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6269A - 무광택성 및 이형성이 우수한 무광전사용 코팅재 및 이를 이용한 전사 방법 - Google Patents

무광택성 및 이형성이 우수한 무광전사용 코팅재 및 이를 이용한 전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6269A
KR20160116269A KR1020150043555A KR20150043555A KR20160116269A KR 20160116269 A KR20160116269 A KR 20160116269A KR 1020150043555 A KR1020150043555 A KR 1020150043555A KR 20150043555 A KR20150043555 A KR 20150043555A KR 20160116269 A KR20160116269 A KR 20160116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te
acrylic
weight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3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1755B1 (ko
Inventor
정신혜
이상무
김판수
정연우
Original Assignee
(주)건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건양 filed Critical (주)건양
Priority to KR1020150043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1755B1/ko
Publication of KR20160116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1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1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D133/06
    • C09D1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D133/06 containing -OH groups
    • C08J7/047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9D1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7/1216
    • C09D7/125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전사시 이형제 처리 없이도 우수한 이형성을 나타내어 전사에 의하여 코팅된 피착재 표면에 무광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무광택성 및 이형성이 우수한 무광전사용 코팅재 및 이를 이용한 전사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택성 및 이형성이 우수한 무광전사용 코팅재는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PE(Polyethylene) 및 PP(Polypropylene) 필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캐리어 기재층 및 상기 캐리어 기재층 상면에 아크릴 무광 코팅 조성물을 도포 및 경화시켜 형성된 무광 아크릴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아크릴 무광 코팅 조성물은, 아크릴 폴리올 수지 20 ~ 50 중량%, 충진제 0.5 ~ 3 중량%, 분산제 0.5 ~ 1 중량% 및 나머지 용제로 조성되는 주제부; 및 상기 주제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 10 중량부로 첨가되며, 경화촉진제 및 용제로 조성되는 경화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진제로는 왁스 및 소광제가 함께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광택성 및 이형성이 우수한 무광전사용 코팅재 및 이를 이용한 전사 방법{TRANSFER COATING MATERIAL WITH EXCELLENT LOW GLOSS AND RELEASABILITY AND TRANSFER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광전사용 코팅재 및 이를 이용한 전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형성이 향상된 2액형 아크릴 무광 코팅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된 무광 아크릴 코팅층을 포함함으로써, 캐리어 기재층에 사용된 무광 캐리어 필름의 이형제 처리 여부에 상관없이 우수한 이형성을 나타내고, 이에 따라 전사시 이형제 처리 없이도 우수한 이형성을 나타내어 전사에 의하여 코팅된 피착재 표면에 무광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무광택성 및 이형성이 우수한 무광전사용 코팅재 및 이를 이용한 전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팅이란 물체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물체의 표면에 코팅제로 피막을 입히는 것을 말한다. 즉, 코팅은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물체의 표면에 흠이 생기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물체의 외관을 장 기간 동안 깨끗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게 된다.
인테리어 시트 및 자동차 인서트 필름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UV 경화 방식 또는 코팅 조성물의 도포에 의한 직접 코팅 방법, 전사 등에 의한 간접 코팅 방법이 있다.
UV 경화 방법은 열경화성 코팅 방법을 보완하는 코팅 방법으로써, 짧은 시간 동안 완전경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고온과 장시간의 경화조건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되기 때문에 열을 직접적으로 가하지 않아 열가소성 플라스틱, 목재, 종이와 같이 고온 열경화가 곤란한 소재의 하드코팅이 가능하다.
또한, 용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평면이 아닌 각진 부분이나 요철 부분의 경화가 어렵고, UV 램프에서 발생되는 열로 인하여 제품의 열 변형을 일으킬 수 있으며, 두께 차이에 따른 경화 속도의 차이가 크다. 또한, UV 경화 방법은 직접적으로 열을 가하지는 않지만, 자외선 조사를 통해 피착재인 소재에 직접 코팅하는 방법이므로, 이로 인해 소재의 표면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코팅 조성물에 의한 직접 코팅 방법은 용제 등에 의한 소재의 표면 손상과 용제 건조 중 뒤틀림 등의 현상을 일으킬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하여, 간접 코팅 방법인 전사 방법을 이용하여 하드 코팅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전사시에 코팅물이 전사 필름과의 고착화를 방지해 주는 이형물질이 도포되어 있는 이형제가 사용된다.
