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5849A -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 - Google Patents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5849A
KR20160115849A KR1020160036360A KR20160036360A KR20160115849A KR 20160115849 A KR20160115849 A KR 20160115849A KR 1020160036360 A KR1020160036360 A KR 1020160036360A KR 20160036360 A KR20160036360 A KR 20160036360A KR 20160115849 A KR20160115849 A KR 20160115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ransparent
resin
light
screen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6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루히사 미야타
요시마사 미츠모토
Original Assignee
히다치 막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5088649A external-priority patent/JP6584819B2/ja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막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막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15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58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dispersed p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6Reflecting fil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과제] 에너지 절약용의 일사 조정 투명 윈도우 필름으로서는, 차열성이나 차열 단열성이 우수하고, 또한, 디지털 사이니지용 투명 스크린으로서, 투영된 영상의 스크린 양면으로부터의 시인성, 특히 프로젝터측으로부터의 반사 시인성이, 밝기(휘도), 화상 선명성(흐릿함이 적음)에 우수하고, 또한 배경이 양호하게 투시 가능한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 또는 투명 차열 단열 부재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의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는, 투명 기재에 대해, 적어도, 적외선 반사층 및 광 확산층을 구비한 투명 부재로 이루어진다. 적외선 반사층은, 금속층과, 금속 산화물층 및/또는 금속 질화물층을 갖는 층으로 구성되고, 광 확산층은 광 확산성 입자가 투명 수지 중에 분산된 층으로 구성되며, 투명 부재는, 가시광선 반사율이 12% 이상 30% 이하, 헤이즈값이 5% 이상 35% 이하, 차폐 계수가 0.69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TRANSPARENT HEAT-SHIELD MEMBERS HAVING TRANSPARENT SCREEN FUNCTION}
본 발명은, 프로젝터에 의해 스크린에 투영된 영상을 프로젝터측으로부터는 반사 영상으로서, 또한, 스크린을 사이에 두고 프로젝터의 반대측으로부터는 투과 영상으로서, 즉 관찰자가 양면으로부터 영상을 양호하게 시인할 수 있고, 또한 배경이 투시 가능한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에 관한 것이다.
지구온난화 방지 및 에너지 절약의 관점으로부터, 빌딩의 창문, 점포의 쇼윈도, 자동차 창문면 등으로부터 입사하는 태양광의 열선(적외선)을 커트하기 위해, 창유리나 유기 투명 기판의 표면 또는 내부에 투명한 열선 컷트 부재를 설치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실내나 차내의 온도를 저감시키는 것이 널리 행하여지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또한 최근에는, 연중의 에너지 절약의 관점으로부터, 하계에 있어서의 온도 상승의 원인이 되는 열선을 커트하는 차열성뿐만 아니라, 동계에 있어서의 실내로부터의 난방열의 유출을, 실내로부터 투광성 부재를 지나 밖으로 출사(出射)되는 원적외선을 차폐함(원적외선을 실내측으로 반사함)으로서 억제하여, 난방 부하를 저감시키는 단열성도 부여한 투명 차열 단열 부재가 일사(日射) 조정용 필름으로서 제안되어 시장 투입이 진행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4).
그런데, 최근에는, 특히, 전면(全面) 유리로 된 상업시설이나 편의점, 백화점, 복식이나 자동차 등의 점포의 쇼윈도 등에 있어서는, 광고, 안내, 정보 매체로서, 종래의 간판이나 포스터나 대화면 디스플레이 대신에, 창문이나 쇼윈도에 투명 스크린을 첩부(貼付)함으로써, 윈도우 자체를 대화면 스크린화하여, 실내의 상태나 상품이 실외측으로부터 보이는 레벨로 투과 시인성을 유지한 채, 실내측으로부터 프로젝터에 의해 광고나 상품 정보나 그 밖의 여러가지 컨텐츠 영상을 투영 표시하는, 소위 디지털 사이니지가, 실외측에 있는 인간에 대해 매우 높은 아이캐처 효과를 갖는 점, 또한 컨텐츠의 내용 변경에 대응하기 쉬운 점, 간편한 점으로부터 주목되고 있다. 또한, 자동차에 있어서도, 네비게이션 정보를, 운전자가 시점(視點)을 크게 이동시키지 않고 판독할 수 있도록, 프런트 글래스의 표면의 일부 또는 백미러 가까이나 운전자 시선 부근에 배치된 컴바이너라고 불리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빔 스플리터 등을 이용하여, 소형 프로젝터로부터 투영 표시하거나, 또는 프런트 글래스 넘어로 허상으로서 투영 표시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HUD)가 주목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5∼8).
일본 특허 제4190657호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3-010341호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3-151103호 국제공개특허 WO2012/096304호 팸플릿 일본 특허 제3993980호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3-210454호 일본 특허 제4822104호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1-113068호
특허문헌 1∼4의 차열 부재에 있어서는, 윈도우에 붙임으로써, 윈도우 자신에게 차열 기능 또는 차열 단열 기능을 부여할 수는 있으나, 프로젝터로부터 투영된 컨텐츠를 비추는 투명 스크린 기능을 부여한 것이 아니고, 그것을 고려한 설계도 기재도 되어 있지 않으므로, 디지털 사이니지용의 투명 스크린으로서는 거의 기능하지 않는 것이다.
즉, 특허문헌 1에서는, 적외선 차폐 필름으로서, PET 필름에, 희토류 금속계 적외선 차폐제가 분산된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지는 적외선 차폐층을 도포 설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개시되어 있으나, 근적외선은 흡수에 의해 차폐되지만, 원적외선을 반사하는 단열 기능은 없고, 또한, 참고예, 실시예를 보는 한에 있어서는, 헤이즈값이 약 1%로 작은 점으로부터, 적어도 광을 충분히 산란시키는 요소는 구성 부재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고, 그것을 고려한 설계도 기재도 되어 있지 않으므로, 디지털 사이니지용의 투명 스크린으로서는, 거의 기능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열선 반사 필름으로서, PET 필름에, 금속 산화물 박막/금속 박막/금속 산화물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열선 반사층을 스퍼터법에 의해 설치하고, 그 열선 반사층 상에 하드 코트층을 도포 설치한 OPP나 COP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접착층으로 맞붙인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개시되어 있으나, 실시예에서 사용되고 있는 제오노아 필름의 헤이즈값은 0.1%로 작고,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되고 있는 OPP 필름의 헤이즈값은 불분명하지만,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투명 열선 반사 필름의 보호층에 사용되고 있는 OPP 필름의 헤이즈값은 높아도 3%까지인 점으로부터, 적어도 광을 충분히 산란시키는 요소는 구성 부재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고, 그것을 고려한 설계도 기재도 되어 있지 않으므로, 디지털 사이니지용의 투명 스크린으로서는, 거의 기능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특허문헌 3에서는, 투명 적층 필름으로서, PET 필름에, 금속 산화물 박막과 금속 박막이 번갈아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투명 적층부를 졸겔법과 스퍼터법에 의해 설치하고, 그 투명 적층부 상에 접착층으로 OPP 등의 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맞붙이고, 추가로 그 올레핀계 수지 상에 산화 규소로 이루어지는 보호층을 도포 설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개시어 있으나, 실시예에서 사용되고 있는 OPP 필름의 헤이즈값은 2%로 작은 점에서, 적어도 광을 충분히 산란시키는 요소는 구성 부재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고, 그것을 고려한 설계도 기재도 되어 있지 않으므로, 디지털 사이니지용의 투명 스크린으로서는, 거의 기능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특허문헌 4에서는, 원적외선 반사 적층체로서, PET 필름에, 은(Ag)을 95∼100질량% 함유하는 금속의 단층 또는 은(Ag)을 95∼100질량% 함유하는 금속층과 금속 산화물 및/또는 금속 질화물층의 다층으로 이루어지는 원적외선 반사층을 스퍼터법에 의해 설치하고, 그 원적외선 반사층 상에 인산기, 술폰산기 및 아미드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극성기를 갖는 하드 코트층을 도포 설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개시되어 있으나, 적어도 광을 충분히 산란시키는 요소는 구성 부재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고, 그것을 고려한 설계도 기재도 되어 있지 않으므로, 디지털 사이니지용의 투명 스크린으로서는, 거의 기능하지 않는 것이다.
한편, 특허문헌 5∼7의 투명 스크린 부재에 있어서는, 윈도우에 붙임으로써, 윈도우 자신에게 프로젝터로부터 투영된 컨텐츠를 비추는 투명 스크린 기능을 부여할 수는 있으나, 근적외선을 차폐하는 기능이나 원적외선을 반사하는 기능을 부여한 것이 아니고, 그것을 고려한 설계도 기재도 되어 있지 않으므로, 투명 차열 부재 또는 투명 차열 단열 부재로서는, 거의 기능하지 않는 것이다.
즉, 특허문헌 5에서는, 투과형 스크린으로서, 유리나 PET 필름 상에,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등의 수지 중에 아크릴 수지 입자, 실리콘 수지 입자, 폴리스티렌 수지 입자 등의 광 확산 입자를 분산한 것을 도포 설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개시되어 있으나, 어느 재료도 근적외선을 차폐하는 것이 아니고, 또한 원적외선을 반사하는 것도 아니며, 그것을 고려한 설계도 기재도 되어 있지 않으므로, 투명 차열 부재 또는 투명 차열 단열 부재로서는, 거의 기능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특허문헌 6에서는, 투과형 스크린으로서, PET 필름 상에, 완전 또는 부분 비누화의 폴리비닐알코올이나, 카티온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친수성 수지 중에 비정질 합성 실리카, 알루미나 또는 알루미나 수화물(水和物) 등의 광 확산 입자를 분산한 것을 도포 설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개시되어 있으나, 어느 재료도 근적외선을 차폐하는 것이 아니고, 또한 원적외선을 반사하는 것도 아니며, 그것을 고려한 설계도 기재도 되어 있지 않으므로, 투명 차열 부재 또는 투명 차열 단열 부재로서는, 거의 기능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특허문헌 7에서는, 투영 스크린으로서, 가시광 영역에 선택 반사 중심 파장을 갖는 콜레스테릭 액정 수지로 이루어지는 편광 선택 반사층을 도포 설치한 PET 필름과, 포토 폴리머 등으로 이루어지는 홀로그램 감광 재료를 도포 설치·노광하여 투과형 체적 홀로그램을 기록 정착한 PET 필름을, 유리의 양면에 각각 점착제로 맞붙인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개시되어 있으나, 특허문헌 7의 기재의 범위에 있어서는, 어느 재료도 근적외선을 차폐하는 것이 아니고, 또한 원적외선을 반사하는 것도 아니며, 그것을 고려한 설계도 기재도 되어 있지 않으므로, 투명 차열 부재 또는 투명 차열 단열 부재로서는, 거의 기능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특허문헌 8에서는, 투과형 스크린으로서,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 중에 광 확산 입자로서 굴절률이 극히 높은 나노 다이아몬드 입자를 분산한 것을 유리에 도포 설치하거나, 또는 그대로 합판 유리화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개시되어 있으나, 어느 재료도 근적외선을 차폐하는 것이 아니고, 또한 원적외선을 반사하는 것도 아니며, 그것을 고려한 설계도 기재도 되어 있지 않으므로, 투명 차열 부재 또는 투명 차열 단열 부재로서는, 거의 기능하지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가까운 생활 공간에 많이 존재하는 윈도우에는, 에너지 절약의 관점으로부터는 상기와 같은 차열 기능 또는 차열 단열 기능이 요구되고 있고, 또한 디지털 사이니지의 관점으로부터는 상기와 같은 투명 스크린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외로 양방의 기능이 동시에 부여된 부재는 본원 발명자가 아는 한에 있어서는 전혀 존재하고 있지 않고, 그 발상조차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최근에는 더욱이, 윈도우 디스플레이용의 투명 스크린에 있어서는, 디지털 사이니지로서의 기능을 최대한으로 발휘하기 위해 프로젝터로부터 투영된 컨텐츠 영상을 넓은 각도로부터 시인할 수 있는 높은 시인성이 요구되고 있는 것은 당연한 점, 투명 스크린이 첩부된 윈도우의 밖(스크린을 사이에 두고 프로젝터의 반대측)으로부터 컨텐츠 영상을 투과 영상으로서 본 경우의 시인성뿐만 아니라, 윈도우의 안(스크린을 사이에 두고 프로젝터측)으로부터 투명 스크린에 투영한 컨텐츠 영상을 반사 영상으로서 시인할 기회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점으로부터, 윈도우의 내외로부터의 시인성, 즉, 스크린의 양면으로부터의 시인성이 우수한 투과형 스크린이 요망되게 되었다. 그러나, 시판되어 있는 투과형의 투명 스크린은, 전방(前方) 산란성이 강하기 때문에, 스크린을 사이에 두고 프로젝터의 반대측으로부터는 선명한 투과 영상이 얻어지나, 후방 산란성이 그 정도로 강하지 않기 때문에, 프로젝터측으로부터 본 반사 영상으로서는, 시인은 할 수 있으나, 밝기(휘도)는 낮고, 흐릿한 느낌이 있어, 화상 선명성으로서는 충분한 것이라고는 말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에너지 절약용의 일사 조정 투명 윈도우 필름으로서는, 차열성 또는 차열 단열성이 우수하고, 또한, 디지털 사이니지용의 투명 스크린으로서는, 투영된 영상의 스크린 양면으로부터의 시인성, 특히 프로젝터측으로부터의 반사 시인성에 있어서도, 밝기(휘도), 화상 선명성(흐릿함이 적음)이 우수하고, 또한 배경이 양호하게 투시 가능한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 또는 투명 차열 단열 부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원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투명 기재(基材)에 대해, 적어도, (1) 금속층과, 금속 산화물층 및/또는 금속 질화물층을 갖는 적외선 반사층, 및, (2) 광 확산성 입자가 투명 수지 중에 분산된 광 확산층을 갖는 투명 부재이고, 또한, 투명 부재에 있어서, (3) 가시광선 반사율을 12% 이상 30% 이하, (4) 헤이즈값을 5% 이상 35% 이하, (5) 차폐 계수를 0.69 이하로 한 투명 부재가, 배경이 투시 가능하고, 또한, 에너지 절약용 윈도우 필름으로서는, 차열성이 우수하고, 게다가, 디지털 사이니지용의 투명 스크린으로서는, 투영된 영상의 스크린 양면으로부터의 시인성, 특히 프로젝터측으로부터의 반사 시인성에 있어서도, 밝기(휘도), 화상 선명성(흐릿함이 적음)이 예상 외로 우수한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이루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프로젝터로부터 스크린에 투영된 영상을 프로젝터측으로부터는 반사 영상으로서, 또한, 스크린을 사이에 두고 프로젝터의 반대측으로부터는 투과 영상으로서, 양면으로부터 시인할 수 있는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로서, 상기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는, 투명 기재에 대해, 적어도,
