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9920A - 에어컨열교환기 세척장치용 세척노즐조립체 - Google Patents

에어컨열교환기 세척장치용 세척노즐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9920A
KR20190109920A KR1020180031622A KR20180031622A KR20190109920A KR 20190109920 A KR20190109920 A KR 20190109920A KR 1020180031622 A KR1020180031622 A KR 1020180031622A KR 20180031622 A KR20180031622 A KR 20180031622A KR 20190109920 A KR20190109920 A KR 20190109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nozzle
heat exchanger
air conditioner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브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브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브산업
Priority to KR1020180031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9920A/ko
Publication of KR20190109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9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00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 F28G1/16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using jets of fluid for removing debris
    • F28G1/166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using jets of fluid for removing debris from external surfaces of heat exchange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5/00Details
    • F28G15/003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5/00Details
    • F28G15/04Feeding and driving arrangements, e.g. power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2Cleaning ducts or apparatus
    • F24F2221/225Cleaning ducts or apparatus using a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5/00Details
    • F28G2015/006Arrangements for processing a cleaning fluid after use, e.g. filtering and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세척박스(410)의 하부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에어컨열교환기 세척장치의 붐대조립체(3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헤드결합축(420); 상기 세척박스(410) 내부에 구비되며 에어컨열교환기로 세척액과 물 및 건조공기를 선택적으로 분사하는 복수개의 세척노즐(433)이 구비된 노즐부(430); 상기 노즐부(430)가 상기 세척박스(410)의 가이드구(413)를 따라 직선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노즐구동부(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컨열교환기 세척장치용 세척노즐조립체{WASHING NOZZLE ASSEMBLY FOR HEAT CHANGER WAS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세척노즐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에어컨의 열교환기를 세척하는 에어컨열교환기 세척장치에 결합되어 세척액을 분사하는 세척노즐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에어컨은 실내공기를 유입하여 열교환한 후 다시 실내로 배출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실내공기를 저온화 또는 고온화하는 장치이다. 이 과정에서 실내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포함한 오염물질이 열교환기를 거치면서 습기와 뒤섞여 부착되는데, 이를 세척하지 않을 경우, 기회감염균, 알레르기 유발균, 병원성 세균이 증식되어 악취 및 각종 세균성 질환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고 있으며, 열교환기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에 따라 에어컨의 동작을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에어컨 내부의 열교환기를 세척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에어컨 열교환기를 세척할 수 있는 에어컨 세척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일례로, 등록특허 제10-1676284호에 "천정 에어컨용 세척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천정 에어컨용 세척장치는 세척헤드가 가이드바를 따라 직선이동만 할 수 있으므로 세척액을 분사할 수 있는 각도가 천장을 향하는 한 방향으로 제한된다. 이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세척액을 분사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또한, 세척헤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바의 부피가 커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628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형 크기로 세척액을 다양한 각도로 분사할 수 있는 에어컨열교환기 세척장치용 세척노즐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세척박스(410)의 하부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에어컨열교환기 세척장치의 붐대조립체(3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헤드결합축(420); 상기 세척박스(410) 내부에 구비되며 에어컨열교환기로 세척액과 물 및 건조공기를 선택적으로 분사하는 복수개의 세척노즐(433)이 구비된 노즐부(430); 상기 노즐부(430)가 상기 세척박스(410)의 가이드구(413)를 따라 직선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노즐구동부(440)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구동부(440)는, 상기 세척박스(410)의 외측 일단에 구비된 노즐구동모터(441); 상기 세척박스(410)의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구비되며, 상기 노즐구동모터(441)의 정역회전에 의해 연동하여 회전하며, 판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이송스크류축(443); 상기 노즐부(430)에서 제공되는 유체로부터 이송스크류축(443)을 보호하도록 상기 이송스크류축(443)의 외측을 감싸되 하면이 개구된 축하우징(444); 상기 축하우징(444)의 외측으로 장착되되 상기 축하우징(444)의 개구된 방향에서 상기 이송스크류축(443)과 나사결합되는 노즐이동블럭(445); 상기 가이드구의 경로상에 설치되어 