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729A - 소음저감형 껌통 - Google Patents

소음저감형 껌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5729A
KR20140005729A KR1020120074191A KR20120074191A KR20140005729A KR 20140005729 A KR20140005729 A KR 20140005729A KR 1020120074191 A KR1020120074191 A KR 1020120074191A KR 20120074191 A KR20120074191 A KR 20120074191A KR 20140005729 A KR20140005729 A KR 20140005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m
wall
container body
noise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4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5191B1 (ko
Inventor
김강철
Original Assignee
(주)아이디플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디플라텍 filed Critical (주)아이디플라텍
Priority to KR1020120074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5191B1/ko
Priority to PCT/KR2013/005621 priority patent/WO2014007485A1/ko
Publication of KR20140005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sweets or like confectionery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33Hinges without elastic bias
    • B65D47/0838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frangible closures
    • B65D47/103Membranes with a tea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fectionery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음저감형 껌통에 관한 것으로, 껌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구비되도록 용기체의 형태를 상,하 관통되게 관체로 형성하고, 그 용기체의 상단에는 껌통의 개폐를 위한 뚜껑을 형성하며, 용기체의 내부에는 수용공간의 하부를 차단하는 작동체를 내장하여 작동체가 용기체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하 승강작동이 이루어지면서 수용공간의 넓이를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껌을 보관하는 수용공간의 크기가 껌의 잔량과 유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껌통을 휴대하거나 껌을 인출할 때 마찰음을 최소화하여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소음저감형 껌통{noise-free gum case}
본 발명은 소음저감형 껌통에 관한 것으로, 껌을 보관하는 수용공간의 크기가 껌의 잔량과 유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껌통을 휴대하거나 껌을 인출할 때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껌은 기호식품의 하나로써 개인 치아의 위생과 건강 및 입냄새 제거 등을 위하여 먹게 되는 것으로, 최근에는 이러한 껌의 종류가 다양화되고 각종 기능성 껌이 출현함에 따라 포장용기도 점차 고급화되어지고, 이에 따라 플라스틱 소재의 원통 형상의 용기가 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껌통은 내공간을 갖는 원통형의 용기본체와 그 용기본체의 상단부에 뚜껑이 형성되어 뚜껑이 절첩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되는 것으로, 이러한 것의 문제가 계속적으로 껌을 빼내 먹게 되면 수용공간에 담겨져 있는 껌의 수량이 적어지게 되는데, 껌의 수량이 적을수록 껌통을 휴대하거나 인출하여 먹을 때 껌과 껌통 내부의 벽면과의 마찰음이 심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서관이나 독서실 같은 조용한 공간에서 사용을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고, 또한 영화관이나 공연장 등의 공공장소에서도 매너 상의 이유로 대부분 사용자가 사용이 꺼려지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껌통의 구조상 껌통에서 껌을 하나씩 꺼내어 먹고자 하는 경우에 많은 양의 껌이 한꺼번에 배출되면서 낱개로 꺼내기가 어렵고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는 단점이있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뚜껑의 양측에 서로 다른 크기의 배출공을 형성하고 그 배출공이 마개의 절첩에 의하여 개폐되어지도록 함으로써 배출구의 크기를 차별화시켜 껌의 배출량의 조절이 가능토록 된 것이 제시되었으나, 이 경우에도 수용공간에 껌이 쌓여 있는 상태에서 껌통을 기울여 껌을 수월하게 토출하기 위해서는 배출공의 크기가 껌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크게 형성하여야 하므로 여전히 낱개로 꺼내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껌통의 수용공간에 남아 있는 껌의 잔량에 따라서 수용공간의 크기를 축소함으로써 껌과 껌통이 마찰되면서 발생하는 마찰음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하여 껌통을 휴대하거나 사용시 소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이러한 수용공간의 크기를 늘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껌통에 리필용 껌을 넣고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껌통의 수용공간의 크기조절이 외부에서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고, 그 메커니즘을 간단하게 함으로써 부품 수를 줄여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가 저렴한 껌통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껌이 토출되는 구조가 껌이 적층된 상태에서 원활히 토출유도되도록 하면서도, 껌이 개별적으로 한 개씩 토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껌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구비되도록 용기체의 형태를 상,하 관통되게 관체로 형성하고, 그 용기체의 상단에는 껌통의 개폐를 위한 뚜껑을 형성하며, 용기체의 내부에는 수용공간의 하부를 차단하는 작동체를 내장하여 작동체가 용기체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하 승강작동이 이루어지면서 