그러나, 이형제가 코팅되어 있지 않은 PET 면은 광택이 높아 전사면이 아주 유광을 나타냄으로 표면광을 나타낼 수 있다.
관련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34928호 (2011.04.06 공개)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피착재에 코팅되는 전사용 표면재가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형성이 향상된 2액형 아크릴 무광 코팅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된 무광 아크릴 코팅층을 포함함으로써, 캐리어 기재층에 사용된 무광 캐리어 필름의 이형제 처리 여부에 상관없이 우수한 이형성을 나타내고, 이에 따라 전사시 이형제 처리 없이도 우수한 이형성을 나타내어 전사에 의하여 코팅된 피착재 표면에 무광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무광택성 및 이형성이 우수한 무광전사용 코팅재 및 이를 이용한 전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광택성 및 이형성이 우수한 무광전사용 코팅재는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PE(Polyethylene) 및 PP(Polypropylene) 필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캐리어 기재층 및 상기 캐리어 기재층 상면에 아크릴 무광 코팅 조성물을 도포 및 경화시켜 형성된 무광 아크릴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아크릴 무광 코팅 조성물은, 아크릴 폴리올 수지 20 ~ 50 중량%, 충진제 0.5 ~ 3 중량%, 분산제 0.5 ~ 1 중량% 및 나머지 용제로 조성되는 주제부; 및 상기 주제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 10 중량부로 첨가되며, 경화촉진제 및 용제로 조성되는 경화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진제로는 왁스 및 소광제가 함께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광택성 및 이형성이 우수한 무광전사용 코팅재를 이용한 전사 방법은 (a)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PE(Polyethylene) 및 PP(Polypropylene) 필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캐리어 기재층의 상면에 아크릴 무광 코팅 조성물을 도포 및 경화시켜 무광 아크릴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무광 아크릴 코팅층 상면에 프라이머를 도포 및 경화시켜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프라이머층을 피착재에 밀착시켜 열전사하는 단계; 및 (d) 상기 무광 아크릴 코팅층 및 프라이머층으로부터 캐리어 기재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광택성 및 이형성이 우수한 무광전사용 코팅재 및 이를 이용한 전사 방법은 무광택성 및 이형성이 향상된 2액형 아크릴 무광 코팅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된 무광 아크릴 코팅층을 캐리어 기재층 상에 형성함에 따라, 캐리어 기재층에 사용된 무광 캐리어 필름의 이형제 처리 여부에 상관없이 우수한 이형성을 나타내고, 이에 따라 전사시 이형제 처리 없이도 우수한 이형성을 나타내어 전사에 의하여 코팅된 피착재 표면에 무광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이 결과, 캐리어 기재층의 표면 거칠기(surface roughness)가 심해 캐리어 기재층과 무광 아크릴 코팅층의 계면 간의 접착력이 증가하더라도 우수한 전사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광택성 및 이형성이 우수한 무광전사용 코팅재는 무광 처리된 캐리어 기재층을 사용하더라도 캐리어 기재층에 코팅되는 무광 아크릴 코팅층에 의해 무광효과를 부여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무광택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광전사용 코팅재를 이용한 전사 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광전사용 코팅재를 이용한 전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모식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광택성 및 이형성이 우수한 무광전사용 코팅재 및 이를 이용한 전사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무광택성 및 이형성이 우수한 무광전사용 코팅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광택성 및 이형성이 우수한 무광전사용 코팅재는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PE(Polyethylene) 및 PP(Polypropylene) 필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캐리어 기재층 및 캐리어 기재층 상면에 아크릴 무광 코팅 조성물을 도포 및 경화시켜 형성된 무광 아크릴 코팅층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광택성 및 이형성이 우수한 무광전사용 코팅재는 이형성이 향상된 2액형 아크릴 무광 코팅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된 무광 아크릴 코팅층을 포함함으로써, 캐리어 기재층에 사용된 무광 캐리어 필름의 이형제 처리 여부에 상관없이 우수한 이형성을 나타내고, 이에 따라 전사시 이형제 처리 없이도 우수한 이형성을 나타내어 전사에 의하여 코팅된 피착재 표면에 무광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이 결과, 캐리어 기재층의 표면 거칠기(surface roughness)가 심해 캐리어 기재층과 무광 아크릴 코팅층의 계면 간의 접착력이 증가하더라도 우수한 전사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광택성 및 이형성이 우수한 무광전사용 코팅재는 무광 처리된 캐리어 기재층을 사용하더라도 캐리어 기재층에 코팅되는 무광 아크릴 코팅층에 의해 무광효과를 부여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무광택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아크릴 무광 코팅 조성물은 아크릴 폴리올 수지 20 ~ 50 중량%, 충진제 0.5 ~ 3 중량%, 분산제 0.5 ~ 1 중량% 및 나머지 용제로 조성되는 주제부 및 주제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 10 중량부로 첨가되며, 경화촉진제 및 용제로 조성되는 경화제부를 포함하며, 충진제로는 왁스 및 소광제가 함께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아크릴 무광 코팅 조성물의 주성분에 해당한다.