노즐이동불럭(445)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한 쌍의 리미트스위치(449, 449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리미트스위치(449, 449a) 각각은, 상기 가이드구(413)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블럭몸체(BM); 및 상기 블럭몸체(BM)에 설치되며 상기 노즐부(430)의 접촉에 따른 접촉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모듈(S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노즐부(430)는, 상기 노즐이동블럭(445)에 장착되어 이송하는 노즐프레임(431); 및 상기 노즐프레임(431)의 일측에 장착되되 상기 스위치모듈(SM)에 감지되도록 상기 가이드구(413)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감지바(43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세척박스(4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오염수받이(5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염수받이(500)는 사각 형상의 프레임(510); 상기 프레임(510)의 양 측면에 수직으로 배치된 한 쌍의 지지바(520); 상기 한 쌍의 지지바(520)를 상호 연결하되 벽걸이형 에어컨(D)에 걸려 오염수받이(500)의 상, 하 높이를 조절하는 와이어(530); 및 에어컨열교환기의 청소 폐수가 저장되도록 상기 프레임(510)에 장착되는 수렴부재(5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세척박스(410)와 직결되는 이동키트(6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키트(600)는, 박스 형상의 이동케이스(610); 상기 이동케이스(610)의 내부에 설치되며 물저장조에서 세척액을 압송하는 이동펌프(620); 상기 이동케이스(6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펌프(620)에 의해 압송된 세척액이 저장되는 저장실(630); 고압세척기와 저장실(630)을 연결하는 제1 이동배관(640); 및 상기 이동펌프(620)와 저장실(630)을 연결하는 제2 이동배관(6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척노즐조립체는 에어컨열교환기 세척장치에 결합되어 에어컨열교환기로 세척액을 분사한다. 이 때, 세척노즐이 세척박스의 측면에 구비된 이송스크류축을 따라 좌우로 직선이동되므로 전체 세척노즐조립체의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척노즐조립체는 세척노즐의 왕복 이송거리를 리미트스위치를 통해 조절하여 세척범위를 에어컨 열교환기의 폭에 맞출 수 있으므로 다양한 종류의 에어컨 세척에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 축하우징이 이송스크류축을 감싸 보호하고 있으므로 노즐부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액 또는 에어컨열교환기를 청소하고 남은 폐수에 의해 이송스크류축이 녹슬어 나사산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노즐조립체가 적용된 에어컨열교환기 세척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노즐조립체가 에어컨열교환기 세척장치에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노즐조립체의 구성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노즐조립체가 에어컨열교환기의 붐대조립체에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노즐조립체의 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노즐조립체의 노즐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노즐조립체의 구동과정을 도시한 단면예시도,
도 8과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노즐조립체가 적용된 에어컨열교환기 세척장치가 에어컨을 세척하는 동작을 도시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오염수받이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와 붐대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키트와 세척박스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세척노즐조립체는 원웨이 에어컨, 투웨이 에어컨, 벽걸이 에어컨, 스탠딩 에어컨 등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벽걸이 에어컨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척노즐조립체(400)는 에어컨의 열교환기를 세척하는 에어컨열교환기 세척장치(1)에 구비되어 열교환기로 세척액을 분사한다.
에어컨열교환기 세척장치(1)는 지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세척액과 물 및 건조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본체(100)와, 세척할 에어컨열교환기로 세척액과 물 및 건조공기를 선택적으로 분사하는 세척노즐조립체(400)와, 세척노즐조립체(400)와 결합되어 세척노즐조립체(400)를 지지하는 붐대조립체(300)와 본체(100)에 대해 붐대조립체(300)를 지지하는 붐대지지부(200)를 포함한다.
에어컨열교환기 세척장치(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붐대조립체(300)가 붐대지지부(200)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붐대조립체(300)에 서로 다른 종류의 세척노즐조립체(400,400a)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세척노즐조립체(400)는 크기가 상이하게 복수개로 구비된다. 스탠드형 에어컨과 벽걸이형 에어컨을 세척할 수 있는 직사각형 형태의 세척노즐조립체(400)와 상대적으로 넓이가 넓은 정사각형 형태의 천정형 에어컨을 세척할 수 있는 천정형 세척노즐조립체(400a)로 구분되어 각각 제조될 수 있다.
작업자는 세척할 에어컨의 종류에 맞게 세척노즐조립체(400,400a)를 선택하여 붐대조립체(300)에 결합하여 사용한다.
천정형 세척노즐조립체(400a)와 세척노즐조립체(400)는 그 크기만 상이할 뿐 결합구조와 동작과정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세척노즐조립체(400)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세척노즐조립체(400)가 결합되는 에어컨열교환기 세척장치(1)의 나머지 구성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본체(1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프레임(110)과, 본체프레임(110)에 수용되는 세척액저장조(120)와 물저장조(125), 세척액과 물을 선택적으로 세척노즐조립체(400)로 고압으로 공급하는 고압세척기(140)와, 세척액과 물을 선택적으로 고압세척기(140)로 공급하는 공급펌프(130), 건조공기를 세척노즐조립체(400)로 공급하는 컴프레셔(15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지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세척노즐조립체(400)로 세척액(M) 또는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세척액은 세척제와 물이 일정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된다. 세척액이 열교환기로 먼저 분사되어 열교환기 표면의 오염물질들을 제거하고, 후순하여 물이 분사되어 열교환기 표면을 깨끗하게 씻어낸다.
