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4169A -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 - Google Patents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4169A
KR20160114169A KR1020167023795A KR20167023795A KR20160114169A KR 20160114169 A KR20160114169 A KR 20160114169A KR 1020167023795 A KR1020167023795 A KR 1020167023795A KR 20167023795 A KR20167023795 A KR 20167023795A KR 20160114169 A KR20160114169 A KR 20160114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cylinder
hole
liquid
e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3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2497B1 (ko
Inventor
코타로 후지와라
히로유키 나카무라
시게오 이이즈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ublication of KR20160114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4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5B11/301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98Air being permanently entrapped or sucked into the liquid pump cha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18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 B05B7/005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wherein ambient air is aspirated by a liq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9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 B05B11/0044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compensating underpressure by ingress of atmospheric air into the container, i.e. with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59Components or details allowing operation in any orientation, e.g. for discharge in invert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2Piston pumps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stroke being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major axis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9Piston pumps actuated by a lever
    • B05B11/1011Piston pumps actuated by a lever without substantial movement of the nozzle in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stro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66Pump inlet valves
    • B05B11/1067Pump inlet valves actuated by pressure
    • B05B11/1069Pump inlet valves actuated by pressure the valve being made of a resiliently deformable material or being urged in a closed position by a spring
    • B05B11/3002
    • B05B11/30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capable of producing different kinds of discharge, e.g. either jet or spr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08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sprayer an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27Means for neutralising the actuation of the sprayer ; 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the sprayer actuation means
    • B05B11/0032Manually actuated means located downstream the discharge nozzle for closing or covering it, e.g. sh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62Outlet valves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 B05B11/007Outlet valves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being opened by deformation of a sealing element made of resiliently deformable material, e.g. flaps, skirts, duck-bil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7Spring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1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 B05B7/0425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without any source of compressed gas, e.g. the air being sucked by the pressurised liquid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분출기 본체(11)는, 송출구(39)로 이어지는 원통형 장착부(16a)를 가지며, 노즐(40)은, 장착부(16a)의 외주를 덮는 통형상 외통체(41c) 및 외통체(41c)의 내측에 설치되어 장착부(16a)의 개구단을 덮는 동시에 분출공(44)이 설치된 격벽(41a)이 일체로 형성된 노즐 본체(41)와, 외통체(41c)의 선단으로 이어지는 통형상 외통 연장체(42a)를 구비하여 노즐 본체(41)에 그 중심축을 따르는 방향으로부터 장착되는 노즐 연장체(42)를 가지고, 분출공(44)과 중심축을 일치시킨 원통형으로 형성된 격벽(41a)의 장착부(16a)와는 반대측을 향한 외측면에 일체로 설치되는 제 1 분출 통부(51a)와, 외통 연장체(42)의 내측에 외통 연장체(42)와 일체로 설치되어 제 1 분출 통부(51a)의 선단에 겹쳐서 배치되는 원통형 제 2 분출 통부(51b)에 의해 분출통(51)이 형성되고, 제 1 분출 통부(51a)의 선단 또는 제 2 분출 통부(51b)의 기단에 노치(52a)가 설치되며, 노치(52a)의 개구단이 제2 분출 통부(51b) 또는 제1 분출 통부(51a)에 의해서 폐쇄되는 것에 의해서 분출통(51)에 공기 도입공(52)이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TRIGGER-TYPE FLUID JETTING DEVICE}
본 발명은,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의 입구부에 부착되어 용기 내의 액체를 포말 형상으로 하여 노즐로부터 분출하는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에 관한 것이다.
곰팡이 제거제, 세제, 다림질 풀, 가정용 왁스, 정발제, 방향제, 기피제, 농약, 약품 등의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의 입구부에 부착되는 분출기로서는, 트리거의 조작에 의해 펌프를 작동시켜 이들 액체를 노즐로부터 포말 형상으로 분출하는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는, 장착 캡 등에 의해서 용기의 입구부에 장착되는 분출기 본체를 구비하고, 이 분출기 본체에 펌프가 장착되는 동시에 이 펌프로 압송되는 액체의 송출 유로가 설치되고, 이 송출 유로의 출구단인 송출구에 노즐이 장착되어 있다. 노즐은 삼각형이나 사각형 등의 단면 형상을 갖는 통형상 외통체의 내측에 분출공을 구비한 격벽을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펌프에 의해 송출 유로를 거쳐 송출구까지 압송된 액체를 분출공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분출하게 되어 있다. 또한, 노즐에는, 분출공의 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일단이 외통체의 외면으로 개구하는 동시에 타단이 분출공에 인접하여 개구하는 공기 도입공이 설치되며, 이 공기 도입공으로부터 도입되는 공기를 분출공으로부터 분출된 액체와 혼합시켜, 분출된 액체를 포말 형상화시키도록 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11-290731호
그러나, 종래의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에서는, 금형을 이용하여 노즐을 수지 성형할 때, 그 금형의 결합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핀 등을 이용한 측면으로 빼는 것으로 인해 분출통의 측면에 공기 도입공을 형성하고 있어, 성형에 사용되는 금형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동시에 노즐의 성형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며, 그 목적은 공기 도입공이 설치된 분출통을 구비한 노즐을 간소한 구조의 금형에서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는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는,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의 입구부에 장착되는 분출기 본체와, 트리거의 조작에 의해 작동하여 상기 용기 내의 액체를 상기 분출기 본체에 설치된 송출 유로를 통해 송출구로 압송하는 펌프와, 상기 분출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송출구로 압송된 액체를 외부로 분출하는 노즐을 구비한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로서, 상기 분출기 본체는, 상기 송출구로 이어지는 원통형 장착부를 가지고, 상기 노즐은, 상기 장착부의 외주를 덮는 통형상 외통체 및 상기 외통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장착부의 개구단을 덮는 동시에 분출공이 설치된 격벽이 일체로 형성된 노즐 본체와, 상기 외통체의 선단으로 이어지는 원통형 외통 연장체를 구비하고 상기 노즐 본체에 그 중심축을 따르는 방향으로부터 장착되는 노즐 연장체를 가지며, 상기 분출공과 중심축을 일치시킨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격벽의 외측을 향하는 면에 일체로 설치되는 제 1 분출 통부와, 상기 외통 연장체의 내측에 해당 외통 연장체와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제 1 분출 통부의 선단에 겹쳐서 배치되는 원통형 제 2 분출 통부에 의해 분출통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분출 통부의 선단 또는 상기 제 2 분출 통부의 기단에 노치가 설치되고, 해당 노치의 개구단이 상기 제 2 분출 통부 또는 상기 제 1 분출 통부에 의해 폐쇄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분출통에 공기 도입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는,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의 입구부에 장착되는 분출기 본체와, 트리거의 조작에 의해 작동하여 상기 용기 내의 액체를 상기 분출기 본체에 설치된 송출 유로를 통해 송출구로 압송하는 펌프와, 상기 분출기 본체에 장착되어 해당 송출구로 압송된 액체를 외부로 분출하는 노즐을 구비한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로서, 상기 분출기 본체는 상기 송출구로 이어지는 원통형의 장착부를 가지며, 상기 노즐은, 상기 장착부의 외주를 덮는 통형상 외통체 및 해당 외통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장착부의 개구단을 덮는 동시에 분출공이 설치된 격벽이 일체로 형성된 노즐 본체와, 상기 외통체의 선단으로 이어지는 원통형 외통 연장체를 구비하고 상기 노즐 본체에 그 중심축을 따르는 방향으로부터 장착되는 노즐 연장체를 가지며, 상기 분출공과 중심축을 일치시킨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통 연장체의 내측으로 해당 외통 연장체와 일체로 설치되고, 기단이 상기 격벽의 외측을 향하는 면에 접촉하는 분출통을 가지며, 상기 분출통의 기단에 노치가 설치되고, 해당 노치의 개구단이 상기 격벽에 의해 폐쇄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분출통에 공기 도입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분출통에 대향하는 포말 생성공을 구비한 덮개체가 상기 외통 연장체의 선단에 힌지부를 통하여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덮개체에 의해 상기 외통 연장체의 선단이 폐쇄되었을 때, 상기 격벽과 상기 덮개체 사이에서 상기 외통 연장체의 내측 공간으로 공기를 도입하는 통기공이 상기 덮개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금형의 결합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핀 등을 구비한 복잡한 구조의 금형을 이용하지 않고, 간소한 구조의 금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는 노즐 본체와 노즐 연장체를 결합하는 것에 의해서, 공기 도입공이 설치된 분출통을 구비한 노즐을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노즐의 성형에 필요한 금형으로서 간소한 구조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이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인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의 노즐이 장착되는 부위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의 (a)는, 폐쇄 위치로 된 상태의 노즐을 후면측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 3의 (b)는, 개방 위치로 된 상태의 노즐을 후면측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도 2에 나타낸 분출통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4의 (b)는, 같은 도 4의 (a)에 나타낸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분출통을 구성하는 반통부와 통연장체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나타낸 노즐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인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의 노즐이 장착되는 부위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9의 (a)는, 도 8에 나타낸 노즐 본체의 정면도이고, 도 9의 (b)는, 같은 도면 9의 (a)에서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의 (a)는, 도 8에 나타낸 노즐 연장체의 정면도이고, 도 10의 (b)는, 같은 도면 10의 (a)에서의 B-B 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10의 (c)는 같은 도면 10의 (a)에 나타낸 노즐 연장체의 후면도이다.
