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663Y1 - 케익 포장용 상자 - Google Patents

케익 포장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663Y1
KR200445663Y1 KR2020070018527U KR20070018527U KR200445663Y1 KR 200445663 Y1 KR200445663 Y1 KR 200445663Y1 KR 2020070018527 U KR2020070018527 U KR 2020070018527U KR 20070018527 U KR20070018527 U KR 20070018527U KR 200445663 Y1 KR200445663 Y1 KR 2004456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ke
box body
plate
packaging box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85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1270U (ko
Inventor
홍석관
Original Assignee
홍석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석관 filed Critical 홍석관
Priority to KR20200700185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663Y1/ko
Publication of KR200700012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12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6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6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akery products, e.g. bis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익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케익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케익 포장용 상자에서, 상자 본체(10)의 상부면에는 센터로부터 케익의 직경보다는 큰 직경으로 칼집(13)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상자 본체(10)의 내부에 삽입되는 받침판(20)은 내부가 진공압 상태에서 압축되어 있다가 외기의 유입에 의해 수직으로 팽창되면서 상부에 얹혀진 케익이 상자 본체(10)의 상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여 케익 인출의 편의를 제공하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케익, 포장 상자, 받침판, 케익 인출

Description

케익 포장용 상자{Box for packing cake}
본 고안은 케익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장 상태에서도 간단한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케익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익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익은 받침판에 의해 받쳐진 상태에서 내부가 빈 조립식 상자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포장이 이루어진다.
케익을 받치는 받침판은 케익의 외경보다는 크면서 조립식 상자의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는 사이즈로서 구비하며, 주로 일정한 두께를 갖는 종이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조립식으로 구비되는 상자 본체는 육면체의 형상이고, 서로 대응되는 양측면에는 상부와 하부 그리고 양측단부에 각각 상호 접힐 수 있도록 하는 날개들이 구비되도록 하여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자 본체는 우선 날개를 갖는 양측면 중 일측면으로 각 날개들을 접혀지게 하여 일측면이 막혀지도록 한 상태에서 개방된 측면을 통해 케익이 얹혀진 채로 받 침판을 상자 본체의 내부로 넣고, 나머지 측면을 닫아 케익을 보관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자 본체의 상부면에는 판면 중앙에 양측으로 손잡이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도록 하고 있으며, 이때 손잡이는 상부면과 동일면을 이루다 케익 상자의 이동이 필요할 때 세워서 파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종전과 같은 케익 상자는 내부에 있는 케익을 인출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일측면을 통해 받침판에 얹혀진 상태로 꺼내고 상자 본체의 상부면에 받침판을 얹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상자 본체를 사용하는 것은 케익의 높이를 맞추기 위한 것이지만 결국 상자 본체로부터 케익을 꺼내기 위해서는 상자 본체의 일측면을 통해 완전히 꺼내야만 하므로 꺼내는 과정에서 손에 자주 묻기도 하면서 주변을 오염시키게 되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자 본체를 포장 상태에서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내부의 케익을 상승시켜 상자 본체의 상부면으로 케익이 자동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케익 포장용 상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케익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케익 포장용 상자에서, 상자 본체의 상부면에는 센터로부터 케익의 직경보다는 큰 직경으로 칼집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받침판은 내부가 진공압 상태에서 압축되어 있다가 외기의 유입에 의해 수직으로 팽창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른 케익 포장용 상자는 상자 본체의 상부면을 일정 크기로 개방시킨 다음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 받침판의 내부로 공기가 충전되면서 받침판을 소정의 높이로 팽창되도록 하여 받침판 상부에 얹혀지게 되는 케익이 자동으로 상자 본체의 상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케익 인출에 따른 불편을 해소하면서 케익 인출 시의 오염을 방지하면서 편리한 케익 인출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받침판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케익 포장용 상자는 상자 본체(10)와 받침판(20)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자 본체(10)는 판지를 일정하게 접어 내부에 케익을 수용할 수 있는 일정한 크기의 수용 공간을 형성한 육면체의 형상이다.