그리고, 깨끗하게 씻겨진 열교환기로 컴프레셔(150)에 의해 건조공기가 공급되어 열교환기를 건조시키게 된다.
붐대지지부(200)는 붐대조립체(300)를 본체(100)에 결합시키며, 작업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붐대조립체(300)의 각도를 조절한다.
붐대지지부(200)는 본체프레임(110)에 결합되는 붐대지지프레임(210)과, 붐대조립체(300)와 결합되는 붐대결합프레임(220)과, 붐대지지프레임(210)과 붐대결합프레임(220) 사이에 구비되어 붐대조립체(300)의 각도를 조절하는 붐대각도조절실린더(도 8의 230)와, 붐대각도조절실린더(230)에 의해 붐대조립체(300)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붐대결합프레임(220)를 지지하는 붐대회동지지축(240)을 포함한다. 또한, 세척노즐조립체(400)가 결합되는 노즐결합헤드(370)와, 노즐결합헤드(370)의 각도를 조절하는 헤드각도조절실린더(380)를 포함한다. 한편, 본체(100)의 자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척노즐조립체(400)는 세척할 대상인 에어컨의 열교환기로 세척액과 물 및 건조공기를 순차적으로 분사한다.
세척노즐조립체(400)는 일정 크기를 갖는 상단이 개방된 함체형상이고 외측을 향해 가이드구(413)가 관통 형성되는 세척박스(410), 상기 세척박스(410)의 하부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붐대조립체(3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헤드결합축(420), 상기 세척박스(410) 내부에 구비되며 에어컨열교환기로 세척액과 물 및 건조공기를 선택적으로 분사하는 복수개의 세척노즐(433)이 구비된 노즐부(430), 상기 노즐부(430)가 상기 세척박스(410)의 가이드구(413)를 따라 직선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노즐구동부(440)를 포함한다.
세척박스(410)는 세척대상인 에어컨열교환기를 커버할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된다. 세척박스(410)는 세척노즐(433)이 이동되며 세척액을 분사하는 공간으로 작용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 열교환기를 세척하며 오염된 오염수가 저장되는 오염수받이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벽걸이형 에어컨에 대응되는 세척박스(410)는 상면이 개방된 직사각형 함체 형태로 형성된다. 세척박스(410)의 하부는 오염수가 바닥으로 모여질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세척박스(410)의 바닥면에는 오염수를 배출하는 물배출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헤드결합축(420)은 세척박스(410)의 중심영역에 하부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구비된다. 헤드결합축(4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결합헤드(370)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레버(373)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다.
헤드결합축(420)의 하부에는 고압세척기(140)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액(M)과 물과 컴프레셔(150)로부터 공급되는 건조공기가 유입되는 세척액유입관(421)이 구비된다. 세척액유입관(421)은 헤드결합축(420)이 노즐결합헤드(370)에 수용되었을 때, 노즐결합헤드(370)의 하부로 노출될 수 있는 길이로 구비된다. 세척액유입관(421)과 고압세척기(140) 및 컴프레셔(150)는 세척액공급호스(151)로 연결된다.
세척액유입관(421)은 헤드결합축(420)의 내부로 연장형성되고, 세척박스(410)의 하부에 위치한 세척액배출관(423)과 연결된다. 세척액배출관(423)은 상부세척액공급호스(435)를 통해 노즐부(430)의 세척액유입구(431a)와 연결된다.
여기서, 헤드결합축(420)이 결합되는 노즐결합헤드(370)의 결합판(375)에는 헤드각도조절실리더(380)가 결합된다.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각도조절실린더(380)의 헤드각도조절로드(381)의 길이변화에 따라 헤드결합축(420)이 결합된 결합관(371) 하부의 결합판(375)의 각도가 조절되어 세척노즐조립체(400) 전체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노즐부(430)는 세척박스(410) 내부를 가로질러 이동하며 세척액(M)을 분사한다. 노즐부(430)는 내부에 세척액(M)이 유동되는 유로(미도시)가 형성된 노즐프레임(431), 노즐프레임(431)의 상단에 구비된 세척노즐(433), 노즐프레임(431)의 일측에 장착되되 가이드구(413)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감지바(439)를 포함한다.
도 2의 확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프레임(431)의 내부에는 세척액이 이동되는 유로가 형성되고, 노즐프레임(431)에는 세척액유입구(431a)가 형성된다. 세척액유입구(431a)와 세척액배출관(423)은 상부세척액공급호스(435)로 연결된다.
