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1032A -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 무광 데코 시트 - Google Patents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 무광 데코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1032A
KR20180101032A KR1020170027729A KR20170027729A KR20180101032A KR 20180101032 A KR20180101032 A KR 20180101032A KR 1020170027729 A KR1020170027729 A KR 1020170027729A KR 20170027729 A KR20170027729 A KR 20170027729A KR 20180101032 A KR20180101032 A KR 20180101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te
layer
composition
sheet
m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7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9623B1 (ko
Inventor
송예리
박환석
김유준
김장순
예성훈
남해림
박민경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70027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623B1/ko
Publication of KR20180101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1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2Polymers of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G18/6216Polym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of derivatives thereof
    • C08G18/622Polymers of est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 C08G18/6225Polymers of esters of acrylic or methacrylic acid
    • C08G18/6229Polymers of hydroxy groups containing esters of acrylic or methacrylic acid with aliphatic poly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161Catalysts containing two or more components to be covered by at least two of the groups C08G18/166, C08G18/18 or C08G18/22
    • C08G18/163Catalysts containing two or more components to be covered by at least two of the groups C08G18/166, C08G18/18 or C08G18/22 covered by C08G18/18 and C08G18/2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히드록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및 촉매를 포함하고, 히드록시기(-OH) 대 이소시아네이트기(-NCO)의 당량비가 1:0.1 내지 1:1인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하드코팅층 및 무광 이형층을 포함하는 무광 데코시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 무광 데코 시트 {COMPOSITION FOR MATT COATING DECORATION SHEET AND MATT COATING DECORATION SHEET}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무광 데코시트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내외장재, 책상 및 의자 등의 가구 등의 물품은, 그 표면을 보호하고 심미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표면 처리를 실시한다. 물품의 표면 처리는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지며, 경우에 따라서는 고광택 표면 처리를 하는 경우도 있고, 무광택 표면 처리를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표면 처리에는 코팅의 방법을 이용하거나, 엠보싱 롤 또는 표면 조도가 큰 전사 필름을 활용하여 표면에 요철을 가하는 전사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소광제를 이용하여 광택을 조절하는 직접 코팅 방식은 광택 감소에 따른 사용량의 증가와, 소광제의 소재 특성상 오염 물질의 흡착이 쉽고 사용량이 많을수록 외관의 품질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사 방식은 광택도 5 이하의 무광 디자인을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어 광택도 10 내지 20의 반광 제품 외에 제품군이 다양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우수한 무광 효과와 내오염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적정한 조도를 구현하기 용이하여 우수한 무광 효과와 우수한 내오염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을 이용한 복수의 층을 통하여 우수한 무광 효과 및 내오염성을 구현하는 무광 데코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히드록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및 촉매를 포함하고, 히드록시기(-OH) 대 이소시아네이트기(-NCO)의 당량비가 1:0.1 내지 1:1인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순차적으로 프라이머층, 하드코팅층, 무광 이형층 및 기재층을 포함하고, 상기 하드코팅층 및 상기 무광 이형층은 각각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의 열경화물을 포함하며, 상기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은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및 촉매를 포함하고, 히드록시기(-OH) 대 이소시아네이트기(-NCO)의 당량비가 1:0.1 내지 1:1인 무광 데코시트를 제공한다.
