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2715A - 포신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포신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2715A
KR20160112715A KR1020150038936A KR20150038936A KR20160112715A KR 20160112715 A KR20160112715 A KR 20160112715A KR 1020150038936 A KR1020150038936 A KR 1020150038936A KR 20150038936 A KR20150038936 A KR 20150038936A KR 20160112715 A KR20160112715 A KR 20160112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cleaning
cable chain
module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8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5784B1 (ko
Inventor
차춘옥
한선우
Original Assignee
차춘옥
한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춘옥, 한선우 filed Critical 차춘옥
Priority to KR1020150038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5784B1/ko
Publication of KR20160112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5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5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9/00Cleaning or lubric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9/00Cleaning or lubricating arrangements
    • F41A29/02Scrapers or cleaning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6Pigs or moles, i.e. devices movable in a pipe or conduit with or without self-contained propuls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포신(10)의 내부를 세척하기 위한 포신 세척장치에 있어서, 전방에는 출입공(111)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회전롤(112)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함체부(110); 상기 회전롤(112)과 축연결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롤(112)이 회전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20); 다수 개의 링크(131)가 연이어 연결된 다관절 구조를 가지며, 일단이 상기 회전롤(112)에 고정된 상태로 둘레에 권선되고 타단은 상기 출입공(11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회전롤(112)의 회전에 따라 전진 및 후진 동작하는 케이블체인(130); 상기 케이블체인(130)의 타단에 연결되며 둘레에는 수입포(141) 또는 브러시(142)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장착된 세척모듈(140); 및 조작부(151)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120)를 구동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하는 포신 세척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포신 세척장치{CLEANING APPARATUS FOR INNER-SURFACE OF ARTILLERY}
본 발명은 포신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야전포나 전차 등과 같이 길이가 긴 포신이 장착된 발사장비를 대상으로 포신의 내부를 자동세척하는 포신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전포나 전차 등의 발사장비는 항시 전투준비태세를 갖추기 위해 평상시 또는 사격후에 포신세척을 통해 포신 내부에 녹이 발생하거나 화약 및 탄매가 잔재하지 않도록 정비하고 있다.
종래에는 포신세척을 위해 길이가 긴 장대의 단부에 수입포를 감고 이를 포신 내부에 삽입하여 왕복이동시킴으로써 내부를 세척할 수 있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포신은 4m 내지 8m의 가량의 긴 구경장을 갖기 때문에 장대를 들어올리기 위해 다수의 작업인원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오로지 근력을 이용하여 장대를 왕복시키기 때문에 세척작업의 피로도가 크며 긴 작업시간에 대비하여 세척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포신 내부에 삽입되어 포신의 포탄투입구와 포탄발사구측으로 전후 이동하여 내부의 탄매 및 각종 찌거기를 제거하는 수입뭉치와, 상기 수입뭉치의 양단에 연결되어 전후로 이동시키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를 권취시키는 이송장치로 이루어진 포신 청소기가 개시된 바 있으나, 상기 포탄투입구와 포탄발사구측에서 와이어를 권취시키는 장치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기가 제한되어 수입뭉치의 전후 이동시 유동이 심하게 발생할 뿐만 아니라, 조정레버를 조작하여 와이어를 전후로 이동시키기 위해 근력을 사용해야 하므로 여전히 작업 피로도가 크고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세척작업 후에는 깨끗한 수입뭉치를 포신내부에 통과시켜 묻어나오는 이물질을 보면서 이물질 잔재상태를 확인하기 때문에 표면이 세척된 녹이나 강선 등의 홈에 고착된 이물질의 잔재여부를 식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물질이 묻어나오는 경우 포신 내에서 해당 이물질이 존재하는 위치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포신의 전체 세척부위를 전반적으로 재작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63166호(2010.06.04), 포신 청소기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포신 내부에 삽입된 세척모듈을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시간, 작업인력 및 피로도를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플렉시블하면서도 직진성이 있는 케이블체인을 동력전달수단으로 이용하여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동력전달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포신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포신 내부의 영상이미지를 화면출력하여 이물질의 잔재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내부의 이물질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는 포신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포신(10)의 내부를 세척하기 위한 포신 세척장치에 있어서, 전방에는 출입공(111)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회전롤(112)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함체부(110); 상기 회전롤(112)과 축연결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롤(112)이 회전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20); 다수 개의 링크(131)가 연이어 연결된 다관절 구조를 가지며, 일단이 상기 회전롤(112)에 고정된 상태로 둘레에 권선되고 타단은 상기 출입공(11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회전롤(112)의 회전에 따라 전진 및 후진 동작하는 케이블체인(130); 상기 케이블체인(130)의 타단에 연결되며 둘레에는 수입포(141) 또는 브러시(142)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장착된 