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6419Y1 -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판 - Google Patents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6419Y1
KR940006419Y1 KR92006148U KR920006148U KR940006419Y1 KR 940006419 Y1 KR940006419 Y1 KR 940006419Y1 KR 92006148 U KR92006148 U KR 92006148U KR 920006148 U KR920006148 U KR 920006148U KR 940006419 Y1 KR940006419 Y1 KR 9400064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drain
plate
vertical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61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3717U (ko
Inventor
윤윤모
Original Assignee
윤윤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윤모 filed Critical 윤윤모
Priority to KR920061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6419Y1/ko
Publication of KR9300237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37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64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4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02D3/103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by installing wick drains or sand ba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02B11/005Drainage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판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판의 구성을 보인 부분 절결 사시도.
제2도는 동상의 배수판에 의한 배수 작용을 보인 횡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판의 사시도.
제4도는 동상의 배수판에 의한 배수작용을 보인 횡단면도.
제5a, b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판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횡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 배수판의 시공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수판 본체 12 : 격벽
13 : 수직 배수홈 14 : 통수로
20 : 투수재
본 고안은 함수비가 높는 연약지반에 타입하여 지중에 함유된 토양수를 지표상으로 배수시킴으로써 연약지반을 개량 강화하는데 사용되는 배수판(drain board)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수판에 형성된 수직 배수로의 일부가 토사등과 같은 이물질에 의해 막힐 경우에도 그 배수판의 배수 효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요구되는 배수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게한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판에 관한 것이다.
매립지나 저습지 또는 세립질토양등으로된 연약지반을 강화하기 위한 배수공법으로는 드레인 페이퍼등과 같은 배수판을 지중에 타입 매설하여 토압에 의한 모세관 현상에 따라 토양수가 배수판을 통해 지표상으로 배수되게 하는 수직배수공법이 알려져있다. (제7도 참조)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배수판은 소정폭과 두께를 갖는 합성수지제 판체로된 배수된 본체의 전후 양면에 다수개의 배수홈이 판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그 배수판의 외측에는 부직포와 같은 투수성이 양호한 재질로된 투수재가 씌워진 구조로 되어 있어, 투수재를 통해 흡입, 집수된 토양수가 배수판 본체의 수직배수홈을 따라 지표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종래 배수판은 통상, 그 배수판 본체의 전후면에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수직 배수홈이 연속 파상형으로 굴곡된 격벽에 의해 각기 구획 분리되어 있으므로 각 수직배수홈간의 상호 유통이 전혀 불가능한 구조로 되어있다. 따라서, 이와같이 구성된 배수판을 사용함에 있어서, 부직포로된 투수재의 일부분이 손상되어 흙이난 모래등과 같은 이물질이 투수재의 내부로 유입될 경우에는 배수판본체에 형성된 수직배수홈의 일부가 막히게 되는 난점이 발생되고, 이와같이 각 배수홈의 일부분이 막힐 경우에는 그 해당 배수홈으로 통한 토양수의 배수기능이 완전히 상실됨으로써, 배수판의 배수효율이 극히 저하되는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 목적은 배수판에 구비된 각 수직배수홈중 일부 배수홈이 막힐 경우, 그 막힌 배수홈내에 유입되는 토양수가 인접 배수홈을 통하여 지표상으로 배출될 수 있게 함으로써, 배수홈의 막힘에 따른 배수효율의 저하요인을 배제할 수 있는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판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각 수직 배수홈을 구획 분리하는 배수판 본체의 요철형 격벽에 상호 인접된 수직배수홈 사이를 횡방향으로 연통시킬 수 있는 통수로를 형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배수판을 첨부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수판의 일부를 절단하여 그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제2도는 동 배수판에 의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 단면도로써, 도면에서 1은 본 고안의 배수판이고, 10은 배수판 본체이며, 20은 그 배수판 본체(10)의 외측에 씌워진 투수재를 보인 것이다.