상기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무광 데코시트는 우수한 무광 효과 및 내오염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의 히드록시기(-OH) 대 이소시아네이트기(-NCO)의 당량비를 제어함으로써,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하드코팅층 및 무광 이형층이 적절한 경도 및 조도를 구현할 수 있고, 그 결과, 광택도를 조절하고, 내오염성 및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무광 데코시트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무광 데코시트를 이용한 성형품을 제조하는 과정을 개략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무광 이형층이 소광제를 포함하는 경우의 단면의 확대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후술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히드록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및 촉매를 포함하고, 상기 히드록시기(-OH) 대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NCO)의 당량비가 약 1:0.1 내지 약 1:1인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은 이에 포함된 상기 히드록시기(-OH) 대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NCO)의 당량비를 약 1:0.1 내지 약 1:1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이로부터 형성되는 하드코팅층과 무광 이형층이 우수한 내구성 및 내오염성을 구현하고, 높은 표면 경도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당량비는 히드록시기(-OH) 관능기의 수 대비 이소시아네이트기(-NCO) 관능기의 수의 비율을 의미한다. 상기 히드록시기(-OH) 및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NCO)는 상기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의 열경화 시 서로 우레탄 결합 반응 (-NH-CO-O-)을 수행하여 가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기 히드록시기(-OH) 대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NCO)의 당량비가 약 1:0.1 미만인 경우, 즉, 상기 히드록시기 (-OH) 수에 비하여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NCO) 기의 수가 지나치게 적은 경우, 상기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의 경화가 잘 되지 않으며, 상기 무광 데코시트의 내스크래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드록시기(-OH) 대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NCO)의 당량비가 약 1:1 초과인 경우, 즉 상기 히드록시기(-OH) 수에 비하여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NCO)의 수가 지나치게 많은 경우, 상기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의 경화 이후에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가 잔류하게 되어 부반응물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은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NCO) 및 상기 히드록시기(-OH)의 당량비가 전술한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이의 경화물이 우수한 표면 경도를 확보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하드코팅층 및 무광 이형층을 통하여 무광 데코시트에 우수한 내오염성 및 무광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의 열경화물은 예를 들어, 표면 경도가 연필 경도 약 HB 내지 약 2H일 수 있다. 상기 '표면 경도'는 연필경도 시험계(LT-PC2, 전동식 연필경도계)를 이용하여 상기 열경화물의 표면에 대해 측정한 결과 값이며, 상기 열경화물의 표면 경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상기 열경화물이 외부마찰에 쉽게 마모되지 않는 내구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열경화물의 표면 경도는 상기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의 조성과 이를 경화시키는 공정 조건 등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히드록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예를 들어,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GMA)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예를 들어, 예를 들어,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8-히드록시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2-히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weight-average molecular weight, Mw)이 약 40,000 내지 약 60,000일 수 있다. 상기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를 유지함으로써 경화도를 최대로 향상시키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유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와 히드록시기의 경화 반응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유리전이온도(Tg)가 약 40℃ 내지 약 120℃일 수 있다.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가 상기 범위의 유리전이온도(Tg)를 가짐으로써,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의 열경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리전이온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로 형성된 하드코팅층이 충분한 표면 경도를 확보하지 못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제조 과정에서 경화 속도가 지나치게 빨라져 가공성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히드록시 값(OH value)이 약 20 내지 약 100일 수 있다. 상기 '히드록시 값'은 수지 1,000g당 포함되는 히드록시기(OH기)의 g수를 나타낸다. 상기 수지가 상기 범위의 히드록시 값(OH value)을 나타냄으로써, 상기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하드코팅층이 적절한 경화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표면 강도가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수지의 히드록시 값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반응성 면에서 좋을 수 있으나, 상기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로 형성된 층 또는 시트가 적절한 경화도를 확보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이소시아네이트기(-NCO)를 포함하고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와 우레탄 결합 반응을 일으켜 경화제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예를 들어, 2,4- 또는 2,6-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TDI),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MDI), 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XDI),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 프로필렌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 2,2,4- 또는 2,4,4-트리메틸헥사메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 4,4'-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H12MDI)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뷰렛(biuret) 타입의 HDI,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이소시아누레이트(isocyanurate) 타입의 HDI,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은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100 중량부 기준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약 25 중량부 내지 약 10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와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이와 같은 중량비로 사용함으로써, 상기 히드록시기(-OH)와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NCO)의 당량비를 전술한 범위로 조절하기 용이하며, 상기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이 코팅 및 경화에 적합한 점도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촉매는 백금, 아연, 아민계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촉매는 상기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의 열경화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순차적으로 프라이머층, 하드코팅층, 무광 이형층 및 기재층을 포함하는 무광 데코시트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하드코팅층 및 상기 무광 이형층은 각각 전술한 바에 따른 상기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의 열경화물을 포함한다. 즉, 상기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은 히드록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및 촉매를 포함하고, 히드록시기(-OH) 대 이소시아네이트기(-NCO)의 당량비가 1:0.1 내지 1:1이다. 상기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과 이의 각 성분에 관한 사항은 모두 전술한 바와 같다.
도 1은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무광 데코시트(100)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할 때, 상기 무광 데코시트(100)은 프라이머층(110), 하드코팅층(120), 무광 이형층(130) 및 기재층(140)을 순차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프라이머층(110)은 접착성을 갖는 층으로서 상기 무광 데코시트(100)가 데코레이션 목적 대상인 피착물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층이다.