이러한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스타이렌(styrene), n-뷰틸메타크릴레이트(n-Butyl methacrylate), t-뷰틸메타크릴레이트(t-Butyl methacrylate), 아이소뷰틸메타크릴레이트(Isobutyl Methacrylate), 아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Isopropyl methacrylate), 아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Isobonylacrylate), 아크릴로나이트릴(Acrylonitrile), 아이소보닐메타크릴레이트(Isobonylacrylate) 및 에틸메타크릴레이트(Ethyl methacrylate)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아크릴계 모노머로부터 중합되고, 수산가가 10~100인 것이 이용된다.
이때, 충진제로는 왁스 및 소광제를 함께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무광택성 및 이형성을 동시에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이러한 충진제는 왁스 및 소광제의 합산 기준으로 주제부 전체 중량의 0.5 ~ 3 중량%의 함량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진제의 첨가량이 0.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그 첨가량이 미미한 관계로 상기의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충진제의 첨가량이 3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이형성이 지나치게 증가하여 피착재와의 부착력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왁스는 이형성을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소광제는 무광 효과를 구현하기 위해 첨가되어, 광택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왁스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폴리아미드 중 선택된 1종 이상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소광제로는 실리카, 붕소화물, 질화물, 탄화물 및 알루미나 중 1종 이상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왁스 및 소광제는 5 : 1 ~ 1 : 5의 중량비로 첨가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며, 이는 왁스 및 소광제의 첨가비가 상기의 범위로 첨가되어야 목표로 하는 이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무광택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 경화제부는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라이머(HDT),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IPDI), 시클로렉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Cyclohexylmethanediisocyanate, H12MDI), 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MDI) 및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oluene Diisocyanate, TDI)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NCO 당량이 10~23%인 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경화제부는 주제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 10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제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부가 5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에는 아크릴 무광 코팅 조성물의 작업 공정성은 양호하나 표면 경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주제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부가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다량 첨가될 경우에는 아크릴 무광 코팅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져 코팅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광택성 및 이형성이 우수한 무광전사용 코팅재를 이용한 전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광전사용 코팅재를 이용한 전사 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광전사용 코팅재를 이용한 전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모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광택성 및 이형성이 우수한 무광전사용 코팅재를 이용한 전사 방법은 캐리어 기재층 상에 무광 아크릴 코팅층 형성 단계(S110), 무광 아크릴 코팅층 상에 프라이머층 형성 단계(S120), 피착재에 프라이머층 열전사 단계(S130) 및 캐리어 기재층 제거 단계(S140)를 포함한다.
캐리어 기재층 상에 무광 아크릴 코팅층 형성
캐리어 기재층 상에 무광 아크릴 코팅층 형성 단계(S110)에서는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PE(Polyethylene) 및 PP(Polypropylene) 필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캐리어 기재층(110)의 상면에 아크릴 무광 코팅 조성물을 도포 및 경화시켜 무광 아크릴 코팅층(120)을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아크릴 무광 코팅 조성물은 아크릴 폴리올 수지 20 ~ 50 중량%, 충진제 0.5 ~ 3 중량%, 분산제 0.5 ~ 1 중량% 및 나머지 용제로 조성되는 주제부 및 주제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 10 중량부로 첨가되며, 경화촉진제 및 용제로 조성되는 경화제부를 포함하며, 충진제로는 왁스 및 소광제가 함께 첨가된다.