수용공간의 넓이를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껌통에 담겨진 껌의 잔량에 따라서 수용공간의 넓이를 조절하여 마찰음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작동체의 하단으로는 당김고리부를 형성하여 뚜껑을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작동체를 하부로 당겨 수용공간의 넓이를 확장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껌통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뚜껑에는 껌의 낱개 인출을 위한 토출공을 형성하고, 그 토출공이 보조마개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하고, 이러한 토출공의 하단부 뚜껑 내측으로는 껌의 낱개 인출을 유도하기 위한 호퍼 형태의 유도벽을 형성하여 껌의 적정 수량을 편리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스톤 반복운동에 의하여 수용공간의 크기를 간단하게 확장하거나 축소시킬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고, 껌통을 휴대하거나 사용할 때 잔여량에 따라 수용공간의 크기를 알맞게 줄여 소음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공간의 제약이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피스톤 작동구조에도 불구하고, 껌통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여 껌을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껌을 리필하여 껌통을 재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소음방지 기능이 일회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계속적으로 반복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고, 이러한 껌통의 구조를 간소화함으로써 제조단가를 줄여 대량생산으로 인한 상품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껌을 낱개로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여 요구되는 적정 수량을 위생적이면서도 편리하게 인출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껌통의 조립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껌통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껌통의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용기체와 작동체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수용공간의 넓이를 조절하는 상태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작동체의 저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뚜껑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뚜껑의 저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 첨부도면에서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껌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11)이 형성되는 용기체(10)가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하고, 그 용기체(10)의 상단에는 수용공간(11)을 개방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뚜껑(20)을 결합하여 뚜껑(20)의 개폐에 의하여 껌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하고, 용기체(10)의 수용공간(11)에는 용기체(10)의 벽체(12) 내벽(12a)에 밀착되는 작동체(30)를 내장하여 수용공간(11)의 하부를 차단하면서 이러한 작동체(30)가 승,하강 용기체(10)의 내부 수용공간(11)에서 승,하강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동체(3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용기체 내부의 수용공간의 넓이를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용기체(10)는 벽체(12)의 내벽(12a) 상,하부에 단턱(12b)을 형성하여 상,하부 단턱의 사이에 작동구간(12c)이 마련되도록 하고, 작동체(30)의 외주면이 작동구간(12c)에 내입되게 고정된 상태에서 승강작동을 하도록 함으로써 작동체(30)의 상,하 작동범위를 단턱(12b)에 의하여 제한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때, 상기 용기체(10)는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경사면(14)을 형성하면 작동체(30)를 용기체(10)의 내부에 강제 끼워서 조립할 경우에 작동체(30)가 용기체(10)의 정중앙에 정확하게 삽입되도록 진입을 유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작동체(30)는 중앙부에 가압부(31)를 형성하고 그 가압부(31)의 테두리측으로는 용기체(10)의 벽체(12) 내벽(12a)에 밀착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테두리벽(32)을 형성하여 테두리벽(32)이 내벽(12a)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작동체(30)의 승강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상기 가압부(31)는 하부가 상측으로 오목한 형태로 누름면(31a)을 형성하면 사용자가 용기체(10)의 하단으로 손가락을 넣어 누름면을 눌러서 작동체(30)를 상측으로 올릴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수용공간(11)에 남겨져 있는 껌의 수량에 맞추어 작동체(30)를 적정 높이까지 올려 껌통에 담겨진 껌 전체가 밀착된 상태로 보관되는 것이고, 따라서 껌통을 휴대하거나 껌을 토출할 때 껌통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테두리벽(32)은 상,하단부에 접점면(32a)이 형성되도록 중앙부에 내입부(32b)를 형성하면 접점면(32a)이 형성된 테두리벽(32)의 상단과 하단이 용기체(10)의 내벽(12a)에 직접 마찰되면서 내입부(32b)는 뜬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고, 이렇게 이중 밀착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용기체(10)와 작동체(30) 간에 마찰력을 최소화하도록 하면서도 이중 밀폐되어 수용공간(11)이 외부와 완벽하게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때 상기 용기체(10)와 작동체(30)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플라스틱으로 제작하는데, 이러한 