도 11은, 노즐 커버를 폐쇄하고 노즐로부터 액체를 분출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인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1)는, 예를 들어, 곰팡이 제거제, 세제, 다림질 풀, 가정용 왁스, 정발제, 방향제, 방충제, 기피제, 농약, 약품 등의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2)의 입구부(2a)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1)는, 용기(2)의 입구부(2a)에 부착되는 수지제 분출기 본체(11)를 구비하고 있다.
분출기 본체(11)는, 용기(2)의 입구부(2a)에 대응하는 원통형 장착통부(12)를 구비하고, 이 장착통부(12)에는 그 외주면에 설치된 악부(12a)에 록킹되는 장착 캡(13)이 장착되어 있다. 장착 캡(13)의 내주면에는 암나사(13a)가 설치되고, 이 장착 캡(13)을 용기(2) 입구부(2a)의 수나사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분출기 본체(11), 즉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1)를 용기(2)의 입구부(2a)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부호 14는, 용기(2)의 입구부(2a)와 악부(12a) 사이를 밀봉하는 씰(seal) 부재이다.
분출기 본체(11)는 장착통부(12)로부터 그 중심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기립부(15)와, 이 기립부(15)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 돌출부(16)를 구비한 외형 생략 L 자형에 형성되어 있다. 기립부(15)의 내부에는 장착 통부(12)에 연통하는 흡입 유로(P1)가 설치되고, 이 흡입 유로(P1)의 하단에는 용기(2) 내부에 삽입되는 흡입용 튜브(17)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연장 돌출부(16)에는 흡입 유로(P1)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송출 유로(P2)가 설치되고, 흡입 유로(P1)와 송출 유로(P2) 사이는 체크 밸브실(R1)로 되어 있다. 또한, 흡입 유로(P1)와 체크 밸브실(R1)은, 격벽(18a)에 의해 내부가 기립부(15)의 중심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2 분된 통체(18)가 기립부(15)에 내장되어 구성되어 있다.
분출기 본체(11)에는 펌프(21)가 장착되어 있다. 이 펌프(21)는 분출기 본체(11)의 장착통부(12)와 연장 돌출부(16)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실린더 부재(22)를 구비하고 있다. 실린더 부재(22)는 실린더 통부(22a)와 구획 통부(22b)를 구비하고, 이들 사이는 원 고리 형상의 구획실(22c)로 되어 있다. 이 구획실(22c)은 통체(18)에 형성된 송출공(23)을 통하여 체크 밸브실(R1)에 연통되어 있다. 실린더 통부(22a)에는 일단이 폐쇄된 원통형 피스톤(24)이, 실린더 통부(22a)의 중심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이 피스톤(24)의 원통형 선단 부분의 외주측에는 실린더 통부(22a)의 내주면으로 슬라이딩 접촉하는 씰 부(24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분출기 본체(11)의 기립부(15)에는 원통형 흡입 통부(25)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 흡입 통부(25)는 구획 통부(22b)의 내측에 이 구획 통부(22b)와 중심축을 일치시켜 배치되고, 그 일단측은 통체(18)에 설치된 흡입공(26)을 통하여 흡입 유로(P1)에 연통되어 있다. 흡입 통부(25)의 펌프(21) 내로 노출하는 선단면(25a)은, 반경 방향 내측으로 향함에 따라 흡입공(26) 측으로 향해서 오목한 테이퍼면(원추면)으로 되어 있으며, 이 선단면(25a)에는 흡입측 체크 밸브(31)가 배치되어 있다.
흡입측 체크 밸브(31)는, 그 구 형상면이 흡입 통부(25)의 선단면(25a)에 접촉할 수 있는 직경을 갖는 반구형 밸브 본체(31a)를 구비하고 있다. 밸브 본체(31a)는 나선형 탄성부(31b)에 의해 구획 통부(22b)의 내주면에 일체로 연결되고, 이 탄성부(31b)에 의해 선단면(25a) 측으로 향하여 가압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밸브 본체(31a)는 그 구형상면에서 밸브 시트인 흡입 통부(25)의 선단면(25a)으로 가압된 상태로 접촉되어 있다. 탄성부(31b)는 구획 통부(22b) 측에서 밸브 본체(31a) 측으로 향해 서서히 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되고, 밸브 본체(31a)가 선단면(25a)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향해서 탄성 변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흡입측 체크 밸브(31)는 흡입 유로(P1)로부터 흡입공(26)을 통해 펌프(21) 내로 액체의 흡입을 허용하는 동시에 펌프(21) 내로부터 흡입공(26)을 통한 흡입 유로(P1)로의 액체의 역류를 방지한다.
한편, 체크 밸브실(R1)에는 송출측 체크 밸브(3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송출측 체크 밸브(32)는 판상의 밸브 본체(32a)를 가지며, 이 밸브 본체(32a)는, 만곡한 탄성부(32b)에 의해 펌프(21) 측으로 향하여 가압되어 통체(18) 내주면의 단차에 접촉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송출측 체크 밸브(32)는 펌프(21)로부터 송출공(23)을 통하여 송출 유로(P2)로의 액체의 송출을 허용하는 동시에 송출 유로(P2)로부터 송출공(23)을 통해 펌프(21) 내로 액체의 역류를 방지한다.
