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7952A - 골프 티 승강 장치 - Google Patents

골프 티 승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7952A
KR20160117952A KR1020150046058A KR20150046058A KR20160117952A KR 20160117952 A KR20160117952 A KR 20160117952A KR 1020150046058 A KR1020150046058 A KR 1020150046058A KR 20150046058 A KR20150046058 A KR 20150046058A KR 20160117952 A KR20160117952 A KR 20160117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
bucket
golf
golf bal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6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로
Original Assignee
박경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로 filed Critical 박경로
Priority to KR1020150046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7952A/ko
Publication of KR20160117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79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0006Automatic tee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 티 승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 승강 장치는, 볼 업 유닛에 의해 골프 공을 티에 올리고, 티 업 유닛에 의해 티를 상승시킨다. 이로써 사용자는 티에 얹힌 골프 공에 대하여 드라이버 샷을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골프 티 승강 장치 {Golf tee lif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골프 공을 골프 티에 얹혀서 드라이버 샷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골프 티 승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 연습장에는 드라이버 샷의 편의를 위하여 골프 티 승강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골프 티 승강 장치는 골프 공을 골프 티(tee)에 얹힌 상태에서 지면 위로 상승시켜 사용자가 지면 위로 올라온 골프 공을 드라이버 샷을 할 수 있게 한다. 드라이버 샷이 진행된 이후에, 골프 티는 하강되고 다시 골프 공이 골프 티에 얹혀지면 골프 티가 지면 위로 상승되어 사용자의 드라이버 샷이 있을 때까지 대기하게 된다.
이러한 골프 티 승강 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사각 박스 형태의 프레임 내로 삽입되는 골프 공이 골프 티에 얹혀지고, 그 골프 티를 실린더 또는 구동모터에 의해 승강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골프 티 승강 장치는 골프 티를 승강시키는 구조가 복잡하고 골프 티를 포함한 프레임이 두껍게 구현된다. 이는 골프 티에 얹혀진 골프 공을 숨겼다가 드라이버 샷을 위해 지면 위로 상승시키기 위해 프레임 내부에는 골프 공과 골프 티를 포함한 높이만큼의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는 구조적인 이유가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골프 티 승강 장치를 골프 연습장의 바닥에 매설하는 경우 프레임 두께만큼 설치공간을 깊게 형성할 것이 요구된다. 그런데, 이처럼 건축물의 바닥에 설치공간을 깊게 확보하기 위해서는 건축물의 층간 두께가 충분히 확보되어야 하나 현실적으로 어려운 부분이 있다.
또한, 건축물의 바닥에 설치공간을 깊게 확보하기 위해 골프 연습장의 콘크리트 바닥을 뚫는 부수적인 시공이 필요한데, 이로 인한 리모델링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70539호(1999.09.15.)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존 골프 티를 적용하면서별도의 시공 없이도 골프 연습장에 골프 티 상승 장치를 설치할 수 있도록 골프 티 승강 장치의 전체적인 두께를 최소화한 골프 티 승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골프 공이 골프 티에 얹힌 상태에서 골프 티가 승강될 때에 골프 티의 승강운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골프 공의 이탈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골프 티 승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 승강 장치는, 베이스(110); 상기 베이스(110)의 상측에 설치되고, 골프 공(20)이 유입되어 대기되도록 하는 볼 유입 가이드 유닛(200); 상기 베이스(110)의 상측에 배치되고, 버킷(354)이 제1 레벨(L1)에서 대기하였다가 상기 버킷(354)이 상기 제1레벨(L1)에서 제2레벨(L2)로 낮아지면 상기 골프 공(20)이 상기 버킷(354)에 실려지도록 하며, 상기 버킷(354)이 상기 제2레벨(L2)에서 제3레벨(L3)로 높아지면 상기 골프 공(20)이 티(500)의 상측으로 흘러내려 옮겨지도록 하고, 상기 골프 공(20)이 상기 버킷(354)으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버킷(354)을 상기 제1레벨(L1)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볼 업 유닛(300); 및 상기 베이스(11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티(500)를 구비하며, 상기 티(500)가 하강위치에서 상기 골프 공(20)을 넘겨 받고, 상기 골프 공(20)이 상기 티(500)에 얹힌 상태에서 상승위치로 상승하며, 상기 골프 공(20)이 상기 티(500)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티(500)를 하강위치로 복귀시키는 티 업 유닛(40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 