한편, 노즐부(430)가 세척박스(410)의 내부를 가로질러 이동할 때 상부세척액공급호스(435)의 길이가 짧거나 유연하지 못하여 노즐부(430)의 이동 반경에 대응하여 변형되지 못할 경우 상부세척액공급호스(435)가 꼬여 노즐부(430)의 원활한 이동을 방해할 우려가 있다.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액유입구(431a)와 세척액배출관(423)에 각각 제1, 2 스위벨 조인트(1SJ, 2SJ)를 설치하고 제1, 2 스위벨 조인트(1SJ, 2SJ) 사이에 상부세척액공급호스(435)를 배치시켜 노즐부(430)가 이동하여도 상부세척액공급호스(435)가 노즐부(430)의 이동에 대해 유연하게 반응하도록 구현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스위벨 조인트(1SJ)는 세척액유입구(431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회전블럭(1RB) 및 제1 회전블럭(1R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부세척액공급호스(435)와 연통하는 제1 연결블럭(1JB)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제2 스위벨 조인트(2SJ)는 세척액배출관(42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회전블럭(2RB) 및 제2 회전블럭(2R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부세척액공급호스(435)와 연통하는 제2 연결블럭(2JB)으로 구성된다.
즉, 제1, 2 스위벨 조인트(1SJ, 2SJ)는 각각 회전하는 관절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노즐부(430)가 이동하여도 상부세척액공급호스(435)가 꼬여 노즐부(430)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세척노즐(433)은 노즐프레임(431)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다. 세척노즐(433)은 서로 다른 각도로 세척액(M)과 물 및 건조공기를 분사할 수 있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로써, 열교환기에 대한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노즐구동부(440)는 상기 세척박스(410)의 외측 일단에 구비된 노즐구동모터(441), 상기 세척박스(410)의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구비되며, 상기 노즐구동모터(441)의 정역회전에 의해 연동하여 회전하며, 판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이송스크류축(443), 상기 노즐부(430)에서 제공되는 유체로부터 이송스크류축(443)을 보호하도록 상기 이송스크류축(443)의 외측을 감싸되 하면이 개구된 축하우징(444), 상기 축하우징(444)의 외측으로 장착되되 상기 축하우징(444)의 개구된 방향에서 상기 이송스크류축(443)과 나사결합되는 노즐이동블럭(445), 상기 가이드구(413)의 경로상에 설치되어 노즐이동불럭(445)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한 쌍의 리미트스위치(449, 449a);를 포함한다.
이송스크류축(443)은 세척박스(410)의 내부 공간을 가로질러 배치되도록 세척박스(410)의 내부 공간과 대응되는 길이로 구비된다.
축하우징(444)은 상기 이송스크류축(443)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최소한 이송스크류축(443)의 상면과 양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현된다. 그리고, 개구된 하면을 통해 노즐이동블럭(445)이 이송스크류축(443)의 나사산과 치합된다.
축하우징(444)이 이송스크류축(443)을 감싸 보호하고 있으므로 노즐부(430)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액(M) 또는 에어컨열교환기를 청소하고 남은 폐수가 이송스크류축(443)에 묻어 이송스크류축(443)의 나사산이 녹슬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노즐이동블럭(445)은 이송스크류축(443)에 나사결합되어 이송스크류축(443)의 회전방향에 따라 축하우징의 외측에서 좌우로 직선이동되게 한다.
이 때, 노즐이동블럭(445)의 상부에는 노즐프레임(431)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노즐이동블럭(445)의 이동에 연동하여 노즐프레임(431)이 세척박스(410) 내부를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노즐이동블럭(445)에는 축하우징의 상면에 접하여 이동을 안내하는 수평롤러(445b)가 구비된다.
수평롤러(445b)는 노즐이동블럭(445)에 아이들회전되게 결합된다. 이송스크류축(443)을 따라 노즐이동블럭(445)이 이송되는 이송압력에 의해 수평롤러(445b)는 가이드레일(447)을 따라 이동되며 노즐이동블럭(445)이 직선이송되도록 안내한다.
다음으로, 리미트스위치(449,449a)는 세척할 에어컨의 폭에 대응되는 거리로 이송스크류축(443)에 결합되어 노즐부(430)가 세척할 세척범위를 제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리미트스위치(449, 449a) 각각은, 상기 가이드구(413)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블럭몸체(BM) 및 상기 블럭몸체(BM)에 설치되며 상기 노즐부(430)의 접촉에 따른 접촉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모듈(SM)을 포함한다.
본체(100)의 제어부는 우측 리미트스위치(449a)로부터 후술되는 감지바(439)의 접촉신호가 수신되면, 구동모터(441)의 구동방향을 반대로 전환한다. 또한, 좌측 리미트스위치(449)로부터 감지바(439)의 접촉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는 구동모터(441)의 구동방향을 다시 반대로 전환한다.