(1) 금속층과, 금속 산화물층 및/또는 금속 질화물층을 갖는 적외선 반사층, 및
(2) 광 확산성 입자가 투명 수지 중에 분산된 광 확산층,
을 갖는 투명 부재이고, 또한,
(3) JIS R3106-1998에 준하여 측정한 가시광선 반사율이 12% 이상 30% 이하,
(4) JIS K7136-2000에 준하여 측정한 헤이즈값이 5% 이상 35% 이하,
(5) JIS A5759-2008에 준하여 측정한 차폐 계수가 0.69 이하,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의 투명 부재에 의하면, 금속층과, 금속 산화물층 및/또는 금속 질화물층을 갖는 적외선 반사층이 태양광의 근적외선으로부터 원적외선의 범위의 적외선을 반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양호한 차열 특성이 얻어지고, 한편, 가시광선을 가시광선 반사율이 12∼30%의 범위에서 적절하게 반사시키고, 나머지의 대부분은 투과시킬 수 있기 때문에, 광 확산성 입자가 투명 수지 중에 분산된 소정의 헤이즈값을 갖는 광 확산층과의 상승 효과에 의해, 양호한 가시광 산란·반사 특성이 얻어져, 당해 투명 부재를, 예를 들어 창유리 등의 투명 기판에 투명 점착제 등에 의해 맞붙여 사용한 경우, 배경이 양호하게 투시 가능하고, 투명 차열 부재, 즉 에너지 절약용의 일사 조정 투명 필름으로서 이용할 수 있음과 함께, 프로젝터에 의해 투영한 컨텐츠 영상을 양면으로부터 양호하게 시인할 수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용의 투명 스크린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에 있어서, JIS A5759-2008에 준하여 측정한 가시광선 투과율이 6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양호한 투과 시인성이 얻어져, 당해 투명 부재를, 예를 들어 창유리 등의 투명 기판에 투명 점착제에 의해 맞붙여 사용한 경우, 투명 기판의 투과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건물 내외 어느 위치로부터도 내외의 배경, 상황을 양호하게 시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에 있어서는, 투명 기판에 첩부하여 사용하는 상태에 있어서, 최표면층(공기측)에 적어도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보호층을 하드 코트층으로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를 투명 기판에 첩부할 때나 청소할 때에 표면이 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에 있어서는, 상기 보호층은, 산, 산 무수물 또는 수산기에 의해 변성한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프라이머층을 개재하여 상기 적외선 반사층의 위에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보호층과 적외선 반사층의 사이에 있어서, 보다 양호한 밀착성을 얻을 수 있음과 함께, 후술하는 단열성 부여에 대해서도 방해가 되지 않고, 상기 밀착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에 있어서, JIS R3106-2008에 준하여 측정한 수직 방사율의 값이 0.50 이하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원적외선을 보다 효율적으로 반사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당해 투명 부재를, 예를 들어 창유리 등의 투명 기판에 투명 점착제 등에 의해 맞붙여 사용한 경우, 동계에 있어서의 실내로부터의 난방열의 유출을 억제하여, 난방 부하를 저감시키는 단열성도 차열성과 함께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단열성」을 갖는 것이란, JIS R3106-2008에 준하여 측정한 수직 방사율의 값이 0.50 이하인 것으로 정의한다. 수직 방사율의 값이 0.50 이하이면, 구JIS A5759 C1에서 단열의 지표로 되는 열관류율 5.1W/(㎡·K) 미만을 만족하기 쉬운 것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에 있어서, JIS R3106-2008에 준하여 측정한 수직 방사율의 값이 0.30 이하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원적외선을 보다 효율적으로 반사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당해 투명 부재를, 예를 들어 창유리 등의 투명 기판에 투명 점착제 등에 의해 맞붙여 사용한 경우, 동계에 있어서의 실내로부터의 난방열의 유출을 보다 억제하여, 난방 부하를 보다 저감시키는 높은 단열성도 차열성과 함께 부여할 수 있다. 수직 방사율의 값이 0.30 이하이면, 열관류율 4.5W/(㎡·K) 이하를 만족하기 쉬운 것이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에너지 절약용의 일사 조정 투명 윈도우 필름으로서는, 차열성 또는 차열 단열성이 우수하고, 또한, 디지털 사이니지용의 투명 스크린으로서는, 투영된 영상의 스크린 양면으로부터의 시인성, 특히 프로젝터측으로부터의 반사 시인성에 있어서, 밝기(휘도), 화상 선명성(흐릿함이 적음)이 우수하고, 또한 배경이 투시 가능한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 또는 투명 차열 단열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를 유리판에 첩부한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9는, 종래의 투명 차열 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투명 스크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는, 투명 기재에 대해, 적어도, (1) 금속층과, 금속 산화물층 및/또는 금속 질화물층을 갖는 적외선 반사층, 및 (2) 광 확산성 입자가 투명 수지 중에 분산된 광 확산층을 갖는 투명 부재이고, 또한, (3) JIS R3106-1998에 준하여 측정한 가시광선 반사율이 12% 이상 30% 이하, (4) JIS K7136-2000에 준하여 측정한 헤이즈값이 5% 이상 35% 이하, (5) JIS A5759-2008에 준하여 측정한 차폐 계수가 0.69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투명 차열 단열 부재의 구성례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10)는, 투명 기재(11)의 일방의 면에 적외선 반사층(12), 보호층(14)을 구비하고, 투명 기재(11)의 다른 일방의 면에 광 확산층(15), 점착제층(16)을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점착제층(16)의 위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이형(離型) 필름을 구비한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에 있어서,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10)는, 투명 기재(11)의 일방의 면에 적외선 반사층(12), 프라이머층(13), 보호층(14)을 구비하고, 투명 기재(11)의 다른 일방의 면에 광 확산층(15), 점착제층(16)을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에 있어서,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10)는, 도 1이 있어서의 광 확산층(15)과 점착제층(16)을 광 확산 점착제층(17)으로 치환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에 있어서,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10)는, 투명 기재(11)의 일방의 면에 광 확산층(15), 적외선 반사층(12), 프라이머층(13), 보호층(14)을 구비하고, 투명 기재(11)의 다른 일방의 면에 점착제층(16)을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에 있어서,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20)는, 투명 기재(11)의 일방의 면에 적외선 반사층(12), 프라이머층(13), 광 확산층(15), 보호층(14)을 구비하고, 투명 기재(11)의 다른 일방의 면에 점착제층(16)을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에 있어서,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10)는, 투명 기재(11)의 일방의 면에 광 확산층(15), 보호층(14)을 구비하고, 투명 기재(11)의 다른 일방의 면에 적외선 반사층(12), 점착제층(16)을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에 있어서,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10)는, 투명 기재(11)의 일방의 면에 보호층(14)을 구비하고, 투명 기재(11)의 다른 일방의 면에 적외선 반사층(12), 광 확산 점착제층(17)을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를 유리판에 첩부한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에 있어서,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10)는, 투명 기재(11)의 일방의 면에 적외선 반사층(12), 프라이머층(13), 보호층(14)을 구비하고, 투명 기재(11)의 다른 일방의 면에 광 확산 점착제층(17), 유리판(18)을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9는, 종래의 투명 차열 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9에 있어서, 투명 차열 부재(20)는, 투명 기재(11)의 일방의 면에 보호층(14)을 구비하고, 투명 기재(11)의 다른 일방의 면에 적외선 반사층(12), 점착제층(16)을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10은, 종래의 투과형 투명 스크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에 있어서, 투명 스크린(30)은, 투명 기재(11)의 일방의 면에 광 확산층(15), 보호층(14)을 구비하고, 투명 기재(11)의 다른 일방의 면에 점착제층(16)을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투명 기재]
본 발명의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를 구성하는 투명 기재로서는, 광학적인 투명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투명 기재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계 수지(예를 들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 지환식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AS 수지) 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아세트산 비닐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예를 들어,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 노르보르넨계 수지 등의 수지를, 필름 형상 또는 시트 형상으로 가공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수지를 필름 형상 또는 시트 형상으로 가공하는 방법으로서는, 압출 성형법, 캘린더 성형법, 압축 성형법, 사출 성형법, 상기 수지를 용제에 용해시켜 캐스팅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에는, 산화 방지제, 난연제, 내열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이활제(易滑劑), 대전 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해도 된다. 또한, 상기 투명 기재의 위에는 필요에 따라 이접착층(易接着層)을 설치해도 된다. 상기 투명 기재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500㎛이고, 가공성, 비용면을 고려하면 25∼125㎛가 바람직하다.
[적외선 반사층]
본 발명의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를 구성하는 적외선 반사층은, 적어도, 금속층과, 금속 산화물층 및/또는 금속 질화물층을 갖는 적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적외선 반사층은, 상기 투명 기재의 위에, (1) 금속층, (2) 금속 산화물층 또는 금속 질화물층의 2층을 이 순서로 적층한 구성이거나, 또는, (1) 금속 산화물층 또는 금속 질화물층, (2) 금속층, (3) 금속 산화물층 또는 금속 질화물층의 3층을 이 순서로 적층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가시광 투과율 향상의 관점으로부터, 상기 투명 기재의 위에, (1) 금속 산화물층 또는 금속 질화물층, (2) 금속층, (3) 금속 산화물층 또는 금속 질화물층의 3층을 이 순서로 적층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적외선 반사 성능을 유지하면서, 가시광선 투과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적외선 반사층은,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상기 투명 기재의 위에, 예를 들어, 금속층/금속 산화물층/금속층/금속 산화물층/ 등 4층, 6층, 8층의 적층 구성이나 금속 산화물층/금속층/금속 산화물층/금속층/금속 산화물층/ 등 5층, 7층, 9층의 적층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금속층과 금속 산화물층, 금속층과 금속 질화물층의 사이에는 금속층의 부식을 방지하는 배리어층으로서 금속층 또는 금속이 부분 산화된 금속 아산화물층을 설치해도 된다.
상기 금속층을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일반적인 금속 중, 전기 전도도가 높고, 원적외선 반사 성능이 우수한, 은, 구리, 금, 백금, 알루미늄 등의 금속 또는 이러한 합금 재료가 적절히 사용 가능하나, 이 중에서도, 전기 전도도가 가장 높은 은 또는 은 합금을 금속층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재료는, 스퍼터링법, 증착법, 플라스마 CVD법 등의 드라이 코팅법에 의해, 상기 투명 기재 상에 직접, 또는 상기 투명 기재 상에 먼저 형성된 금속 산화물층 또는 금속 질화물층의 위, 또는 상기 투명 기재 상에 먼저 형성된 금속층/금속 산화물층 또는 금속 질화물층의 반복 적층의 금속 산화물층 또는 금속 질화물층의 위에, 금속층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층의 1층째에는 상기 투명 기재 상에 이접착층, 하드 코트층이나 광 확산층 등의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해도 된다.
상기 금속 산화물층, 금속 질화물층을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가시광선 투과율 향상의 관점으로부터, 금속 박막에 대해 반사 방지 기능을 갖는 광 보상층이 될 수 있는, 굴절률이 1.7∼2.8의 범위인 유전체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산화인듐주석, 산화인듐아연, 산화인듐, 산화티탄, 산화주석, 산화아연, 산화아연주석, 산화니오브, 산화알루미늄 등의 금속 산화물, 질화 규소나 질화 알루미늄 등의 금속 질화물이 적절히 사용 가능하다. 이러한 재료는, 스퍼터링법, 증착법, 플라스마 CVD법 등의 드라이 코팅법에 의해 상기 투명 기재 상에 직접, 또는 상기 투명 기재 상에 먼저 형성된 금속층의 위, 또는 상기 투명 기재 상에 먼저 형성된 금속 산화물층 또는 금속 질화물층/금속층의 반복 적층의 금속층의 위에, 금속 산화물층 또는 금속 질화물층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산화물층 또는 금속 질화물층의 1층째에는 상기 투명 기재 상에 이접착층, 하드 코트층이나 광 확산층 등의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해도 된다.
