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2811A - 식품 저장용기 - Google Patents
식품 저장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12811A KR20160112811A KR1020150039140A KR20150039140A KR20160112811A KR 20160112811 A KR20160112811 A KR 20160112811A KR 1020150039140 A KR1020150039140 A KR 1020150039140A KR 20150039140 A KR20150039140 A KR 20150039140A KR 20160112811 A KR20160112811 A KR 2016011281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ight
- handle
- cover
- housing
- contain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7—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 B65D21/0219—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the closure presenting projecting peripheral elements receiving or surrounding the bottom or peripheral elements projecting from the bottom of a superimposed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1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means for facilitating lifting or suspending of the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20—Sealing means
- B65D2251/205—Inser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953—Sealing means
- B65D2543/00962—Sealing means inserted
- B65D2543/0097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담겨지는 식품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용기의 식품 저장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용기몸체의 상부에 내주면을 따라 걸림턱이 전체적으로 형성되고 용기몸체의 외측 하단부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밴드부재가 조립되어 형성되는 함체, 및 함체의 내부로 수용되어 면접촉되면서 함체의 내부공간을 개폐하며 내측커버부재와 외측커버부재가 이중조립되고 함체와의 면접촉시 긴밀한 밀착을 위한 밀폐부재가 테두리에 전체적으로 조립되며 함체 내부로 유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부와 통기부 개폐 및 파지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이식 손잡이가 설치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식품 저장용기를 제공하여, 저장성능을 높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다단 적층보관이 용이하게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용기몸체의 상부에 내주면을 따라 걸림턱이 전체적으로 형성되고 용기몸체의 외측 하단부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밴드부재가 조립되어 형성되는 함체, 및 함체의 내부로 수용되어 면접촉되면서 함체의 내부공간을 개폐하며 내측커버부재와 외측커버부재가 이중조립되고 함체와의 면접촉시 긴밀한 밀착을 위한 밀폐부재가 테두리에 전체적으로 조립되며 함체 내부로 유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부와 통기부 개폐 및 파지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이식 손잡이가 설치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식품 저장용기를 제공하여, 저장성능을 높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다단 적층보관이 용이하게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각종 식품을 밀폐시켜 저장하고 적층 보관할 수 있는 식품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담겨지는 식품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밀폐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하여 용기의 식품 저장성능을 향상시키고 필요시 커버의 개방이 용이하게 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울러 다단 적층보관이 용이하도록 하여 냉장고 또는 수납장의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식품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 저장용기는 음식물을 담아 냉장고 또는 수납장에 보관하기 위하여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함체와 뚜껑으로 이루어지며 함체에 음식물을 담고 뚜껑을 닫아 밀폐시킴으로써, 공기 또는 이물질의 유입 및 음식물 또는 냄새 유출을 방지하여 음식물의 변질을 최소화하고 음식물을 깔끔하면서도 장시간 보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식품 저장용기는 대부분의 경우 밀폐를 위해 뚜껑 또는 함체에 패킹부재와 잠금부재를 구비하여, 잠금부재에 의해 뚜껑을 함체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패킹부재가 함체에 밀착되면서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잠금부재가 없는 대신에 2개의 뚜껑이 마련되어 1차 뚜껑이 함체 내부로 이동하여 1차 밀폐를 하고, 최종적으로 함체의 입구에 2차 뚜껑이 설치되어 2차적으로 밀폐를 실시하여, 냉장고 또는 수납장 등에 넣어 적층식으로 쌓아 보관함으로써 냉장고 또는 수납장을 공간의 낭비없이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종래의 일부 식품 저장용기는 뚜껑의 상면이 함체의 바닥면과 대응되게 형성하여 적층 보관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냉장고 또는 수납장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기도 하였으나, 이 경우 적층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뚜껑의 구조 간소화가 필연적으로 수반될 수 밖에 없으며, 따라서 뚜껑에 구비되어야 할 밀폐구조의 대체 또는 간소화로 인해 함체와 뚜껑 간의 밀폐성능이 저하되는 등의 단점이 초래되며, 이러한 점을 방지하기 위해 2개의 뚜껑을 이용하여 2차례의 밀폐구조를 가지는 경우에는 적층시의 함체 높이를 줄일 수가 없어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내부에 담겨지는 식품이 공기와 접촉하는 공간을 최소화하고 또한 밀폐공기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밀폐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하여, 용기의 식품 저장성능을 향상시키고 필요시 커버의 개방이 용이하게 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울러 다단 적층보관이 용이하면서 냉장고 또는 수납장의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식품 저장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용기몸체의 상부에 내주면을 따라 상층에 적층될 또 다른 용기몸체의 하부를 안착시켜 지지하기 위한 걸림턱이 전체적으로 형성되고 용기몸체의 외측 하단부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밴드부재가 조립되는 함체 및 함체 내주면과 탄력적으로 면접촉되면서 걸림턱하부의 함체 내부에서 이동가능한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저장용기이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식품 저장용기는, 함체 내부에 수용되어 함체에 저장된 식품이 저장액에 잠길 수 있도록 커버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일정 깊이 이격된 하부로 균일하게 전달하면서 함체에 담긴 저장액이 넘칠 수 있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부에 이격공간을 유지할 수 있는 이격수단이 구비되는 누름부재를 더 포함하여 다른 실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따른 식품 저장용기는, 상부가 하부보다 그 폭이 더 큰 형태의 몸체로서, 상단부의 개구부는 넓고 걸림턱(111)을 기준으로 그 하부의 몸체는 상기 개구부의 내측으로 수용 가능한 크기의 몸체로 형성되는 용기 몸체로 구성되며, 직경과 높이가 같거나 다른 원통 형상, 가로와 세로와 높이가 같거나 가로와 세로는 같고 높이가 다른 육면체, 가로와 세로가 다르고 높이가 가로 또는 세로와 같거나 다른 직육면체 중의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담겨지는 식품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밀폐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하여 용기의 식품 저장성능을 향상시키고 필요시 뚜껑의 밀폐성을 유지하면서 뚜껑의 개방 및 폐쇄를 용이하게 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울러 다단 적층보관이 용이하도록 하여 냉장고 또는 수납장의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식품 저장용기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의 (a) 내지 (c)는 도 2의 커버의 일 실시 예를 발췌하여 상세하게 예시한 분해사시도와 조립사시도이다.