일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형 에어컨(A)인 경우, 열교환기(B)의 폭이 세척박스(410)의 폭 보다 좁다. 이 경우, 노즐부(430)가 세척박스(410)의 이송스크류축(443)의 전체 길이를 왕복이동하며 세척액을 분사할 경우, 스탠드형 에어컨의 외부까지 세척액에 노출된다.
이에 리미트스위치(449,449a)를 열교환기(B)의 폭(W1)에 대응되게 가이드구(413)를 따라 이동시켜 노즐부(430)의 세척범위를 열교환기(B)의 폭(W1)으로 제한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걸이형 에어컨(D)인 경우, 열교환기(B)의 폭(W2)이 스탠드형 보다 넓다. 이에 리미트스위치(449,449a)를 열교환기(B)의 폭(W2)에 대응되게 다시 조절하여 세척범위를 조절한다.
한편, 노즐부(430)는 상기 노즐프레임(431)의 일측에 장착되되 상기 스위치모듈(SM)에 감지되도록 상기 가이드구(413)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감지바(439)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부(430)의 위치이동에 따라 상기 감지바(439)가 한 쌍의 리미트스위치 (449,449a)사이에서 이동하며 스위치모듈(SM)에 의해 감지되고, 접촉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제어부는 구동모터(441)의 구동방향을 제어한다.
그리고, 세척박스(410)의 하부에 별도의 오염수받이(500)를 배치하고 세척작업을 진행할 수도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염수받이(500)는 사각 형상의 프레임(510), 상기 프레임(510)의 양 측면에 수직으로 배치된 한 쌍의 지지바(520), 상기 한 쌍의 지지바(520)를 상호 연결하되 벽걸이형 에어컨(D)에 걸려 오염수받이(500)의 상, 하 높이를 조절하는 와이어(530) 및 에어컨열교환기의 청소 폐수가 저장되도록 상기 프레임(510)에 장착되는 수렴부재(540)로 구성된다.
오염수받이(500)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열교환기 세척장치용 세척노즐조립체의 구동 전 벽걸이형 에어컨(D)에 걸고, 상기 와이어(530)를 당기거나 풀어 오염수받이(500)의 적정 높이를 확보한 상태에서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청소 후 발생하는 폐수는 수렴부재(540)로 1차 낙하하여 저장되고, 수렴부재(540)에 형성된 배출로(550)를 향해 이송되어 별도 구비된 배출통(미도시)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본체(100)는 지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세척노즐조립체(400)로 세척액(M)과 물을 공급한다.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는 본체프레임(110)과, 본체프레임(110)에 수용되는 세척액저장조(120)와 물저장조(125), 세척액과 물을 고압으로 세척노즐조립체(400)로 공급하는 고압세척기(140)와, 세척액과 물을 고압세척기(140)로 공급하는 공급펌프(130), 세척이 완료된 열교환기로 건조공기를 공급하여 열교환기를 건조시키는 컴프레셔(150)를 포함한다.
본체프레임(110)은 서로 다른 높이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판(111) 및 베이스판(113)과, 이들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레그(115)들을 포함한다. 상판(111)에는 붐대지지부(200)의 붐대각도조절실린더(230)와 붐대회동지지축(240)을 수용하는 관통공(111a)이 일정 면적 형성된다.
상판(111)의 테두리영역에는 복수개의 지지레그(115)가 수직하게 결합된다. 지지레그(115)의 하부에는 이동바퀴(116)가 구비되어 본체(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베이스판(113)은 세척액저장조(120)와 물저장조(125), 고압세척기(140), 공급펌프(130) 및 컴프레셔(150)를 함께 지지한다.
지지레그(115)에는 수평방향으로 한 쌍의 이동암가이드레일(117)이 구비되고, 이동암가이드레일(117)에는 이동암(118)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동암(118)은 에어컨열교환기 세척장치(1)가 세척을 위해 본체(10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지지한다.
본체프레임(110)은 하부에 결합된 이송바퀴(116)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지 않고 좌우로 유동될 수 있다. 이동암(118)은 한 쌍의 이동암가이드레일(117)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게 구비되어, 세척작업을 하지 않을 때는 이동암(118)이 가이드레일(447) 내부에 수용되고, 세척작업을 할 때는 이동암(118)이 이동암가이드레일(117) 외부로 돌출되게 이동된다. 이동암(118)의 단부에는 지면에 접촉지지되는 고정판(119)이 구비된다. 고정판(119)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이동암가이드레일(117)에 수용될 때는 지면에 접촉되지 않게 높이가 조절된다.