상기 금속층, 금속 산화물층, 금속 질화물층의 1층당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최종적으로 상기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가 필요로 하는 근적외선 반사 성능(차폐 계수), 원적외선 반사 성능(수직 방사율), 가시광선 반사율, 가시광선 투과율을 고려하여, 각각 적절히 조정하면 된다.
상기 금속층의 두께는, 적층되는 상기 금속 산화물 또는 금속 질화물층의 굴절률, 두께나 적층 구성 등에 따라 적절한 범위가 다르므로, 일률적으로는 말할 수 없으나, 5∼20㎚의 범위에서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5㎚ 미만이면 상기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의 적외선 반사 성능이 저하하여, 차열 성능, 단열 성능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두께가 20㎚를 초과하면 가시광선 투과율이 저하하여, 배경의 투과 시인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금속층의 두께를 상기의 범위로 하고, 후술하는 금속 산화물층, 금속 질화물층과 적절히, 조합한 적층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의 차폐 계수를 0.69 이하로 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산화물층, 금속 질화물층의 두께는, 상기 금속층에 사용하는 재료의 굴절률, 두께에 따라, 2∼80㎚의 범위에서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2㎚ 미만이면 금속층에 대한 광 보상층으로서의 효과가 작고, 상기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의 가시광선 투과율의 대폭적인 향상이 보이지 않아, 배경의 투과 시인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금속 산화물, 금속 질화물은 금속층의 부식을 억제하는 역할도 하기 때문에, 두께가 2㎚ 미만이면 금속층의 부식 억제 효과가 저하할 우려가 있다. 두께가 80㎚를 초과하면 금속층에 대한 광 보상층으로서의 가일층의 효과는 얻어지지 않고, 가시광선 투과율이 반대로 점차 저하하여, 배경의 투과 시인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적외선 반사층을 갖는 투명 차열 부재의 가시광선 반사율은, 프로젝터에 의해 영상을 투영했을 때에, 투과 영상의 시인성을 방해하지 않고, 프로젝터측으로부터의 반사 시인성에 있어서, 밝기(휘도), 화상 선명성(흐릿함이 적음)이 우수한 반사 영상을 얻기 위해, 12% 이상 30% 이하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가시광선 반사율이 12% 미만이면 반사 영상의 밝기(휘도), 화상 선명성(흐릿함이 적음)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가시광선 반사율이 30%를 초과하면, 반사 영상의 번쩍임이 지나치게 강해지거나, 하프 미러감(感)이 지나치게 강해져 배경의 투과 시인성이 저하하거나, 투과 영상의 밝기(휘도)가 저하할 우려가 있다.
가시광선 반사율을 12% 이상 30% 이하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금속층과 금속 산화물층, 금속 질화물층의 두께를 상술한 범위에서 각각 적절히 조정하면 된다. 가시광선 반사율은,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25%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가시광선 반사율을 이와 같은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프로젝터의 투영광이 적절하게 반사되고, 광 확산층의 후방 산란성의 약함을 커버할 수 있으므로, 반사 영상의 밝기(휘도), 화상 선명성(흐릿함이 적음)이 양호해진다.
종래의 반사형 스크린에서는, 가시광선의 반사층으로서, 예를 들어, 알루미늄 등의 금속 증착층이나 전사 금속박층, 또는 금속 증착막이나 금속박을 분쇄한 플레이크 등을 분산, 코트한 층 등을 사용하는 기술이 있으나, 기본적으로는 가시광선을 대부분 투과하지 않는 불투명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이러한 재료를 이용한 경우는 가시광의 투과율과 반사율의 밸런스 제어 및 가시광선의 투과율을 향상시켰을 때의 박막 금속의 부식 방지나 균일화에는 한계가 있어, 무리하게 투과율을 향상시켰다고 해도, 실용적으로는, 겨우 40∼50% 정도까지이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금속층에 금속 산화물층 및/또는 금속 질화물층을 적층시킴으로써, 차열 또는 차열 단열에 필요한 적외선 반사 성능을 유지하면서, 배경 시인성 확보에 필요한 가시광의 투과율과, 반사 영상의 시인성 향상에 필요한 가시광선의 반사율의 밸런스를 제어한 점, 및, 그 금속층과, 금속 산화물층 및/또는 금속 질화물층의 적층체와 광 확산층을 조합함으로써, 투영된 영상의 프로젝터측으로부터의 반사 시인성에 있어서, 투과 영상의 시인성을 방해하지 않고, 밝기(휘도), 화상 선명성(흐릿함이 적음)이 예상 외로 향상하는 것을 발견한 점에 신규성이 있다.
또한, 상기 적외선 반사층의 파장 5∼25.2㎛의 원적외광의 평균 반사율은, 80%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투명 차열 부재의 수직 방사율의 값을 0.50 이하로 설계하기 쉬워지므로, 단열 기능을 부여한다는 점에서 적합하다.
[광 확산층]
본 발명의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를 구성하는 광 확산층은, 광 확산성 입자가 투명 수지 중에 분산된 층으로 이루어진다. 투명 수지는, 일반적으로, 그 수지에 분산되는 광 확산성 입자의 굴절률과는 다른 굴절률을 가진다. 상기 투명 수지의 굴절률은, 1.45∼1.60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 확산 입자의 굴절률은, 상기 투명 수지의 굴절률과 다른(보다 낮거나 또는 보다 높은) 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1.30∼2.40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40∼1.65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 수지와 상기 광 확산성 입자의 굴절률의 차이의 절대값은, 0.01∼0.20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굴절률의 차이의 절대값을 이와 같은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원하는 헤이즈값을 갖는 광 확산층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광 확산층에 사용하는 투명 수지로서는, 광학적인 투명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메타)아크릴계 수지, 아크릴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아세탈계 수지, 비닐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페놀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불소계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나 천연 고무계, 재생 고무계, 클로로프렌고무계, 니트릴고무계, 스티렌·부타디엔고무계 등의 고무계 수지 등, 공지의 수지, 접착제, 점착제를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수지는, 목적에 따라, 가교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난연제, 가소제, 착색제 등의 각종 첨가제가 1종 또는 2종 이상 첨가된 것이어도 된다. 상기 투명 수지의 굴절률은, 1.45∼1.60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 수지 중에서도, 상온에서 감압 접착성을 갖는 점착제가 특히 적합하게 사용된다. 광 확산성 입자를 분산하는 투명 수지에 점착제를 사용함으로써, 광 확산층과 점착제층의 역할을 1층으로 겸할 수 있으므로 가공 비용의 점에서는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로서는,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등의 수지를 들 수 있으나, 특히, 아크릴계 수지가 광학적 투명성이 높은 점, 신뢰성이 높아 실적이 많은 점, 비교적 저렴한 점 등으로부터 보다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로서는, 아크릴산 및 그 에스테르, 메타크릴산 및 그 에스테르, 아크릴아미드, 아크릴로니트릴 등의 아크릴 모노머의 단독 중합체 또는 그들의 공중합체, 또한, 상기 아크릴 모노머의 적어도 1종과, 아세트산 비닐, 무수 말레산, 스티렌 등의 비닐 모노머와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적합한 아크릴계 점착제로서는, 점착성을 발현시키기 위한 성분이 되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아크릴레이트계의 주(主) 모노머, 응집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성분이 되는 아세트산 비닐, 아크릴아미드,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모노머, 또한 점착력을 향상시키거나, 가교점을 부여시키기 위한 성분이 되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크로톤산, 무수 말레산, 히드록실에틸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실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올아크릴아미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등의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를 적절히 공중합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의 Tg(유리 전이 온도)는 -60∼-10℃의 범위에 있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2,000,00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00,000∼1,000,00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에는, 필요에 따라, 이소시아네이트계, 에폭시계, 금속 킬레이트계 등의 가교제를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아크릴계 점착제로서는, 말단이나 측쇄에 (메타)아크릴기를 갖는 올리고머 및 (메타)아크릴계 모노머에, 광중합 개시제 등을 배합한 전리방사선 경화성 도료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리방사선 경화성 도료는, 투명 기재에 도공(塗工)된 후, 자외선 등의 전리방사선을 조사함으로써, 도공층이 점착제화되므로, 아크릴계 점착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 확산층에 사용하는 광 확산성 입자로서는, 무기 미립자, 유기 미립자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 확산성 입자의 굴절률은, 1.30∼2.40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40∼1.65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광 확산성 입자의 굴절률이 이와 같은 범위이면, 투명 수지와의 굴절률의 차이의 절대값을 원하는 범위로 할 수 있고, 원하는 헤이즈값을 갖는 광 확산층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무기 미립자로서는, 실리카, 알루미나, 루틸형 이산화티탄, 아나타제형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황화아연, 연백, 산화안티몬류, 안티몬산 아연, 티탄산연, 티탄산 칼륨, 티탄산 바륨, 산화지르코늄, 산화세륨, 산화하프늄, 오산화탄탈, 오산화니오브, 산화이트륨, 산화크롬, 산화주석, 산화몰리브덴, 산화인듐주석, 안티몬 도프 산화주석, 탄산칼슘, 탤크나, 규산염 유리, 인산염 유리, 붕산염 유리 등의 산화 유리, 다이아몬드 등, 종래 공지의 것이 적절히 사용 가능하다.
상기 유기 미립자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 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 중합체,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아세트산 비닐-아크릴 공중합체, 아세트산 비닐 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염소화 폴리올레핀 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아크릴 등의 다원(多元) 공중합체, SBR, NBR, MBR, 카르복실화 SBR, 카르복실화 NBR, 카르복실화 MBR,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계 수지, 폴리메타크릴산 메틸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 로진에스테르계 수지, 에피술피드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실리콘-아크릴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등, 종래 공지의 것이 적절히 사용 가능하다.
상기 광 확산성 입자의 형상은, 구 형상, 편평 형상, 부정 형상, 별모양 형상, 별사탕 형상 등, 어느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중공 입자, 코어 셀 형상 입자여도 된다. 광 확산성 입자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상기 광 확산성 입자의 평균 입자경(粒子徑)은, 바람직하게는 0.2∼10㎛,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이다. 평균 입자경이 0.2㎛ 미만에서는, 광 확산 성능이 낮아, 투사 영상의 시인성이 떨어질 우려나, 광 확산성 입자를 과대하게 첨가하는 것에 의한 비용면에서의 증대나 광 확산층의 물성 저하의 우려가 있다. 한편, 평균 입자경이 10㎛를 초과하면, 가시광선 투과율이 저하할 우려나, 번쩍임에 의한 콘트라스트 저하의 우려가 있다.
상기 광 확산층에 있어서의 광 확산성 미립자의 함유량은, 사용하는 투명 수지나 광 확산성 입자의 굴절률, 광 확산성 입자의 크기, 광 확산층의 두께, 광 확산성 입자의 분산 상태 등에 따라 적절한 범위가 다르므로, 일률적으로는 말할 수 없으나, 투명 수지 100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3∼20질량부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질량부이다. 함유량이 0.3질량부 미만이면, 상기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의 헤이즈값이 5% 미만이 될 우려가 있고, 그 결과, 광 확산 성능이 불충분해져, 프로젝터의 투영 영상의 시인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함유량이 20질량부를 초과하면, 헤이즈값이 35%를 초과할 우려가 있고, 그 결과, 배경 시인성이 저하하거나, 가시광선 투과율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광 확산성 입자의 배합량을 상기의 범위로 함으로써, 우수한 광 확산 성능을 갖는 광 확산층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광 확산층의 두께는, 사용하는 광 확산성 입자의 크기나 함유량, 투명 수지나 광 확산성 입자의 굴절률 등에 따라 적절히 결정되는 것이고,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의 헤이즈값을 원하는 범위로 할 수 있다. 상기 광 확산층의 두께는, 5∼200㎛가 바람직하고, 10∼100㎛가 보다 바람직하다. 두께가 5㎛ 미만이면, 헤이즈값이 5% 미만이 될 우려가 있고, 그 결과, 광 확산 성능이 불충분해져, 프로젝터의 투영 영상의 시인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두께가 200㎛를 초과하면, 핸들링, 가공성에 문제가 생기거나, 헤이즈값이 35%를 초과할 우려가 있고, 그 결과, 배경 시인성이 저하하거나, 가시광선 투과율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투명 수지로서, 상술한 점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광 확산층의 두께는, 10∼150㎛가 바람직하다. 두께가 10㎛ 미만이면, 피착체가 되는 투명 기판에 대한 점착력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두께가 150㎛를 초과하면 최종적으로 상기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의 원단을 권취(卷取)하여, 단부를 슬릿했을 때에, 슬릿 단면(端面)이 끈적거려 먼지 등이 부착될 우려나 핸들링, 가공성에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상기 광 확산층은, 투명 기재의 위에 직접, 또는 이접착층이나 접착층 등을 개재하여 형성해도 되고, 또는 적외선 반사층의 위에 직접, 또는 프라이머층 등을 개재하여 형성해도 된다.