세척모듈(140); 및 조작부(151)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120)를 구동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하는 포신 세척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일측이 상기 함체부(110)의 출입공(111)측에 장착되며, 내부에는 상기 케이블체인(130) 및 세척모듈(140)이 관통되는 중공(161)이 형성된 가이드관(160); 및 상기 가이드관(160)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포신(10)의 포구공(11)에 삽입되며 선택적으로 끼움결합되는 걸림턱(171)이 형성된 고정모듈(1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신 세척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세척모듈(140)은,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수입포(141) 또는 브러시(142)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모터(143)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포신(10)의 전체 세척부위를 복수 개의 분할 세척구간으로 나누고, 상기 구동모터(120)를 구동제어하여 각 분할 세척구간별로 세척모듈(140)이 전후진을 반복하며 세척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신 세척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세척모듈(140)은 포신(10)의 내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14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144)에서 촬영된 영상이미지(I)를 화면출력하는 디스플레이(180); 및 상기 케이블체인(130)의 이동 또는 구동모터(120)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센서부(19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센서부(190)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포신(10) 내부로 삽입된 케이블체인(130)의 길이를 연산하고 상기 포신(10) 내부에 삽입된 세척모듈(140)의 위치를 산출하며, 산출된 위치데이터의 수치(N)를 상기 디스플레이(180)에 화면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신 세척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위치데이터의 기준이 되는 위치기준선(L)을 상기 영상이미지(I)와 매칭시켜 상기 디스플레이(180)에 함께 화면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신 세척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함체부(110)의 하부 위치에 이격 배치되며 양측에는 이동바퀴(211)가 장착된 베이스프레임(210); 및 상기 함체부(110)와 베이스프레임(210) 사이에 장착되어 승강구동하며 상기 함체부(110)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구동부(2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신 세척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세척모듈(140)은 상기 수입포(141)와 브러시(142)가 외주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체결되고 일단부에는 상기 카메라(144)가 장착되고 타단부는 상기 회전모터(143)의 회전축에 축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지지프레임(14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145)의 둘레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의 에어노즐(146)이 장착되며, 상기 함체부(110)의 내부에는 상기 에어노즐(146)과 에어공급라인(L2)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에어노즐(146)에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2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신 세척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프레임(145)의 둘레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의 세정유노즐(147)이 장착되며, 상기 함체부(110)의 내부에는 상기 세정유노즐(147)과 세정유공급라인(L3)으로 연결되어 세정유노즐(147)에 세정유를 공급하는 세정유공급부(2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신 세척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프레임(145)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외부에는 상기 브러시(142)가 장착되며 내부로 주입되는 에어에 따라 팽창 및 수축 동작하며 브러시(142)의 외경을 조절하는 브러시에어백(250)이 배치되고, 상기 에어공급부(230)는 에어공급라인(L4)으로 상기 브러시에어백(250)과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브러시에어백(250)에 에어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신 세척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프레임(145)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외부에는 상기 수입포(141)가 장착되며 내부로 주입되는 에어에 따라 팽창 및 수축 동작하며 수입포(141)의 외경을 조절하는 수입포에어백(260)이 배치되고, 상기 에어공급부(230)는 에어공급라인(L5)으로 상기 수입포에어백(260)과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수입포에어백(260)에 에어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신 세척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케이블체인(130)에는 상기 포신(10)의 내부면에 지지되기 위한 지지바퀴(132)가 연장된 길이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신 세척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정모듈(170)은 포신(10)의 규격 또는 포구공(11)의 형상에 따라 복수의 규격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관(160)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신 세척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구동모터(120)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포신(10) 내부에 삽입된 세척모듈(140)을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시간, 작업인력 및 피로도를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플렉시블하면서도 직진성이 있는 케이블체인(130)을 동력전달수단으로 이용하여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동력전달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둘째, 포신(10)의 단부에 형성된 포구공(11)에 삽입되어 선택적으로 끼움결합되는 고정모듈(170)을 통해 포신 세척장치를 포신(10)의 단부 상에 견고하게 고정장착시킬 수 있으므로 포신(10) 내에서 세척모듈(140)이 전후진 동작시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포신 세척장치의 위치가 유동되거나 세척모듈(140)이 이동하지 않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상기 고정모듈(170)은 포신(10)의 규격 또는 포구공(11)의 형상에 따라 복수의 규격을 가지며, 함체부(110)에 장착된 가이드관(160)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므로, 다양한 발사장비를 세척할 수 있는 범용성이 증대된다.