무광 아크릴 코팅층 상에 프라이머층 형성
무광 아크릴 코팅층 상에 프라이머층 형성 단계(S120)에서는 무광 아크릴 코팅층(120) 상면에 프라이머를 도포 및 경화시켜 프라이머층(130)을 형성한다.
이때, 프라이머는 피착재와의 부착성을 높이기 위하여 도포하는 것으로 피착재(200)의 종류에 따라 무광 아크릴 코팅층(120)이 피착재(200)에 부착될 수 있도록 프라이머의 수지 성분을 달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구체적으로, 피착재(200)의 재질이 PVC 및 ABS 중 어느 하나일 경우에는 아크릴/비닐계 프라이머를 사용하고, 피착재(200)의 재질이 PETG일 경우에는 에스테르/비닐계 프라이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프라이머는 고형분 기준으로 전체 중량의 10 ~ 30 중량%의 함량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라이머의 고형분 함량이 1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연속 전사 공정 중에 접착력의 약화로 이형문제나 전사 후 코팅층의 박리 현상을 야기할 수 있다. 반대로, 프라이머의 고형분 함량이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접착제의 코팅 자국이 투명한 코팅층을 통과하여 표면외관을 손상시키고 표면경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피착재에 프라이머층 열전사
피착재에 프라이머층 열전사 단계(S130)에서는 프라이머층(130)을 피착재(200)에 밀착시켜 열전사한다. 이에 따라, 피착재(200)에 프라이머층(130)이 합지되어 전사된다.
캐리어 기재층 제거
캐리어 기재층 제거 단계(S140)에서는 무광 아크릴 코팅층(120) 및 프라이머층(130)으로부터 캐리어 기재층(110)을 제거한다. 캐리어 기재층(110)의 제거로 무광 아크릴 코팅층(120)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무광택성 및 이형성이 향상된 2액형 아크릴 무광 코팅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된 무광 아크릴 코팅층(120)을 캐리어 기재층(110) 상에 형성함에 따라, 캐리어 기재층(110)에 사용된 무광 캐리어 필름의 이형제 처리 여부에 상관없이 우수한 이형성을 나타내고, 이에 따라 전사시 이형제 처리 없이도 우수한 이형성을 나타내어 전사에 의하여 코팅된 피착재(200) 표면에 무광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이 결과, 캐리어 기재층(110)의 표면 거칠기(surface roughness)가 심해 캐리어 기재층(110)과 무광 아크릴 코팅층(120)의 계면 간의 접착력이 증가하더라도 우수한 전사성을 나타낼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1. 무광전사용 코팅재 제조 및 전사
실시예 1
아크릴 폴리올 수지 40wt%, 충진제로서 폴리에틸렌 및 실리카가 1 : 1의 중량비로 0.5wt%, BYK 분산제 0.5wt% 및 MEK(Methyl ethyl ketone) 59wt%를 혼합하여 주제부를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주제부 100 중량부와, 주제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가 11인 경화제부 7 중량부를 혼합한 후, PET 필름 상에 6㎛(dry)의 두께로 도포하여 무광 아크릴 코팅층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무광 아크릴 코팅층 상에 PMMA 레진 10wt%, Pvc-Vinyl acetate copolymer 10wt% 및 유기용제로 톨루엔 및 MEK 1 : 1의 중량비로 희석된 혼합용액 80wt%로 조성되는 프라이머를 2㎛의 두께로 도포한 후, 50℃에서 24시간 동안 경화하여 무광 아크릴 코팅층과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프라이머층을 PVC 재질의 피착재에 밀착시켜 코팅층을 열전사한 후, 무광 아크릴 코팅층 및 프라이머층으로부터 PET 필름을 제거하였다.