상기 프라이머층(110)은 아크릴계 접착제, 실리콘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우레탄계 접착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110)은 그 두께가 약 1㎛ 내지 약 3㎛일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110)이 상기 범위의 두께를 유지함으로써 이를 통해 상기 무광 데코시트(100)을 피착물에 단단히 부착시킬 수 있고, 상기 하드코팅층(120)과의 계면 부착성을 적절히 확보하여 상기 무광 데코시트(100)의 굴곡면에 대한 가공성 및 성형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110)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무광 데코시트(100)의 신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고,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프라이머층(110)이 균일하게 코팅되지 못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상기 기재층(140)은 상기 무광 이형층(130)을 형성하기 위한 기본 구조로 이용될 수 있고, 상기 무광 데코시트(100)가 피착물에 적용된 이후에는 상기 무광 이형층(130)으로부터 박리되어 제거되는 층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재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글리콜(PETG)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기재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기재층(140)의 일면에 열경화의 방법으로 상기 무광 이형층(130)을 형성함에 있어서 향상된 내열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광 이형층(130)과 상기 기재층(140)의 계면의 평탄도가 일정 수준 확보되어, 상기 무광 시트를 피착물에 최종적으로 적용하였을 때, 상기 무광 이형층(130)이 무광 효과를 나타내면서도 우수한 외관을 구현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기재층(140)의 두께는 약 30㎛ 내지 약 50㎛일 수 있다. 상기 기재층(140)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그 상부에 상기 무광 이형층(130)을 형성하여 상기 하드코팅층(140) 상에 전사시키기 용이하며, 상기 무광 데코시트(100)을 최종 피착물에 적용한 후 상기 기재층(140)의 제거 또한 용이할 수 있다. 상기 기재층(140)의 두께가 지나치게 얇은 경우에는 상기 기재층(140)에 구김이 생겨 상부에 무광 이형층(130)을 형성하기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상기 무광 이형층(130) 및 상기 하드코팅층(120)은 상기 무광 데코시트(100)의 최상부에 위치하여 외부로 드러나는 층으로서, 표면의 광택을 무광으로 구현하며, 오염 방지 및 스크래치 방지의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광 이형층(130) 및 상기 하드코팅층(120)은 모두 상기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의 열경화물을 베이스로 한다. 이로써, 상기 무광 이형층(130) 및 상기 하드코팅층(120) 간의 상용성,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무광 데코시트(100)의 전체적인 성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120)을 형성하기 위한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 (이하,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이라 함)은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촉매를 약 0.01 중량부 내지 약 0.1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촉매가 약 0.01 중량부 미만인 경우, 상기 열경화 속도가 너무 느릴 수 있고, 약 0.1 중량부 초과인 경우 상기 촉매가 경화 이후 경화물의 표면에 촉매가 잔류하여 상기 무광 이형층(130)과의 계면 물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은 소광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이 소광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하드코팅층(120)의 상기 프라이머층(110) 측의 표면 물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무광 데코시트(110)의 적층 구조에 있어서 층간 계면 부착력이 약해지거나, 내구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무광 이형층(130)과 상기 하드코팅층(120)이 모두 소광제를 포함하는 경우 시인성을 저하시켜 이면의 패턴이나 색상이 잘 보이지 않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120)의 평균 두께는 약 5㎛ 내지 약 20㎛일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120)의 평균 두께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그 상부에 상기 무광 이형층(130)이 전사될 때, 요철 형상의 분포가 균일하게 전이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무광 데코시트가 충분한 무광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무광 이형층(130)도 상기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의 열경화물을 포함하며, 상기 무광 이형층(130)을 형성하기 위한 상기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 (이하,'무광 이형층 형성용 조성물'이라 함)은 슬립제, 소광제 또는 이들 모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립제는 상기 무광 이형층(130)과 상기 기재층(140)의 계면 박리를 용이하게 하는 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폴리디알킬실록산과 폴리옥시알킬렌의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디알킬실록산은 예를 들어, 양 말단이 히드록시기로 캡핑된 폴리디알킬실록산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폴리머일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3에서,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개 내지 3개의 알킬기일 수 있고, 이들 각각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개 내지 3개의 알킬렌기일 수 있고, 이들 각각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n은 1 내지 12의 정수, 예를 들어, 1 내지 6의 정수일 수 있다.