분출기 본체(11)에는 추축(33)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트리거(조작 레버)(34)가 설치되어 있다. 피스톤(24)에는 연결편(35)이 일체로 설치되고, 이 연결편(35)은 트리거(34)의 중간 부분에 설치된 공부(34a)(孔部)에 삽입된 상태에서, 트리거(34)에 설치된 핀 부재(36)가 해당 연결편(35)에 설치된 오목부(35a)에 결합함으로써 트리거(34)에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트리거(34)에는 일단이 분출기 본체(11)에 고정 유지된 만곡된 형상의 판 스프링(37)의 선단이 결합되고, 이 판 스프링(37)에 의해, 트리거(34)는 펌프(21)로부터 분리되는 방향(도면 중에서는 추축을 중심으로 한 시계 회전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또한, 분출기 본체(11)와 펌프(21)는 커버(C)에 의해 덮여져 있고, 트리거(34)는 커버(C)의 하방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트리거(34)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펌프(21)를 향해서 도 1 중에 2 점 쇄선으로 나타낸 스트로크 단 위치까지 잡아 당기면, 흡입측 체크 밸브(31)가 폐쇄되고, 피스톤(24)이 구획실(22c) 내로 압입되어 펌프(21) 내의 액체 압력이 높아지고, 펌프(21) 내의 액체가 송출공(23)으로부터 체크 밸브실(R1)을 통하여 송출 유로(P2)로 송출된다. 이 때, 피스톤(24)의 내주면과 구획 통부(22b)의 외주면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획실(22c) 내의 액체뿐만 아니라 피스톤(24)과 구획 통부(22b) 내측에 있는 액체를 포함한 대용량의 액체를 송출 유로(P2)로 향해서 송출할 수 있다.
트리거(34)의 조작이 해제되면, 판 스프링(37)의 탄성력에 의해 트리거(34)는 초기 위치로 복귀하고, 그 복귀 동작에 따라 송출 측 체크 밸브(32)가 폐쇄되고, 흡입측 체크 밸브(31)가 개방되어, 용기(2) 내의 액체가 튜브(17)와 흡입 유로(P1)를 통하여 흡입공(26)으로부터 펌프(21) 내로 흡입된다. 또한, 실린더 통부(22a)에는 트리거(34)가 스트로크 단까지 조작될 때 외부로 노출되는 흡기공(38)이 설치되고, 이 흡기공(38)으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펌프(21)의 실린더 통부(22a)와 분출기 본체(11) 사이의 고리 형상의 틈새와 장착 통부(12)의 상면벽에 설치된 통기공(12b, 12c)을 통하여 용기(2) 내로 흡입됨으로써, 액체를 분출한 만큼, 용기(2) 내로 공기가 치환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1)를 용기(2)의 입구부(2a)에 장착하고, 트리거(34)의 당기는 조작 및 해제 조작을 반복함으로써, 펌프(21)를 작동시켜 용기(2) 내의 액체를, 송출 유로(P2)를 통해 그 송출구(39)까지 압송할 수 있다.
분출기 본체(11)의 연장 돌출부(16)의 선단에는, 펌프(21)에 의해 용기(2)로부터 송출구(39)까지 압송된 액체를 외부로 포말 형상으로 하여 분출시키기 위한 노즐(40)이 장착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출기 본체(11)의 연장 돌출부(16)의 선단에는, 노즐(40)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16a)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 장착부(16a)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연장 돌출부(16)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그 내측의 하방측에 송출 유로(P2)의 출구단인 송출구(39)가 개구되어 있다. 즉, 장착부(16a)는 그 내측에서 송출 유로(P2)의 송출구(39)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연장 돌출부(16)의 선단에는 장착부(16a)와 중심축을 일치시킨 원주 형상의 교체 축부(43)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노즐(40)은, 각각 금형을 이용한 수지 재료의 사출 성형품인 노즐 본체(41)와 노즐 연장체(42)를 이들의 중심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결합하여 형성되는 2 분할 구조로 되어 있다.
노즐 본체(41)는, 장착부(16a)의 개구단을 덮는 원판형 격벽(41a)과, 이 격벽(41a)의 외주로 이어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장착부(16a)의 외주를 덮는 외주벽(41b)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노즐 본체(41)의 외곽은, 4 개의 외벽을 구비하는 동시에, 그 중심축을 따르는 방향, 즉 정면측에서 보았을 때 대략 정사각형 모양의 통형상으로 되는 외통체(41c)에 의해 구성되고, 격벽(41a)이나 외주벽(41b)은 이 외통체(41c)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노즐 본체(41)의 격벽(41a)에는, 이 격벽(41a)을 외주벽(41b)의 중심축을 따라 관통하는 분출공(44)이 설치되어 있다. 분출공(44)은 송출구(39)보다 충분히 단면적이 작은 소공(小孔)으로 되어 있다. 격벽(41a)의 장착부(16a) 측을 향하는 내측면에는 분출공(44)과 동축으로 원통형 폐쇄 통부(41d)가 일체로 설치되고, 이 폐쇄 통부(41d)가 장착부(16a)의 내측에 결합하는 것으로 장착부(16a)의 개구단이 격벽(41a)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또한, 격벽(41a)의 내측면에는 폐쇄 통부(41d)와 그 중심축을 일치하면서도 또한 그 내측에 위치하도록 교체 통부(41e)가 일체로 설치되고, 이 교체 통부(41e)가 교체 축부(43)의 외측에 결합되어 있다. 폐쇄 통부(41d)와 교체 통부(41e)는, 각각 장착부(16a)와 교체 축부(43)에 대하여 상대 회전이 자유롭도록 되어 있어, 즉 노즐 본체(41)는 그 격벽(41a)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장착부(16a)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교체 축부(43)의 선단면에는 원형으로 오목한 오목부(43a)가 설치되고, 또한, 그 선단측의 소정 범위의 외주면에는 오목부(43a)에 연통하는 동시에 교체 축부(43)의 중심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접속 유로(43b)가 교체 축부(43)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한편, 교체 통부(41e)의 내주면에는, 그 선단으로부터 교체 축부(43)의 접속 유로(43b)에 중복하는 위치까지 교체 축부(43)의 중심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접속 유로(41f)가 교체 통부(41e)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본체(41)(노즐(40))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는, 교체 축부(43)의 접속 유로(43b)와 교체 통부(41e)의 접속 유로(41f)가 회전 방향에서 어긋나 비연통 상태가 되고, 노즐 본체(41)(노즐(40))는 분출공(44)이 송출구(39)에 대하여 차단되어 액체를 분출할 수 없는 폐쇄 상태로 된다. 한편,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본체(41)(노즐(40))가 폐쇄 위치로부터 장착부(16a)에 대하여 90 도 회전한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는, 교체 축부(43)의 접속 유로(43b)와 교체 통부(41e)의 접속 유로(41f)가 연통하고, 이로 인해 노즐 본체(41)(노즐(40))는 분출공(44)이 송출구(39)에 연통되어 액체를 분출할 수 있는 개방 상태로 된다. 또한, 노즐 본체(41)(노즐(40))를 90 도 회전시킴으로써, 재차 노즐 본체(41)(노즐(40))를 폐쇄 위치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노즐 본체(41)(노즐(40))를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분출공(44)의 개폐를 전환할 수 있다.