넷째, 포신(10) 내부에 삽입된 세척모듈(140)의 수입포(141)와 브러시(142)를 회전모터(143)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세척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작업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다.
다섯째, 포신(10)의 전체 세척부위를 복수 개의 분할 세척구간으로 나누고, 각 분할 세척구간별로 세척모듈(140)이 전후진을 반복하며 세척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되므로, 전체 세척부위를 전반적으로 세척하는 방식과 비교하여 보다 정밀한 세척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오염이 심한 분할 세척구간에 집중하여 세척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섯째, 포신(10)의 내부를 촬영한 영상이미지(I)를 디스플레이(180)에 화면출력하여 오염부위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으므로 내부의 이물질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각 분할 세척구간을 오염정도에 따라 세척강도를 조절하여 작업할 수 있어 세척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일곱째, 포신(10)의 내부로 삽입된 케이블체인(130)의 길이를 연산하여 세척모듈(14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고, 산출된 위치데이터의 수치(N)를 디스플레이(180)에 화면출력할 수 있어 이물질이 배치된 위치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으며, 자동 구간세척시 집중 세척작업을 위한 기초데이터로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위치데이터의 기준이 되는 위치기준선(L)을 영상이미지(I)와 매칭시켜 디스플레이(180)에 함께 화면출력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교한 집중 세척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여덟째, 세척모듈(140)의 에어노즐(146)을 통해 포신(10)의 내부로 고압의 에어를 분사할 수 있어 먼지 등과 같이 가벼운 이물질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브러싱작업이나 세정유작업을 위한 사전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아홉째, 세척모듈(140)에는 내부로 주입되는 에어에 따라 팽창 및 수축 동작하며 브러시(142)나 수입포(141)의 외경을 조절하는 브러시에어백(250) 및 수입포에어백(260)이 장착되므로, 구경이 상이한 포신(10)에도 브러시(142)나 수입포(141)의 교체없이 범용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이물질의 오염정도나 흡착상태에 따라 브러시 작업 및 수입포에 의한 세척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열째, 케이블체인(130)에는 포신(10)의 내부면에 지지되기 위한 지지바퀴(132)가 연장된 길이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케이블체인(130)이 길게 연장되어 자중에 의해 쳐지면서 포신(10)의 내부면과 마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세척모듈(140)을 전,후진시키는데 필요한 동력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신 세척장치의 외부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신 세척장치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척모듈이 전진동작하여 포신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모듈의 탈착되는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척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에어백 및 수입포에어백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에 화면출력된 포신 내부의 영상이미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신 세척장치(100)는 야전포나 전차 등과 같이 길이가 포신(10)이 장착된 발사장비를 대상으로 포신(10)의 내부를 자동세척하기 위한 세척장치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부(110), 구동모터(120), 케이블체인(130), 세척모듈(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먼저, 상기 함체부(110)는 포신 세척장치(100)의 몸체를 이루는 베이스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방에는 케이블체인(130)이 출입하기 위한 출입공(111)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회전롤(112)이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구동모터(120)는 회전롤(112)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으로서, 함체부(110)에 외장되거나 내부에 실장되어 장착되며, 상기 회전롤(112)과 축연결되어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롤(112)이 회전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120)는 세척모듈(140)이 전,후진하면서 포신(10)의 내부와 접촉하면서 발생되는 마찰력과 케이블체인(130)의 하중을 고려하여 충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모터를 이용하며, 바람직하게는 유압을 이용하여 큰 동력을 제공하는 유압모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120)는 제어부(150)의 제어신호를 받아 정역회전하며 회전롤(112)을 회전시켜 케이블체인(130)에 의해 세척모듈(140)이 포신(10) 내에서 전,후진할 수 있도록 하며, 회전각도 및 회전속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블체인(130)은 구동모터(120)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세척모듈(140)을 가압하거나 잡아당겨 전,후진시키는 동력전달수단으로서, 다수 개의 링크(131)가 연이어 연결된 다관절 구조를 가지며, 일단이 상기 회전롤(112)에 고정된 상태로 둘레에 권선되고 타단은 상기 출입공(11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회전롤(112)의 회전에 따라 전진 및 후진동작한다.