상기 폴리디알킬실록산으로서, 상기 R3 및 R4가 알킬렌기이고, n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무광 이형층(130)의 목적하는 물성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옥시알킬렌은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폴리머일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4에서, 상기 L은 탄소수 1 내지 1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렌기일 수 있고, 상기 n은 1 내지 5의 정수이다.
상기 무광 이형층 형성용 조성물이 슬립제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100 중량부 기준 상기 슬립제를 약 0.1 중량부 내지 약 2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립제의 사용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상기 무광 데코시트를 최종 피착물에 적용할 때, 상기 기재층(140)과 상기 무광 이형층(130) 사이가 용이하게 박리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상기 무과 이형층(130)이 상기 하드코팅층(120) 상에 단단히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슬립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 하는 경우, 표면 에너지가 지나치게 낮아지게 되어 상기 기재층(140) 상에 상기 무광 이형층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소광제는 상기 무광 이형층의 표면에 조도를 부여하여 무광 효과를 구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실리카 입자, 알루미나 입자, 유기 비드(bead)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광제는 실리카 입자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실리카 입자는 흄드 실리카(fumed silic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카 입자의 공극은 약 0.2ml/g 이상, 예를 들어, 약 0.4ml/g 내지 약 2.0ml/g 일 수 있다. 즉, 상기 실리카 입자 1g 당 약 0.2ml 이상, 예를 들어, 약 0.4ml 내지 약 2.0ml의 부피가 공극일 수 있다. 상기 소광제가 이러한 물성을 갖는 실리카 입자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무광 이형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 및 경화하는 과정 중에, 상기 소광제가 상기 무광 이형층의 표면으로 부상하여 난반사가 일어날 확률을 높여 향상된 무광 효과를 구현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무광 이형층 형성용 조성물이 소광제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무광 이형층(130)과 상기 기재층(140)의 계면; 상기 무광 이형층(130)과 상기 하드코팅층(120)의 계면; 또는 이들 모두에 요철 형상을 형성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무광 데코시트(100)가 우수한 무광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micro) 단위의 입경을 갖는 소광제 입자를 이용함으로써 적절한 심도를 갖는 요철을 주어 빛에 의한 난반사 효과를 이용하여 무광 효과를 구현할 수 있고, 적절한 표면의 질감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광제는 입경(particle diameter)이 약 1㎛ 내지 약 10㎛일 수 있다. 상기 소광제의 입경은 입자 단면의 평균 직경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TEM/SEM 이미지 분석에 의해 수평균 입경으로 측정될 수 있다. 상기 무광 이형층이 상기 범위의 입경을 갖는 소광제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무광 이형층의 두께 대비 적절한 요철 형상의 구현이 가능하며, 무광 효과와 함께 내오염성도 함께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소광제는 입자 크기가 클수록 적은 함량으로도 낮은 광택의 표현이 가능할 수 있으나, 소광제의 입자 크기가 클수록 표면 터치감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다양한 크기의 소광제들을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낮은 광택 및 우수한 표면 터치감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소광제는 입경이 약 1㎛ 이상, 약 5㎛ 미만인 제1 소광제와 입경이 약 5㎛ 이상, 약 10㎛ 이하인 제2 소광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광 이형층 형성용 조성물이 상기 소광제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100 중량부 기준 상기 소광제를 약 3 중량부 내지 약 25 중량부, 예를 들어, 약 5 중량부 초과, 약 20 중량부 이하, 예를 들어, 약 5 중량부 초과, 약 15 중량부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광제가 상기 중량부 범위만큼 포함됨으로써 이의 일면 상에 요철 형상이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고, 무광 효과, 내오염성 및 표면 질감을 모두 우수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무광 이형층 형성용 조성물은 멜라민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멜라민 화합물은 상기 무광 이형층(130)의 표면 경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헥사메톡시메틸멜라민, 메틸화 멜라민-포름알데히드(Methylated melamine-formaldehyd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광 이형층 형성용 조성물이 상기 멜라민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100 중량부 기준 상기 멜라민 화합물을 약 80 중량부 내지 약 1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멜라민 화합물이 상기 중량부 범위만큼 포함됨으로써 표면 경도 향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무광 이형층 형성용 조성물은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100 중량부 기준 상기 촉매를 약 0.5 중량부 내지 약 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촉매가 상기 중량부 범위만큼 포함됨으로써 경화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무광 이형층의 평균 두께는 약 5㎛ 내지 약 20㎛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7㎛ 내지 약 12㎛일 수 있다. 