도 2,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본체(41)의 격벽(41a)에는, 그 외주벽(41b)과의 연접 부분을 따라서 연장하는 한 쌍의 관통공(45)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관통공(45)은, 외주벽(41b)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약 90 도의 범위에서 연장하는 동시에 외주벽(41b)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점대칭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원호 모양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노즐 본체(41)의 외주벽(41b)의 내주면의 격벽(41a)보다도 선단측에는, 그 반경 방향 내측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한 쌍의 록킹 돌기(46)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록킹 돌기(46)는, 각각 외주벽(41b)의 중심축을 따르는 방향으로부터 보아, 대응하는 관통공(45)과 중복한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관통공(45)과 동일한 범위에서 외주벽(41b)의 내주면을 따라 외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부(16a)의 외주면에는, 이 록킹 돌기(46)에 대응하는 한 쌍의 돌기부(47)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들 돌기부(47)는 장착부(16a)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외주 방향 폭은 록킹 돌기(46)의 약 1/4 정도로 되어 있다.
노즐 본체(41)가 장착부(16a)에 장착된 상태에서, 록킹 돌기(46)는 장착부(16a)의 돌기부(47)에 언더컷 결합되어 있고, 이에 의해서, 노즐 본체(41)(노즐(40))는 돌기부(47)에 의해 그 중심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록킹되어 장착부(16a)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면서, 장착부(16a)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한 쌍의 록킹 돌기(46)는 약 90 도의 범위에서 서로 점대칭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도 3의 (a), 도 3의(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본체(41)(노즐(40))를 폐쇄한 위치와 개방한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시켜도 항상 록킹 돌기(46)가 돌기부(47)에 결합되어 노즐 본체(41)(노즐(40))가 장착부(16a)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
또한, 부호 48은 장착부(16a)의 외주면에 설치된 돌기이며, 이 돌기(48)가 외주벽(41b)의 내주면에 설치된 돌기(49)를 타고 넘는 것에 의해서 노즐 본체(41)(노즐(40))를 개방된 위치 또는 폐쇄된 위치까지 회전시킬 때 클릭감이 생기도록 되어 있다. 또한, 록킹 돌기(46)의 양단에는 각각 스토퍼(S)가 설치되어, 이 스토퍼(S)에 돌기부(47)가 접촉됨에 따라, 노즐 본체(41)(노즐(40))의 회전 각도가 90 도로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이 90 도의 범위에서 노즐 본체(41)(노즐(40))를 회전시킴으로써, 분출공(44)을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노즐 본체(41)는, 격벽(41a)에 설치된 록킹 돌기(46)를 장착부(16a)의 돌기부(47)에 언더컷 결합하여 장착부(16a)에서 빠짐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한정하지 않고, 다른 빠짐 방지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노즐 연장체(42)는 외통 연장체(42a)를 구비하고 있다. 외통 연장체(42a)는, 노즐 본체(41)의 외통체(41c)와 마찬가지로, 4 개의 외벽을 구비하는 동시에, 그 중심축을 따른 방향, 즉 정면측에서 봤을 때 대략 정사각형 형상의 통형상이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노즐 본체(41)의 외통체(41c)의 선단에 설치된 결합용 단차부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통체(41c)의 선단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노즐 본체(41)의 외통체(41c) 선단에 노즐 연장체(42)의 외통 연장체(42a)가 연결되어 노즐(40) 전체의 외곽이 형성된다.
외통 연장체(42a)의 내측에는, 노즐 본체(41)의 관통공(45)에 대응되는 한 쌍의 원호 형상의 록킹 클로(42b)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들 록킹 클로(42b)는, 노즐 연장체(42)가 노즐 본체(41)의 전면측으로부터 그 중심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결합함으로써, 노즐 본체(41)의 관통공(45)에 삽입 관통되어 격벽(41a)의 후면에 언더컷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록킹 클로(42b)를 격벽(41a)에 언더컷 결합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서, 노즐 연장체(42)는 노즐 본체(41)에 장착되어 있다.
노즐(40)에는 분출공(44)의 출구측 개구단을 둘러싸는 분출통(51)이 설치되어 있다.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분출통(51)은, 격벽(41a)의 외측을 향하는 면에 분출공(44)과 중심축을 일치시켜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 제 1 분출 통부(51a)와, 노즐 연장체(42)의 외통 연장체(42a)의 내측에 이 외통 연장체(42a)와 일체로 설치된 원통형 제 2 분출 통부(51b)를 가지고, 제 1 분출 통부(51a)의 선단에 제 2 분출 통부(51b)를, 서로의 중심축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겹쳐서 배치함으로써, 분출공(44)과 중심축을 일치시킨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출통(51)에는 4 개의 공기 도입공(52)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공기 도입공(52)은, 각각 분출통(51)을 그 반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대략 직사각형 단면의 관통공으로 되어 있고, 분출통(51)의 격벽(41a)과의 연접 부분이 되는 근원측에 배치되어, 분출통(51)의 내주면측에서 분출공(44)에 인접하여 개구하고 있다. 또한, 4 개의 공기 도입공(52)은, 각각 2 개의 공기 도입공(52)이 쌍으로 되어 외주 방향으로 늘어선 동시에, 각 쌍이 원주 방향으로 180 도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분출 통부(51a)의 선단에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오목한 노치(52a)가 설치되고, 이 노치(52a)의 개구단이 제 1 분출 통부(51a)의 선단에 겹쳐지는 제 2 분출 통부(51b)의 단면(端面)에 의해 폐쇄됨으로써, 분출통(51)에 공기 도입공(52)이 설치되어 있다. 즉, 분출통(51)을 제 1 분출 통부(51a) 및 제 2 분출 통부(51b)를 결합한 구성으로 하고, 그 결합면에 설치한 노치(52a)에 의해 공기 도입공(52)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금형의 결합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핀 등을 구비한 복잡한 구조의 금형을 이용하여 공기 도입공을 구비한 노즐을 형성하지 않고, 간소한 구조의 금형에 의해 형성 가능한 노즐 본체(41)와 노즐 연장체(42)를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서, 공기 도입공(52)이 설치된 분출통(51)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40)의 성형에 필요한 금형으로서 간소한 구조의 것을 이용할 수 있어, 이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1)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분출통(51)에 공기 도입공(52)을 설치한 구성에 의해서, 노즐(40)이 개방 위치의 상태에서 트리거(34)가 조작되면, 노즐(40)의 분출공(44)으로부터 액체가 연무 형상으로 분출되는 동시에, 분출공(44)으로부터 연무 형상으로 분출된 액체에 의해 분출통(51)의 내측이 음압이 되고, 이 음압에 의해 분출통(51)과 록킹 클로(42b) 사이의 틈새 부분으로부터 공기 도입공(52)을 통하여 분출통(51)의 내측으로 공기가 도입된다. 그리고, 공기 도입공(52)으로부터 분출통(51)의 내측으로 도입된 공기가 분출공(44)으로부터 연무 형상으로 분출된 액체에 혼합되고, 해당 액체는 공기가 혼합되어 포말 형상으로 되어 외부로 분출된다. 노즐(40)은 2 분할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노즐 본체(41)에 장착하는 노즐 연장체(42)를 다른 형상의 것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공기 도입공(52)과 분출통(51)의 외주에 공기를 도입하는 경로 등을 다양한 형상으로 하여, 노즐(40)로부터 분출되는 액체의 포말 품질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노즐 본체(41)로부터 노즐 연장체(42)를 제거하는 것에 의해서, 공기 도입공(52)을 구비한 분출통(51)이 설치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 노즐 본체(41)의 분출공(44)으로부터 액체를 연무 형상으로 분출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즉, 노즐 본체(41)를 연무용 노즐로서 단독으로 사용함으로써 노즐(40)로부터 액체를 연무 형상으로 분출시킬 수 있으면서, 동시에 노즐 본체(41)에 포말용 노즐인 노즐 연장체(42)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서 노즐(40)로부터 액체를 포말 형상으로 분출시킬 수 있다.