승강 장치의 상기 볼 유입 가이드 유닛(200)은, 상기 베이스(110)의 상측에서 양쪽으로 벌려져 배치되어 상기 골프 공(20)의 흐름을 안내하는 제1, 2 사이드 가이드(212, 214); 및 상기 제1 사이드 가이드(212)와 상기 제2 사이드 가이드(214)의 사이에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골프 공(20)이 상기 버킷(354) 쪽으로 유입되도록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드(21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 승강 장치는 상기 슬라이드(216)에 구비되어 상기 골프 공(20)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제1 스위치(2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 승강 장치는 상기 슬라이드(216)에 구비되어 상기 버킷(354)이 상기 제1레벨(L1)에서 상기 제2레벨(L2)로 낮아질 때에, 상기 버킷(354)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골프 공(20)의 진로를 개방하고, 상기 버킷(354)이 상기 제2레벨(L2)에서 상기 제3레벨(L3)로 높아지면 상승하여 상기 골프 공(20)의 진로를 차단하는 스토퍼유닛(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 승강 장치의 상기 스토퍼유닛(230)은 페달(232)이 상기 버킷(354)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버킷(354)의 하강에 의해 눌러지고, 스토퍼(234)가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페달(232)의 눌림이 해제되면 상승되어 상기 골프 공(20)의 진로를 차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 승강 장치의 상기 볼 업 유닛(300)은, 상기 베이스(110)에 설치된 제1 브래킷(310); 상기 제1 브래킷(310)에 설치되고 제1 모터 샤프트(322)를 회전 시키는 제1 모터 유닛(320); 상기 제1 모터 샤프트(322)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제1 링크(330); 상기 제1 링크(330)에서 상기 제1 모터 샤프트(322)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 제1 캠 팔로워(332); 상기 제1 브래킷(310)에 설치된 제1 핀 축(340); 및 상기 제1 축핀(340)에 설치되고, 내측에 제1 캠 가이드(352)를 형성하며 단부에 상기 버킷(354)을 형성하여 상기 제1 캠 팔로워(332)를 상기 제1 캠 가이드(352)에 배치하여 상기 제1 링크(330)의 회전운동을 각도운동으로 변환하는 제1 암 유닛(35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 승강 장치의 상기 볼 업 유닛(300)은, 상기 버킷(354)이 상기 제2 레벨(L2)에서 상기 제3 레벨(L3)로 상승할 때에 소요되는 시간이 상기 버킷(354)이 상기 제3 레벨(L3)에서 상기 제1 레벨(L1)로 하강할 때 소요되는 시간 보다 느린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 승강 장치의 상기 볼 업 유닛(300)은, 상기 버킷(354)은 사방이 절곡되어 상기 골프 공(20)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1 축핀(340)을 향하는 방향 쪽에는 부분적으로 오목하게 아웃렛 가이드(356)를 형성하여 상기 버킷(354)이 상기 제3레벨(L3)에 도달하였을 때에 상기 아웃렛 가이드(356)에 의해 상기 골프 공(20)의 흘러내리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 승강 장치의 상기 볼 업 유닛(300)은, 상기 티 업 유닛(400)은,상기 베이스(110)에 설치된 제2 브래킷(410); 상기 제2 브래킷(410)에 설치되고 제2 모터 샤프트(422)를 회전 시키는 제2 모터 유닛(420); 상기 제2 모터 샤프트(422)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제2 링크(430); 상기 제2 링크(430)에서 상기 제2 모터 샤프트(422)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 제2 캠 팔로워(432); 상기 제2 브래킷(410)에 설치된 제2 핀 축(440); 상기 제2 축핀(440)에 설치되고, 내측에 제2 캠 가이드(452)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캠 팔로워(432)를 상기 제2 캠 가이드(452)에 배치하여 상기 제2 링크(430)의 회전운동을 각도운동으로 변환하는 제2 암 유닛(450); 상기 제2 암 유닛(450)의 단부에 설치된 제3 핀 축(464);상기 베이스(110)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 샤프트(462); 및 상기 티(500)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 샤프트(462)에 설치되며, 상기 제3 핀 축(464)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암 유닛(450)의 각도운동에 따라 승강하여 상기 티(500)가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 슬라이더(46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 승강 장치의 상기 볼 업 유닛(300)은, 상기 베이스(110)에 설치하여 상기 승강 슬라이더(460)를 감지하면 상기 제2 모터 유닛(420)의 작동을 중지시키도록 하는 제1 센서(470)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 승강 장치의 상기 볼 업 유닛(300)은, 상기 승강 슬라이더(460)에 설치하여 상기 티(500)에서 상기 골프 공(20)를 감지하면 상기 승강 슬라이더(460)가 최상의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티(500)에서 상기 골프 공(20)를 감지하지 않으면 상기 승강 슬라이더(460)가 하강하도록 하는 제2 센서(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 승강 장치는, 기존 골프 티를 적용함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어 골프 연습장에서 별도의 시공 없이도 매설할 수 있는 설치의 용이성이 있다.