상기 무광 이형층의 평균 두께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상기 소광제를 적은 함량 사용하더라도 우수한 소광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무광 이형층의 평균 두께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무광 이형층 내 소광제의 분포가 불균일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상기 무광 데코시트의 제조시 상기 소광제가 전이되지 않아 충분한 무광 효과를 구현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무광 이형층의 평균 두께와 상기 소광제의 입경 및 함량이 모두 전술한 범위를 만족하도록 조절함으로써, 상기 무광 데코시트가 목적하는 광택도, 내오염도 및 표면 경도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무광 이형층(130)이 소광제(A)를 포함하는 경우의 단면의 확대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할 때, 일 구현예에서, 상기 소광제(A)의 입경(d1)과 상기 무광 이형층의 평균 두께(d2)는 그 차이가 ±5㎛일 수 있고, 예를 들어, ±1㎛일 수 있다. 상기 소광제(A)의 입경(d1)과 상기 무광 이형층(d2)의 평균 두께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설정함으로써, 상기 무광 이형층(130)과 상기 기재층(140)의 계면; 상기 무광 이형층(130)과 상기 하드코팅층(120)의 계면; 또는 이들 모두에 요철 무늬를 형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목적하는 수준의 무광 효과를 화보할 수 있다. 또한, 이와 함께 우수한 내오염도 및 표면 경도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 및 상기 무광 이형층은 상기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을 베이스로 하는 각각의 조성물을 열경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을 베이스로 하는 각각의 조성물은 약 100℃ 내지 약 130℃에서 약 1분 내지 약 3분 동안 열처리하여 열경화시킬 수 있다. 상기 열경화가 상기 온도 및 시간 범위 미만인 경우 경화가 덜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온도 및 시간 범위 초과인 경우 열-주름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무광 데코시트(100)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나, 예를 들어, 후술하는 바와 같을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무광 데코시트(100)는 상기 기재층(140) 상에 상기 무광 이형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고, 상기 무광 이형층 형성용 조성물 상에 상기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며, 상기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상에 상기 프라이머층 형성을 위한 접착제를 도포 및 건조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광 이형층 형성용 조성물 및 상기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은 각각 약 100℃ 내지 약 130℃에서 약 1분 내지 약 3분 동안 열처리하여 건조될 수 있다. 상기 범위의 온도 및 시간에서 건조시킴으로써 적절한 경도를 갖도록 경화됨과 동시에, 조성물 내 다른 성분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무광 이형층 형성용 조성물 및 상기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은 건조 이후에 약 40℃ 내지 약 60℃에서 약 24시간 내지 약 48시간 동안 에이징(aging)하는 과정을 거쳐 최종 무광 이형층 및 하드코팅층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에이징 절차를 통하여 상기 무광 이형층 및 상기 하드코팅층의 계면 부착력이 우수해지고, 표면 경도의 증대로 우수한 내스크래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무광 데코시트(100)를 적용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무광 데코시트(100)를 피착물(150)에 부착하고, 이어서, 상기 기재층(140)을 상기 무광 이형층(120)으로부터 박리시켜 최종 적용시킬 수 있다.
상기 피착물(150)은 상기 무광 데코시트(100)를 통하여 최종 장식 효과가 부여되는 대상물로서, 그 재질이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나, 예를 들어, 폴리염화비닐(PVC), 글리콜 변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G), 비정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Amorphous PET, A-PET)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착물(150)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어, 굴곡면을 갖는 형상일 수도 있고, 평면으로 이루어진 형상일 수도 있다. 상기 무광 데코시트(100)는 이와 같은 재질 및 형상으로 이루어진 피착물(150)에 대해 주름 발생 없이 우수한 부착성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광 데코시트(100)는 이의 프라이머층(110)을 상기 피착물(150)에 맞닿도록 부착시킨 후, 열-합지함으로써 상기 피착물(150)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합지는 약 70℃ 내지 약 9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열-합지의 온도 조건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피착물(150)과 상기 프라이머층(110) 사이의 계면 부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후속하여 상기 기재층(140)을 상기 무광 이형층(120)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하기 어렵고, 상기 무광 이형층(130) 및 상기 하드코팅층(120) 중의 주요 성분과 상기 피착물(150)이 손상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상기 무광 데코시트(100)이 열-합지를 통해 상기 피착물(150)에 부착된 후 필요한 시기에 상기 무광 이형층(130)으로부터 상기 기재층(140)을 이형시켜 원하는 장식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기재층(140)을 상기 무광 이형층(130)으로부터 박리하는 경우, 상기 무광 이형층(130)의 일부 성분이 상기 기재층(140)으로부터 완전히 박리되지 못하고 함께 박리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무광 이형층(130)의 거의 대부분이 상기 하드코팅층(120)과 단단히 부착되어 상기 무광 데코시트(100)의 최외각 표면을 이루게 된다.