실시예 2
아크릴 폴리올 수지 42wt%, 충진제로서 폴리에틸렌 및 실리카가 1 : 1의 중량비로 1.0wt%, BYK 분산제 0.5wt% 및 MEK(Methyl ethyl ketone) 56.5wt%를 혼합하여 주제부를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무광전사용 코팅재 제조 및 전사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아크릴 폴리올 수지 45wt%, 충진제로서 폴리에틸렌 및 실리카가 2.0wt%, BYK 분산제 0.5wt% 및 MEK(Methyl ethyl ketone) 52.5wt%를 혼합하여 주제부를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무광전사용 코팅재 제조 및 전사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아크릴 폴리올 수지 44wt%, 충진제로서 폴리에틸렌 및 실리카가 3.0wt%, BYK 분산제 0.5wt% 및 MEK(Methyl ethyl ketone) 52.5wt%를 혼합하여 주제부를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무광전사용 코팅재 제조 및 전사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무광 아크릴 코팅층 상에 PMMA 레진 15wt%, Pvc-Vinyl acetate copolymer 15wt% 및 유기용제로 톨루엔 및 MEK 1 : 1의 중량비로 희석된 혼합용액 70wt%로 조성되는 프라이머를 2㎛의 두께로 도포한 후, 50℃에서 24시간 동안 경화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무광 아크릴 코팅층과 프라이머층을 PVC 재질의 피착재에 밀착시켜 열전사한 후, 무광 아크릴 코팅층 및 프라이머층으로부터 PET 필름을 제거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무광 아크릴 코팅층 상에 Polyester resin 15wt%, Pvc-Vinyl acetate copolymer 11wt% 및 유기용제로 톨루엔 및 MEK 1 : 1의 중량비로 희석된 혼합용액 74wt%로 조성되는 프라이머를 2㎛의 두께로 도포한 후, 50℃에서 24시간 동안 경화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무광 아크릴 코팅층 및 프라이머층을 PETG 재질의 피착재에 밀착시켜 열전사한 후, 무광 아크릴 코팅층 및 프라이머층으로부터 PET 필름을 제거하였다.
비교예 1
아크릴 폴리올 수지 42wt%, 충진제로서 폴리에틸렌 및 실리카가 1 : 1의 중량비로 3.5wt%, BYK 분산제 0.5wt% 및 MEK(Methyl ethyl ketone) 54wt%를 혼합하여 주제부를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무광전사용 코팅재 제조 및 전사를 실시하였다.
비교예 2
아크릴 폴리올 수지 45wt%, 충진제로서 폴리에틸렌 및 실리카가 1 : 1의 중량비로 0.1wt%, BYK 분산제 0.5wt% 및 MEK(Methyl ethyl ketone) 54.4wt%를 혼합하여 주제부를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무광전사용 코팅재 제조 및 전사를 실시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무광 아크릴 코팅층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것 없이 PVC 재질의 피착재에 밀착시켜 열전사한 후, 무광 아크릴 코팅층으로부터 PET 필름을 제거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무광 아크릴 코팅층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것 없이 PETG 재질의 피착재에 밀착시켜 열전사한 후, 무광 아크릴 코팅층으로부터 PET 필름을 제거하였다.
2. 물성 평가
표 1은 실시예 1 ~ 6 및 비교예 1 ~ 4에 따른 무광전사용 코팅재를 피착물에 부착한 후의 최종 물성을 나타낸 것이다.
1) 내스크래치성
내스크래치성은 손톱으로 긁어 육안으로 판정하였다.
2) 광택도
광택도 평가를 위하여, 광택도계를 이용하여 입사각 60˚에서 시편의 광택도를 측정하였다.
3) 부착성
부착성은 도막판에 다이아몬드침을 사용하여 1mm 간격으로 등간격 평행선 11개를 그리고 여기에 교차되도록 등간격 평행선 11개를 더 그려 정방형 100개(10×10)로 cross-cut한 후, KS M ISO 5981 규격에 의거하여 테이프 박리하여 떨어져 나오는 것이 있는지의 여부로 판별하였다.