또한, 기존의 고무 티를 그대로 활용하기 위해 구조적으로 측부에서 골프 공을 단계별로 상승시켜 고무 티에 얹혀지도록 구현함으로써 고무 티의 승강 운동을 최대한으로 안정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더욱이, 골프 공을 고무 티에 얹혀지도록 가이드하는 과정에서 센서 등을 이용하여 골프 공의 이탈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 승강 장치가 함체에 설치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 승강 장치에서 탑 플레이트를 소거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3는 도 2에 기재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 승강 장치에서 제1, 2 사이드 가이드를 소거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기재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 승강 장치에서 볼 유입 가이드 유닛을 소거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기재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 승강 장치에서 볼 업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기재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 승강 장치에서티 업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한편,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실시예1>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 승강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 승강 장치가 함체에 설치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 승강 장치에서 탑 플레이트를 소거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기재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 승강 장치에서 제1, 2 사이드 가이드를 소거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기재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 승강 장치에서 볼 유입 가이드 유닛을 소거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5는 도 4에 기재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 승강 장치에서 볼 업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기재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 승강 장치에서 티 업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 승강 장치(100)는 함체(10)에 설치되고, 함체(10)는 지면(도 6의 G)에 매설된다. 여기서 지면(도 6의 G)은 건축물에서 바닥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함체(1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느 한쪽에 볼 유입구(12)가 형성되고, 볼 유입구(12)는 골프공(20)이 유입되는 통로로 이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 승강 장치(100)는 베이스(110), 볼 유입 가이드 유닛(200), 볼 업 유닛(300) 및 티 업 유닛(40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 승강 장치(10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에 베이스(110)가 제공되고 베이스(110)의 상측에 상술한 볼 유입 가이드 유닛(200), 볼 업 유닛(300) 및 티 업 유닛(400)이 배치된다. 그리고 골프 티 승강 장치(100)의 상측에는 탑 플레이트(120)가 구비된다. 탑 플레이트(120)는 개구부(122)를 형성하고, 개구부(122)는 골프 공(20)과 티(500)가 골프 티 승강 장치(10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출몰하는 통로가 된다.
볼 유입 가이드 유닛(200)은 베이스(110)의 상측에 설치되고, 골프 공(20)이 유입되어 대기되도록 한다.