플라스틱 제품은 플라스틱 자체가 일정한 탄성력을 가지게 되므로 도 4와 같이 상기 테두리벽(32)의 외경을 용기체(10)의 벽체(12) 내벽(12a)의 내경 보다 상대적으로 미세하게 크게 형성하면 작동체(30)와 용기체(10)의 내부에 빡빡하게 끼워져 상,하로 임의 작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그 상태에서 작동체(30)에 외력을 가하면 빡빡하게 끼워져 있는 작동체(30)가 강제로 승하강 작동하게 되면서 사용자의 임의대로 수용공간의 넓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껌통 내부의 껌 잔량이 많을 때는 작동체(30)가 도 5와 같이 작동체(30)의 하단을 상부로 밀어 담겨있는 껌들이 이격되지 않고 밀착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서 껌통을 휴대하거나 인출할 때 껌과 껌이 마찰되는 마찰음은 물론, 껌과 용기체 내벽에 마찰되는 마찰음을 줄여 소음을 방지함으로써 다양한 장소에서 자유롭게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테두리벽(32)의 상하 길이는 길게 형성할수록 뒤집힘이 방지되지만 테두리벽(32)의 상하 길이를 길게 형성하면 용기체(10)와의 마찰력이 높아져서 승하강 작동이 빡빡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반면에 테두리벽(32)의 상하 길이를 짧게 형성할수록 승강 작동 중에 작동체(30)가 뒤집힐 확률이 높지만 승하강 작동은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테두리벽(32)을 형성함에 있어서, 그 높이를 작동체(30)에 외력을 가할 경우에 뒤집힘이 방지되는 범위 내에서 형성하면서 상술한 바와 같이 테두리벽(32)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는 두 개의 접점면(32a)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밀착되는 면적을 최소화하고 승강 작동이 용이하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고, 이러한 두 개의 접점면(32a)에 의하여 용기체(10)와 작동체(30)가 실링되므로 껌통 내부의 수용공간(11)을 더욱 확실하게 외부와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작동체(30)는 가압부(31) 하단의 누름면(31a)에 당김고리부(33)를 형성하면 사용자가 당김고리부(33)를 잡고 작동체(30)를 하부로 견인하여 용기체(10)의 수용공간(11) 넓이를 확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당김고리부(33)는 작동체(30)와 일체로 성형하여 제작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당김고리부(33)는 작동체(30)의 중앙부 하단에 고리의 형태로 형성하거나, 또는 도 7과 같이 중앙부의 양측으로 두 개의 고리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고, 이러한 당김고리부(33)의 형태를 절곡부(33a)에 의하여 고리부(33b)가 수평 방향으로 꺽여진 형태로 형성하면 사용자가 용기체(10)의 하부로 손가락을 넣어 고리부(33b)에 쉽게 손가락을 걸어 견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용기체(10) 상단에 결합되어 껌을 인출하기 위한 뚜껑(20)은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토출공(21)을 형성하고 그 토출공(21)을 보조마개(22)로 막아 개폐되도록 하면 토출공(21)을 통하여 껌을 낱개로 인출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보조마개(22)는 뚜껑(20)과 절첩부(23)로 연결되어 보조마개(22)가 절첩 작동하면서 토출공(21)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보조마개(22) 자체가 뚜껑(20)의 상단에 레일구조(미도시)로 장착되어 보조마개(22)가 슬라이드 작동하면서 토출공(21)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토출공(21)은 도 8과 같이 토출공(21)을 실링재(24)로 막아 껌통의 유통과정에서 밀봉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실링재(24)는 토출공(21)의 내주면을 따라 연결되도록 하면서 그 실링재(24)에 개봉부재(24a)를 일체로 형성하여 개봉부재(24a)를 당겨 사용자가 제거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뚜껑(20)에 형성되는 토출공(21)을 통하여 껌이 인출될 때 껌이 한꺼번에 토출되지 않고 한 개씩 낱개로 토출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토출공(21)의 직경을 껌이 통과할 수 있는 최소한의 직경으로 형성하면서 도 9와 같이 껌의 토출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벽(25)을 토출공(21)의 하단에 형성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즉, 뚜껑 내측으로 호퍼 형태의 유도벽을 형성함으로써 껌통 내부의 수용공간에 쌓여 있는 껌을 하나씩 토출공(21)측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이때 상기 유도벽(25)은 탄성 작동하는 복수의 절개편(25a)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여러 개의 껌이 토출공(21)으로 모여질 때 유도벽에 의하여 한 개씩 정렬되면서 낱개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유도벽(25)의 형태는 토출공(21) 전체를 감싸도록 원형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토출공(21)의 외주면 중 일부분만에만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탄성작동하는 절개편(25a)을 토출공(21)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로 배열하면서 외주면 중 일부에만 절개편을 형성하여 절개편(25a)이 형성되지 않은 외주면 측으로는 껌이 유입되도록 하고, 토출 유도는 절개편(25a)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10: 용기체 11: 수용공간
12: 벽체 12a: 내벽
12b: 단턱 12c: 작동구간
14: 경사면
20: 뚜껑 21: 토출공
22: 보조마개 23: 절첩부
24: 실링재 24a: 개봉부재
25: 유도벽 25a: 절개편
30: 작동체 31: 가압부
31a: 누름면 32: 테두리벽
32a: 접점면 32b: 내입부
33: 당김고리부 33a: 절곡부
33b: 고리부

Claims (7)