이동암(118)의 고정판(119)이 지면에 접촉지지되는 것에 의해 본체(100)의 위치가 지면에 고정될 수 있어 세척작업 동안 본체(100)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세척액저장조(120)는 베이스판(113)의 상부에 적재되며, 내부에 에어컨열교환기 세척에 사용되는 세척액이 저장된다. 세척액은 세제와 물이 일정 농도로 혼합되어 제조된다. 세척액저장조(120)는 공급펌프(130)과 배관을 통해 연결된다.
물저장조(125)는 세척액저장조(120)와 이격되게 베이스판(113)에 적재된다. 물저장조(125)는 공급펌프(130)와 배관을 통해 연결된다.
세척액이 열교환기로 분사되어 열교환기 표면의 이물질을 분리하면, 물이 분사되어 열교환기 표면의 이물질과 세척액을 씻어내린다.
세척액저장조(120)와 물저장조(125)의 상부에는 각각 캡이 구비되어 수시로 세척액과 물을 보충할 수 있다.
공급펌프(130)는 물저장조(125)와 세척액저장조(120)로부터 물과 세척액를 선택적으로 배출시켜 고압세척기(140)로 공급한다. 고압세척기(140)는 공급펌프(130)에 의해 내부로 선택적으로 공급된 물과 세척액를 고압으로 세척노즐조립체(400)로 공급한다.
컴프레셔(150)는 공기를 세척노즐조립체(400)로 공급하여 세척액과 물의 공급에 의해 젖어 있는 열교환기를 건조시킨다.
고압세척기(140)와 컴프레셔(150)는 각각 세척액공급호스(151)를 통해 세척노즐조립체(400)의 헤드결합축(420)의 세척액유입구(431a)와 연결된다.
한편, 베이스판(113) 또는 상판(111)에는 제어박스(160)와 입력패널(170)이 구비될 수 있다. 입력패널(170)은 사용자로부터 붐대조립체(300)의 높이와 각도, 붐대조립체(300)의 길이, 세척노즐조립체(400)의 각도 등 세척에 필요한 조건을 입력받는다.
제어박스(160)는 입력패널(170)에 의해 입력받은 입력신호에 따라 각 구성들이 동작되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노즐조립체(400)의 세척과정을 설명한다.
작업자는 붐대조립체(300)의 헤드각도조절실린더(380)를 구동하여 세척박스(410)의 각도를 조절한다. 통상 벽걸이형 에어컨의 경우 벽면에 일정 각도 경사지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세척박스(410)의 각도를 조절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작업자는 헤드각도조절실린더(380)의 길이를 짧게 또는 길게 조절하여 세척박스(410)의 각도를 조절한다.
세척박스(410)의 각도 조절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세척할 에어컨열교환기의 폭에 맞게 리미트스위치(449,449a)의 위치를 조절한다.
작업자는 한 쌍의 리미트스위치(449,449a)를 에어컨열교환기의 폭(W1)에 대응되게 가이드구(413)에서 조절하여 노즐부(430)의 세척범위를 조절한다.
이렇게 모든 조건이 맞춰지면, 작업자는 공급펌프(130)와 고압세척기(140) 및 컴프레셔(150)를 구동한다. 이에 의해 세척액이 공급펌프(130)에 의해 고압세척기(140)로 유입된 후, 노즐부(430)로 공급되고, 세척노즐(433)을 통해 열교환기(B)로 분사된다.
노즐프레임(431)이 세척박스(410) 내부를 왕복하며 다양한 방향에서 세척액을 분사하여 열교환기 표면의 오염물질을 세척한다.
그리고, 동일한 과정에 의해 세척노즐(433)을 통해 물을 분사하여 열교환기를 깨끗하게 세척하게 된다. 세척이 완료된 후에는 컴프레셔(150)로부터 건조공기가 공급되어 열교환기 표면을 건조시킨다.
열교환기를 세척한 오염수는 세척박스(410) 바닥으로 수집되어 오염수받이(50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에어컨열교환기가 설치된 실내공간이 협소할 경우 상대적으로 점유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본체(100), 붐대지지부(200), 붐대조립체(300) 등의 부재들을 실내공간으로 투입시키는 것은 효율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은 세척박스(410)와 이동키트(600)만을 구비하여 본체(100), 붐대지지부(200), 붐대조립체(300) 등의 부재들 없이도 에어컨열교환기의 청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키트(6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형상의 이동케이스(610), 상기 이동케이스(6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측으로 별도 구비된 물저장조(미도시)에서 세척액을 압송하는 이동펌프(620), 상기 이동케이스(6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펌프(620)에 의해 압송된 세척액이 저장되는 저장실(630), 외측으로 별도 구비된 고압세척기(미도시)와 저장실(630)을 연결하는 제1 이동배관(640), 상기 이동펌프(620)와 저장실(630)을 연결하는 제2 이동배관(650)을 포함한다.
