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3199A - 3차원 통수부를 구비한 배수재용 코어 - Google Patents

3차원 통수부를 구비한 배수재용 코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3199A
KR20160123199A KR1020150054867A KR20150054867A KR20160123199A KR 20160123199 A KR20160123199 A KR 20160123199A KR 1020150054867 A KR1020150054867 A KR 1020150054867A KR 20150054867 A KR20150054867 A KR 20150054867A KR 20160123199 A KR20160123199 A KR 20160123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partition
partition plate
water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4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7858B1 (ko
Inventor
배진화
배승환
Original Assignee
배진화
배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진화, 배승환 filed Critical 배진화
Priority to KR1020150054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858B1/ko
Publication of KR20160123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3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02D3/103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by installing wick drains or sand ba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를 수용하여 길이 방향으로 배수하는 배수재용 코어에 있어서, 상기 코어를 두께 방향으로 구획하는 구획판과, 상기 구획판의 외측에서 코어의 길이 방향으로 유체를 안내하는 격벽과, 상기 격벽과 구획판에 동시에 천공되어 유체의 3차원 방향 유동을 가능하게 하는 다수 통수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3차원 통수부를 구비한 배수재용 코어{A Core for drain board having a three dimensional waterway}
본 발명은 3차원 통수부를 구비한 배수재용 코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재의 길이 방향으로 간극수의 유동을 안내하는 격벽 일측에 통수부를 형성하되, 격벽의 두께보다 큰 크기를 갖도록 천공하여 배수재 내부에서 간극수의 3차원 유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배수 능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3차원 통수부를 구비한 배수재용 코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배수재를 두께 방향으로 구획하는 구획판 및 격벽을 동시에 관통하는 3차원 통수부를 구비함으로써 통수부의 개수를 최소화하여 강도 저하를 최소화하면서도 배수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3차원 통수부를 구비한 배수재용 코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코어의 내부에 미세토립자가 적재되더라도 통수부에 의해 우회 배수로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통수능력의 급격한 저하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도록 한 3차원 통수부를 구비한 배수재용 코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공사의 지층이 지중수를 함유한 연약지반인 경우에는 먼저 그 토양의 지중수를 배출시키고 지반을 압밀침하 시킨 후 기초공사를 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연약지반의 공사단계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지중수를 배출하도록 할 수 있는데,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자갈과 모래를 지층에 깔고 이를 성토함으로써 지층의 지중수를 빼내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드레인 보드라고 불리우는 배수재를 이용하여 지층의 지중수를 배출하는 기술이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드레인 보드는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되는 다양한 형상의 드레인 보드가 시판되고 있으며, 재질적인 측면에서 모래보다 많이 저렴하고, 성능적인 측면에서도 효율이 높아 건설현장에서 많이 채택되고 있다.
이러한 드레인 보드는 먼저 수직배수라하여, 지층에 수직배수재를 복수개 삽입하고, 토양의 무게에 의해 올라오는 지중수를 상부로 배출토록 하는 기술이 이용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이러한 수직배수재와 함께 수평배수재가 설치되어 수직배수로부터 올라온 지중수를 수평으로 이동시켜 집수정으로 모으거나 측구 배수로로 배출시키는 기술이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수평배수재는 수평방향으로의 지중수 배수를 위해 수직배수재가 올라오는 지점을 따라 설치됨으로써 수직배수재에 의해 올라온 물을 모두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도 1과 같이 종래의 배수재는 중앙플레이트(4)의 상/하면에 다수의 격벽(5a)(5b)이 길이 방향으로 각각 돌출형성되어 있는 심재(3)와, 상기 심재(3)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필터재(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드레인보드(1)를 연약지반 내부에 연직으로 삽입 설치하게 되면 토양은 필터재(2)에 걸리게 되고 토양 내부에 포함된 간극수만이 필터재(2)를 통과하여 필터재(2)와 심재(3)의 격벽(5a)(5b)과 중앙플레이트(4)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공간부에 저장되며, 이렇게 저장된 간극수는 모세관현상에 의해 드레인보드(1)의 상단부로 상승하여 지표면으로 배출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3681호에는 도 2와 같이 심재의 내부에 다수의 격벽을 형성하되, 격벽의 외측에 평탄지지부를 구비하여 배수공이 토압에 의해 함몰되지 않도록 한 드레인보드의 코어재가 게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73777호에는 도 3과 같이 NW형태의 단면 구조를 갖는 코어를 구비한 드레인보드 배수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은 상/하부가 서로 연통하지 않는 폐쇄형이므로 상/하 방향의 배수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고, 도 4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46612호에는 복수의 상면유입홀(12), 측면유입홀(22) 및 저면유입홀(23)을 형성한 배수용 드레인보드가 개시되어 있고, 도 5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52088호에는 가이드리브(31) 사이에 다수개의 배수홀(40)을 