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2604A - 리프팅 장치 - Google Patents

리프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2604A
KR20130012604A KR1020110073838A KR20110073838A KR20130012604A KR 20130012604 A KR20130012604 A KR 20130012604A KR 1020110073838 A KR1020110073838 A KR 1020110073838A KR 20110073838 A KR20110073838 A KR 20110073838A KR 20130012604 A KR20130012604 A KR 20130012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carriage
ball screw
lifting devic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3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왕근
김승범
이철용
장성규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3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2604A/ko
Publication of KR20130012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6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66F7/025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screw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승강부재와, 리프팅 대상물을 지지하면서 승강부재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로써 캐리지는 안정된 자세로 승강 또는 하강될 수 있다.

Description

리프팅 장치{LIFTING DEVICE}
본 발명은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캐리지를 승, 하강시키는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을 제조함에 있어서 선체부재들 사이의 용접은 필수적이다. 최근에는 자동으로 용접을 수행하기 위한 용접로봇 및 캐리지가 개발되고 있다. 용접로봇은 캐리지에 탑재되어 용접부재들 사이의 용접 구간을 따라 이동하면서 용접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작업자는 용접로봇 및 캐리지의 유지 보수를 위해 용접로봇 및 캐리지를 검사하게 되는데, 캐리지의 하부를 검사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이에 작업자는 기중기를 이용하여 캐리지를 들어올린 후 그 하부에서 작업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일 측은, 캐리지를 검사할 때 장소의 제한을 받지 않도록 이동이 가능한 리프팅 장치를 개시한다.
다른 일 측은, 캐리지를 검사할 때 불안전 요소를 제거할 수 있는 리프팅 장치를 개시한다.
또 다른 일 측은, 캐리지를 검사할 때 작업자가 편안한 자세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리프팅 장치를 개시한다.
일 기술적 사상에 따른 리프팅 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승강부재;와 리프팅 대상물을 지지하고, 상기 승강부재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승강부재에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를 상기 승강부재에 결합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관통되는 위치조절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조절 가이드홈은 장공의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볼트로 형성되고, 상기 승강부재에는 상기 고정부재와 결합하는 나사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리프팅 대상물의 하부를 지지하는 탑재부;와, 상기 리프팅 대상물의 측면을 지지하는 유동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유닛은,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는 감속기어;와, 상기 감속기어와 연결되는 볼스크류;와, 상기 볼스크류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너트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볼스크류의 상부에 마련되는 연결기어;와, 상기 연결기어를 연결하는 체인;과, 상기 체인의 텐션을 조절하는 체인스프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유닛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브레이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장치는 이동이 가능하여 주변 환경의 제한을 받지 않고 캐리지의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캐리지의 유동을 제거함으로써 불안전 요소를 제거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의 작업 공간을 확보하여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장치의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장치의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가 리프팅 장치에 탑재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가 리프팅 장치에 밀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가 리프팅 장치에 의해서 승강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장치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장치의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장치의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 장치(10)는 프레임(20)과 구동유닛(30), 승강부재(50), 받침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리프팅 장치(10)는 리프팅 대상물이 자동/반자동으로 승강 또는 하강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때 리프팅 대상물은 캐리지(100) 또는 각종 장치/장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캐리지(10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프레임(20)은 상하 방향으로 마련되는 기둥 프레임(21)과, 기둥 프레임(21)의 상측에 마련되는 상부 프레임(22), 기둥 프레임(21)의 하측에 마련되는 하부 프레임(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둥 프레임(21)은 제1기둥 프레임(21a)과 제2기둥 프레임(21b), 제3기둥 프레임(21c), 제4기둥 프레임(21d)을 포함한다.
상부 프레임(22)은 제1상부 프레임(22a)과 제2상부 프레임(22b), 제3상부 프레임(22c), 제4상부 프레임(22d)을 포함한다.
하부 프레임(23)은 제1하부 프레임(23a)과 제2하부 프레임(23b), 제3하부 프레임(23c)을 포함한다. 제1기둥 프레임(21a)과 제4기둥 프레임(21d)의 하측에는 이들을 연결하는 하부 프레임이 설치되지 않는데, 이 부분으로 캐리지(100)가 출입할 수 있다.
기둥 프레임(21)과, 상부 프레임(22), 하부 프레임(23)은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는 캐리지(100)가 승, 하강할 수 있도록 또는 작업자가 캐리지(100)의 검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빈 공간으로 형성된다.
구동유닛(30)은 구동모터(31)와, 감속기어(32), 볼스크류(33), 너트(34), 연결기어(35), 받침베어링(36), 체인(37), 체인스프라켓(38), 제어기(3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볼스크류(33)는 제1볼스크류(33a)와, 제2볼스크류(33b), 제3볼스크류(33c), 제4볼스크류(33d)를 포함한다. 볼스크류(33)의 상단은 상부 프레임(22)을 관통하여 연결기어(35)가 마련되고, 볼스크류(33)의 하단은 받침베어링(36)를 통하여 하부 프레임(2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여기서, 연결기어(35)는 제1연결기어(35a) 내지 제4연결기어(35d)로 마련되고, 받침베어링(36)은 제1받침베어링(36a) 내지 제4받침베어링(36d)로 마련된다.