즉, 상기 무광 데코시트(100)를 적용한 피착물(150)은 최외각 표면에 상기 무광 이형층(130)이 위치하게 되고, 상기 하드코팅층(120)과 상기 무광 이형층(130) 사이의 계면; 또는 상기 무광 이형층(130)의 최외각 표면에 형성된 요철 무늬에 의해 우수한 무광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다만,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서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
< 실시예 비교예 >
실시예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재질의 250㎛ 두께의 기재층을 준비하였다. 이어서, 히드록시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수지와 뷰렛(biuret) 타입의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 화합물(Asahi-kasei社, 24A-100)을 히드록시기(-OH) 대 이소시아네이트기(-NCO)의 당량비가 1:0.5가 되도록 배합하고,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멜라민 화합물로서 메톡시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80 중량부, 촉매로서 디부틸 틴 디라우레이트(Dibutyl tin dilaruate) 10 중량부, 슬립제로서 양 말단이 히드록시기로 캡핑된 폴리디메틸실록산과 폴리옥시에틸렌의 공중합체 (hydroxyl-functional polydimethylsiloxane polyoxyethylene copolymer) 4 중량부 및 입경이 10㎛인 흄드 실리카 재질의 소광제(synthetic amorphous silicon dioxide)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무광 이형층 형성용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수지의 히드록시 값(OH value)은 30이고, 유리전이온도는 98℃이며, 중량평균분자량은 50,000이었다.
상기 기재층 일면에 상기 무광 이형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120℃에서 1분 동안 건조시키고, 이어서, 50℃에서 24시간 동안 에이징(aging) 처리하여 평균 두께가 10㎛인 무광 이형층을 적층하였다.
이후, 멜라민 화합물, 슬립제 및 소광제를 배제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무광 이형층 형성용 조성물과 동일한 조성을 갖는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무광 이형층의 일면에 상기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 120℃에서 1분 동안 건조시키고, 이어서, 50℃에서 24시간 동안 에이징(aging) 처리하여 평균 두께가 10㎛인 하드코팅층을 적층하였다.
이어서, 상기 하드코팅층 위에 아크릴계 접착제로 이루어진 프라이머층을 적층하여 무광 데코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무광 이형층 형성용 조성물의 소광제의 입경이 5㎛인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무광 데코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무광 이형층의 평균 두께가 15㎛인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무광 데코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무광 이형층 형성용 조성물의 소광제가 5 중량부 사용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무광 데코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및 상기 무광 이형층 형성용 조성물 각각에 있어서,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수지와 상기 뷰렛(biuret) 타입의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 화합물(Asahi-kasei社, 24A-100)을 히드록시기(-OH) 대 이소시아네이트기(-NCO)의 당량비가 1:2가 되도록 배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무광 데코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및 상기 무광 이형층 형성용 조성물 각각에 있어서,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수지와 상기 뷰렛(biuret) 타입의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 화합물(Asahi-kasei社, 24A-100)을 히드록시기(-OH) 대 이소시아네이트기(-NCO)의 당량비가 1:0.05가 되도록 배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무광 데코시트를 제조하였다.
<평가>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2에 따른 무광 데코시트 각각을 이의 프라이머층이 폴리염화비닐(PVC) 재질의 플라스틱 피착물과 접하도록 부착하였다. 이어서,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2에서, 상기 기재층을 상기 무광 이형층으로부터 박리하였다.
이후, 상기 각각의 무광 데코시트에 대하여 하기와 같이 여러 물성을 평가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실험예 1: 표면 강도의 측정
상기 실시예 1-4 및 상기 비교예 1-2에 따른 각각의 무광 데코시트에 대하여, 전동식 연필 경도 시험기(coretech社)를 이용하여 상기 하드코팅층 표면의 연필 경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연필 경도는 6B, 5B, 4B, 3B, 2B, B, HB, F, H, 2H, 3H, 4H, 5H, 6H, 7H, 8H 및 9H의 순서로 증가하며, 상기 연필 경도가 증가할수록 표면 강도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다.