여기서, 상기 함체부(110)의 내부에는 회전롤(112)에 권선된 케이블체인(130)의 외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회전롤(112)의 회전에 따라 권출되는 케이블체인(130)이 출입공(111)을 향해 인출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판(113)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척모듈(140)은 포신(10)의 내부면과 접촉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하기위한 세척수단으로서, 상기 케이블체인(130)의 타단에 연결되며 케이블체인(130)의 전,후진 동작에 따라 함게 포신(10) 내에서 왕복이동하며 둘레에는 수입포(141)와 브러시(142)가 장착된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모듈(140)은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수입포(141) 및 브러시(142)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모터(143)가 장착되어 세척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모듈(140)은 수입포(141)와 브러시(142)가 외주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체결되고 일단부에는 카메라(144)가 장착되고 타단부는 회전모터(143)의 회전축에 축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지지프레임(145)이 구비된다.
더불어, 도 3의 하단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체인(130)에는 포신(10)의 내부면에 지지되기 위한 지지바퀴(132)가 연장된 길이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체인(130)이 길게 연장되어 자중에 의해 쳐지면서 포신(10)의 내부면과 마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세척모듈(140)을 전,후진시키는데 필요한 동력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조작부(151)의 조작신호에 따라 구동모터(120)를 구동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로서, 함체부(110)의 내부에 회로구성되어 실장된다.
여기서, 상기 조작부(151)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입력수단으로서, 도 1에서와 같이 버튼 형태로 형성되어 포신 세척장치(100)의 동작상태 및 설정상태를 선택하기 위한 다양한 입력신호를 출력하며 함체부(110)의 외부에 장착되거나 리모컨 등과 같이 제어부(150)와 유무선 통신라인으로 연결된 별도의 모듈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부(110)의 출입공(111)과 포신(10)의 포구공(11)이 상호 대향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부(151)를 통해 구동을 개시하기 위한 조작신호를 출력하면 제어부(150)는 프로그래밍된 사항에 따라 조작신호에 대응되는 동작방식으로 구동모터(120)를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구동모터(120)의 회전에 따라 회전롤(112)이 회전하면서 권취된 케이블체인(130)이 권출되어 포구공(11)을 통해 포신(10)의 내부로 삽입된다.
또한,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모터(120)는 일정시간 단위로 정역회전을 하면서 포신(10) 내에서 케이블체인(130)이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케이블체인(130)의 타단에 장착된 세척모듈(140)은 포신(10)의 내부면과 접촉하면서 세척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120)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포신(10) 내부에 삽입된 세척모듈(140)을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시간, 작업인력 및 피로도를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플렉시블하면서도 직진성이 있는 케이블체인(130)을 동력전달수단으로 이용하여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동력전달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포신(10) 내에서 세척모듈(140)이 전후진 동작시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포신 세척장치(100)의 위치가 유동되거나 세척모듈(140)이 이동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신 세척장치(100)는 이러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모듈(170)을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평배치되어 일측이 함체부(110)의 출입공(111) 측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내부에는 상기 케이블체인(130) 및 세척모듈(140)이 관통되는 중공(161)이 형성된 가이드관(160)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모듈(170)은 가이드관(160)의 타측에 배치되어 포신(10)의 포구공(11)에 삽입되며 선택적으로 끼움결합되는 걸림턱(171)이 형성된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모듈(170)은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관(160)과 타측에 연결되며 상호 연통되는 연결관(174)과, 상기 연결관(174)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배치되며 일정길이로 외향연장된 연장프레임(173)과, 일단은 상기 연장프레임(173)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타단에는 내향 돌출된 걸림턱(171)이 형성된 고정프레임(172)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연장프레임(173)과 고정프레임(172)의 힌지결합된 부위나, 각 연장프레임(173)의 둘레에는 상기 걸림턱(171)이 포구공(11)에 삽입되어 끼움결합된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정모듈(170)에 의해 포신(10)의 단부상에 포신 세척장치(100)가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으므로, 세척모듈(140)과 포신(10) 내부와의 마찰력에 의해 포신 세척장치(100)가 전후방으로 유동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차단되어 보다 안정적인 세척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관(160)은 일측이 함체부(110)에 힌지결합되면서 함체부(110)에 대하여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체결되어, 포신(10)이 수평상태가 아닌 하향 경사진 상태 또는 상향 경사진 상태에 따라 상하 각도를 조절하여 상호 대향시켜 고정모듈(170)을 보다 견고하게 체결시킬 수 있다.