너트(34)는 제1너트(34a)와 제2너트(34b), 제3너트(34c), 제4너트(34d)를 포함한다. 너트(34)는 볼스크류(33)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어 있는데, 볼스크류(33)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너트(34)는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처럼 볼스크류(33)와 너트(34)는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바꾸는데 사용된다.
구동모터(31) 및 감속기어(32)는 제1볼스크류(33a)의 상단에 연결된다. 구동모터(31)의 동력은 체인(37) 및 연결기어(35)를 통하여 제2볼스크류(33b) 내지 제4볼스크류(33d)로 전달된다. 즉, 구동모터(31)의 동력은 제1볼스크류(33a)로 전달되고, 제1연결기어(35a)와 제2연결기어(35b)를 연결하는 체인(37)을 통하여 제2볼스크류(33b)로 전달된다. 또한, 구동모터(31)의 동력은 제2연결기어(35b)와 제3연결기어(35c)를 연결하는 체인(37)을 통하여 3볼스크류(33c)로 전달되고, 제3연결기어(35c)와 제4연결기어(35d)를 연결하는 체인(37)을 통하여 제4볼스크류(33d)로 전달된다. 이처럼 체인(37) 및 연결기어(35)를 통하여 하나의 구동모터(31)를 이용하여 볼스크류(33) 전체를 구동할 수 있다.
체인스프라켓(38)은 체인(37)의 텐션을 조절하여 체인(37)이 원활하게 구동되도록 한다. 작업자는 체인스프라켓(38)을 조절하여 체인(37)을 느슨하게 하거나 타이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제어기(39)는 프레임(20)의 외부에 마련된다. 제어기(39)는 구동모터(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프레임(20)의 외부에서 제어기(39)를 조작함으로써 구동모터(31)를 동작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다.
브레이크(40)는 볼스크류(33)의 회전을 방지한다. 브레이크(40)는 제1볼스크류(33a)의 상단에 마련되는데, 제1볼스크류(33a)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이는 승강부재(50)가 승강된 상태에서 임의적으로 하강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브레이크(40)는 제1볼스크류(33a)에 연결되는 감속기어(32) 및 구동모터(31)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승강부재(50)는 제1승강부재(51)와 제2승강부재(52)를 포함한다.
제1승강부재(51)는 제1너트(34a)와 제2너트(34b)를 연결한다. 이에 제1볼스크류(33a)와 제2볼스크류(33b)가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너트(34a)와 제2너트(34b)는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와 함께 제1승강부재(51)도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2승강부재(52)는 제3너트(34c)와 제4너트(34d)를 연결한다. 이에 제3볼스크류(33c)와 제4볼스크류(33d)가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3너트(34c)와 제4너트(34d)는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와 함께 제2승강부재(52)도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받침부재(60)는 제1받침부재(61)와 제2받침부재(62)를 포함한다. 제1받침부재(61)는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제1승강부재(51)에 결합되고, 제2받침부재(62)는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제2승강부재(52)에 결합된다. 이하에서는 제1받침부재(61)와 제2받침부재(62)를 구별하여 설명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받침부재(60)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받침부재(60)는 수평 방향을 따라서 프레임(20)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받침부재(60)는 결합부(63)와 유동 방지부(64), 탑재부(65)를 포함한다. 결합부(63)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고, 유동 방지부(64)는 결합부(63)에서 절곡되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탑재부(65)는 유동 방지부(64)에서 절곡되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다.
결합부(63)는 고정부재(70)를 통하여 승강부재(50)에 결합된다. 결합부(63)에는 위치조절 가이드홈(63a)이 형성되고, 고정부재(70)는 위치조절 가이드홈(63a)을 관통하여 승강부재(50)에 결합된다. 위치조절 가이드홈(63a)는 장공의 형태로 형성된다. 고정부재(70)는 볼트 형태로 형성되고, 승강부재(50)에는 이와 결합하는 나사홈(51a, 52a)이 형성된다. 이에 결합부(63)는 고정부재(70)가 위치조절 가이드홈(73a)에 삽입된 상태에서 승강부재(50)(또는 고정부재(70))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작업자는 고정부재(70)를 풀어서 결합부(63)의 위치를 조절하고, 이후 고정부재(70)를 다시 잠가서 결합부(63)가 승강부재(50)에 고정되도록 한다.
유동 방지부(64)는 캐리지(10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결합부(63)의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유동 방지부(64)는 캐리지(100)의 측면에 밀착하거나 캐리지(100)의 측면에서 이격될 수 있다.
탑재부(65)는 캐리지(100)가 안착될 수 있다. 탑재부(65)는 캐리지(100)의 하부로 삽입되어 캐리지(100)의 저면을 지지한다. 이로써 승강부재(50)가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캐리지(100)는 탑재부(65)에 탑재되어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가 리프팅 장치에 탑재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가 리프팅 장치에 밀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가 리프팅 장치에 의해서 승강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바퀴(101)가 달린 캐리지(100)를 리프팅 장치(10)로 이동시킨다. 이때 고정부재(70)는 풀려 있기 때문에 받침부재(60)는 승강부재(50)에서 위치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이후 작업자는 캐리지(100)를 프레임(20)의 내부로 밀어 넣게 되고, 캐리지(100)의 하부가 탑재부(65) 상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후 작업자는 유동 방지부(64)가 캐리지(100)의 측면에 밀착하도록 제1받침부재(61)와 제2받침부재(62)의 위치를 조절하고, 고정부재(70)를 이용하여 결합부(63)가 승강부재(50)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후 제어기(39)를 이용하여 구동모터(31)를 동작시키게 되면 볼스크류(33)는 회전하게 되고, 너트(34)와 함께 제1승강부재(51)와 제2승강부재(52)는 상승하게 된다. 승강부재(50)가 상승함에 따라 받침부재(60)에 지지되고 있던 캐리지(100)도 상승하게 된다. 이때 캐리지(100)의 저면은 탑재부(65)에 지지되고, 캐리지(100)의 측면은 유동 방지부(64)에 지지되기 때문에 캐리지(10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캐리지(100)를 적당한 높이로 상승시킨 후, 브레이크(40)를 작동시켜 볼스크류(33)의 회전을 방지함으로서 승강부재(50)가 임의적으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후 작업자는 캐리지(100)의 하측에 마련되는 공간으로 들어가서 캐리지(100)의 저면에 설치된 배선 등을 검사할 수 있다.
10: 리프팅 장치 20: 프레임
30: 구동유닛 40: 브레이크
50: 승강부재 60: 받침부재
100: 캐리지