상기 배수판 본체(10)는 일정 폭과 두께를 가지는 다수개의 수직 격벽(12)(12)이 중간 격벽(11)의 양측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어 있어 이들 각 격벽(12)(12), (11)의 사이 사이에 다수개의 수직배수홈(13)(13)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양측 격벽(12)(12)의 외측 단부에는 소정 폭과 깊이로된 다수개의 통수로(14)가 각 격벽(12)(12)의 폭방향을 따라 소정 단차를 두고 종횡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격벽(12)(12)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격벽(11)에도 그 중간 격벽(11)을 관통하는 일정 크기의 통수로(14)가 소정간격을 두고 종횡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수판 본체(10)의 외측에 씌워지는 투수재(20)는 부직포등과 같은 시이트상 부재로 구성되고, 그 투수재(20)의 양면이 상기 배수판 본체(10)의 양측격벽(12)(12) 외면에 각각 접촉됨으로써 상기 각 배수홈(13)(13)과 투수재(20)의 내면 사이에 각각의 수직 배수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는 T는 토사등과 같은 이물질을 보인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 배수판의 사용방법과 그에 따른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배수판(1)은 권취 리일에 권취된 상태에서 타입기를 이용하는 통상의 방법으로 지반에 타입된다. 제6도는 본 고안의 배수판(1)이 함수비가 높은 연약지반에 타입 시공된 상태를 보인 것으로, 도면에서 G는 본 고안의 배수판(1)이 일정한 간격(1-2m)으로 타입 매설된 지반을 나타낸 것이고, S는 지표상에 성토된 모래단을 보인 것인바, 지반에 매설된 각 배수판(1)의 상단이 그 모래단(S)의 상부로 일정 길이만큼 노출된다. 이와같이 시공 설치되는 배수판(1)은 토압과 모세관현상에 의해 토양수가 각 배수판(1)의 표면에 씌워진 투수재(20)를 통해 내부로 흡입 집수된 다음, 배수판 본체(10)의 양면에 형성된 각 수직 배수홈(13)(13)을 따라 모래단(S)의 상부로 배수됨은 공지와 같으며, 상기와 같은 토양수의 흡입, 배수 과정에서 각 배수판(1)을 감싸고 있는 투수재(20)가 부분적으로 손상되었을 경우에는 그 손상된 부분을 통해 지중의 토사가 배수판(1)의 내부로 유입되고, 이와같이 유입된 토사등의 이물질(T)은 배수판 본체(10)의 수직배수홈(13)에 끼워져 그 배수통로를 차단하게 되므로, 해당 배수홈(13)을 통한 배수기능을 상실하게 되고 이에따라 배수판(1) 전체의 배수효율이 극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러나, 상기한 본 고안의 배수판(1)에 있어서는, 상기 각 수직 배수홈(13)들이 각 격벽(11)(12)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통수로(14)(14)에 의해 상호 연통되어 있으므로, 수직배수홈(13)의 일부가 흡입된 토사등의 이물질(T)에 의해 막혀 그 직상 방향으로의 배수통로가 차단될 경우에는 그 차단된 배수홈(13)내에 흡입된 토양수가 상기 각 통수로(14)(14)를 통하여 인접 수직배수홈(13)으로 유출된후 상부로 배수될 수 있게 됨으로써, 배수홈(13)의 기능을 상실하지 않고 토양수의 원활한 배수 작용이 이루어 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통수로(14)(14)가 중간 격벽(11)과 그 중간격벽(11)의 양면에 형성된 수직격벽(12)(12)으로 구획되어 전체적으로 ""형 단면의 배수판 본체(10)를 갖는 배수판(1)에 적용된 것을 일예로 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서 본 고안에 따른 통수로(14)는 격벽을 사이에 두고 구획 분리된 수직배수홈(13)을 상호 연통되게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각종 규격과 형태의 배수판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가 있다.
도면중 제3도 및 제5a, b도는 본 고안에 의한 통수로(14)가 적용된 배수판(1)의 각기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배수판(1A)은 그 배수판 본체(10A)가 연속 "ㄹ"자형으로 굴곡된 단면을 갖는 수직벽체(11A)에 의해 양측으로 개방된 수직배수홈(13A)(13A)이 형성되고, 이들 각 배수홈(13A)(13A)의 사이에 위치하는 수직 격벽(12A)에 상기 각 통수로(14A)가 관통 형성된 구조로서, 이와같은 배수판(1A)을 사용함에 따른 작용 효과는 상기한 배수판(1)과 유사하다.
제5a도에 도시된 배수판(1B)은 ""형 단면을 가진 배수판 본체(10B)의 각기 대향되는 요철형 수직 격벽(12B)(12B)의 내측 모서리부 사이에 걸쳐 양측의 수직배수홈(13B)(13B)을 상호 연결하는 통수홈(14B)이 형성된 구조로서,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상기와 유사하다.