도 4의 (a) 내지 (c)는 도 2의 커버의 다른 실시 예를 발췌하여 상세하게 예시한 분해사시도와 조립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식품 저장용기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의 (a) 내지 (c)는 도 5의 커버의 일 실시 예를 발췌하여 상세하게 예시한 분해사시도와 조립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내측커버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의 (a) 내지 (c)는 도 2의 커버의 일 실시 예를 발췌하여 상세하게 예시한 분해사시도와 조립사시도이다.
도 4의 (a) 내지 (c)는 도 2의 커버의 다른 실시 예를 발췌하여 상세하게 예시한 분해사시도와 조립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식품 저장용기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의 (a) 내지 (c)는 도 5의 커버의 일 실시 예를 발췌하여 상세하게 예시한 분해사시도와 조립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내측커버부재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식품 저장용기의 전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과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식품 저장용기를 예시한 사시도와 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의 (a) 내지 (c)는 도 2의 커버의 일 실시 예를 발췌하여 상세하게 예시한 분해사시도와 조립사시도이며, 도 4의 (a) 내지 (c)는 도 2의 커버의 다른 실시 예를 발췌하여 상세하게 예시한 분해사시도와 조립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식품 저장용기를 예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의 (a) 내지 (c)는 도 5의 커버의 일 실시 예를 발췌하여 상세하게 예시한 분해사시도와 조립사시도로서,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함체(100)와, 커버(200)로 일 실시 형태가 구현될 수 있으며, 누름부재(300)를 더 포함하여 다른 실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함체(100)는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용기몸체(110)로 이루어지며, 용기몸체(110)의 상단부에서 하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는 높이의 내주면을 따라 상층(예를 들면 용기를 2단 이상 상하로 적층시)에 적층될 또 다른 용기몸체의 하부를 안착시켜 지지하기 위한 걸림턱(111)이 전체적으로 형성되고, 용기몸체(110)의 외측 하단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밴드부재(120)가 안착될 수 있는 밴드 조립부(112)가 형성되어, 미끄럼 방지를 위한 밴드부재(120)가 밴드 조립부(112)에 조립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함체(100)는 상단부의 개구부가 넓고 걸림턱(111)을 기준으로 그 하부의 몸체는 상기 개구부의 내측으로 수용 가능한 크기의 몸체로 형성되어, 다수 개의 동일한 형태의 함체를 커버를 제거한 상태에서 상하로 포개서 보관하거나 커버를 덮은 상태에서 상하로 적층하여 저장 및 보관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함체(100)는 직경과 높이가 같거나 다른 원통체, 가로와 세로와 높이가 같거나 가로와 세로는 같고 높이가 다른 육면체, 가로와 세로가 다르고 높이가 가로 또는 세로와 같거나 다른 육면체 중의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에 위치하는 함체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함체의 크기가 1/2배 또는 1/4배의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부에 위치하는 함체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함체의 폭이 작은 경우에는, 하부에 위치하는 함체 내로 이동된 커버의 위에 상부에 위치하는 함체를 적층시켜 냉장고 또는 수납장의 저장공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직경과 높이가 같거나 다른 원통체로는, 직경과 높이가 같은 원통체, 직경보다 높이가 긴 상하로 길쭉한 형태의 원통체, 직경보다 높이가 짧은 좌우로 납작한 형태의 원통체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가로와 세로와 높이가 같거나 가로와 세로는 같고 높이가 다른 육면체로는, 가로와 세로와 높이가 같은 정육면체, 가로와 세로는 같고 높이가 가로와 세로보다 긴 상하로 길쭉한 형태의 육면체, 가로와 세로는 같고 높이가 가로와 세로보다 짧은 좌우로 납작한 형태의 육면체 중의 어느 하나일 있다.
