 통스 크레인 KR2003434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825U KR200343415Y1 (ko) 2003-12-12 2003-12-12 통키 및 하부지지대 분리형 통스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825U KR200343415Y1 (ko) 2003-12-12 2003-12-12 통키 및 하부지지대 분리형 통스 크레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3415Y1 true KR200343415Y1 (ko) 2004-02-27

Family

ID=49343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8825U KR200343415Y1 (ko) 2003-12-12 2003-12-12 통키 및 하부지지대 분리형 통스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3415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569A (ko) 2015-04-16 2016-10-26 (유)태상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통 크레인
KR20160134203A (ko) * 2015-05-15 2016-11-23 (주)한성중공업 가변형 슬래브 통의 연동장치
KR20170005229A (ko) * 2015-07-01 2017-01-12 주식회사 포스코 운송장치
KR101768619B1 (ko) * 2016-02-16 2017-08-17 주식회사 성진이앤아이 슬라이딩 타입 통키 어셈블리
KR20210047669A (ko) * 2019-10-22 2021-04-30 주식회사 포스코 지금 제거 장치 및 지금 제거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569A (ko) 2015-04-16 2016-10-26 (유)태상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통 크레인
KR20160134203A (ko) * 2015-05-15 2016-11-23 (주)한성중공업 가변형 슬래브 통의 연동장치
KR101708184B1 (ko) 2015-05-15 2017-02-20 (주)한성중공업 가변형 슬래브 통의 연동장치
KR20170005229A (ko) * 2015-07-01 2017-01-12 주식회사 포스코 운송장치
KR101726053B1 (ko) * 2015-07-01 2017-04-12 주식회사 포스코 운송장치
KR101768619B1 (ko) * 2016-02-16 2017-08-17 주식회사 성진이앤아이 슬라이딩 타입 통키 어셈블리
KR20210047669A (ko) * 2019-10-22 2021-04-30 주식회사 포스코 지금 제거 장치 및 지금 제거 방법
KR102294057B1 (ko) 2019-10-22 2021-08-26 주식회사 포스코 지금 제거 장치 및 지금 제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59751B (zh) 翻转设备
KR200343415Y1 (ko) 통키 및 하부지지대 분리형 통스 크레인
KR102208553B1 (ko) 알루미늄 인고트 연속주조장치
CN101823257A (zh) 多功能大型机械手臂
CN110923601A (zh) 加锌装置及自动加锌锭系统
CN105752865A (zh) 更换磨机衬板的装置
CN210333781U (zh) 冷床矫直板装置
KR100530588B1 (ko) 용선로용 래들의 슬래그 제거장치
KR101053319B1 (ko) 버켓 탑재장치
CN105033600B (zh) 磨机衬板拆装辅助工具及其工作方法
CN209109845U (zh) 一种新型中宽带钢辊系拆装机械手
KR200309069Y1 (ko) 용선로용 래들의 슬래그 제거장치
CN110835057A (zh) 一种具有支撑机构的汽车生产线用输送装置
KR100518316B1 (ko) 연속주조설비의 더미바 분리장치
CN218560080U (zh) 一种皮带机卸载滚筒断轴后防断皮带装置
KR100851876B1 (ko) 레이들의 탑렌스 투입장치
KR200184852Y1 (ko) 용선 슬래그 배재기의 패들 조립장치
JPS5851764B2 (ja) 竪形圧延機におけるロ−ル組替装置
CN218320315U (zh) 一种预制件吊运装置
KR100782723B1 (ko) 빌레트 제조용 더미바 헤드 크롭 자동분리장치
CN211248294U (zh) 一种铸件浇冒口液压破碎机
CN112944922B (zh) 一种环式冷却机受料溜槽更换的方法
CN211338584U (zh) 一种具有支撑机构的汽车生产线用输送装置
CN218619903U (zh) 一种抓斗支持绳链条防卡装置
CN218808559U (zh) 一种铝合金铸件生产用传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