분출통(51)에 설치된 공기 도입공(52)은 4 개로 한정하지 않고, 임의의 숫자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공기 도입공(52)(노치(52a))의 형상은, 상기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의 것으로도 가능하다.
노즐(40)에는 덮개체로서 노즐 커버(61)가 설치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커버(61)는, 노즐 연장체(42)의 외통 연장체(42a)의 선단 형상에 대응한 대략 정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그 중심에는 포말 생성공(62)이 설치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경우에서는, 포말 생성공(62)은 분출통(51)에 대응하는 형상의 관통공(62a)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향해 돌출하는 5 개의 선단이 둥그스름한 모양을 이루는 주상체(62b)를 외주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히 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분출공(44)으로부터 분출된 액체와 충돌하여 당해 액체를 포말로 형상화시킬 수 있는 장애 부분을 구비한 경우라면, 예를 들어, 메쉬 형상의 구멍 등, 다른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노즐 커버(61)는 금형을 이용한 수지 재료의 사출 성형에 의해, 노즐 연장체(42)의 외통 연장체(42a)의 선단에서의 일변에서 얇은 힌지부(63)를 통하여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힌지부(63)를 통해 노즐 연장체(42)에 일체로 설치된 노즐 커버(61)는, 힌지부(63)를 중심으로 하여, 외통 연장체(42a)의 선단을 폐쇄하는, 즉 노즐(40)의 선단을 덮어 포말 생성공(62)이 분출공(44)에 대향하는 폐쇄 위치와, 노즐(40)의 상면(上面)을 따라서 배치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노즐 커버(61)에는 포말 생성공(62)을 둘러싸는 보스부(64)가 일체로 설치되고, 노즐 커버(61)가 폐쇄된 위치에 있을 때에는 보스부(64)가 분출통(51)의 외측에 결합하여, 분출공(44)으로부터 분출된 액체를 포말 생성공(62)으로 도입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노즐 커버(61)의 힌지부(63)와는 반대측의 일변에는, 이 노즐 커버(61)를 개폐 조작할 때 파지하는 손잡이부(65)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노즐 본체(41)의 외통체(41c) 상면에는, 그 후단측 및 양단에 위치하여 한 쌍의 유지 클로(66)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유지 클로(66)는 노즐 커버(61)의 폭에 대응한 간격을 가지며, 노즐 커버(61)가 개방 위치로 되었을 때 그 측부에 언더컷 결합되어 노즐 커버(61)를 개방 상태로 유지한다. 한편, 노즐 연장체(42)의 외통 연장체(42a)의 개구단 내측면에는, 각각 개방 위치 측의 유지 클로(67)가 설치되고, 노즐 커버(61)가 폐쇄 위치가 되었을 때 이들 유지 클로(67)가 그 측부에 언더컷 결합되어 노즐 커버(61)는 폐쇄 상태로 유지된다.
노즐(40)의 노즐 커버(61)에는 4 개의 원호 형상의 통기공(68)이 보스부(64)의 외주를 따르는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노즐 커버(61)가 폐쇄된 위치로 되어 노즐(40)의 선단이 폐쇄되어도, 격벽(41a) 및 노즐 커버(61) 사이에서의 외통 연장체(42a)의 내측 공간, 즉 분출통(51)이 배치되는 공간은, 이 통기공(68)에 의해 충분한 유통 단면을 가지고 외부로 연통된다. 따라서, 노즐 커버(61)를 폐쇄한 상태에서 분출공(44)으로부터 액체를 분출시켜도, 이들 통기공(68)으로부터 분출통(51)의 주위로 충분한 공기를 공급하여, 공기 도입공(52)을 통하여 액체로 충분한 공기를 혼합시킬 수 있다.
노즐 커버(61)에 설치되는 통기공(68)의 개수와 형상은, 상기에 한정하지 않고, 노즐 커버(61)가 폐쇄되었을 때에 원하는 양의 공기를 분출통(51)의 주위에 도입할 수 있는 것이라면, 임의의 형상, 개수로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인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에 나타낸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의 노즐이 장착되는 부위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도 9의 (a)는 도 8에 나타낸 노즐 본체의 정면도, 도 9의 (b)는 같은 도면 9의 (a)에서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 도 10의 (a)는 도 8에 나타낸 노즐 연장체의 정면도, 도 10의 (b)는 같은 도면 10의 (a)에서의 B-B 선을 따른 단면도, 도 10의 (c)는 같은 도면 10의 (a)에 나타낸 노즐 연장체의 후면도, 도 11은 노즐 커버를 폐쇄하고 노즐로부터 액체를 분출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7 ~ 도 11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인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10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7 ~ 도 11에서는, 전술한 부재에 대응하는 부재에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도 7에 나타낸 제 2 실시 형태인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101)는, 이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101)가 장착된 용기(2)가 정립 자세 및 도립 자세의 어떤 자세가 되어도, 용기(2) 내의 액체를 외부로 분출할 수 있는 정도립 양용 타입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분출기 본체(11)에는, 정도립 양용 기구(10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정도립 양용 기구(102)는, 장착 통부(12)의 내측에 배치된 체크 밸브 유닛(103)과, 이 체크 밸브 유닛(103)의 하방에 배치되는 튜브 부착 부재(104)를 가지고 있다.