또한 가로와 세로가 다르고 높이가 가로 또는 세로와 같거나 다른 육면체로는, 가로와 세로와 높이가 모두 다른 직육면체, 가로와 세로가 다르고 높이가 가로 또는 세로와 같은 직육면체, 가로와 세로가 다르고 높이가 가로 또는 세로와 다른 직육면체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밴드부재(120)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함체(100)를 구성하는 용기 몸체(110)의 하부 수평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과 내경을 갖고 탄성을 지닌 폐쇄형 밴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폐쇄형 밴드는 그 몸체가 함체(100)의 측면 하단부의 형상에 따라 적어도 1회 이상 상부 또는 하부로 만곡되어 형성되는 만곡부(120a)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버(200)는 도 2와 도 3의 (a) 내지 (c)에 예시된 바와 같이 내측커버부재(210)와 외측커버부재(220)가 상하로 이중 조립되어 이루어지며, 함체(100)와 커버 테두리와의 면접촉시 긴밀한 밀착을 위해 내측커버부재(210)의 테두리에 밀폐부재(230)가 전체적으로 조립되고, 함체(100)의 내부로 유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부(213)가 형성되며 통기부(213)의 개폐 및 파지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이식 손잡이(221)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한편, 커버(200)는 도 5 및 도 6의 (a) 내지 (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몸체(110)의 내주면에 의해 수평하게 지지되면서 상하로 가이드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높이가 보강된 테두리를 각각 구비하는 내측커버부재(210)와 외측커버부재(220)가 이중으로 조립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내측커버부재(210)는 도 3의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몸체(110)의 내주면에 면접촉되면서 함체(100)의 내부로 음식물이 닿는 위치까지 수평하게 수용되어 함체의 내부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함체 내부의 수평면에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의 몸체로 이루어지며, 추후 외측커버부재와의 조립시 접이식 손잡이가 위치될 곳의 하부에 몸체의 상하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부(213)가 형성되어 함체(10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 또는 유출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내부커버부재(210)는 도 3의 (a)의 상세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그 몸체의 테두리에 밀폐부재 조립홈(211)이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밀폐부재(230)가 탄력적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밀폐부재 조립홈(211)의 상부에는 측면으로 수평하게 외측커버 조립부(212)가 연설되어 도 3의 (c)의 상세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외측커버부재(220)의 걸림부(220a)가 걸리면서 내부커버부재(210)의 상부에 조립 가능하게 구성된다.
외측커버부재(220)는 도 3의 (b) 및 (c)에 예시된 바와 같이 내측커버부재(210)의 상면 전체를 커버링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지며, 몸체의 상부에는 필요에 따라 접거나 펼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접이식 손잡이(221)가 설치되고, 몸체의 테두리에는 도 3의 (b)의 상세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부로 절곡된 걸림부(220a)가 연설되어 내측커버부재(210)의 외측커버 조립부(212)에 걸리면서 내측커버부재(210)의 상부에 긴밀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내측커버부재(210)와 외측커버부재(220)의 조립은 외측커버부재(220)에 설치되는 접이식 손잡이(221)의 하부에 내측커버부재(210)의 통기부(213)가 위치될 수 있도록 대응시켜 조립함으로써, 접이식 손잡이(221)를 접어 눕히거나 세워 펼치는 동작에 의해 통기부(213)를 폐쇄 또는 개방하여 함체(100) 내부공간의 밀폐를 유지 또는 해제 가능하게 조립한다.
이러한 외측커버부재(220)는 도 2와 도 3의 (b) 및 (c)에 예시된 바와 같이 몸체의 상부에 한 쌍의 접이식 손잡이(221)의 지지와 거치 및 높이 보강을 위한 높이 보강체(225)가 일체로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높이 보강체(225)에는 한 쌍의 접이식 손잡이(221)가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되, 각각의 접이식 손잡이(221)는 일측의 힌지부가 높이 보강체(225)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며, 세워 펼칠 경우 한쌍의 접이식 손잡이(221)를 한손으로 파지 가능하도록 근접하게 위치시켜 설치된다. 이러한 높이 보강체(225)와 한 쌍의 접이식 손잡이(221)는 예를 들면 함체(100)가 대량의 김치 등을 담아 저장 및 보관할 수 있는 용량이 큰 용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원통체, 정육면체, 및 직육면체의 경우에도 모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외측커버부재(220)는 도 4의 (a) 내지 (c)에 예시된 바와 같이 내측커버부재(210)의 통기부(213)에 대응하는 위치의 몸체에 접이식 손잡이(221)를 접어 넣거나 펼칠 수 있는 손잡이 수납부(222)를 형성하되, 손잡이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몸체의 일측 가장자리를 일부 함몰 또는 제거(도면에서는 일부 함몰시킨 경우를 예시하고 있음)하여 손잡이 수납부(222)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 수납부(222)의 함몰 또는 제거된 몸체의 측벽 단부에는 접이식 손잡이(221)의 