  1. 껌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11)이 형성되는 용기체(10)가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그 용기체(10)의 상단에는 수용공간(11)을 개방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뚜껑(20)이 결합되며, 용기체(10)의 수용공간(11)에는 용기체(10)의 벽체(12)에 밀착되는 작동체(30)가 내장되어 작동체(30)의 승,하강 작동에 의하여 용기체 내부의 수용공간의 넓이를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도록 되는 소음저감형 껌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체(10)는 벽체(12)의 내벽(12a) 상,하부에 형성되는 단턱(12b)에 의하여 작동구간(12c)이 마련되어 작동체(30)의 상,하 작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형 껌통.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체(30)는 중앙에 형성되는 가압부(31)와 용기체(10)의 벽체(12) 내벽(12a)에 밀착되는 테두리벽(32)으로 이루어져 승하강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되고, 상기 가압부(31)는 상측으로 오목한 형태로 누름면(31a)이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벽(32)은 상,하단부에 접점면(32a)이 형성되도록 중앙부에 내입부(32b)가 형성되어 테두리벽(32)과 용기체(10)의 내벽(12a)간에 마찰력을 최소화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형 껌통.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체(30)는 가압부(31) 하단의 누름면(31a)에 당김고리부(33)가 형성되어 작동체(30)를 하부로 견인하여 용기체(10)의 수용공간(11) 넓이를 확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형 껌통.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은 껌을 낱개로 인출하기 위한 토출공(21)이 형성되어 보조마개(22)에 의하여 개폐작동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형 껌통.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은 토출공(21)의 하단에 껌의 낱개 토출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벽(2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형 껌통.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벽(25)은 탄성 작동하는 복수의 절개편(25a)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형 껌통.
KR1020120074191A 2012-07-06 2012-07-06 소음저감형 껌통 KR101435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191A KR101435191B1 (ko) 2012-07-06 2012-07-06 소음저감형 껌통
PCT/KR2013/005621 WO2014007485A1 (ko) 2012-07-06 2013-06-26 소음저감형 껌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191A KR101435191B1 (ko) 2012-07-06 2012-07-06 소음저감형 껌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729A true KR20140005729A (ko) 2014-01-15
KR101435191B1 KR101435191B1 (ko) 2014-09-01

Family

ID=49882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4191A KR101435191B1 (ko) 2012-07-06 2012-07-06 소음저감형 껌통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35191B1 (ko)
WO (1) WO20140074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995824C (en) 2015-08-17 2021-07-27 Csp Technologies, Inc. Container orifice reducer with tamper evident seal
US10569937B2 (en) 2016-04-22 2020-02-25 Csp Technologies, Inc. Container orifice reducer with tamper evident seal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7303U (ko) * 1996-11-15 1998-08-05 우길만 정량 인출 약통
KR20050081338A (ko) * 2004-02-13 2005-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용량가변 밀폐용기
JP4953240B2 (ja) * 2006-12-28 2012-06-1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容積変化が可能な容器
KR20100077407A (ko) * 2008-12-29 2010-07-08 김강철 소리 나지 않는 투캡 포장고리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5191B1 (ko) 2014-09-01
WO2014007485A1 (ko) 2014-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9886B1 (ko) 상하 승강에 의하여 인출되는 껌 추출 용기
KR101722531B1 (ko) 버튼 출몰형 펌핑식 화장품 용기
WO2011090249A1 (ko)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
JP2004244106A (ja) 食品保存用真空容器
KR101161732B1 (ko) 진공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 용기
KR20150010306A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20150110035A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101192872B1 (ko) 화장품 용기용 캡
KR101435191B1 (ko) 소음저감형 껌통
KR200424953Y1 (ko) 식품 보존용 진공 용기
KR20150110037A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101705030B1 (ko) 자동 스포이드형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스포이드형 용기
KR20130000760U (ko) 회전 압출식 화장품 용기
KR200456104Y1 (ko) 뚜껑에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
KR200449734Y1 (ko) 껌 수납용기
KR101625494B1 (ko) 진공 밀폐용기
KR200474242Y1 (ko) 기울어지지 않으면서 수직으로 승하강 되는 밀폐용기 속뚜껑
KR101763405B1 (ko) 액체용기의 액체 펌핑장치
KR100820680B1 (ko) 바닥이 상승되는 화장품 용기
KR20110009031U (ko) 분말화장품용기
KR200253340Y1 (ko) 진공용기
KR200445663Y1 (ko) 케익 포장용 상자
CN106742606B (zh) 一种花茶包装罐
KR102524108B1 (ko) 식품 보관 장치
KR20080006421A (ko) 저장공간이 있는 이종물질 수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