상기 광 확산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투명 수지를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부틸,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톨루엔, 크실렌 등의 유기 용제에 용해한 용액 중에 상기 광 확산성 입자를 분산한 도료를 적외선 반사층이 형성된 투명 기재의 투명 기재측 또는 적외선 반사층측에 도공·건조하여 설치하는 방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명 수지로서 점착제를 이용하는 경우는, 광 확산성 입자를 분산한 점착제 용액을 적외선 반사층이 형성된 투명 기재의 투명 기재측 또는 적외선 반사층측에 도공·건조한 후에, 당해 점착제층 상에 이형 필름을 라미네이트하여 설치하는 방법, 또는, 이형 필름 상에, 광 확산성 입자를 분산한 점착제 용액을 도공·건조한 후에, 당해 확산 점착제층 상에 적외선 반사층이 형성된 투명 기재의 투명 기재측 또는 적외선 반사층측을 맞붙여 설치하는 방법에 의해 광 확산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폴리올레핀이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투명 수지 중에, 광 확산성 입자를 열용융 혼련하여 압출하고 필름화한 것을, 적외선 반사층이 형성된 투명 기재의 투명 기재측 또는 적외선 반사층측에 투명 접착제에 의해 맞붙여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광 확산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광 확산성 입자의 투명 수지로의 분산은, 디스퍼, 아지테이터, 볼밀, 어트리터, 샌드밀 등의 각종 혼합·교반 장치, 분산 장치를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광 확산성 입자에 대한 분산제를 첨가하여 분산해도 된다. 광 확산성 입자를 분산한 도료는, 도공·건조 후의 광 확산층에 기포가 가능한 한 남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도공 전에 탈포(脫泡)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 확산성 입자를 분산한 도료의 도공은, 다이 코터, 콤마 코터, 리버스 코터, 댐 코터, 닥터 바 코터, 그라비어 코터, 마이크로 그라비어 코터, 롤 코터 등의 코터를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상기 광 확산층은, 필요에 따라, 사용하는 투명 수지가 갖는 관능기에 적합한 가교, 예를 들어 다관능기를 갖는 가교제를 첨가한 열에 의한 가교, 전리방사선 조사에 의한 가교 등을 행하고, 경화시켜도 된다.
[보호층]
상기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는, 투명 기판에 점착제나 접착제에 의해 첩부하여 사용하는 상태에 있어서, 최표면층(공기측)에 적어도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보호층을 하드 코트층으로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찰상성의 향상의 관점으로부터, 적어도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보호층을 하드 코트층으로서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를 투명 기판에 첩부할 때나 청소할 때에 표면이 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으로서는, 적어도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 모노머,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 올리고머, 또는 그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투명한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보호층은, 전리방사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켜 형성한다.
상기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불포화기를 2개 이상 갖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시클로헥산디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1,2,3-시클로헥산트리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우레탄 프레 폴리머 등의 폴리우레탄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폴리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가(多價) 알코올과 (메타)아크릴산으로부터 생성되는 에스테르류; 1,4-디비닐벤젠, 4-비닐벤조산-2-아크릴로에틸에스테르, 1,4-디비닐시클로헥사논 등의 비닐벤젠 및 그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와 적외선 반사층 등의 베이스층과의 밀착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 모노머에 인산기, 술폰산기, 아미드기 등의 극성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유도체를 첨가하여 이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의 용액의 적외선 반사층 등의 베이스층에 대한 도공시의 젖음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의 용액에 불소계, 실리콘계, 아크릴계 등의 레벨링제를 첨가하여 이용해도 된다.
상기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 올리고머로서는, 예를 들어 우레탄계, 에폭시계, 폴리에스테르계 등의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우레탄계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형성하는 보호층의 경도와 유연성의 밸런스가 잡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우레탄계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예를 들어 아크릴레이트의 중합체를 주쇄 골격에 가지고, 말단에 반응성을 갖는 아크릴로일기를 가진 우레탄아크릴레이트를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다.
또한, 적외선 반사층 등의 베이스층과의 밀착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 올리고머에 인산기, 술폰산기, 아미드기 등의 극성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유도체를 첨가하여 이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의 용액의 적외선 반사층 등의 베이스층에 대한 도공시의 젖음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의 용액에 불소계, 실리콘계, 아크릴계 등의 레벨링제를 첨가하여 이용해도 된다.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서 시판품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교에이샤화학사 제품의 “BPZA-66”, “BPZA-100”(상품명), 다이세이파인케미컬사 제품의 “아크리트 8KX-012C”, “8KX-077”(상품명), 히타치화성공업사 제품의 “히타로이드 7975”, “히타로이드 7975D”, “히타로이드 7988”(상품명), 다이셀·올넥스사 제품의 “ACA-200M”, “ACA-230AA”, “ACA-Z250”, “ACA-Z251”, “ACA-Z300”, “ACA-Z320”(상품명)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 올리고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후술하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프라이머층 상에 보호층으로서 도공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10,000∼10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을 상기의 범위로 함으로써, 상기 보호층을 형성하기 위해 이용하는 보호층 형성용 도포액의 도공성이 보다 향상됨과 함께, 형성한 보호층의 내찰상성도 충분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올리고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GPC(겔·퍼미에이션·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해 측정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 미만이면, 상기 보호층 형성용 도포액을, 후술하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프라이머층 상에 도공했을 때에, 상기 보호층 형성용 도포액이 상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프라이머층 상에 균일하게 젖어 번지지 않고, 씨싱(cissing)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을 초과하면, 분자량당의 가교 반응점이 되는 불포화 결합기 수가 적어지기 때문에, 전리방사선에 의해 경화했을 때에, 도막의 가교 밀도가 향상하지 않아, 보호층의 내찰상성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보호층으로서는, 적어도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투명한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콘계 수지, 페놀계 수지, 요소계 수지, 디아릴프탈레이트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보호층은, 열경화형 수지 전구체(前驅體)를 가열하여 경화시켜 형성한다.
형성한 보호층의 경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열경화형 수지 전구체로서는, 실리콘계 수지 전구체가 바람직하고, 그 실리콘계 수지 전구체 중에서도, 알콕시실란계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열경화성 수지 전구체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알콕시실란계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열경화성 수지 전구체로서는, 예를 들어, 신에츠실리콘사 제품의 “KP-86”(상품명), 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터리얼 재팬사 제품의 “SHC-900”, “토스가드 510”(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은, 상기 투명 기재에 형성하는 적외선 반사층과 광 확산층의 구성에 따라, 투명 기재, 적외선 반사층, 또는 광 확산층의 어느 것의 위에 직접, 또는 프라이머층을 개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상기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의 수직 방사율을 0.50 이하로 하고, 단열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상기 보호층은, 적외선 반사층의 위에 직접, 또는 프라이머층을 개재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 확산층에 하드 코트성이 있는 수지를 이용한 경우에는, 광 확산층 자신을 보호층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보호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0.05∼5㎛의 범위에서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0.05㎛ 미만이면 보호층의 내찰상성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두께가 5㎛를 초과하면, 보호층을 형성하는 투명한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나 열경화성 수지가, 그 화학 구조상, C=O기, C-O기, 방향족기를 많이 포함하는 점으로부터, 파장 5∼25.2㎛의 원적외선 영역에, 적외 진동 흡수가 생기기 쉽고, 보호층이, 이것에 직접 조사되는 광 및 적외선 반사층에서 반사된 광을 흡수하여 방사율의 상승을 초래하고, 예를 들어, 보호층을 적외선 반사층의 위에 직접, 또는 프라이머층을 개재하여 형성하였다고 해도, 상기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의 수직 방사율이 0.50을 초과해버려, 충분한 단열성이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보호층의 두께는, 0.05∼2㎛의 범위에서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두께를 이 범위로 함으로써, 보호층을 적외선 반사층의 위에 직접, 또는 프라이머층을 개재하여 형성한 경우에, 상기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의 수직 방사율을 0.30 이하로 할 수 있어, 보다 높은 단열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에는, 안티 블로킹제나 내찰상성 향상제로서, 적외선 영역 파장의 광의 흡수가 커지지 않을 정도로 유기물이나 무기물과 같은 필러를 적절히 첨가할 수 있다.
상기 필러로서는, 전체 광선 투과율이나 헤이즈값 등의 광학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예를 들어 무기 필러나 유기 필러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무기 필러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카, 탤크, 황산바륨, 탄산칼슘, 수산화알루미늄, 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지르코늄, 마이카, 스테아린산 아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 필러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콘 수지계 필러, 아크릴 수지계 필러, 스티렌 수지계 필러, 불소 수지계 필러, 폴리부타디엔 수지계 필러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필러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상기 필러의 평균 입자경(개수 평균 직경)은, 안티 블로킹성 또는 내찰상성을 부여할 수 있고, 투명 차열 부재로서의 특성, 외관에 영향을 주지 않는 한에 있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보호층의 두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투명 수지를 적절히 선택한 유기 용제에 용해한 용액을, 마이크로 그라비어 코터, 그라비어 코터, 다이 코터, 리버스 코터, 롤 코터 등의 코터를 사용하여, 투명 기재, 적외선 반사층, 또는 광 확산층의 어느 것의 위에 직접, 또는 프라이머층을 개재하여 도포, 건조하는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보호층의 가교 경화는, 유기 용제의 건조 후, 전리방사선의 조사 또는 열 에너지의 부여에 의해 행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
상기 프라이머층으로서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합성 고무계 수지,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수지나 산, 산 무수물 또는 수산기에 의해 변성한 폴리올레핀 수지 등의 투명 수지를 이용할 수 있으나, 상기 보호층을 적외선 반사층 상에 형성할 때에 이용하는 프라이머층으로서는, 산, 산 무수물 또는 수산기에 의해 변성한 폴리올레핀 수지가 바람직하다. 산, 산 무수물 또는 수산기에 의해 변성한 폴리올레핀 수지는, 적외선 반사층의 금속 산화물층 또는 금속 질화물층, 및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보호층의 양층(兩層)과의 상호작용이 의외로 강하기 때문에, 보호층과 적외선 반사층의 사이에 있어서, 보다 양호한 밀착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산 무수물 또는 수산기에 의해 변성한 폴리올레핀 수지는, 그 주골격이 폴리올레핀이고, C=O기, C-O기, 방향족기가 그 정도로 많지 않은 점으로부터, 파장 5∼25.2㎛의 원적외선 영역에, 적외 진동 흡수가 생기기 어려워, 수직 방사율 및 열관류율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단열성 부여에 대해 방해가 되기 어렵다.
상기 산, 산 무수물 또는 수산기에 의해 변성한 폴리올레핀 수지의 골격이 되는 폴리올레핀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α-올레핀으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 1-부텐, 1-헵텐, 1-옥텐, 4-메틸-1-펜텐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 또는 여러 종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폴리프로필렌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유기 용제에 대한 용해성의 관점으로부터, 50몰% 이상 90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기를 갖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서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에 α, β-불포화 카르본산이나 그 산 무수물의 적어도 1종을 그래프트 공중합함으로써 산 변성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α, β-불포화 카르본산이나 산 무수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말레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푸마르산, 아코니트산,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아크릴산 등이나 그 무수물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개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범용성의 점으로부터,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의 적어도 1종을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에 그래프트 공중합하여 변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α, β-불포화 카르본산이나 그 산 무수물의 폴리올레핀 수지에 대한 그래프트 공중합의 양은, 0.2∼30질량%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0∼10.0질량%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그래프트 공중합의 양이 0.2질량% 미만이면, 유기 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낮아져, 프라이머층 형성용 도포액으로서의 안정성이 나빠질 우려나, 적외선 반사층과의 밀착성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고, 반대로, 30질량%를 초과하면, 적외선 영역 파장의 흡수가 커지기 시작하여, 수직 방사율 및 열관류율이 증대할 우려가 있다.
상기 산기를 갖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의 제조는, 용융법 또는 용액법 등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기를 갖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는, (메타)아크릴산계 모노머를 더 가하여 아크릴 변성함으로써, 극성 용매에 대한 용해성이나 하드 코트제 등과의 밀착성이나 상용성(相溶性)을 보다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들은, 구체적으로는, 상기 산기를 갖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의 산 변성 부분과 반응하는 관능기(수산기나 글리시딜기)를 갖는 불포화 결합 함유 화합물을 반응시키고, 이중 결합을 도입한 후에, (메타)아크릴산계 모노머를 그래프트 공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관능기를 갖는 불포화 결합 함유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산 2-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산 4-히드록시부틸, 아크릴산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메타크릴산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산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산 4-히드록시부틸, 메타크릴산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아크릴산 글리시딜, 메타크릴산 글리시딜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불포화 결합 함유 화합물은, 산기를 갖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에 대해 10∼90질량% 정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산기를 갖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에 이중 결합을 도입한 후에, 그래프트 공중합시키는 (메타)아크릴산계 모노머로서는, (메타)아크릴산이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산으로서는,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의 적어도 1종을 들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프로필, 아크릴산 n-부틸, 아크릴산 이소부틸, 아크릴산 t-부틸, 아크릴산 2-에틸헥실, 아크릴산 라우릴, 아크릴산 스테아릴, 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산 2-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산 4-히드록시부틸, 아크릴산 글리시딜, 아크릴산 시클로헥실, 아크릴산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메타크릴산 프로필, 메타크릴산 n-부틸, 메타크릴산 이소부틸, 메타크릴산 t-부틸, 메타크릴산 2-에틸헥실, 메타크릴산 라우릴, 메타크릴산 스테아릴, 메타크릴산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산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산 4-히드록시부틸, 메타크릴산 글리시딜, 메타크릴산 시클로헥실, 메타크릴산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메타)아크릴산계 모노머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산기를 갖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는, 산기를 갖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에 이중 결합을 도입한 후에, 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산 2-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산 4-히드록시부틸, 메타크릴산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산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산 4-히드록시부틸 등의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산계 모노머를 그래프트 공중합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의 GPC법으로 측정한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0∼200,00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보다 작으면, 프라이머층으로서의 강도가 떨어질 우려가 있고,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00보다 크면, 프라이머층 형성용 도포액의 점도의 증가에 의해 작업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상기 산기를 갖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에 대해서는,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미츠이화학사 제품의 “유니스톨 P902”(상품명), 도요보사 제품의 “하드렌”(상품명), 일본제지케미컬사 제품의 “아우로렌”(상품명), 미쓰비시화학사 제품의 “서프렌”(상품명), 스미카켐텍스사 제품의 “스미피트”(상품명), 스미토모세이카사 제품의 “자이크센”(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산기를 갖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에 대해서도,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미츠이화학사 제품의 “유니스톨 P901”(상품명), 미쓰비시화학사 제품의 “폴리테일”(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산, 산 무수물 또는 수산기에 의해 변성한 폴리올레핀 수지의 프라이머층으로서의 두께는, 0.05㎛∼1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5㎛이다. 두께가 0.05㎛를 하회하면 적외선 반사층과 보호층과의 밀착성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두께가 10㎛를 초과하면, 사용하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의 종류나 변성량에 따라서는, 가시광선 투과율이 저하할 우려가 있고, 또한, 파장 5∼25.2㎛의 원적외선 영역의 흡수가 커져, 그 결과, 수직 방사율 및 열관류율이 커질 우려가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에는, 안티 블로킹제로서, 적외선 영역 파장의 광의 흡수가 커지지 않을 정도로 유기물이나 무기물과 같은 필러를 적절히 첨가할 수 있다.