양단부를 양측면에서 서로 마주 보도록 끼워넣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 및 조립할 수 있는 손잡이 조립홈(223)을 형성하여 접이식 손잡이(221)의 힌지부를 끼움 조립하여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고, 손잡이 수납부(222) 상에는 내측커버부재(210)의 통기부(213)를 상부로 노출시키는 통기부 노출공(224)이 형성되어 내측커버부재(210)의 통기부(213)가 대응 조립되게 함으로써, 추후에 접이식 손잡이(221)를 접어 눕히거나 세워 펼치는 동작에 의해 통기부(213)를 폐쇄 또는 개방하여 함체(100) 내부공간의 밀폐를 유지 또는 해제 가능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외측커버부재(220)는 예를 들면 함체(100)가 소량의 반찬 등을 담아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이 작은 용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원통체, 정육면체, 및 직육면체의 경우에도 모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외측커버부재(220)는 도 5 및 도 6의 (a) 내지 (c)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그 상부에 손잡이 거치와 수납 및 커버의 높이 보강을 높이보강체(225)가 일체로 구비되고, 높이 보강체(225)의 일부를 함몰시켜 접이식 손잡이(221)를 접어 넣을 수 있는 손잡이 수납부(222)가 형성되며, 손잡이 수납부(222)의 일측에 접이식 손잡이(221)를 힌지부를 끼워 회전 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는 손잡이 조립홈(223)을 형성하고 손잡이 조립홈(223)에 의해 힌지부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조립되는 접이식 손잡이(221)가 구비되며, 접이식 손잡이(221)의 힌지부가 조립되는 위치의 하부에 통기부(213)를 상부로 노출될 수 있는 통기부 노출공(224)이 형성되어, 접이식 손잡이(221)를 접어 눕히거나 세워 펼치는 동작에 의해 통기부 노출공(224)을 통해 통기부(213)를 폐쇄 또는 개방하여 함체(100) 내부공간의 밀폐를 유지 또는 해제 가능하게 형성한다. 이때 이러한 외측커버부재(220)에는 커버의 전체적인 높이를 보강하기 위해 손잡이 수납부(222)의 내, 외측에 각각 덧살부(225a)와 측면높이 보강부(222b)를 각각 일체로 연설하되, 측면높이 보강부(222b)는 손잡이 수납부(222)의 외측 테두리에서 전체적으로 그 상부로 몸체가 연설되어 일체로 형성하고, 덧살부(225a)는 손잡이 수납부(222)의 내측 중앙부에서 그 상부로 덧살이 돌출되도록 몸체가 연설되어 일체로 형성한다.
한편, 접이식 손잡이(221)는 손잡이 조립홈(223)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조립되는 힌지부의 하부에 접이식 손잡이(221)를 접어 눕히거나 세워 펼치는 동작에 의해 통기부 노출공(224)을 조기에 개방하거나 폐쇄하기 위한 타원형 돌출부(221b)를 일체로 형성한다.
여기서 도 4에서는 외측커버부재(220)에 몸체의 일측 가장자리를 일부 함몰 또는 제거시켜 하나의 손잡이 수납부(222)가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접이식 손잡이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몸체의 양측 가장자리 모두를 일부 함몰 또는 제거하여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손잡이 수납부가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며, 이러한 한 쌍의 손잡이 수납부와 그에 대응하는 한 쌍의 접이식 손잡이(221)는 예를 들면 함체(100)가 대량의 김치 등을 담아 저장 및 보관할 수 있는 용량이 큰 용기에 적용될 수 있고, 원통체, 정육면체, 및 직육면체의 경우에도 모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접이식 손잡이(221)의 일측에는 손잡이 걸림돌기(221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손잡이 걸림돌기(221a)에 대응하는 손잡이 파지홈(222a)이 손잡이 수납부(222)에 더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추후 접이식 손잡이(221)를 필요에 따라 접어 세우거나 펼쳐 눕히게 될때 손잡이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7은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내측커버부재의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0)의 내측커버부재(210)는 저장식품이 직접 맞닿는 접촉면이 구비되는데, 상기 접촉면이 상부방향으로 이동되어 저장 공간을 형성하여, 결과적으로 저장식품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용량을 높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밀폐부재(230)는 도 3의 (a)의 상세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내측커버부재(210)의 테두리에 형성된 밀폐부재 조립홈(211)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과 내경을 갖는 폐쇄형 패드로 이루어지며, 폐쇄형 패드의 외부 측면에서 그 수평방향으로 몸체가 연설되어 플랜지부(231)가 형성되며, 이러한 플랜지부(231)는 함체(100)와의 면접촉시 그 긴밀성을 높일 수 있게 한다.
누름부재(300)는 함체(100) 내부에 수용되는 크기의 몸체로 이루어지며, 함체에 저장된 식품이 저장액에 잠길 수 있도록 저장액이 넘칠 수 있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부에 이격공간을 유지할 수 있는 이격수단이 구비되어, 커버(200)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일정 깊이 이격된 하부로 균일하게 전달한다.
이러한 누름부재(300)는 다공판(310), 다수 개의 이격부재(321-3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공판(310)은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함체 내부의 수평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함체(10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지며 다수 개의 구멍(310a)이 형성된다.