체크 밸브 유닛(103)은, 통체(18)의 하단, 즉 흡입 유로(P1)에 접속된 출측 통부(105a), 이 출측 통부(105a)의 외주면에 반경 방향 외방에 연장하여 설치된 천판부(105b) 및 이 천판부(105b)의 외주 둘레부로부터 대략 늘러 뜨려진 둘레 벽부(105c)를 구비한 외측 통체(105)를 가지고 있다. 외측 통체(105)의 내측에는, 출측 통부(105a)의 하단 외측에 압입에 의해 결합 고정된 내측 결합 통부(106a), 외측 통체(105)의 둘레 벽부(105c)의 내주면에 그 전제 둘레에 걸쳐 압입에 의해 결합 고정된 외측 결합 통부(106b) 및 내측 결합 통부(106a)와 외측 결합 통부(106b)를 연결하는 연결 통부(106c)를 갖는 내측 통체(106)가 장착되어 있다. 외측 통체(105)와 내측 통체(106) 사이에는 밸브실(107)이 구획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밸브실(107)의 내부에는 공 형상(구형상체)으로 형성된 밸브체(108)가 수용되어 있다. 밸브실(107)은, 출측 통부(105a)나 내측 결합 통부(106a)의 축심에 대하여 도 7 중 좌측으로 치우치는 동시에 상하로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밸브체(108)는 밸브실(107)의 내부에서, 연결 통부(106c)의 하단 부분에 접촉하는 하단 위치와 천판부(105b)에 접촉하는 상단 위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연결 통부(106c)의 하단 부분에는, 밸브실(107)을 하방으로 향해서 개구시키는 유출공(109)이 설치되고, 이 유출공(109)의 개구 둘레 부분은 밸브 시트로 되어 있다. 이 유출공(109)의 내경은 공 형상의 밸브체(108)의 외경보다도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용기(2)가 정립 자세에 있을 때에는 밸브체(108)가 자중에 의해 밸브 시트에 접촉하여 유출공(109)이 폐쇄되는 한편, 용기(2)가 도립 자세로 되었을 때는 밸브체(108)가 천판부(105b) 측으로 이동하여 유출공(109)이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외측 통체(105)의 둘레 벽부(105c)에는, 이 둘레 벽부(105c)를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유입공(11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유입공(110)은, 일단이 용기(2)의 내부로 개구하는 동시에 타단이 밸브실(107)의 상하 방향 중간 위치로 개구되어 있고, 용기(2)가 도립 자세로 되는 경우, 용기(2) 내에 수용되어 있는 액체를 밸브실(107)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천판부(105b)의 상면에 설치된 통체부(111)가 통체(18)의 하측 부분에 결합하고, 통기공(12b, 12c)은 이 통체부(111)의 내측에 연통하는 동시에, 이 통체부(111)의 상단과 통체(18)의 하측 부분의 간격 및 통체부(111)와 장착 통부(12)의 내주면의 틈새를 통하여 용기(2)의 내부로 연통되어 있다. 또한, 도 7에서는 도시되지 않지만,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통기공(12b, 12c)을 통하여 용기(2)의 내부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흡기공은 실린더 통부(22a)의 측방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튜브 부착 부재(104)는, 튜브(17)가 결합 고정되는 튜브 부착 통체(104a)를 구비하고, 이 튜브 부착 통체(104a)의 외주면에 반경 방향 바깥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덮개체부(104b)가 그 외주연에서 체크 밸브 유닛(103)의 둘레 벽부(105c)의 내주면에 전체 둘레에 걸쳐 언더컷 결합하여 이 체크 밸브 유닛(103)에 고정되어 있다. 튜브 부착 부재(104)의 덮개체부(104b)와 체크 밸브 유닛(103)의 내측 통체(106) 사이에 도립시용 유로(112)가 구획 형성되고, 이 도립시용 유로(112)는, 덮개체부(104b)의 내면에 튜브 부착 통체(104a)와 동축으로 설치된 단면 C 자 형상의 접속 통체부(104c)에 연통되어 있으며, 이 접속 통체부(104c)를 통해 체크 밸브 유닛(103)의 출측 통부(105a), 즉 흡입 유로(P1)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정도립 양용 기구(102)를 구비한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101)에서는, 용기(2)가 정립 자세, 즉 용기(2)의 입구부(2a)가 상방으로 향한 자세로 된 상태에서 트리거(34)가 조작되면, 용기(2)에 수용된 액체가 튜브(17), 접속 통체부(104c) 및 출측 통부(105a)를 통하여 흡입 유로(P1)에 도달하여 펌프(21)로 흡입된다. 이 때, 체크 밸브 유닛(103)의 유출공(109)은 밸브체(108)에 의해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흡입 유로(P1), 도립시용 유로(112), 유출공(109), 밸브실(107) 및 유입공(110)을 통하여 용기(2) 내의 공기가 펌프(21)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튜브(17)를 통과하는 경로에서 액체를 확실히 펌프(21)로 흡입시킬 수 있다.
한편, 용기(2)가 도립 자세, 즉 용기(2)의 입구부(2a)가 하방을 향한 자세로 된 상태에서 트리거(34)가 조작되면, 용기(2)에 수용된 액체는 장착 통부(12)의 내부로 모이고, 체크 밸브 유닛(103)의 유입공(110)으로부터 밸브실(107)로 당해 액체가 유입된다. 이 때, 밸브체(108)가 자중에 의해 천판부(105b)에 접촉하는 상단 위치로 이동하여 유출공(109)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밸브실(107)로 유입된 액체는 유출공(109)으로부터 도립시용 유로(112)로 유출하고, 거기로부터 접속 통체부(104c), 출측 통부(105a) 및 흡입 유로(P1)를 통하여 펌프(21)로 흡입된다.
이와 같이, 정도립 양용 기구(102)가 설치되어 정도립 양용 타입으로 한 제 2 실시 형태의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101)에서는, 이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101)가 장착된 용기(2)가 정립 자세 및 도립 자세의 어떠한 자세로 되어도, 용기(2) 내의 액체를 노즐(40)로부터 외부로 분출시킬 수가 있다.
또한, 제 2 실시 형태의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101)에서는, 펌프(21)는 구획실(22c)로 이어지는 송출공(23)이 흡입공(26)으로서도 기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흡입측 체크 밸브(31)는 볼 밸브 타입으로 되고, 밸브 본체(31a)는 공 형상(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흡입 유로(P1)의 내부에 배치되고, 흡입 유로(P1)에 설치된 밸브 시트에 상방으로부터 접촉하고 있다.
또한, 제 2 실시 형태의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101)에서는, 피스톤(24)의 씰부(24a)는, 이를 구성하는 한 쌍의 테이퍼 통형상 씰 조각이 동일 방향으로 경사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또한, 씰부(24a) 보다도 외측에 실린더 통부(22a)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직사각형 단면의 원통형 가이드 편(24b)이 일체로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실린더 통부(22a)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원통형 가이드 편(24b)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트리거(34)로 외력 등의 가로 방향 힘이 더해져도, 트리거(34)로부터 피스톤(24)에 가해지는 가로 방향 하중을, 원통형 가이드 편(24b)을 통하여 실린더 통부(22a)에 지지시켜, 당해 가로 방향 하중에 의한 씰부(24a)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트리거(34)에 가로 방향 힘이 가해졌을 때, 실린더 부재(22)와 피스톤(24) 사이로부터 액체의 누설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실시 형태의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101)에서는, 분출통(51)은, 노즐 본체(41) 측과 노즐 연장체(42) 측으로 나누어 설치된 제 1 분출 통부(51a) 및 제 2 분출 통부(51b)를 결합한 구성이 아니라, 노즐 연장체(42)에 일체로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본체(41)의 격벽(41a)의 외측(제 2 분출 통부(51b) 측)을 향한 면에는 제 1 분출 통부(51a)는 설치되어 있지 않고, 당해 격벽(41a)의 외측면은 분출공(44) 및 동축의 약간 함몰한 부분을 구비한 거의 평탄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연장체(42)의 외통 연장체(42a)의 내측에는, 외통 연장체(42a)와 일체로 원통형 분출통(51)이 설치되어 있다. 이 분출통(51)은, 제 1 실시 형태에서의 것과 대략 동일의 형상을 갖는 제 2 분출 통부(51b)와, 이 제 2 분출 통부(51b)의 기단면(격벽(41a) 측을 향하는 면)에 동축 및 일체로 설치되는 원통 리브(51c)를 가지고 있다. 또한, 분출통(51)의 격벽(41a) 측을 향한 기단면, 즉 원통 리브(51c)의 격벽(41a) 측을 향한 기단면에는, 노치(52a)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0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 리브(51c)에는 4 개의 노치(52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본체(41)에 노즐 연장체(42)가 조립되면, 분출통(51), 즉 원통 리브(51c)의 기단면이 격벽(41a)의 외측면에 접촉되고, 이에 의하여, 노치(52a)의 개구단이 격벽(41a)의 외측면을 폐쇄하여 분출통(51)에 4 개의 공기 도입공(5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 2 실시 형태로서 나타내는 구성에 의해서도, 금형의 결합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핀 등을 구비한 복잡한 구조의 금형을 이용하여 공기 도입공을 구비한 노즐을 형성하지 않고, 간단한 구조의 금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는 노즐 본체(41)와 노즐 연장체(42)를 결합하는 것에 의해서, 공기 도입공(52)이 설치된 분출통(51)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40)의 성형에 필요한 금형으로서 간소한 구조의 것을 이용할 수 있어, 이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101)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핀 등을 이용하지 않고, 예를 들면, 절단 등의 수법을 이용하여 공기 도입공(52)을 구비한 노즐(40)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 도입공(52)의 위치나 개수, 크기 등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분출통(51)의 적절한 위치에 공기 도입공(52)을 설치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공기와 액체를 균형있게 혼합시킬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핀 등을 구비한 복잡한 구조의 금형을 이용하지 않고 공기 도입공(52)을 구비한 노즐(40)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금형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생산량을 증가시켜, 성형 사이클을 향상시키는 등에 의해서,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101)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 형태로 하여 나타내는 구성에 의해서도, 분출통(51)에 공기 도입공(52)이 형성되기 때문에, 노즐(40)의 분출공(44)으로부터 액체가 연무 형상으로 분출되면, 이 액체에 의해 분출통(51)의 내측이 음압으록 되고, 이 음압에 의해 분출통(51)의 외주측으로부터 공기 도입공(52)을 통하여 분출통(51)의 내측으로 공기가 도입되고, 이 공기가 분출공(44)으로부터 연무 형상으로 분출된 액체에 혼합되어 당해 액체가 포말 형상으로 되어 외부로 분출된다. 이 때, 분출통(51)의 내주면에 맞닿은 연무 형상의 액체가 난류를 일으키고, 당해 난류가 공기를 말려 들도록 하여, 공기 도입공(52)으로부터 분출통(51)의 내측으로 효율적으로 공기를 도입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미세한 포말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커버(61)를 폐쇄한 경우에는, 분출공(44)으로부터 연무 형상으로 분출된 액체가 노즐 커버(61)의 포말 생성공(62)에 설치된 5 개의 주상체(62b)에 맞닿는 것에 의해서 액체가 더욱 강한 난류를 일으키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공기 도입공(52)으로부터 분출통(51)의 내측으로 더욱 효율적으로 공기를 도입할 수 있으며, 공기와 액체를 더욱 효과적으로 혼합시켜, 액체를 더욱 부드러운 포말로 하여 외부로 분출시킬 수 있다.