천공한 수평 드레인보드가 개시되어 있으며, 도 6과 같이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공개번호 20-2008-0002382호에는 삼각형태의 유수공간과 천공홀을 가진 드레인 보드 코어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간극수의 유동을 안내하기 위한 홀이 하나의 구성요소만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간극수의 유동량을 극대화하는데 문제점이 있으며,전(全)방향 유동이 불가능한 문제점도 가진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간극수의 유동량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홀을 보다 많이 천공시켜야 하므로 구조적 강도를 저하시키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뿐만 아니라, 드레인보드 내부에 미세토립자가 적층되는 경우, 유로가 막혀 통수능력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재의 길이 방향으로 간극수의 유동을 안내하는 격벽 일측에 3차원 통수부를 형성하되, 격벽의 두께보다 큰 크기를 갖도록 천공하여 코어 내부에서 간극수의 3차원 유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배수 능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3차원 통수부를 구비한 배수재용 코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3차원 통수부가 배수재를 두께 방향으로 구획하는 구획판 및 격벽을 동시에 관통할 수 있도록 천공 형성함으로써 통수부의 개수를 최소화하여 강도 저하를 최소화하면서도 배수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3차원 통수부를 구비한 배수재용 코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코어의 내부에 미세토립자가 적재되더라도 통수부에 의해 우회 배수로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통수능력의 급격한 저하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도록 한 3차원 통수부를 구비한 배수재용 코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유체를 수용하여 길이 방향으로 배수하는 배수재용 코어에 있어서, 상기 코어를 두께 방향으로 구획하는 구획판과, 상기 구획판의 외측에서 코어의 길이 방향으로 유체를 안내하는 격벽과, 상기 격벽과 구획판에 동시에 천공되어 유체의 3차원 유동을 가능하게 하는 다수 통수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수부는, 상기 구획판 일부를 절제(切除)하여 형성된 구획판절제부와, 상기 격벽 일부를 절제(切除)하여 형성된 격벽절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획판절제부와 격벽절제부는 동일한 직선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격벽절제부는 격벽의 두께와 대응하는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획판절제부는 격벽의 두께 이상의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통수부를 구비한 배수재용 코어에서는, 코어의 길이 방향으로 간극수의 유동을 안내하는 격벽 일측에 통수부를 형성하되, 격벽의 두께보다 큰 크기를 갖도록 천공하여 코어 내부에서 간극수의 3차원 유동을 가능하게 하였다.
따라서 배수 능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3차원 통수부가 코어를 두께 방향으로 구획하는 구획판 및 격벽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천공 형성함으로써 통수부의 개수를 최소화하여 강도 저하를 최소화하면서도 배수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코어의 내부에 미세토립자가 적재되더라도 통수부에 의해 우회 배수로가 형성되므로 통수능력의 급격한 저하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탄성배수재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3681호에 개시된 드레인보드의 코어재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73777호에 개시된 드레인보드 배수재의 구조를 보인 부분확대도.
도 4 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46612호에 개시된 배수용 드레인보드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 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52088호에 개시된 수평 드레인보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 은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공개번호 20-2008-0002382호에 개시된 유수공간과 천공홀을 가진 드레인 보드 코어재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3차원 통수부를 구비한 배수재용 코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3차원 통수부를 구비한 배수재용 코어의 사용 상태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3차원 통수부를 구비한 배수재용 코어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3차원 통수부를 구비한 배수재용 코어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 상태도.
도 11 내지 도 14 는 본 발명에 의한 3차원 통수부를 구비한 배수재용 코어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용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3차원 통수부(122)를 구비한 배수재용 코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3차원 통수부(122)를 구비한 배수재용 코어의 사용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먼저 도면과 같이 배수재(100)는 유체, 예컨대 간극수를 길이 방향으로 배수하기 위한 것으로서, 토사와 접촉하면서 유체만 선택적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필터재(140)와, 상기 필터재(140) 내부에 위치하여 필터재(140)를 통과한 유체를 길이 방향으로 안내하는 코어(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터재(140)는 코어(120)와 토사의 접촉을 차단하면서, 유체만 선택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코어(120)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며 미세한 구멍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어(120)는 상/하 면에 돌기가 다수 형성되어 있는 판 형상을 가지며, 다수의 층이 적층되어 사용될 수도 있고, 필터재(140) 내부에 단일로 수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코어(120)의 개수는 유체의 배수량이나 배수재(100)의 설치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적용 가능하다.