상기 필러로서는, 전체 광선 투과율이나 헤이즈값 등의 광학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예를 들어 무기 필러나 유기 필러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무기 필러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카, 탤크, 황산바륨, 탄산칼슘, 수산화알루미늄, 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지르코늄, 마이카, 스테아린산 아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 필러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콘 수지계 필러, 아크릴 수지계 필러, 스티렌 수지계 필러, 불소 수지계 필러, 폴리부타디엔 수지계 필러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필러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상기 필러의 평균 입자경(개수 평균 직경)은, 안티 블로킹성을 부여할 수 있고, 투명 차열 부재로서의 특성, 외관에 영향을 주지 않는 한에 있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의 0.5배∼2.0배 정도의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합성 고무계 수지,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수지나 산, 산 무수물 또는 수산기에 의해 변성한 폴리올레핀 수지 등의 투명 수지를 적절히 선택한 유기 용제나 물에 용해한 용액을, 마이크로 그라비어 코터, 그라비어 코터, 다이 코터, 리버스 코터, 롤 코터 등의 코터를 사용하여, 투명 기재, 적외선 반사층, 또는 광 확산층의 어느 것의 위에 도포, 건조하는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투명 기판]
본 발명의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를 투명한 점착제나 접착제 등으로 맞붙이거나, 정전 흡착시키는 투명 기판으로서는, 광학적인 투명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판 형상의 것 등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리의 종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규산 유리, 규산 알칼리 유리, 소다 석회 유리, 칼리 석회 유리, 납 유리, 바륨 유리, 붕규산 유리 등의 규산염 유리 등이 바람직하다. 플라스틱의 종류로서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
본 발명의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는, 보호층을 형성한 반대측의 면에 점착제층 등을 형성해 두면, 창유리 등의 투명 기판과의 맞붙임이 용이해진다. 점착제층의 재료로서는, 가시광선 투과율이 높고, 투명 기재와의 굴절률차이가 작은 것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예를 들어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등의 수지를 들 수 있으나, 특히, 아크릴계 수지가 광학적 투명성이 높은 점, 젖음성과 점착력의 밸런스가 좋은 점, 신뢰성이 높아 실적이 많은 점, 비교적 저렴한 점 등으로부터 보다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로서는, 전술한 광 확산층에 사용할 수 있는 것과 동일한 점착제를 동일한 처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은, 태양광 등의 자외선에 의한,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의 열화를 억제하기 위해,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은,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를 투명 기판에 맞붙여 사용하기까지의 동안, 점착제층 상에 이형 필름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의 두께는 10∼150㎛가 바람직하다. 두께가 10㎛ 미만이면, 피착체가 되는 투명 기판에 대한 점착력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두께가 150㎛를 초과하면 최종적으로 상기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의 원단을 권취하여, 단부를 슬릿했을 때에, 슬릿 단면(端面)이 끈적거려 먼지 등이 부착될 우려나 핸들링, 가공성에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상기 점착제층을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에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점착제층 형성용의 수지를 적절히 선택한 유기 용제에 용해한 용액을, 다이 코터, 콤마 코터, 리버스 코터, 댐 코터, 닥터 바 코터, 그라비어 코터, 마이크로 그라비어 코터, 롤 코터 등의 코터를 사용하여, 먼저 이형 필름 상에 도포, 건조한 후, 점착제층의 노출면을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의 보호층을 형성한 반대측의 면과 맞붙이는 방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별히 지적이 없을 경우, 하기에 있어서, 「부」는 「질량부」를 의미한다.
[실시예 1]
<적외선 반사층의 형성>
먼저, 투명 기재로서, 양면을 이접착 처리한 도요보사 제품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A4300”(상품명, 두께:50㎛)을 준비하였다. 다음에, 상기 PET 필름의 편면측에, 두께 29㎚의 산화인듐주석(ITO)층, 두께 13㎚의 은(Ag)층, 두께 29㎚의 산화인듐주석(ITO)층으로 이루어지는 3층 구조의 적외선 반사층을 스퍼터링법에 의해 형성하였다.
<프라이머층의 형성>
도요보사 제품의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용액 “하드렌 NS-2002”(상품명, 산 변성 타입, 고형분 농도 20질량%) 10부와, 희석 용제로서 메틸시클로헥산 80부 및 메틸이소부틸케톤 20부를 디스퍼로 배합하여, 프라이머층 형성용 도포액을 조제하였다. 다음에, 상기 프라이머층 형성용 도포액을, 마이크로 그라비어 코터를 이용하여 상기 적외선 반사층의 위에, 건조 후의 막두께 0.1㎛가 되도록 도공, 건조함으로써, 상기 적외선 반사층의 위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였다.
<보호층의 형성>
교에이샤화학사 제품의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 올리고머 용액 “BPZA-66”(상품명, 고형분 농도 80질량%, 중량 평균 분자량 20,000) 125부와, BASF사 제품의 광중합 개시제 “이르가큐어 819”(상품명) 3부와, 메틸이소부틸케톤 375부를 디스퍼로 배합하여, 보호층 형성용 도포액을 조제하였다. 다음에, 상기 보호층 형성용 도포액을, 마이크로 그라비어 코터를 이용하여 상기 프라이머층의 위에, 건조 후의 막두께 1.4㎛가 되도록 도공, 건조하고, 고압 수은등으로 300mJ/㎠의 광량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상기 프라이머층의 위에 하드 코트 보호층을 형성하였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적외선 반사층의 위에 보호층을 갖는 적외선 반사 필름을 제작하였다.
<광 확산 점착제층의 형성>
먼저, 이형 필름으로서, 편면이 실리콘 처리된 나카모토팩스사 제품의 PET 필름 “NS-38+A”(상품명, 두께:38㎛)를 준비하였다. 또한, 소켄화학사 제품의 아크릴계 점착제 용액 “SK 다인 2094”(상품명, 고형분:25질량%, 굴절률:1.49) 100부에 대해, 모멘티브·퍼포먼스·머티리얼즈·재팬사 제품의 부정형 실리콘 수지 미립자 “TOSPEARL240”(상품명, 평균 입자경:4.0㎛, 굴절률:1.42) 0.88부[점착제 수지 100부에 대해 3.5부], 와코순약사 제품의 자외선 흡수제(벤조페논계) 1.25부 및 소켄화학사 제품의 가교제 “E-AX”(상품명, 고형분:5%) 0.27부를 첨가하고, 디스퍼로 분산 배합한 후, 탈포하여 광 확산 점착제층 형성용 도포액을 조제하였다.
다음에, 상기 이형 필름의 PET 필름의 실리콘 처리된 측의 면 상에, 건조 후의 두께가 25㎛가 되도록 상기 광 확산 점착제층 형성용 도포액을 다이 코터를 이용하여 도공, 건조함으로써, 광 확산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광 확산 점착제층의 폭로면에, 상기 보호층을 갖는 적외선 반사 필름의 보호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측을 맞붙여, PET 필름 기재의 편면에 광 확산 점착제층, 다른 일방의 면에 적외선 반사층, 프라이머층 및 보호층이 형성된 적외선 반사 필름(투명 차열 부재)을 제작하였다.
<유리 기판과의 맞붙임>
먼저, 유리 기판으로서, 두께 3mm의 플로트 유리(일본판유리사 제품)를 준비하였다. 다음에, 상기 PET 필름 기재의 편면에 광 확산 점착제층, 다른 일방의 면에 적외선 반사층, 프라이머층 및 보호층이 형성된 적외선 반사 필름(투명 차열 부재)의 광 확산 점착제층의 이형 필름을 박리하여, 상기 광 확산 점착제층측을 상기 플로트 유리에 맞붙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적외선 반사층에 있어서의 은(Ag)층의 두께를 1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PET 필름 기재의 편면에 광 확산 점착제층, 다른 일방의 면에 적외선 반사층, 프라이머층 및 보호층이 형성된 적외선 반사 필름(투명 차열 부재)을 제작하여 유리 기판에 맞붙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적외선 반사층에 있어서의 은(Ag)층의 두께를 15㎚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PET 필름 기재의 편면에 광 확산 점착제층, 다른 일방의 면에 적외선 반사층, 프라이머층 및 보호층이 형성된 적외선 반사 필름(투명 차열 부재)을 제작하여 유리 기판에 맞붙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의 적외선 반사층을 두께 30㎚의 질화알루미늄(ALN)층, 두께 18㎚의 은(Ag)층, 두께 30㎚의 질화알루미늄(ALN)층으로 이루어지는 3층 구조의 적외선 반사층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PET 필름 기재의 편면에 광 확산 점착제층, 다른 일방의 면에 적외선 반사층, 프라이머층 및 보호층이 형성된 적외선 반사 필름(투명 차열 부재)을 제작하여 유리 기판에 맞붙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의 광 확산 점착제층에 있어서의 부정형 실리콘 수지 미립자 “TOSPEARL240”(상품명, 평균 입자경 4.0㎛)의 첨가량을 0.25부[점착제 수지 100부에 대해 1.0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PET 필름 기재의 편면에 광 확산 점착제층, 다른 일방의 면에 적외선 반사층, 프라이머층 및 보호층이 형성된 적외선 반사 필름(투명 차열 부재)을 제작하여 유리 기판에 맞붙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의 광 확산 점착제층에 있어서의 부정형 실리콘 수지 미립자 “TOSPEARL240”(상품명, 평균 입자경 4.0㎛)의 첨가량을 1.13부[점착제 수지 100부에 대해 4.5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PET 필름 기재의 편면에 광 확산 점착제층, 다른 일방의 면에 적외선 반사층, 프라이머층 및 보호층이 형성된 적외선 반사 필름(투명 차열 부재)을 제작하여 유리 기판에 맞붙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의 보호층의 두께를 0.5㎛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PET 필름 기재의 편면에 광 확산 점착제층, 다른 일방의 면에 적외선 반사층, 프라이머층 및 보호층이 형성된 적외선 반사 필름(투명 차열 부재)을 제작하여 유리 기판에 맞붙였다.
[실시예 8]
실시예 1의 보호층의 두께를 3.5㎛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PET 필름 기재의 편면에 광 확산 점착제층, 다른 일방의 면에 적외선 반사층, 프라이머층 및 보호층이 형성된 적외선 반사 필름(투명 차열 부재)을 제작하여 유리 기판에 맞붙였다.
[실시예 9]
실시예 1의 보호층의 두께를 5.5㎛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PET 필름 기재의 편면에 광 확산 점착제층, 다른 일방의 면에 적외선 반사층, 프라이머층 및 보호층이 형성된 적외선 반사 필름(투명 차열 부재)을 제작하여 유리 기판에 맞붙였다.
[실시예 10]
<적외선 반사층의 형성>
먼저, 투명 기재로서, 양면을 이접착 처리한 도요보사 제품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A4300”(상품명, 두께:50㎛)을 준비하였다. 다음에, 상기 PET 필름의 편면측에, 두께 29㎚의 산화인듐주석(ITO)층, 두께 13㎚의 은(Ag)층, 두께 29㎚의 산화인듐주석(ITO)층으로 이루어지는 3층 구조의 적외선 반사층을 스퍼터링법에 의해 형성하였다.
<보호층의 형성>
교에이샤화학사 제품의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 올리고머 용액 “BPZA-66”(상품명, 고형분 농도 80질량%, 중량 평균 분자량 20,000) 125부와, 닛산화학공업주식회사 제품의 다공질 구형상 실리카 입자의 오르가노졸 “LA-OS26BK”(상품명, 평균 입자경 0.7㎛, 고형분 농도 26질량%) 1.92부[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 올리고머 100부에 대해 0.5부], BASF사 제품의 광중합 개시제 “이르가큐어 819”(상품명) 3부와, 메틸이소부틸케톤 375부를 디스퍼로 배합하여, 보호층 형성용 도포액을 조제하였다. 다음에, 상기 보호층 형성용 도포액을, 마이크로 그라비어 코터를 이용하여 상기 PET 필름의 적외선 반사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측에, 건조 후의 막두께가 2㎛가 되도록 도공, 건조하고, 고압 수은등으로 300mJ/㎠의 광량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하드 코트 보호층을 형성하였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적외선 반사층의 반대면측에 보호층을 갖는 적외선 반사 필름(투명 차열 부재)을 제작하였다.