상자 본체(10)는 주로 종이 판지를 사용하며, 양측면은 특히 개폐가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날개를 접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자 본체(10)의 상부면(11)에는 센터로부터 일정한 직경으로 칼집(12)이 형성되도록 한다.
칼집(12)은 인위적으로 상부면(11)을 뜯어내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며, 칼집(12)의 내측으로는 통상 절곡형으로 손잡이(13)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특히 칼집(12)은 손잡이(13)를 잡고 케익을 운반 중에는 결코 뜯어지지 않도록 하며, 케익 인출을 위하여 강제적으로 뜯어내야만 상부면(11)이 개방된다.
받침판(20)은 케익이 안치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상자 본체(10)의 내부에서 바닥면에 안치되며, 상자 본체(10)의 내부에서 받침판(20)은 측방으로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본 고안에서의 받침판(20)은 내부가 진공압 상태에서 압축되어 있다가 외기를 유입하면 내부로 공기가 충전되면서 내부 체적이 커져 수직으로 팽창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받침판(20)은 상부판(21)과 하부판(22) 그리고 이 상부판(21)과 하부판(22)의 사이를 탄력적으로 일정한 간격이 되게 유지시키 는 쿠션재(23) 및 이들 상부판(21)과 하부판(22)과 쿠션재(23)를 외부에서 감싸도록 하면서 신축성을 갖도록 하는 커버(24)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부판(21)과 하부판(22)은 평판의 구성이며, 이중 상부판(21)은 케익이 안치될 수 있도록 케익보다는 큰 외경을 갖는 크기로서 형성하되 2단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케익이 안치되는 상부는 상자 본체(10)에 형성한 칼집(12)의 직경보다는 작은 직경으로 형성하도록 하고, 하부는 칼집(12)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특히 상부는 케익과 동일한 형상 즉 원형이나 사각형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하부는 상자 본체(10)와 동일한 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하부판(22)은 상자 본체(10)의 바닥면에 안치되는 구성으로서, 상자 본체(10)의 내부에서 측방으로 유동하지 못하도록 상자 본체(10)의 내부와 동일한 형성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따라서 상부판(21)의 하부와 형상과 크기가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부판(21)과 하부판(22)의 사이에 구비되는 쿠션재(23)는 신축성이 양호한 재질로서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러한 쿠션재(23)로서 가장 바람직한 재질은 스펀지이며, 스프링으로도 형성은 가능하다.
쿠션재(23)는 상부판(21)과 하부판(22)의 사이에서 이들의 외주연을 따라 일체로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쿠션재(23)는 상부판(21)과 하부판(22) 사이의 간격을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구비하는 구성이다.
한편 상부판(21)과 하부판(22)과 쿠션재(23)는 외측이 커버(24)에 의해서 덮 여지면서 외부와 완전 차단되도록 하며, 이때 커버(24)는 상부판(21)과 하부판(22)에 각각 부착되고, 상부판(21)과 하부판(22)의 사이는 신축이 가능하게 주름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커버(24)에 의해 밀폐되는 상부판(21)과 하부판(22) 및 쿠션재(23) 사이의 공간을 수축 및 확장되도록 하며, 이때의 내부 공간은 에어의 유출입을 위한 통기구(25)에 의해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고, 통기구(25)는 체크밸브(26)에 의해서 에어의 유통이 단속되도록 한다.
이때 체크밸브(26)는 별도의 조작 수단(27)에 의해서 통기구(25)의 개방을 수동으로 조작하도록 한다.