[표 1]
Figure pat00001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 ~ 6의 경우, 전사성, 부착성 및 내스크래치성 면에서 모두 우수하거나, 또는 양호한 물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1 ~ 6의 경우, 광택도가 10 ~ 34로 측정되었다. 이때, 실시예 4의 경우 광택도가 10으로 가장 낮았으나, 내스크래치성이 보통 수준에 불과한 반면, 실시예 3의 경우 원하는 광택 물성을 나타내면서도 전사성, 내스크래치성 및 부착성 면에서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비교예 1의 경우, 왁스 + 소광제의 첨가량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범위를 초과하여 다량 첨가되는데 기인하여, 전사성, 광택도 및 부착성은 우수하였으나, 내스크래치성이 나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교예 2의 경우, 왁스 + 소광제의 첨가량이 0.1 중량%로 소량 첨가될 경우, 전사성, 내스크래치성 및 부착성은 우수하였으나, 원하는 광택 물성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3 ~ 4의 경우와 같이, 프라이머 처리를 실시하지 않을 시, 부착력이 나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S110 : 캐리어 기재층 상에 무광 아크릴 코팅층 형성 단계
S120 : 무광 아크릴 코팅층 상에 프라이머층 형성 단계
S130 : 피착재에 프라이머층 열전사 단계
S140 : 캐리어 기재층 제거 단계
110 : 캐리어 기재층
120 : 무광 아크릴 코팅층
130 : 프라이머층
200 : 피착재

Claims (9)

  1.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PE(Polyethylene) 및 PP(Polypropylene) 필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캐리어 기재층 및 상기 캐리어 기재층 상면에 아크릴 무광 코팅 조성물을 도포 및 경화시켜 형성된 무광 아크릴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아크릴 무광 코팅 조성물은,
    아크릴 폴리올 수지 20 ~ 50 중량%, 충진제 0.5 ~ 3 중량%, 분산제 0.5 ~ 1 중량% 및 나머지 용제로 조성되는 주제부; 및
    상기 주제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 10 중량부로 첨가되며, 경화촉진제 및 용제로 조성되는 경화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진제로는 왁스 및 소광제가 함께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택성 및 이형성이 우수한 무광전사용 코팅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스타이렌(styrene), n-뷰틸메타크릴레이트(n-Butyl methacrylate), t-뷰틸메타크릴레이트(t-Butyl methacrylate), 아이소뷰틸메타크릴레이트(Isobutyl Methacrylate), 아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Isopropyl methacrylate), 아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Isobonylacrylate), 아크릴로나이트릴(Acrylonitrile), 아이소보닐메타크릴레이트(Isobonylacrylate) 및 에틸메타크릴레이트(Ethyl methacrylate)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아크릴계 모노머로부터 중합되고, 수산가가 10~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택성 및 이형성이 우수한 무광전사용 코팅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 및 소광제는
    5 : 1 ~ 1 : 5의 중량비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택성 및 이형성이 우수한 무광전사용 코팅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폴리에틸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폴리아미드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택성 및 이형성이 우수한 무광전사용 코팅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광제는
    실리카, 붕소화물, 질화물, 탄화물 및 알루미나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택성 및 이형성이 우수한 무광전사용 코팅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기재층은
    무광제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택성 및 이형성이 우수한 무광전사용 코팅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무광택성 및 이형성이 우수한 무광전사용 코팅재를 이용한 전사 방법에 있어서,
    (a)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PE(Polyethylene) 및 PP(Polypropylene) 필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캐리어 기재층의 상면에 아크릴 무광 코팅 조성물을 도포 및 경화시켜 무광 아크릴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무광 아크릴 코팅층 상면에 프라이머를 도포 및 경화시켜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프라이머층을 피착재에 밀착시켜 열전사하는 단계; 및
    (d) 상기 무광 아크릴 코팅층 및 프라이머층으로부터 캐리어 기재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택성 및 이형성이 우수한 무광전사용 코팅재를 이용한 전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피착재는
    PVC, ABS 및 PETG 수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택성 및 이형성이 우수한 무광전사용 코팅재를 이용한 전사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착재의 재질이 PVC 및 ABS 중 어느 하나일 경우에는 아크릴/비닐계 프라이머를 사용하고,
    상기 피착재의 재질이 PETG일 경우에는 에스테르/비닐계 프라이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택성 및 이형성이 우수한 무광전사용 코팅재를 이용한 전사 방법.