볼 업 유닛(300)은 베이스(110)의 상측에 배치되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킷(354)이 제1 레벨(L1)에서 대기하였다가, 상기 버킷(354)이 상기 제1레벨(L1)에서 제2레벨(L2)로 낮아지면 골프 공(20)이 버킷(354)에 실려지도록 하며, 버킷(354)이 제2레벨(L2)에서 제3레벨(L3)로 높아지면 골프 공(20)이 티(500)의 상측으로 흘러내려 옮겨지도록 하고, 골프 공(20)이 버킷(354)으로부터 이탈되면 버킷(354)을 제1레벨(L1)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티 업 유닛(400)는 베이스(11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티(500)를 구비하며, 상기 티(500)가 하강위치에서 상기 골프 공(20)을 넘겨 받고, 상기 골프 공(20)이 상기 티(500)에 얹힌 상태에서 상승위치로 상승하며, 상기 골프 공(20)이 상기 티(500)로부터 이탈되면 하강위치로 복귀시킨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 승강 장치는 기존의 고무 티를 그대로 활용하면서 전체적인 두께를 최소화하기 위해 구조적으로 측부에서 골프 공을 단계별로 상승시켜 고무 티에 얹혀지도록 구현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특히, 골프 공(20)을 공급받아 드라이버 샷을 하기 위한 위치까지 상승시킬 때에, 다시 설명하면 골프 공(20)을 최저 높이에서 최상의 높이까지 운반하는 과정에서, 골프 공(20)은 볼 업 유닛(300)에 의해 1단계로 상승하고, 티 업 유닛(400)에 의해 2단계로 상승한다. 이때, 볼 업 유닛(300)과 티 업 유닛(400)은 골프 공(20)의 상승 운반에 있어 분담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볼 업 유닛(300)과 티 업 유닛(400)의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 승강 장치는 전전체적으로 그 높이를 낮게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 승강 장치(100)에서, 볼 유입 가이드 유닛(200)는 베이스(110)의 상측에 양쪽으로 벌려져 배치되어 골프 공(20)의 흐름을 안내하는 제1, 2 사이드 가이드(212, 214)를 포함한다. 또한, 제1 사이드 가이드(212)와 상기 제2 사이드 가이드(214)의 사이에서 경사지게 배치되어 골프 공(20)이 버킷(354) 쪽으로 유입되도록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드(2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 승강 장치(100)는 골프 공(20)이볼 유입구(12)를 통하여 골프 티 승강 장치(100)의 내로 유입되면 제1. 2 사이드 가이드(212, 214)에 의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골프 공(20)의 진로를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 승강 장치(100)는 슬라이드(216)가 경사지게 제공됨으로써 골프 공(20)을 구르게 함으로써, 골프 공(20)을 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성 요소가 불필요하다.
<실시예3>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 승강 장치(100)는, 슬라이드(216)에 제1 스위치(221)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스위치(221)는 골프 공(20)의 존재 여부를 검출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제1 스위치(221)는 골프 공(20)에 의해 눌러질 수 있다. 즉, 제1 스위치(221)가 닫히면(on), 골프 공(20)이 골프 티 승강 장치(100)의 내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스위치(221)가 열리면(off), 골프 공(20)이 골프 티 승강장치(100)의 내부에 존재하지 않은 것을 이해할 수 있다.
한편, 골프 티 승강장치(100)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스위치(221)에 의해 골프 공(20)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 골프 공(20)을 보충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골프 공(20)이 자동으로 제공되는 시스템인 경우에, 골프 공(20)의 공급라인을 점검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출력시킬 수도 있다.
<실시예4>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 승강 장치(100)는, 슬라이드(216)에 스토퍼유닛(2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유닛(230)에는 스프링이 설치되고,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항상 상승된 위치를 유지한다.
따라서, 스토퍼유닛(230)은 버킷(354)이 상기 제1레벨(L1)에서 상기 제2레벨(L2)로 낮아질 때에, 버킷(354)에 의해 눌려지면서 하강하여 골프 공(20)의 진로를 개방할 수 있다.
반면, 스토퍼유닛(230)은 버킷(354)이 상기 제2레벨(L2)에서 상기 제3레벨(L3)로 높아지면 상술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하여 골프 공(20)의 진로를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 승강장치(100)는 티(500)를 상승시키거나 상승시킨 위치를 유지하는 동안에 대기 중인 골프 공(20)이 임으로 진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대기 중인 골프 공(20)을 상승시킬 때에만 골프 공(20)의 진로가 개방됨으로써 하나의 골프 공(20)이 버킷(354)으로 흘러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 승강 장치(100)는 골프 공(20)의 진행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고, 특히 한 번에 한 개의 골프 공(20)이 통과되도록 함으로써, 골프 공(20)이 골프 티 승강 장치(100) 내에서 흐트러지거나 끼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5>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 승강 장치(100)는, 스토퍼유닛(230)에 페달(232)과 스토퍼(234)가 형성될 수 있다.
페달(232)은 버킷(354)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버킷(354)의 하강에 의해 눌러진다.