상기 코어(120)에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통수부(122)가 구비된다. 상기 통수부(122)는 필터재(140)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코어(120)의 길이 방향으로 유동할 때 코어(120)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 즉 3차원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통수부(122)는 코어(120)에 다수개 형성되어 유체의 안내를 원활하게 하며, 도 7과 같이 규칙적인 배열을 갖도록 하여 강도 저하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코어(12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도 9에는 본 발명에 의한 3차원 통수부(122)를 구비한 배수재용 코어(120)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상기 통수부(122)는 코어(120)를 상면에서 봤을 때 투영면적과 대응하는 판 형상의 구획판(125)과, 상기 구획판(125)의 상/하면에서 외측 방향(코어(120)의 두께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돌출되고 코어(1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격벽(12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획판(125)은 코어(120)의 중앙에 위치하여 상/하로 구획하는 것으로, 다수의 격벽(127)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필터재(140)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여 유체의 유동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구획판(125)의 상/하면에는 등간격으로 격벽(127)이 형성된다. 상기 격벽(127)은 구획판(125)의 상/하부측에 위치한 유체를 코어(120)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구성으로, 동일한 두께 및 높이를 가지며 등간격으로 이격 형성된다.
상기 격벽(1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동일한 두께 및 높이를 가지고 등 간격 이격배치되도록 구성하였으나, 배수재(100) 설치 환경을 고려하여 서로 다른 높이 및 두께를 가질 수도 있으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상기 코어(120)에는 전술한 통수부(122)가 구비된다. 상기 통수부(122)는 격벽(127)과 구획판(125)을 동시에 천공하여 구획판(125)의 상/하측이 서로 연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구획판(125) 일부를 절제(切除)하여 형성된 구획판절제부(123)와, 상기 격벽(127) 일부를 절제(切除)하여 형성된 격벽절제부(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구획판절제부(123)는 상/하측에 위치한 격벽절제부(124)와 동일한 직선상에 위치하며, 구획판(125)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하나에만 격벽(127)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구획판절제부(123)와 격벽절제부(124)가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범위 내라면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크기로 통수부(122)를 천공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통수부(122)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격벽절제부(124)는 얇은 두께를 갖는 벽 형태의 격벽(127) 일부를 완전히 절제하여 격벽(127)의 좌/우가 개방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이며, 상기 구획판절제부(123)는 상/하측에 형성된 격벽절제부(124)가 서로 연통할 수 있도록 구획판(125) 일부를 절제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구획판절제부(123)는 격벽절제부(124)의 두께 이상의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구획판절제부(123)는 격벽절제부(124)를 따라 좌/우로 유동하는 유체가 상/하방향(코어(120)의 두께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격벽(127)의 두께 이상의 폭을 갖도록 천공된다.
이것은 상기 코어(120)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가 코어(120)의 상/하방향 및 좌/우 방향 및 전/후방향 즉, 3차원 방향으로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만일 상기 구획판절제부(123)의 폭이 격벽절제부(124)의 두께보다 작다면, 구획판(125) 상측의 유체는 격벽절제부(124)와 구획판절제부(123)를 통해 하측 방향으로 유동하더라도 구획판(125)에 의해 갇혀 좌/우 방향으로 유동할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획판절제부(123)는 격벽(127)의 두께 이상의 폭을 갖도록 절제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배수재(100)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0에는 본 발명에 의한 3차원 통수부(122)를 구비한 배수재용 코어(120)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8과 같이 상기 필터재(140) 내부에 코어(120)가 수용된 배수재(100)를 현장에 설치하여 유체를 포함하는 토사와 접촉하게 되면, 토사는 필터재(140)에 의해 필터링되며 유체는 필터재(140)를 관통하여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필터재(140) 내부로 유입된 유체는 코어(120)와 접촉하게 되며, 코어(120)의 길이방향으로 안내된다.
이때 상기 코어(120)의 길이 방향으로 유동하던 유체는 통수부(122)를 통해 코어(120)의 두께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자유롭게 유동이 가능하다.
즉, 도 10에 도시된 확대도의 화살표와 같이, 2층으로 적층된 코어(120) 중 상측에 위치한 코어(120)의 상면을 따라 유동하는 유체는 격벽절제부(124)를 통해 좌/우 방향으로 우동이 가능하며, 구획판절제부(123)를 따라 하측 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구획판절제부(123)를 따라 하측 방향으로 유동한 유체는 다시 좌/우 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하게 되어 3차원 방향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코어(120)는 상/하로 구획하는 구획판(125)과, 구획판(125) 상/하면에 돌출된 다수 격벽(127)을 포함하는 구조를 예로 들었으나, 코어(120)의 길이 방향으로 유동하는 유체가 코어(120)의 두께 및 폭 방향으로 동시에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통수부(122)를 형성할 수 있는 범위 내라면 도 11 내지 도 14와 같이 다양한 형상의 코어(120)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3차원 통수부(122)를 구비한 배수재용 코어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들 도면과 같이 상기 통수부(122)는 코어(12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유체가 코어(120)의 길이 방향 뿐만 아니라 코어(120)의 두께 방향 및 폭 방향으로도 유동 가능하게 한 범위 내라면 다양한 구조의 코어(120)에 대하여 적절한 위치에 천공 형성될 수 있다.