제5b도에 도시된 배수판(1C)은 연속 "S"자형으로 굴곡된 수직격벽(12C)을 가자는 파상형 단면의 배수판본체(10C)로 구성되어 그 파상형 격벽(12C)이 전후 양측에 다수의 수직배수홈(13C)(13C)이 구비됨과 아울러, 그 파상형 격벽(12C)에 인접 수직배수홈(13C)(13C)을 상호 연통되게 연결하는 통수홈(14C)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한 구조로서, 이에 다른 배수작용 또한 상기와 유사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투수재로 피복된 배수판 본체에 격벽으로 구획된 다수의 수직배수홈을 구비한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판을 구성함에 있어서, 각 수직배수홈을 구획하는 배수판 본체의 격벽에 그 격벽을 관통하는 통수로를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각 수직배수홈이 상호 연통되게 구성한 것이므로, 배수판의 내부로 유입된 토사등의 이물질에 의해 수직배수홈의 일부가 막힐 경우에도 막힌 배수홈에 유입된 토양수가 인접 배수홈을 통해 지상으로 원활히 배수될 수 있게함으로써, 요구되는 배수판의 배수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여 연약지반의 개량효율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격벽(12)으로 구획된 다수의 수직배수홈(13)이 판체의 양면에 형성된 배수판 본체(10)와 그 배수판 본체(20)를 감싸는 투수재(20)로 구성되고, 함수비가 높은 연약지반에 타입하여 지중의 토양수를 지표상으로 배수시키도록 사용되는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판에 있어서, 상기 배수판 본체(10)의 격벽(12)에 그 격벽(12)에 의해 분리된 인접 배수홈(13)(13)을 상호 연통시키는 통수로(14)를 등간격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판.
KR92006148U 1992-04-14 1992-04-14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판 KR9400064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6148U KR940006419Y1 (ko) 1992-04-14 1992-04-14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6148U KR940006419Y1 (ko) 1992-04-14 1992-04-14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3717U KR930023717U (ko) 1993-11-26
KR940006419Y1 true KR940006419Y1 (ko) 1994-09-24

Family

ID=19331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6148U KR940006419Y1 (ko) 1992-04-14 1992-04-14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641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199A (ko) * 2015-04-15 2016-10-25 배진화 3차원 통수부를 구비한 배수재용 코어
KR102199697B1 (ko) * 2020-07-30 2021-01-07 최귀봉 굽힘 유도 수단 및 배수공이 구비된 연직배수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013B1 (ko) * 2002-02-04 2004-11-16 배병권 연약지반의 압밀촉진배수용 드레인보드의 코어재
KR101713383B1 (ko) * 2014-11-28 2017-03-22 배승환 주름형코어를 가진 연약지반 개량용 탄성배수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199A (ko) * 2015-04-15 2016-10-25 배진화 3차원 통수부를 구비한 배수재용 코어
KR102199697B1 (ko) * 2020-07-30 2021-01-07 최귀봉 굽힘 유도 수단 및 배수공이 구비된 연직배수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3717U (ko) 1993-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61059B (fi) Jorddraenering
DE3004465C2 (de) Betonfertigteil zur Bewehrung von Dämmen an Meeres- oder Flußufern
CA1220041A (en) Insulating panel for the outer insulation and outer drainage of subterranean walls
KR940006419Y1 (ko)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판
US4425188A (en) Forming shoes for the twin-wire former of a paper making machine
EP0322667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Mauer, Bauelement und Verbindungsplatte zur Ausführung des Verfahrens und Mauer hergestellt nach dem Verfahren
DE69631983T2 (de) Drainageeinheit und Drainageeinrichtung
DE3326109C2 (de) Pflasterstein
JPH09158223A (ja) 盛土・切土の排水構造
DE2154901A1 (de) Streichleiste (Hydrofoil) für Papiermaschinen
KR101713383B1 (ko) 주름형코어를 가진 연약지반 개량용 탄성배수재
DE4012301C2 (de) Schalungshülle
JPH08253964A (ja) 道路排水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施工構造
JP2000054474A (ja) 排水性薄層舗装用暗渠ブロック
JPS5927038A (ja) 地中浸透用側溝
JP2958870B2 (ja) 擁壁ブロックおよびそれを用いた擁壁
JPH0724421Y2 (ja) 擁壁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200276605Y1 (ko) 연약지반의 압밀촉진 배수용 드레인보드
JPH09296438A (ja) 地盤強化材
DE2343866A1 (de) Bauelement fuer eine draenagewand zur entwaesserung des baugrundes vor erdberuehrten waenden von bauwerken
JP4691250B2 (ja) 排水溝付きブロック
AT367820B (de) Draenageelement fuer die entwaesserung des erdbodens
JPH0197715A (ja) 地盤改良用ペーパードレーン材
JPS6323478Y2 (ko)
DE7238968U (de) Schalbrett fuer betondecken und waen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2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