더불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관(160)의 타측 둘레에는 나사산과 같은 제1탈착수단(162)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174)의 단부 내경에는 상기 제1탈착수단(162)과 치합되어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는 제2탈착수단(175)이 형성되어 고정모듈(170)을 포신 세척장치(100)로부터 탈착시킬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모듈(170)은 포신(10)의 규격 또는 포구공(11)의 형상에 따라 연장프레임(173), 고정프레임(172) 및 걸림턱(171)의 크기나 형상이 상이한 다양한 복수의 규격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관(160)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어, 다양한 발사장비를 세척할 수 있는 범용성이 증대된다.
한편, 제어부(150)는 포신(10)의 전체 세척부위를 복수 개의 분할 세척구간으로 나누고, 상기 구동모터(120)를 구동제어하여 각 분할 세척구간별로 세척모듈(140)이 전,후진을 반복하며 세척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포신(10)의 길이가 9m라 하고 세개의 분할 세척구간으로 구분한다고 가정하면, 세척작업 초기에는 포신(10)의 도입부인 0m 내지 3m에 해당하는 분할 세척구간 내에서 세척모듈(140)이 왕복이동하도록 구동모터(120)를 구동제어하고, 이어서 포신(10)의 중앙부인 3m 내지 6m에 해당하는 분할 세척구간 내에서 세척모듈(140)을 왕복시키며, 이후에는 포신(10)의 말부인 6m 내지 9m에 해당하는 분할 세척구간 내에서 세척모듈(140)을 왕복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각 분할 세척구간의 세척이 완료되면 0m 내지 9m에 해당하는 전체 세척부위에 걸쳐 세척모듈(140)이 전반적으로 왕복이동하도록 구동제어하여 잔여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포신(10)의 전체 세척부위를 복수 개의 분할 세척구간으로 나누고, 각 분할 세척구간별로 세척모듈(140)이 전후진을 반복하며 세척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되므로, 전체 세척부위를 전반적으로 세척하는 방식과 비교하여 보다 정밀한 세척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오염이 심한 분할 세척구간에 집중하여 세척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모듈(140)은 포신(10)의 내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144)가 전단에 장착되며, 상기 카메라(144)에서 촬영된 영상이미지(I)를 화면출력하는 디스플레이(18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도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180)가 함체부(110)의 외부에 장착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니터와 같이 별도의 모듈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144)에서 촬영된 영상이미지(I)는 회전모터(143) 및 케이블체인(130)을 관통하여 후단의 제어부(150)와 연결된 신호연결라인(L1)을 통해 제어부(150)로 전송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에는 촬영된 영상이미지(I)를 저장하기 메모리가 포함되어, 세척전후에 촬영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영상이미지(I)를 각각 저장하여 세척작업 상태를 비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포신(10)의 내부를 촬영한 영상이미지를 디스플레이(180)에 화면출력하여 오염부위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으므로 내부의 이물질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각 분할 세척구간을 오염정도에 따라 세척강도를 조절하여 작업할 수 있어 세척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이물질이 식별된 분할 세척구간의 세척시간을 증대시키거나 회전모터(143)의 회전속도를 증대시켜 해당 분할 세척구간에 한하여 집중적인 세척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144)는 세척모듈(140)의 전단에 장착되되, 나사산을 이용한 회전결합방식으로 세척모듈(140)의 전단에 형성된 체결홈(148)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작업전,후에 포신(10) 내부의 이물질을 촬영할 때에는 카메라(144)를 장착하여 영상이미지(I)를 획득하고 세척작업이 이루어질 때에는 카메라(144)를 탈거하여 세정유나 이물질에 의해 카메라(144)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144)가 탈거될 때에는 상기 체결홈(148)에 커버캡(149)을 장착하여 체결홈(148)에 이물질이 누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부(110)의 내부에는 회전롤(112)의 회전에 따라 전,후진하면서 출입공(111)을 통해 출입하는 케이블체인(130)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부(19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90)는 케이블체인(130)의 이동된 상태를 감지하여 포신(10)에 삽입된 세척모듈(140)의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기초데이터를 제공하는 감지수단으로서, 적외선센서, 근접센서, 홀센서 등과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이동대상의 이동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들이 이용될 수 있다.