다수 개의 이격부재(321-324)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다공판(310) 상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일측 단부가 고정되되, 각각 유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고정되고 다른측 단부는 다공판(310)의 상면에서 일정 높이 상부로 이격되면서 하나의 중심점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탄력적으로 높이 조절 가능한 집중 가압부(325)를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누름부재(300)는 집중 가압부(325)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각 이격부재(321-324)의 형상이 변형되면서 다공판(310)과 집중 가압부(325)를 수직방향으로 접근 또는 이격시켜, 커버에서 가해지는 외부 압력을 다공판(310)에 균등하게 전달하거나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식품 저장용기의 상세 동작 및 그에 의한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몸체(110)는 상부가 개구되고, 그 내부에 저장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직경과 높이가 같거나 다른 원통체, 가로와 세로와 높이가 같거나 가로와 세로는 같고 높이가 다른 육면체, 가로와 세로가 다르고 높이가 가로 또는 세로와 같거나 다른 직육면체 중의 어느 하나로 함체(100)를 구비한다. 이러한 함체(100)는 상단부의 개구부가 넓고 걸림턱(111)을 기준으로 그 하부의 몸체는 상기 개구부의 내측으로 수용 가능한 크기로 하여, 다수 개의 동일한 형태의 용기몸체를 상하로 포개거나 적층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함체(100)를 이루는 용기몸체(110)에는 그 상단부에서 하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는 높이에 그 몸체의 내주면을 따라 걸림턱(111)이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게 되므로, 추후 상층(예를 들면 용기를 2단 이상 상하로 적층시)에 적층될 또 다른 용기몸체의 하부를 안착시켜 지지할 수 있게 되며, 용기몸체(110)의 외측 하단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밴드 조립부(112)가 형성되어 밴드부재(120)가 조립되어 있으므로, 다수 개의 동일한 형태의 용기몸체를 상하로 포개거나 적층시 상하층에 이웃 적층되는 함체끼리 서로 강하게 압입거나 및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3의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함체 내부의 수평면에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로 이루어지는 내측커버부재(210)의 몸체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부(21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함체(10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 또는 유출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저장 음식의 발효 등에 의해 용기 내부의 공기가 압축 또는 팽창되는 경우에도 함체 내부의 공기 압력 조절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내측커버부재(210)의 테두리에는 전체적으로 밀폐부재 조립홈(211)이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 밀폐부재(230)가 조립되어 있으므로, 추후 함체(100)의 내부로 내측커버부재(210)가 수평하게 수용될 때, 밀폐부재(230)가 용기몸체(110)의 내주면에 탄력적으로 면접촉되면서 함체(100)의 내부로 음식물이 닿는 위치까지 수평하게 수용될 수 있으면서도 함체의 내부공간을 긴밀하게 폐쇄 또는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함체 내부의 음식물과 커버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공기 잔존 공간을 최대한으로 줄일 수 있게 되므로, 공기에 의한 음식물의 산화를 방지하여 음식물 저장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밀폐부재(230)는 그 플랜지부(231)가 외측으로 수평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플랜지부(231)에 의해 용기몸체(110)의 내주면에 탄력적으로 면접촉되면서 함체의 내부공간을 더욱 긴밀하게 폐쇄하거나 개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3의 (b) 및 (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외측커버부재(220)는 내측커버부재(210)의 상면 전체를 커버링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가장자리를 따라 걸림부(220a)가 형성되어 그 걸림부(220a)를 통해 도 3의 (c)에 예시된 바와 같이 내측커버부재(210)의 외측커버 조립부(212)에 걸리면서 내측커버부재(210)의 상부에 이중으로 긴밀하게 조립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외측커버부재(220)의 상부에는 손잡이 수납부(222)와 손잡이 조립홈(223) 및 통기부 노출공(224)이 형성된 높이 보강체(225)가 일체로 구비되어, 이들 손잡이 수납부(222)와 손잡이 조립홈(223) 및 높이 보강체(225)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접이식 손잡이(221)를 그 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조립 및 고정함으로써, 본 발명은 함체의 커버 개폐시 필요에 따라 외측커버부재(220)의 상부에서 접이식 손잡이(221)를 이용하여 간단하고 편리하게 함체를 개폐할 수 있게 한다.
이때 내측커버부재(210)와 외측커버부재(220)의 조립 동작은 외측커버부재(220)에 조립될 접이식 손잡이(221)의 하부에 내측커버부재(210)의 통기부(213)가 위치될 수 있도록 하고 통기부 노출공(224)을 통해 내측커버부재(210)의 통기부(213)가 외측커버부재(220)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대응시켜 조립한다. 이로써, 추후 접이식 손잡이(221)가 조립된 상태에서 그 손잡이를 접어 눕히거나 세워 펼치는 동작에 의해 내측커버부재(210)의 통기부(213)가 폐쇄 또는 개방되며, 따라서 함체(100) 내부공간의 밀폐가 유지 또는 해제될 수 있게 된다. 