<광 확산 점착제층의 형성>
먼저, 이형 필름으로서, 편면이 실리콘 처리된 나카모토팩스사 제품의 PET 필름 “NS-38+A”(상품명, 두께:38㎛)를 준비하였다. 또한, 소켄화학사 제품의 아크릴계 점착제 용액 “SK 다인 2094”(상품명, 고형분:25질량%, 굴절률:1.49) 100부에 대해, 모멘티브·퍼포먼스·머티리얼즈·재팬사 제품의 부정형 실리콘 수지 미립자 “TOSPEARL240”(상품명, 평균 입자경:4.0㎛, 굴절률:1.42) 0.88부[점착제 수지 100부에 대해 3.5부], 와코순약사 제품의 자외선 흡수제(벤조페논계) 1.25부 및 소켄화학사 제품의 가교제 “E-AX”(상품명, 고형분:5%) 0.27부를 첨가하고, 디스퍼로 분산 배합한 후, 탈포하여 광 확산 점착제층 형성용 도포액을 조제하였다.
다음에, 상기 이형 필름의 PET 필름의 실리콘 처리된 측의 면 상에, 건조 후의 두께가 25㎛가 되도록 상기 광 확산 점착제층 형성용 도포액을 다이 코터를 이용하여 도공, 건조함으로써, 광 확산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광 확산 점착제층의 폭로면에, 상기 보호층을 갖는 적외선 반사 필름의 적외선 반사층이 형성된 면측을 맞붙여, PET 필름 기재의 편면에 광 확산 점착제층 및 적외선 반사층, 다른 일방의 면에 보호층이 형성된 적외선 반사 필름(투명 차열 부재)을 제작하였다.
<유리 기판과의 맞붙임>
먼저, 유리 기판으로서, 두께 3mm의 플로트 유리(일본판유리사 제품)를 준비하였다. 다음에, 상기 PET 필름 기재의 편면에 광 확산 점착제층 및 적외선 반사층, 다른 일방의 면에 보호층이 형성된 적외선 반사 필름(투명 차열 부재)의 광 확산 점착제층의 이형 필름을 박리하여, 상기 광 확산 점착제층측을 상기 플로트 유리에 맞붙였다.
[실시예 11]
먼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적외선 반사층의 위에 보호층을 갖는 적외선 반사 필름(투명 차열 부재)을 제작하였다.
<광 확산층의 형성>
미쓰비시레이온사 제품의 아크릴 수지 “다이아날 BR-90”(상품명, 굴절률:1.49) 100부에 대해, 모멘티브·퍼포먼스·머티리얼즈·재팬사 제품의 부정형 실리콘 수지 미립자 “TOSPEARL240”(상품명, 평균 입자경 4.0㎛) 0.88부[아크릴 수지 100부에 대해 3.5부], 와코순약사 제품의 자외선 흡수제(벤조페논계) 1.25부 및 메틸에틸케톤 75부, 톨루엔 75부를 첨가하고, 디스퍼로 분산 배합한 후, 탈포하여 광 확산층 형성용 도포액을 조제하였다.
다음에, 상기 적외선 반사층의 위에 보호층을 갖는 적외선 반사 필름의 보호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측에, 건조 후의 두께가 25㎛가 되도록 상기 광 확산층 형성용 도포액을 다이 코터를 이용하여 도공, 건조함으로써, 광 확산층을 형성하였다.
<점착제층의 형성>
먼저, 이형 필름으로서, 편면이 실리콘 처리된 나카모토팩스사 제품의 PET 필름 “NS-38+A”(상품명, 두께:38㎛)를 준비하였다. 또한, 소켄화학사 제품의 아크릴계 점착제 용액 “SK 다인 2094”(상품명, 고형분:25질량%, 굴절률:1.49) 100부에 대해, 와코순약사 제품의 자외선 흡수제(벤조페논계) 1.25부 및 소켄화학사 제품의 가교제 “E-AX”(상품명, 고형분:5%) 0.27부를 첨가하고, 디스퍼로 분산 배합한 후, 탈포하여 점착제층 형성용 도포액을 조제하였다.
다음에, 상기 이형 필름의 PET 필름의 실리콘 처리된 측의 면 상에, 건조 후의 두께가 25㎛가 되도록 상기 점착제층 형성용 도포액을 도공, 건조함으로써,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의 폭로면에, 상기 보호층을 갖는 적외선 반사 필름의 광 확산층이 형성된 면측을 맞붙여, PET 필름 기재의 편면에 점착제층 및 광 확산층, 다른 일방의 면에 적외선 반사층, 프라이머층 및 보호층이 형성된 적외선 반사 필름(투명 차열 부재)을 제작하였다.
<유리 기판과의 맞붙임>
먼저, 유리 기판으로서, 두께 3mm의 플로트 유리(일본판유리사 제품)를 준비하였다. 다음에, 상기 PET 필름 기재의 편면에 점착제층 및 광 확산층, 다른 일방의 면에 적외선 반사층, 프라이머층 및 보호층이 형성된 적외선 반사 필름(투명 차열 부재)의 점착제층의 이형 필름을 박리하여, 상기 점착제층측을 상기 플로트 유리에 맞붙였다.
[실시예 12]
<적외선 반사층의 형성>
먼저, 투명 기재로서, 양면을 이접착 처리한 도요보사 제품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A4300”(상품명, 두께:50㎛)을 준비하였다. 다음에, 상기 PET 필름의 편면측에, 두께 29㎚의 산화인듐주석(ITO)층, 두께 13㎚의 은(Ag)층, 두께 29㎚의 산화인듐주석(ITO)층으로 이루어지는 3층 구조의 적외선 반사층을 스퍼터링법에 의해 형성하였다.
<광 확산층의 형성>
미쓰비시레이온사 제품의 아크릴 수지 “다이아날 BR-90”(상품명, 굴절률:1.49) 100부에 대해, 모멘티브·퍼포먼스·머티리얼즈·재팬사 제품의 부정형 실리콘 수지 미립자 “TOSPEARL240”(상품명, 평균 입자경 4.0㎛) 0.88부[점착제 수지 100부에 대해 3.5부], 와코순약사 제품의 자외선 흡수제(벤조페논계) 1.25부 및 메틸에틸케톤 75부, 톨루엔 75부를 첨가하고, 디스퍼로 분산 배합한 후, 탈포하여 광 확산층 형성용 도포액을 조제하였다.
다음에, 상기 적외선 반사층이 형성된 PET 필름의 적외선 반사층의 위에, 건조 후의 두께가 25㎛가 되도록 상기 광 확산층 형성용 도포액을 다이 코터를 이용하여 도공, 건조함으로써, 광 확산층을 형성하였다.
<보호층의 형성>
교에이샤화학사 제품의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 올리고머 용액 “BPZA-66”(상품명, 고형분 농도 80질량%, 중량 평균 분자량 20,000) 125부와, 닛산화학공업주식회사 제품의 다공질 구형상 실리카 입자의 오르가노졸 “LA-OS26BK”(상품명, 평균 입자경 0.7㎛, 고형분 농도 26질량%) 1.92부[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 올리고머 100부에 대해 0.5부], BASF사 제품의 광중합 개시제 “이르가큐어 819”(상품명) 3부와, 메틸이소부틸케톤 375부를 디스퍼로 배합하여, 보호층 형성용 도포액을 조제하였다. 다음에, 상기 보호층 형성용 도포액을, 마이크로 그라비어 코터를 이용하여 상기 광 확산층을 갖는 적외선 반사 필름의 광 확산층의 위에, 건조 후의 두께가 2㎛가 되도록 도공, 건조하고, 고압 수은등으로 300mJ/㎠의 광량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상기 광 확산층의 위에 하드 코트 보호층을 형성하였다.
<점착제층의 형성>
먼저, 이형 필름으로서, 편면이 실리콘 처리된 나카모토팩스사 제품의 PET 필름 “NS-38+A”(상품명, 두께:38㎛)를 준비하였다. 또한, 소켄화학사 제품의 아크릴계 점착제 용액 “SK 다인 2094”(상품명, 고형분:25질량%, 굴절률:1.49) 100부에 대해, 와코순약사 제품의 자외선 흡수제(벤조페논계) 1.25부 및 소켄화학사 제품의 가교제 “E-AX”(상품명, 고형분:5%) 0.27부를 첨가하고, 디스퍼로 분산 배합한 후, 탈포하여 점착제층 형성용 도포액을 조제하였다.
다음에, 상기 이형 필름의 PET 필름의 실리콘 처리된 측의 면 상에, 건조 후의 두께가 25㎛가 되도록 상기 점착제층 형성용 도포액을 도공, 건조함으로써,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의 폭로면에, 상기 보호층을 갖는 적외선 반사 필름의 적외선 반사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측을 맞붙여, PET 필름 기재의 편면에 점착제층, 다른 일방의 면에 적외선 반사층, 광 확산층 및 보호층이 형성된 적외선 반사 필름(투명 차열 부재)을 제작하였다.
<유리 기판과의 맞붙임>
먼저, 유리 기판으로서, 두께 3mm의 플로트 유리(일본판유리사 제품)를 준비하였다. 다음에, 상기 PET 필름 기재의 편면에 점착제층, 다른 일방의 면에 적외선 반사층, 광 확산층 및 보호층이 형성된 적외선 반사 필름(투명 차열 부재)의 점착제층의 이형 필름을 박리하여, 상기 점착제층측을 상기 플로트 유리에 맞붙였다.
[실시예 13]
<적외선 반사층의 형성>
먼저, 투명 기재로서, 양면을 이접착 처리한 도요보사 제품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A4300”(상품명, 두께:50㎛)을 준비하였다. 다음에, 상기 PET 필름의 편면측에, 두께 29㎚의 산화인듐주석(ITO)층, 두께 13㎚의 은(Ag)층, 두께 29㎚의 산화인듐주석(ITO)층으로 이루어지는 3층 구조의 적외선 반사층을 스퍼터링법에 의해 형성하였다.
<보호층의 형성>
교에이샤화학사 제품의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 올리고머 용액 “BPZA-66”(상품명, 고형분 농도 80질량%, 중량 평균 분자량 20,000) 125부와, 교에이샤화학사 제품의 인산기 함유 메타크릴산 유도체 “라이트 에스테르 P-2M”(상품명) 3부와, BASF사 제품의 광중합 개시제 “이르가큐어 819”(상품명) 5부와, 메틸이소부틸케톤 375부를 디스퍼로 배합하여, 보호층 형성용 도포액을 조제하였다. 다음에, 상기 보호층 형성용 도포액을, 마이크로 그라비어 코터를 이용하여 상기 적외선 반사층의 위에, 건조 후의 막두께 2.0㎛가 되도록 도공, 건조하고, 고압 수은등으로 300mJ/㎠의 광량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상기 적외선 반사 필름의 적외선 반사층의 위에 하드 코트 보호층을 형성하였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적외선 반사층의 위에 보호층을 갖는 적외선 반사 필름(투명 차열 부재)을 제작하였다.
<광 확산 점착제층의 형성>
먼저, 이형 필름으로서, 편면이 실리콘 처리된 나카모토팩스사 제품의 PET 필름 “NS-38+A”(상품명, 두께:38㎛)를 준비하였다. 또한, 소켄화학사 제품의 아크릴계 점착제 용액 “SK 다인 2094”(상품명, 고형분:25질량%, 굴절률:1.49) 100부에 대해, 모멘티브·퍼포먼스·머티리얼즈·재팬사 제품의 부정형 실리콘 수지 미립자 “TOSPEARL240”(상품명, 평균 입자경:4.0㎛, 굴절률:1.42) 0.88부[점착제 수지 100부에 대해 3.5부], 와코순약사 제품의 자외선 흡수제(벤조페논계) 1.25부 및 소켄화학사 제품의 가교제 “E-AX”(상품명, 고형분:5%) 0.27부를 첨가하고, 디스퍼로 분산 배합한 후, 탈포하여 광 확산 점착제층 형성용 도포액을 조제하였다.
다음에, 상기 이형 필름의 PET 필름의 실리콘 처리된 측의 면 상에, 건조 후의 두께가 25㎛가 되도록 상기 광 확산 점착제층 형성용 도포액을 다이 코터를 이용하여 도공, 건조함으로써, 광 확산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광 확산 점착제층의 폭로면에, 상기 보호층을 갖는 적외선 반사 필름의 보호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측을 맞붙여, PET 필름 기재의 편면에 광 확산 점착제층, 다른 일방의 면에 적외선 반사층 및 보호층이 형성된 적외선 반사 필름(투명 차열 부재)을 제작하였다.
<유리 기판과의 맞붙임>
먼저, 유리 기판으로서, 두께 3mm의 플로트 유리(일본판유리사 제품)를 준비하였다. 다음에, 상기 PET 필름 기재의 편면에 광 확산 점착제층, 다른 일방의 면에 적외선 반사층 및 보호층이 형성된 적외선 반사 필름(투명 차열 부재)의 광 확산 점착제층의 이형 필름을 박리하여, 상기 광 확산 점착제층측을 상기 플로트 유리에 맞붙였다.