더불어,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센서부(190)는 가이드판(113)의 일측에 장착되어 함체부(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회전모터(143)의 회전축에 근접배치되어 회전롤(112)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케이블체인(130)의 이동된 상태를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는 센서부(190)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포신(10) 내부로 삽입된 케이블체인(130)의 길이를 연산하고 포신(10) 내부에 삽입된 세척모듈(140)의 위치를 산출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출된 위치데이터의 수치(N)를 상기 디스플레이(180)에 화면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포신(10)의 내부를 촬영한 영상이미지를 디스플레이(180)에 화면출력하여 오염부위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으므로 내부의 이물질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각 분할 세척구간을 오염정도에 따라 세척강도를 조절하여 작업할 수 있어 세척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제어부(150)는 위치데이터의 기준이 되는 위치기준선(L)을 상기 영상이미지(I)와 매칭시켜 디스플레이(180)에 함께 화면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식별된 이물질(C)과 위치기준선(L)을 일치시키게 되면 포신(10)의 전체 세척부위 내에서 이물질(C)이 배치된 위치를 정교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포신(10)이 위치한 높이에 따라 함체부(110)의 배치위치를 조절하여 포신(10)의 포구공(11)과 출입공(111)이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 내지 도 3에는 함체부(110)의 하부 위치에 이격 배치되며 양측에는 이동바퀴(211)가 장착된 베이스프레임(210) 및, 상기 함체부(110)와 베이스프레임(210) 사이에 장착되어 승강구동하며 함체부(110)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구동부(22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러한 베이스프레임(210)과 승강구동부(220)의 구성을 통해 발사장비마다 포신(10)의 설치높이가 달라지더라도 용이하게 높이조절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동바퀴(211)를 이용하여 작업장소까지 보다 용이하게 포신 세척장치(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모듈(140)의 지지프레임(145)의 둘레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의 에어노즐(146)이 장착되며, 상기 함체부(110)의 내부에는 상기 에어노즐(146)과 에어공급라인(L2)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에어노즐(146)에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23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에어공급부(230)는 외기를 공급받아 일정압으로 가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 의해 생성된 고압의 에어를 일정량 저장하는 에어탱크 및, 상기 에어탱크의 배출단에 배치되어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에어공급라인(L2)으로 배출되는 에어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에어노즐(146)을 통해 포신(10)의 내부로 고압의 에어를 분사할 수 있어 먼지 등과 같이 가벼운 이물질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브러싱작업이나 세정유작업을 위한 사전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45)의 둘레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의 세정유노즐(147)이 장착도며, 상기 함체부(110)의 내부에는 세정유노즐(147)과 세정유공급라인(L3)으로 연결되어 세정유노즐(147)에 세정유를 공급하는 세정유공급부(24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세정유공급부(240)는 일정량의 세정유를 저장하는 세정유조와, 상기 세정유조의 배출단에 배치되어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세정유공급라인(L3)으로 배출되는 세정유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세정유노즐(147)을 통해 세척모듈(140)의 전,후진 동작간에 포신(10) 내부 전체에 고르게 세정유를 도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된다. 또한, 상기 세정유공급부(240)에는 세정유노즐(147)과 세정유조 사이에 압축펌프가 배치되어 세정유노즐(147)를 통해 세정유가 고압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기 지지프레임(145)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외부에는 상기 브러시(142)가 장착되며 내부로 주입되는 에어에 따라 팽창 및 수축 동작하며 브러시(142)의 외경을 조절하는 브러시에어백(25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공급부(230)는 에어공급라인(L4)으로 상기 브러시에어백(250)과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브러시에어백(250)에 에어를 공급하도록 동작된다.