즉, 접이식 손잡이(221)를 접어 눕히는 경우에는 접이식 손잡이(221)가 내측커버부재(210)의 통기부(213)를 폐쇄하면서 함체(100) 내부공간의 밀폐가 유지될 수 있게 되고, 반대로 접이식 손잡이(221)를 세워 펼치게 되는 경우에는 접이식 손잡이(221)에 의해 눌려있던 내측커버부재(210)의 통기부(213)가 개방되면서 함체(100) 내부공간의 밀폐가 해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외측커버부재(220)는 도 5 및 도 6의 (a) 내지 (c)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그 상부에 손잡이 거치와 수납 및 커버의 높이 보강을 높이보강체(225)가 일체로 구비되고, 높이 보강체(225)의 일부를 함몰시켜 접이식 손잡이(221)를 접어 넣을 수 있는 손잡이 수납부(222)가 형성되되, 이때 이러한 외측커버부재(220)에는 커버의 전체적인 높이를 보강하기 위해 손잡이 수납부(222)의 내, 외측에 각각 덧살부(225a)와 측면높이 보강부(222b)가 각각 일체로 연설되어 있으므로, 함체의 내주면에 의한 커버 측면의 지지 및 가이드 능력이 향상되어, 커버 개폐시 약간의 기울어짐에 의해 자칫하여 상하가 뒤집힐 수 있는 우려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접이식 손잡이(221)는 손잡이 조립홈(223)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조립되는 힌지부의 하부에 접이식 손잡이(221)를 접어 눕히거나 세워 펼치는 동작에 의해 통기부 노출공(224)을 조기에 개방하거나 폐쇄하기 위한 타원형 돌출부(221b)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접이식 손잡이(221)를 일부만 회전시키더라도 타원형 돌출부(221b)가 조기에 통기부 노출공(224)을 폐쇄하기 시작하면서 함체의 조기밀폐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누름부재(300)는 함체에 저장된 식품이 저장액에 잠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누름부재(300)는 저장액이 넘칠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310a)이 형성된 다공판(310)과, 이 다공판(310)의 상부에 일정 높이의 이격공간을 유지하는 다수 개의 이격부재(321-324)로 구성되고, 다수 개의 이격부재(321-324)에 의한 집중 가압부(325)를 다공판(310)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된 상부에 형성할 수 있게 되므로, 커버(200)로부터 집중 가압부(325)를 통해 함체(100)의 상부에서 하부로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해당 압력을 다수의 이격부재(321-324)를 통해 일정 깊이 이격된 내부 공간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하부로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되어, 필요에 따라 함체 내에 보관되는 식품에 저장액에 지속적으로 잠겨있을 필요가 있는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식품 저장용기에 의하면, 내부에 담겨지는 식품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밀폐부재와 누름부재 등을 이용한 밀폐성 및 기능성을 높일 수 있게 되므로 용기의 식품 저장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게 되며, 또한 필요시 뚜껑의 개방이 용이하게 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울러 다단 적층보관이 용이하도록 하여 냉장고 또는 수납장의 공간활용도를 향상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함체 110 : 용기몸체
111 : 걸림턱 112 : 밴드 조립부
120 : 밴드부재 121 : 만곡부
200 : 커버 210 : 내측커버부재
211 : 밀폐부재 조립홈 212 : 외측커버 조립부
213 : 통기부 220 : 외측커버부재
220a : 걸림부 221 : 접이식 손잡이
221a : 손잡이 걸림돌기 221b : 타원형 돌출부
222 : 손잡이 수납부 222b : 측면높이 보강부
222a : 손잡이 파지홈 223 : 손잡이 조립홈
224 : 통기부 노출공 225 : 높이 보강체
225a : 덧살부 300 : 누름부재
310 : 다공판 310a : 구멍
321-324 : 이격부재 325 : 집중 가압부
111 : 걸림턱 112 : 밴드 조립부
120 : 밴드부재 121 : 만곡부
200 : 커버 210 : 내측커버부재
211 : 밀폐부재 조립홈 212 : 외측커버 조립부
213 : 통기부 220 : 외측커버부재
220a : 걸림부 221 : 접이식 손잡이
221a : 손잡이 걸림돌기 221b : 타원형 돌출부
222 : 손잡이 수납부 222b : 측면높이 보강부
222a : 손잡이 파지홈 223 : 손잡이 조립홈
224 : 통기부 노출공 225 : 높이 보강체
225a : 덧살부 300 : 누름부재
310 : 다공판 310a : 구멍
321-324 : 이격부재 325 : 집중 가압부
Claims (16)
-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용기몸체(110)로 이루어지며, 용기몸체(110)의 상단부에서 하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는 높이의 내주면을 따라 상층에 적층될 또 다른 용기몸체의 하부를 안착시켜 지지하기 위한 걸림턱(111)이 전체적으로 형성되고, 용기몸체(110)의 외측 하단부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밴드부재(120)가 조립되어 형성되는 함체(100); 및
상기 함체(100) 내주면과 탄력적으로 면접촉되면서 상기 걸림턱(111)하부의 함체 내부에서 이동가능한 커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저장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200)는,
상기 용기몸체(110)의 내주면에 면접촉되면서 상기 함체(100)의 내부로 저장식품이 닿는 위치까지 수평하게 수용되어 함체의 내부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함체 내부의 수평면에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를 갖고 상기 용기몸체(110)의 내주면에 의해 수평하게 지지되면서 상하로 가이드될 수 있도록 높이가 보강된 테두리를 각각 구비하는 내측커버부재(210)와 외측커버부재(220)가 이중으로 조립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함체(100)와 테두리와의 면접촉시 긴밀한 밀착을 위해 내측커버부재(210)의 테두리에 밀폐부재(230)가 전체적으로 조립되고, 함체(100)의 내부로 유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부(213)가 형성되며 상기 통기부(213)의 개폐 및 파지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이식 손잡이(221)가 설치되는 커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저장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100) 내부에 수용되며, 함체에 저장된 식품이 저장액에 잠길 수 있도록 저장액이 넘칠 수 있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부에 이격공간을 유지할 수 있는 이격수단이 구비되어, 커버(200)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일정 깊이 이격된 하부로 균일하게 전달하는 누름부재(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저장용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100)는,