[실시예 14]
실시예 1의 보호층의 형성을 하기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PET 필름 기재의 편면에 광 확산 점착제층, 다른 일방의 면에 적외선 반사층, 프라이머층 및 보호층이 형성된 적외선 반사 필름(투명 차열 부재)을 제작하여 유리 기판에 맞붙였다.
<보호층의 형성>
먼저, 투명 기재로서, 양면을 이접착 처리한 도요보사 제품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A4300”(상품명, 두께:50㎛)을 준비하였다. 다음에, 모멘티브·퍼포먼스·머티리얼즈·재팬사 제품의 열경화성 수지인 실리콘 하드 코트제 용액 “SHC-900”(상품명, 고형분 농도 30질량%)을 보호층 형성용 도포액으로서 준비하였다. 다음에, 상기 보호층 형성용 도포액을, 마이크로 그라비어 코터를 이용하여 상기 프라이머층의 위에, 건조 후의 막두께 1.4㎛가 되도록 도공, 건조하고, 120℃에서 3분 건조시킴으로써, 상기 프라이머층의 위에 하드 코트 보호층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1]
<보호층의 형성>
먼저, 투명 기재로서, 양면을 이접착 처리한 도요보사 제품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A4300”(상품명, 두께:50㎛)을 준비하였다. 다음에, 교에이샤화학사 제품의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 올리고머 용액 “BPZA-66”(상품명, 고형분 농도 80질량%, 중량 평균 분자량 20,000) 125부와, BASF사 제품의 광중합 개시제 “이르가큐어 819”(상품명) 3부와, 메틸이소부틸케톤 375부를 디스퍼로 배합하여, 보호층 형성용 도포액을 조제하였다. 다음에, 상기 보호층 형성용 도포액을, 마이크로 그라비어 코터를 이용하여 상기 PET 필름의 편면측에 건조 후의 막두께 1.4㎛가 되도록 도공, 건조하고, 고압 수은등으로 300mJ/㎠의 광량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하드 코트 보호층을 형성하였다.
<광 확산 점착제층의 형성>
먼저, 이형 필름으로서, 편면이 실리콘 처리된 나카모토팩스사 제품의 PET 필름 “NS-38+A”(상품명, 두께:38㎛)를 준비하였다. 또한, 소켄화학사 제품의 아크릴계 점착제 용액 “SK 다인 2094”(상품명, 고형분:25질량%, 굴절률:1.49) 100부에 대해, 모멘티브·퍼포먼스·머티리얼즈사 제품의 부정형 실리콘 수지 미립자 “TOSPEARL240”(상품명, 평균 입자경:4.0㎛, 굴절률:1.42) 0.88부[점착제 수지 100부에 대해 3.5부], 와코순약사 제품의 자외선 흡수제(벤조페논계) 1.25부 및 소켄화학사 제품의 가교제 “E-AX”(상품명, 고형분:5%) 0.27부를 첨가하고, 디스퍼로 분산 배합한 후, 탈포하여 광 확산 점착제층 형성용 도포액을 조제하였다.
다음에, 상기 이형 필름의 PET 필름의 실리콘 처리된 측의 면 상에, 건조 후의 두께가 25㎛가 되도록 상기 광 확산 점착제층 형성용 도포액을 도공, 건조함으로써, 광 확산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광 확산 점착제층의 폭로면에, 상기 보호층을 갖는 PET 필름의 보호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측을 맞붙여, PET 필름 기재의 편면에 광 확산 점착제층, 다른 일방의 면에 보호층이 형성된 투명 스크린 필름을 제작하였다.
<유리 기판과의 맞붙임>
먼저, 유리 기판으로서, 두께 3mm의 플로트 유리(일본판유리사 제품)를 준비하였다. 다음에, 상기 PET 필름 기재의 편면에 광 확산 점착제층, 다른 일방의 면에 보호층이 형성된 투명 스크린 필름의 광 확산 점착제층의 이형 필름을 박리하여, 상기 광 확산 점착제층측을 상기 플로트 유리에 맞붙였다.
[비교예 2]
먼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적외선 반사층의 위에 보호층을 갖는 적외선 반사 필름(투명 차열 부재)을 제작하였다.
<점착제층의 형성>
먼저, 이형 필름으로서, 편면이 실리콘 처리된 나카모토팩스사 제품의 PET 필름 “NS-38+A”(상품명, 두께:38㎛)를 준비하였다. 또한, 소켄화학사 제품의 아크릴계 점착제 용액 “SK 다인 2094”(상품명, 고형분:25질량%, 굴절률:1.49) 100부에 대해, 와코순약사 제품의 자외선 흡수제(벤조페논계) 1.25부 및 소켄화학사 제품의 가교제 “E-AX”(상품명, 고형분:5%) 0.27부를 첨가하고, 디스퍼로 분산 배합한 후, 탈포하여 점착제층 형성용 도포액을 조제하였다.
다음에, 상기 이형 필름의 PET 필름의 실리콘 처리된 측의 면 상에, 건조 후의 두께가 25㎛가 되도록 상기 점착제층 형성용 도포액을 도공, 건조함으로써,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의 폭로면에, 상기 보호층을 갖는 적외선 반사 필름의 보호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측을 맞붙여, PET 필름 기재의 편면에 점착제층, 다른 일방의 면에 적외선 반사층, 프라이머층 및 보호층이 형성된 적외선 반사 필름(투명 차열 부재)을 제작하였다.
<유리 기판과의 맞붙임>
먼저, 유리 기판으로서, 두께 3mm의 플로트 유리(일본판유리사 제품)를 준비하였다. 다음에, 상기 PET 필름 기재의 편면에 점착제층, 다른 일방의 면에 적외선 반사층, 프라이머층 및 보호층이 형성된 적외선 반사 필름(투명 차열 부재)의 점착제층의 이형 필름을 박리하여, 상기 점착제층측을 상기 플로트 유리에 맞붙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의 적외선 반사층을 두께 35㎚의 산화인듐주석(ITO)층, 두께 8㎚의 은(Ag)층, 두께 35㎚의 산화인듐주석(ITO)층으로 이루어지는 3층 구조의 적외선 반사층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광 확산 점착제층을 가진 적외선 반사 필름(투명 차열 부재)을 제작하여 유리 기판에 맞붙였다.
[비교예 4]
실시예 1의 적외선 반사층에 있어서의 은(Ag)층의 두께를 21㎚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광 확산 점착제층을 가진 적외선 반사 필름(투명 차열 부재)을 제작하여 유리 기판에 맞붙였다.
[비교예 5]
실시예 1의 광 확산 점착제층에 있어서의 부정형 실리콘 수지 미립자 “TOSPEARL240”(상품명, 평균 입자경 4.0㎛)의 첨가량을 0.12부[점착제 수지 100부에 대해 0.5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광 확산 점착제층을 가진 적외선 반사 필름(투명 차열 부재)을 제작하여 유리 기판에 맞붙였다.
[비교예 6]
실시예 1의 광 확산 점착제층에 있어서의 부정형 실리콘 수지 미립자 “TOSPEARL240”(상품명, 평균 입자경 4.0㎛)의 첨가량을 1.38부[점착제 수지 100부에 대해 5.5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광 확산 점착제층을 가진 적외선 반사 필름(투명 차열 부재)을 제작하여 유리 기판에 맞붙였다.
[투명 부재의 평가]
상기 실시예 1∼14 및 상기 비교예 1∼6에 관하여, 각 투명 부재를 가로세로 5㎝ 유리 기판에 첩부한 상태의 것을 측정 시료로 하여, 가시광선 투과율, 가시광선 반사율, 헤이즈값, 수직 방사율, 차폐 계수, 보호층의 초기 밀착성, 내후성 시험 후의 밀착성 및 내찰상성을 이하와 같이 평가하였다. 또한, 각 투명 부재를 30㎝×23㎝의 크기의 유리 기판에 첩부한 것을 측정 시료로 하여, 배경 시인성 및 프로젝터 투영시의 영상의 시인성을 이하와 같이 평가하였다.
<가시광선 투과율>
가시광선 투과율은, 유리 기판측을 입사광측으로 하여, 파장 380∼780㎚의 범위에 있어서, 일본분광사 제품의 자외 가시 근적외 분광 광도계 “Ubest V-570형”(상품명)을 이용하여 분광 투과율을 측정하고, JIS A5759-2008에 준하여 산출하였다.
<가시광선 반사율>
가시광선 반사율은, 투명 기재측을 입사광측으로 하여, 파장 380∼780㎚의 범위에 있어서, 일본분광사 제품의 자외 가시 근적외 분광 광도계 “Ubest V-570형”(상품명)을 이용하여 분광 반사율을 측정하고, JIS R3106-1998에 준하여 산출하였다.
<헤이즈값>
헤이즈값은, 투명 기재측을 입사광측으로 하여, 일본덴쇼쿠사 제품의 헤이즈 미터 “NDH-2000”(상품명)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JIS K7136-2000에 준하여 산출하였다.
<수직 방사율>
수직 방사율은, 투명 기재측을 입사광측으로 하여, 파장 5∼25.2㎛의 범위에 있어서, 정반사 측정용 어태치먼트를 장착한 시마즈제작소 제품의 적외 분광 광도계 “IR Prestige21”(상품명)을 이용하여 분광 정반사율을 측정하고, JIS R3106-2008에 준하여 산출하였다. 수직 방사율의 계산에 있어서, 파장 범위 25.2㎛∼50.0㎛의 분광 정반사율에는 파장 25.2㎛의 값을 이용하였다.
<차폐 계수>
차폐 계수는, 유리 기판측을 입사광측으로 하여, 파장 300∼2500㎚의 범위에 있어서, 일본분광사 제품의 자외 가시 근적외 분광 광도계 “Ubest V-570형”(상품명)을 이용하여 분광 투과율 및 분광 반사율을 측정하고, JIS A5759-2008에 준하여 산출한 일사 투과율 및 일사 반사율의 값 및 상기 수직 방사율의 값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보호층의 초기 밀착성>
투명 부재의 보호층의 밀착성은, JIS D0202-1988에 준한 크로스컷 테이프 박리시험으로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니치반사 제품의 셀로판 테이프 “CT24”(상품명)를 이용하여, 손가락의 배로 상기 보호층에 밀착시킨 후에 박리하여 밀착성을 평가하였다. 그 평가는 100개의 격자 중, 박리하지 않는 격자의 수로 나타내고, 보호층이 전혀 박리하지 않는 경우를 100/100, 보호층이 완전히 박리할 경우를 0/100으로서 나타내었다.
<보호층의 내후성 시험 후의 밀착성>
투명 부재의 보호층의 내후성 시험 후의 밀착성은, JIS A5759-2008에 준거하여 1000시간 선샤인 카본 아크등을 조사하는 내후성 시험을 행한 후, 상기 초기 밀착성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 평가하였다.
<보호층의 내찰상성>
투명 부재의 보호층의 내찰상성은, 보호층 상에 본스타사 제품의 스틸울(#0000)을 배치하고, 250g/㎠의 하중을 건 상태에서, 스틸울을 10 왕복시킨 후, 보호층의 표면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이하의 3단계로 평가하였다.
A : 상처가 전혀 나지 않은 경우
B : 상처가 몇 개(5개 이하) 확인된 경우
C : 상처가 다수 확인된 경우
<배경 시인성>
배경 시인성은, 각 투명 부재를 30㎝×23㎝의 크기의 유리 기판에 첩부한 것을 측정 시료로 하여, 시료 너머로 보이는 반대편의 배경의 보이기 쉬움을 육안 평가하였다.
<프로젝터 투영시의 영상의 시인성>
프로젝터 투영시의 영상의 시인성은, 마이크로비전사 제품 포터블 레이저 피코 프로젝터 “SHOWWX+HDMI(등록상표) Laser Pocket Projector”(상품명)를 이용하여 실제로 영상을 30㎝×23㎝의 크기의 유리 기판에 첩부한 투명 부재측으로부터 투영하고, 프로젝터측의 반사 영상에 대해서는 휘도(밝기), 흐릿함의 유무(화상 선명성), 번쩍임감의 유무를, 또한 프로젝터는 반대측의 투과 영상에 대하여, 휘도(밝기), 흐릿함의 유무(화상 선명성)를 육안 평가하였다.
휘도(밝기)는 이하의 4단계로 평가하였다.
◎ : 영상의 휘도가 극히 높아 시인성이 매우 양호
○ : 영상의 휘도가 높아 시인성이 양호
△ : 영상의 휘도가 약간 낮아 시인성이 약간 떨어짐
× : 영상을 대부분 시인할 수 없음
흐릿함의 유무(화상 선명성)는 이하의 4단계로 평가하였다.
◎ : 화상의 흐릿함이 없어 화상 선명성이 매우 양호
○ : 화상의 흐릿함이 조금 있으나 화상 선명성은 양호
△ : 화상의 흐릿함이 조금 있어 화상 선명성이 약간 떨어짐
× : 화상의 흐릿함이 있어 화상 선명성이 떨어짐
번쩍임감의 유무는 이하의 2단계로 평가하였다.