더불어, 상기 지지프레임(145)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외부에는 상기 수입포(141)가 장착되며 내부로 주입되는 에어에 따라 팽창 및 수축 동작하며 수입포(141)의 외경을 조절하는 수입포에어백(260)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공급부(230)는 에어공급라인(L5)으로 상기 수입포에어백(260)과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수입포에어백(260)에 에어를 공급한다.
이와 같이, 세척모듈(140)에는 내부로 주입되는 에어에 따라 팽창 및 수축 동작하며 브러시(142)나 수입포(141)의 외경을 조절하는 브러시에어백(250) 및 수입포에어백(260)가 장착되므로, 구경이 상이한 포신(10)에도 브러시(142)나 수입포(141)의 교체없이 범용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브러시 작업 및 수입포 작업의 강도를 이물질의 오염정도나 흡착상태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포신 세척장치 110..함체부
120...구동모터 130...케이블체인
140...세척모듈 150...제어부
160...가이드관 170...고정모듈
180...디스플레이 210...베이스프레임
220...승강구동부 230...에어공급부
240...세정유공급부 250...브러시에어백
260...수입포에어백

Claims (5)

  1. 포신(10)의 내부를 세척하기 위한 포신 세척장치에 있어서,
    전방에는 출입공(111)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회전롤(112)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함체부(110);
    상기 회전롤(112)과 축연결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롤(112)이 회전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20);
    다수 개의 링크(131)가 연이어 연결된 다관절 구조를 가지며, 일단이 상기 회전롤(112)에 고정된 상태로 둘레에 권선되고 타단은 상기 출입공(11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회전롤(112)의 회전에 따라 전진 및 후진 동작하는 케이블체인(130);
    상기 케이블체인(130)의 타단에 연결되며 둘레에는 수입포(141) 또는 브러시(142)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장착된 세척모듈(140); 및
    조작부(151)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120)를 구동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하는 포신 세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함체부(110)의 출입공(111)측에 장착되며, 내부에는 상기 케이블체인(130) 및 세척모듈(140)이 관통되는 중공(161)이 형성된 가이드관(160); 및
    상기 가이드관(160)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포신(10)의 포구공(11)에 삽입되며 선택적으로 끼움결합되는 걸림턱(171)이 형성된 고정모듈(1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신 세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모듈(140)은,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수입포(141) 또는 브러시(142)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모터(143)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포신(10)의 전체 세척부위를 복수 개의 분할 세척구간으로 나누고, 상기 구동모터(120)를 구동제어하여 각 분할 세척구간별로 세척모듈(140)이 전후진을 반복하며 세척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신 세척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모듈(140)은 포신(10)의 내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14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144)에서 촬영된 영상이미지(I)를 화면출력하는 디스플레이(180); 및
    상기 케이블체인(130)의 이동 또는 구동모터(120)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센서부(19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센서부(190)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포신(10) 내부로 삽입된 케이블체인(130)의 길이를 연산하고 상기 포신(10) 내부에 삽입된 세척모듈(140)의 위치를 산출하며, 산출된 위치데이터의 수치(N)를 상기 디스플레이(180)에 화면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신 세척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위치데이터의 기준이 되는 위치기준선(L)을 상기 영상이미지(I)와 매칭시켜 상기 디스플레이(180)에 함께 화면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신 세척장치.