한편 통기구(25)는 하부판(22)을 관통하여 하부판(22)을 커버하도록 하부판(22)의 저면에 부착되는 커버(24)를 통하여 일측에 형성되도록 하고, 체크밸브(26)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 수단(27)은 상자 본체(10)의 하단부를 통해 일부가 인출되도록 하며, 수동으로 잡아당김에 의해서 체크밸브(26)가 열려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고안에 따른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 상자 본체에 케익이 보관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상자 본체(10)의 내측 바닥면에 안치되는 받침판(20)은 미리 내부로부터 에어를 강제로 배출시켜 내부의 쿠션재(23)가 최대한 수축되게 함으로써 상부판(21)과 하부판(22) 및 쿠션재(23)에 의해서 형성되는 내부 공간을 진공압 상태가 되도 록 한다.
따라서 쿠션재(23)가 최대한 수축되면서 상부판(21)과 하부판(22) 사이의 간격은 매우 좁아지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받침판(20)의 상부면으로 케익(30)이 얹혀지게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판(20)에 얹혀진 상태로 케익(30)은 상자 본체(10)의 일측을 통해서 투입되어 보관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자 본체(10)로부터는 받침판(20)의 저부로 인출되도록 한 조작 수단(27)이 일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운반을 하고자 할 때에는 상자 본체(10)의 상부면에 형성한 손잡이(13)를 세워 손잡이(13)를 파지한 상태에서 이동하도록 한다.
그리고 케익(30)을 상자 본체(10)로부터 꺼내고자 할 때에는 우선 상자 본체(10)의 상부면에 형성된 칼집(12)을 따라 상부면을 뜯어내어 상자 본체(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케익(30)이 노출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상자 본체의 상부면을 개방시킨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상부면을 개방시켜 케익(30)이 노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자 본체(10)의 하단부를 통해 노출되도록 한 조작 수단(27)을 잡아 당긴다.
조작 수단(27)을 잡아 당기게 되면 체크밸브(26)가 통기구(25)를 개방시키면서 받침판(20)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흡입된다.
외부의 공기가 받침판(20)의 내부로 채워지게 되면 수축되어 있던 내부 공간 이 상측으로 확장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라 상자 본체로부터 케익(30)을 인출시킨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쿠션재를 스프링으로 구비하였을 때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조작 수단(27)을 잡아 당겨 받침판(20)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시키게 되면 받침판(20)의 상부판(21)이 상승하면서 동시에 상부판(21)에 안치되도록 한 케익(30)을 상승시키게 된다.
이러한 케익(30)의 상승은 케익(30)의 하단부가 상자 본체(10)의 상부면으로 완전히 노출될 때까지 이루어지게 되며, 특히 상자 본체(10)의 칼집(13)을 따라 개방된 상부면에 받침판(20)의 상부판(21)측 하부가 걸려질 때까지 받침판(20)이 상승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케익(30)이 상자 본체(10)의 상부에 위치되면 케익(30)을 이용한 이벤트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케익(30)을 상자 본체(10)로부터 일일이 수동으로 꺼내지 않아도 되므로 케익(30)으로 인한 오염을 최대한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받침판(20)을 다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부판(21)을 강제적으로 누르게 되면 통기공(25)이 체크밸브(26)에 의해 개방되므로 쿠션재(23)를 최대한 수축되게 한 상태에서 다시 체크밸브(26)에 의해 통기공(25)이 닫혀지도록 하여 받침판(20)의 내부가 진공압 상태가 되도록 한다.
받침판(20)의 내부를 진공압 상태로 수축시킨 상태에서 체크밸브(26)를 닫혀 지게 하면 받침판(20)은 최초와 마찬가지로 최대한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자 박스(10)로부터 케익(30)을 보다 손쉽게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를 제공하게 되는 동시에 이벤트의 흥미를 더욱 증대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받침판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 상자 본체에 케익이 보관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상자 본체의 상부면을 개방시킨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라 상자 본체로부터 케익을 인출시킨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쿠션재를 스프링으로 구비하였을 때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Claims (7)

  1. 케익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케익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상부면의 센터로부터 케익의 직경보다는 큰 직경으로 칼집이 형성되는 상자 본체와;
    상기 상자 본체의 내부에 안치되며 내부가 진공압 상태에서 압축되어 있다가 외기의 유입에 의해 수직으로 팽창되도록 하여 상부면에 안치된 케익을 일정한 높이로 상승시키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은 상부판과 하부판의 사이에는 외주연을 따라 신축성을 갖는 쿠션재가 삽입되고,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및 쿠션재는 외부에서 신축 가능한 커버에 의해 밀폐되며, 상기 커버에는 일부에 에어의 유출입을 위한 통기구와 에어의 유출입을 단속하는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익 포장용 상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 본체는 상부면 중앙에 절첩식의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익 포장용 상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 본체는 일측면을 통해 내부가 개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익 포장용 상자.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조작 수단에 의해서 수동 조작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통기구가 개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익 포장용 상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재는 스펀지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익 포장용 상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재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익 포장용 상자.