○ : 번쩍임감이 없음
× : 번쩍임감이 있음
이상의 결과를, 유리 기판에 맞붙인 투명 차열 단열 부재의 층 구성과 함께 표 1∼표 4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표 1∼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14의 적외선 반사층 및 광 확산층을 갖는 투명 부재는, 가시광선 반사율이 12% 이상 30% 이하, 헤이즈값이 5% 이상 35% 이하, 차폐 계수가 0.69 이하이고, 배경이 양호하게 투시 가능하고, 에너지 절약용의 차열 필름으로서도, 또한, 프로젝터에 의해 투영한 컨텐츠 영상을 양면으로부터 양호하게 시인할 수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용의 투명 스크린으로서도 충분한 성능을 갖추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8은, 두께가 5.0㎛ 이하가 되는 3.5㎛ 두께인 보호층을 적외선 반사층의 위에, 두께가 0.1㎛인 프라이머층을 개재하여 설치하고 있으므로, 수직 방사율이 0.50 이하이고, 차열성과 함께 단열성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7, 11, 13, 14는, 두께가 2.0㎛ 이하인 보호층을 적외선 반사층의 위에 직접, 또는 두께가 0.1㎛인 프라이머층을 개재하여 설치하고 있으므로, 수직 방사율이 0.30 이하이고, 차열성과 함께 보다 높은 단열 성능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은, 적외선 반사층에 있어서의 은층의 두께를 15㎚로 두껍게 하고 있기 때문에, 가시광선 투과율이 65% 미만이 되어, 실시예 1, 2와의 비교에 있어서, 배경 시인성이 조금 떨어졌다. 실시예 7은, 보호층의 두께를 0.5㎛로 얇게 하고 있기 때문에, 실시예 1과의 비교에 있어서, 내찰상성이 약간 떨어졌다.
실시예 12는, 광 확산층이 적외선 반사층의 위에 형성(광 확산층을 적외선 반사층에 대해 투영하는 프로젝터측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반사 영상에 있어서는, 휘도가 극히 높아 시인성이 매우 양호하고, 또한 화상의 흐릿함도 없어 화상 선명성도 매우 양호하였으나, 광 확산층이 적외선을 흡수하기 때문에, 수직 방사율이 높고, 단열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실시예 13은, 보호층을 적외선 반사층의 위에 프라이머층을 개재하지 않고 직접 설치했기 때문에, 실시예 1과의 비교에 있어서, 내후성 시험 후의 밀착성이 떨어졌다. 실시예 14는, 보호층에 실리콘계의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했기 때문에, 실시예 1과의 비교에 있어서, 내찰상성이 약간 떨어졌다.
한편, 비교예 1은, 광 확산층을 가지고 있으나, 적외선 반사층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차폐 계수가 0.89, 수직 방사율이 0.93으로 높아, 차열 성능, 단열 성능은 인정되지 않고, 또한, 반사 영상에 있어서도, 휘도가 약간 낮고, 화상의 흐릿함이 약간 있어 시인성이 약간 떨어졌다. 비교예 2는, 적외선 반사층을 가지고 있으나, 광 확산층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반사 영상, 투과 영상 모두 대부분 시인할 수는 없었다. 비교예 3은, 적외선 반사층 및 광 확산층을 가지고는 있으나, 가시광선 반사율이 12% 미만이기 때문에, 반사 영상에 있어서, 휘도가 약간 낮고, 화상의 흐릿함이 약간 있어 시인성이 약간 떨어졌다.
비교예 4는, 적외선 반사층 및 광 확산층을 가지고는 있으나, 가시광선 반사율이 30%를 초과하기 때문에, 하프 미러감이 강하여, 반사 영상에 있어서, 번쩍임감이 있고, 투과 영상에 있어서도, 휘도가 약간 낮아 시인성이 약간 떨어졌다. 또한, 가시광선 투과율도 저하하고 있어, 배경 시인성이 떨어졌다. 비교예 5는, 적외선 반사층 및 광 확산층을 가지고는 있으나, 헤이즈값은 5% 미만이기 때문에, 반사 영상, 투과 영상 모두 조금 인식할 수는 있으나, 대부분 시인할 수는 없는 상태에 가까운 것이었다. 비교예 6은, 적외선 반사층 및 광 확산층을 가지고는 있으나, 헤이즈값이 35%를 초과하기 때문에, 투명 부재가 약간 흰 색을 띤 상태가 되어, 배경 시인성이 약간 떨어졌다.
본 발명의 투명 부재는, 예를 들어 창유리 등의 투명 기판에 투명 점착제 등에 의해 맞붙여 사용한 경우, 배경이 양호하게 투시 가능하고, 투명 차열 부재 또는 투명 차열 단열 부재, 즉 에너지 절약용의 일사 조정 투명 필름으로서 이용할 수 있음과 함께, 프로젝터에 의해 투영한 컨텐츠 영상을 양면으로부터 양호하게 시인할 수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용의 투명 스크린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온갖 씬에 있어서 매우 유용하다.
10 :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
11 : 투명 기재
12 : 적외선 반사층
13 : 프라이머층
14 : 보호층
15 : 광 확산층
16 : 점착제층
17 : 광 확산 점착제층
18 : 유리판
20 : 투명 차열 부재
30 : 투명 스크린

Claims (6)

  1. 프로젝터로부터 스크린에 투영된 영상을 프로젝터측으로부터는 반사 영상으로서, 또한, 스크린을 사이에 두고 프로젝터의 반대측으로부터는 투과 영상으로서, 양면으로부터 시인할 수 있는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로서, 상기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는, 투명 기재에 대하여, 적어도,
    (1) 금속층과, 금속 산화물층 및/또는 금속 질화물층을 갖는 적외선 반사층, 및
    (2) 광 확산성 입자가 투명 수지 중에 분산된 광 확산층,
    을 갖는 투명 부재이고, 또한,
    (3) JIS R3106-1998에 준하여 측정한 가시광선 반사율이 12% 이상 30% 이하
    (4) JIS K7136-2000에 준하여 측정한 헤이즈값이 5% 이상 35% 이하,
    (5) JIS A5759-2008에 준하여 측정한 차폐 계수가 0.69 이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에 있어서, JIS A5759-2008에 준하여 측정한 가시광선 투과율이 6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를, 투명 기판에 첩부하여 사용하는 상태에 있어서, 최표면층(공기측)이 적어도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 또는 열경화형 수지를 포함하는 하드 코트 보호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코트 보호층이, 산, 산 무수물 또는 수산기에 의해 변성한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프라이머층을 개재하여 상기 적외선 반사층의 위에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에 있어서, JIS R3106-2008에 준하여 측정한 수직 방사율의 값이 0.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단열성을 갖는 투명 차열 부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에 있어서, JIS R3106-2008에 준하여 측정한 수직 방사율의 값이 0.3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단열성을 갖는 투명 차열 부재.
KR1020160036360A 2015-03-27 2016-03-25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 KR201601158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66852 2015-03-27
JP2015066852 2015-03-27
JP2015088649A JP6584819B2 (ja) 2015-03-27 2015-04-23 透明スクリーン機能を備えた透明遮熱部材
JPJP-P-2015-088649 2015-04-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849A true KR20160115849A (ko) 2016-10-06

Family

ID=56975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6360A KR20160115849A (ko) 2015-03-27 2016-03-25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78256B2 (ko)
KR (1) KR2016011584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2524A (ko) * 2019-05-17 2020-11-25 엠에스웨이 주식회사 투명차열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68433A (ko) * 2020-11-19 2022-05-26 엠에스웨이 주식회사 내구성이 강화된 투명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30303B (zh) * 2015-04-02 2021-03-09 凸版印刷株式会社 量子点保护膜以及使用其而得到的波长变换片及背光单元
US10725207B2 (en) * 2015-08-19 2020-07-28 Young Optics Inc. Optical apparatus having organic-inorganic composite material
WO2017131174A1 (ja) 2016-01-29 2017-08-03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透明スクリーン機能を備えた透明遮熱断熱部材
US10359550B2 (en) * 2016-08-31 2019-07-23 Efx Energy Technologies, Llc Multi-layered reflective insulation system
JP2018065732A (ja) * 2016-10-17 2018-04-26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光散乱性被膜を備えた複層ガラスからなる窓ガラス
CN109716179A (zh) * 2016-10-18 2019-05-03 麦克赛尔控股株式会社 透明隔热绝热部件
KR20210093847A (ko) * 2018-11-20 2021-07-28 미쓰이금속광업주식회사 적층체
CN109459809B (zh) * 2018-12-27 2021-04-27 凯鑫森(上海)功能性薄膜产业有限公司 高遮蔽多功能膜及其生产方法
JP6669300B1 (ja) * 2019-06-28 2020-03-18 凸版印刷株式会社 スクリーン
CN110467360A (zh) * 2019-09-20 2019-11-19 四川南玻节能玻璃有限公司 一种高透光率低辐射镀膜玻璃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3980B2 (ja) 1999-12-22 2007-10-17 株式会社きもと 透視可能な透過型スクリーン
JP4190657B2 (ja) 1999-05-14 2008-12-0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赤外線遮蔽フィルム
JP2011113068A (ja) 2009-11-30 2011-06-09 Vision Development Co Ltd ダイヤモンド微粒子を含有する透過型スクリーン
JP4822104B2 (ja) 2005-01-21 2011-11-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投影システム
WO2012096304A1 (ja) 2011-01-13 2012-07-19 東レ株式会社 遠赤外線反射積層体
JP2013010341A (ja) 2011-05-31 2013-01-17 Nitto Denko Corp 赤外線反射フィルム
JP2013151103A (ja) 2012-01-25 2013-08-08 Tokai Rubber Ind Ltd 透明積層フィルム
JP2013210454A (ja) 2012-03-30 2013-10-10 Mitsubishi Paper Mills Ltd 透過型スクリーン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4053B2 (en) 1999-12-22 2004-10-12 Kimoto Co., Ltd. See-through light transmitting type screen
US9360747B2 (en) 2012-03-02 2016-06-07 Mitsubishi Paper Mills Limited Transmission type screen
JPWO2013151136A1 (ja) * 2012-04-05 2015-12-1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赤外遮蔽フィルムおよび赤外遮蔽体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90657B2 (ja) 1999-05-14 2008-12-0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赤外線遮蔽フィルム
JP3993980B2 (ja) 1999-12-22 2007-10-17 株式会社きもと 透視可能な透過型スクリーン
JP4822104B2 (ja) 2005-01-21 2011-11-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投影システム
JP2011113068A (ja) 2009-11-30 2011-06-09 Vision Development Co Ltd ダイヤモンド微粒子を含有する透過型スクリーン
WO2012096304A1 (ja) 2011-01-13 2012-07-19 東レ株式会社 遠赤外線反射積層体
JP2013010341A (ja) 2011-05-31 2013-01-17 Nitto Denko Corp 赤外線反射フィルム
JP2013151103A (ja) 2012-01-25 2013-08-08 Tokai Rubber Ind Ltd 透明積層フィルム
JP2013210454A (ja) 2012-03-30 2013-10-10 Mitsubishi Paper Mills Ltd 透過型スクリーン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2524A (ko) * 2019-05-17 2020-11-25 엠에스웨이 주식회사 투명차열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68433A (ko) * 2020-11-19 2022-05-26 엠에스웨이 주식회사 내구성이 강화된 투명필름
WO2022107939A1 (ko) * 2020-11-19 2022-05-27 엠에스웨이 주식회사 내구성이 강화된 투명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78256B2 (en) 2017-06-13
US20160282529A1 (en) 2016-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56743B2 (ja) 透明スクリーン機能を備えた透明遮熱断熱部材
KR20160115849A (ko) 투명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투명 차열 부재
EP3531175A1 (en) Transparent heat-shielding heat-insulating member
KR101836788B1 (ko) 시트상 투명 성형체, 그것을 구비한 투명 스크린,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 투영 장치
JP6133522B1 (ja) 透明スクリーンおよびそれを備えた映像投影システム
JP6069596B1 (ja) 透視可能な積層体、それを備えた透明スクリーン、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投影装置
JP6584819B2 (ja) 透明スクリーン機能を備えた透明遮熱部材
JP6266844B2 (ja) シート状透明積層体、それを備えた透明スクリーン、およびそれを備えた映像投影システム
KR20160143670A (ko) 투명 스크린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과 그것을 구비한 투명 스크린
KR102245858B1 (ko) 점착제층 및 비산 방지 점착 시트
JP6334055B2 (ja) シート状透明成型体、それを備えた透明スクリーン、およびそれを備えた映像投影システム
JP2007058204A (ja) 防眩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2017015824A (ja) シート状透明積層体、それを備えた透明スクリーン、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投影装置
KR20220007614A (ko) 배리어 필름, 그것을 이용한 파장 변환 시트 및 그것을 이용한 표시 장치
JP2017215355A (ja) スクリーンフィルム及びスクリーン
JP2017026759A (ja) スクリーン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投影装置
WO2011122380A1 (ja) Led照明用光拡散フィルム
JP6707462B2 (ja) 透視可能な積層体、それを備えた反射型スクリーン、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投影装置
JP6765912B2 (ja) 映像を投影可能な積層体、およびそれを備えた映像投影システム
JP2017027026A (ja) ガラス複合体、それを備えた透明スクリーン、およびそれを備えた映像投影システム
WO2023074890A1 (ja) プロジェクションスクリーン
WO2021131393A1 (ja) スクリーンフィルム及びそれを備えた投影システム
JPWO2021131393A5 (ko)
JP2016114759A (ja) 光拡散材、それを用いた光拡散部材及び光拡散構造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