KR1020150038936A 2015-03-20 2015-03-20 포신 세척장치 KR101755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936A KR101755784B1 (ko) 2015-03-20 2015-03-20 포신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936A KR101755784B1 (ko) 2015-03-20 2015-03-20 포신 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715A true KR20160112715A (ko) 2016-09-28
KR101755784B1 KR101755784B1 (ko) 2017-07-10

Family

ID=57101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8936A KR101755784B1 (ko) 2015-03-20 2015-03-20 포신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5784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697B1 (ko) * 2016-11-07 2017-01-18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정밀 삽입 장치
CN109647818A (zh) * 2018-12-20 2019-04-19 浙江晶科能源有限公司 一种炉管清洗装置
CN109732188A (zh) * 2019-03-11 2019-05-10 汉腾汽车有限公司 一种焊枪固定装置
CN109883262A (zh) * 2019-04-10 2019-06-14 宁波诺驰贸易有限公司 清枪垃圾收纳装置
CN110081773A (zh) * 2019-05-30 2019-08-02 四川巨源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浅膛线炮管的清洗机器人
CN111365869A (zh) * 2020-04-15 2020-07-03 杭州唛唐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太阳能热水器管道清洗机
CN112636288A (zh) * 2020-12-03 2021-04-09 广东电力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具有光纤传感的ioppc线缆的线缆除冰装置
CN112808720A (zh) * 2020-12-24 2021-05-18 北京北方华创微电子装备有限公司 炉管清洗装置及炉管清洗设备
KR102574807B1 (ko) * 2023-02-15 2023-09-06 유니셈(주) 올인원형 배관 세정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166B1 (ko) 2009-11-24 2010-06-15 다불산업주식회사 포신 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063B1 (ko) * 2014-06-11 2014-08-25 김인영 포신 자동청소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166B1 (ko) 2009-11-24 2010-06-15 다불산업주식회사 포신 청소기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697B1 (ko) * 2016-11-07 2017-01-18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정밀 삽입 장치
CN109647818A (zh) * 2018-12-20 2019-04-19 浙江晶科能源有限公司 一种炉管清洗装置
CN109732188A (zh) * 2019-03-11 2019-05-10 汉腾汽车有限公司 一种焊枪固定装置
CN109883262B (zh) * 2019-04-10 2023-09-22 宁波诺驰贸易有限公司 清枪垃圾收纳装置
CN109883262A (zh) * 2019-04-10 2019-06-14 宁波诺驰贸易有限公司 清枪垃圾收纳装置
CN110081773A (zh) * 2019-05-30 2019-08-02 四川巨源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浅膛线炮管的清洗机器人
CN110081773B (zh) * 2019-05-30 2024-02-20 四川巨源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浅膛线炮管的清洗机器人
CN111365869B (zh) * 2020-04-15 2020-11-10 杭州唛唐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太阳能热水器管道清洗机
CN111365869A (zh) * 2020-04-15 2020-07-03 杭州唛唐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太阳能热水器管道清洗机
CN112636288B (zh) * 2020-12-03 2022-02-22 广东电力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具有光纤传感的ioppc线缆的线缆除冰装置
CN112636288A (zh) * 2020-12-03 2021-04-09 广东电力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具有光纤传感的ioppc线缆的线缆除冰装置
CN112808720A (zh) * 2020-12-24 2021-05-18 北京北方华创微电子装备有限公司 炉管清洗装置及炉管清洗设备
KR102574807B1 (ko) * 2023-02-15 2023-09-06 유니셈(주) 올인원형 배관 세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5784B1 (ko) 201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5784B1 (ko) 포신 세척장치
US9200861B1 (en) Auto cleaner for gun barrel
KR101237310B1 (ko) 천정형 에어컨 세정장치
US7367288B2 (en) Upper bundle cleaning system of steam generator
KR101118018B1 (ko) 원격 조종에 의한 고층건물의 창문 및 조형물 자동 청소장치
US10391507B2 (en) Portable washing device
CN108677671B (zh) 一种道路裂缝修补清理机
CN105615780A (zh) 多功能高楼清洗装置
CN108405506A (zh) 一种用于清洗石油管道内壁的清洗机
KR100905465B1 (ko) 가변적인 프레임 구조를 갖는 건물의 외부관리 무인화 장치
KR20190109659A (ko) 유리벽 세척을 위한 로봇 청소 장치
JP3204276U (ja) 洗浄装置及び洗浄システム
KR20120003419A (ko) 원격 조종에 의한 고층건물의 외벽 자동 도색 장치
CN112324099B (zh) 一种建筑装修用具有防飞溅结构的便捷式墙面滚刷装置
CN211116097U (zh) 一种可移动式隧道施工扬尘喷雾装置
KR20100012421A (ko) 건물도색로봇
CN108043799A (zh) 一种具备报警功能的电力监控装置
KR20160001022A (ko) 하수배관 맞춤형 막힘 제거 장치
JP3204563U (ja) 配管内の総合メインテナンス装置
CN208511751U (zh) 高层建筑物消防系统
CN215508013U (zh) 一种医疗器械清洗装置
KR20190109920A (ko) 에어컨열교환기 세척장치용 세척노즐조립체
KR20150026628A (ko) 골프채 세척장치
KR101418424B1 (ko) 파이프 내벽용 청소 검사 장치
CN209055354U (zh) 一种新型在线监测河流饮用水水质便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