스토퍼(234)는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스토퍼(234)는 상기 페달(232)의 눌림이 해제되면 상승되어 골프 공(20)의 진로를 차단한다.
골프 공(20)은 연달아 제공될 수 있고, 선두에 위치된 골프 공(20)에 버킷(354)에 실린 직후에, 차선에 위치된 골프 공(20)이 버킷(354)쪽으로 밀려 내려와 있을 수 있다. 이때 스토퍼유닛(230)은 상승될 때에 스토퍼(234)에 의해 차선에 위치된 골프 공(20)이 버킷(354) 쪽으로 넘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6>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 승강 장치(100)에서 볼 업 유닛(300)은 제1 브래킷(310), 제1 모터 유닛(320), 제1링크(330), 제1 캠 팔로워(332), 제1 핀축(340) 및 제1암 유닛(3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래킷(310)은 베이스(110)에 설치된다.
제1 모터 유닛(320)은 제1 브래킷(310)에 설치되고 제1 모터 샤프트(322)를 회전 시킨다.
제1 링크(330)는 제1 모터 샤프트(322)에 설치되어 회전된다.
제1 캠 팔로워(332)는 제1 링크(330)에서 제1 모터 샤프트(322)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다.
제1 핀 축(340)은 제1 브래킷(310)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1 암 유닛(350)은 제1 축핀(340)에 설치되고, 내측에 제1 캠 가이드(352)를 형성하며 단부에 버킷(354)을 형성한다. 또한, 제1 암 유닛(350)은 제1 캠 팔로워(332)를 제1 캠 가이드(352)에 배치하도록 하여 제1 링크(330)의 회전운동을 각도운동으로 변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 승강 장치(100)는 제1 모터 유닛(320)의 작동에 의해 버킷(354)이 상승과 하강을 반복할 수 있다. 이로써 버킷(354)에 얹힌 골프 공(20)을 일정한 높이로 상승시킬 수 있다. 특히, 버킷(354)이 상승한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 버킷(354)의 자세는 기울어진 상태가 구현됨으로써 골프 공(20)이 스스로 굴러서 티(500) 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실시예7>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 승강 장치(100)의 볼 업 유닛(300)은 버킷(354)이 상기 제2 레벨(L2)에서 상기 제3 레벨(L3)로 상승할 때에 소요되는 시간이, 버킷(354)이 상기 제3 레벨(L3)에서 상기 제1 레벨(L1)로 하강할 때 소요되는 시간 보다 느릴 수 있다.
이는 골프 공(20)을 상승시킬 때에 조심스럽게 올리기 위한 것으로서, 골프 공(20)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버킷(354)이 하강될 때에는 신속하게 하강되도록 함으로써, 1차 드라이버 샷을 수행한 후에 2차 드라이버 샷을 수행하기까지의 대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실시예8>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 승강 장치(100)는 버킷(354)의 사방이 절곡되게 형성되어 골프 공(20)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버킷(354)은 제1 축핀(340)을 향하는 방향 쪽에는 부분적으로 오목하게 아웃렛 가이드(356)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버킷(354)이 제3레벨(L3)에 도달하였을 때에 아웃렛 가이드(356)에 의해 골프 공(20)이 흘러 내릴 수 있다.
즉, 아웃렛 가이드(356)는 골프 공(20)을 상승시키는 동안에 골프 공(2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골프 공(20)이 버킷(354)에서 벗어나야 할 상황에서는 골프 공(20)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는 것이다.
한편, 제1 암 유닛(350)이 한쪽에는 가이드 브래킷(36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브래킷(360)은 제1 암 유닛(350)이 상승할 때에 버킷(354)에서 골프 공(20)이 이탈되는 것을 좀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9>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 승강 장치(100)의 티 업 유닛(400)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브래킷(410), 제2 모터 유닛(420), 제2 링크(430), 제2 캠 팔로워(432), 제2 핀 축(440), 제2 암 유닛(450), 제3 핀 축(464), 가이드 샤프트(462) 및 승강 슬라이더(4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브래킷(410)은 베이스(110)에 설치된다.
제2 모터 유닛(420)은 제2 브래킷(410)에 설치되고 제2 모터 샤프트(422)를 회전 시킨다.