이하, 세척박스(410)와 이동키트(600)의 설치과정 및 작용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술한 방법으로 세척박스(410)를 에어컨열교환기에 설치한다. 이때, 에어컨열교환기에 세척박스(410)를 고정할 수 있는 별도의 고정수단(미도시)이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세척박스(410)와 이동키트(600)를 연결시킨다. 이때, 세척액배출관(423)과 저장실(630)을 연결하는 제3 이동배관(660)에 의해 세척박스(410)와 이동키트(600)가 직결된다.
세척박스(410)와 이동키트(600)의 연결이 완료되면 이동펌프(620)를 가동하여 물저장조에서 세척액을 저장실(630) 측으로 압송한다. 다음으로, 저장실(630)에 저장된 세척액을 제3 이동배관(660)을 통해 세척박스(410)로 공급하기 위하여 고압세척기를 가동한다. 고압세척기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기체는 제1 이동배관(640)을 타고 저장실(630)로 유입되며, 저장실(630)에 저장된 세척액을 세척액배출관(423) 측으로 이동시킨다.
세척액배출관(423) 측으로 이송된 세척액은 노즐부(430)로 제공되어 에어컨열교환기의 청소에 활용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에어컨열교환기 세척장치용 세척노즐조립체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에어컨열교환기 세척장치
100 : 본체 110 : 본체프레임
111 : 상판 113 : 베이스판
117 : 이동암가이드레일 118 : 이동암
119 : 고정판 120 : 세척액저장조
125 : 물저장조 130 : 공급펌프
140 : 고압세척기 150 : 컴프레셔
151 : 세척액공급호스 160 : 제어박스
200 : 붐대지지부 210 : 붐대지지프레임
220 : 붐대결합프레임 230 : 붐대각도조절실린더
240 : 붐대회동지지축 250 : 붐대회동축
300 : 붐대조립체 310 : 본체결합관
320 : 중간연결관 330 : 헤드결합관
340 : 헤드결합박스 350 : 중간연결관구동실린더
360 : 헤드결합관구동실린더 370 : 노즐결합헤드
371 : 결합관 373 : 고정레버
373a : 수평단 373b : 돌출단
373c : 레버회전축 375 : 결합판
375a : 결합관결합공 375b : 실린더결합브래킷
380 : 헤드각도조절실린더 381 : 헤드각도조절로드
383 : 헤드각도조절축 400 : 세척노즐조립체
410 : 세척박스 411 : 물배출공
413 : 가이드구 420 : 헤드결합축
421 : 세척액유입관 430 : 노즐부
431 : 노즐프레임 431a : 세척액유입구
435 : 상부세척액공급호스 449,449a : 리미트스위치
440 : 노즐구동부 441 : 구동모터
443 : 이송스크류축 445 : 노즐이동블럭

Claims (5)

  1. 에어컨열교환기 세척장치에 결합되어 세척액을 에어컨열교환기로 분사하는 에어컨열교환기 세척장치용 세척노즐조립체에 있어서,
    일정 크기를 갖는 상단이 개방된 함체형상이고 외측을 향해 가이드구(413)가 관통 형성되는 세척박스(410);
    상기 세척박스(410)의 하부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에어컨열교환기 세척장치의 붐대조립체(3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헤드결합축(420);
    상기 세척박스(410) 내부에 구비되며 에어컨열교환기로 세척액과 물 및 건조공기를 선택적으로 분사하는 복수개의 세척노즐(433)이 구비된 노즐부(430);
    상기 노즐부(430)가 상기 세척박스(410)의 가이드구(413)를 따라 직선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노즐구동부(440)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구동부(440)는,
    상기 세척박스(410)의 외측 일단에 구비된 노즐구동모터(441);
    상기 세척박스(410)의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구비되며, 상기 노즐구동모터(441)의 정역회전에 의해 연동하여 회전하며, 판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이송스크류축(443);
    상기 노즐부(430)에서 제공되는 유체로부터 이송스크류축(443)을 보호하도록 상기 이송스크류축(443)의 외측을 감싸되 하면이 개구된 축하우징(444);
    상기 축하우징(444)의 외측으로 장착되되 상기 축하우징(444)의 개구된 방향에서 상기 이송스크류축(443)과 나사결합되는 노즐이동블럭(445);
    상기 가이드구(413)의 경로상에 설치되어 노즐이동불럭(445)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한 쌍의 리미트스위치(449, 449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열교환기 세척장치용 세척노즐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리미트스위치(449, 449a) 각각은,
    상기 가이드구(413)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블럭몸체(BM); 및
    상기 블럭몸체(BM)에 설치되며 상기 노즐부(430)의 접촉에 따른 접촉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모듈(S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열교환기 세척장치용 세척노즐조립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430)는,
    상기 노즐이동블럭(445)에 장착되어 이송하는 노즐프레임(431); 및
    상기 노즐프레임(431)의 일측에 장착되되 상기 스위치모듈(SM)에 감지되도록 상기 가이드구(413)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감지바(43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열교환기 세척장치용 세척노즐조립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세척박스(4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오염수받이(5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염수받이(500)는 사각 형상의 프레임(510);