상부가 하부보다 그 폭이 더 큰 형태의 몸체로서, 상단부의 개구부는 넓고 걸림턱(111)을 기준으로 그 하부의 몸체는 상기 개구부의 내측으로 수용 가능한 크기의 몸체로 형성되는 용기 몸체로 구성되며, 직경과 높이가 같거나 다른 원통체, 가로와 세로와 높이가 같거나 가로와 세로는 같고 높이가 다른 육면체, 가로와 세로가 다르고 높이가 가로 또는 세로와 같거나 다른 직육면체중의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저장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재(120)는,
상기 함체(100)를 구성하는 용기 몸체(110)의 하부 수평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과 내경을 갖고 탄성을 지닌 폐쇄형 밴드로 이루어지며, 폐쇄형 밴드의 몸체가 적어도 1회 이상 상부 또는 하부로 만곡되어 형성되는 만곡부(120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저장용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230)는,
상기 내측커버부재(210)의 테두리에 대응하는 형상과 내경을 갖는 폐쇄형 패드로 이루어지며, 폐쇄형 패드의 외부 측면에서 그 수평방향으로 패드 몸체가 연설되어 상기 함체(100)와의 면접촉시 긴밀성을 높이기 위한 플랜지부(231)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저장용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200)는,
상기 내측커버부재(210)에 적어도 하나의 통기부(213)가 형성되며,
상기 외측커버부재(220)의 상부에 손잡이 거치와 수납 및 커버의 높이 보강을 높이보강체(225)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높이보강체(225)에는 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접이식 손잡이(221)가 고정되어 조립되며, 상기 접이식 손잡이(221)의 힌지부가 조립되는 위치의 하부에 상기 통기부(213)를 상부로 노출시킬 수 있는 통기부 노출공(224)이 형성되어, 상기 접이식 손잡이(221)를 접어 눕히거나 세워 펼치는 동작에 의해 상기 통기부 노출공(224)을 통해 통기부(213)를 폐쇄 또는 개방하여 함체(100) 내부공간의 밀폐를 유지 또는 해제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저장용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200)는,
상기 내측커버부재(210)에 적어도 하나의 통기부(213)가 형성되며,
상기 외측커버부재(220)의 상부에 손잡이 거치와 수납 및 커버의 높이 보강을 높이보강체(225)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높이 보강체(225)의 일부를 함몰시켜 접이식 손잡이(221)를 접어 넣을 수 있는 손잡이 수납부(222)가 형성되며, 손잡이 수납부(222)의 일측에 접이식 손잡이(221)를 힌지부를 끼워 회전 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는 손잡이 조립홈(223)을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 조립홈(223)에 의해 힌지부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조립되는 접이식 손잡이(221)가 구비되며, 상기 접이식 손잡이(221)의 힌지부가 조립되는 위치의 하부에 통기부(213)를 상부로 노출될 수 있는 통기부 노출공(224)이 형성되어, 상기 접이식 손잡이(221)를 접어 눕히거나 세워 펼치는 동작에 의해 상기 통기부 노출공(224)을 통해 통기부(213)를 폐쇄 또는 개방하여 함체(100) 내부공간의 밀폐를 유지 또는 해제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저장용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커버부재(220)는,
커버의 전체적인 높이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손잡이 수납부(222)의 내, 외측에 각각 덧살부(225a)와 측면높이 보강부(222b)를 각각 일체로 연설하되,
상기 측면높이 보강부(222b)는 손잡이 수납부(222)의 외측 테두리에서 전체적으로 그 상부로 몸체가 연설되어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덧살부(225a)는 손잡이 수납부(222)의 내측 중앙부에서 그 상부로 덧살이 돌출되도록 몸체가 연설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저장용기. -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손잡이(221)는,
손잡이 조립홈(223)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조립되는 힌지부의 하부에 접이식 손잡이(221)를 접어 눕히거나 세워 펼치는 동작에 의해 상기 통기부 노출공(224)을 조기에 개방하거나 폐쇄하기 위한 타원형 돌출부(221b)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저장용기.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200)는,
상기 내부커버부재(210)의 테두리에 밀폐부재 조립홈(211)이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밀폐부재(230)가 탄력적으로 조립되며, 상기 밀폐부재 조립홈(211)의 상부에서 측면으로 외측커버 조립부(212)가 연설되고 외측커버부재(220)의 테두리에 하부로 절곡된 걸림부(220a)가 연설되어 내부커버부재(210)의 상부 전체를 커버링하도록 외측 커버부재(220)가 외측커버 조립부(212) 및 걸림부(220a)를 통해 내부커버부재(210)의 상부에 이중으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저장용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200)는,
접이식 손잡이(221)의 몸체 일측에는 손잡이 수납부(222)에 수납되는 접이식 손잡이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걸림돌기(221a)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수납부(222)에는 상기 손잡이 걸림돌기(221a)에 대응하는 손잡이 파지홈(222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저장용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300)는,
상기 함체 내부의 수평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함체(10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지며 다수 개의 구멍(310a)이 형성된 다공판(310);
상기 다공판(310) 상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일측 단부가 고정되되 각각 유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고정되고 다른측 단부는 상기 다공판(310)의 상면에서 일정 높이 이격되면서 하나의 중심점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탄력적으로 높이 조절 가능한 집중 가압부(325)를 형성하는 다수 개의 이격부재(321-324);를 구비하여,