제 링크(430)는 제2 모터 샤프트(422)에 설치되어 회전된다.
제2 캠 팔로워(432)는 제2 링크(430)에서 제2 모터 샤프트(422)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다.
제2 핀 축(440)은 제2 브래킷(410)에 설치된다.
제2 암 유닛(450)은 제2 축핀(440)에 설치되고, 내측에 제2 캠 가이드(452)를 형성하고, 제2 캠 팔로워(432)를 제2 캠 가이드(452)에 배치하여 제2 링크(430)의 회전운동을 각도운동으로 변환한다.
제3 핀 축(464)은 제2 암 유닛(450)의 단부에 설치된다.
가이드 샤프트(462)는 베이스(110)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가이드 샤프트(462)는 복수로 제공된다.
승강 슬라이더(460)는 상기 티(500)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 샤프트(462)에 설치되며, 제3 핀 축(464)에 연결되어 제2 암 유닛(450)의 각도운동에 따라 승강하여 상기 티(500)가 승강되도록 한다.
즉, 티(500)는 승강 슬라이더(460)에 설치되는 것으로, 티(500)의 승강운동은 승강 슬라이더(460)의 영향을 받는다.
승강 슬라이더(460)는 가이드 샤프트(462)에 억류됨으로써, 승강 슬라이더(460)의 직선 운동이 매우 안정될 수 있다. 즉, 승강 슬라이더(460)의 승강 운동은 흔들림 없이 안정될 수 있다. 따라서 티(500)의 상측에 골프 공(20)이 얹혀 있더라도 티(500)는 흔들림이 억제되어 골프 공(20)을 안정된 자세로 신속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암 유닛(450)과 제3 핀 축(464)간에는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암 유닛(450)은 각도 운동하지만, 승강 슬라이더(460)는 수직방향으로 직선 운동한다. 따라서 제2 암 유닛(450)과 제3 핀 축(464)간에 형성된 간극에 의해 제2 암 유닛(450)에서 제3 핀 축(464)의 자리가 능동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실시예1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 승강 장치(100)의 티 업 유닛(400)은, 제1 센서(4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470)는 베이스(110)에 설치하여 승강 슬라이더(460)를 감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제1 센서(470)가 승강 실린더(460)를 감지하면 제2 모터 유닛(420)의 작동을 중지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 승강 장치(100)는, 골프 공(20)이 티(500)의 상측으로 이동될 때에, 티(500)가 낮은 위치에서 흔들림 없이 안정적인 상태이므로 골프 공(20)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11>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티 승강 장치는, 승강 슬라이더(460)에 제2 센서(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센서(510)는 상기 티(500)에서 상기 골프 공(20)를 감지하면 승강 슬라이더(460)가 최상의 높이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제2 센서(510)는 상기 티(500)에서 상기 골프 공(20)를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승강 슬라이더(460)가 하강하도록 한다.
즉, 티(500)에 골프 공(20)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티(500)가 상승위치를 유지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드라이브 샷을 하기 전의 대기상태로 이해할 수 있고, 이러한 대기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것이다.