KR2020070018527U 2007-11-16 2007-11-16 케익 포장용 상자 KR2004456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527U KR200445663Y1 (ko) 2007-11-16 2007-11-16 케익 포장용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527U KR200445663Y1 (ko) 2007-11-16 2007-11-16 케익 포장용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1270U KR20070001270U (ko) 2007-12-05
KR200445663Y1 true KR200445663Y1 (ko) 2009-08-24

Family

ID=41352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8527U KR200445663Y1 (ko) 2007-11-16 2007-11-16 케익 포장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66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210B1 (ko) * 2009-06-30 2011-06-09 홍석관 케익 포장용 상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0320U (ko) 1979-12-27 1981-08-07
JPH0418222A (ja) * 1990-05-09 1992-01-22 Satake Eng Co Ltd 真空包装方法
JPH0566571U (ja) * 1992-02-20 1993-09-03 住友重機械プラスチックマシナリー株式会社 インサーキットテスタ用治具
JPH06127577A (ja) * 1992-01-13 1994-05-10 Hiroyuki Mesaki 携帯用ガム収納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0320U (ko) 1979-12-27 1981-08-07
JPH0418222A (ja) * 1990-05-09 1992-01-22 Satake Eng Co Ltd 真空包装方法
JPH06127577A (ja) * 1992-01-13 1994-05-10 Hiroyuki Mesaki 携帯用ガム収納箱
JPH0566571U (ja) * 1992-02-20 1993-09-03 住友重機械プラスチックマシナリー株式会社 インサーキットテスタ用治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1270U (ko) 2007-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81932T3 (es) Empaquetamiento de guantes en cajas
US20200277135A1 (en) Cassette and apparatus for use in disposing waste materials into an elongated flexible tube
CN105979834B (zh) 用于交错折叠的餐巾的分配器
US8955710B2 (en) Waste container stabilization system
US20150375920A1 (en) Trash bag dispensing systems and methods
US20130105488A1 (en) Step garbage can with damper
KR200445663Y1 (ko) 케익 포장용 상자
KR101790244B1 (ko) 캡형 물티슈
JP6907082B2 (ja) 詰め替え容器
KR101676949B1 (ko) 식품 저장용기
US20120217242A1 (en) Vented trash receptacle
US8011528B2 (en) Laterally expandable receptacle
EP2865608A1 (en) Flexible container with dispensing opening
JP7085941B2 (ja) 詰め替え容器
KR101040210B1 (ko) 케익 포장용 상자
KR101548723B1 (ko) 압축 쓰레기통
KR200474242Y1 (ko) 기울어지지 않으면서 수직으로 승하강 되는 밀폐용기 속뚜껑
KR20170122917A (ko) 인출 보정수단을 구비한 물티슈 캡 시스템
EP3536630A1 (en) Container having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lid
KR20140005729A (ko) 소음저감형 껌통
KR200445683Y1 (ko) 개량된 액체용기 뚜껑
KR101959298B1 (ko) 누설 방지 기능을 구비한 밀폐 용기
JP2001240161A (ja) 摺動式底板付き容器
JP2561208Y2 (ja) 詰替容器および詰替容器の収納容器
KR101020531B1 (ko) 케익 포장용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