    상기 프레임(510)의 양 측면에 수직으로 배치된 한 쌍의 지지바(520);
    상기 한 쌍의 지지바(520)를 상호 연결하되 벽걸이형 에어컨(D)에 걸려 오염수받이(500)의 상, 하 높이를 조절하는 와이어(530); 및
    에어컨열교환기의 청소 폐수가 저장되도록 상기 프레임(510)에 장착되는 수렴부재(5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열교환기 세척장치용 세척노즐조립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척박스(410)와 직결되는 이동키트(6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키트(600)는,
    박스 형상의 이동케이스(610);
    상기 이동케이스(610)의 내부에 설치되며 물저장조에서 세척액을 압송하는 이동펌프(620);
    상기 이동케이스(6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펌프(620)에 의해 압송된 세척액이 저장되는 저장실(630);
    고압세척기와 저장실(630)을 연결하는 제1 이동배관(640); 및
    상기 이동펌프(620)와 저장실(630)을 연결하는 제2 이동배관(6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열교환기 세척장치용 세척노즐조립체.
KR1020180031622A 2018-03-19 2018-03-19 에어컨열교환기 세척장치용 세척노즐조립체 KR201901099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622A KR20190109920A (ko) 2018-03-19 2018-03-19 에어컨열교환기 세척장치용 세척노즐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622A KR20190109920A (ko) 2018-03-19 2018-03-19 에어컨열교환기 세척장치용 세척노즐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920A true KR20190109920A (ko) 2019-09-27

Family

ID=68097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622A KR20190109920A (ko) 2018-03-19 2018-03-19 에어컨열교환기 세척장치용 세척노즐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992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0780A1 (de) * 2020-02-14 2021-08-19 Gyoeri Tamas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desinfektion von medienführenden kanälen und verwendung der vorrichtung
KR102367041B1 (ko) * 2021-09-28 2022-02-25 파인무역 주식회사 천정형 에어컨 청소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284B1 (ko) 2016-02-29 2016-11-15 (주)지금강이엔지 천정 에어컨용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284B1 (ko) 2016-02-29 2016-11-15 (주)지금강이엔지 천정 에어컨용 세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0780A1 (de) * 2020-02-14 2021-08-19 Gyoeri Tamas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desinfektion von medienführenden kanälen und verwendung der vorrichtung
KR102367041B1 (ko) * 2021-09-28 2022-02-25 파인무역 주식회사 천정형 에어컨 청소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9245A (en) Filter cleaning system
US10098428B2 (en) Horizontal rotating spineboard washer
AU680074B2 (en) Solid detergent dispenser for floor scrubber machine
CA2124942C (en) Cleaning apparatus
US8763619B2 (en) Combination agitating parts washer and sink washer
KR20190109920A (ko) 에어컨열교환기 세척장치용 세척노즐조립체
RU272444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езинфекции кондиционеров воздуха
KR101920930B1 (ko) 덕트 내부 청소 장치
US9802228B2 (en) Method for cleaning mechanical parts using a portable parts washer
US3830430A (en) Cleaning vehicle
KR101920929B1 (ko) 덕트 내부 청소 장치
JP6421106B2 (ja) 天井埋設型エアーコンディショナーの熱交換器の洗浄装置
KR101394587B1 (ko) 천장 매립형 코일핀 열교환기의 자동세척로봇
JP4752013B2 (ja) 天井取付型エアコンデショナーの熱交換器用洗浄装置
JP3176521B2 (ja) 空調機の自動洗浄装置
RU14432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пистолетов-распылителей
JP3319923B2 (ja) 空調機用の汎用洗浄装置
CN212577100U (zh) 烟箱清扫系统以及清扫机
CN116115132A (zh) 清洁基站以及清洁系统
US3773266A (en) Washing machine including oscillatory spray system
KR102066823B1 (ko) 에어컨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척방법
JP2007218496A (ja) 天井取付型エアコンデショナーの熱交換器の洗浄装置
CN214022139U (zh) 一种风机外壁油污清洁装置
KR101394590B1 (ko) 천장 매립형 코일핀 열교환기의 자동세척로봇
WO2004026495A1 (en) An apparatus for cleaning tubular el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