KR1020150043555A 2015-03-27 2015-03-27 무광택성 및 이형성이 우수한 무광전사용 코팅재 및 이를 이용한 전사 방법 KR101761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555A KR101761755B1 (ko) 2015-03-27 2015-03-27 무광택성 및 이형성이 우수한 무광전사용 코팅재 및 이를 이용한 전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555A KR101761755B1 (ko) 2015-03-27 2015-03-27 무광택성 및 이형성이 우수한 무광전사용 코팅재 및 이를 이용한 전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269A true KR20160116269A (ko) 2016-10-07
KR101761755B1 KR101761755B1 (ko) 2017-07-27

Family

ID=57145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3555A KR101761755B1 (ko) 2015-03-27 2015-03-27 무광택성 및 이형성이 우수한 무광전사용 코팅재 및 이를 이용한 전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17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1032A (ko) * 2017-03-03 2018-09-12 (주)엘지하우시스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 무광 데코 시트
CN110423530A (zh) * 2019-08-21 2019-11-08 湖南汇华水性印涂材料有限公司 一种水性转移涂料
KR102465980B1 (ko) * 2022-05-09 2022-11-09 김진성 광택도와 이형력 조절이 가능한 페트 필름 코팅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546B1 (ko) * 2019-06-11 2022-01-26 김태경 Tpo 필름, 이를 포함하는 폼 매트의 제조공정, 그리고 이에 제조된 tpo 필름이 부착된 폼 매트
KR102465240B1 (ko) * 2021-11-04 2022-11-09 주식회사 은진공업 내마모성이 우수한 이액형 상온경화형 노면표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50510B2 (ja) * 1991-06-19 1997-09-03 凸版印刷株式会社 転写記録方法及びこの方法に使用される被転写体
JP4240723B2 (ja) * 2000-01-31 2009-03-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1032A (ko) * 2017-03-03 2018-09-12 (주)엘지하우시스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 무광 데코 시트
CN110423530A (zh) * 2019-08-21 2019-11-08 湖南汇华水性印涂材料有限公司 一种水性转移涂料
KR102465980B1 (ko) * 2022-05-09 2022-11-09 김진성 광택도와 이형력 조절이 가능한 페트 필름 코팅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1755B1 (ko) 2017-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1755B1 (ko) 무광택성 및 이형성이 우수한 무광전사용 코팅재 및 이를 이용한 전사 방법
JP6597305B2 (ja) 転写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転写成形品
JP5155645B2 (ja) 耐箔バリ性に優れた転写材の製造方法と転写材
JP5870215B2 (ja) 弾性質感が付与されたインモールド転写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6513096B2 (ja) 高温安定性を有する可撓性微小球物品
TW201441064A (zh) 加飾用轉印薄膜
JP6560068B2 (ja) 装飾粘着フィルム
KR101814178B1 (ko) 몰딩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몰딩재
JP6163925B2 (ja) マット調転写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品
TW201425068A (zh) 轉印薄膜、成形品的製造方法及成形品
KR101578074B1 (ko) 이형성이 향상된 전사용 코팅재 및 이를 이용한 전사방법
JP2015217517A (ja) 転写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転写成形品
TWI761369B (zh) 黏著片材積層體、賦形黏著片材積層體及其製造方法
JP5285996B2 (ja) 化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6206712B2 (ja) 成型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3178658A (ja) 水性ニス組成物、キット、印刷層付き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214031A (ja) 転写フィルムおよび装飾成形品
JP7047304B2 (ja) 転写シート、及び化粧材の製造方法
JP5608059B2 (ja) 二次加工用化粧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化粧材の製造方法
JP4843585B2 (ja) 装飾シート
JP5262097B2 (ja) シートモールディングコンパウンド用一体成形型加飾シート及び加飾成形品
KR100404508B1 (ko) 내손상성이 우수한 염화비닐수지 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7000692B2 (ja) 転写シート
KR200230932Y1 (ko) 내손상성이 우수한 염화비닐수지 시트
KR102079623B1 (ko)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 무광 데코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