반면에, 티(500)에서 골프 공(20)이 감지 되지 않은 경우에, 티(500)에서 골프 공(20)이 이탈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함체 12: 볼 유입구
20: 골프 공 100: 골프 티 승강 장치
110: 베이스 120: 탑 플레이트
122: 개구부 200: 볼 유입 가이드 유닛
212, 214: 제1, 2 사이드 가이드 216: 슬라이드
221, 222: 제1, 2 스위치 230: 스토퍼유닛
232: 페달 234: 스토퍼
300: 볼 업 유닛 400: 티 업 유닛
310, 410: 제1, 2브래킷 320, 420: 제1, 2 모터 유닛
322, 422: 제1, 2 모터 샤프트 330, 430: 제1, 2 링크
332, 432: 제1, 2 캠 팔로워 340, 440, 464: 제1, 2, 3 핀 축
350, 450: 제1, 2 암 유닛 352, 452: 제1, 2 캠 가이드
354: 버킷 356: 아웃렛 가이드
360: 가이드 브래킷 460: 승강 슬라이더
462: 가이드 샤프트 470, 510: 제1, 2 센서
500: 티 G: 그라운드

Claims (11)

  1. 베이스(110);
    상기 베이스(110)의 상측에 설치되고, 골프 공(20)이 유입되어 대기되도록 하는 볼 유입 가이드 유닛(200);
    상기 베이스(110)의 상측에 배치되고, 버킷(354)이 제1 레벨(L1)에서 대기하였다가 상기 버킷(354)이 상기 제1레벨(L1)에서 제2레벨(L2)로 낮아지면 상기 골프 공(20)이 상기 버킷(354)에 실려지도록 하며, 상기 버킷(354)이 상기 제2레벨(L2)에서 제3레벨(L3)로 높아지면 상기 골프 공(20)이 티(500)의 상측으로 흘러내려 옮겨지도록 하고, 상기 골프 공(20)이 상기 버킷(354)으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버킷(354)을 상기 제1레벨(L1)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볼 업 유닛(300); 및
    상기 베이스(11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티(500)를 구비하며, 상기 티(500)가 하강위치에서 상기 골프 공(20)을 넘겨 받고, 상기 골프 공(20)이 상기 티(500)에 얹힌 상태에서 상승위치로 상승하며, 상기 골프 공(20)이 상기 티(500)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티(500)를 하강위치로 복귀시키는 티 업 유닛(400);
    을 포함하는 골프 티 승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 유입 가이드 유닛(200)은,
    상기 베이스(110)의 상측에서 양쪽으로 벌려져 배치되어 상기 골프 공(20)의 흐름을 안내하는 제1, 2 사이드 가이드(212, 214); 및
    상기 제1 사이드 가이드(212)와 상기 제2 사이드 가이드(214)의 사이에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골프 공(20)이 상기 버킷(354) 쪽으로 유입되도록 슬리이딩시키는 슬라이드(21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티 승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216)에 구비되어 상기 골프 공(20)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제1 스위치(221)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티 승강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216)에 구비되어,
    상기 버킷(354)이 상기 제1레벨(L1)에서 상기 제2레벨(L2)로 낮아질 때에, 상기 버킷(354)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골프 공(20)의 진로를 개방하고, 상기 버킷(354)이 상기 제2레벨(L2)에서 상기 제3레벨(L3)로 높아지면 상승하여 상기 골프 공(20)의 진로를 차단하는 스토퍼유닛(23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티 승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유닛(230)은,
    페달(232)이 상기 버킷(354)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버킷(354)의 하강에 의해 눌러지고,
    스토퍼(234)가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페달(232)의 눌림이 해제되면 상승되어 상기 골프 공(20)의 진로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티 승강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 업 유닛(300)은,
    상기 베이스(110)에 설치된 제1 브래킷(310);
    상기 제1 브래킷(310)에 설치되고 제1 모터 샤프트(322)를 회전 시키는 제1 모터 유닛(320);
    상기 제1 모터 샤프트(322)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제1 링크(330);
    상기 제1 링크(330)에서 상기 제1 모터 샤프트(322)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 제1 캠 팔로워(332);
    상기 제1 브래킷(310)에 설치된 제1 핀 축(340); 및
    상기 제1 축핀(340)에 설치되고, 내측에 제1 캠 가이드(352)를 형성하며 단부에 상기 버킷(354)을 형성하여 상기 제1 캠 팔로워(332)를 상기 제1 캠 가이드(352)에 배치하여 상기 제1 링크(330)의 회전운동을 각도운동으로 변환하는 제1 암 유닛(350);
    을 포함하는 골프 티 승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354)이 상기 제2 레벨(L2)에서 상기 제3 레벨(L3)로 상승할 때에 소요되는 시간이
    상기 버킷(354)이 상기 제3 레벨(L3)에서 상기 제1 레벨(L1)로 하강할 때 소요되는 시간 보다 느린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티 승강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354)은
    사방이 절곡되어 상기 골프 공(20)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1 축핀(340)을 향하는 방향 쪽에는 부분적으로 오목하게 아웃렛 가이드(356)를 형성하여 상기 버킷(354)이 상기 제3레벨(L3)에 도달하였을 때에 상기 아웃렛 가이드(356)에 의해 상기 골프 공(20)이 흘러내리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티 승강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티 업 유닛(400)은,