또한,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노즐 본체(41)의 외통체(41c) 선단부 외주면에는, 노즐 연장체(42)의 외통 연장체(42a)가 끼워지는 단차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노즐 연장체(42)의 록킹 클로(42b)의 다리 부분이 외통체(41c)의 내측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노즐 본체(41)의 외통체(41c)는, 분출통(51)의 외주측 전체를 덮도록 격벽(41a)을 넘어서 선단측으로 크게 돌출하는 길이가 긴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노즐 본체(41)에 노즐 연장체(42)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노즐 본체(41)(노즐(40))를 폐쇄된 위치와 개방된 위치 사이에서 회동시켜 분출공(44)의 개폐를 전환할 때, 노즐 본체(41)를 손으로 파지하기 쉽게 하여, 노즐(40)의 회동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노즐(40)은 장착부(16a)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로 전환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와 같은 전환 기구를 구비하지 않은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펌프(21)는 고리 형상의 구획실(22c)과 원통형 피스톤(24)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트리거(34)의 조작에 의해 작동하여 용기(2) 내의 액체를 송출구(39)로 압송할 수 있는 것이면, 다른 구성의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격벽(41a)과 일체로 설치된 제 1 분출 통부(51a)의 선단에 노치(52a)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지만, 제 2 분출 통부(51b)의 제 1 분출 통부(51a) 측을 향하는 기단에 노치(52a)를 설치하고, 이 노치(52a)의 개구단을 제 1 분출 통부(51a)의 선단면에서 폐쇄하여 공기 도입공(52)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제 1 실시 형태의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1)와, 도 7에 나타낸 제 2 실시 형태의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101)는, 정도립 양용 기구의 유무 등에 있어서 그 구성이 상이하지만, 어떤 실시 형태의 분출기 본체(11)에 대해서도, 제 1 실시 형태의 노즐(40) 및 제 2 실시 형태의 노즐(40)을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또 다른 구성의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에 대해서도 제 1 실시 형태의 노즐(40) 및 제 2 실시 형태의 노즐(40)을 적용할 수 있다.
1 :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
2 : 용기
2a : 입구부[口部]
11 : 분출기 본체
12 : 장착통부
12a : 악부(鍔部)
12b, 12c : 통기공
13 : 장착 캡
13a : 암나사
14 : 씰(seal) 부재
15 : 기립부(起立部)
16 : 연장 돌출부(延出部)
16a : 장착부
17 : 튜브
18 : 통체(筒體)
18a : 격벽(隔壁)
21 : 펌프
22 : 실린더 부재
22a : 실린더 통부
22b : 구획 통부
22c : 구획실
23 : 송출공
24 : 피스톤
24a : 씰(seal)부
24b : 원통형 가이드 편
25 : 흡입 통부
25a : 선단면(밸브 시트)
26 : 흡입공
31 : 흡입측 체크 밸브
31a : 밸브 본체
31b : 탄성부
32 : 송출측 체크 밸브
32a : 밸브 본체
32b : 탄성부
33 : 추축
34 : 트리거
34a : 공부(孔部)
35 : 연결편(連結片)
35a : 오목부
36 : 핀 부재
37 : 판 스프링
38 : 흡기공
39 : 송출구
40 : 노즐
41 : 노즐 본체(연무용 노즐)
41a : 격벽
41b : 외주벽(外周壁)
41c : 외통체(外筒體)
41d : 폐쇄 통부
41e : 교체 통부
41f : 접속 유로
42 : 노즐 연장체(포말용 노즐)
42a : 외통 연장체
42b : 록킹 클로(locking claw)
43 : 교체 축부
43a : 오목부
43b : 접속 유로
44 : 분출공(噴出孔)
45 : 관통공(貫通孔)
46 : 록킹 돌기
47 : 돌기부(突起部)
48 : 돌기
49 : 돌기
51 : 분출통(噴出筒)
51a : 제 1 분출 통부
51b : 제 2 분출 통부
51c : 원통 리브
52 : 공기 도입공(空氣導入孔)
52a : 노치
61 : 노즐 커버(덮개체)
62 : 포말 생성공
62a : 관통공
62b : 주상체(柱狀體)
63 : 힌지부
64 : 보스부
65 : 손잡이부
66 : 유지 클로
67 : 유지 클로
68 : 통기공(通氣孔)
101 :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
102 : 정도립 양용 기구
103 : 체크 밸브 유닛
104 : 튜브 부착 부재
104a : 튜브 부착 통체
104b : 덮개체부[蓋體部]
104c : 접속 통체부
105 : 외측 통체
105a : 출측 통부
105b : 천판부(天板部)
105c : 둘레 벽부[周壁部]
106 : 내측 통체
106a : 내측 결합 통부
106b : 외측 결합 통부
106c : 연결 통부
107 : 밸브실[弁室]
108 : 밸브체
109 : 유출공
110 : 유입공(流入孔)
111 : 통체부(筒體部)
112 : 도립시용 유로
P1 : 흡입 유로
P2 : 송출 유로
R1 : 체크 밸브실
S : 스토퍼
C : 커버

Claims (3)

  1.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의 입구부에 장착되는 분출기 본체와, 트리거의 조작에 의해 작동하여 상기 용기 내의 액체를 상기 분출기 본체에 설치된 송출 유로를 통하여 송출구로 압송하는 펌프와, 상기 분출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송출구로 압송된 액체를 외부로 분출하는 노즐을 구비한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로서,
    상기 분출기 본체는, 상기 송출구로 이어지는 원통형 장착부를 가지며,
    상기 노즐은, 상기 장착부의 외주를 덮는 통형상 외통체 및 상기 외통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장착부의 개구단을 덮는 동시에 분출공이 설치된 격벽이 일체로 형성된 노즐 본체와, 상기 외통체의 선단으로 이어지는 통형상 외통 연장체를 구비하고 상기 노즐 본체에 그 중심축을 따르는 방향으로부터 장착되는 노즐 연장체를 가지며,
    상기 분출공과 중심축을 일치시킨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격벽의 외측을 향하는 면에 일체로 설치되는 제 1 분출 통부와, 상기 외통 연장체의 내측에 상기 외통 연장체와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제 1 분출 통부의 선단에 겹쳐서 배치되는 원통형 제 2 분출 통부에 의해 분출통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분출 통부의 선단 또는 상기 제 2 분출 통부의 기단(基端)에 노치가 설치되고, 상기 노치의 개구단이 상기 제 2 분출 통부 또는 상기 제 1 분출 통부에 의해 폐쇄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분출통에 공기 도입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
  2.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의 입구부에 장착되는 분출기 본체와, 트리거의 조작에 의해 작동하여 상기 용기 내의 액체를 상기 분출기 본체에 설치된 송출 유로를 통하여 송출구로 압송하는 펌프와, 상기 분출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송출구로 압송된 액체를 외부로 분출하는 노즐을 구비한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로서,
    상기 분출기 본체는, 상기 송출구로 이어지는 원통형 장착부를 가지며,
    상기 노즐은, 상기 장착부의 외주를 덮는 통형상 외통체 및 상기 외통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장착부의 개구단을 덮는 동시에 분출공이 설치된 격벽이 일체로 형성된 노즐 본체와, 상기 외통체의 선단으로 이어지는 통형상 외통 연장체를 구비하고 상기 노즐 본체에 그 중심축을 따르는 방향으로부터 장착되는 노즐 연장체를 가지며,
    상기 분출공과 중심축을 일치시킨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통 연장체의 내측으로 상기 외통 연장체와 일체로 설치되고, 기단이 상기 격벽의 외측을 향하는 면에 접촉하는 분출통을 가지며,