상기 집중 가압부(325)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상기 각 이격부재(321-324)의 형상이 변형되면서 다공판(310)과 집중 가압부(325)를 수직방향으로 접근 또는 이격시켜, 외부 압력을 상기 다공판(310)에 균등하게 전달하거나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저장용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100)는,
상단부의 개구부가 넓고 걸림턱(111)을 기준으로 그 하부의 몸체는 상기 개구부의 내측으로 수용 가능한 크기의 몸체로 형성되어, 다수 개의 동일한 형태의 함체(100)를 커버(200)를 제거한 상태에서 상하로 포개서 보관하거나 또는 커버(200)를 덮은 상태에서 상하로 적층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저장용기. - 제14항에 있어서,
하부에 위치하는 함체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함체의 폭이 작은 경우에는, 하부에 위치하는 함체 내로 이동된 커버의 위에 상부에 위치하는 함체를 적층시켜 냉장고 또는 수납장의 저장공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저장용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커버부재(210)에는,
저장식품이 직접 맞닿는 접촉면이 구비되는데, 용기의 저장용량을 높이기 위해 상기 접촉면이 상부방향으로 이동되어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저장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9140A KR101676949B1 (ko) | 2015-03-20 | 2015-03-20 | 식품 저장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9140A KR101676949B1 (ko) | 2015-03-20 | 2015-03-20 | 식품 저장용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12811A true KR20160112811A (ko) | 2016-09-28 |
KR101676949B1 KR101676949B1 (ko) | 2016-11-16 |
Family
ID=57101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39140A KR101676949B1 (ko) | 2015-03-20 | 2015-03-20 | 식품 저장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7694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83420A (ko) * | 2018-01-04 | 2019-07-12 | 고용석 | 저장 용기 |
CN115158878A (zh) * | 2022-08-02 | 2022-10-11 | 湖南弘辉科技有限公司 | 基于防漏气的充压包装箱及构造方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83525B1 (ko) * | 2020-12-31 | 2021-08-09 | 이근유 | 사용 편의성을 갖는 딸기 포장용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2120Y1 (ko) | 2001-11-07 | 2002-02-06 | 동진기업 주식회사 |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
KR20020030306A (ko) | 2000-10-17 | 2002-04-25 | 구자홍 | 냉장고용 식품저장용기 |
JP2004018048A (ja) * | 2002-06-18 | 2004-01-22 | Okawa Kogyo Kk | 運搬用容器 |
KR200366851Y1 (ko) * | 2004-08-20 | 2004-11-06 | 윤기문 | 식품 보관용기의 다단식 적층장치 |
-
2015
- 2015-03-20 KR KR1020150039140A patent/KR10167694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30306A (ko) | 2000-10-17 | 2002-04-25 | 구자홍 | 냉장고용 식품저장용기 |
KR200262120Y1 (ko) | 2001-11-07 | 2002-02-06 | 동진기업 주식회사 |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
JP2004018048A (ja) * | 2002-06-18 | 2004-01-22 | Okawa Kogyo Kk | 運搬用容器 |
KR200366851Y1 (ko) * | 2004-08-20 | 2004-11-06 | 윤기문 | 식품 보관용기의 다단식 적층장치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83420A (ko) * | 2018-01-04 | 2019-07-12 | 고용석 | 저장 용기 |
CN115158878A (zh) * | 2022-08-02 | 2022-10-11 | 湖南弘辉科技有限公司 | 基于防漏气的充压包装箱及构造方法 |
CN115158878B (zh) * | 2022-08-02 | 2023-07-25 | 湖南弘辉科技有限公司 | 防漏气的充压包装箱及组装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76949B1 (ko) | 2016-1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01367B1 (ko) | 잠금부를 갖는 진공밀폐용 용기 뚜껑과 이를 채용한 진공밀폐 용기 | |
KR102519318B1 (ko) | 가변 체적 음식 캐니스터를 형성하는 가역 덮개 및 컨테이너 | |
KR101348305B1 (ko) |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커버 | |
KR101676949B1 (ko) | 식품 저장용기 | |
US20060180591A1 (en) | Internal cover for enclosing container contents | |
CN101130397A (zh) | 速冻容器和密封件 | |
JP3194876U (ja) | 真空保存容器 | |
RU2266031C1 (ru) | Контейнер для сыра | |
KR20130025932A (ko) | 내부압력 자동배출 기능을 갖춘 식품용기용 밀폐뚜껑 | |
WO2014160608A1 (en) | Vacuum container, cap, and vacuum container assembly | |
KR101742611B1 (ko) | 진공용기용 체크밸브 | |
KR20050081348A (ko) | 용량가변 밀폐용기 | |
KR100675485B1 (ko) | 조리 용기 | |
KR102372050B1 (ko) | 진공보관함 | |
US11655084B2 (en) | Sealing packing coupled to container lid | |
US8529706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a mouthguard | |
KR101091747B1 (ko) | 식품보관용기 | |
KR20050081338A (ko) | 용량가변 밀폐용기 | |
KR100828907B1 (ko) | 일체형 밀폐 용기뚜껑 | |
KR200406683Y1 (ko) | 체적 가변형 밀폐 용기 | |
KR101845361B1 (ko) | 트레이 용기 구조체 | |
KR200445663Y1 (ko) | 케익 포장용 상자 | |
KR200253340Y1 (ko) | 진공용기 | |
EP2830974A1 (en) | Device for removing air from a container | |
KR101828429B1 (ko) | 용적 가변형 용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