    상기 베이스(110)에 설치된 제2 브래킷(410);
    상기 제2 브래킷(410)에 설치되고 제2 모터 샤프트(422)를 회전 시키는 제2 모터 유닛(420);
    상기 제2 모터 샤프트(422)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제2 링크(430);
    상기 제2 링크(430)에서 상기 제2 모터 샤프트(422)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 제2 캠 팔로워(432);
    상기 제2 브래킷(410)에 설치된 제2 핀 축(440);
    상기 제2 축핀(440)에 설치되고, 내측에 제2 캠 가이드(452)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캠 팔로워(432)를 상기 제2 캠 가이드(452)에 배치하여 상기 제2 링크(430)의 회전운동을 각도운동으로 변환하는 제2 암 유닛(450);
    상기 제2 암 유닛(450)의 단부에 설치된 제3 핀 축(464);
    상기 베이스(110)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 샤프트(462); 및
    상기 티(500)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 샤프트(462)에 설치되며, 상기 제3 핀 축(464)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암 유닛(450)의 각도운동에 따라 승강하여 상기 티(500)가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 슬라이더(460);
    를 포함하는 골프 티 승강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10)에 설치하여 상기 승강 슬라이더(460)를 감지하면 상기 제2 모터 유닛(420)의 작동을 중지시키도록 하는 제1 센서(470)
    를 더 포함하는 골프 티 승강 장치.
  11. 제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슬라이더(460)에 설치하여
    상기 티(500)에서 상기 골프 공(20)를 감지하면 상기 승강 슬라이더(460)가 최상의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티(500)에서 상기 골프 공(20)를 감지하지 않으면 상기 승강 슬라이더(460)가 하강하도록 하는 제2 센서(510)
    를 더 포함하는 골프 티 승강 장치.
KR1020150046058A 2015-04-01 2015-04-01 골프 티 승강 장치 KR201601179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058A KR20160117952A (ko) 2015-04-01 2015-04-01 골프 티 승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058A KR20160117952A (ko) 2015-04-01 2015-04-01 골프 티 승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952A true KR20160117952A (ko) 2016-10-11

Family

ID=57161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6058A KR20160117952A (ko) 2015-04-01 2015-04-01 골프 티 승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79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21873B2 (en) 2017-02-13 2023-08-08 Lg Energy Solution, Ltd. Lithium secondary battery separator including adhesive lay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0539A (ko) 1998-02-21 1999-09-15 진병숙 자동골프연습기의 공 공급방법과 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0539A (ko) 1998-02-21 1999-09-15 진병숙 자동골프연습기의 공 공급방법과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21873B2 (en) 2017-02-13 2023-08-08 Lg Energy Solution, Ltd. Lithium secondary battery separator including adhesive lay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29811B2 (ja) エレベータかごの上にオーバヘッドクリアランスを維持する格納式停止装置
JP2007030999A (ja) エレベーター装置の安全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ー装置の運転方法
CN101486424A (zh) 电梯绳索止振装置
KR20100107304A (ko) 컴비네이션 스위치 조립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지그
JP6238270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160117952A (ko) 골프 티 승강 장치
JP2007167919A (ja) 金型取付装置
CN202226577U (zh) 配重自动装卸系统及具有该装卸系统的起重机械
JP5483596B2 (ja) エレベータの二輪車揚重装置
JP5001864B2 (ja) エレベータかごへの緊急駆動スイッチ及び通信手段の取付け構造
KR100838228B1 (ko)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CN104609286B (zh) 电梯轿厢门锁装置
JP6351851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4024629A (ja) エレベータ装置
JP6289743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130012604A (ko) 리프팅 장치
KR20140003918A (ko) 중추 리미트 장치
CN219620627U (zh) 一种提升机用的防穿梭车掉落装置
KR20110010133U (ko) 완구 차량 승강 장치
JP5539268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のかご用非常止め復帰方法
KR101335022B1 (ko)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
JP2007261731A (ja) ワーク移動装置
JPH11165999A (ja) リフトの下降止め装置
CN219279385U (zh) 一种自动升降装置
JP2011042423A (ja) エレベータのか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