100. 배수재 120. 코어
122. 통수부 123. 구획판절제부
124. 격벽절제부 125. 구획판
127. 격벽 140. 필터재

Claims (5)

  1. 유체를 수용하여 길이 방향으로 배수하는 배수재용 코어에 있어서,
    상기 코어를 두께 방향으로 구획하는 구획판과,
    상기 구획판의 외측에서 코어의 길이 방향으로 유체를 안내하는 격벽과,
    상기 격벽과 구획판에 동시에 천공되어 유체의 3차원 방향 유동을 가능하게 하는 다수 통수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통수부를 구비한 배수재용 코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수부는,
    상기 구획판 일부를 절제(切除)하여 형성된 구획판절제부와,
    상기 격벽 일부를 절제(切除)하여 형성된 격벽절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통수부를 구비한 배수재용 코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절제부와 격벽절제부는 동일한 직선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통수부를 구비한 배수재용 코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절제부는 격벽의 두께와 대응하는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수부를 구비한 배수재용 코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절제부는 격벽의 두께 이상의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수부를 구비한 배수재용 코어.
KR1020150054867A 2015-04-15 2015-04-15 3차원 통수부를 구비한 배수재용 코어 KR101697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867A KR101697858B1 (ko) 2015-04-15 2015-04-15 3차원 통수부를 구비한 배수재용 코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867A KR101697858B1 (ko) 2015-04-15 2015-04-15 3차원 통수부를 구비한 배수재용 코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199A true KR20160123199A (ko) 2016-10-25
KR101697858B1 KR101697858B1 (ko) 2017-01-18

Family

ID=57446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4867A KR101697858B1 (ko) 2015-04-15 2015-04-15 3차원 통수부를 구비한 배수재용 코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8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4576B1 (ko) * 2021-01-12 2021-08-02 주식회사 이디아이글로벌 전방향 배수 구조를 가지는 실린더형 코어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7429U (ko) * 1988-05-18 1989-11-24
JPH05311636A (ja) * 1992-05-01 1993-11-22 Okumura Corp 地盤改良用ドレーン材
KR940006419Y1 (ko) * 1992-04-14 1994-09-24 윤윤모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7429U (ko) * 1988-05-18 1989-11-24
KR940006419Y1 (ko) * 1992-04-14 1994-09-24 윤윤모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판
JPH05311636A (ja) * 1992-05-01 1993-11-22 Okumura Corp 地盤改良用ドレーン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4576B1 (ko) * 2021-01-12 2021-08-02 주식회사 이디아이글로벌 전방향 배수 구조를 가지는 실린더형 코어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7858B1 (ko) 201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6264B1 (ko) 전처리 일체형 조립식 빗물 침투-저류 시설
KR20180071063A (ko) 집수식 투수블록
KR101697858B1 (ko) 3차원 통수부를 구비한 배수재용 코어
JP4997009B2 (ja) 雨水浸透ます
EP2325403B1 (en) Drainage cell
JP5631288B2 (ja) 発泡防止装置
JP5010249B2 (ja) 発泡防止装置
KR101713383B1 (ko) 주름형코어를 가진 연약지반 개량용 탄성배수재
JP2011106196A (ja) 放水ピット構造
JP5272062B2 (ja) 発泡防止装置
KR101860121B1 (ko) 유수분리기
JP2007138401A (ja) 河川用護岸壁及び河川用護岸壁の施工方法
JP6511310B2 (ja) 排水処理装置
JP3168683U (ja) 水田用暗渠排水桝と水田水位調整システム
KR101052088B1 (ko) 연약지반용 수평 드레인보드
KR101755590B1 (ko) 도로 및 토목공사용 모듈형 조립식 맹암거
JP2022107289A (ja) 側溝設備
JP4668134B2 (ja) 雨水等の貯水施設及びこの雨水等の貯水施設の沈殿物除去方法
KR101100364B1 (ko) 양압력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
JP2864080B2 (ja) 雨水浸透構造
JP2022122541A (ja) 地中排水具及び地中排水構造
JP2023042603A (ja) 集水桝用水量調整ブロック
JPH06101265A (ja) 雨水浸透構造
JP5714390B2 (ja) 流入沈砂槽
JP2016220657A (ja) 観賞魚水槽の上部設置用濾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