    상기 분출통의 기단에 노치가 설치되고, 상기 노치의 개구단이 상기 격벽에 의해 폐쇄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분출통에 공기 도입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분출통에 대향하는 포말 생성공이 구비된 덮개체가 상기 외통 연장체의 선단에 힌지부를 통하여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덮개체에 의해 상기 외통 연장체의 선단이 폐쇄되었을 때, 상기 격벽과 상기 덮개체 사이에서 상기 외통 연장체의 내측 공간으로 공기를 도입하는 통기공이 상기 덮개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
KR1020167023795A 2014-02-28 2015-02-25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 KR1018624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39964 2014-02-28
JP2014039964A JP6308809B2 (ja) 2013-08-30 2014-02-28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PCT/JP2015/000959 WO2015129268A1 (ja) 2014-02-28 2015-02-25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169A true KR20160114169A (ko) 2016-10-04
KR101862497B1 KR101862497B1 (ko) 2018-05-29

Family

ID=54010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3795A KR101862497B1 (ko) 2014-02-28 2015-02-25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962724B2 (ko)
EP (1) EP3112286B1 (ko)
JP (1) JP6308809B2 (ko)
KR (1) KR101862497B1 (ko)
CN (1) CN106029514B (ko)
CA (1) CA2941007C (ko)
WO (1) WO20151292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04115B2 (ja) * 2014-12-26 2018-10-1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JP6634243B2 (ja) * 2015-08-31 2020-01-2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JP6741571B2 (ja) * 2016-12-28 2020-08-1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JP6910272B2 (ja) 2017-10-31 2021-07-2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JP6929246B2 (ja) * 2018-05-31 2021-09-0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CN112004755B (zh) * 2018-05-31 2022-03-11 株式会社吉野工业所 扳机式液体喷出器
JP6878353B2 (ja) * 2018-05-31 2021-05-2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JP2020049475A (ja) * 2018-09-28 2020-04-0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CN111924318A (zh) * 2020-09-08 2020-11-13 中山市美捷时包装制品有限公司 一种全塑型手枪喷雾泵
IT202100029828A1 (it) * 2021-11-25 2023-05-25 Diva Brands & Patents S R L Flaco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0731A (ja) 1998-04-10 1999-10-26 Kao Corp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8957B2 (ja) * 1990-10-12 1995-05-0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噴霧器装着用発泡ノズル
US5373991A (en) * 1993-04-09 1994-12-20 Contico International, Inc. Foamer trigger dispenser with sealing device
US5702058A (en) * 1994-12-01 1997-12-30 Calmar Inc. Dual foamer nozzle assembly for trigger sprayer
US6869027B2 (en) * 1994-12-05 2005-03-22 Continental Afa Dispensing Company Dual component and dual valve trigger sprayer which mixes components in discharge passage
JP3566368B2 (ja) * 1994-12-09 2004-09-1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トリガ式噴霧器のバネ部材
US5755384A (en) * 1995-08-01 1998-05-26 Contico International, Inc. Dispenser with selectable discharge nozzle
JP3976476B2 (ja) * 2000-05-29 2007-09-19 ライオン株式会社 泡吐出容器
JP4540822B2 (ja) * 2000-09-20 2010-09-08 ライオン株式会社 液体噴射容器用ノズル
JP4141774B2 (ja) * 2002-09-20 2008-08-2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フォーマーディスペンサー用噴射ノズル
US6997397B1 (en) * 2003-04-08 2006-02-14 Continental Afa Dispensing Company Trigger sprayer nozzle
JP5611673B2 (ja) * 2010-05-31 2014-10-2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泡噴出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0731A (ja) 1998-04-10 1999-10-26 Kao Corp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12286B1 (en) 2019-04-24
US20170014844A1 (en) 2017-01-19
CA2941007C (en) 2018-04-03
CA2941007A1 (en) 2015-09-03
US9962724B2 (en) 2018-05-08
WO2015129268A1 (ja) 2015-09-03
EP3112286A4 (en) 2017-10-18
JP6308809B2 (ja) 2018-04-11
CN106029514B (zh) 2018-05-04
EP3112286A1 (en) 2017-01-04
CN106029514A (zh) 2016-10-12
KR101862497B1 (ko) 2018-05-29
JP2015063345A (ja) 2015-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2497B1 (ko)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
US8091739B2 (en) Engagement flange for fluid dispenser pump piston
US6715698B2 (en) Manually operable trigger sprayer with rearwardly located sprayer valve
US7891583B2 (en) Dome pump spray assembly
JP6258128B2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KR101525198B1 (ko) 벤츄리 효과 스프레이 장치, 및 미용 및 향료에서의 용도
WO2016103569A1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CN109153029B (zh) 扳机式喷射器
JP2015085289A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US7677416B2 (en) In-line manually operated liquid dispenser with simplified construction
JP2017213523A (ja) トリガー式噴出器
US10994295B2 (en) Spray device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JP6153822B2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JP7114178B2 (ja) フォーマーディスペンサー及びフォーマーディスペンサー付き容器
US20190366367A1 (en) Atomizer devices, bottl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JP2019104508A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