실험예 2: 광택도의 측정
상기 실시예 1-4 및 상기 비교예 1-2에 따른 각각의 무광 데코시트에 대하여, 광택도 측정기(BYK社, gloss meter)를 이용하여, 상기 하드코팅층 표면의 60°각도에서의 광택도를 측정하였다. 광택도를 나타내는 수치 값이 작을수록 무광 효과가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다.
실험예 3: 내오염도의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각각의 무광 데코시트에 대하여, 표준 규격 'DIN EN 12720: 1997-10, 1B 이상'에 의해, 상기 하드코팅층 표면의 내오염도를 측정하였고, 구체적으로, 네임펜, 잉크, 커피, 주스, 와인 등의 오염물을 각각의 무광 데코시트에 3방울 떨어뜨린 후 상온 하에서 16시간 동안 방치하고, 이어서 상기 오염물을 물 또는 알코올이 묻은 천으로 닦아낸 후 육안으로 오염물이 남아있는지 여부를 관찰하였다.
후술하는 평가 기준에 따라 등급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상기 평가 기준은 하기 1) 내지 6)에 의한다.
1) 1등급: 하드코팅층이 손상되고, 광택이나 색상의 심한 변화 있음, 2) 2등급: 하드코팅층의 변화 없이 광택이나 색상의 육안으로 관찰 가능한 심한 변화 있음,
3) 3등급: 하드코팅층의 변화 없이 광택이나 색상의 가벼운 변화 있음,
4) 4등급: 광택이나 색상의 극소 변화 있음,
5) 5등급- 눈에 보이는 변화가 없음,
6) 미평가: 하드코팅층이 벗겨지거나 파괴됨.
연필경도 광택도 내오염도
실시예 1 F 1.2 4등급
실시예 2 F 1.6 4등급
실시예 3 HB 2.1 4등급
실시예 4 HB 1.4 4등급
비교예 1 B 1.7 3등급
비교예 2 F 1.6 2등급
상기 표 1의 결과를 참조할 때,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상기 실시예 1-4의 무광 데코시트는 히드록시기 대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당량비가 1:2인 상기 비교예 1의 무광 데코시트에 비하여 높은 표면 경도와 우수한 내오염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4의 무광 데코시트는 히드록시기 대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당량비가 1:0.05인 상기 비교예 2의 무광 데코시트에 비하여 우수한 내오염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4의 무광 데코시트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 1은 상기 무광 이형층의 평균 두께와 상기 소광제의 입경이 동일한 것으로서, 상기 무광층의 평균 두께와 상기 소광제의 입경의 차이가 5㎛인 상기 실시예 2 및 3에 비하여 약 1.0 내지 약 1.5의 광택도에 기인한 무광 효과와 함께 우수한 표면 경도 및 내오염도를 구현하는 것을 알 수 있다.
100: 무광 데코시트
110: 프라이머층
120: 하드코팅층
130: 무광 이형층
140: 기재층
150: 피착물

Claims (15)

  1. 히드록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및 촉매를 포함하고,
    히드록시기(-OH) 대 이소시아네이트기(-NCO)의 당량비가 1:0.1 내지 1:1인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히드록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의 공중합체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40,000 내지 60,000인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유리전이온도(Tg)가 40℃ 내지 120℃인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히드록시 값(OH value)이 20 내지 100인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TDI), 2,6-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TDI),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MDI), 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XDI),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 프로필렌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 2,2,4- 또는 2,4,4-트리메틸헥사메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 4,4'-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H12MDI)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백금, 아연, 아민계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
  8. 순차적으로 프라이머층, 하드코팅층, 무광 이형층 및 기재층을 포함하고,
    상기 하드코팅층 및 상기 무광 이형층은 각각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의 열경화물을 포함하며,
    상기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은 히드록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및 촉매를 포함하고, 히드록시기(-OH) 대 이소시아네이트기(-NCO)의 당량비가 1:0.1 내지 1:1인
    무광 데코시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광 이형층은 슬립제, 소광제 또는 이들 모두를 더 포함하는
    무광 데코시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광제는 실리카 입자, 알루미나 입자, 유기 비드(bead)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광 데코시트.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광제는 입경(particle diameter)이 1㎛ 내지 10㎛인
    무광 데코시트.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제는 폴리디알킬실록산과 폴리옥시알킬렌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무광 데코시트.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광 이형층은 소광제를 포함하고,
    상기 하드코팅층은 소광제를 포함하지 않는
    무광 데코시트.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광 이형층과 상기 기재층의 계면; 상기 무광 이형층과 상기 하드코팅층의 계면; 또는 이들 모두에 요철 형상이 포함된
    무광 데코시트.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에 피착물이 부착되고,
    상기 기재층이 상기 무광 이형층으로부터 박리되는 방법으로 사용되는
    무광 데코시트.