Claims (10)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승강부재;와
    리프팅 대상물을 지지하고, 상기 승강부재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승강부재에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를 상기 승강부재에 결합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관통되는 위치조절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 가이드홈은 장공의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볼트로 형성되고,
    상기 승강부재에는 상기 고정부재와 결합하는 나사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리프팅 대상물의 하부를 지지하는 탑재부;와, 상기 리프팅 대상물의 측면을 지지하는 유동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는 감속기어;와, 상기 감속기어와 연결되는 볼스크류;와, 상기 볼스크류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너트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볼스크류의 상부에 마련되는 연결기어;와, 상기 연결기어를 연결하는 체인;과, 상기 체인의 텐션을 조절하는 체인스프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10.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브레이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KR1020110073838A 2011-07-26 2011-07-26 리프팅 장치 KR201300126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838A KR20130012604A (ko) 2011-07-26 2011-07-26 리프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838A KR20130012604A (ko) 2011-07-26 2011-07-26 리프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604A true KR20130012604A (ko) 2013-02-05

Family

ID=47893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3838A KR20130012604A (ko) 2011-07-26 2011-07-26 리프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260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03449A (zh) * 2014-02-24 2014-05-21 浙江大学宁波理工学院 一种用于高空作业的液压升降台
CN108088165A (zh) * 2017-12-06 2018-05-29 青岛彭大电器有限公司 一种自动升降层架装置及一种冰箱
CN109305637A (zh) * 2018-11-13 2019-02-05 天津职业技术师范大学 一种机械重载限位机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03449A (zh) * 2014-02-24 2014-05-21 浙江大学宁波理工学院 一种用于高空作业的液压升降台
CN108088165A (zh) * 2017-12-06 2018-05-29 青岛彭大电器有限公司 一种自动升降层架装置及一种冰箱
CN109305637A (zh) * 2018-11-13 2019-02-05 天津职业技术师范大学 一种机械重载限位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18607A (ko) 7축 제어 장치
KR20130012604A (ko) 리프팅 장치
KR20150007560A (ko)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작업대
KR102236366B1 (ko) 건물 외벽 작업 로봇
JP5791206B2 (ja) 巻上機揚重治具ユニット、及び、巻上機揚重方法
JP2007210703A (ja) 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の巻上機据付装置および据付工法
KR101689896B1 (ko) 승강이송로봇용 부품교체장치
KR20120122054A (ko) 장비 이동 장치
JP5570612B2 (ja) エレベータ
JP2011068458A (ja) エレベータのレール吊り装置
JP6270923B2 (ja) 据付装置
KR101322959B1 (ko) 패드 오버헤드 부착용 리프트 장치
JP2007261692A (ja) マンコンベアの制御盤用昇降装置
KR101899392B1 (ko) 중량물 승강장치
KR101770045B1 (ko) 승강기
JP6152963B2 (ja) エレベータ、エレベータの追加連結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JP6629379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天井、かご天井据付用治具、及びかご天井据付方法
JP6952505B2 (ja) キャスター付巻上機装置、及びキャスター付巻上機台
KR101662476B1 (ko) 승하강식 활주로 진입등주
KR100488919B1 (ko) 열차차량의 하부작업용 리프트
KR200434407Y1 (ko) 발전소용 블록 분해 조립장치
KR102591572B1 (ko) 승강기 시스템으로 마련되는 균형추 설치용 리프트장치
KR200433361Y1 (ko) 전동식 리프트
KR100579288B1 (ko) 드롭 리프트 시스템의 어저스트 아암 장치
KR20140005409U (ko) 조립식 리프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