KR1020170027729A 2017-03-03 2017-03-03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 무광 데코 시트 KR102079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729A KR102079623B1 (ko) 2017-03-03 2017-03-03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 무광 데코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729A KR102079623B1 (ko) 2017-03-03 2017-03-03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 무광 데코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032A true KR20180101032A (ko) 2018-09-12
KR102079623B1 KR102079623B1 (ko) 2020-02-20

Family

ID=63593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729A KR102079623B1 (ko) 2017-03-03 2017-03-03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 무광 데코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62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9979A (ko) * 2003-07-30 2006-06-02 다이니혼 잉키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성형용 적층 시트
KR20150113123A (ko) * 2013-01-31 2015-10-07 산요가세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부품용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경화물 및 그 경화물을 사용한 광학 렌즈, 광학 렌즈용 시트 또는 필름
KR20160038937A (ko) * 2014-09-30 2016-04-08 (주)엘지하우시스 무광 코팅 조성물, 무광 코팅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16269A (ko) * 2015-03-27 2016-10-07 (주)건양 무광택성 및 이형성이 우수한 무광전사용 코팅재 및 이를 이용한 전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9979A (ko) * 2003-07-30 2006-06-02 다이니혼 잉키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성형용 적층 시트
KR20150113123A (ko) * 2013-01-31 2015-10-07 산요가세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부품용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경화물 및 그 경화물을 사용한 광학 렌즈, 광학 렌즈용 시트 또는 필름
KR20160038937A (ko) * 2014-09-30 2016-04-08 (주)엘지하우시스 무광 코팅 조성물, 무광 코팅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16269A (ko) * 2015-03-27 2016-10-07 (주)건양 무광택성 및 이형성이 우수한 무광전사용 코팅재 및 이를 이용한 전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9623B1 (ko) 2020-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54766B2 (ja) 積層シート、それを貼り付けた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1363488A (zh) 一种3d曲面屏自修复tpu保护膜及其制备方法
JP5933940B2 (ja) 積層シート、積層シートを貼り付けた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70174854A1 (en) Abrasion resistant microsphere articles
KR102147075B1 (ko) 점착 시트 및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TW201711859A (zh) 裝飾膜及其製造方法、以及裝飾成形品
TWI760628B (zh) 自我修復性塗覆劑、硬化物及薄膜
TWI671381B (zh) 耐熱性黏著薄片及機能性薄膜之製造方法
JP7053214B2 (ja) 伸長可能フィルム及び表面コーティング組成物
KR101964094B1 (ko) 무광 코팅 조성물, 무광 코팅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6299252A (ja) 感圧式接着剤組成物及びその利用
TW201923006A (zh) 黏著片材
WO2012128050A1 (ja) 傷付き防止フィルム
TW201441064A (zh) 加飾用轉印薄膜
JP2019123782A (ja) 耐スクラッチ性を有するフィルム及び表面コーティング組成物
KR101761755B1 (ko) 무광택성 및 이형성이 우수한 무광전사용 코팅재 및 이를 이용한 전사 방법
US20160185084A1 (en) Decorative article and laminated body for thermal transferring
TWI761369B (zh) 黏著片材積層體、賦形黏著片材積層體及其製造方法
KR20150112313A (ko) 이형성이 향상된 전사용 코팅재 및 이를 이용한 전사방법
KR102079623B1 (ko) 무광 데코시트용 조성물, 무광 데코 시트
JP7131176B2 (ja) 転写シート
TW202243874A (zh) 光學積層體、光學裝置及光學積層體之製造方法
JP6834866B2 (ja) フィルム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04508B1 (ko) 내손상성이 우수한 염화비닐수지 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7277478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光学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